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패키지 디자인의 심미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오향민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은 저관여 번들상품 패키지 디자인의 심미성(Aesthetic Impression)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관한 실증적 연구이다. 과거에는 패키지 디자인(Package Design)의 주기능이 제품 보호였다면, 현재는 기업 간의 기술 격차가 감소되고 제품 기능상의 차이가 미비해짐에 따라 패키지 디자인의 심미적인 기능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저관여(Low Involvement) 제품의 경우 제품에 대한 브랜드 충성도가 비교적 낮고 제품 정보 탐색기간이 제한적이므로 타 제품과 시각적으로 차별화된 패키지 디자인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연구 목적은 저관여 번들상품 패키지 디자인의 심미성(고/저) 차이로 인한 구매의도의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제품의 속성(실용재/쾌락재)과 심미성(고/저)의 따른 구매의도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은 사전조사를 통해 실용재와 쾌락재의 제품선정을 위한 타당성을 확보하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본조사는 혼합설계로 설문지를 설계하여 총 4종의 실험자극물을 구성하였다. 4종의 설문지는 60명씩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 T-test, 반복측정 ANOVA 분석을 하여 가설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관여 번들상품 패키지 디자인의 심미성 차이(고/저)로 나누어 구매의도를 측정한 결과, 패키지 디자인의 심미성이 높을 때 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관여 번들상품 패키지 디자인의 심미성 차이(고/저)에 따른 구매의도의 미치는 영향을 제품속성(실용재/쾌락재)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실용재보다 쾌락재가 패키지 디자인의 심미성이 높을 때 구매의도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은 통계적으로 주효과는 유의미하였지만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가설이 기각되었다. 가설이 채택되지는 않았지만 제품속성(실용재/쾌락재)과 관계없이 두 변수 모두 심미성이 높음에 따라 구매의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고, 번들상품 패키지 디자인은 제품속성과 관계없이 심미성이 높을 때 구매의도가 높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향후 번들상품을 관여도(고관여/저관여)에 따라 비교한 패키지 디자인의 심미성(고/저)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프리비(freebie)와 패키지 디자인의 관계, 가격과 패키지 디자인의 관계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past, the main function of product package design was protecting the products, but nowadays, is focusing on aesthetic of product package design. This reason is that the technical and functional gap among companies has reduced. Especially, in the low-involving product case, a differentiated package design have to be provided because of low brand loyalty and limited information search about a produ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hat how low-involving bundle product package design affected customer purchasing intention and how product attribute (utilitarian goods & hedonic goods) and the degree of aesthetic (high & low) made the difference of customer purchasing intention.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methods then has some steps; 1) checking the validity to select utilitarian goods and hedonic goods with pilot survey, and 2) performing a mixed design survey of four types and sixty respondents in each type. I used SPSS Windows 18.0 for paired t-test and repeated ANOVA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observed consumer purchasing intention by classifying the degree of aesthetic (high & low) of low-involving bundle product package design. When the aesthetic of product package design was high, consumer purchasing intention also was high. Second, this study examined comparative analysis that the effect of aesthetic of package design on consumer purchasing intention by using product attribute (utilitarian goods & hedonic goods). I made a hypothesis that when an aesthetic of package design is high, the purchasing intention of utilitarian goods is higher than hedonic goods. I rejected this hypothesis because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although main effect was significant. This study however showed that both of utilitarian goods and hedonic goods’ customer purchasing intention were rising following the high-aesthetic rather than product attribute. This fact also was able to apply to low-involving bundle product package design. In the future, I look forward to performing variable studies such as the relations between cost and package design, the effect of aesthetic of package design on consumer purchasing intention by comparing the degree of involvement of bundle product (high &low), and the relations between package design and freebie.

      •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 및 수학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향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311

        본 연구는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 및 수학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수학활동은 유아의 수학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수학활동은 유아의 수학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3: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수학활동의 과정에서 유아의 수학개념 및 수학 문제해결력의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위치한 G유치원(실험집단)과 동대문에 위치한 G유치원(통제집단)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무선 표집 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수학개념 검사와 수학 문제해결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두 집단에 수학개념과 수학 문제해결력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집단간의 차이가 없음을 확인한 후, 실험 집단에는 수학활동 프로그램을 5주 동안 총 10회를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도입, 동화책 들려주기, 수학활동, 평가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실험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통제 집단에는 사전검사와 1차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에는 사전검사와 1차, 2차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분석하였으며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수학활동 과정에서 대화를 중심으로 유아들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수학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유아의 수학개념 향상에 1차 사후검사에서 통제 집단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실험집단내의 2차 사후검사에서도 지속적인 향상을 가져왔다. 둘째,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수학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유아의 수학 문제해결력 향상에도 긍정적인 변화 모습을 나타내 수학개념과 함께 유아의 수학 문제해결력에 지속적인 향상을 보여주었다. 셋째,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수학활동의 과정에서 수학개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구체적인 활동을 통해 수학 문제해결력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 및 수학 문제해결력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 주고 있다. 그러므로 수학교육에 있어 교사 주도적인 교수접근 보다는 유아 자신에게 의미 있는 상황에서 유아가 직적 참여하여 조작해 보는 실제경험을 기초로 한 수학활동이 이루어져야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유아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매체로 통합적인 교육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수학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integrated math-activities using fairy tale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concept and their ability of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s, the specific problems were formulated as follows: (1) what do the integrated math-activities using fairy tale hav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concept? (2) what do the integrated math-activities using fairy tales ha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3) what is the changes i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concepts and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the process of integrated math-activities using fairy ta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young children who were all at the age of five. They were divided into two: those who attended G kindergarten in Songdong-gu (experimental group), and those who attended G kindergarten in Dongdaemoon-gu(control group). As measurement Tools, tests of mathematical concepts and test tools for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were used. After having it made sure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mathematical concepts and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in the beginning , I carried out 10 times of mathematical activity program on the experimental group for 5 weeks. The program consisted of introduction, reading fairy tale, mathematical activities, and evaluation. To enhance the quality of this study, preliminary inspection and first post-test were conducted on the control group, and first and second post-test were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As a statistical tool, T-test analysis using the SPSS program was used. Focusing on the dialogue during the integrated math-activities using fairy tale, I analyzed the qualitative change in young childre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 meaningful change was detected in the first post-test on the young children (experimental group) who experienced the integrated mathematical activities using fairy tale. Second post-test on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the continual improvement. (2) Experimental group who experienced the integrated mathematical activities using fairy tale showed the improved ability in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3) Through the process of the integrated mathematical activities using fairy tale, children could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 and ability of solving problems.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the integrated mathematical activities using fairy tale is helpful to enhance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 and ability of solving problems. Accordingly, it is recommendable to lead young children to participate in actual mathematical activities, instead of teacher-oriented approaches. Adding to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awaken the mathematical interest of children and to supply mathematical experiences through the integrated education activities.

      • 침묵과 노래 : 토니 모리슨의 『가장 푸른 눈』과 『재즈』의 발화와 서사

        향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311

        Toni Morrison’s two novels, The Bluest Eye and Jazz, have certain similarities that focus especially on the characters’ silence. Two novels do not elucidate the story in a simplistic way, but rather, condense the tragic event into a short paragraph that strikes the reader with an unforgettable impact from the very beginning. Although The Bluest Eye and Jazz have similar aspects on the narrative structure, they do not end in a same way. The tragedy that the characters confront and have to live with seems to be the central subject, but the two novels concentrate more on the process of how the characters have come to face the traumatic event. In other words, the emphasis is on the reason why the characters are in silence, how the tragedy has occurred, and how they are remembered. Pecola, Cholly, and Pauline Breedlove in The Bluest Eye and Violet, Joe Trace and Dorcas in Jazz lose their voice that could enunciate their existence. The language they use comes from the language of the white, and it does not consist of any word that could represent their self as an entity. The characters do not tell their own story. They are silent. The story is carried on by various narrators with different perspectives. Polyvocal narrators sometimes consent, but sometimes object to each other, and sometimes the narrator makes mistake in comprehending the characters’ affliction. It is significant to concentrate on the differing layers of the narrative. The language used to narrate depends on the white-centered world and it cannot explicate the whole story of the black. The inability to extensively cover the black community is the limitation of the language. Thus, the factors of black music come in to the novel to embrace the hidden story of the black and allow the silent characters to enunciate. That is, in order to represent the black society where the characters belong to, the musical notes are used to express the silenced aspects of the black characters. Black music acts as a bond between the blacks. It contains the long history of the Black that could never be detached from their lives. Through music, they understand each other and sympathize. However, one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Bluest Eye and Jazz is that the black community in The Bluest Eye cannot fully examine the positive elements of black music, and ultimately, it fails to break silence. The black community fails to provide the solid ground for the characters to build a communion. On the other hand, in Jazz, black music is prevalent in the background of the story. It is attached to the lives of the characters and has influence on the characters’ perspectives and relationships. Eventually, it shows the possibility to go beyond the harmony of individuals and toward the harmony of the black community, which also can be construed as the possibility of the break of silence.

      • 日本語 敎育에서의 慣用句와 俗談에 대한 硏究

        향민 中央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1311

        일본어는 우리말과 같은 한자문화권에 속해 있으며 문법적으로도 유사한 면이 많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다른 외국어에 비해 배우기 쉽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일상생활에서 빈번하게 사용하는 말들 중에는 문법이나 논리를 가지고 설명할 수 없으며 어휘 자체가 본래의 의미와는 다르게 사용되는 관용구와 그 나라의 역사와 문화, 생활양식 등을 모르고서는 그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속담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외국인이 그것을 정확히 이해하고 일상회화에서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것이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러나 일상회화에서 관용구와 속담을 시의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 그만큼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정확한 정보수집과 활용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가급적 일본어 학습의 초기단계에서부터 관용구와 함께 속담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와 학습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소학교 국어 교과서와 우리나라 고등학교의 일본어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관용구와 속담을 조사.분석하고 상호 비교함으로써 일본어 관용구와 속담에 대한 교육 또는 학습의 바탕이 되는 나름대로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통해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일본어교육에서 관용구와 속담이 과연 어디까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검토함과 동시에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12종 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에서는 일본 소학교 국어 교과서에 비하여 13%에 불과한 관용구가 사용되었으며, 각 출판사별 교과서간의 격차가 나타나 관용구 사용 최저치는 최고치의 30% 수준에 불과하여, 각 교과서간의 관용구 사용 불균형이 심각하였다. 또한 관용구와 속담의 균형 있는 소개가 부족하여, 관용구 혹은 속담에 대해서만 다룬 교과서가 대부분이었다. 더욱이 관용구가 실제 일본어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등학교 교과서 내에 그 용례가 부족하므로 초급단계에서부터 점차 적으로 그 사용례를 늘려야 할 형편인데, 현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일본어 교과서에서는 독해 부분이 축소되어, 오히려 6차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에서보다 관용구 사용이 줄어들은 역현상이 나타났다. 이에 대해 앞으로의 교과서에서는 독해 부분을 좀 더 늘려, 적어도 일본 소학교 국어교과서에 나오는 관용구의 50%만이라도 습득할 수 있도록 새로운 교과서 개정에 반영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또한 향후 교과서 제작 관계자들은 관용구의 절대적인 사용수치를 늘리는 것과 함께, 실제 생활에서 사용 빈도가 높고, 가장 일반적이며, 기본적인 관용구를 선별하여 각 교과서에 공통적인 관용구의 수를 증가시키는 한편 각 교과서마다의 수준의 격차를 줄여야 할 것이다. 일본어에 있어 일상의 담화나 또는 신문 등의 문장에서 관용구와 속담은 흔히 사용되어 언어생활을 윤택하게 한다. 이러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관용구와 속담에 대하여 우리나라 일본어 교육에서는 어느 정도 반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한.일 양국의 교과서를 조사.분석하여 여러 가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의 일본어 학습과 교육에 있어 발전적인 초석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맛지마니까야(Majjhima Nikaya)』에 나타난 業說 연구

        향민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1311

        『맛지마니까야(Majjhima Nikaya)』에서 業개념과 관련된 핵심 용례를 찾아 분석한 다음 기존의 業說이 붓다의 관점에서 어떻게 비판적으로 변용되고 수용되었는지 살펴보고 용례에 나타난 業의 주요 개념으로 토대로 붓다의 業說에 대한 명확한 논의를 진행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붓다가 業說을 통해 원래 전하려던 참된 의도를 초기불교 業說의 사회적 해석을 통해 탐색하고자 한다. The belief in kamma becomes the fundamental premise in the majority of India's religious and philosophical tradition. So, the study of kamma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all philosophical traditions in India. It was discovered from the ritualistic views of kamma in Veda that human had the ability to take part in the cosmic process through ritualistic deeds. Upanisad contributed to concretize the idea that a human being's deeds are completely connected with specific purposes and results. Jainism had a great notion that kamma is retributive, thinking of it as a law of physics. Futhermore, this conception was interpreted as the psychological matter in early buddhism. This interpretation contributed to overcome both the occlusiveness of Vedic ritualism and the asceticism of Jainism. Thus, I straightened out that the conception of kamma was not complete at the first step. Buddhism’s Kamma theory often has been understood as a mystical concept. However, the kamma-theory as an underlying teaching of the Buddhist outlook and philosophy is still very significant in modern society.The following tentative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in the Buddhist theory of Kamma, the human fate is not decided by the will of the gods, destiny or coincidence. However, the human actions are emphasized in the theory of Kamma, which lead us a correct and upstanding life. The high and low of human experience are defined by the result of human action. So the Buddhist theory of Kamma can be the principal basis of human equality. Second, the Buddhist theory of kamma can be interpreted in terms of individual, social, and psychological dimensions. Third, the kamma theory of Buddhism emphasizes the fundamental ethical line of human motivation based on the good will, but it also reflects the result of actions. Fourth, Buddhist theory of kamma, which emphasizes the collective kamma as well as the individual kamma, serves as a theoretical support for a participatory democracy. In particular, the collective kamma that regulates the natural environment not only evokes the common effort to solve the environmental crisis but also awakens the spirit of undaunted challenge. I think that we have to put this conception into the more opened place of academic discussion, and that this attempt may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boundaries of thought on Kamma within the major schools of Indian philosophy.

      • 한국 불교공예를 통해 본 嵌裝技法 연구

        향민 동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311

        This study focuses on inlay or setting techniques of gemstone in Buddhist crafts. In this paper, this technique is called the ‘Gamjang’ technique. The ‘Gamjang’ technique is a technique of decorating gemstone by putting it in the prong or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 First of all, the ‘Gamjang’ technique have occurred in the Mediterranean and Black Sea coasts, rich in underground minerals. In the second half of the 3rd century BC and early in the second century, the Sarmatians emerged on the Black Sea, and their jewelry ornaments were identified in large quantities, and their ornaments were defined as "Polychrome style jewellery". In Buddhist crafts, the origin of the ‘Gamjang’ technique can be found in India and is found in some of the Sarira Reliquary. Thereafter, in Sui and Tang Dynasty of China, gemstones are also observed in the bodhisattva and the Sarira Reliquary. The gemstone decoration in Korea was found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Gamjang’ technique in Buddhist artifacts are confirmed in the Sarira Reliquary and Buddha statue. In this paper, based on the existing case, we classify the four types of methods. It is classified as an inlaying type, an prong type, an organic type, a openwork type, and others such as a adhesion or a sewing. The ‘Gamjang’ technique are also divided according to the period of time and its examples are found in the unified Silla era and the late Koryo to the early Joseon period. The decoration using gemstone was found in some of the standing buddha of the unified Silla era. These ornaments can only be confirmed in the unified Silla era, which seems to have been popular in the upper class of this period. After that, in the the late Koryo to the early Joseon period, the ‘Gamjang’ technique was found in the crown and necklace of the Bodhisattva statue. In summary, a high level of decorative techniques was used via the ‘Gamjang’ technique and it was expressed in a variety way. It is important that the ‘Gamjang’ technique is creative while accepting the influence of other countries. Until now, Buddhist craftsmanship techniques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Buddhist craftsmen, but this paper has made it possible to newly reveal the significance of the technique of Buddhist craftsmanship. Until now, the ‘Gamjang’ technique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Buddhist crafts, but in this paper, we identified and revealed the significance of this technique of Buddhist crafts.

      • 한국 프로 야구에서의 이동경로 최적화 문제

        향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311

        이 연구에서 우리는 순환 경기 문제라는 것을 연구했다. 이것은 팀들의 이동거리가 최소화 되도록 대전표를 최적화 하는 문제로 알려져 있다. 우리는 이것과는 다르게 공 정성이 최대화 하여 팀들간에 공정한 경기가 이루어 지도록 최적화하였다. 각 팀의 이동 거리의 표준편차를 에너지로 생각하여 이것이 최소화 되도록 메트로 폴리스 몬테카를로 시늉내기(simulation)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풀림질(annealing)방법을 적용하여 좁은 범위에서의 극소점이 아닌 전체의 바닥상태인 최소점을 찾을수 있었다. 이 결과는 모든 한국 프로야구의 규칙을 준수하였고 그 결과 공정성의 최대가 되는것 뿐만 아니라 총 이동거리의 감소라는 결과도 얻을수 있었다.

      • 친환경차의 선택속성에 따른 정부지원정책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향민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1311

        본 연구는 친환경차의 친환경적 선택속성에 따라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친환경차에 대한 정부의 지원정책에 따라서 구매의도에는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후, 정부의 지원정책에 따라서 친환경차의 친환경적 선택속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총 3개의 가설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친환경차의 친환경적 선택속성(높음, 낮음)과 정부지원정책 수준(선진국처럼 높은 수준, 한국처럼 낮은 수준)을 독립변수로 하는 2×2 집단 간 실험설계로 구성하여 시나리오 기법으로 실험하였다. 종속변수로는 친환경차의 구매의도로 측정하였다. 자료의 분석방법은 기술통계분석과 분산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친환경적 선택속성이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보다 구매의도에는 더 큰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정부지원정책의 수준이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보다 구매의도에는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정부지원정책수준이 높을 경우에는 친환경적 선택속성이 높은 차량의 구매의도가 더 높았고, 정부지원정책수준이 낮을 경우에는 친환경적 선택속성이 낮은 차량의 구매의도가 더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국내의 친환경차 시장은 매우 큰 잠재력이 있으며 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자동차 회사와 정부의 역할에 대해 강력한 시사점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주요어 : 친환경차, 친환경차 선택속성, 친환경적 속성, 정부지원정책, 구매의도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eco-friendly cars on purchasing intentions. It also examines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purchase intentions based on the government support policy for eco-friendly cars. Finally, it looks at the effect of eco-friendly choice attributes on purchase intentions of eco-friendly cars.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i have constructed a 2×2 group experimental design with eco-friendly choice attributes(high and low) and government support policy level(as high as advanced countries and low as in Korea). The purchase intentions of eco-friendly cars was taken as the dependent variable. Descriptive analysis and ANOVA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co-friendly choice attributes have a greater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s when they are high(compared to low). Moreover, the level of government support policy has a greater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s when it is as high as in developed countries(compared to when being set to a low level). Finally, when the level of government support policy is high, the purchasing intention of vehicles with high eco-friendliness is higher. On the contrary, when the government support policy level is low, the purchase intention of vehicles with low eco-friendliness is higher.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domestic eco-friendly car market has great potential. The study suggests important roles for auto companies and governments in vitalizing the market. Kew Words : Eco-friendly cars, Choice attribute of eco-friendly cars, Eco-friendliness, Government support policy, Purchase inten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