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본 논문은 "三言二拍"과 동일한 시대에 편찬된 明末 白話短篇小說集《型世言》을 전면적이고도 체계적으로 연구한 논문이다. 明末 白話短篇小說集《型世言》은 중국에서 오래전에 일실되었다가, 근년 우리나라 서울대학교 규장각에서 발견되어 세상에 그 모습을 드러내면서, 새롭게 중국 話本小說史에 진입하게 된 작품으로, 현재 11권 40회가 전하고 있다. 본 논제의 연구의의는 대체적으로 이하 몇가지 사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중국 話本小說史에 있어서의 참신한 明末 短篇小說集《型世言》과 소설가 暈氏兄弟에 대해 전면적이고도 심도있는 이해를 하게 하였고, 《型世言》總序의 일설로 말미암아, 오늘날까지도 의론이 분분한 출판시기에 대해 새롭게 연구 토론하였다. 둘째,《型世言》과 그 유관한 작품《幻影》, 《三刻拍案驚奇》및《三刻拍案驚奇別本》의 전후관계에 대해 상세하게 고찰하였고, 아울러 그들간의 이해하기 어려웠던 문제들을 천명하였다. 셋째,《型世言》과 晩明 시대상황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 연구를 통해, 작품속에 나타난 晩明의 정치, 경제사회의 진실된 면모와 明末 사회현실에 대한 작가 육인룡의 관심을 엿볼 수 있었을 뿐만아니라, 진일보하여 작자의 창작사상을 규명하였다. 넷째,《型世言》과 동시대에 편찬된 白話短篇小說集 "三言二拍"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하여, 明末 白話短篇小說이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하였는가를 (즉 명말 백화단편소설의 변천과정) 한층 심도있게 탐색하였고, 아울러 최종적으로 話本小說史에 있어서《型世言》의 가치와 그 영향을 평가하는데 근거를 제공해 주고 있다. 본 논문은 전체 7장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고찰하였는데, 대략 다음과 같다. 제1장《型世言》槪觀 : 《型世言》의 출판시기, 작자, 평자 및 그 문학관념에 대해 고찰하여 천명하였다. 제2장《型世言》의 流傳過程 : 먼저 《형세언》의 발견과 한국에서 전래된 과정을 논술하였고, 다음으로《型世言》殘本으로 알려진 《幻影》, 《三刻拍案驚奇》 및 《三刻拍案驚奇別本》의 판본과 출판시기를 연구 토론하여, 《型世言》과 그들간의 전승관계를 천명하였다. 제3장《型世言》의 시대배경 : 《型世言》이 출판된 당시의 시대적 특징을 조사 고찰하였다. 晩明 사회정치의 정세와 사회경제의 동향이 어떻게《型世言》에 반영되고 있는가를 세밀하게 연구토론하였다. 제4장《型世言》과 晩明 文藝思潮의 관계 : 晩明의 대표적 사상인 王學左派思潮와 明末實學思潮가 어떻게《型世言》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어떻게 작품가운데 체현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특히 晩明 文藝思潮와 작가 陸人龍의 창작사상과의 상관관계를 탐구하였다. 제5장《型世言》의 敎化意識 : 우선적으로 《型世言》의 창작주지인 勸誡說敎가 형성되게 된 원인을 분석하였고, 다음으로는 작자 육인룡의 창작사상과 작품 전체의 사상경향을 규명하기 위해, 晩明 시대상황과 문예사조 및 소설이론의 영향을 받아서 형성된《型世言》의 敎化意識에 대하여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제6장《型世言》의 창작예술과 작자 창작사상의 상호작용 :《型世言》의 체제, 제재, 고사결구 및 인물형상에 대하여 전면적이고도 구체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제7장 중국 話本小說史에 있어서의《型世言》의 가치와 그 영향에 규명하고자 하였다.
도심지역 대기의 입경별 미세먼지 중 유해대기오염물질의 인체위해성평가
본 연구에서는 주거 전용지역과 산업지역에서의 입경별 미세먼지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과 PAHs의 인체 위해성을 우리나라 인구 특성에 맞게 결정론적 및 확률론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PM10과 PM2.5의 평균 농도를 보았을 때 PM10에 대한 PM2.5의 비가 약 65∼75% 정도 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비율인 50∼80%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었다. 도시지역 도로면에서는 교통량 증가에 의한 타이어마모,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와 먼지의 재 비산으로 PM2.5/PM10 ratio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중금속의 Pb은 연간 대기환경기준인 0.5μg/m3은 초과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요인분석 결과, 주거지역에서는 주로 LNG차량과 불법소각에서 기인하는 금속성분인 Mn, Fe, Sb 등이 큰 값을 나타내었고, 산업지역에서는 화물 운송에 사용하는 디젤 차량인 트럭이 많고 화석연료와 산업체 등 복합적인 배출원에서 나타나는 금속성분인 Ni, Cd, Cr, Zn, As, Pb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PAHs가 주거지역에서는 주로 LNG와 노천소각 등의 배출 물질인 ANT, PHE, ACE 등이 큰 값을 나타내었고, 산업지역에서는 디젤 차량과 화석연료와 산업체 등 복합적인 배출원에서 나타나는 물질인 BbF, BkF, IcdP, BghiP 등이 큰 값을 나타내었다. 발암 위해도의 확률론적 분석 결과 중금속 중 As, Ni, Cr 이 모든 지점에서 허용위해도 값인 1.0E-06을 초과하였다. 통합위해도 역시 중금속에서는 모든 지점에서 상위 권고치인 1.0E-04을 초과하였다. PAHs는 허용위해도 값인 1.0E-06을 초과하였다. 비발암 위해도의 확률론적 분석 결과 산업지역 PAHs 중 FLU과 PYR가 1을 초과한 것은 최대 노출 시 건강상의 유해한 영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주거지역 및 산업지역에서 미세먼지 중 중금속과 PAHs 노출 저감을 위한 관리방안 수립과 정기적인 환경노출평가 실시 및 여러 변수들에 대한 정확한 확률밀도함수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for heavy metals and PAHs in the fine particulates measured by particle size at exclusive residential area in Seoul area and nearby industrial area was intended to evaluate characteristic health risks in Korea. When analyzing PM10 and PM2.5 average concentrations, the ratio PM2.5 to PM10 was about 65∼75%, showing similar range to those of the earlier studies. On the roadside of Seoul city. PM2.5/PM10 ratio showed increased level due to the tire attrition, brake lining attrition, fly dust by increasing traffic volume. By the study for the factor analysis of heavy metals, Mn, Fe, Sb showed higher concentrations at residential area. Those kind of metals are mainly produced from LNG vehicle and illegal burning. In the industrial area, the results showed higher level of Ni, Cd, Cr, Zn, As, Pb, which are mostly produced from fossil fuel combustion and various complicated sources. There exist a large number of diesel trucks used for transportation. By the study for the factor analysis of PAHs, ANT, PHE, ACE showed higher concentrations at the residential area. At the industrial area, the result showed higher levels of BbF, BkF, IcdP, BghiP. PAHs sources in Asia region are mostly considered to be caused by diesel-powered cars. In comparison, those are mainly considered gasoline-powered automobiles or point sources. From this point of view, we may say each region has its own distinct characteristics. Probabilistic analysis of cancer risk level showed that As, Ni, Cr of heavy metals exceeded 1.0E-06 (a permissible figure for risk level) in both areas, while total cancer risk level of heavy metal also exceeded 1.0E-04 (higher advice figure for risk level) and PAHs also exceeded 1.0E-06. According to the result of probabilistic analysis of non-cancer risk level, those of FLU and PYR among PAHs exceeded 1, suggesting that it is possible to cause harmful effects to human health when exposed to its highest level of ambient environment. Periodic and extensive measurement and exposure risk assessment ar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considered essential to establish proper policies relevant to heavy metals and PAHs in fine particulates.
초등학교 교육복지실무자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유미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the community network performance of education welfare practitioners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of elementary school. A constructive direction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is sought by identifying the concept of community networks which education welfare practitioners recognize, the actual conditions, the major obstacles and outcomes that they face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who are active in Seoul and Kyonggi areas. The data collection process performed in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was conduc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the education welfare practitioner who has 5 years experience of school uniform business network in elementary school, Kyonggi and research subjects were introduced by snowball sampling method. In addition, research subjects were chosen by random quota sampling method with reference to the primary list of Jungrang kkumsadari(http://kkumsadari.sen.go.kr) sampling sites opera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 the process, 8 people were selected who have more than 2 years experience of social welfare, school-related network and express voluntary intention of involvement in the research. It is used as a material for analysis that interview transcripts and records, semantic analysis. Project report, agencies internet sites and photographic records of researchers were involved as occasion deman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divided into three sub-topics. First, identity of education welfare practitioners and community networks, Second, reality and struggle of the community network, Third, hope and suggestion for development of community network. This study suggests theoretical, practical, political implications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based on students' needs through elementary school education welfare practitioner's experience of community network. Key words :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community network, elementary school, education welfare practitioner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교육복지실무자들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수행 경험을 이해하는 것이다. 서울․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교육복지실무자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그들이 인식하고 있는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개념과 현실적 조건들, 그리고 그들이 마주한 주요 장애물과 성과들을 확인함으로써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발전적 방향을 모색하였다. 질적 연구 설계로 수행된 자료 수집과정은 경기도 지역의 한 초등학교에서 교복우 사업 네트워크 경력 5년차인 교육복지사를 통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연구대상자를 소개(snowball sampling) 받았다. 이 밖에도,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 운영하는 꿈사다리 사이트에서 중랑구의 초등학교 목록을 참고로 무작위 할당표집(quota sampling)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회복지 및 학교관련 네트워크 경력이 2년 이상이면서 자발적인 연구 참여의사를 밝힌 연구대상자 8명을 선별하였다. 분석의 자료로 사용된 것은 녹취록과 면접기록, 의미 분석지이다. 필요에 따라 사업보고서, 관련기관 인터넷 사이트, 연구자의 사진기록 등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세 가지 하위주제로 나누어진다. 첫째, 교육복지실무자의 정체성과 지역사회 네트워크, 둘째,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현실과 고군분투, 셋째, 지역사회 네트워크 발전을 위한 희망과 제안이 그에 해당한다. 연구결과에 나타난 본질적 함의는 교복우 사업에 있어서 지역사회 네트워크는 학생들의 어려움 및 욕구를 기반으로 교육복지실무자들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복지실무자들은 저마다 다양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경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복지실무자들은 지역사회 네트워커로서의 정체성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복지실무자뿐만 아니라 학교와 지역사회의 지속적인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하다. 넷째, 교육복지실무자들의 전문성을 위협하는 열악한 처우개선과 정규직화가 시급하다. 다섯째, 학교 대 학교의 네트워크 강화 및 유지가 필요하다. 여섯째, 학교장 및 지역사회기관장, 부장교사 등을 의무적으로 네트워크 회의에 참여하도록 장려해야 한다. 일곱째, 학교와 지역사회기관의 행정절차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덟째, 교육복지통합전산망이 각 시군구별로 구축되어야 한다. 아홉째, 대상학생들의 문제는 장기적인 개입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점의 지역사회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정부차원에서 교복우 사업 수행에 대한 실천의지를 보여주어야 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복지실무자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수행 경험을 토대로 교복우 사업에서 교육복지실무자들이 네트워커로서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는 이론적, 정책적, 실천적 기반의 논의와 제안을 제공한다.
We can have new vision and the way of understanding in modern art with Georgia O'keeffe's pictures. Symbolism holds important meaning modern art. The art is symbolism expressed by artist's experience, touching, feeling and thought. Georgia O'keeffe holds an important position as a modem artist who expressed the kind of symbolism. Georgia O'keeffe started her work as an artist in 1910 when appeared signs of modernism in America and especially. Alfred Stiglitz, who was a photographer and managed 291 gallery and edited some magazine, devoted by Stiglitz and noticed in the field of art. An abstraction was faster and could be learnt by direct observation to Georgia O'keeffe. The theory of symbolism had been influencing her works since the late 1890's. Georgia O'keeffe's motive for plant was considered originality in that she simplified it with a few of organic forms. As magnification of flowers which has recognized her exemplary work in 1920's, they shows similarity with his teacher, DOW'S work and works of Stiglitz club, her works are a kind of indirective reflection of her times. V-formed picture composition and depressed hollow which appeared in her expression of yearning for eternal nature, "Black Cross", "Desert and Bones", which painted in 1920's with her new image and "Big flowers" have secured a verdict in her favor. She selected apples, pears, plums and flowers, however, they caused criticism just in sexual peculiarity of her works. She wanted her own criticism to be in harmonized with critical option so from the 1930's the picture of her established lost lost sence of humor, the symbol of sardonic, indifferent and introspective human, just as Stiglitz's early realistic portraits of O'keeffe had expressed her symbol of a esthetic and typical woman. O'keeffe catched the rhythm of Nature with keen sensibility, plant motive of O'keeffe was rather searching for nature which is the other side of object than the description of outline and surface. Her picture was not the effort for release but the effort to reach where Nature and Art come to one. Organic forms were the means for the purpose and we can say that O'keeffe created great image with her specific sensibility and stable plot in Nature. The symbolism which appeared in her whole picture is Pictorial language of Nature.
소년소녀가장이 다른 요보호 대상자와 다른점은 문제해결 방안이 경제적 지원만으로 해결될 사항이 아니라는 것과 이들은 성장과정에 놓여있는 청소년에 속한다는 것이다. 즉 현재의 욕구충족 여부에 따라 미래가 좌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1985년부터 시작된 정부의 소년소녀가장 지원사업을 살펴보고 소년소녀가장에 대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보호방안을 마련하고자 전국 소년소녀가장세대의 5.8%에 해당하는 373세대를 중심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조사 연구 하였다.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정부에서는 소년소녀가장에 대하여 지난 85년부터 생활보호사업과 교육보호, 직업훈련 및 결연사업 등으로 경제적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아동, 청소년기로서 경제적, 심리·정서적지원, 부모부재에 따른 생활관련 지원 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년소녀가장의 발생원인 및 일반현황, 경제적 상황 및 주거현황, 가정생활에 관한 사항, 경험하는 문제들, 자존감, 심리·정서적 사항, 학교생활에 관한 사항, 사회적 관계욕구 등을 파악하여 소년소녀가장의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대책에 대해 살펴 보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모자가정을 건전하게 육성할 수 있도록 물질적 지원을 실시하는 것이 소년가장의 발생을 예방하는 첫 단계이다. 둘째, 최저생계비 수준의 생활보호비는 교육비의 과다지출, 주거불안정에 따른 지출 등 소년소녀가장의 특수한 욕구에 비추어볼 때 더많은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셋째, 후원자를 발굴하고, 또 도움이 필요한 대상에게 연결시켜주는 조직활동을 통하여 물질적, 정신적 원조를 받도록 하고 있는 결연사업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넷째, 이들이 자립하여 사회에 진출했을 때 잘 할 수 있도록 대학진학을 위한 "소년소녀가장특별전형" 진로 및 취업을 위한 생업자금대여, 직업훈련지원, "취업우대제도" 등과 같은 적극적 자립지원책이 필요하다. 다섯째, 소년소녀가장은 학교에서 시간을 보내는 학령기에 있으므로 이들의 잠재력을 최대한 개발시킬 수 있는 학교사회사업프로그램이 시급히 실시되어야 한다. 여섯째, 혈연을 중요시하는 우리 나라의 실정에서 정신적, 물질적 도움을 받고 있는 친척, 친지 등을 지지, 보완하는 정책및 이들이 매개가 된 유료 가정위탁보호의 도입이 시급히 검토되어야 한다. 일곱째, 청소년기인 이들이 자신의 발달과업을 완수하고, 심리,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상황들을 지지, 보완해줄 수 있는 지역사회 복지관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여덟째, 지역사회 내에서 일반가정과 같은 형태의 그룹홈이 확대 실시 될 필요가 있다. 지역사회의 일반주택에 분산시켜 일반가정과 가까운 환경은 만들어주며 가능한 그 지역사회의 표준에 접근 할 수 있도록 가정생활지도를 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동기 정서적 학대 및 방임 경험이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고정마인드셋의 매개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유미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본 연구는 대학생의 아동기 정서적 학대 및 방임 경험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고정마인드셋의 매개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과정을 통합한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Shneidmand 의 정신증적 자살이론 및 Dweck 의 암묵적 자기 이론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아동기 정서적 학대 및 방임 경험을 독립변인으로, 고정마인드셋을 매개변인, 회복탄력성을 조절변인 및 조절된 매개변인으로, 자살생각을 종속변인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512 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외상 질문지 단축형, 암묵적 자기 이론 척도, 자살생각 척도, 회복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시행하였다. 검증 결과, 아동기 정서적 학대 및 방임 경험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고정마인드셋의 부분매개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에서 긍정성과 사회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살생각을 보고하는 대학생 및 초기 성인의 상담 실제와 정서적 학대 및 방임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 필요의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a fixed mindset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experience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Based on Suicide as Psychache, the theory of Shneidman, the Implicit Self Theory of Dweck, and related empirical research,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to verify the effect by setting up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emotional neglect as independent variables, fixed mindset as a meditation variable, resilience as a moderated variable and a moderated mediation variable, and suicidal ide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a sample of 512 college students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 Short Form, Implicit Self Theory Scale, Measures of Resilience, and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the mediation effect of a fixed mindse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were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emotional neglect, and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regarding the counseling practice of college students and early adulthood who reported suicidal ideation and parent education for the prevention of chil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Limitations to this study and proposal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This study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changes in the name of Jeju Island's volcanic cones called as Oreum in Korean (hereafter called Oreum) on the map. maps and documents which contain the name of Oreum are analyzed. The national maps, the 'Chosun Topographical Map,' '1970s Topographical Map' and 'Modern Topographical Map' were analyzed while the map from the Jeju provincial government, the 'Jeju Oreum Map' was analyzed. Regarding the portal site map, ‘the National Geography Information Platform,’ and Naver and Daum were analyzed. The analysis documents include 'Oreum Traveler 1, 2, 3' (Kim Jong Cheol, 1995), 'Oreum's real identity and understanding' (Gang Soo Heon, 1996), 'Oreum Guidance' (Kim Seung Tae, Han Dong Ho, 2005), and 'Origins of the Korean region name'(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10a)).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data contained in 'Jeju Oreum'(Jeju island, 1997). Records of Oreum and ratio of the use of Oreum increase in orders of 'Chosun Topographical Map,' '1970s Topographical Map,' 'Modern Topogra phical Map' and 'Jeju Oreum Map.' When it comes to suffix of Oreum, ‘- Ahk(岳)’ is used the most and others is the least in the 'Chosun Topographical Map. ' Suffix ‘-Oreum’ is the most often recorded while ‘-San(山)’ is the least used in orders of '1970s Topographical Map,' 'Modern Topographical Map' and 'Jeju Oreum Map.' As for the type of Oreum records, 'Chosun Topographical Map' has 142 usages of Korean-Chinese characters. '1970s Topographical Map' presents Oreum as Korean in 127 spots while Chinese characters are written in 90 spots. 'Modern Topographical Map,' Korean -Chinese Characters both are used for 48 times and Korean only are found in 270 spots. 'Jeju Oreum Map' puts Oreum in Korean only in every use of 368 times. The number of different names was the highest when it comes to Oreum in Kujwa eup in 'Chosun Topographical Map' and '1970s Topographical Map. ‘Different names of Oreum is most found in eastern part of Jeju city in 'Modern Topographical Map.' In 'Jeju Oreum Map,' Oreum is written differently most often in eastern part of Jeju city and Aewol eup. In terms of the type of different names, 'Chosun Topographical Map' indicates many differences in usages of both prefix and suffix while '1970s Map,' 'Modern Topographical Map' and 'Jeju Oreum Map' records more different uses of prefix. In the sector of the portal site maps, the number of Oreum records, usage of different names, the type of the different names are analyzed in the national portal map site, ‘the National Geography Information Platform,’ and the private portal site including Naver and Daum. in the comparison between Naver and Daum map, notation of Oreum and the type of different names in both sites are analyzed and marked on the map to identify two sites’ differences. The suffix – Oreum is the most frequent in three map sites, others place the second in orders of usage of – Bong, -Ahk, and –San. The different names are written similarly in the National Geography Information Platform and Naver, and the standard names are closely put in Daum map site. When classifying names by type, Daum map has fewer names compared to the standard names, and there were many differences in Naver map site. when tourists search for names of Oreum on the internet, showing that there are more unnamed Oreums and different namings of Oreum in Naver site than Daum site. The portal site map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Oreum is required to accurately recognize the difference in the notation of Oreum. The portal site serving with many unmarked Oreum will need to allow more Oreum designation service for the convenience of tourists. 본 연구는 지도에 나타난 제주도 오름 지명 표기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것이다. 오름 지명이 기재된 지도와 문헌을 분석하였고, 지도에는 지형도와 포털 지도로 나눠서 분석하였다. 지형도는 국가 발행 지도로 「조선 지형도」와 「1970년대 지형도」, 「현대 지형도」를 분석하였고, 제주 도청 발행 지도는 「제주 오름 지도」를 분석하였다. 포털 지도는 국토정보플랫폼과 네이버(naver)와 다음(daum) 지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문헌은 『오름 나그네 1, 2, 3』 (김종철, 1995)』, 『제주의 오름: 오름의 실체와 이해』 (강수헌, 1996), 『오름 길라잡이』 (김승태외 한동호, 2005)』, 『한국 지명 유래 집 전라·제주 편』 (국토지리정보원(2010a)) 등이다. 연구 방법은 먼저 『제주의 오름』 (제주도, 1997)속의 오름 자료를 정리하여 오름의 기준으로 하였다. 「조선 지형도」, 「1970년대 지형도」, 「현대 지형도」, 「제주 오름 지도」로 갈수록 오름 표기 개수가 많아지고, 표기율도 점점 높아졌다. 오름 접미어 구분은 「조선 지형도」는 –악(岳)이 가장 많고, 기타가 가장 적었다. 「1970년대 지형도」 , 「현대 지형도」, 「제주 오름 지도」로 갈수록 –오름이 가장 많고 –山(산)이 가장 적었다. 오름 표기 형태는 「조선 지형도」는 표기된 오름 지명이 142개로 모두 한자와 한글이 병기되어 있었다. 「1970년대 지형도」는 70개는 한자 표기, 127개는 한글로 표기되었다. 「현대 지형도」는 48개가 한자와 한글이 병기, 270개가 한글 표기가 되어 있었다. 「제주 오름 지도」는 표기된 오름 368개 모두 한글로 표기되어 있었다. 이칭 표기 수는 「조선 지형도」와 「1970년대 지형도」는 구좌읍의 이칭 표기 수가 가장 많았다. 「현대 지형도」는 제주시 동지역이 가장 많으며, 「제주 오름 지도」는 제주시 동지역과 애월읍의 이칭 표기 수가 가장 많았다. 이칭 유형에서 「조선 지형도」는 접두어와 접미어 둘 다 차이(C)가 많았고, 「1970년대 지형도」, 「현대 지형도」, 「제주 오름 지도」는 접두어 차이(A)가 가장 많았다. 포털지도의 오름 지명에서는 국토정보플랫폼과 네이버(naver)와 다음(daum) 지도의 오름 표기 개수, 이칭표기, 이칭 유형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네이버와 다음 지도의 비교에서는 오름 지명의 표기 유무, 이칭 형태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분류한 내용을 지도화하여 오름 지명의 표기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오름 접미어 구분은 세 지도 모두 –오름이 가장 많고, 기타가 두 번째이고 –봉(峰), -악(岳), -산(山) 순서였다. 이칭 표기는 국토정보플랫폼과 네이버 지도가 비슷하고, 기준 지명과 다음 지도가 비슷한 경향이 있었다. 이칭을 유형별로 분류하면 기준 지명과 비교하여 다음 지도는 이칭 표기 수가 적고, 네이버 지도는 많았다. 여행객들이 오름 지명을 검색할 때 네이버 지도에서 검색하면 다음 지도에서 검색할 때보다 미표기된 오름 수가 많고, 이칭 표기 수도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오름 지명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털 지도에서는 오름 지명의 표기 차이를 정확히 인식하고, 미표기가 많은 포털 지도에서는 여행객들의 편의를 위해 더 많은 오름 지명 서비스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고령화 사회를 위한 치유환경으로서의 미술관 연구 : 인천·경기지역 사립미술관을 중심으로
유미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현대의 미술관은 기존의 감상과 보존만을 위한 공간이 아닌 치유 효과가 강한 미술관 고유의 공간적·환경적 특성과 풍부한 자원들, 그리고 서비스 기관으로서의 정체성을 강점으로 미술관 관람객들의 정신적 웰빙을 위한 공간으로 그 활동 범위를 점점 더 넓혀가고 있다. 미술관의 실·내외 환경과 다양한 프로그램, 이와 더불어 관람객들을 위한 서비스 방식은 치유환경으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 할 것이다. 이러한 미술관의 특징은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노인을 위한 환경조성에 관심이 집중되어있는 현재 상황과 그동안 미술관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개입을 고려할 때 초고령사회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치유환경이라는 기능적 관점에서 미술관 환경을 진단해 봄으로써 치유환경으로서 미술관의 가능성과 방향에 대해 탐색해 보고자 1980년대부터 2020년까지 연구된 치유환경에 대한 문헌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미술관의 치유 환경적 요인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인천·경기 지역 사립미술관의 환경 사례를 제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2차에 걸친 전문가 내용 타당도검사를 통해 미술관에 대한 치유환경 진단 도구를 개발하여 인천·경기 지역 사립미술관을 방문한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와 더불어 미술관 방문 노인 및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표적 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분석하여 결과에 반영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 사립미술관의 운영 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치유환경으로서 미술관의 기능은 치유공간의 기능, 휴식공간의 기능, 작품감상의 기능, 활동촉진의 기능, 사회적 교류의 기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둘째, 미술관의 치유 환경적 요인으로는 물리적 요인, 심리적 요인, 사회적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물리적 요인의 세부요인으로는 소규모 성, 단순한 동선, 자연요소와 전망, 자연채광과 빛의 조절, 안전한 환경, 다양한 작품과 콘텐츠에 따른 즐거움, 다양한 색채 변화, 전통 가옥, 민속품, 가구 등 과거 회상을 통한 편안한 환경 등을 들을 수 있으며, 심리적 요인의 세부요인으로는 예술작품 감상을 통한 심리적 안정과 정서함양, 다양한 콘텐츠에 의한 흥미 유발 및 활동촉진, 자연 조망과 전통적 요소에 의한 친근한 환경, 자유로운 이동과 주변 자연환경에 의해 느낄 수 있는 자유로움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요인의 세부요인으로는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및 다양한 이벤트에 의한 사회적 교류, 교육공간에서의 활동,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휴게공간, 다양한 정보의 제공 등을 들을 수 있다. 셋째, 노인의 치유환경으로서 지역 사립미술관의 특성은 물리적 환경 측면에서 소규모 공간, 단순한 동선, 자연적 특성, 과거 회상과 관련한 풍부한 시각적 자료, 안전성, 다양한 시각적 조형물 등이 있으며, 심리적 환경 측면에서 작품감상을 통한 심리적 안정감과 편안함, 미술관의 다양한 콘텐츠가 주는 즐거움, 존중받고 있는 공간, 다양한 경험을 통한 활력 제공, 사회적 환경 측면에서 전 연령층이 방문하는 사회 통합적 장소로서 전시 감상과 교육, 친목 형성, 정보제공, 다양한 계층과 소통, 사회적 상호작용촉진을 들을 수 있다. 넷째,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는 지역 사립미술관의 치유환경 관점의 운영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치유 환경적 요소를 고려한 미술관 실·내외 환경 및 시설 정비, 노인 대상 프로그램 외에 사회 통합적 접근의 노인프로그램 운영, 치매 예방적 측면이 고려된 프로그램 및 이를 위한 관련 기관과의 협업, 지역 사립미술관 운영자 간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다양한 홍보 및 캠페인 등을 제시하였다.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미술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개선 즉, 낙후된 시설의 정비 및 유니버설 디자인 도입과 외부 자연환경을 활용한 공간운영을 제안한다. 또한, 지역미술관은 한 개인을 위한 것이 아니라 많은 방문객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시설 정비에 대한 국가적 재정 지원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둘째, 심리적 환경 측면에서 예술작품 및 오감을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개발과 이를 위한 전문인력의 보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문화예술 발전을 위한 미술관 전문인력지원사업 및 정 학예사 취득을 위한 경력인정 대상기관의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사회적 환경 측면에서 노인 대상뿐 아니라 가족, 일반 성인 등과 함께하는 통합적 프로그램운영과 개발, 노인을 위한 정기적인 커뮤니티 프로그램의 운영을 제안한다. 넷째, 지역을 기반으로 예술적 치유환경 가능성을 고려한 미술관 공간 활용과 이에 대한 정책적 지원, 국가적 치유 예방사업 참여 구조지원, 전문인력지원 강화, 업무를 담당할 별도의 지원 부서 등의 배치가 이루어지기를 제안한다. 본 연구는 연구 기간 COVID-19로 인해 미술관 방문에 제한이 많았던 관계로 설문지 배포 및 자료수집이 양적으로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 COVID-19 상황으로 외출과 모임이 자제되었던 만큼 노인들의 미술관 방문은 치유환경평가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후속 연구에서는 국가적 재난 상황이 배제된 환경에서 더 많은 노인과 지역을 대상으로 미술관 치유환경진단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둘째, 치유환경은 노인에게만 필요한 환경은 아니며, 정신적인 치유가 필요한 현대 사회인들에게 요구되는 것임을 고려할 때 후속 연구에서는 나이 별, 인구학적, 지리적,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미술관 치유환경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Modern art museums are increasingly expanding their scope of activities for the mental well-being of visitors with their strengths such as spat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at have strong healing effects, diverse resources, and their identity as service organizations. It is not just a space for appreciation and preservation. The museum's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various programs, and its method to serve the public, is of sufficient value as a healing environment. Given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creating an environment for the elder receives attention due to the rapid aging and the museum’s involvement in social problems, such characteristics of the museum are believed to provide effective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the elderly society. Thus,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literature on the healing environments from the 1980s to 2020 in order to diagnose the art museums from the functional perspective of a healing environment as well as exploring the potential and direction of art museums as a healing environment. The study derived the healing environmental factors of art museums, and presented the cases of private museums in Incheon and Gyeonggi-do. For objective evaluation, the study developed tools for diagnosing the healing environment of art museums by conducting two rounds of expert tests on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They surveyed senior citizens aged 65 or older who visited private art museums in Incheon and Gyeonggi-do. In addition, this study conducted and analyzed the focus group interviews on the elders who visited the museums, as well as related exper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attempted to propose an operational plan of local private museums of art.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First, the functions of art museums as a healing environment can be defined as a healing space, a resting area, and a place for appreciation of works, promotion of activities, and social interaction. Second, the healing environmental factors of art museums can be classified into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Physical factors include small scale, simple movement, natural elements and view, natural lighting and light control, safe environment, enjoyment of various works and contents, various color changes, and comfortable environment through reminiscence via traditional house, folk goods, and furnitures. Psychological factors includ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emotional cultivation through art appreciation, stimulating interest and activities by various contents, provide friendly environment through nature and traditional elements, and freedom to feel free through movement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inally, social factors include social exchanges through education programs and various events, activities in educational spaces, relaxation areas for comfort, and the provision of various information.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private art museums as a healing environment for the elderly are as follows; In terms of physical environment, they provide small spaces, simple movements, natural characteristics, rich visual materials related to recollection, safety, and various visual sculptures. In terms of psychological environment, they provid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comfort through appreciation of works, joy from various contents of art museums, respectable spaces, vitality through various experiences. In terms of social environment, as a socially integrated place visited by all age groups, they provide an exhibition appreciation, education, socializ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with various groups of people, and social interaction. Fourth, as a way to operate local private art museums from the perspective of a healing environment in response to aging society, this study presented the improvement of indoor and outdoor facilities considering healing environmental factors, the operation of social integrated access programs in addition to programs targeting the elderly, and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and collabor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and various promotions and campaign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network between local private art museum operators.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requested through this study: First, improvements to the physical environment of art museums, i.e., the improvements of outdated facilities and the introduction of universal design, and the operation of space utilizing the external natural environment are proposed. In addition, financial support from the state is expected as local art museums are for many visitors, not just for one individual.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contents using artworks and five senses in terms of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to supplement professional personnel.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upport project for art museum professionals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in the region and the institution is to be eligible for career recognition to obtain curator certificates. Third, in terms of social environment, it is proposed to operate and develop integrated programs in which families and adults, can participate in addition to the elderly, as well as operating regular community programs for the elderly. Fourth, a department to be created for the use of art museum space, policy, and support in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of artistic healing environment based on region with the structural support for participation in national preventive healing projects, strengthening support from professionals, are proposed. This study has a limitation due to the lack of distribution of questionnaires and data collection because of the restrictions placed on the visit to art museums regarding COVID-19. Also, due to COVID-19 restrictions, elders were limited to go outside and gather which can impact the overall assessment. To address this limitation, future research are proposed as followed: First, it is hoped that subsequent research can conduct a diagnosis of the art museums targeting more elders and regions that are free of natural disasters. Second, given that the healing environment is not only necessary for the elderly, but also required for people who need mental assistance, it is expected that subsequent research can include age, demographic, geographical and local characteristics.
환경 다큐멘터리 사진의 감정 연구 : <세계보도사진공모전> 수상 작품(2011-2021년)을 중심으로
유미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환경 다큐멘터리 사진은 환경 뉴스 보도의 한 수단으로 대중에게 환경 지식을 보급하는 동시에 환경 파괴에 대한 대중의 높은 리스크 감지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환경 다큐멘터리 사진은 따뜻한 감정과 휴머니즘의 배려가 가득할 뿐만 아니라 도덕적 느낌이 담겨 있으나 일부 환경 다큐멘터리 사진은 폭력, 파괴, 상처는 물론이고 심지어 많은 죽음을 표현하며, 이러한 강한 시각적 자극은 감상자의 다양한 정서 체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심리학 연구를 통해 정서는 심리 활동과 행동을 유발하는 동기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따라서 환경 다큐멘터리 사진에 담긴 감정은 환경 보도에 대한 대중의 태도를 유발하고, 대중 감정을 자극하여 공공 여론에 영향을 끼치며, 이를 통해 일정한 축소, 확대, 유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감정 인지 이론(cognitive theory of emotion)의 시각에 따라 호프만(Hoffmann)의 인지 매개 감정 이론(cognition mediated emotion theory)을 감정 이론 프레임으로 하여 세계보도사진공모전(WPP)의 자연환경 수상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시각 문법 이론의 인터랙티브 기능을 시각 분석 도구로 하여 환경 다큐멘터리 사진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환경 다큐멘터리 사진의 시각 인터랙티브 의미와 감정 표현 차이, 그리고 환경 다큐멘터리 사진의 감정 디자인과 구축을 탐구하고, 이를 통해 다큐멘터리 사진의 표현과 감정 분석에 체계적인 이론 수단을 제공하며, 다큐멘터리 사진을 이용한 미디어의 감정 동원을 위한 참고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환경 다큐멘터리 사진은 시각 문법 인터랙티브에 대한 활용을 통해 사진 화면 주체와 감상자의 사상적 사회관계를 구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극과 시각 이미지의 결합을 통해 감정적 반응이 유발되고, 감정이 공감을 통해 직접 전달되며, 자극 의미가 유발한 감정 반응에서 감정이 감정 도식의 분류 역할과 정서 귀인(歸因)의 평가 역할을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또한 각종 감정 유형의 감정 표현에 따라 시각 인터랙션과 감정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차이가 발생하였다. 긍정적인 감정을 사용하는 환경 다큐멘터리 사진은 긍정적 정서 표현에 적합한 인터랙티브 요소를 적절히 활용하여 긍정적인 정서적 공감을 강조하고, 즐거움과 신뢰 취향의 감정 도식을 사용하며, 성취 귀인을 부각하였다. 반면 소극적인 감정의 환경 다큐멘터리 사진은 부정적 정서 표현을 유발하는 인터랙티브 요소를 활용한 부정적 정서 공감을 강조하고, 슬픔과 공포 취향의 감정 도식을 사용하며, 귀책 사유를 부각하였다. 마지막에서 본 연구는 설문 조사를 통해 환경 다큐멘터리 사진 감정의 감상자에 대한 역할, 그리고 각종 감정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차이를 검증하였다. 부정적 감정 유형의 환경 다큐멘터리 사진은 긍정적 감정에 비해 감상자의 감정 반응 발생을 자극하고, 커뮤니케이션 효과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As a critical tool of environmental news reporting, environmental documentary photographs activate the public awareness of high risk of environmental events while spreading environmental knowledge to the public. While many environmental documentary photographs show warmth and humanity, full of moral appeal, there is a category of environmental documentary photographs that are often full of violence, destruction, pain and even death. Strongly visually stimulating, such photographs inspire rich emotional experiences of the viewers. According to psychology, emotions are the motivations that can evoke psychological activities and behaviors. Therefore, the emotional stimulation of environmental documentary photographs plays a role in scaling and guiding the public attitude towards environmental news, followed by arousing the public emotions and then influencing the public opinion. Within the horizons of the cognitive theory of emotions, this study uses Hoffman's cognitive mediational theory of emotion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emotion and selects the prize-winning works at the World Press Photo Contest (WPP) in the category of natural environment as the object of research, using the interactive meaning in the visual grammar theory as the visual analytics tool for the content analysis of environmental documentary photograph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visual interaction and emotional expression in environmental documentary photographs, and to analyze how emotions are designed and constructed in environmental documentary photographs.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a systematic theoretical tool for analyzing the visual representation and emotions regarding documentary photographs, and guides the strategies of emotional mobilization while using the documentary photographs by the media. Findings indicate that an environmental documentary photograph can establish a so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of the image and the viewer's imagination by utilizing interactive resources of visual grammar. In the emotional response induced by the matching of stimulus and visual representation, the emotion is directly transmitted through emotional empathy; in the emotional response induced by the stimulus meanings, the emotion is transmitted indirectly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emotional schemas and the evaluation of emotional attribution. Findings also indicate that emotional expressions with different emotional tendencies differ in terms of visual interaction and effects of emotional communication. Environmental documentary photographs adopting a positive emotional tendency are more likely to mobilize interactive resources that facilitate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s, emphasizing positive emotional empathy and adopting emotional schemas of happiness and trust orientation to highlight achievement attributions; environmental documentary photographs adopting a negative emotional tendency are more likely to mobilize interactive resources that sensationaliz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emphasizing negative emotional empathy and adopting emotional schemas of sadness and fear orientation to highlight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Finally, based on a questionnaire survey, the study verifies the effect of the emotions transmitted by environmental documentary photographs on viewers and the differences in the communication effects of different emotional tendencies, and concludes that negative emotional tendencies are more likely to stimulate an emotional response from viewers than positive emotional tendencies and then lead to environmental protection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