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오현정의 "Sextet for 2Flutes, Clarinet, Bassoon, Percussion and Violoncello"(1996)의 제1, 3악장의분석

        오현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63

        19 세기 말 Richard Wagner (1813-1833)에 의한 반음계주의의 영향으로 출현한 무조성 (atonality)은 Arnold Schoenberg (1874-1951)에 의해 한층 더 발전되어 20세기의 중요한 양식으로 자리 잡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무조적 개념을 기초로 작곡한 본인의 작품 "Sextet for 2Flutes, Clarinet, Bassoon, Percussion and Violoncello" (1996)의 제 1악장과 제3악장을 분석한 것이다. 제 1악장은 ABA'의 3 Sectio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속음이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각 성부의 지속음에 의해 단 2도로부터 장 7도까지의 다양한 음정구조와 완전 4도 또는 완전 5도로 구성된 화음이 형성된다. 제 3악장은 ABCA'의 4 Sectio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입부와 Section A에서 제시된 선율의 특징적 요소들이 각 Section의 선을 진행을 이끌어 간다. 또한 단2도, 증4도(감5도), 장·단7도 음정이 주요음정으로 제시되고 각 성부 사이에 장 2도, 단 2도로 구성된 cluster chord가 나타난다. Atonality, appeared under the influence of Chromaticism by Richard Wagner( 1813∼1833) in the end of nineteenth century, was refined and established as a major mode in the twentieth century. 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the first and third movements of ˝Sextet for 2 Violins, Clarinet, Bassoon, Percussion and Violoncello˝(1996) which was composed on the basis of this atonal concept The first movement consists of three sections of ABA’ Sustained tone of each part exposed melodic characteristic and built up various intervals and chords in this movement. The third movement consists of four sections of ABCA’ Characteristic elements of melody in the introduction and section A were leading the melodic progression of each section, additionally, all minor seconds, augmented fourths (diminished fifths), major sevenths and minor sevenths together became major intervals in this movement

      • 서울시 유급병가 이용 현황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오현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47

        서울시 유급병가 이용 현황과 활성화방안에 대한 연구 오현정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 협동과정 (지도교수 : 최 재 욱, M.D., Ph. D.) 목적 : 서울형 유급병가 지원제도는 아프면 병원에 가야한다는 상식에도 불구하고 병원에 가지 못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병원에 가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일실손해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원하는 제도이다. 대기업이나 공무원과 같은 경우 질병으로 인한 병가제도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나 비정형고용인 특수고용직이나 영세자영업자의 경우에는 고용상의 지위로 인해 질병에 따른 휴급휴일을 보장받지 못한다. 서울시는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중위소득 100% 이하의 소득을 가진 영세자영업자가 질병으로 입원하거나 건강검진을 받는 경우 소득을 보장해 주는 제도이다. 이 제도는 서울을 시작으로 대전시, 고양시 등에서 확대해서 시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제도에 대한 성격규명, 효과성,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으로 이 이유는 서울형 유급병가제도가 건강보험법에 따른 상병수당으로서의 성격이 강조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서울형 유급병가지원제도를 활용하여 상병수당이 도입될 시 소요재정추계를 연구한 연구 등이 존재하나 서울형 유급병가지원제도를 상병수당과 같은 성격의 제도로 볼 것인지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서울형 유급병가제도의 시행과 앞으로의 발전방향과 관련하여서는 서울시민의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인식과 태도 등이 동시에 연구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서울형 유급병가지원제도가 정책이 목적으로 한 대상에게 적절하게 제공되었는지 평가도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 서울형 유급병가 지원제도의 제도성격을 고찰한다. 둘째, 2020년, 2021년 서울형 유급병가 신청자(승인, 미승인, 심사중)의 특성을 분석한다. 셋째, 시민의 사회경제적 상황에 따른 서울형 유급병가 제도에 대한 인지 및 태도를 조사‧ 분석한다. 넷째, 서울형 유급병가제도 확대 적용 방안에 대하여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조사연구, 실증분석의 세 가지로 이루어졌다. 먼저 연구1은 서울형 유급병가의 제도 성격을 고찰한 연구로 질병과 사회보장간의 관계, 상병수당 및 유사제도에 대한 고찰과 서울형 유급병가 지원제도의 입안과정와 정책확산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 제도의 성격을 규정하였다. 다음으로는 서울형 유급병가 제도가 적절한 대상에게 전달되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서는 서울시에 자료공개청구를 통해 받은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서울형 유급병가 지원제도가 자치구별, 월별, 직업별, 질병별로 어떠한 특성을 지니고 지급되었는지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서울형유급병가 확대를 위한 실증연구를 위한 서울시민 인지 및 태도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이 조사는 1,000명의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사설 여론조사기관에 의뢰하여 실시하였으며 서울형 유급병가 지원대상자를 50% 할당하고 유의표본 추출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먼저 서울형 유급병가 제도의 성격과 관련하여 서울형 유급병가 지원제도는 공공부조제도로 상병수당과는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형 유급병가는 보험이 아닌 조세를 재원으로 한다는 점, 특정대상(저소득 지역가입자)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전국민 대상의 사회보험보다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같은 공공부조로서의 성격이 있다고 할 것이다. 다음으로 서울형 유급병가 제도시행결과는 부유한 자치구보다는 가난한 자치구에서 더 많이 신청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는 50대와 60대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별로는 판매종사자와 운송관련직의 비율이 높아 정책대상인 특수고용형태종사자에게 적절하게 전달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또한 주요 상병으로는 근골격계 질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서울형 유급병가 제도의 확대에 대한 시민의식조사를 한 결과는 서울형 유급병가에 대한 인지율은 낮은 상태이며, 직장가입자의 경우 47.0%만이 유급질병병가를 부여받을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질병휴가가 있는 경우에도 제도의 내용까지 전부 인지하고 있는 사람은 질병휴가가 있는 직장가입자(47.0%) 중 27.7%로 나타나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파도 출근한 경험이 전체의 45.6%로 나타났다. 지역가입자의 경우 질병으로 인해 소득감소를 경험한 비율이 87.6%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주로 개인적 차원에서 이러한 소득감소를 해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울형 유급병가 확대 필요성에 대한 의견은 전체의 71.6%가 확대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안별로는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개인의 사회적 지위(복지급여 수급 가능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담세부담에 있어서는 담세를 통한 확대에서 비일관적이고 비계급적인 특성이 드러났다. 결론 :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서울형 유급병가의 활성화를 위해 첫째, 제도 성격을 상병수당이 아닌 공공부조로 명확하게 하고, 상병수당의 논의에 포섭되어 사라지지 않아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둘째, 중앙과 지방자치단체가 근로감독권을 공유하여 직장가입자도 질병으로 인한 병가로 인해 신분상의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해야 서울형 유급병가도 서울형 유급병가의 대상이 아닌 직장 가입자도 질병을 적기에 치료하고 업무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셋째, 서울형 유급병가의 확대는 신중하게 선별적인 방향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조사 결과 제도확대는 지지하고 있으나 낮은 담세의지로 인해 재정적 부담이 큰 사업을 확대하는 것에 있어 사회적 합의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서울형 유급병가 지원데도의 확대를 위한 증세 등의 주요 이슈와 관련해 시민적 합의와 이를 이끌 정치적인 역량이 시민사회와 정치권에 요구된다. 본 연구는 표본추출방식의 한계와 행정데이터의 수집한계로 인해 일반화에는 어려움이 따를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앞으로 이 연구의 논의가 바탕으로 지방정치와 지방행정 차원에서 공공보건의료와 제도를 확대할 때 중요한 참고자료가 되길 바란다.

      • 수준별 국악 가창 학습을 위한 국악 악상기호 표기방법

        오현정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eaching music, a song is one of fields which can be easily accessible to students, but in the e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t is very difficult for teachers or students to learn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reason is that in the musical notes collected in the textbook, the expressions of sikimsae are omitted, as compared to original songs, or sikimsae is often written like a main melody. However, to sing a song properly is important, and to learn the learning objective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s also important, so to teach sikimsae which is one of the learning objective elements is very important. In addition, if students learn sikimsae, their ability of singing a song improves, so to learn sikimsae is very important. In this thesis, I let students learn Korean traditional music easily and I propose notational systems and a method of guidance by which students learn sikimsae easily. In this thesis, I have chosen and analysed the musical not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ollected in the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which are classified into classical music and a folk song. Also, I have examined the problems of the notational systems of sikimsae. In addition, in order to record the musical notes of sikimsae which lack the music textbook, I have examined the symbols of sikimsae used in the musical not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hich are classified into classical music and folk songs. I have organized all aspects according to the expression of sikimsae. I have shown the notational systems of sikimsae which can be applicable to the music text book on the basis of the arranged symbols. As a method to use this, I have proposed a level-based method of guidance by which students use sikimsae and learn it easily. As a result, basic-level students can learn the song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a basic melody easily by seeing musical note because the musical notational syste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s how sikimsae is added to a basic melody. On the other hand, advanced level students can learn sikimsae easily by seeing symbols added to a basic melody. Thus, students will show their abilities of songs creatively by learn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its express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pose a level-based method of guidance by using the symbol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y which students understand the expression and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ell and do not think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s something difficulty, and teachers provide basic education materials with which students can face Korean traditional music. I expect, on the basis of it, the education scholar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o continue to study the notational system of sikimsae and a method of guidance for guiding the practical skill of Korean traditional music.

      • 장애인등록제도와 장애인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식

        오현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examine how well the disability registration system and disability welfare service are systemized for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families and workers in mental health settings and to what extent they are satisfied with the system and service, (2) to investigate better devices for activation of the disability registration system and development of disability welfare service.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of a total of 29 institutions located in Tae-gu and Kyungpook district ; 2 general hospitals, 10 (neurvous)mental hospitals, 11 rehabilitation centers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and 3 mental health centers. A total of 309 questionnair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 140 of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47 of families and 122 of workers in mental health settings. The extent of cognition, desire and a difference among those three groups is examined by the data with a method of Frequency Analysis, Crosstab, T-test, and ANOV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suggested that all of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 their families and workers in mental health settings lack information about the disability registration system and disability welfare service. Second, patients of mental illness, families and workers in mental health settings are reluctant to register with the disability registration system because they are afraid of social stigma, prejudice and social disadvantages caused by the disability register. Third, rate of disability registration has strong connection with long term illnesses and rich knowledge of the system. Fourth, workers in mental health settings emphasize the necessity of the disability registration system, however, show concerns about social disadvantage stigmas and poor conditions of disability welfare service. Fifth, quite a few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ppeared to be dissatisfied with the actual disability registration service. This study has significant social welfare meaning as follows; First, both workers in mental health settings and the government should make constant efforts in dissolving misconceptions and prejudice towards the disability registration. Second, desire of clients should be reflected in improvements of disability service. Primarily, they desire to be supported on the following issues ; 'cost of medicine and medication', 'increasing a cost of living allowance' and 'reference and development of job'. Third, workers in mental health settings are required to have more concerns and investigation with parliamentary laws and systems to better welfare and increase protection for clients. Forth, it is necessary that social welfare officials cooperate with welfare institutions in helping sufferers of mental illness staying at home get involved in disability registration and activating it. Fifth, it is required to simplify process of disability registration and furnish correct information about it in order to activate it. Sixth, the government should strive to arrange a safety device that helps to reduce social disadvantage caused by disability registration. Seventh, the disability registration system should be improved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 of mental disease. Eighth, the survey questions which examine present conditions of disability should be more specific and practicable From the above meaning, I conclude a few things, First, cognition improvement of disability is necessary to reduce social stigma and prejudice about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caused by disability register. Second, it is necessary that workers in mental health settings have more intensified education for their professional quality. Third, a survey and feasible policy is needed to be arranged to improve the disability welfare service to meet the needs of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and their families.

      • 도시규모에 따른 장애인 보조공학기기와 서비스 활용수준 비교 연구

        오현정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sparity status of usage on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service by size of citi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616 people with physical, visual and hearing disabilities: 414 in big-sized cities, 166 in middle-sized cities and 36 in agricultural district.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social information, assistive technology device usag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usage, and assistive technology device government support system usage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cross tabulation analysis.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hat verifies the inter-item reliability was used for the comparison between assistive technology device usage and government support system satisfaction level. One way-ANOVA was used to put significance level value p as .05 fo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for inquiring the cross correlation among the subscale of satisfaction questions. As a result, more than a half of 20 people (55.6%) in agricultural district responded that they did 'not know' the government support system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222 people (53.6%) in big-sized cities and 69 people (41.6%) in middle and agricultural district responded that they ‘have heard it but not used it’. The chi square test was perform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acknowledgement of government support system by the city size, (4, N=616)=14.960, p< .05.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appeared as .887 in the whole question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significant as .444 (p< .01) between the satisfaction levels of possession and usage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signifiant as .429 (p< .01) between the satisfaction levels of possession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government support system. This study provides database on various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service needs and deman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size of cities. Also, it could be used to determine priorities to distribute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to make policies the government support system by size of cities. 본 연구는 도시규모에 따른 보조공학기기․서비스 활용수준을 비교하여 대도시, 중소도시, 군읍면의 보조공학기기․서비스 활용수준을 진단하고, 도시규모별 발생하는 격차를 줄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2009년 9월부터 10월까지 한 달간 표집 대상 선정과 설문 시행 단계로 진행하였으며, 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의 4가지 장애유형을 가진 6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정보, 보조공학기기 사용실태, 보조공학서비스 이용실태, 보조공학기기 지원제도 이용실태는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를 이용하여 산출하였고, 보조공학기기 사용 및 지원제도 만족도 수준 비교분석을 위해 문항내적신뢰도를 검증하는 Cronbach's alpha 계수를 사용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One way-ANOVA)을 실시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한 유의 수준 p값을 .05로 하였다. 또한, 만족도 문항의 하위척도들 간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보조공학기기 지원제도에 대한 인지 및 이용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군읍면의 경우 20명(55.6%)으로 과반수이상이 보조공학기기 지원제도에 대해서 ‘전혀 모름’이 가장 많았고, 대도시와 중소도시의 경우, 각각 222명(53.6%), 69명(41.6%)이 ‘들어본 적 있으나 이용경험 없음’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카이제곱 검증 결과, (4, N=616)=14.960, p< .05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조공학기기 사용 및 지원제도 만족도 문항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내적일관성을 알아보는 Cronbach's alpha 값은 전체문항에서 .887로 나타났으며 대도시, 중소도시, 군읍면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보조공학기기 사용 및 지원제도 만족도의 하위 문항간의 Pearson 상관계수는 .444로 보조공학기기 확보 만족도와 보조공학기기 활용 만족도 항목간의 상관이 있었으며 .429로 보조공학기기 확보 만족도와 보조공학기기 지원제도 만족도 항목간의 상관이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처럼 보조공학기기․서비스 활용수준 비교 분석을 통한 도시규모별 수준 차이는 군읍면 지역의 장애인들이 보조공학기기 지원제도의 종류별 인식이 매우 낮게 나타났고, 보조공학기기 지원제도 이용욕구 또한 저조하였으며 대도시, 중소도시에 비해 보조공학기기 지원제도의 필요성과 실질적인 활용에 대해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시규모별 보조공학기기․서비스 활용수준에 따른 다양한 보조공학기기 욕구 및 수요에 대한 기초자료 제시가 가능하며, 도시규모에 따른 보조공학기기 수요와 지원제도의 배분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정책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어 질 것이다.

      • 2015 개정 교육과정 내 생명기술시스템 영역으로서 농업교육의 실행방향

        오현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 내 ‘창조’, ‘생명 기술 시스템’ 및 ‘식물 가꾸기에 대한 실행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2007 개정에서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 내 농업영역 내용을 분석, 관련 컨텐츠 및 활동 제시 그리고 전문가 집단의 현장 적용성 검토 등을 통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실과 교과 내에서 농업영역의 내용이 교육과정의 개정을 거듭할수록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농업영역을 기술교육과의 연계성을 강화하면서 기술교육의 하위로 농업영역을 분류하여 교육과정의 계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와 같은 문제점을 교사들 및 예비교사들이 많이 인식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농업과 정서적 가치를 함께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에 있어서 농업영역과 연관이 있는 정의적 측면의 핵심역량이 부재하는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내용체계의 수정이 불가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 내 ‘창조’, ‘생명 기술 시스템’ 및 ‘식물 가꾸기에 대한 실행방향에 대한 조사에서는 학교에서 할 수 있는 학생 체험형 위주의 활동을 통한 교육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history and agricultural contents of the Curriculum 2007 and Revised Curriculum 2015 both, present relevant contents and activities, and review the field applicability by expert groups. In order to suggest, based on the key concepts like 'Creation' and 'Life Technology System' and 'Plant Farming', implementation directions for the Life Science education part of the Revised Curriculum 2015.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the agricultural area, within the curriculum, are decreasing, whenever the curriculum are amended. Furthermore, the revised curriculum 2015 reduced the relevance and sequence of the curriculum, by placing and reclassifying agricultural education parts which were subordinate to technical education.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teachers and student teachers are highly aware of these problems. In addition, the revision of curriculum is needed. Though teachers recognized emotional value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reason of teaching and studying agriculture, there is not any key concepts or core competencies relating to the emotional value in the life science education part of the revised curriculum 2015. Finally, the experience-oriented activities that can be performed in schools are propos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survey conducted ,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or basis between the implementation directions of the revised curriculum 2015 and core competencies like 'Creation', 'Life Technology System' and 'Plant Farming', experience-oriented activities should be emphasized.

      • 미세먼지 발생 시 숲 체험활동 및 실내대체활동 비교 분석 연구

        오현정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세먼지 발생 시 숲 체험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운영 실태를 알아보고, 실내대체활동에 관한 교사의 요구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미세먼지가 영유아 건강에 미치는 위해성을 고려한 숲 체험활동의 바람직한 운영을 기대하며, 숲 체험활동의 보완대체기능으로서 숲의 요소를 연계한 친 환경적 실내대체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관련 변인(숲 체험 유형, 숲 체험 경력, 숲 체험 연수시간)에 따라 미세먼지 발생 시 숲 체험활동과 실내대체활동 운영 실태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아교사의 관련 변인(숲 체험 유형, 숲 체험 경력, 숲 체험 연수시간)에 따라 미세먼지 발생 시 숲 체험활동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유아교사의 관련 변인(숲 체험 유형, 숲 체험 경력, 숲 체험 연수시간)에 따라 미세먼지 발생 시 실내대체활동에 대한 요구에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수원, 용인, 성남에 소재한 숲 체험활동을 진행하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작성하도록 하고 회수한 설문지 유효 분 242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통계프로그램인 SPSS 23.0 Version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사용한 구체적인 분석 기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미세먼지 발생 시 숲 체험활동에 대한 인식, 역량개발요구, 프로그램요구, 지원요구 등 측정도구에 대한 내적일관성을 Cronbach's Alpha계수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미세먼지 발생 시 숲 체험활동에 대한 인식, 역량개발요구, 프로그램요구, 지원요구의 평균, 표준편차 등을 알아보는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χ2(Chi-square)검정, 평균차이를 검증하는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미세먼지 발생 시 숲 체험활동 운영 실태와 실내대체활동 운영 실태를 살펴본 결과, 먼저 교사들은 미세먼지 상황에서 숲 체험활동을 진행하며 유아의 안전과 건강을 살피고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대처하는 기준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숲 체험활동이 실내대체활동으로 변경된 비율은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숲 체험활동이 실내대체활동으로 변경된 이유로는 미세먼지 발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의 문제가 유아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개선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 특정한 기준이나 체계 없이 실내대체활동을 운영한다는 것은 유아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과도 같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실내대체활동의 명확한 학제적 기준과 체계적인 정책적 지원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미세먼지 발생 시 숲 체험활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숲 체험 유형, 숲 체험 경력, 숲 체험 연수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분석결과 세 가지 변인 모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먼지가 유아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영유아의 건강을 우선으로 하는 보다 명확한 숲 체험활동과 실내대체활동 기준이 제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교사들은 미세먼지 인식과 대응에는 적극적인 반면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노력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부분에서 교사의 지속적인 환경교육을 통한 실천지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실내대체활동에 대한 교사의 요구를 세 가지 측면에서 알아본 결과 먼저 역량강화에 대한 요구에서 숲 체험 경력이 짧은 유아교사들의 실내대체활동과 관련하여 개인의 역량을 신장시킬 수 있는 인식 및 전문성교육에 더 높은 관심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내대체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에서는 숲의 요소를 연계한 실내대체활동에 대한 수용 정도가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탐색과 관찰이 가능한 실내대체활동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실내대체활동 지원에 관한 요구에서 놀잇감 보완, 놀이시설 및 기구 보완, 인력지원 등 실내대체활동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자연친화적인 환경개선과 법적, 제도적 보완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erception and operating statu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when fine dust occurs, and to analyze teachers' requirements for indoor alternative activitie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expects the desirable operation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considering the harmful effects of fine dust on the health of infants and toddlers, and provide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indoor alternative activity programs that connect forest elements as a complement and alternative function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 difference in indoor alternative activities operating status when fine dust occurs according to the variables related to forest experience (forest experience type, forest experience career, and forest experience training tim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when fine dust occurs according to the variables related to forest experience (forest experience type, forest experience career, and forest experience training tim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is there a difference in requirements for indoor alternative activities when fine dust occurs according to the variables related to forest experience (forest experience type, forest experience career, and forest experience training tim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60 teachers i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s conducting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in Suwon, Yong-in, and Seongnam, Gyeonggi-do, and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242 valid copies were analyzed.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3.0 Version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specific analysis techniques are as follow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Reliability of measurement tools such as perception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when fine dust occurs, competency development needs, program needs, and support needs was analyzed through Cronbach's Alpha coefficient. In addition, a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calculate perception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when fine dust occurs, the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 of development needs, program needs, support needs. In addition, Chi-square tes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operating status and indoor alternative activities operating status when fine dust occurs, the teachers conducted the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in the fine dust situation and looked at the safety and health of the children. They also had the criteria to cope with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is study, the rate of change from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to indoor alternative activities was very high. The reason for the change was the most frequent occurrence of fine dust.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impact of environmental problem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individual level. However, operating indoor alternative activities without a specific standards or system at the educational field is a violation of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Therefore, it implies that clear interdisciplinary standards of indoor alternative activities and systematic policy support should be provided urgently. As a result of perception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when fine dust occurs,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forest experience type, forest experience career, and forest experience training time. As a result of post analysis, all three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t means that clear standards for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and indoor alternative activities that prioritize the health of infants and toddlers should be pres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effects of fine dust on their health. In addition, teachers are active in fine dust perception and response, while efforts to reduce fine dust are small, which requires practical knowledge through continuous environmental educa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eachers' requirements for indoor alternative activities from three aspects, firstly in terms of competency enhancement,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a short forest experience career had higher interest in professional education that can enhance individual competency in relation to indoor alternative activities. Secondly in terms of the indoor alternative activity programs,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acceptance of indoor alternative activities linked to forest elements was very positive. This means the development of indoor alternative activity programs is needed that can be explored and observed. In order to support indoor alternative activities, eco-friendly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legal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are required for effective and efficient operation of indoor alternative activities, such as supplementing toys, play facilities or equipment, and manpower support. Key words: fine dust,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indoor alternative activities, requirements

      • 재량활동 교육과정에 대한 중등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수준 및 관련 변인 연구

        오현정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의 재량활동교육과정에 대한 중·고등학교 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수준을 알아보고, 관심도와 실행수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실행관련변인은 어떠한 순서로 나타나는 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고등학교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재량활동교육과정의 현 상태를 진단하고, 재량활동교육과정에 대해 교사들이 보다 많은 관심을 갖고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지원책과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재량활동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 분석 1-1 재량활동교육과정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관심도는 어떠한가 ? 1-2 재량활동교육과정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관심도는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재량활동교육과정을 지도하는 교사들의 실행수준 분석 2-1 재량활동교육과정을 지도하는 중등교사들의 실행수준은 어떠한가? 2-2 재량활동교육과정을 지도하는 중등교사들의 관심도에 따라 실행수준의 차이가 있는가? 3. 재량활동교육과정의 실행관련변인 분석 3-1 재량활동교육과정에 대한 중등교사들의 관심도에 따라 실행관련변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3-2 중등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재량활동 실행관련변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3-3 중등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재량활동 실행관련변인들의 영향력은 어떠한 순서로 나타나는가?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소재 교사 249명을 대상으로 재량활동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고등학교 교사들을 성별, 담당재량활동유형별 (교과재량/ 창의적 재량/ 비담당), 지역별, 시범학교운영여부, 경력별로 구분하여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에 응답한 교사들 중 26명을 면담하여 재량활동의 실행수준을 알아보았다. 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된 관심도 측정 질문지와 면담지는 텍사스 대학교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교사교육연구소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에서 개발된 것으로 우리나라 재량활동교육과정 실정에 맞게 번안하여 사용하였다.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실행 관련변인의 차이를 알아 보기 위해 사용한 연구도구는 이미숙(1998)의 통합교육과정의 실행정도와 관련 변인연구에서 작성한 질문지를 재량활동교육과정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위하여 빈도, 원점수, T점수, 평균, 표준편차, X^(2) 검증, 일원변량분석, 선형회기분석, 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고, 자료의 통계처리를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량활동교육과정에 대한 개인별 관심단계를 살펴 본 결과 전체교사의 32.1%가 무관심에 가장 높은 반응을 나타냈고, 3단계인 운영적 관심은 19.7%의 반응을 나타냈다. 이는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해 좀더 알고 싶고 자신들이 실행하고 있는 교육과정이 옳은 것인지, 잘못된 것인지 알기를 원하며 보다 많은 다른 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하려는 교육과정 혁신의 초기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모습으로 볼 수 있다. 개인배경변인에 따른 관심도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근무학교의 시범학교 운영 여부만이 a=.05 수준에서 교사의 관심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시범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이 일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보다 3단계인 운영적 관심과 4단계의 결과적 관심에서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일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무관심은 33.9%로 나타난 반면 시범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무관심은 17.9%로 분명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일선학교에서 재량활동 시범학교를 운영하면서 교사들에게 사전 연수나 자율연수 등을 통하여 재량활동교육과정 운영의 취지나 기본 목표 등을 명확히 이해하도록 하고 있으며, 실제로 교사들은 재량활동을 운영해가면서 보다 많은 관심을 갖게 되는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재량활동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를 파악한 후 실행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26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면접 결과 중등학교 교사들의 재량활동에 대한 실행수준은 Ⅲ 실행단계에 속하는 교사들이 많았다. 이 Ⅲ 실행단계의 교사들은 '기계적 실행'의 단계로서 재량활동교육과정을 단기적,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ⅣA 단계인 일상화 수준, 그리고 ⅣB 단계인 정교화 실행수준, Ⅵ 단계인 갱신의 수준의 차례로 나타났다. 그러나 Ⅴ 단계인 통합적 실행수준을 가진 교사는 한사람도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면담을 실시한 26명의 교사들의 전체적인 성향을 알아보기 위해 26명의 각 단계별 원점수의 평균을 백분위로 환산하여 프로파일을 그려보았다. 재량활동 교육과정에 대한 전체교사들의 프로파일은 CBAM에서 나타난 교육과정혁신을 실행하지 않는 사람들의 프로파일과 유사하게 나타난 반면, 면담을 실시한 교사 26명의 원점수 평균을 백분위로 그려본 프로파일은 정보적 관심과 결과적 관심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면담을 실시한 26명의 교사들은 재량활동 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교사들이므로, 재량활동교육과정을 실행하면서 경험한 정보나 학습 자료의 빈곤이 정보적 관심에 대한 정도를 강화시키고, 교육과정 실행 중에 보이는 학생들의 반응이나 태도들이 결과적 관심에 대한 정도를 높아지게 만드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관심도는 실행해 가면서 점차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관심도와 실행수준의 관계는 0, 1, 2단계에서 높은 상대적 강도를 나타날 때, 실행 수준 역시 낮은 단계에 머무르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4, 5, 6 단계에서 낮은 상대적 강도를 나타낼 때, 실행수준Ⅴ와 Ⅵ단계에서도 낮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관심도가 낮은 단계에 머물러 있는 집단은 실행수준 역시 낮은 수준에 머무르게 된다고 할 수 있다. 교사들의 관심도와 재량활동교육과정 실행수준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여 지며, 교사들의 실행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관심단계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셋째, 재량활동교육과정에 대한 상이한 관심단계를 나타낸 각 집단이 '재량활동의 실행관련변인들에 대해 다르게 인식하고 있는가?''재량활동의 실행과 관련된 변인들에 대해 인식차이가 있는가?'를 집단 간의 차이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성별과 시범학교운영 여부에 따라서 재량활동에 대한 기본취지와 목표에 대한 인식이나 필요성, 적합성에 대한 인식 등의 교사변인과 교장의 이해 및 지원 등의 행정적 지원변인이 a=.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경력에 따라서는 사회 환경 변인을 제외한 대부분의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재량활동 실행관련변인들에 대한 인식은 교사 개인배경변인별로 차이가 있는 지에 대해 알아본 결과 성별에 있어서 남자교사들이 교장 이해, 교장 지원, 기관 지원, 사회 환경 변인에서 여자교사들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으며, 시범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도 재량활동의 기본취지나 목표에 대한 인식, 교장의 이해 및 지원 등의 변인들을 일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재량활동교육과정의 실행관련변인들의 영향력은 a=.05 에서 재량활동에 대한 목표에 대한 인식 등의 관심이 가장 큰 영향을 준다고 나타났고 다음으로 교장과 교사간의 협력적 상호작용의 교장지원이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재량활동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는 무관심단계이고 재량활동교육과정의 실행수준은 기계적인 실행인 Ⅲ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7차 교육과정의 재량활동이 아직은 초기 실행단계이며, 만들어 가는 교육과정에 익숙하지 못한 학교 현장의 현주소라고 할 수 있다. 중·고등학교 현장의 교사들의 재량 활동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교육과정의 기본 개념과 취지 등에 대한 충실한 교직원연수, 경력별로 차별화 된 개별 연수,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의 교사들의 참여 확대 및 학교장의 배려와 관심, 효율적인 교육과정을 위한 풍부한 자료개발 및 연구 등이 활발히 이루어진다면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보다 주체적인 입장에서 재량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관심을 갖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xplore middle, highschool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 about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of the seventh curriculum. It also and analyzes relativity of the degrees of use to their stages of concern. This is also to observe differences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use which teachers apprehended according to their stages of concern. As well as the sequential order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use appear. Through this research and observation I will try to diagnose current state of the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that actually is practiced in today's middle, high schools. Also to grope for a systematic supporting program, and a method to gather the concern of the teachers so as to encourage them to use the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positively. The definite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1. Analysis of stages of teachers' concerns about the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1-1 How the stages in which the middle, highschool teachers' concerns appear? 1-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ir concern about discretionary activity, or educational courses according to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background. 2. Analysis of the levels of use of the teachers 2-1 How these levels of use appear? 2-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use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teachers! concern? 3. Analysis of the discretionary activity, and educational course's influencing factors of use. 3-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apprehension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use according to teachers' levels of concern? 3-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apprehension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use according to changing factors of background? 3-3 How does sequential order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use appear according to teachers' stages of concern? To analyze middle, high school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 about the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A survey of 249 incumbent teachers id Kyunggi Province were used. It was classified by their sex, subject in charge (subject discretion/ creative discretion/ non-charging position), working region, existence of model school, working records. To explore teachers'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s to survey stages of concern' which has been developed by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of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was modified to fit the condition of Korean discretionary activity educational course. And Lee, Mi sook's questionnaire for a survey in her "study of levels of practice and changing factors of unified educational course" (1998) was used as a research tool to assess changing factors of use which teachers apprehended. To analyze collected data, frequency, the mean value, the standard deviation, verification of x^(2), one-way ANOVA, Simple linear regression, etc were performed. And to process data statistics, SPSS program was us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n a survey of personal levels of concern about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32.1% of the answers were showing indifference. And next to that, 19.7% of the answers responded to administrative concern, the 3rd stage. This is typical first stage of educational course reform. At this stage, the teachers want to gather more information and try to judge curriculum. From this result, I could draw out teachers feelings, they are unaccustomed to discretionary activity educational course and want to have more information and referential resources. On an observation of personal background changing factors, only the existence of model school had turned out to be a meaningful factor, marked 05. There were clear difference between teachers of the schools with model I school and those without. The ratio of indifference marked 17.9% on teachers with model school but, those without model school marked 33.9%. Teachers who works within model schools show more response to 3rd stage(administrative concern) and 4th stage (consequential concern) than those without. From ,This, I could draw out that teachers within model schools tend to have more concern and understanding of basic purport and general concept of the discretionary activity educational course through the experiences of model school operation. Second, through the interview with 26 interviewees to find out middle, high school teachers' stages of concern about the discretion& activity curriculum, most of interviewee shows Ⅲ stage of the using level. The Ⅲ stage of using level is a mechanical practicing level. Here, teachers practice discretionary activity educational course as routine and short-term work. Next to that ⅣA stage(usualization stage), ⅣB(elaborate stage), Ⅵ (reformational stage) were followed sequentially. However, none of the interviewees turned out to be at unified using level, the level Ⅴ. However, a profile to examine the disposition of the 26 interviewees shows a high rate of concern to informative and consequential concerns. This is because, they experienced indigence of information and educational resources through the actual use of the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From that, they grew anxious for more information and resources. And from the reactions of students it shows throughout the actual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their consequential concern grew greater. The relativity between stage of concern and level of use shows when the level concern marks 0, 1, 2 stage, also, the level of use marks the low stage. Relatively, when the level of concern marks at a higher stage, the level 4, 5, 6, the level of use also marks higher stage, the Ⅴ and Ⅵ. Thus, when the level of concern marks higher, we can infer that various and creative practices are performed in that school. Close relativity between level of concern and level of use tells that more prudent attention is needed for the level of concern. Third, through ANOVA,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apprehension of the changing factors of use, according to stages of concern of each group that shows various stages of concern. The differences occurred from teachers' interest and apprehension of basic purport and concept, understanding of needs and opportuness, satisfaction of job and behaviour as a teacher, changing factors of teachers. And finally, psychological changing factors from the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students. Fourth, to examine 'differences of apprehension of the using influencing factors by each teacher's personal background' tells that male teachers show more positive understanding of the principal ' s interest, support from principal, organizational support, social changing factors. The teachers ' apprehension about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existence of model school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of teachers' understanding of purport and basic concept, needs, and administrative support such as, principal's understanding and support. Teachers ' apprehension of influencing factors about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show differences by each teacher according to their career(exclude their social characteristic circumstances). Teachers with a longer career have more positive understanding. Fifth, influencing factors about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which apprehended by teachers tells that understanding of purport and basic concept is the most effective influencing factor. Next to that, reciprocal cooperation between teacher and principal, such as principal's support, turned out to be the second most effective influencing factor. Unfortunately, the interest of teachers about discretionary activity educational course still remains in a low state. However, teachers with more interest about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perform more meaningful levels of use. To gain more concern of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of the seventh curriculum from teachers at an actual job field, teachers' training courses to educate purport and basic concept of the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s, distinctive retraining courses according to different careers of teachers, expanding of teachers' participation at the stage of developing the curriculum, principal's consideration and support, and research for various resources and curriculum for effective education are imminently needed.

      • 중소수출기업 수출발전단계별 수출지원제도의 수출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오현정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re are various export support programs (ESP) in Korea to promote the expor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 products by the central government, such as SMBA and MKE, the local governments, and the export promotion agencies such as Small Business Corporation (SBC), KOTRA, KITA, etc. However, since such programs are not widely publicized (perception), and therefore are not widely known, most of the Korean SMEs can't enjoy the benefit of them. Also, some of those programs do not consider the needs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ort development stages (EDS) of Korean SMEs. Thus, some programs are redundantly introduced by several organizations, causing an inefficient use of government funds. Therefore, we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ESPs, the level of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them,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perception level, the utilization level and the export performance of the SMEs. Specificall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market needs for the ESPs will differbecause of the EDS of each SME, we will deter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r the utilization of the ESPs based on the EDS.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es, with 117 samples obtained through online and offline surveys of SMEs based in Daejeon. In this study, several statistical techniques,such as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reliability testing, ANOVA testing, and path analysis, are used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 among the level of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the ESP and the performance of the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level of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each ESP isnot high. Among them, the export-promising SME support program and the foreign market penetration support program are relatively high. The reason why the level of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these two programs is high is because it is hard for SMEs to collect information for export andbuild foreign market networks by themselves. Second, the research reveal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perception, the higher the level of utilization of the ESP. This means that the level of perception should be increased in order to raise the level of utilization of the ESP. Also,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utilization of the ESP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economic and strategic performance.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an SME's performance, the SME must increase their levels of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the ESP. Third, the utilization of ESP has a higher effect on strategic performance than on economic performance. Also, as seen through the path analysis, economic performance is influenced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by the result of the utilization of EDS, with the indirect effect larger than the direct effect. Fourth,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perception and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EDS. Thus, a customized plan for increasing the level of perception and utilization foreach EDS is required. Finally, based on export development stages, there are differences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utiliza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ESP. This means that an ESP, customized to each firm's EDS, is required in order for the ESP to be a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program. The research revealed that the education/promotion support program and the export-promising SME support program are effective for the first EDS the foreign market penetration program and the education/promotion support program are for the second EDS and the foreign market penetration program is expected to be effective in the last EDS.

      • 조직의 위기 유형과 위기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공중 관계성에 미치는 영향

        오현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조직에 일어난 위기가 조직의 위기 책임성에 따라 공중의 인식에 어떻게 다른 영향을 주는지 위기 발생시에 조직에서 만들어내는 위기 커뮤니케이션은 조직의 위기 수용정도에 따라 공중의 인식에 어떻게 다른 영향을 주는지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이러한 위기의 유형과 위기 커뮤니케이션 유형은 서로 어떤 관계를 맺으며 공중의 조직 인식에 영향을 주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혀보고자 하였다. 조직의 위기 관리에 대한 문헌들의 고찰을 통해서, 본 연구는 조직의 위기 유형에 대한 공중의 인식 변화에 대해서는 조직의 위기 책임성이 높은 위기 유형에 노출될수록 공중의 조직 인식은 부정적으로 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었다. 또한 조직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대한 공중의 인식 변화에 대해서는 조직의 위기 수용적인 커뮤니케이션에 노출이 될수록 공중의 조직 인식은 긍정적인 될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었다. 위기와 위기 커뮤니케이션의 관계에 관해서는 조직의 위기 책임성이 높은 위기에는 위기 비수용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것이 조직의 위기 책임성이 낮은 위기에는 위기 수용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것이 공중의 조직 인식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가설들을 검증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가상의 기업에 대한 위기의 상황을 시나리오로 만들어 피험자들에게 노출시키는 방법으로 2X2의 실험 연구를 실행하였다. 위기 유형에 따른 조직의 공중 관계성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서 위기의 유형을 두 가지(위기 책임성이 높은 위기/위기 책임성이 낮은 위기)로 나누고 그에 해당하는 '내부 직원의 책임으로 인한 위기'와 '자연재해로 인한 위기'의 시나리오를 마련하였고 위기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따른 조직의 공중 관계성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위기 커뮤니케이션 유형을 두 가지(위기 수용적인 커뮤니케이션/위기 비수용적인 커뮤니케이션)로 나누고 그에 해당하는 '위기에 대한 책임을 수용하고 위기로 인한 피해를 보상해 준다는 내용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위기의 발생 사실을 부인하고 위기에 대한 책임을 부인하는 위기 커뮤니케이션'의 시나리오를 마련하였다. 마련한 네 가지의 시나리오를 배합하여 다음과 같이 네 가지의 실험 처치지를 만들었다. 실험 처치지1에는 책임성이 높은 위기 시나리오와 위기 수용적 커뮤니케이션 시나리오를 실험 처치지2에는 책임성이 높은 위기 시나리오와 위기 비수용적 커뮤니케이션 시나리오를 실험 처치지3에는 책임성이 낮은 위기 시나리오와 위기 수용적 커뮤니케이션 시나리오를 실험 처치지4에는 책임성이 낮은 위기 시나리오와 위기 비수용적 커뮤니케이션 시나리오를 처치하고 각 처치지 안의 시나리오의 내용을 읽고 난 후 피험자들의 가상 기업에 대한 반응을 Kim(2001)은 공중 관계성 척도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위기 책임성 정도가 높은 위기 유형의 시나리오에 노출이 된 피험자들은 위기 책임성 정도가 낮은 위기 유형의 시나리오에 노출이 된 피험자들에 비해 가상의 기업에 대한 공중 관계성을 낮게 인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기 수용 정도가 높은 위기 커뮤니케이션 유형의 시나리오에 노출이 된 피험자들은 위기 수용 정도가 낮은 위기 커뮤니케이션 유형의 시나리오에 노출이 된 피험자들에 비해 가상의 기업에 대한 공중 관계성을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위기 책임성 정도가 낮은 위기 유형에서는 위기 수용 정도가 낮은 위기 커뮤니케이션 유형을 이용하는 것이 위기 책임성 정도가 높은 위기 유형에서는 위기 수용 정도가 높은 위기 커뮤니케이션 유형을 이용하는 것이 공중 관계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검증이 되지 않았고 위기 유형과는 상관없이 수용적인 위기 커뮤니케이션을 할 때 피험자들의 공중 관계성 정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위기의 책임성의 정도가 높은 위기 유형은 위기 책임성 정도가 낮은 위기 유형에 비해 조직의 공중 관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고 위기 수용적 커뮤니케이션은 위기 비수용 커뮤니케이션에 비해 조직의 공중 관계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그리고 위기 책임성 정도와는 상관없이 위기 수용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조직의 공중 관계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조직이 위기에 직면했을 때, 위기 수용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것이 조직과 공중과의 관계를 관리하는데 보다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how crisis types in an organization's crisis situation affect the public's perception of relationship with the organization and how crisis communication types in the crisis situation affect the public's perception of relationship with the organization. The study also intended to reveal what kind of combination of crisis types and crisis communication types would contribute to public's positive perception of relationship with the organization. Throughout literature reviews, this study assumes that as the public would perceive the stronger crisis responsibility of the organizations', it would perceive the less favorable relationship with the organization. It also assumes that as the public would perceive the more accommodative attitude, which the organization takes, toward the crisis, it would perceive the more favorable relationship with the organization. In combination of crisis type and crisis communication type, presumably both the combination of stronger organization's responsible crisis and more accommodative crisis communication and the combination of weaker organization's responsible crisis and less accommodative crisis communication would be effective in sustaining positive public relationship. In order to test those hypotheses, the study sets a 2X2 experiment setting. Crisis types are divided into two kinds: strong organization's crisis responsible type and weak organization's crisis responsible one. Crisis communication types are divided into two kinds: accommodative crisis communication type and defensive crisis communication one. For the first crisis type, the study makes up a crisis scenario caused by the staff's misbehavior and for the second crisis type, it makes up another one caused by natural disaster. For the first crisis communication type, the study makes up a crisis communication scenario, which the organization takes responsible for the whole crisis situation and for the second crisis communication type, it makes up another one, which it denies the crisis responsibility. Then it makes four kinds of scenario sets and those subjects are exposed to those four kinds of scenario sets: the first ones were exposed to strong organization responsible crisis scenario and crisis accommodative communication scenario, the second ones to strong organization responsible crisis scenario and crisis defensive communication scenario, the third ones to weak organization responsible crisis communication scenario and crisis accommodative communication scenario, the forth ones to weak organization responsible scenario and crisis defensive communication scenario. After the respective scenario set, the individual subject is designed to evaluate the public relationship about the imaginary organization. Kim(2001)'s organization-public relations' scale is used to the evaluation of the public relationship.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shows that those exposed to stronger organization's responsible crisis scenario perceive public relationship more negative than those exposed to weaker organization's responsible crisis ones. It also shows that those exposed to crisis accommodative communication scenario perceive public relationship more positive than those exposed to those crisis defensive communication ones. For those exposed to both crisis types, the subject exposed to crisis accommodative communication scenario perceive public relationship more positive than those to crisis defensive communication ones. In conclusion, public exposed to weaker organization's responsible crisis perceives more favorable relationship with the organization and public exposed to stronger organization responsible crisis perceives less favorable relationship with the organization. Public exposed to crisis accommodative communication perceives more favorable relationship with the organization than public exposed to crisis defensive communication. It also reveals that whatever an organization faces crisis, crisis accommodative communication would give affirmative effect on public relationship. Based on the conclusion,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 can take the lesson that whatever their organizations faces crisis, they should take more accommodative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