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욕망과 계급의 기호학: 봉준호 감독 <기생충>의 이미지 연구

        왕정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47

        봉준호가 연출한 <기생충>의 영상 세계는 독특한 욕망의 은유와 직관적인 사회 계층의 표현으로 제72회 칸영화제 황금종려상과 제92회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하였다. <기생충>은 문화 간 전파를 이룬 고전적인 작품으로서 영상 기호와 계급, 권력, 욕망 등의 주제를 체계적으로 생성하여 계층과 욕망 분석을 위한 전형적인 텍스트가 되었다. <기생충>은 한국의 한 빈곤 계층 가정의 아들이 상류층 부잣집에서 가정교사를 하게 되는 것을 계기로 온 가족이 부잣집에 잠입해 상류층 사회에 기생하면서 벌어지는 우화적이고 황당무계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영화는 세계적 문제인 빈부 격차가 초래하는 결과뿐 아니라 빈자와 부자라는 대립적 인간성의 문제를 드러냄으로써 밝게 빛나는 사회 뒤에 숨겨져 알려지지 않은 어두운 면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영화 철학과 사회학의 이론적 토대 위에서 욕망과 계층의 관점에서 영화 <기생충>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영화의 주제인 인간적 욕망과 양극화된 계층적 표현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모두 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소개하고 기호학 및 욕망과 계급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본다. 제2장에서는 봉준호 감독의 성장배경과 대표작을 소개하고 <기생충>의 텍스트를 깊이 있게 분석한다. 제3장에서는 제2장에서 분석한 영화 텍스트와 영화 이론에 영상 기호를 결합하고 인물 기호, 장면 기호, 음성 기호에서 출발하여 영화 <기생충>에 담겨 있는 욕망의 기호를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제4장에서는 <기생충>의 사회 계급을 탐구한다. 제3장에서 정리한 기호의 은유를 사회학에 접목하고 사회학과 영화 내용을 깊이 결합하여 의존 후의 사회 과정과 기생 상황에서의 사회적 배척, 약세에서의 사회적 대표를 통해 영화 속 사회 계급의 표현을 설명한다. 제5장에서는 <기생충>의 영상 언어를 분석하여 욕망 이론과 영화 미학을 영상 언어에 융합한다. 영화에서 욕망 표현에 사용된 권력화된 시각적 설계와 기괴한 청각적 예술 표현을 탐색하는 한편 영화에서 나타난 욕망 영상 언어의 독특한 미학적 특징을 정리한다. 제6장에서는 봉준호 감독의 창작 스타일과 시사점을 탐구한다. 앞의 몇 장에서 살펴본 바를 정리하고 <기생충>의 창작 스타일로 대표되는 봉준호 감독의 독특한 창작 스타일, 즉 사회 의식의 주입과 영화 철학의 해석을 요약한다. 또한 미래의 젊은 영화 창작자에게 주는 시사점을 되돌아본다. 제7장은 연구의 결론으로 전체 연구를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를 명확히 밝히는 한편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여 후속 연구에 대해 건의와 시사점을 제시한다. With its unique metaphor of desire and visual representation of social class, the visual world of Bong Joon-ho's The Parasite won the Palme d'Or at the 72nd Cannes Film Festival and the 92nd Academy Award.At the same time, Parasite, a classic of cross-cultural communication, has a systematic generation of visual symbols and themes of class, power and desire, making it a typical text for the analysis of class and desire. The film "Parasite" tells the allegorical and absurd story of a poor family of the lower class in Korea who take the opportunity of their son's tutoring in a rich family of the upper class to infiltrate the rich family's home by hiding their identities and living as parasites in the upper class.The film not only reveals the consequences of the worldwide disparity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but also reflects the human nature of the two opposing sides of the wealthy and the poor, so to speak, and uncovers the hidden dark side of a glamorous society.Based on the philosophy and sociology of cinema, this thesis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the film Parasite in terms of desire and class, and explores the film's themes of human sexual desire and polarised representations of class in the film Parasite. This thesis consists of seven chapters.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purpose, need, scope and methodology of the study and provides a prior study of semiotics and desire and class.The second chapter introduces the background of director Bong Joon-ho's upbringing, his representative works and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the text of Parasite.In the third chapter, after a deep analysis of the film text in the second chapter, the theory of desire is used as a basis for an in-depth study of the symbols of desire in the film Parasite, based on the theories of desire combined with the symbols of images, starting with the symbols of characters, scenes and sounds.Chapter 4 is about social class in the film Parasite. This chapter introduces the symbolic metaphors that emerged in Chapter 3 into sociology, combining sociology with the content of the film in depth, illuminating the expression of social class in the film in terms of social processes after attachment, social exclusion under parasitism, and social representation in vulnerability.Chapter 5 is an analysis of the language of images in Parasite, incorporating theories of desire as well as film aesthetics into the language of images. It explores the visual design of power and the grotesque aural art used by the director in the representation of desire during filming, and draws out the uniqu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film's image language under desire.Chapter 6 is about director Bong Joon-ho's unique creative style and inspiration. It is a summary and inspiration of the previous chapters, taking the creative style of The Parasite as a representative, and summarising the unique creative style of director Bong Joon-ho, i.e. the implantation of social consciousness and the interpretation of film philosophy. It also reflects on the inspiration for future young film-makers.Chapter 7 i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which summarises the whole study and clarifie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points out its limitations and provides suggestions and inspiration for subsequent research.

      • 브랜드 퍼브릭의 혜택과 소비자 개입

        왕정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브랜드 커뮤니티 중 소비자개입에 대한 연구와 비해 브랜드 퍼브릭 중 소비자개입에 대한 연구는 별로 없었다. 최근 몇 년간 브랜드 퍼브릭은 학술계에서 나타났다. 브랜드 커뮤니티는 한 공간으로써 행사를 유인하고 유지하는 데 중개설비가 필요하다. 브랜드 퍼브릭 성원은 서로에게 낯선 사람이라 도덕이나 가치관의 단속 없이 자유로 행동할 수 있다. 따라서 브랜드 퍼브릭을 다양화 정보를 제공하고 커뮤니케이션을 다양하게 할 수 있게 만들게 했다. 본 논문에서 설문조사로 획득한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보다양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제한 없는 자유적표현등 브랜드 퍼브릭의 특징은 성원들이 지각하는 브랜드 퍼브릭 이익에 끼친 영향 또한 그중의 정보이익, 사회이익과 표현동기는 브랜드 퍼브릭 개입에 끼친 영향에 대하여 탐구하는데 목적이었다. 12월까지 300개 설문조사를 진행했고 274개 효력이 있는 설문조사에 대한 통계분석을 했다. 주성분 분석으로 각 성분의 신뢰도와 타당성에 대한 테스트를 했으며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해 가설을 검증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브랜드 퍼브릭 중 정보 다양화는 소비자의 정보 이익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두 번째, 정보 이익은 브랜드 퍼브릭 개입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 번째, 브랜드 퍼브릭중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은 사회이익에 대한 적극적인 영향을 미친다. 네 번째,사회이익은 브랜드 퍼브릭 개입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섯 번째,소비자는 제한 없이 자유적으로 자기 표현할 수 있는 것은 브랜드 자기표현 동기에 대한 적극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여섯 번째, 브랜드 자기표현 동기는 브랜드 퍼브릭 개입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연구를 통해 획득한 계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본 연구에서 브랜드 퍼브릭 중 정보 다양화는 소비자의 정보 이익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따라서 경영자는 브랜드 퍼브릭의 특징을 활용해 더 많은 정보를 만들어 정보이익을 실현하도록 해야 한다. 성원들은 얻은 정보 이익이 많을수록 개입행위도 생길 법이다. 두 번째로 본 연구를 통해 브랜드 퍼브릭 중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은 사회이익에 대한 적극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결론을 낼 수 있다. 인터 넷 브랜드 퍼브릭은 좋은 교류 플랫폼이다. 따라서 사회이익을 실현할 수 있도록 경영자는 성원에게 더 많은 교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성원들은 얻은 정보가 많을수록 개입행위도 생길 법이니 그 반면에 기업에서도 소비자를 많이 사로잡을 수 있는 것이다. 셋 번째로 소비자는 제한 없이 자유적으로 자기 표현할 수 있는 것은 브랜드 자기표현 동기에 대한 적극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따라서 경영자들은 브랜드 퍼브릭 중 소비자의 수요와 브랜드를 연결할 수 있다면 브랜드에게 더 많은 이익을 가져오기 마련이다.

      •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의 음소 및 형태소 인식이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왕정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국어를 제2 외국어로서 학습하는 사람의 수가 많아질수록 중국어 읽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육적 중재와 전략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중국으로 중국어를 학습하러 간 학생들뿐만 아니라 자국에서 중국어를 외국어로서 학습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연구할 필요성이 있는데 그 연구는 아직 미비한 편이다. 또한, 중, 고급 중국어학습자에 비해 초급 중국어학습자의 읽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따로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초급학습자 중에서도 중국문화와 문화 간 유사성이 많고 한자도 병행하여 쓰는 나라의 학생을 대상으로 초급 중국어 학습자의 특성을 연구한 적이 없으며 한국에서 중국어를 학습하는 초급수준의 학습자에게 적용시킬 수 있는 연구가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급수준의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음소인식 능력과 형태소인식 능력을 측정하여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수치화하여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한국인 초급 중국어 학습자의 음소인식 능력과 형태소인식 능력이 단어인지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한국인 초급 중국어 학습자의 음소인식 능력과 형태소인식 능력이 어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한국인 초급 중국어 학습자의 음소인식 능력과 형태소인식 능력이 구문읽기이해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의 대상은 A대학교 중국어중문학 학부 1학년 재학생 38명이며 음소인식 능력 검사, 형태소인식 능력 검사, 단어인지 능력 검사, 어휘 능력 검사와 구문읽기이해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검사의 채점 기준에 근거하여 SPSS통계 18.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 초급 중국어 학습자의 중국어 음소인식 능력을 물론, 형태소인식 능력 중 형태소생성 능력도 중국어 단어인지 능력의 중요한 설명변인이다. 둘째, 한국인 초급 중국어 학습자의 중국어 형태소인식 능력과 음소인식 능력 중 음소탈락 능력은 어휘 능력의 중요한 설명변인이다. 셋째, 한국인 초급 중국어 학습자의 중국어 형태소인식 능력은 구문읽기이해 능력의 매우 중요한 설명변인이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음소인식 능력도 읽기능력에 영향을 미치지만 음소인식보다는 형태소인식이 읽기능력의 여러 방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리문 도자작품 제작 연구 : 관(觀) 지(智)를 중심으로

        왕정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리문은 두 가지 이상의 색이 다른 소지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시켜 일정한 패턴이나 자연스러운 무늬 등을 표현하는 도예 기법을 말한다. 제작 된 기물 위에 그림을 그리거나 장식을 하는 여느 방식들과는 다르게 소지를 이용하여 문향과 패턴을 만들어 그 자체로 형태를 이루는 기법으로 보다 자연스러운 무늬를 나타낼 수 있고, 그 표현 방법이 다양하여 여러 방향으로 응용 할 수 있는 범위가 넓다. 현대 연리문과 전통과의 큰 차이는 다채로운 색의 사용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온의 안료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여러 가지 색 연리문은 두 가지 이상의 색이 다른 소지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시켜 일정한 패턴이나 자연스러운 무늬 등을 표현하는 도예 기법을 말한다. 제작 된 기물 위에 그림을 그리거나 장식을 하는 여느 방식들과는 다르게 소지를 이용하여 문양과 패턴을 만들어소지를 만들었고 색 소지를 사용하여 다양한 문양과 패턴들을 연구하였다. 또한 패턴 연구를 통하여 나온 결과물들을 조형에 접목시켜 관(觀)과 지(智)라는 불교의 교리를 연리문 조형으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리문의 전통을 잇고 그 것을 현대화하여 불교의 관(觀)과 지(智)라는 철학적 관념을 나의 생각에 연결시켜 도자공예에 멈추지 않고 예술로의 표현에 중점을 두었다. 관(觀)과 지(智)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눈을 감고 있는 부처의 두상과 안구로 조형화 하였고 그 것을 연리문의 패턴과 조화시킴으로써 세상의 모든 이치와 진실을 관조하고자 하는 모습을 형상화 하였다. 불교 이론에서 관(觀)은 “지혜로 특정 사물을 관찰하다.” 또 “특정 사물을 관찰하여 지혜를 얻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여기에서 사물은 세상의 모든 만물이라 할 수 있다. 지(智)는 범어로는 반야이며 “진정한 진실”즉 다르마(Dharma)를 나타내는 교리이다. 이 두 가지 관과 지라는 교리를 내 나름대로의 해석을 거쳐 연리문 조형으로 풀어내 보았다. 아주 짧은 역사를 가지고 역사 속에서 사라졌던 연리문이 현대에 들어 세계 여러 나라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도예의 다양한 기법들 중 현대인들의 정서와 시각에 잘 들어맞고, 현대 도자의 흐름과 감각에 부합하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연리문에 대한 관심과 발전이 지속되기를 희망하며 본 연구를 통해 연리문의 영역이 더욱 확대 되어 폭 넓고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또한 연리문을 더욱 알려 현대 연리문의 발전에 일조가 되길 기대해본다. Nerikomi is a pottery technique, which makes regular or irregular patterns on the porcelain with muds in different colors. Compared to painting and other decorative techniques, the patterns are more natural, and its manifestations have a much wider variety, which are applicative. The most distinguished difference between ancient and modern Nerikomi is that the latter is more colorful and have various patterns. In the study, some heat-proof paints were used to make different color muds, and after making the patterns on the muds, they would be put into casting or fiber-drawing. In the end, modern pottery artwork had been made, which show the view of "Wisdom" and "Reality".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inherit the traditional porcelain technique, modernize the porcelain artwork and express the "Wisdom" and "Reality" view in the buddhist philosophy. The presentation of the artwork has been emphasized with continued studies on techniques. Modernize the images of the heads and eyeballs, and then combine with porcelain with twisted clay body to explain the two views in buddhist philosophy. In buddhist philosophy, "Wisdom" means observing the thing wisely or gaining the wisdom through observing some specific things. In addition, "Reality" means the truth. Nerikomi has reappeared and many countries have studied on it since its short presentation and then extinction. It meets the requirement of modern people's aesthetics, satisfying their visual fulfillment and emotion. Through this study, attention would like to be drew on the development of this pottery technique, and assistance to it can be provided to enlarge the porcelain's influence.

      •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가 소비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중화노자호'전통 과자 브랜드 선물 패키지 디자인을 중심으로

        왕정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국 중화노자호 과자 브랜드의 선물용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 시각적 특성이 소비자 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함으로서, 본 연구의 타겟 소비층인 밀레니얼 세대의 취향에 부합될 수 있도록 개선된 패키지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 수행을 위해, 본 연구자는 먼저 내용분석법을 이용하여 중화노자호 전통 과자 브랜드의 선물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별 특성과 전반적인 특성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컨조인트 분석법을 통해, 패키지 디자인에 있어서 중국 밀레니얼 세대의 시각적 선호에 관한 양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부분 브랜드 로고 디자인은 그래픽과 글자 구조가 복잡하고, 개성이 분명하지 않아, 브랜드 식별성이 떨어지는 측면이 있었다. 컬러는 주조색은 빨간색 계열, 보조색은 노란색 계열에 집중되어 있어 다양성이 부족했다. 글꼴은 전통적 고전체류 위주로 사용하여 가시성과 가독성을 갖췄으나, 장식성이 떨어졌다. 그래픽 이미지 요소의 디자인은 전통적인 유형이 많이 나타났다. 연구에 포함된 21개 브랜드 선물용 패키지 디자인은 전반적으로 각 브랜드의 정체성을 분명하게 드러내지 못하였다. 또한, 브랜드별로 선택된 선물용 패키지 디자인들은 디자인 컨셉트가 불분명하여, 제품디자인의 테마나 스타일이 일관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심미성이 미흡하고 현대적 감각도 부족하였다. 소비자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시각적 요소는 중요도 순서에 따라 컬러, 그래픽 이미지, 글꼴이었으며, 이에 따른 시각적 요소별로 가장 선호하는 유형들은 색상은 흰색, 글꼴은 행서 그리고 그래픽 이미지는 삽화였다. 남녀 성별과 연령별로 시각적 요소에 대한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는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다만 성별에 따라 컬러의 선호양상과 선호수준도 약간 다른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별로는 컬러와 그래픽 요소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중국 밀레니얼 세대는 현대적인 감각과 전통적인 요소가 적절히 혼합된 세련된 스타일을 선호하였다.

      • 중국 가정의 사회자본과 부모의 양육방식이 유아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왕정 창원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and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family social capital and parental rearing patterns, what is more, it analyzed the effect of Chinese family social capital and parental rearing patterns on children's sociality. There are some research questions in the thesis. Firstly, what’s the current state of Chinese family social capital? Secondly, what’s the current state of parental rearing patternsin Chinese family? Thirdly, what’s the current state of Chinese children's sociality? Fourthly, what’s the effect of Chinese family social capital and parental rearing patterns on children's sociality?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in five national kindergartens located in Nanchang, Jiangxi Province, China. The investigation objects are 374 parents to probe the relevant information about129 children who is 3-4 years old, 122 children who is 4-5 years old and 123 children who is 5-6 years old. The dates are analyzedwith Descriptive Analysis,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 Regression Analysis and SEM. ANOVA is mainly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family social capital and parental rearing patterns on children's sociality, and SEM is mainl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ly, there is no obvious difference in social capital within the family, meanwhile, there a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capital outsides the family. Secondly, about parental rearing patternsin Chinese family, parents are younger, the more they tend to adopt self-disciplinedrearing patterns, while the higher the degree of respondents' education, the more they tend to adopt controlling rearing patterns, and the higher the degree of the spouse of respondents' education, the more they tend to adopt acceptance rearing patterns, while more of the respondents with high school diplomatend to adoptrejecting rearing patterns. Thirdly, about the children's sociality, it turned out that a number of girls are better understand others than boys, and the group whose age is over 6 years old have a higher abilities in the areas of others’understanding. In the social area, the group whose age is 5-6 years olds have a higher social ability, and when the number of kids is more, or parent is younger, or the earning is higher, the self-disciplinedability is higher. It is important for parents who raise children by self-disciplined method, and, especially, for children's understanding of respect and communication with parents. At the same time, it is also concluded that children whose parents earn more money aremoreself-disciplined. The closer the age between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eir interactivity is better. This is because there are many interactive activitiesheld in the class of 5-6 years olds in Chinese kindergarten. Fourthly, it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apital within the family and sociality, and it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ity and self-disciplined methods, while it i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ity and negative methods, and there iscorrelation between family social capital and parental rearing patterns. Fifthly, from the process, social and economic status of a family and social capital have a great influence on children’s sociality. Personal background and parental rearing patternshave a direct influence on sociality, and parental rearing patterns have the biggest influence on children's sociality, and because social and economic status of a family and social capital have an influence on parental rearing patterns, it also have an influence on children's sociality indirectly. Family social capital is the main reason that changes parental rearing patterns independently. As a result, the important channels for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e effect on children's sociality isfamily social capital→parental rearing patterns→children's sociality. Social and economic status has a fixed influence on parental rearing patterns. keywords: Children, sociality, Chinese, family, social capital, Parental rearing patterns, Social and economic status

      • 중국 내 한류 스타의 웹보메트릭스 분석 : 중국 팬클럽 웹사이트 대상으로

        왕정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재 중국에서 한국 가수를 대상으로 만든 팬클럽 웹사이트를 살펴보고, 웹보메트릭스 분석 방법을 이용해 웹사이트가 인터넷 공간에서 나타나는 전반적 현황 및 링크구조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중국에서 한국 가수의 인지도 및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서 한국 가수의 웹 가시성을 분석해 봤다. 연구 대상인 101명의 한국 가수가 중국 인터넷 공간에서 상대 높은 가시성을 나타났다. 즉, 중국인은 한국 가수의 정보를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동시에 한국 가수의 높은 인지도 및 영향력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국에 팬클럽 웹사이트는 한류문화의 직접 이용자 모임이며 콘텐츠 재생산 및 콘텐츠를 전파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가수 중국팬클럽 웹사이트 간의 관계적 현상을 탐구하기 위해서 한국 인기 가수 101명의 팬클럽 웹사이트를 동시링크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팬클럽 웹사이트의 형태와 특징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가수 중국팬클럽 웹사이트 동시링크가 솔로 가수끼리, 아이돌 그룹 가수끼리 등 유유상종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보였다. 한국 가수의 데뷔 기간, 웹 가시성 및 팬클럽 웹사이트 회원수가 동시링크 네트워크의 구조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가 현재 중국의 인터넷 공간에서 한국 가수 및 그들의 중국팬클럽 웹사이트의 실재적인 상황을 반영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류 현상을 파악한 또 다른 시각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uses a webometrics analysis to explore Korean singers in China. Therefore, this study tests the web visibility of Korean singers in China. And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e of the co-inlink network of South Korean singers’fan club websites in China. Finally, this study examines correlations between singers’ network properties (e.g., centrality)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e.g., gender). 101 Chinese fan club websites, the data for this research, was retrieved from one of the most popular music websites in China in April 2011. The research findings demonstrate that Korean singers in China have higher web visibility than Chinese singers. This shows that Chinese people can easily access to information on Korean singers. It also shows that the Korean singers’ high popularity in and high influence on the Chinese entertainment industry. In addition, the co-inlink network shows a homophilous structure, in which solo singers stay closer with solo singers, and idol groups and idol groups are more closely linked and so on. Finally, individual Korean singer’s network position, debut time, web visibility, and the number of fans, for example, are highly correlated.

      • 중국 자동차산업 국제화에 대한연구

        왕정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국은 신속히 성장하는 개발도상국으로써 경제총량과 경제규모로 세계 앞자리에 서있다. 전세계 자동차산업이 신속히 발전하는 환경에서 중국의 자동차 업체들은 경쟁과 합병을 통해 자체 경쟁력을 높인다. 하지만 한 나라 자동차산업 발전의 심도와 범위는 나라가 세계범위에서의 지위를 결정한다. 중국은 아직도 자체의 국제적인 자동차 브랜드를 갖추지 못하였다. 비록 외자자동차기업과의 합자로 수량적인 돌파를 이루게 되었지만 품질적인 발전에서 지금까짇 실현하지 못하고 있다. 중국 자동차산업의 국제화를 위하여 이런 배경에서 본문은 몇가지 연구를 하였다: 제1장, 주로 논문의 연구배경과 연구의미, 국내 자동차산업의 발전배경을 소개하였고 본문의 기초적인 부분이다. 제2장 중구자동차산업의 발전과정 및 정책의 변화을 설명하였고 자동차산업의 특징은 본문 제1장 국내산업연구의 설명부분이다. 제3장, 중국 자동차산업의 현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고 그 중에 생산, 판매, 기술, 품질과 가격 몇 가지 부분들과 각자 문제점들을 설명하였다. 제4장 중국자동차산업의 국제화문제, 주로 자체브랜드의 발전상황과 특징을 설명하였고 중점적으로 3개 실례, 길리, 비야디와 장성을 중국 자체브랜드자동차의 우수 대표로 하여 설명을 진행하였다. 제5장, 앞의 몇 장 분석과 연구와 결합시켜 결론을 내리게 되고 자동차산업의 국제화 발전기획을 실행하고 중국자동차가 해외시장 진출에서 존재하는 몇 가지 문제점들을 제시하였고 해결 방안을 찾아보려 한다. 결론에서는 중국 자동차산업국제화의 전망과 여러가지 노력 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