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안현정 작곡 거문고 독주를 위한 '바다결' 분석 연구

        연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919

        This paper analyzed the ‘A Sea texture’ for the Geomungo solo composed by Ahn, Hyun-Jung. 'A Sea texture' for the Geomungo solo premiered in the Ahn Hyun-Jung composition presentation-Meeting “A Feast of solo music” played by Park Eun-ha, a member of the Busan National Gugak Center which was 5th, July, 2017. The song is a creative work based on the <Sea> played by Lee Seong-cheon’s Gayageum Solo. For the analysis on the piece above, firstly the study examined music backgrounds and tendencies of the composer Ahn Hyeon-jeong. Secondly, examined the original form of <Sea> to uncover the musical elements in the song and analysed them to discover a methodic structure that readers the transformation of Gayageum Solo Song into Geomungo Solo Song. Thirdly, it reviewed commentaries, Tuning method, How to play of Geomungo and overall musical structure on the ' A sea texture' for the Geomungo solo. Fourthly, Divide each movement into paragraphs, the structure, melody flow, and performance method were examined in part of part. The results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movement “lingering imagery of sun”consists of 47 that are grouped into A paragraph (a-a′-b-a″), B paragraph (c-d), C paragraph (e-f-f′), A′paragraph (c″-d″). The beats appear in an alternate sequence of 3/4 time and 4/4 time, beats happen in irregular time so that it is played in ♩=50 speed units with 3/4 time, and it is played in ♩=50 speed units with 4/4 time. The tonality is C minor and the primary tones are found to be C, E♭, F, G, B♭. The first movement is a paragraph that contains the motif of “The Eye of the sun(1)”the <Sea> in Lee Seong-Cheon’s. The player’s expression of “dimly”evokes a melody and rhythm reminiscent of a soft, slender figure, By using same theme melody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movement, we can see that it consists of a symmetrical structure. As for the Geomungo techniq ues in first movement, Srurung(4 times), tremolo(2 times), Toeseong(22 times), Jiiiiing(13 times), Chuseong(6 times), Jeonseong(4 times) techniq ues were used. The Toeseong technique occupied the highest frequency. The second movement “Blue song”consists of 37 that are grouped into A paragraph (a-b-c), B paragraph (d-e-e′), A′ paragraph (a′-b-e″), C paragraph (f-e″). The beats appear in 12/8 time it is played in 󰁜=50 speed units. The tonality is C minor and the primary tones are found to be C, E♭, F, G, B♭. The second movement is a paragraph that contains the motif of “Evening Prayer(5)”, “Dreams of the Moon and Vines(6)”the <Sea> in Lee Seong-Cheon’s. lt appears musical characteristic that is associated melody and bright rhythm and cheerful figure through “Like singing”. lt was composed with the same major notes as the original and the division rhythm is more frequent appear by subdividing the beat than the original song. As for the Geomungo techniq ues in second movement, Chuseong(9 times), Jeonseong(4 times), staccato(6 times), tremolo(8 times), Daejum(4 times), Srurung(3 times), Toeseong(3 times), Ssaraeng(2 times) techniq ues were used. The Chuseong technique occupied the highest frequency. The third movement “A wave hill” consists of 31 that are grouped into A paragraph (a-b-b′), B paragraph (c-d-d′), A′ paragraph (b′-a′). The beats appear in 12/8, it is played in ♩=100 speed units. but it is played in ♩=110 speed units in 114, 115. The tonality is C minor and the primary tones are found to be C, E♭, F, G, B♭. The thrid movement is a paragraph that contains the motif of “The hill of Storm(4)”the <Sea> in Lee Seong-Cheon’s. lt appears musical characteristic that is associated intense rhythm and dynamic figure through “Feelingly”. lt appears widely by using pitch and rhythm as musical materials, ha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combining and developing the composer's musical material with theme melody, and through the appearance of semitone melody elates highly atmosphere with tension. As for the Geomungo techniq ues in third movement, Srurung(32 times), Daejum(12 times), tremolo(4 times), Jeonseong(4 times) techniq ues were used. The Srurung technique occupied the highest frequency. The Forth movement “Sora’s Dream”consists of 39 that are grouped into A paragraph (a-a′-b-b′), B paragraph (c-a″), C paragraph (d-d′-e-b″). The beats appear in 12/8, it is played in ♩=40 speed units. The tonality is C minor and the primary tones are found to be C, E♭, F, G, B♭. The Forth movement is a paragraph that contains the motif of “Sora’s Song(3)”the <Sea> in Lee Seong-Cheon’s. lt appears musical characteristic that is associated that capture the emotion and lyrical rhythm figure through “lyrically”. By using uses the ending a passage at the end of the movement, we can see that it consists of a symmetrical structure. As for the Geomungo techniq ues in Forth movement, Toeseong(6 times), Daejum(8 times), Chuseong(3 times), Jeonseong(12 times), staccato(3 times), Srurung(16 times) techniq ues were used. The Srurung technique occupied the highest frequency. The music “Sea texture” by Ahn, Hyun-Jung is a unique recreation of the as a combination of the original melodic lines of <Sea> in Lee Seong-Cheon’s and the new genuine ideas of the composer. The thesis is an analytic result of Gayageum instruments can be transformed into the music Geomungo instruments, and will contribute to the methodic approaches to compose Geomungo musics. Through this paper,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and playing the ‘A Sea texture’ for the Geomungo solo. 본 논문은 안현정 작곡 거문고 독주를 위한 ‘바다결’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거문고 독주를 위한 ‘바다결’은 2017년 7월 5일 안현정 작곡발표회 ⅩⅢ “독주곡의 饗宴(향연)”에서 국립부산국악원 단원 박은하에 의해 초연된 곡이다. 본 곡은 이성천 작곡 <바다>를 바탕으로 하여 새롭게 작곡된 곡으로, 본 논문의 필자는 본 곡에서 <바다>의 음악적 소재를 살펴보고 분석하여 가야금선율 바탕인 곡이 거문고 창작곡으로 새롭게 재구성되는 방식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곡은 제1악장 “태양의 여운”과 제2악장 “푸른 노래”와 제3악장 “파도치는 언덕”과 제4악장 “소라의 꿈”으로 총4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곡의 특징과 분석을 위해 각 악장을 단락별로 나누고 부분적으로 세분화하여 구조와 선율을 살펴보았다. 첫째, 제1악장 “태양의 여운” 제1마디 ~ 제47마디까지 총47마디이고, 단락 구성은 A(a-a′-b-a″), B(c-d), C(e-f-f′), A′(c′-d′)로 이루어져 있다. 박자는 3/4과 4/4가 순차적으로 등장하며 변박되고, 빠르기는 ♩=50으로 연주한다. 조성은 C minor(다단조)로 C, F, G, E♭, B♭이 주요 음으로 나타난다. 제1악장은 이성천 작곡 <바다> 중 “태양의 눈(1)” 악장의 모티브가 녹아있는 단락이다. 제1악장의 나타냄말은 ‘아련하게’로 부드럽고 가냘픈 모습이 표현되는 선율과 리듬이 나타나며 악장 도입부에서 등장하는 주제선율을 시작 부분과 종결 부분에서 동일하게 사용함으로써 제1악장이 대칭적인 구조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게 된다. 제1악장에서 나타나는 거문고 연주법은 스르렁(↓)(4회), 트레몰로(󰁛)(1회), 퇴성(৲)(20회), 지이잉(12회), 추성(৴)(6회), 전성(ƾ)(4회)으로 총7가지의 연주법이 등장하고, 퇴성이 가장 높은 빈도로 출현한다. 둘째, 제2악장 “푸른 노래”는 제48마디 ~ 제84마디까지 총37마디이고, 단락 구성은 A(a-b-c), B(d-e-e′), A′(a′-b-e″), C(f-e″)로 이루어져 있다. 박자는 12/8이고, 빠르기는 󰁜= 50으로 연주한다. 조성은 C minor(다단조)로 C, F, G, E♭, B♭음이 주요 음으로 나타난다. 제2악장은 이성천 작곡 <바다> 중 “저녁기도(5), 달과 덩쿨의 꿈(6)” 악장의 모티브가 녹아있는 단락이다. 제2악장의 나타냄말은 ‘노래하듯이’로 밝고 경쾌한 모습이 표현되는 선율과 리듬이 나타나며 원곡과 동일 주요 음으로 연주하도록 작곡되었고, 원 가락보다 박자를 세분화시켜 분할 리듬이 빈번히 나타난다. 제2악장에서 나타나는 거문고 연주법은 추성(9회), 전성(4회), 스타카토(·)(8회), 트레몰로(8회), 대점(┃)(4회), 스르렁(3회), 퇴성(2회), 싸랭(2회)으로 총8가지의 연주법이 등장하고, 추성이 가장 높은 빈도로 출현한다. 셋째, 제3악장 “파도치는 언덕”은 제85마디 ~ 제115마디까지 총31마디이고, 이 곡의 단락 구성은 A(a-b-b′), B(c-d-d′), A′(b′-a′)로 이루어져 있다. 박자는 4/4이고, 빠르기는 ♩=100으로 연주하고, 제114마디 ~ 제115마디 총 2마디는 ♩=110으로 연주한다. 조성은 C minor(다단조)로 C, F, G, E♭, B♭음이 주요 음으로 나타난다. 제3악장은 이성천 작곡 <바다> 중 “폭풍의 언덕(4)” 악장의 모티브가 녹아있는 단락이다. 제3악장의 나타냄말은 ‘격정적으로’로 감정이 강렬하고 역동적으로 갑작스러워 감정을 누르기 힘든 모습이 표현되는 선율과 리듬이 나타난다. 본 악장은 작곡가의 음악적 소재를 주제선율로 결합하여 발전시키는 특징을 가지며 반음 선율이 등장하여 긴장감을 가지고 고조된다. 제3악장에서 나타나는 거문고 연주법은 그르렁(32회), 대점(14회), 트레몰로(4회), 전성(2회)로 총 4가지의 연주법이 등장하고, 스르렁이 가장 높은 빈도로 출현한다. 넷째, 제4악장 “소라의 꿈”은 제116마디부터 제154마디까지 총39마디이고, 이 곡의 단락 구성은 A(a-a′-b-b′), B(c-a″), A′(d-d′-e-b″)로 이루어져 있다. 박자는 12/8이고, 빠르기는 ♩=40으로 연주한다. 조성은 C minor(다단조)로 C, F, G, E♭, B♭음이 주요 음으로 나타난다. 제4악장은 이성천 작곡 <바다> 중 “소라의 노래(3)” 악장의 모티브가 녹아있는 단락으로 소라를 통해 정서를 듬뿍 담고 있는 서정적인 형태로 표현되는 선율과 리듬이 나타나며 악장 종결부에서 종결 악절을 사용함으로써 본 곡은 대칭적인 구조로 되어있다. 제4악장에서 나타나는 거문고 연주법은 퇴성(6회), 대점(8회), 추성(3회), 전성(12회), 스타카토(3회), 스르렁(16회)으로 총6가지의 연주법이 등장하고 스르렁이 가장 높은 빈도로 출현한다. 이처럼 거문고 독주를 위한 ‘바다결’은 단순히 이성천 작곡 <바다>의 모티브를 차용한 작품의 형식을 넘어서 원곡의 음악적 소재와 작곡가의 새로운 주제와의 결합과 발전 등에 대한 창조적인 접근방식을 보여준다. 본 논문을 통해 가야금 창작곡이 거문고 창작곡으로 재구성되는 방식에 대해 파악하여 가야금 창작곡을 주제로 한 거문고 창작곡의 창작활동이 활발해지길 바라며, 거문고 독주를 위한 ‘바다결’을 연주할 연주자들에게 이 곡에 대한 이해를 돋고 실제 연주에 있어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 안현정 작곡 <4대의 가야금과 클라리넷을 위한 ‘그 하늘’> 분석 연구

        연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71

        Korean classical creative music has enlarged its diversity by incorporating traditional expression and the Western music style after 1960s, and the mixed organization of Korean instrument and Westerns' musical instrument is one of them. As the world entered a digital society where crossover between several genres become widespread, the encounter of Korean instrument and Western instrument becomes an essential element and also is in need of a novel direc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ky' for the 4 great gayageums (Korean harp) and clarinet' which is the piece of both Korean instrument and Western instrument. To examine this piece, first it explores the musical backdrop and view of works of the composer. And then, as an overview of 'the sky', it recognizes the explana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piece, musical tune and range. In addition, it examines the form, melody progress, rhyth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ng skill by dividing the entire piece of four movements into more details. 'The sky' which consists of four movements of 281 nodes total, has subtitle in each movement and expresses the image and the color sense according to the various images of sky. The subtitle of each movement is the 1st movement-white cluster of sky, the 2nd movement-wind and rain, the 3rd movement-the sunset, the 4th movement-the liquid sky, which shows that each movement has a unique style and atmosphere to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 are the analysis regarding melody progress and rhythm, the form and the features of the composing skill, according to each movement of A,B,C,D. First, part A the 1st movement called 'white cluster of sky' has 47 nodes form the 1st to the 47th. The beat and tempo changes with 6/4(♩=90) during the 1st to 21th node, 5/4(♩=90) from the 22th to 27th node, and 6/4(♩=98) from the 28th to 47th node. The phase is divided into A(intro, ⓐ, ⓑ) and B(ⓐ, ⓑ, outro) in line with gayageums' sound change and clarinet's melody stream. The melody of clarinets flows within the frame of A minor, and also adds traditionality to modern music by giving gracing notes of Korean musical style in the playing style. As the music proceeds, gayageum 2's main melody which is the form of a¹- c²- b¹ developed and enlarged and to make it the main melody in the entire parts of gayageum. Also, it expresses the ample image of moving sky by adding a cubic effect of general melody thorough reduction, enlargement and repetition of various rhythmic forms. Second, part B the 2nd movement, which is called, 'the wind and the rain', has 79 nodes total, from the 1st node to the 79th node, and beat changes irregularly from 9/8, 6/8, 12/8 and the tempo changes from ♩. =60, ♩. =62 to ♩. =56 again. Gayageum plays a main role and the phase divides into A(ⓐ), B(ⓐ, ⓑ, ⓒ, ⓓ, ⓔ) and A'(ⓐ, ⓑ) according to the atmosphere and emotion of the melody of Gayageum and clarinet. Generally, within the tune frame of A minor based on A sounds, it proceeds by giving a destruction of tonality with D#, F#, G#, E♭ sounds. Clarinet repeats fast and disjunct melody several times in the stream of freely and horizontally moving melody, and thereby adding tension, and eliciting d³ sound at the most. In the part of gayageum, by using traditional playing styles like jeonseong(전성) and chuseong(추성) and also harmonize with modern by adding rhythms and playing styles which gives traditional feeling on the modernistic melody. The most frequent rhythm represents the scenery of blowing wind and the movement of raindrops through various rhythmic change. With regard to composing technique, the part which proceeds only with the 4 major gayageums express the image of fiercely raging storm by partially applying Honam Wo-do Pungmulgut(호남우도굿) rhythm and instruments and styles of Samulnori(사물놀이). Thirdly, part C the 3rd movement 'the sunset' has 40 nodes total, from the 1st node to the 40th node, and the beat and its tempo proceeds with 12/8 (♩. =35). The movement which shows the most remarkable harmonic features of gayageum is divided into A(intro, ⓐ, ⓑ), B(ⓐ, ⓑ) and A'(ⓐ, cadenza, outro) according to its change in sound patterns and harmony. Within the frame of note method which leads to Mi, Ra and Do, the melody of gayageum shows the most prominent color of tradition in the entire movement. In particular, the traditional feeling is reflected the most in gayageum 4 where it expressed the image of lonely sky where there is a sunset by adding traditional rejoinder such as Chuseong(추성), Yoseong(요성) and snapping sounds to the melody of bass with abundant gayageum 4. The harmony of gayageum accompaniment melody added variety by playing from the avant-garde harmony of ⅰ6 harmony which is ⅰharmony of A minor and then 2 avant-garde harmony of ⅰharmony, and finally to harmony which lacks 3 sounds in ⅰharmony. Clarinet's Cadenza melody which plays independently stands out and with irregular phrasing applied between nodes and a variety of rhythmic forms, it expresses the color of sunset by horizontally distributing the melody. In terms of composing skill, it partially uses a counterpoint melody and harmonizes by allowing equal melody development of both clarinets and each part of gayageum. Fourthly, part D the fourth movement 'the liquid sky' has 40 nodes total, from 1st to 115th node and its beat and tempo proceeds with 3/4(♩=110). Its tonality is differentiated the 1st to 3rd movement by playing C major from which were based on A minor, and thus has the most independent style among the movements. The phrase is divided into A(ⓐ, ⓑ), B(ⓐ, ⓑ), C(ⓐ, ⓑ), A'(ⓐ) and C'(ⓐ) - A''(ⓐ', coda), in line with its atmosphere and change in clarinet melody. C major which was played from the phrase A, changes to A minor during B~C', and again returns to C major in A''. Clarinet's melody begins with the first major melody in the 1st to 5th node and then gradually develop melody until it raises it to c³which is the highest sound, thus giving light and magnificent melody in general. Moreover, with various changes of staccato, staccatissimo and dotted rhythm which appears clearly, it gives and revives general rhythmic sense in the entire movement. The accompaniment melody of gayageum mainly proceeds which sequentially changes and the harmony mainly with C major Ⅰ, A minor ⅰ and these give support the melody of clarinet. With regard to composing techniques, it forms the general stream of melody and structure by showing counterpoint melody in the entire movement between gayageum and clarinet and between gayageum parts. Through this, it adds unity and cubic effect and also gives an effect of constantly flowing melody, thereby expressing the liquid image of sky which can gives us comfort anytime and anywhere. As shown in the results above, <‘the sky’ for the 4 great gayageums (Korean harp) and clarinet> composed by Ahn Hyun Jung, expresses various images and colors of the sky based on both traditional way and modern harmonic melody. Through colorful combination of tradition and modern techniques, it made the most of each instrument, gayageum and clarinet`s characteristic and thus, can be considered as a piece that achieved the equal development of both Eastern and Western instrument. 국악 창작음악은 1960년대 이후 전통적인 어법과 서양음악의 양식을 결합시키며 작곡의 다양성을 더해왔고, 국악기와 서양악기의 혼합편성도 이러한 작곡 현상의 하나이다. 장르간의 크로스 오버(cross over)가 음악에서도 성행하는 디지털 사회로 접어들면서, 국악기와 서양악기의 만남은 작곡 기법에 있어 새로운 방향성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작곡가 안현정의 작품 중에서 국악기와 서양악기가 함께 편성된 작품 <4대의 가야금과 클라리넷을 위한 ‘그 하늘’>을 분석한 것이다. 이 곡의 분석을 위해 먼저 작곡가의 음악적 배경과 작품관을 알아보았고, ‘그 하늘’의 작품개관에서는 작품해설과 악곡구조, 조율 및 음역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총 4악장의 곡을 악장별로 분류하여 형식, 선율진행 및 리듬, 작곡기법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하늘’의 구성은 총 281마디의 4악장으로 각 악장마다 부제가 있으며, 다양한 하늘의 모습과 그에 따른 이미지와 색감을 25현 가야금 네 대와 클라리넷을 통해 표현하였다. 각 악장에 명시된 부제는 제1악장‘하얀 구름무리’, 제2악장‘바람 그리고 비’, 제3악장‘노을’, 제4악장‘투명한 하늘’로, 악장별로 각기 다른 독립적인 특징이 나타났다. 이 곡을 악장별로 크게 A,B,C,D로 나누어 형식, 선율진행 및 리듬, 작곡기법의 특징을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A단락은 제1악장 ‘하얀 구름무리’로 제1마디부터 제47마디까지 총 47마디이며, 가야금의 음형변화와 클라리넷의 선율진행에 따라 A(intro, ⓐ, ⓑ) - B(ⓐ, ⓑ, outro)로 분류하였다. 박자와 빠르기는 제1마디~제21마디는 6/4(♩=90), 제22마디~제27마디는 5/4(♩=90), 제28마디~제47마디는 6/4(♩=98)로 변화하였다. 클라리넷의 선율은 a단조 조성 안에서 계면조의 선법으로 진행되고, 연주법에 국악적인 장식음들을 첨가해 현대음악의 색채에 전통성을 더하였다. 가야금2 파트의 동기선율인 a¹-c²-b¹음의 진행형은 곡이 진행될수록 확대발전하여 가야금의 모든 파트로 주선율을 확장시켰다. 제1악장의 주축을 이루는 리듬형태에 유사선율의 리듬에 반복, 확대, 축소로 변화를 주어 선율의 음향적 증폭을 더하였다. 작곡기법은 가야금2 파트의 동기선율을 점진적으로 변형시켜 제1악장의 표제인 구름이 무리지어 움직이는 다양한 모습을 표현한 특징이 나타났다. 둘째, B단락은 제2악장 ‘바람 그리고 비’로 제1마디부터 제79마디까지 총 79마디이며, 가야금, 클라리넷의 선율과 곡 분위기에 따라 A(ⓐ) – B(ⓐ, ⓑ, ⓒ, ⓓ, ⓔ) – A'(ⓐ, ⓑ)로 분류하였다. 박자는 악장이 진행되는 동안 9/8, 6/8, 12/8 사이에서 불규칙적으로 변화했으며 빠르기는 ♩.=56, ♩.=60, ♩.=62, ♩.=56순으로 변화하였다. 전체선율은 A음을 기반으로 한 a단조 조성으로 진행되고, 변칙적으로 출현하는 D#, F#, G#, E♭등의 음이 a단조에 조성파괴를 주는 특징이 나타났다. 클라리넷은 수평적으로 흐르는 선율 속에서 빠르게 도약하는 선율을 반복하여 곡에 긴장감을 더하였고, 최고음은 d³까지 연주되었다. 가야금 파트에는 부분적으로 전통 주법인 전성, 추성 등의 시김새를 사용하였고, 현대적인 선율 위에 전통적인 농악 장단과 유사한 리듬을 입혀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이루었다. 가야금 파트에 가장 많이 출현하는 리듬형태는 반복과 선율의 변화를 통해 바람이 몰아치고 빗방울이 떨어지는 움직임을 묘사하였다. 작곡 기법은 가야금 파트의 리듬에 호남 우도 풍물굿 장단과 사물놀이 악기의 기법을 일부 차용하여 거세게 휘몰아치는 폭풍우의 모습을 표현한 특징이 나타났다. 셋째, C단락은 제3악장 ‘노을’로 제1마디부터 제40마디까지 총 40마디이며, 가야금 음형의 변화와 화성에 따라 A(intro, ⓐ, ⓑ) - B(ⓐ, ⓑ) - A'(ⓐ, cadenza, outro)로 분류하였다. 제3악장은 이 작품에서 가야금의 화성적 특징이 가장 강하게 드러나는 악장으로, 박자와 빠르기는 12/8(♩.=35)로 전개되었다. a단조 계면선법 안에서 진행되는 가야금의 선율은 전통적인 색채를 확연히 드러내었다. 특히 가야금4 파트에는 풍성한 저음부의 선율에 추성, 요성, 꺾는 음의 전통적인 시김새를 가미해 노을이 진 적적한 하늘의 모습을 전통음악의 요소로 묘사하고자 하였다. 가야금 반주선율의 화성은 a단조 ⅰ도 화음의 1전위 화음, ⅰ도 화음의 2전위 화음, ⅰ도 화음에서 3음이 빠진 화음의 진행으로 변화를 주었다. 독립적으로 연주되는 클라리넷의 Cadenza선율이 돋보이며, 다양한 리듬형태의 활용과 마디의 사이사이에 적용되는 불규칙한 프레이징을 통해 선율을 수평적으로 진행하여 노을의 색채감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작곡기법은 마디 사이사이에 겹쳐 진행되는 대위선율을 사용한 특징이 나타났으며, 가야금의 각 파트와 클라리넷의 선율이 동등하게 발전을 해나가며 서로 조화를 이루게 하였다. 넷째, D단락은 제4악장 ‘투명한 하늘’로 제1마디부터 제115마디까지 총 40마디이며, 클라리넷 선율의 변화와 악장의 분위기에 따라 A(ⓐ, ⓑ) – B(ⓐ, ⓑ) – C(ⓐ, ⓑ) – A'(ⓐ) – C'(ⓐ) - A''(ⓐ', coda)로 분류하였다. 제4악장은 a단조에 기반을 두었던 제1~3악장과는 달리 악장의 도입부와 종지부 조성을 C장조로 차별화한 독립성이 강조된 악장으로, 박자와 빠르기는 3/4(♩=110)로 전개되었다. A부분에서 C장조로 진행되던 조성은 B~C'부분에서 a단조로 변화되고, A''부분에서 C장조로 되돌아와 종지되었다. 클라리넷 선율은 제1마디~5마디의 첫 번째 주선율을 시작으로 변형선율의 발전을 통해 최고음인 c³음으로 진행되며, 경쾌하고 웅장한 선율을 연주하였다. 또한 출현 빈도수가 잦은 스타카토 및 스타카티시모와 부점리듬형의 다양한 변화로 악장 전반의 리듬감을 살렸다. 가야금의 반주선율은 주로 C장조의 Ⅰ도 , a단조의 ⅰ도 화음을 중심으로 한 화성과 의 리듬형태를 사용하여 선율의 음진행에 순차적으로 변화를 주며 연주되었다. 작곡 기법은 가야금과 클라리넷이 서로 주고받는 형식으로 진행되는 대위 선율을 사용한 특징이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선율진행의 통일감과 조화를 살려 찬란함을 선사하는 투명한 하늘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같이 안현정 작곡 <4대의 가야금과 클라리넷을 위한‘그 하늘’>은 전통적인 기법과 현대적인 선율의 조화를 바탕으로 하늘이 담고 있는 다양한 모습과 색감을 표현하였고, 전통과 현대 기법의 다채로운 결합을 통해 가야금과 클라리넷 각 악기의 특성을 살려 동·서양악기간의 조화로운 발전을 이뤄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 불확정성 음악의 이해를 위한 감상 창작 연계 수업 방법 연구 : ADDIE 모형을 활용하여

        연주 부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71

        불확정성 음악의 이해를 위한 감상 창작 연계 수업 방법 연구 - ADDIE 모형을 활용하여 조연주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요약 현대 사회와 음악은 역사적 사회적 맥락 속에 연결되어 있다. 음악 속에는 그 시대의 정신세계와 아이디어가 함께 반영 되어 있기 때문에,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 안에서 음악을 이해했을 때 더 효과적으로 음악을 이해 할 수 있는 것이다. 현대 음악의 한 유형인 불확정성 음악에서 보여지는 특성들이 학생들에게 음악에 대한 흥미로움을 더 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불확정성 음악은 청소년기 학생들의 음악교육에 적합한 영역일 것이다. 불확정성 음악의 유형은 ‘작곡과정에서 나타나는 불확정성 음악’과 ‘연주과정에서 나타나는 불확정성 음악’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고찰하였고, 에디(ADDIE) 교수 설계 모형을 적용하여 수업 방법을 연구하였다. 에디 교수설계모형의 단계에 따라 수업을 진행 하였으며, 작곡과정에서 나타나는 불확정성 음악은 리듬 음표를 제비뽑기하여 곡을 창작함으로써 작곡과정에 불확정적 요소를 가하였고, 연주과정에서 나타나는 불확정성음악은 리듬악보를 무작위로 배열하여 연주함으로써 연주과정에 불확정적 요소를 가하였다. 이러한 수업 후 설문지를 통해 수업의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 하였다. 또한, 감상과 창작 연계 수업이 감상수업이나 창작수업만 진행했을 때 보다 수업에 대한 이해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Study on Lesson Plans Linking Appreciation and Creation to Understand Aleatoric Music - Utilizing the ADDIE Model Cho, Yeon Ju Department of Music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usan National Abstract Modern society and music is connected through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Because of how the zeitgeist and ideas of the era are reflected in music, it is much easier to gain an understanding when learning about music within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s one form of modern music, aleatoric music is appropriate to use in music lessons for teenage student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can increase interest within learners. After separating aleatoric music into aleatoric music where the chance is shown in the composing process and music where chance is shown in the performance, lessons plans where the ADDIE teaching model was applied were studied. Lessons were taught in accordance to the model’s steps and music where change is shown in the composing process was done by drawing lots to determine the place of the notes and music where change is shown in the performance was done by playing rhythm sheet music in random order. After the class a survey showed positive results. Additionally, when appreciating and creating were put together in one lesson, there was a higher understanding of the lesson then when just creating.

      • Crime prediction using machine learning

        오연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한국 사회에서는 최근 10년간 인구 100,000명당 교통 범죄를 제외한 전체 범죄율이 평균적으로 11.2% 증가했으며, 강력범죄로 분류되는 살인, 강도, 방화, 강간 범죄율은 45.2% 증가하였다. 범죄율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미래 범죄 수를 예측하는 문제는 학문적 뿐만 아니라 실용적인 이유로도 중요하다. 실용적인 측면에서 보면 범죄 수를 예측하는 것은 범죄와 관련된 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제한된 경찰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용가치를 가진다. 실제로 몇몇 연구들에 의하면 범죄가 자주 일어날 것이라고 예측되는 곳에 경찰 배치 인력을 늘림으로 인해서 범죄율을 낮출 수 있었다. 기존에 범죄율을 예측하는 연구는 시계열 모형인 ARIMA에 치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ARIMA 모형은 설명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선형관계를 가정하고, 오차에 대해 등분산 가정을 한다는 점에서 실제 데이터와 동떨어진 부분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다양한 분야의 시계열 자료에서 높은 예측력을 보여주고 있는 머신러닝 방법론을 적용하여 한국의 2016년 월 범죄율을 예측해 보았다. 머시러닝 방법론을 적용하기 위해 시계열 자료를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한 후 Linear regression, K-nearest neighbors, random forest, gradient boosting, support vector regression 모형을 적용하였고, 테스트 데이터에서의 RMSE(Root Mean Square Error)를 통해 예측력이 가장 좋은 모형을 선택하였다. 모든 분석에서 머신러닝 방법론들은 ARIMA 모형보다 낮은 오류 값을 보였다. Crimes are causing many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worldwide, and Korea is no exception. In this state, crime prediction has become practically and academically important issue. From a practical viewpoint, crime forecasting can help in making crime-related decisions, such as establishing policies and deciding how to efficiently distribute the limited police resources. Indeed, several studies have proven that an increase in policy patrol where the high crime rate is predicted leads to a substantially low crime rate. In this paper, fiv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re applied to predict future crime rates in the Republic of Korea. Machine learning methods are proven useful in finding patterns from the time series data in various fields. However, despite its predictive ability, not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o apply machine learning in the crime domain. To apply machine learning, time series are reconstructed so the problem can be approached as a supervised learning problem. Then, the linear regression, K-nearest neighbors, random forest, gradient boosting and support vector regression are applied and compared with the standard time series ARIMA model.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machine learning approach outperforms the ARIMA model.

      • 라흐마니노프 <Prelude Op.32, No.10>에 나타난 음악적 특징 연구

        오연주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19세기 말 유럽음악은 낭만주의 음악어법을 바탕으로 인상주의, 국민주의, 사실주의 등의 다양한 색채가 들어있는 이른바 후기 낭만주의적인 특징을 나타낸다. 라흐마니노프는 이러한 낭만음악과 현대음악의 전환기였던 시대의 피아니스트 중 한 사람이다. 이런 시대의 흐름 속에서 라흐마니노프는 낭만주의와 러시아의 전통을 바탕으로 그 외의 다양한 요소들을 섞어 음악을 만들었다. 이러한 그의 음악적 특징을 잘 드러냈다고 평가받는 곡 중 하나는 13개의 곡으로 이루어진 <Prelude Op.32>이다. 특히 <Prelude Op.32>중 No.10은 라흐마니노프의 이런 특징이 잘 드러나 있는 곡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곡에 나타나는 다양한 음악적 특징을 연구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Prelude Op.32, No.10>의 연구를 위해 라흐마니노프의 생애와 그의 음악의 일반적 특징, 그리고 그의 피아노 작품 속에서 나타난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근거로 <Prelude Op.32, No.10>의 선율, 리듬, 화성 등을 분석하였으며, 분석을 토대로 나타난 그의 음악 속에서의 독특한 특징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쇼팽, 리스트적 특징, 둘째, 러시아 음악적 특징, 셋째, 그림과의 연관성으로 나타났다. 쇼팽적 특징은 마주르 리듬과 여성적 종지의 사용, 리스트적 특징은 양손 코드의 진행과 옥타브 진행으로 나타났다. 러시아 음악의 특징은 반음계 선율과 불협화음, 서정적 선율라인으로 나타났고 러시아 민속음악의 특징은 서정적 선율, 모티브의 모방, 변주기법에서 나타났다. 또한 러시아 정교회 음악의 영향은 부드러운 곡선의 선율라인과 종지에서 나타났다. 그림과의 연관성은 라흐마니노프가 아놀드 뵈클린(Arnold Böcklin, 1827–1901)의 「귀향」(Homecoming)의 작품에서의 영감을 모티브를 순환하는 형식의 구조로써 나타났고 곡의 분위기를 표현하는 작곡방식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피아노, 음악, 라흐마니노프, 서곡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Music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ter of romanticism which contain various colors such as impressionism, nationalism and rea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musical characteristics shown in Sergei Rachmaninoff (1873-1943) <Prelude Op.32, No.10>. There are numbers of distinctive expressions of the Russian character in Rachmaninoff <Prelude Op.32, No.10> that are not understandable in the form of typical German postmonitorial styles. This study looked around the life of Rachmaninof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is music and the characteristics of his piano works. On the basis of this study, analyzed the melody, rhythm, and harmony and studi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in his music. As a result, was able to devide into,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Frederic Chopin(1810-1849) and Franz Liszt(1811-1886). secondly Russian musical features and thirdly the relationships with the paintings. As a result of my study, First, F. Chopin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que rhythm and the endings of the feminine, F. Lisz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ive change and repetition. Second, shows the progression of the concept and both hands, also, the characteristics of Russia's music were two degrees up and down goings in lyrical melody line, the effects Russia's orthodox symphonies. Last, the impression of <Prelude Op.32, No.10> is related with the painting of Arnold Böcklin(1827-1901)’s 「Homecoming」. keyword: Piano, Music, Rachmaninoff, Prelude

      • Building solutions to energy poverty : application of market-based appropriate technology in development cooperation

        오연주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에너지에 대한 접근은 개발도상국의 빈곤퇴치를 위한 필수적인 요건이다. 특히 도시 외곽지역에 거주하는 소외된 빈곤층에게 에너지는 중요한 개발이슈가 된다. 집 안에 불을 밝히고 음식을 만들거나 난방을 하는 등의 사람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기본적인 에너지의 이용이 그들이 발전할 수 있는 지렛대로써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전히 개도국의 많은 사람들이 에너지 접근의 제약으로 인하여 땔감이나 숯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이것은 그들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시장 중심 적정기술을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한다. 우선 적정기술이란, 적정기술이 사용될 특정 지역의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 특징들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기술로써, 자본집약적인 거대기술과는 달리 단순하면서도 적은 자원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특정 지역에 의도했던 결과를 가져오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장 중심 적정기술이란 개도국에서 이루어지는 시장활동 안에서 그 지역의 주민들이 판매자, 구매자 등으로 참여하여 적정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제품들이 거래되는 자생적인 시장환경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장 중심 적정기술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통한 분석틀을 활용하여, 해당 적정기술 제품이 개도국에서 자발적으로 거래되는 시장환경을 조성한 세 가지 프로젝트를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개발협력분야에서 있어서 시장 중심 적정기술이 가지는 의미는 적정기술이 가진 혜택을 확산하여 더 많은 사람들이 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또한 시장 중심 적정기술이 개도국의 주민을 주체로서 고려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물론 에너지 접근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시장 중심 적정기술은 그것이 자금 지원을 유지하는지 여부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지는데, 이 경우 에너지 빈곤 완화에 도움을 줄지라도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의 결론은 시장 중심 적정기술이 에너지 빈곤 이슈에 대한 완벽한 해결책이 아닌 하나의 도구로써 인식되어야 함과 동시에 더 많은 사람들이 적정기술이 주는 혜택을 누리기 위하여 초기의 자금 지원을 줄여나가고 주민들의 참여와 주인의식을 고양해야 한다고 밝힌다. Access to energy is a basic requirement for eradicating poverty. In developing countries, energy is a vital asset, especially for economically disadvantaged people in rural areas. Access to energy for cooking and heating is essential to meet their needs. Electricity enables them to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However, the lives of numerous people in developing countries are negatively affected by a lack of access to energy services such as a high dependence on wood or charcoal for cooking and deficient use of household electric devices. To address the issue, this study proposes market-based appropriate technology that creates a self-sustaining market system that serves economically disadvantaged people in developing countries by providing appropriate technology devices. To identify the impact of market-based appropriate technology, three cases were analyzed based on an analytical framework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case analysis shows that the application of market-based appropriate technology enhanced dissemination of the benefits of appropriate technology. This is largely because market-based approach considers economically disadvantaged people in developing countries as main agents who participate in and benefit from the choices of products and services through market mechanisms. It leads the projects to bring about positive impacts on energy poverty issue. However, the way of in which market-based approach is applied differs according to whether it sustains financial supports. Continuous financial supports can be obstacles in terms of sustainability although the number of people who have access to energy might be increa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market-based approach should be considered as a tool not as a solution toward reducing energy poverty in developing countries. Also, we need to explore the ways to reduce the direct support and enhance participation and ownership of marginalized people in developing countries in order to make more people enjoy the positive impact of market-based appropriate technology.

      • 유아 STEAM교육 관련 연구동향

        오연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selec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trends of academic thesis and journal thesi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by period? 2. What are the trends of academic thesis and journal thesi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by the research subjects? 3. What are the trends of academic thesis and journal thesi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by the research methods? 4. What are the trends of academic thesis and journal thesi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by the research content? 4-1. What are the trends of academic thesis and journal thesi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by research topics? 4-2. What are the trends of academic thesis and journal thesi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by activity types? 4-3. What are the trends of academic thesis and journal thesi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by the effect cont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cademic thesis and journal thesis from 2013 to the first half of 2021, when research related to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was first started. Through the Korean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the keyword ‘early childhood’ was first searched. Then data were collected by searching ‘convergence education’,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and ‘STEAM’ as secondary keywords. In order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STEAM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119 theses, 49 domestic master's and doctoral thesis dissertations and 70 academic journal thesis, excluding those not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t calculated frequency and percentage results for the collected data using Microsoft Office Excel 20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analyzing the trends by period of academic thesis and journal thesi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the thesis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2013 to 2015, 2016 to 2018, and 2019 to the first half of 2021. This is because thes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have been published intensively. It found that 15 studies were conducted from 2013 to 2015, 59 studies from 2016 to 2018, and 15 studies from 2019 to the first half of 2021. Through this, it seems that research on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between 2013 and 2015.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search subject trends by period of academic thesis and journal thesi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showed that the most common subjects were 5-year-old children. Next, it was found that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subjects such as the literature and the teachers in ord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method trends by period of academic thesis and journal thesi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as the highest. Among them, effectiveness studies were intensively performed. In addition, it appears that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is being conducted steadily, and the mixed research method has started to be used from 2019 to the first half of 2021. Fourth, as a result of analysis of research content trends by period of academic thesis and journal thesi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using test tool analysis was found to occupy the largest proportion of research topics. Also, in the type of application, A-STEAM research was conducted the most. Lastly, in the effect content,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research analyzing the effect content in the creative area was high. 본 연구에서는 유아 STEAM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목적을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STEAM교육 관련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의 시기별 동향은 어떠한가? 2. 유아 STEAM교육 관련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의 연구대상에 따른 동향은 어떠한가? 3. 유아 STEAM교육 관련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의 연구방법에 따른 동향은 어떠한가? 4. 유아 STEAM교육 관련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의 연구내용에 따른 동향은 어떠한가? 4-1. 유아 STEAM교육 관련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의 연구주제에 따른 동향은 어떠한가? 4-2. 유아 STEAM교육 관련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의 활동유형에 따른 동향은 어떠한가? 4-3. 유아 STEAM교육 관련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의 효과내용에 따른 동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유아 STEAM교육 관련 연구가 처음 시작된 2013년을 시작으로 2021년도 상반기까지 이루어진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하여 ‘유아’를 주제어로 1차 검색하였고, ‘융합교육’. ‘융합인재교육’, ‘STEAM’을 2차 주제어로 검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 STEAM교육 관련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은 연구물은 제외하여 국내 석사·박사 학위논문 49편과 학술지 논문 70편으로 총 119편의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Micresoft office Excel 20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결과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STEAM교육 관련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시기별 동향을 분석하고자 유아 STEAM교육 관련 논문이 집약적으로 게재되었기 때문에 2013년부터 2015년도까지, 2016년도에서 2018년도까지, 2019년도에서 2021년도 상반기까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3년에서 2015년도까지 15편, 2016년도에서 2018년도까지 59편, 2019년도에서 2021년도 상반기까지 15편의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아 STEAM교육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2013년에서 2015년도 시기 이후로 꾸준히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유아 STEAM교육 관련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시기별 연구대상 동향을 분석결과가 연구 대상 중 단일연령 만 5세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문헌대상, 교사대상을 순서대로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STEAM교육 관련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시기별 연구방법 동향 분석결과 양적연구 방법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그 중 효과성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헌연구 방법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2019년도에서 2021년도 상반기에는 혼합연구 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 STEAM교육 관련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시기별 연구내용 동향 분석결과 연구 주제에서는 검사도구 분석을 활용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용 유형에서는 A-STEAM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효과내용에서는 창의적 영역에 대한 효과내용을 분석한 연구의 비중이 높게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 노동자협동조합의 조합원 참여가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오연주 한신대학교 사회혁신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협동조합은 조합원이 소유권과 경영권을 가지는 조직의 형태로 조합원의 참여는 기업의 성과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특히, 노동자협동조합에서의 조합원의 참여는 기업의 소유자로서, 그리고 노동자로서의 이중적 지위를 갖게 되는 독특한 특성을 갖게 하며, 조합원의 참여가 기업의 성과와 직결되는 매우 강력한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노동자협동조합의 생산성과 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조합원의 참여에 대한 실증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으로, 노동자협동조합의 조합원 참여 요인이 조직의 생산성에 미치는 실증연구는 이론적 배경을 검증하는 측면에서 매우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는 2012년 시행된 협동조합 기본법에 의하여 설립된 협동조합 중 설립목적을 기준으로 분류된 노동자협동조합 134개소를 대상으로 조합원 참여가 기업의 노동 생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험적으로 규명해보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먼저 국내 협동조합의 유형과 특성, 설립현황 등을 살펴보았으며, 노동자협동조합과 타 유형의 협동조합, 노동자협동조합 내 조합원 규모와 종사자 규모에 따른 조합원의 참여 수준을 비교 및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노동자협동조합의 참여가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논거와 그에 기반한 선행 실증연구를 검토한 후에, 기획재정부의 2015년 협동조합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국내 노동자협동조합의 조합원 참여가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경험적으로 규명해 보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노동자협동조합에서 조합원의 자본 참여 및 경영 참여는 모두 조합의 노동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한 기업의 규모에 따라서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달라지는 조절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동자협동조합에서 노동자 조합원의 자본 참여와 경영 참여, 이익 공유에서의 참여 등 조합원의 적극적인 참여가 조합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으며, 다양한 조합원 참여 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성실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업탄력성의 매개효과

        오연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Academic achievement exerts a significant effect on entrance to advanced course, career, school adaptation. Due to importance of this academic achievement, many scholars explored an factor of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performance In this study also, whether academic resilience has mediation effect on sincerity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intended to be clarified by exploring an effect of sincerity, academic achievement, resilience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i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provided as a data for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hat may understand and promote academic resilience as a factor of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study, by targeting total 267 second graders (male student:146, female one:121) sampled from one male high school and other one girl's high school located at Gangbuk, Seoul, their datawas analyzed. As measurement tool for confirming relationship among three variables, sincerity, academic resili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used and sincerity was composed of 4 point Likert scale, academic resilience 5 point Likert scale and academic achievement 10 scale in a form of self-repor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s an analysis method and its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f r=.71, r=.44, r=.47 was represent between sincerity and academic resilience, sincer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resili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only self-competency(β=.18, p<.05) and achievement oriented(β=.31, p<.01) among sub-factors of sincerity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significantly with explanatory power of 24% and achievement oriented exerted more strong influence than self competency. And problem solving ability(β=.34, p<.001) and passion(β=.17, p<.05) among sub-factors of academic resilience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with explanatory power of 29% and problem solving ability exerted more strong influence than passion. Only achievement oriented(β=.55, p<.001) and prudence (β=.18, p<.05) among sub-factors of sincerity affected academic resilience significantly with explanatory power of 57% and achievement orident exerted more influence on academic resilience. Third, as a result of observing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resilience (total) in a relationship between sincerity and academic achievement, its mediation was represented to be partial(Δβ=-.22). When observing it in detail, family support(Δβ=-.07), problem solving ability (Δβ=-.07), passion(Δβ=-.15) and academic environment(Δβ=-.07) among sub-factors of academic resilience showed partial mediation effect. It was revealed that peer relationship did not show mediation effect and this result implies that current high school students are likely to be engaged in their study by feeling friends as competitor rather than colleagues under stress situation of entrance examination. However, it was meaningful to confirm that academic resilience enabling change and enhancement was an important variable for increasing academic achievement. Enhancement of family support, problem solving ability, passion, academic environment as sub-factors of academic resilience being represented to affect academic achievement are important. Therefore, maintaining friendly relation with parents, other family member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rough support, a student's will to arrive at a goal by motivating oneself based on individual internal factor and an effort of trying to solve a problem by controlling oneself are required. It is expected that enhancement of academic resilience would increase academic achievement. 학업성취는 진학, 진로, 학교적응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학업성취의 중요성으로 많은 학자들이 학업성취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았다. 본 연구에서도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성실성, 학업성취, 학업탄력성은 서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성실성과 학업성취에서 학업탄력성은 매개효과가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학업탄력성의 이해와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지도를 위한 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선정한 연구대상은 서울 강북에 소재한 남자고등학교 1개교와 여자고등학교 1개교에서 표집한 2학년 학생으로 총 267명(남학생 146명, 여학생 12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세변인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 측정도구로는 성실성, 학업탄력성, 학업성취 척도이며 성실성은 4점 리커트 척도, 학업탄력성은 5점 리커트 척도, 학업성취는 척도 1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기보고식 형태이다. 분석방법으로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실성과 학업탄력성, 성실성과 학업성취, 학업탄력성과 학업성취 각각 r=.71, r=.44, r=.47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실성은 학업성취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24%를 설명하였다. 성실성의 하위요인 중 자기유능감(β=.18, p <.05), 성취지향(β=.31, p <.01)만이 영향을 미쳤으며 그 중 성취지향이 더 크게 영향을 미쳤다. 학업탄력성은 학업성취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학업성취를 29% 설명하였다. 학업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문제해결력(β=.34, p <.001)과 열망(β=.17, p <.05)이 영향을 미쳤으며, 그 중 문제해결력이 더 크게 영향을 미쳤다. 성실성은 학업탄력성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57%를 설명하였다. 성실성의 하위 요인 중 성취지향(β=.55, p <.001)과 신중(β=.18, p <.05)만이 영향을 미쳤다. 그 중 성취지향이 학업탄력성에 더 크게 영향을 미쳤다. 셋째, 성실성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학업탄력성(전체)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Δβ=-.22).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업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가족지지(Δβ=-.07), 문제해결력(Δβ=-.18), 열망(Δβ=-.15), 학업적 환경(Δβ=-.07)은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내었다. 동료관계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현 고등학생들이 입시라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친구가 동료이기보다 경쟁자로 느끼면서 학업에 임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하지만 변화와 향상이 가능한 학업탄력성이 학업성취를 높여주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한 것은 의미가 있다.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학업탄력성의 하위요인인 가족지지, 문제해결력, 열망, 학업적 환경의 향상은 중요하다. 따라서 부모, 다른 가족의 지지와 좋은 관계를 맺는 것, 교사가 학생에게 지지를 해주며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 학생의 개인 내적요인으로 자신을 동기화하여 목표를 도달하려고자 하는 의지, 자신을 조절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학업탄력성의 향상은 학업성취를 높여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朝鮮後期 文人들의 鄭敾 繪畵에 대한 畵評 硏究

        오연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謙齋 鄭敾(1676~1759)은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화가이다. 그의 회화사적 업적은 진경산수화로 대표된다. 우리 땅을 주된 소재로 삼아 그에 맞는 표현법으로 그려진 진경산수화는 그 독창성과 예술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그는 이전시대의 북종화계열의 화풍과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남종화계열의 화풍을 접목시켜 개성있는 화풍을 완성하였다. 이는 조선후기 새로운 화풍 변화를 이끈 것으로 평가된다. 이 논문은 정선에 대한 이러한 평가가 언제부터 시작된 것인가 하는 단순한 궁금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우선 조선시대 회화의 주 소비층으로 화단의 흐름을 주도했던 문인들의 화평을 대상으로 삼았다. 정선에 대한 조선시대 문인들의 평가는 그동안의 연구에서 이미 상당수 발굴되었다. 그러나 이를 한 자리에 모아 종합·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이 논문은 이를 시도함으로써 정선과 그의 회화작품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 현재의 정선에 대한 평가를 재검토 해 보고자 하였다. 대체로 정선과 그의 회화에 대한 당대 평가는 현재의 평가와 일치한다. 정선은 당대에도 높은 평가를 받으며 큰 인기를 누렸다. 정선 그림을 평가한 이들은 동시대에 함께 활동하던 노·소론계 문인들이 대부분이다. 대표적인 평자로는 趙榮祏, 李夏坤, 權燮, 朴師海, 朴準源, 趙裕壽, 李德壽, 沈金宰, 李奎象 등이 있다. 이들은 대개 정선에 대해 호의적인 평가를 남겼지만 일부는 비판적인 견해를 보이기도 하였다. 비판적인 견해를 표명한 이들은 南泰應, 趙龜命 등 남인계와 교류를 가졌던 소론계 인사들과 후대 金正喜가 있다. 문인들은 정선의 회화를 대체로 전통적인 문인화론에 입각하여 평가했다. 이는 臥遊, 詩畵一律, 興神論과 形神論으로 대표되며, 이중 감상론인 와유와 시화일률은 문인들의 풍류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정선의 그림은 形似를 완전히 포기하지 않으면서 그 景物의 인상을 부각시켜 그림에 현장성을 부여하는 특징이 있다. 당대 문인들은 이 점을 분명하게 인식하며 정선 그림의 形似와 傳神에 관한 논의를 펼쳤다. 形神論은 眞景山水畵의 사실성에 대한 당대 문인들의 인식을 보여주는 것으로 중요하다. 趙榮祏, 李夏坤, 姜世晃은 정선 화풍의 장ㆍ단점과 회화사적 의의를 객관적으로 지적했다. 특히 조영석은 정선의 화풍이 형성되는 과정을 가까이 지켜보며 가치 있는 증언과 치밀한 분석을 남겼다. 그는 우리나라의 지세를 고려하여 창안된 정선의 진경산수화풍을 높게 평가하였다. 그리고 그 형성과정에서 남종문인화법으로부터 받은 영향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화풍이 정형화되어 가는 것과 구도를 빽빽하게 운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고, 이러한 지적은 이하곤이나 강세황에게서도 보인다. Jeong Seon(1676~1759) is major painter of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t that time many sorts of cultural results were accomplished. Artistic achievements of the painter were integrate into the term of the Real Landscape Painting. His new and striking painting style is quite distinctive characteristic compare with former generations and the painter's strong influencing power about painting circles has enormous artistic value. Jeong Seon made his own painting style, his art mainly based on the traditional Bukjong painting style and accepted Namjong painting style. The study about Jeong Seon always mentioned when art painting of the 18th century and had reputation ever since that time. Critics of the Joseon dynasty estimated Jeong Seon was the best painter through the dynasty. Normally these kinds of estimation made by appreciators, besides literary man like Cho Young Suk(趙榮祏), and Lee Ha Gon(李夏坤) made elaborate and detailed analysis to concluded above consequence. The analysis of them became a foundation of unprofessional reviews and starting point of future research of the painter. The critics as a literary person made assessments about the painter based on pan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and facts. In addition, the assessments about the painter has quite big relationship with the critics and the painter's literary criticism and appreciation for the arts. Ever since 17th century,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enjoyed sightseeing of landscape. In this cultural procedure, paintings of Jeong Seon became a recording about sightseeing stuff. Jeong Seon's paintings were also estimated as highly refine art and fully demonstrated poetic concept. This part is an contrast with 19th century appraisal that Jeong Seon's paintings were lack of scholarship. The main criterias are Heungsin-theory as a creation point of view. Especially, Junsin-theory is important issue because through the concept how the painters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perceive the real landscape's fact and truth. Jeong Seon's paintings express feeling of person who travel into the landscape with vibrant, and never oversight the demonstrating of appearance. The critic of that time evaluate that Jeong Seon's paintings accomplished Hyungsa and Junsin. However, artistic assessments were made by only surroundings of the painter such as Noron and Soron in Seoul area. The critics had same academical and regional base with the painter. For this reason, they shared similar cultural taste. Jeong Seon made paintings which demonstrate the tendency and had big reputation. The appraisals about Jeong Seon had some differences through political tendency and generation. On the other hand, almost critics recognized the painter's artistic achievement. The remain paints also express that the painter made a change of art field in the Joseon dynasty 18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