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시 소재 4개 국악관현악단의 레퍼토리 연구 : 정기연주회 및 기획연주회를 중심으로

        오수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omposer's thoughts are reflected in every piece of music, and furthermore, the performer's intentions are bound to appear in the staged works. In this way, the musical piece, the composer, and the performer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music and perform a performance that reflects the composer's intentions, knowledge of each element is required. Since the 1990s, traditional orchestral music has an important meaning in music history as musical changes have occurred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Western-style compositional techniques, but there are difficulties in research because there is not enough information about the orchestral musical pieces created during this period. Therefore, paying attention to this problem,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repertoir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orchestras by each orchestra, focusing on concerts in which four orchestras (Seoul Metropolitan Traditional Orchestra, KBS Traditional Music Orchestra, National Orchestra of Korea, Contemporary Gugak Orchestra) located in Seoul participated from 2000 to 2021. The concept of ‘repertoire’ of the orchestra has inherent narratives, and it implies both the composition of the orchestra and development of its contents. Therefore, this study divided the pieces of music played for 22 years into the first period(2000~2010) and the second period(2011~2021) and compared the forms and tendencies of the musical pieces, the change in the arrangement of the concerto, and the aspects of the composers and the musical piece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flow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he tendencies of the orchestra in the 2000s, and it was possible to organize information on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and firstly performed music, the distribution of composers, and the instruments performed together.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data derived by analyzing the data on the pieces of music played over the past 22 year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umber of performances and the distribution of composers during the two periods,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regular concerts and the number of composers decreased in the second period compared to the first period. Second, as a result of classifying music types, there were many instrumental and vocal concertos during the first period, but during the second period the number of newly-created orchestral music has increased and both Korean and Western instruments have been organized in the instrumental concerto.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Western instruments, 3 types of instruments were expanded to 10 types of instruments, and concertos with a mixture of Korean and Western instruments appeared in the double and triple concerto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ndencies of music, the proportion of traditional music decreased during the second period compared to the first period, and the number of original compositions applied with Western methods was expanded. In particular, if we look at the tendency of creative music, only a few composers expressed in the traditional way, and many composers used Western methods. However, it is noteworthy that among the 10 most performed musical pieces, 5 pieces with traditional tendencies are included.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pertoire of each band, in the case of the Seoul Metropolitan Traditional Orchestra, creative works increased from 45% to 71%, and traditional musical pieces decreased from 34% to 16%. Also, foreign composers' works increased from 3% to 8%, and popular pieces decreased from 16% to 5%. In the case of the KBS Traditional Music Orchestra,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form or tendency of music,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rtion of traditional musical pieces was reduced and the original musical pieces were expanded. However, despite being an affiliate of a broadcasting station, the proportion of popular music was small from 9% to 7%, and the fact that modern music was not performed is what sets it apart from other orchestras. In the case of the National Orchestra of Korea, many changes were confirmed. The nature of each program in place of the regular concert was clearly revealed, and the composer and conductor were illuminated at the seasonal concert, and the original orchestra work was continuously performed through the first performance and reenactment planning of the original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Also, during the second period, the number of traditional music decreased from 27% to 3%, and the number of creative works and contemporary work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mposers, the proportion of Western composers increased from 21% to 40% and foreigners from 2% to 8%, but the proportion of works by Korean traditional music composers was similar. However, the number of works by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decreased from 15% to 3%, and the number of pieces with traditional usage gradually decreased. However, the number of works by composers who used to be the musical players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decreased from 15% to 3%, and the number of pieces with traditional usage gradually decreased. In the case of the Contemporary Gugak Orchestra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more than 90% of musical pieces performed were creative works. In short, from 2000 to 2021, the direction of the concerts planned by the four Korean traditional music orchestras has changed from traditional music to centered on cre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he content of the music moved away from the traditional usage, and the Western usage took more weigh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oser's activities have appeared more diverse during the second period through the list of musical pieces of the first performance. As such,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atus analysis conducted in this paper will help understand the flow of creative traditional orchestra performances from 2000 to 2021 and help find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모든 악곡에는 작곡가의 생각이 반영되며 더 나아가 무대화된 작품에는 연주자의 의도가 나타나기 마련이다. 이렇듯 악곡과 작곡가 및 연주자는 서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그러므로 곡의 이해와 작곡가의 의도를 반영한 공연을 위해서는 악곡과 작곡가 및 연주자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그러나 90년대 이후에 나타난 국악 관현악곡의 경우 서양식 작곡기법의 도입과 더불어 음악적 변화가 발생함에 따라 음악사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음에도, 충분한 정보가 전해지지 않으므로 연구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에 주목하여, 서울시 소재 4개 악단(서울시, KBS, 국립, 창작)이 2000년부터 2021년까지 참여했던 연주회를 중심으로 악단별 국악 관현악곡 레퍼토리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관현악단의‘레퍼토리’개념에는 서사성이 내재하므로 관현악곡의 구성 및 내용 전개에 관한 내용이 모두 포함된다. 이에 21년 동안 연주되었던 악곡들을 1시기(2000~2010)와 2시기(2011~2021)로 구분하여 작품의 형식과 성향 및 협주곡의 편성 변화 그리고 작곡가와 작품의 양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2000년대 국악관현악의 흐름 및 악단의 성향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공연수의 빈도가 높은 곡과 초연곡 및 작곡가의 분포도와 협연 악기를 정리할 수 있었다. 21년 동안 연주된 자료를 분석하여 도출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시기의 공연 횟수와 작곡가를 분포한 결과 1시기에 비하여 2시기에는 정기 연주회와 작곡가의 수가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악곡형식을 분류한 결과 1시기까지는 기악협주곡이나 성악협연곡이 많았으나, 2시기에는 창작관현악곡이 증가하고 기악협주곡에 국악기와 서양악기가 모두 편성되었다. 특히, 서양악기의 경우 3종류에서 10종류로 확대되었으며 2중, 3중 협주곡에서도 국악기와 서양악기 혼합편성의 협주곡들이 등장하였다. 셋째, 전체 악곡의 성향을 분석한 결과 1시기에 비하여 2시기 이후로 전통악곡의 비중이 축소되었으며 서양 어법의 창작곡이 확대되었다. 특히, 창작 악곡의 성향을 살펴보면 전통적인 어법으로 표현한 작곡가는 소수에 불과하였고 서양 어법을 사용한 작곡가는 다수에 해당하였다. 그러나 가장 많이 연주된 10곡 내에는 전통적인 성향의 악곡이 5곡 포함되어 주목된다. 넷째, 악단별 레퍼토리를 분석한 결과 서울시관현악단의 경우 창작작품은 45%에서 71%로 확대됐고, 전통곡은 34%에서 16%로 축소되었다. 또한, 외국인 작곡가의 작품은 3%에서 8%로 증가하였고 대중적 악곡은 16%에서 5%로 감소하였다. KBS 국악관현악단은 악곡의 형식이나 성향에 큰 변화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전통곡이 축소되고 창작곡이 확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현대적인 성향의 악곡은 연주되지 않았으며 대중적인 성향의 악곡 비중이 타 악단에 비하여 높았다. 국립국악관현악단에서는 많은 변화가 확인되었다. 정기연주회를 대신한 각 프로그램의 성격이 명확하게 나타났고, 시즌 음악회에서는 인물 중심의 공연을 기획하였으며 창작국악관현악의 초연 및 재연주를 통해 지속적으로 창작관현악 작품을 연주하였다. 또한, 2시기에는 전통음악의 비중이 감소하고 창작작품과 현대적 성향의 작품이 증가하였다. 한편 작곡가의 경우 서양 작곡가와 외국인의 비중이 확대되었으나 국악 작곡가는 비슷했다. 다만, 국악 연주자의 작품이 줄어들고 전통적인 어법의 악곡도 감소했다. 국립국악원의 창작악단에서는 창작 음악이 90% 이상 연주되었다. 요컨대 2000년부터 2021년까지 4개의 국악관현악단에서 기획했던 연주회의 방향은 전통음악에서 창작국악관현악 중심으로 변화하였고 악곡의 내용은 전통적인 어법에서 벗어나 서양 어법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또한, 초연곡 목록을 통해 2시기 이후로 작곡가의 활동이 더 다양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렇듯 본 논문에서 진행한 분석결과가 2000년부터 2021년까지 이루어진 창작국악관현악 공연의 흐름을 이해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국악계의 방향 모색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누가의 여성 재현에 대한 정치신학적 고찰 : 눅 7:36-50을 중심으로

        오수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젠더와 관련해서 누가가 직면했던 신학적, 정치신학적 과제를 밝히고 사회사적 연구와 누가-행전의 본문을 기반으로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 여성들의 존재와 역할을 발견하는 것이다. 고대 그리스-로마 문헌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고고학적, 사회사적 연구들은 1세기 지중해 세계에서 여성들의 사회적, 경제 활동이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여자들의 지도적 역할이 신생 제의 공동체에서 두드러졌음을 밝혀냈다. 이러한 변화를 로마의 엘리트 남성들은 못마땅하게 여겼고 특히 동방에서 유입된 제의 공동체에서 적극적이고 지도적인 역할을 수행한 여자들에 대해 비난이 쏟아졌다. 대부분의 동방 제의들과 마찬가지로 그리스도교에 참여한 여성들은 성적으로 문란하며 따라서 이 새로운 종교가 로마 시민으로서는 용납할 수 없는 것이라는 수사적 비방에 맞서 누가는 누가-행전의 여자들과 남자들을 로마의 젠더 기준에 적합하게 재현함으로써 그리스도교를 변증하고자 한다. 그러나 누가의 여성 재현은 그리스도교 변증을 목적으로 하는 정치신학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이중성을 보인다. 누가는 한편으로는 복음을 로마의 주류 사회가 수용할 만한 것으로 제시하기 위해 남자들과 여자들을 로마의 젠더 적합성에 맞게 배치하고 재현한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다양한 계층의 여성 신자들의 존재를 드러내고 여자들을 공동체의 모범으로 제시한다. 모든 신생 제의 공동체가 그렇듯, 누가 공동체에서 여자들은 핵심 구성원들이며 그들의 활동은 이 공동체의 존립과 성장에 필수적이었다. 본 논문은 누가가 교회 안팎으로 직면한 이와 같은 이중적 과제를 누가-행전의 저술을 통해 수행하고 있다고 보고‘예수에게 기름 부은 여자’의 단화를 통해 이를 밝히고자 했다. 누가의 주 관심사는 로마 사회에서 신생 그리스도교 공동체가 안정적으로 뿌리를 내리고 성장하는 것, 그리고 인종, 계층, 젠더가 뒤섞인 공동체에서 발생하기 마련인 반목과 갈등을 해결하고 공동체의 조화와 화합을 이루어내는 것이었다. 누가에게 여성 재현은 그 자체가 저술 활동의 목적이라기보다는 변증과 공동체 화합이라는 정치신학적 목적에 복무하는 기술적인 문제였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누가-행전을 기반으로 누가의 여성들을 이해하고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여성을 재구성하고자 할 때 누가가 재현하는 여자들을 역사적으로 받아들여서는 안된다. 본 논문은 독자들이 누가의 여성 본문을 읽을 때 누가만의 독특한 정치신학과 1세기 그리스로마의 고고학적, 사회사적 연구에 비추어 여성 본문에 새겨져 있는 다성적인 메시지와 1세기 그리스도교 공동체에 속한 여성의 다중적인 현실을 신중하게 해석해야 함을 보여주고자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lose Luke’s tasks of political theology concerning gender and discover women and their roles in the early Christian communities based on the ancient social studies as well as Luke-Acts. Thanks not only to the novel interpretation of ancient Greek-Roman literature but to the achievement of archeological and social studies, we have come to learn the fact that the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of women explosively increased in the 1st century Mediterranean world and the leading roles of women were prominent in the emerging cultic communities. Roman male elites were displeased with the changed roles of women and especially detested the active and leading roles played by women in the emerging cultic communities. As with the case of most Eastern cults, women participating in emerging Christianity were reproached for being promiscuous and this new cult was claimed to be unacceptable for Roman citizens. Against these rhetorical reproaches Luke attempted to apologize Christianity by arranging women and men in accordance with the Roman gender propriety. However, Luke’s representation of women shows dual aspects which can only be partially explained by the political theology of Christian apologetics. Luke arranges and represents men and women according to Roman gender propriety in order to render Gospel something acceptable to Roman mainstream society;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in Luke- Acts he shows plenty of female believers from different social status and present them as a model of Christian believers of both genders. Like most of the emerging cultic communities, women were core members and their roles and activities were crucial for the communities’ existence and growth in the early Christian communities. This study attempts to reveal the dual tasks which Luke faced in and outside the church with the episode of a woman anointing Jesus with the preposition that Luke wrote Luke-Acts performing the dual tasks. As a Christian writer Luke’s main concerns are as follows: first, the emerging Christian community should take roots and securely grow in the Roman society; second, conflicts and hostility which tend to arise in the community where different races, classes and genders mingle should be resolved; as a consequence, harmony and unity of the community should be attained. For Luke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tself may not have been a main purpose of writing Luke-Acts; rather, it was probably a technical matter to carry out tasks of the political theology of Christian apologetics and unity of the community. Therefore, when trying to understand the women in Luke-Acts and reconstruct the women of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one should not take the women represented by Luke at face value or as historical facts. This study attempts to show that when reading the Lucan texts concerning women, readers should allow Luke’s unique political theology as well as archeological and social studies on the1st century Mediterranean world to shed light on Lucan texts so that they can see the polyphonic messages and mulitilayerd reality of women embedded in the Lucan texts concerning women.

      • 가치관에 따른 소비자 집단의 외모관여도와 피부관리 구매행동

        오수연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Beauty Industry is subdivided and specialized into areas such as skin beauty, hair beauty, makeup, and nail art. Among them, skin beauty has witnessed rapid development with the introduction of medical skincare. But compared with the overall expansion of the industry, the skin beauty arena is finding it difficult to maximize revenue and satisfy the diverse needs of its customers. This is primarily due to the small scale of individual shops and a lack of marketing strategi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tudy operational systems for skincare shops that could possibly lead to the development of marketing methods that could satisfy customer need. This study focuses on such issues, and based on consumer value, attempts to understand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onsumers who purchase skincare services. This study seeks to look into the value the consumers hold and subsequently categorize them into consumer types.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purchasing behavior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new implications regardingskincare marketing and suggest product development directios and marketing strategies which could be appropriate to the corresponding markets. For these purposes, prior to initiating the main research, the researchers studied the psychological structures of consumer skincare purchasing behavior.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FGI), themes such as motivation for skincare purchase, attributes used to evaluate products, and usage were manifested. In FGI, detail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9 women who currently receive skincare or have had experience with it. receive skincare or have had experience with it There were four to five people in each group. This process was designed based on questions extracted from target group interviews and previous research. Afterwards,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s were evaluated and revised. The participants were women living in Busan, Ulsan, Kyung-Nam Province, and Daejeon; 250 people were from medical institutions that provide medical skincare and 300 were from general skincare specialist shops. The information collected was analyzed by using SPSS WIN 19.0, data analysis, variabl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analysis, deviation analysis, cross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main factor analysis [Varimax], in order to discover lower dimensions of values, two types of values [i.e., relation-oriented and success-oriented] were deduced. To categorize consumers according to the value variable, the researchers conducted cluster analysis, and ultimately the value type was distinguished into three types which portrayed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m: relation-oriented type, success-oriented type, and passive type. Second, the analysis was executed to discover the differences in appearance maintenancedepending on consumer type. Results from Duncan's multiple average analysis on ANOVA showed the success-driven type participated the most in appearance maintenance, the relation-driven type was average, while the passive type displayed the lowest mean average. This indicates that passive value holders also possess passive attitudes toward interest in appearance. Third, in order to examine the lowest category of those motivated to purchase skincare management products, researchers executed main variable analysis according to Varimax. As a result, it produced five (5) factors in total: "skin improvement", "external pressure", "relaxation", "troublesome skin", and "special purposeAmong all variables, including skin improvement, the success-oriented type showed the highest motivation for purchase; the relation-oriented type showed the highest intentions in "troublesome skin"; and the passive type, recorded lower purchasing motivations than other consumer types. Fourth, regarding the attributes by which skincare service is evaluated, variable analysis showed six factors: expertise, convenience, innovation, cost and quality, improvement, and facilities. In regards to the six factors, the success-oriented type again recorded the highest averages and particularly in the expertise factor. Fifth, in the area of current usage, the proportion of people currently using general skincare was the largest in the relation-oriented group." 2.) "In the case of success-oriented persons, it showed the highest ratio in cases where consumers were using both medical and general skincare, simulatneoulsy. Finally, in the area of skincare programs, general skincare was used by all consumers. All participants also displayed interest in obesity and body figure management programs in the future. In summary, of 506 total participants, the largest proportion was the success-oriented group with 253 women while the passive group was smallest with 92 women. The relation-oriented group was of medium size with 161 participants. This implies that those with active inclination receive the most skincare management. Those with passive inclination - those who show the lowest success and relation orientation - tend to have lower interest regarding their appearance. This study verified that in making purchasing decisions. the values of consumers are a variable of influence. This conclusion was supported by understanding consumers' skincare management purchasing behavior based upon the concept of values which impact consumer behavior. These results are academically important in the marketing field andthe skin beauty area. Moreover, there is a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this study concluded in substantial verification for the results on consumers' skin beauty purchase behaviour by building upon the deduced questions from the interview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what has not been proposed before; information that leads to direct development of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skin beauty market. 미용 산업은 피부미용, 헤어미용, 메이크업, 네일아트 등으로 세분화, 전문화 되고 있으며, 그 중 피부미용 산업은 메디컬 스킨케어의 등장과 함께 급속도록 발전하게 되었다. 하지만 양적인 팽창에 비해 규모의 영세화와 마케팅전략의 부재로 기업의 가장 큰 목표인 매출증대의 어려움 및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충족을 실현시키지 못하는 어려움에 처해있다. 따라서 피부관리실 운영시스템 정착과 피부관리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마케팅 접근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 주목하여 소비자의 가치관을 바탕으로 피부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소비행동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가치관을 조사하고 가치관에 따라 소비자 집단을 유형화하여 피부관리 구매행동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피부미용 마케팅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하고 세분시장에 맞는 상품기획과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조사를 실시하기에 앞서 표적집단면접(FGI: 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하여 소비자의 피부관리 구매행동에 대한 심층적인 구조들-피부관리의 구매동기, 상품평가속성, 이용실태-를 파악하였다. FGI에서는 현재 피부관리를 받고 있거나 경험해 본 여성 19명을 대상으로 한 집단에 4~5명씩 구성하여 피부관리 구매행동에 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표적집단면접과 선행연구들을 통해 추출된 문항들을 바탕으로 질문지를 구성한 후 예비조사를 거쳐 문항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토하고 수정하였다. 본 조사는 부산, 울산, 경남, 대전에 거주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메디컬스킨케어를 시행하고 있는 의료기관에서 250명, 일반 피부관리실에서 300명을 표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 교차분석 및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치관의 하위차원을 밝히기 위해 Varimax에 의한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관계지향과 성공지향의 2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가치관 요인에 따라 소비자들을 유형화하기 위하여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요인점수가 뚜렷한 차이를 보인 관계추구유형, 성공추구유형, 소극적유형의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소비자 집단에 따른 외모관여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Duncan의 다중비교분석을 통한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 성공추구유형은 외모관여도가 가장 높은 집단으로 나타났고 관계추구유형은 평균정도의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소극적유형은 가장 낮은 평균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소극적인 가치관 집단은 외모에 대한 관심 또한 소극적임을 말해주고 있다. 셋째, 피부관리 구매동기에 대한 하위차원을 밝히기 위해 Varimax에 의한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피부개선’, ‘외적자극’, ‘휴식’, ‘문제성 피부’, ‘특수목적’ 의 5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요인별로는 피부개선을 비롯한 거의 모든 요인에서 성공추구유형이 가장 높은 구매동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추구유형은 피부관리 구매동기 중 문제성 피부에서 가장 높은 구매동기를 나타냈다. 소극적 유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전반적으로 피부관리에 대한 구매동기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피부관리 서비스에 대한 평가속성에 관하여 요인분석을 실행한 결과 전문성, 편리성, 혁신성, 비용과 품질, 촉진, 시설요인 등의 총 6요인이 추출되었다. 평가속성 6개 요인에 대하여 성공추구 유형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특히 전문성은 모든 소비자 유형에서 평균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소비자 유형에 따른 피부관리 이용실태에서 관계추구 유형은 현재 일반 스킨케어를 이용하는 비율이 다른 유형에 비해 가장 높았으며, 성공추구 유형의 경우 현재 메디컬 스킨케어와 일반 스킨케어를 모두 받는 경우가 세 유형 중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소극적 유형은 현재 일반 스킨케어를 더 많이 이용하고 있으나 두 가지 형태 모두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소비자 유형에 따른 피부관리 프로그램 선택에서 일반스킨케어의 경우 집단에 상관없이 현재 얼굴관리를 가장 많이 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비만, 체형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506명의 표집대상자중 성공추구유형은 253명으로 집단 사이즈가 가장 크다고 볼 수 있으며, 소극적 유형은 92명으로 가장 작은 집단사이즈를 나타내고 있었고, 관계추구유형은 161명으로 중간정도를 나타냈다. 이는 적극적인 성향을 가진 성공추구유형이 피부관리를 가장 많이 받고 있다고 사료되며, 또한 소극적유형은 관계지향과 성공지향이 가장 낮은 특성을 갖는 집단으로 모든 일에 소극적 이어서 외모에 대한 관심도 다소 낮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고객의 피부관리 구매행동을 파악하는데 있어 소비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개념인 가치관을 바탕으로 하여 소비자 유형별 소비행동의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피부관리 구매의사결정과정에서 가치관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피부미용분야의 마케팅 부분에서 학문적으로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겠다. 또한 표적집단면접에서 도출된 문항을 근거로 소비자들의 피부미용 구매행동에 대한 실증적인 결과검증을 하였다는데 실무적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이전에는 제시되지 않았던 피부미용업계의 시장세분화와 마케팅 전략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사후반추사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사고통제방략의 조절효과

        오수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의 유지기제로 알려진 사후반추사고를 조절할 수 있는 변인으로 사고통제방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사후반추사고가 사회불안을 영속화시킨다는 기존의 연구들이 많이 축적되어 오고 있지만, 국내외적으로 사후반추사고를 통제할 수 있는 치료적 변인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기존 연구에서 사후반추사고가 침투적으로 나타나고 집중력을 저하시키는 특성이 있다는 제안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후반추사고를 통제할 수 있는 인지적 방략으로 사고통제방략을 제안하였다. Wells와 Davies(1994)가 개발한 침투사고에 대한 통제 질문지인 TCQ(Thought Control Questionnaire)를 사용하여, 사고통제방략 중 기존 연구들에서 적응적인 방략으로 밝혀진 주의분산방략, 재평가방략, 사회적 통제방략이 사후반추사고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조절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학생 42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사후반추사고 질문지(PRQ), 사고 통제 질문지(TCQ), 사회적 회피 및 불편감 척도(SADS), Beck 우울 척도(BDI)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상관 및 부분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각 변인간의 관련성을 알아본 후,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사고통제방략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고통제방략의 하위 요인 중 사회적 통제방략은 사후반추사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어, 사회적 통제방략의 사용이 사회불안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적 통제방략과는 달리, 주의분산방략과 재평가방략의 경우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 기존 연구들과의 관련성과 함께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ought control strategy as moderate variables to post-event rumination known maintaining factor of social anxiety. Though it still has been accumulating many studies about post-event rumination is keep permanence of social anxiety, it doesn’t exist inside and outside of Korea about curability factors to control post-event rumination. The earlier study suggests post-event rumination has some characteristics that is intrusive and also making it difficult concentrating. The study based on earlier idea, suggests thought control strategy as cognitive stratagem to control post-event rumination. Using Thought Control Questionnaire (TCQ) made by Wells and Davies (1994), examine relation between distraction strategy, reappraisal strategy, social control strategy, disclosure about adaptive strategies from earlier study. 424 university students engaged in research and carried out Post-event Rumination Questionnaire(PRQ), Thought Control Questionnaire(TCQ),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SADS),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alysis Methods is correlation analysis and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figuring out connections between factors and then investigate control effect of thought control strategy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social control strategy, the lower factor of thought control strategy, indicates interaction effect between post-event rumination and social anxiety, using social control strategy could have effect to deplete social anxiety’s level. But unlike social control strategy, distraction strategy and reappraisal strategy have no effect. Outcome of putting all the ideas together, this study is discussing about correlation with this study’s result, earlier study,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study.

      • 餘白을 중심으로 한 水墨畵의 思想硏究

        오수연 淑明女子大學校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동양회화의 근본사상적 배경으로써 장구한 역사 속에서 수립된 철학사상 즉, 儒家, 佛·禪家, 道家 思想을 근거로 하고있는 수묵의 정신성에 대해 살펴보았고, 회화 속에서 나타나고 있는 餘白의 의미를 정신성에 연결시켜 고찰하고 있다. 동양회화는 모든 사물을 물질적으로 바라보기 보다는 마음의 눈을 통해서 자연을 인식하려하며, 모든 예술이 인간의 내면 세계를 다루듯이 동양화 역시 내적 실재를 추구하였다. 이것은 자연과 합일하여 자연과 인간을 하나의 통합된 실체로 보는 심신 일원론적 사고인 것이다. 이러한 동양화의 마음의 눈을 통해 자연을 바라보려는 인식체계 아래서 黑의 예술이 발달하게 되었으며 동양인의 미의식을 그대로 반영함으로써 동양의 정신적 요체로써 그 가치를 한층 더하고 있다. 墨의 예술은 동양전반의 철학인 공자의 유가사상과 불가의 선가사상, 그리고 노장자의 도가사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水墨畵의 정신적 측면에서 보는 유가의 철학사상은 화선지가 갖는 소성(素性)과 일치하여 우주의 공간 즉 여백예술의 특성을 갖게 하며 불가사상의 簡淨淡雅한 禪思想은 작가의 간략함축성을 지닌 일필휘지(一筆揮之)의 특성을 지니게 한다. 한편 도가의 老莊思想은 無爲自然說에 입각한 묵희(默戱)적 예술관을 연결시켜주고 있다. 그리하여 수묵화는 소우주의 공간화면 위에서 陰(墨)과 陽(筆)의 조화가 혼연일체되어 인간의 내면적 정신세계를 가장 함축성 있게 표현한 회화예술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신성을 내포한 조형적 측면으로써 여백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동양의 화가들이 여백을 중요시하게 된 이유는 유가의 中庸, 後素, 불가의 空觀, 도가의 無에 대한 사상 등에 의해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여백은 화면에 있어서 아무 것도 그려져 있지 않으면서도 무언가 여운이 감도는 듯한 공백의 부분, 즉 형체 외의 부분을 말하는 것이며 표현되지 않은 부분은 화면을 돋보이게 하거나 연장하여 보이게 함으로써 그려진 부분과 마찬가지로 생명을 갖게한다. 그래서 작가와 감상자로 하여금 무한한 상상력을 갖도록 하고 보다 넓고 높은 것으로 인도하는 힘을 갖게 하는 것 이다. 결국 수묵화의 정신성은 유가의 中庸과 後素思想, 불가의 空觀, 도가의 無寫思想 등의 상호영향을 받아 예술사상으로 발전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수묵화의 정신성 내지 동양의 사상이 잘 드러나 있는 것이 바로 餘白이라 할 수 있다. 즉 여백은 심오한 내면사상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화면의 본질적인 요소로 작용하여 경향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내면세계의 표출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thesis, intensive study has been made on Indian ink painting the spirit of which is primarily based on the three main branches of Oriental philosophy, namely Confucianism, Buddhist meditation(the Zen) and Taoism, that were established with long periods of history, and special attention was focused on the meaning of 'YeoBaek(blank space)'. Oriental painters have tended to see nature through the mind's eye rather than recognize it as a group of materials, and tried to pursue the internal reality, which is the common subject of all kinds of arts. It can be safely said that the fundamental philosophy of Oriental painting belongs to the category of monism in which mind and body can be regarded as unified one entity that can not be separated into two independent objects. The art of Indian ink painting have been developed under the epistemological system described above and occupies its own position by reflecting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Orientals. The underlying thoughts of Indian ink painting was formed on the ground of the Oriental philosophy comprised of Confucianism of Confucius, the Zen in Buddhism and Taoism of Lao-tzu and Chung-tzu. Confucian philosophy soaked in Indian ink painting coincide with the disposition of Chinese drawing paper, therefore shows the feature of art of 'YeoBaek'. Drawing technique of dashing off with one stroke of a brush can be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Zen thought whose characteristics can be expressed in terms of simplicity, neatness and tidiness, and taoism of Lao-tzu and Chung-tzu also plays an important part in Indian ink painting by expressing the characteristics of quietism. So, Indian ink painting can be regarded as a special genre of fine art that combines Yin and Yang to be in perfect harmony in the space of microcosm.The reason why Oriental painters have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YeoBaek' comes from the fact that their thoughts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theory of moderation of Confucianism and the nihility thought in Buddhism and Taoism. 'YeoBaek' means the blank part of the picture that is more or less suggestive in spite of the fact that nothing is drawn there, and makes the screen look better, so infuse the liveliness into every inch of the picture including the blank space itself. As a result, it can endow both the artist and appreciator with unlimited imagination and lead them to the higher and broader state. In short, the spirit of Indian ink painting could be developed and advanced with assistance of moderation thought of Confucianism, thought about nihility originated from Buddhism and quietism of Taoism, and can be found in the 'YeoBaek' of the pictur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YeoBaek' occupies its own position with profound internal philosophy and expresses the internal world a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picture.

      • 뤼스 이리가레의 존재론적 성차 개념이 우리나라 학교의 성교육 접근과 사유에 주는 함의

        오수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began with a sense of problem that although sexuality is a major factor that makes up humans, it has not been noted in educational philosophy discussions in Korea. I paid attention to the concept of sexual difference in that both of opposing discourses over sexuality in education presuppose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sexuality.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ept of sexual difference related to forming human subjects and attempts to apply it to the educational dimension. Sex and gender concepts provide a framework to analyze and understand sexuality, but in terms of developing the subjectivity, they could omit or distort actual sexuality. So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the concept of sex and gender,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sexual difference as ontological difference. Appropriating the philosophy of difference imagining alternative subjects beyond modern rational subjects, Irigaray viewed sexual difference as ontological difference. Irigaray thinks differences positively, like many philosophers such as Nietzsche, Heidegger, and Deleuze. However, in the eyes of Irigaray, the thoughts about differences by male philosophers were made by appropriating sexual differences. Accordingly, Irigaray pays attention to 'sexual difference', not 'difference'. And she develops ethical thinking that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s that are reconstructed from the new subjectivity formed by ontological sexual difference. Irigaray's new idea of ontological sexual difference and subject reorganizes the concept of subject in education in that it give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the natural, material, and cultural aspects surrounding human subjects. And it makes us approach to school sexuality education under the purpose of 'subjectivity education'. Sexual difference itself support the continuous interaction of nature and culture, which makes us think about subject outside of the mind-body dichotomy and deal with sexu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becoming a person' such as rights, welfare, and dignity beyond health and biology. Above all, the view that sexual difference is a kind of energy that generates sexual subjects makes subjects of all ages perceived as sexual beings, and that sexuality can be considered at both the personal and social structural levels. 본 연구는 성이 인간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임에도 교육 철학적 논의에 있어서 주목되지 않아왔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2015년 본격화된 ‘페미니즘 리부트(feminism reboot)’ 이후, 미투운동, 불법촬영 반대 운동 등 반(反)성차별, 반성폭력 운동이 이어지며 한국 사회에서는 성을 둘러싼 담론이 뜨겁다. 교육현장에서 역시 스쿨미투 운동, 페미니즘 교육 의무화 청원, 학교 성교육 표준안 등의 쟁점을 둘러싸고 여러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교육과 관련하여 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사유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연구자는 교육에서 성을 둘러싸고 대립하는 담론이 모두 성을 차이를 지닌 것으로 전제한다는 점에서 성차 개념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간 주체 형성과 관련한 성차 개념에 초점을 맞춰 이를 학교 성교육에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성을 이해하는 대표적인 개념인 섹스와 젠더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며 성차에 접근한다. 섹스와 젠더 개념은 페미니즘의 등장과 함께 ‘여성’을 정의 내리려는 시도를 통해 분화되었다. 성차는 남성과의 차이를 사유하는 속에서 여성의 주체성을 세우기 위해 필요한 개념이었다. 그러나 생물학적 성을 나타내는 섹스 개념은 성차를 신체성의 차원에서 사고함으로써 정신-신체 이분법을 낳은 전통적 주체 이해와 결합한다. 이는 성차를 자연적이고 우연적인 조건으로 한정시키고 주체성과 관련하여 사고하지 못하게 하는 한계를 지닌다. 나아가 생리적인 것 외에도 신체를 통해 나타나는 다양한 성차의 양태를 포착하지 못하게 한다. 사회문화적 성을 나타내는 젠더 개념은 성차를 변화 가능한 대상으로 바라보지만, 이를 극복하거나 전도시켜야 할 것으로 접근한다는 점에서 여전히 정신 우위의 사유 주체를 가정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젠더 개념이 변화 발전하면서 성과 교차하는 여러 축을 따라 젠더 차이를 증식시키거나 아예 젠더 자체를 해체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이는 인간 주체를 무성적으로 그리게 되면서 성차 사유를 배제할 위험을 지닌다. 이처럼 섹스와 젠더 개념은 성과 성차에 대해 분석하고 이해할 틀을 제공하지만, 주체 형성의 측면에서는 실질적 성과 성차를 누락하거나 왜곡시킨다. 이에 3장에서는 섹스와 젠더 개념이 갖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뤼스 이리가레의 존재론적 성차 개념에 주목한다. 존재론적 성차는 이리가레가 근대적 이성중심주의를 벗어나는 대안적 주체를 상상한 차이 철학을 비판적으로 전유하며 고안해낸 개념이다. 따라서 헤겔과 구조주의의 부정적 차이를 지나 니체, 하이데거, 들뢰즈 등 긍정적 차이를 사유한 철학자들의 관점을 대략적으로 살피고, 이에 대한 이리가레의 문제의식이 무엇이었는지를 짚으며 이리가레가 차이가 아닌 성차에 주목한 까닭을 파악한다. 이어 이리가레가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차이 개념을 전유하여 제시한 존재론적 성차 개념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성적 주체를 형성하는 힘으로서의 존재론적 성차의 특성과 역할을 알아본다. 4장에서는 존재론적 성차가 형성하는 새로운 주체성과 그로부터 재구성되는 주체들 사이의 관계를 윤리학의 차원에서 탐색하는 이리가레의 사유가 학교 성교육에 어떤 함의를 갖는지 검토한다. 이리가레는 가부장적 사회 구조와 담론을 모방하는 것을 통해 남성 동일자에 환원되지 않는, 그러나 아직 존재하지 않는 여성 주체성의 모습을 상상한다. 성차의 비대칭성에 의해 주체성과 타자성을 모두 획득한 각 주체들에게는 가까이 있으면서도 서로를 완전히 흡수하지는 않을 적절한 거리를 사유해야 하는 과제가 부여된다. 이리가레의 존재론적 성차와 주체에 대한 새로운 사유는 인간 주체를 둘러싼 자연과 물질, 문화적 측면을 포괄적으로 접근하게 한다는 점에서 교육에서의 주체 개념을 재구성하고 ‘주체성 교육’이라는 교육 전체의 목적 아래에서 학교 성교육을 접근하게 한다. 이는 성을 섹스와 젠더 이분법으로 사고하기보다 포괄적으로 접근하게 한다. 또한 특정 지식과 규범을 전달하는 목적론적인 성교육이 아니라 성의 불확실성과 모호성을 함께 질문하고 고민하는 성교육을 권장한다. 그 과정에서 타자의 말할 수 있음과 함께 듣기의 윤리에 주목하는 성교육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교육학 분야에서 잘 다뤄지지 않았던 성과 성차에 주목하고 그에 대한 여러 개념 이해 방식을 고찰했으며, 그 중 존재론적 성차의 방식으로 성을 이해할 때 성교육이 어떤 모습이 될 수 있을지를 그려봄으로써 교육에서 성이 사유되는 한 가지 모습을 예시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편 본 연구에서 다룬 성과 성차 개념은 서양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존재론적 성차에 대하여 시론적으로 접근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추후 문화권별, 학제별 성 이해 방식과 교육을 연결하는 후속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고 교육에서의 성과 성차에 대한 사유를 확장시키길 기대한다.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웹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오수연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21st century is the era of the creativity which is changing so variously and fast. Accordingly, we need to cope with this fast changing era actively.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creative era is the creativity and the ingenuity. The sensitivity is the basis of the unlimited creativity which human beings have. Therefore, to educate the students who will lead this era of the creativity which is changing rapidly, design education which can foster the students' potential and develop the creativity appropriate for the current of the times is necessary. In addition, web design training is one of the rapidly changing fields. Nevertheless, it does not conform well to the society or interest of students. Selecting the appropriate learning program which corresponds to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promotes effective learning is crucial. The current program, offered at vocational high schools, focuses only on simple visual form and web page creation; the program is unable to keep up with the demands and unable to stimulate creativity that is critical for web design. Thus this study set out to suggest storytelling as the right method to create ideas with in the web design education and to show the new possibility of the idea education based on the developed program. For those purposes, the following measures were taken; first, the units and contents related to web design in the Seventh Curriculum were analyzed in order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web design education using the storytelling approach. Then results were then analyzed to make the base to suggest a teaching plan. Second, the survey result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web design education and the need for the web design education using storytelling. The literature and papers were reviewed for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including the techniques to create ideas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web design education. After web design has been applied to cases that learning storytelling. Third,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storytelling web design to take advantage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for ways to augment training on web design. After, web design applied to education in the use of storytelling possibilities, using storytelling and web design training plans and augment the educational value. Fourth, the education program of web design using storytelling is consisted of five stages; the first stage of preparations, the second stage of incubation, the third stage of expression, the fourth stage of representation, and the last stage of presentations and evaluations. Fifth, the storytelling approach wa applied to actual classes as part of the program of web design education. After arranging the result, the students' works and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and tested. The processes of the program of web design education using the storytelling method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stage of preparations, of setting goals. The need to bring in the concept of creative web design recognition. And the concept design and production requirements for the components and understand. Storytelling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web design applied to the case. The next step to the subject's home page, menus, presented the resolution. The second stage of incubation, set design and planning. Targeted users to set up and analysis. The third stage of expression, the concept ideas. Targeted and user-sensitive analysis, taking advantage of the concept of storytelling, from concept to deployment into the story to fit the theme. The concept of one of the deployed story written by then extract the image map, scenario building, and accordingly, the overall tone & manner is selected. The fourth stage of representation, the design visualizatio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one & manners and scenarios in web design and visualization. The fifth stage of presentation and evaluation, presentation and evaluation. Each individual works of the design process and presentation, and receive feedback. This study made attempts to suggest and make use of the storytelling in the educational program of wed design,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idea education in web design using storytelling, and to increase the students' creative ideas by stimulating their potential imagination. The teachers should take the roles to deter accidental ideas and imitation of the students, to induce ideas based on systematic approaches, and to build the curriculum along with the students. 21세기는 다양하고 빠르게 변화되어 가는 창조화 시대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그에 따른 능동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창조화 시대에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개인의 창조성이며 창의성이다. 감성이야말로 인간이 지닌 무한한 창조성의 바탕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급속히 변화하는 창조화 시대를 주도할 학생들을 교육하기 위해, 학생들의 잠재적인 능력을 키워주고 시대적 흐름에 맞는 창의력을 개발하는 디자인교육이 필요하다. 웹디자인 교육 또한 빠르게 변화되어가는 분야 중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특성이나 학생들의 많은 관심과는 다르게 변화에 민감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시대적 흐름에 맞는 학습내용을 선택하여 학습의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보편화된 단순한 비주얼 형식만의 교육법이나 웹 제작 프로그램에 치중된 교육은 새로운 시대와 요구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고, 웹디자인에 맞는 발상방법 또한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문계 고등학교 웹디자인 교육에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시대적 요구에 맞는 아이디어 발상법을 제안하고, 이를 교육프로그램에 개발하여 웹디자인 발상 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첫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웹디자인 교육의 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제 7차 교육과정의 웹디자인 관련 교육단원과 내용에 대하여 분석한 후 전문계 고등학교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웹디자인 교육현황 및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여 수업안의 제시를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 둘째,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웹디자인 교육의 의의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웹디자인 교육의 필요성을 밝히고, 웹디자인과 스토리텔링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웹디자인에 스토리텔링이 적용된 사례를 학습시킨다. 셋째,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웹디자인 교육의 교과방법으로 웹디자인 교육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고, 웹디자인 교육에 스토리텔링 활용의 적용 가능성,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웹디자인 교육 방안과 교육적 가치에 대해 알아본다. 넷째,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만들어진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웹디자인 프로그램 단계는 1단계 준비단계, 2단계 부화단계, 3단계 발현단계, 4단계 표현단계, 5단계 평가단계로 총 5단계로 구성된다. 다섯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웹디자인 교육프로그램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그에 따른 결과를 정리하고, 교육과정의 검증을 위해 학생들의 작품과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검증한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웹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진행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단계 준비단계는 목표설정을 위한 단계로 웹디자인의 창의적 컨셉 도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웹디자인의 개념 및 구성요소와 제작요건 등에 대해 이해한다. 또한 스토리텔링의 이론적 배경 및 스토리텔링이 활용된 웹디자인 적용사례를 설명한다. 다음 단계를 위하여 홈페이지의 주제, 메뉴, 해상도를 제시한다. 2단계 부화단계는 디자인기획을 위한 단계로 타겟(Target)을 설정하고 사용자 분석을 한다. 3단계 발현단계는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단계로 타겟(Target)과 사용자 분석에 맞는 컨셉을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주제에 맞게 스토리 컨셉을 전개한다. 전개한 스토리 컨셉 중 한 개를 추출하여 이미지 맵을 작성한 다음, 그에 따라 시나리오를 구축하고, 전체적인 톤앤매너(Tone & Manner)를 선택한다. 4단계 표현단계는 디자인 시각화를 위한 단계로 결정된 톤앤매너(Tone & Manner)와 시나리오에 따라 웹디자인을 시각화 한다. 5단계 평가단계는 발표 및 평가단계를 위한 단계로 각자의 디자인 과정과 개별 작품을 발표하고, 피드백을 받는다.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웹디자인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학생들의 잠재되어 있는 상상력을 자극해 창의적인 발상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발상방법을 통한 아디이어 발상을 유도해야 하고, 학생들과 함께 교육과정을 만들어가는 실천가로서의 역할을 자임하고 나서야 할 것이다. 또한 디자인 발상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디자인의 밝은 미래를 이끌어가야 할 것이다.

      • 미술의 이해에 기초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오수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가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생활 속에 존재하는 아름다움을 바라볼 수 있는 미적 안목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미술의 이해에 기초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미술교육은 창의력 향상을 위한 표현중심 교육에 치우쳐 미술이 삶 속에서 다양하고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미술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미술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미술활동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학습자의 미적 안목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가능성 여부를 위해 수행하도록 한다. 미술의 이해를 바탕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실기제작, 미술사, 미술비평, 미학의 4영역으로 구성된다. 3-4차시의 4가지 수업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은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한 심석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4주 동안 실시된다. 본 연구를 위해 DBAE(Disclplined Based Art Education)개념 및 성격, 구조에 대한 이해를 구하고, 한국에서의 DBAE 선행 연구를 고찰하며, 7차 교육과정과 DBAE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수행평가 방식을 살피는 문헌 연구방법이 사용된다. 그리고 개발된 4개의 프로그램은 어떻게 DBAE적 접근이 서양의 현대 작가의 예술작품을 이해시킬 수 있는지 보여주는 내용의 실험 연구방식을 포함한다. 실험집단에는 미술의 이해를 바탕으로 개발한 수업모형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에는 제작활동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수업방식을 그대로 적용하여 그 결과를 미술태도검사지와 수업결과물인 감상문, 자기평가지, 교사의 체크리스트, 실기작품을 통하여 분석해 봄으로서 학습자의 미적 변화 정도를 알아보도록 한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가의 작품을 볼 기회를 자주 갖기 때문에 아동의 시각적 경험이 풍부해진다. 둘째, 미술가의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면서 미술에 대한 이해와 사고가 촉진된다. 셋째, 매체와 기법 사용에 대한 숙달로 미술에 대한 자신감을 갖는다. 넷째, 체계적으로 조직된 미술수업은 아동의 창의성에 도움이 된다. 다섯째, 이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생활 속에 존재하는 미적 대상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향유할 수 있는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DBAE and its implication on current Korea art education era and to present art programs based on the DBAE approach. Since students have been taught to make their efforts only to improve their ability in expression, we do not acknowledge art has an important effect on our lives. AS an attempt to solve these problems of art curricula, the researcher applied the art curriculum of DBAE which improve student's artistic vision through experiencing various art activities that art compose of 'Understanding of Art' to elementary art education. This program is supported by producing art pieces art history, art criticism and esthetics on the basis of DBAE. The sixth graders from Simsuk Elementary School at Namyangju, Kyenggido participated in this 4 - week program which consist of 4 units of three to four hour's class's. The study included the applicability of DBAE through presenting a DBAE program model, investing researches studied on DBAE in Korea, the relationship between DBAE and 7th Korean National Art Education, DBAE and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s. : and four art programs presented to show how DBAE approach is applied for appreciating art works by contemporary western artists. And the researches made inquiries about changes in student's esthetics senses through test papers and questionnaires by applying the same subject a s a creative self-expression art curriculum to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t a s follows: The effects of the DBAE class art that (1) the visual experiences the student become plentiful due to their frequent chances to look at a pieces, (2) their comprehension and thinking about art are promoted by talking about art pieces, (3) they gain confidence in art due to the proficiency in using technique and media (4) the art education composed of systematic teaching method helps the children with originality of them, (5) this program proved to be a better method to enhanced children's attitudes on art which was significant, and (6) more DBAE programs and its artistic approach should be carefully investigated and developed for students to fulfill their various needs.

      •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창의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및 창의적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오수연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창의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및 창의적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창의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창의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창의적 리더십 수준에 따라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및 창의적 역할수행에 차이는 있는가?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 및 경기, 인천 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직하고 있는 보육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창의적 리더십 측정을 위해 이경화, 박춘성(2014)이 연구 개발한 성인 창의적 리더십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조직몰입에 대한 측정도구는 강영숙(2013)의 연구에서 사용한 조직몰입 측정도구, 창의적 역할수행에 대한 측정도구는 박성애(2017)가 어린이집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와 분석 방법은 SPSS Statistic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Cronbach α를 산출하였고, 중다회귀분석과 평균비교분석(t-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지각하고 있는 원장의 창의적 리더십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보육교사가 지각하고 있는 원장의 창의적 리더십은 보육교사의 창의적 역할 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보육교사가 지각하고 있는 원장이 창의적 리더십은 상, 하 수준에 따라 보육교사의 조직몰입과 창의적 역할수행에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창의적 리더십 수준이 높은 경우에 조직몰입과 창의적 역할수행에 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창의적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및 창의적 역할수행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reative leadership of director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reative job performance of child care teacher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answered. First, does the leadership of the director perceived to be creative by the child care teacher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m? Second, does the leadership of the director perceived to be creative by the child care teacher affect creative job performance of them? Third, are ther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creativ e job performance of the hild care teach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creative leadership shown by the principa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0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day 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In this study, the adult creative leadership test tool developed by Lee Kyung-hwa and Park Chun-sung(2014) was used to measure the creative leadership of the director perceived by the childcare teachers,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measurement tool used in the study of Kang Young-sook (2013) was used to measur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creative job performance measuring tool revised and supplemented by Park Sung-ae (2017) was used to measure the creative job performance.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methods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4.0 program. Cronbach alpha was calculated for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reative leadership of the director perceived by the childcare teachers affects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childcare teacher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reative leadership of the director perceived by the childcare teachers affects the creative job performance of the childcare teachers. Thir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reative job performance of the childcare teachers according to the upper and lower level of creative leadership of the director perceived by the childcare teachers. In particular, when the level of creative leadership is high, there is a bigger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reative job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reative leadership of directors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reative job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