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궐 후원 춘당대의 형성과 기능

        오샛별 명지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춘당대(春塘臺)는 동궐 후원의 대표적인 궁중 행사장이었다. 조선시대의 궁궐은 국가를 운영하는 장소이면서, 임금이 생활하는 공간이었다. 안정된 국정 운영을 위해서 다양한 행사들이 궁궐에서 치러졌다. 이러한 행사들에는 많은 인원이 집결하였기 때문에 넓은 부지와 궁궐의 내⋅외부에서 접근이 유리한 장소를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후원은 전각이 모여 있는 곳보다 행사를 치르기 위한 공간 확보에 유리했기 때문에 이곳에 궁중 행사장이 조성되었으며, 그 대표적인 장소가 바로 춘당대이다. 동궐의 후원은 조선 초기 태종대에 창덕궁내에 전각이 있는 구역 밖에 정자(亭)와 누각(樓)을 지어서 이용하기 시작하였다. 세조대에는 창덕궁의 담장을 확장하여 후원의 경계가 확정되었다. 성종대에 창덕궁의 궁성 북쪽에 있는 문들의 이름이 붙여져 후원이 완성되었다. 후원이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연산군대로 특히 후원 초입부에 대(臺)가 조성되었다. 집회나 군사훈련 등의 다목적 행사 공간으로 사용되었고, 이 시기에 춘당대가 처음 등장하였다. 중종대부터 춘당대가 본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임진왜란 이후 광해군대에 궁궐의 복원되는 시기에 춘당대도 재건되었다. 광해군대에 영화당이 다시 지어졌으며, 인조대에 후원이 적극적으로 개발되면서 관덕정과 관풍각이 건축되었다. 이후 춘당대에 설치된 영화당, 관덕정, 관풍각 등은 춘당대에서 행사할 때 중심 거점 시설물로 사용되었다. 춘당대는 응봉에서부터 내려오는 산줄기로 둘러싸여 있으며, 산자락 사이로 개울이 흐르고 있어서 완만한 곡부가 형성된 넓은 골짜기이다. 골짜기의 중앙부에 상당히 큰 방지(方池)가 있다. 이 방지를 중심으로 골짜기의 지형적 특징에 따라 춘당대는 세 구역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춘당대의 서쪽 산자락의 높고 평평한 대지 위에 영화당이 있고, 동편에 남쪽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에는 관덕정이 있다. 중앙부를 흐르는 개울은 연못과 농경지와 이를 관찰하기 위한 관풍각을 지나서 남쪽으로 흘러내려 간다. 이 세 영역은 위치적으로 구분될 뿐만 아니라 춘당대의 기능을 나누어 담당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영화당 영역은 여러 가지 목적의 집회 장소로 이용되었다. 문무 과거시험을 치르고, 유생들의 제술시험을 하던 장소이며, 망배례(望拜禮)와 재숙(齋宿)을 하던 곳이다. 관덕정 영역은 관사(觀射), 시사(試射) 등의 활쏘기를 위한 사정(射亭)으로 사용되었다. 활쏘기 외에 열무(閱武), 관무재(觀武才), 호궤(犒饋) 등 다양하게 군인들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한 장소이다. 관풍각 영역에서는 임금의 공간인 궁궐 안에 농경지와 잠단을 두어서 농사형편을 직접 살펴보고 민생이 안정되기 위한 농사와 양잠(養蠶)을 권장하였으며, 한 해 농사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기우제를 지내기도 하였다. 이 세 영역을 포괄하는 춘당대는 임금이 안정된 국정운영을 하기위해서 필수적인 인재 등용, 군사 훈련, 농상(農桑) 장려 등을 수행하던 공간이었다. 조선시대의 국가경영에 핵심적인 행사들이 진행되었던 후원의 대표 궁중행사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춘당대라는 공간이 가지고 있는 문화자원적 가치를 밝혀냄으로써 춘당대가 위치한 후원의 기능과 본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Chundangdae was the main court venue of Donggwol Palace‘s Rear Garden.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palace was a place for management of the country as well as the King’s living space. To ensure stable management of state affairs, various events were held in the palace. Since such events brought together a large number of people, it was necessary to provide a spacious site with favorable access from both inside and outside the palace. As the Rear Garden was more favorable in securing space than the place where the buildings were located, the court venue was established here, and the most representative site was Chundangdae. The Rear Garden of Donggwal Palace began to be used when two pavilions were built outside the hall area of the palace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of King Taejong. King Sejo expanded the walls of Changdeokgung thus enlarging the boundaries of the Rear Garden. King Seongjong completed the Rear Garden by naming the gates north of the palace. Yeongsan-gun used the Rear Garden in earnest, especially making a pedestal in the entrance of the Rear Garden. This site was used for multipurpose activities such as assembly and military training, and Chundangdae first appeared in this period. Chundangdae was used in earnest starting from King Jungjong, and in the Gwanghe-gun perio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Chundangdae was rebuilt during the restoration of the palace. Yeonghwadang was rebuilt in the Gwanghae-gun period, and as the Rear Garden was actively being developed under King Injo, Gwandeokjeong and Gwanpunggak were constructed. Since then, Yeonghwadang, Gwandeokjeong, and Gwanpunggak, which were all established in Chundangdae, were used as the base facilities when an event was held in Chundangdae. Chundangdae is surrounded by the mountain ranges coming down from Eungbong, and it is a wide valley with streams flowing through the hillside. In the middle of the valley, there is a fairly large square shaped pond. With this pond as the center, Chundangdae can be divided into three areas based on the topographical features of the valley. Yeonghwadang is located in the high and flat area of the west foothill of Chundangdae, and Gwandeokjeong is located on the mountain range flowing south from the east side of Chundangdae. A stream that flows southward through the center part passes the pond, farmland, and Gwanpunggak which observes this view. These three areas were not only distinguished geographically, but also served as the functions of Chundangdae. Yeonghwadang area was used as a place for assembly for various purposes. It was a test site for gwageo tests of literary and martial arts, and for literary composition tests by students of Confucianism, and it was also used for memorial services such as Mangbaerye and Jaesuk. Gwandeokjeong area was used as a archery range for watching and assessment. In addition to archery, this place also served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soldiers such as inspection of troops, martial arts examination, or banquets for soldiers. Lastly, in the Gwanpunggak area, a farmland and an altar (jamdan) was placed within the palace, the king’s space, in order for the king to directly inspect the farming conditions as well as encourage agriculture and sericulture for the public stability, and also rituals for rain would be held wishing for a good farming year. Chundangdae was a place for the king to administer essential state affairs such as recruiting talent, military training, and encouraging agriculture and sericulture. It could be defined that it was a representative palace event venue of the Rear Garden where fundamental state management events of the Joseon Dynasty were held. By discovering the spatial and cultural value of Chundangdae, this study aims to be helpful in the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s and essentials of the Rear Garden in which the Chundangdae is located.

      • 폐암세포에서 Death Receptor의 과발현과 STAT3 활성 억제를 통한 Tectochrysin 의 항암효과

        오샛별 충북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사람 폐암 세포인 A549와 NCI-H460 에서 tectochrysin 이 Death receptor (DR) 들의 과발현과 STAT3 인산화의 억제를 통하여 암세포 성장을 억제시킨다는 기전을 연구하였다. Alpinia oxyphylla에서 추출한 tectochrysin은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자살의 기전을 통하여 폐암세포인 A549와 NCI-H460 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DR3와 FAS의 발현도 또한 두 암세포에서 수반하여 증가하였지만, 항 세포자살 단백질인 Bcl-2 의 발현은 감소하였다. Cleaved caspase-3, Cleaved caspase-9, Cleaved caspase-8 그리고 Bax를 포함한 DR의 하부 기전 단백질들의 발현도 또한 증가하였다. Tectochrysin 투여는 또한 A549와 NCI-H460 세포에서 STAT의 인산화를 억제시켰다. 게다가, siRNA에 의한 DR3와 FAS의 발현의 억제는 두 세포에서 모두 STAT3의 억제뿐 만 아니라 tectochrysin을 통한 세포 성장 억제 효과도 또한 반전시켰다. 그러므로 이번 실험의 결과로서 tectochrysin은 DR3와 FAS의 과발현과 STAT3 인산화의 억제를 통해 폐암세포에서 세포의 성장 억제를 일으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Tectochrysin, a phenolic compound isolated from Alpinia oxyphylla Miquel, was investigated whether it inhibits cancer cell growth through suppression of STAT3 phosphorylation and enhancement of death receptor (DR)s in the human lung cancer cells; A549 and NCI-H460. Tectochrysin (0-80 M) suppressed the growth of A549 and NCI-H460 lung cancer cells by inducing of apoptotic cell death in a concentraion dependent manner. Expression of DR3 and Fas as well as DR downstream pro-apoptotic proteins including cleaved caspase-3, cleaved caspase-8, cleaved caspase-9 and Bax were concomitantly increased, but the expression of anti-apoptotic proteins; Bcl-2 was decreased in both cancer cells. In addition, tectochrysin treatment also inhibited phosphorylation of STAT3 in A549 and NCI-H460 cells. However, deletion of DR3 and Fas by small interfering RNA significantly reversed tectochrysin-induced cell growth inhibitory effect as well as down regulation of STAT3 in A549 and NCI-H460 lung cancer cells. Moreover, combination of low concentration tectochrysin (20 M) and TWEAK (6 nM) or FasL (6 nM) synergistically inhibited both lung cancer cells growth accompanied with inhibition of STAT3. Docking model showed interaction of tectochrysin with STAT3. Therefore, our results indicate that tectochrysin leads to apoptotic cell death in lung cancer cells through activation of DR3 and Fas expression via inhibition of STAT3 phosphphorylation.

      • 청소년 평생교육 프로그램 영역 확장을 위한 연구 : 댄스테라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오샛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청소년기는 인생의 목표와 방향을 탐색하고, 자아실현을 위한 기본적인 자질 및 필요한 능력을 갖춰야 하는 시기이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전인적으로 조화롭게 잘 성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청소년평생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청소년평생교육은 학교교육에 기대어 지식교과 위주로 편중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청소년평생교육 영역을 확장하고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기 위해서는 이종학문 영역을 평생교육 안으로 융합하는 것이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질환이나 정서적 문제를 갖고 있지 않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이종학문 영역의 댄스테라피 프로그램이 정서·행동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밝혀 평생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이종학문 영역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정서·행동발달 검사지(AMPQ-Ⅱ)를 실시하여 걱정 및 생각, 기분 및 자살, 학습과 인터넷, 친구문제, 규칙위반 및 가해 행동 등 5가지 영역에서 댄스테라피 프로그램의 효과가 있었는지 측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댄스테라피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참여자들이 인지하는 댄스테라피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실험집단과 동일한 조건에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별도의 프로그램은 제공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과 절차에 따라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에게 댄스테라피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정서·행동발달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정서·행동발달의 평균값이 4.13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학생들의 정서 행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통제집단의 정서·행동발달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정서·행동발달에 차이가 없었으며 오히려 정서·행동발달의 평균값이 1.31점 증가하였다. 셋째, 실험집단에게 댄스테라피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심층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걱정과 불안의 감소, 우울과 무력감의 감소, 친구관계의 회복, 스트레스 해소에 대해 효과가 있었고 더불어 자아존중 및 자신감과 긍정적인 사고, 긍정적인 자아감을 형성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청소년들에게 이종학문 영역의 댄스테라피 프로그램이 정서·행동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종학문 영역의 프로그램이 청소년 평생교육 프로그램으로서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지금까지 평생교육에서 이종학문 영역 프로그램을 활용하려는 시도는 얼마 되지 않았다. 청소년평생교육에서 이종학문 영역의 융합은 프로그램의 유연성과 풍부한 내용, 다양한 소재를 확보할 수 있고 청소년평생교육의 영역을 보다 더 확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이종학문 영역 프로그램의 활용에 대한 교육적 연구가 필요하며, 이종학문 영역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시도를 통해 청소년평생교육의 다양화를 실천해야 한다. An adolescent period is when teenagers explore their own life goals and directions. Also, this is when they need to develop basic qualities and abilities necessary for self-realization. Therefore, in order for teenagers to develop holistically and harmoniously, a variety of adolescent lifelong education program needs to be provided. However, current adolescent lifelong education relies upon school education and operates placing too much emphasis on subject matter knowledge. It is not fully performing its role. In order to expand adolescent lifelong education domain and diversify its programs, one can suggest uniting the interdisciplinary study domain within the lifelong education domain. This study investigates applicability of the interdisciplinary study domain program as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by investigating effects of dance therapy in the interdisciplinary study domain on adolescents’ emotional and behavioral development. The study subjects have been confined to adolescents who do not have mental disorder or emotional problems. For this study, an emotional behavior test (AMPQ-Ⅱ) has been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dance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the following 5 areas : “concerns and thinking”, “emotions and suicide”, “study and internet”, “friend issues” , and “violation of regulations and wrongdoings”. A preliminary test was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fter the dance therapy has been provided to the group, a post test was conducted to check its effectiveness. Also,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on the participants to examine perceived effectiveness of the dance therapy program. The same preliminary and post test have been conducted on the control group under the condition and no separate program was offered. Results from the explained study methods can be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 First, by analyzing changes i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develop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dance therapy program, a generally positive effect was observed. The average score of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development decreased by 4.13 point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result analysis shows that there was a change in emotional behavior of the students. Second, an analysis on the changes in the control group’s emotional and behavioral development shows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development and on the contrary, the average score of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development increased by 1.31 points. Third, the dance therapy program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follow up in-depth interview had a positive effect on decreasing worries and anxiety levels, depression and feeling of helplessness, recovery of friendships, relieving stress as well as increasing the self-respect, confidence and positive thinking. Through such study results, one can see that the dance therapy program in the interdisciplinary study domai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development and confirm that the interdisciplinary study domain has applicability as an adolescent lifelong education program. Until now, there have not been many attempts to apply interdisciplinary study domain program in adolescent lifelong education. Uniting the interdisciplinary study domain within the adolescent lifelong education could provide flexibility, rich contents, and various subjects for the program and could help expand the domains of the adolescent lifelong education. Therefore, academic research on various applications of interdisciplinary study domain and diversification of the adolescent lifelong education through various approaches and attempts on interdisciplinary study domain is necessary.

      • Facile Covalent Attachment of Well-Defined Poly(t-butyl acrylate) on Carbon Nanotubes

        오샛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55

        탄소나노튜브가 발견 된지 20 여 년 정도 임에도 불구하고 그 응용분야는 점점 더 증대되고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그 벽의 수에 따라 단중벽 탄소나노튜브(SWNT), 이중 벽 탄소나노튜브(DWNT), 다중 벽 탄소나노튜브 (MWNT)로 나뉜다. 탄소나노튜브는 물리적, 전기적, 열적, 및 광학적 우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분자 철사, 센서. 강 섬유, FED, 수소저장 및 연료전지, 전기 이중층 축전기, 전기화학적 이온분리 전극, 극미세 전자 스위치소자, 고기능 복합체 등 여러 상업적 분야에 이용 되며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응용분야에 있어서의 어려움은 탄소나노튜브 고유의 성질에 의한 bundling 현상에 의해 유기용매에 대해 용해성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탄소나노튜브의 용해성을 증가시키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기존의 실험에서는 탄소나노튜브의 용해성을 증가 시키기 위해 튜브의 외벽과 꼭대기 쪽에 개시제를 붙여 고분자를 자라게 하는 graft-from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이와 달리 본 논문에서는 ATRP 합성법으로 이미 합성해둔 잘 규격화된 고분자를 탄소나노튜브에 라디칼 반응으로 도입하였다. 이 방법을 graft-onto 방법이라 한다. 이 방법은 graft-from 방법과는 달리 반응이 좀더 단순하며 손쉽게 반응 양을 늘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poly(t-butyl acrylate)를 탄소나노튜브에 붙임으로써 CNTs를 개질 하였고, 고분자로 개질 된 CNTs는 CHCl₃ 유기 용매에 몇 달이고 가라앉지 않고 잘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 실험에서 사용하게 된 구리 촉매의 제거는 상업적 응용에 있어서 해결해야 할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 통일신라~조선시대 지진구의 변천과 지진의례 연구 : 건물지 지진의례를 중심으로

        오샛별 용인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地鎭具는 건물을 짓거나, 도로를 낼 때, 또는 농경지나 무덤 등을 만들 때 땅의 기운을 누르기 위해 묻는 의례용 유물이다. 이러한 지진구에 대하여 그동안 몇몇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대부분 특정지역이나 특정시기에 한정되었으며, 지진구로 사용된 유물의 변화양상이나 매납방법․내용물의 변화 등에 대한 단편적인 지진구 자료 그 자체에 대한 검토가 대부분이었다. 최근 건물지 발굴조사의 증가로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시기의 건축물과 관련된 고고학 자료가 축적됨에 따라 지진유구 및 지진구 자료도 증가하게 되었다. 이를 통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진구의 기종․매납위치 및 매납방법 등의 변화를 어느 정도 알 수 있게 되었으며, 거기에 반영된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건축과정에서 행해졌던 의례에 담긴 관념과 사상 등을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이 확보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지진구 매납의 본래 목적과 의미라 할 수 있는 의례적 관점에 주안을 두고, 여러 건축과정에서 이루어졌던 지진의례의 의미․내용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통일신라시대 이전의 건축․건물지와 관련된 지진구 자료를 검토하여 지진구 인식의 유래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진구는 농경생활의 시작으로 定住하게 된 신석기시대부터 주거지에서 나타난다. 신석기시대나 청동기시대에는 주로 기둥의 아래 부분에 토기 등을 놓았던 것이 확인된다. 주혈의 내부나 초석 아래에서 출토된 토기편 중에는 불에 그을르거나, 인위적으로 파손시킨 흔적이 있는 경우도 있으며, 이러한 예들은 시원적 형태의 지진유구․유물이라 할 수 있다. 삼국시대 이후가 되면 지신에 대한 관념이 한층 더 구체화되고 뚜렷해져 지진의례가 더욱 성행하는 경향을 보인다. 본고의 연구대상 시기인 통일신라시대 이후의 건축과 관련된 지진구의 출토양상을 통하여 건축의례의 제유형과 그 변천과정에 대해서 파악하였다. 건축의례는 건축공정단계와 매납위치에 따라서 기초시설, 기단, 적심, 중정, 담장과 문지 등 5가지 유형으로 크게 분류하였다. 그리고 지진유구․유물에서 나타나는 지진의례의 특징들을 검토하고 문헌자료와의 대비를 통하여 단계별 지진구의 의미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먼저 지진구의 매납 양상은 Ⅰ∼Ⅴ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지진유구의 존속 시기에 대한 편년결과와 비교하여 그 변화양상과 원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Ⅰ유형에서 Ⅲ유형으로 점차 전환되는 것은 건축기술의 발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Ⅳ유형은 일정한 시점에 새롭게 등장한 형식으로 당시에 유행하던 사상과 관념이 반영된 결과로 나타난 유형이라 할 수 있다. Ⅰ․Ⅱ․Ⅲ․Ⅳ유형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반면에, Ⅴ유형은 전 시기에 걸쳐서 나타나고 있다. 이 유형은 지진구가 건물의 내부와 외부가 분리되는 경계에 매납된 것으로 보아, 내부의 공간을 외부와 구분되는 신성하고 중요한 장소로 여긴 관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이른 시기부터 확인된다. 다음으로 지진유구 및 지진구에 나타나는 의례 흔적들을 분석․검토해 봄으로써, 의례의 절차나 내용․의미에 접근하였다. 지진구의 매납방법 중 특히 ‘十’자 형태로 배치․매납된 것은 음양오행사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지진용기의 보호 덮개시설을 분석한 결과, 토기․도기․자기․기와 등 다양한 기종이 사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보호 덮개가 2점 이상으로 중층으로 덮인 경우에는 기와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이와 함께 기와 1점이 덮개로 轉用되어 사용된 경우가 다수 확인되었다. 이를 보아 용기와 덮개 자체가 건물과 지붕을 형상화하였을 가능성이 타진되었다. 또한 지진구 중에는 구연부가 국부적으로 파손된 경우가 종종 있는데, 지진의례에 봉납된 내용물의 격납을 위한 것과 의례과정 중에 의도적으로 파손시킨 것 등의 2가지 의미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진구의 내용물로는 황칠이나 천석․숯과 같이 건축의 部材로 사용되는 것이나, 수은․유리구슬․견과류 등과 같이 특별한 의미를 지닌 것이 매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내용물은 건물의 永安이나 건물에서 지내는 사람의 無事安寧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 논의된 결과를 『林園經濟志』, 『增補山林經濟』 등의 문헌에서 확인되는 건축관련 기록과 건축의례의 하나로써 행해졌던 지진의례의 절차와 비교하여 지진구에 담긴 의미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지진구는 땅의 기운을 누르는 의미로 지신에게 봉납된 것이며, 다른 의미로는 음양설의 관념이 반영되어 땅과 건물의 조화를 이루기 위한 매개체의 역할을 한 것으로 이해되었다. 건축을 하기 위해서는 땅을 파헤치고 지형을 변화시키는 것이 불가피한데, 지진구를 매납함으로써 음과 양이 조화가 이루어서 불균형을 상쇄되었으며 기의 흐름도 활달하게 되었다. 또한 문헌사료에서 나타나는 건축의례의 단계와 지진유구의 매납 양상을 비교한 결과, 건물지에서 행해진 지진의례는 매납된 위치에 따라 각기 의미와 목적이 달랐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지진유구의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are ceremonial artifacts that were buried to press the earth’s spirit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building a road, creating farmland, or a grave. There have been previous research on these utensils, however most were limited to certain areas or times, and carried out in fragmentary studies of variation of the contents or methods of burying. Recent increase in the excavations of construction sites have risen the amount of archeological specimens referring to various eras around the nation. In addition, more information on the ancestral rites’ spacial and instrumental could be achieved. Through this, one is able to acknowledge the change of burial sites or methods of the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over time. Also, by analyzing the reflected meanings, the fundamentals of studying the ideology and philosophy have been attained. This research will mainly focus on the primary purpose of the burial of utensils, and the meaning and contents considering various construction processes. First is the origin of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by examin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buildings and sites before the unified Silla period.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can be noticed from the New Stone Age when settlement and agrarian society began. In the New Stone Age or the Bronze Age, the utensils seem to be mainly buried under the pillar or the cornerstone, and these artificial evidence can be considered as the burial sites' relic. When it comes to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the god of the earth becomes more specific and strong so that the ancestral rites are more prevalent. Next, the ritual methods and its change of the ceremony for construction study was carried out by examining the buildings and related burial sites of the excavation post unified Silla period. Ceremony for construction can be classified into 5 categories by process or burial location; basic facilities, the stylobate, jeoksim (rocks placed inside the dug holes for firming the ground), courtyard, and wall. Comparing the ritual site evidence with the categories above, the meanings of the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can be considered. Categorizing the burial aspects of the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from type I to type V, the research began with the comparison study on each burial site's change according to its chronology, and it seemed to show a correlation. The transition from type I to type III is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in construction techniques. Type IV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ideology or philosophy that was new or popular at that period of time. While types I, II, III, and IV have changed during time, type V is evident throughtout the whole time expansion. In this type, the buried utensils are located between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This can mean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pace was accepted as sacred and important from this point. Next, the study of the meanings and contents regarding the methods of the ceremony was carried out by reviewing the burial evidence appeared in the burial sites and utensils. One of the burial methods, the ‘十’shape burial can be understoo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Meanwhile, examining the various cover models of the utensils, one can see that the middle layer cover is usually of roof tile and that there are many samples of one roof tile being utilized as the cover. With the meaning of roof tile cover, the opinion of the possibility that the cover itself could have embodied the roof of a building was tapped. The reason for the many damaged burial sites can be understood in two ways; one is due to the containment of the votive offering and another is due to artificial damage. In the end,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been compared with the meaning and contents of the ceremony for construction and by this means, the methods and procedure for the ancestral rites sited in the documents such as Imwongyeongjej and Jeungbosallimgyeongje. Consequently, the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were offerings for the god of the earth in order to press the earth's spirit. Another interpretation could be about harmonizing the earth and the building through th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Digging the earth and changing the geographical features are inevitable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So by burying the utensils for ancestral rites were believed to offset the imbalance and create harmony among the Yin and the Yang. Also, by reviewing previous work and the types of burials, the meanings and purposes of the rituals could have been different according to the location the ceremony was carried out. Therefore the various methods in carrying out the ceremony for construction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the burial types of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and the meanings can be comprehended as a result of the ideologies and philosophy reflected on the ceremonies; such as popular beliefs,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 Study on microlayer and critical heat flux using the integrated infrared thermometry-total reflection-laser interferometry technique

        샛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1327

        To examine the fundamental heat transfer mechanisms involved in the boiling heat transfer, the observation of the interaction of the dynamics of the triple contact line, which separates the dry and wet regions on the boiling surface and the heat transfer in each region is essential. A unique optical setup integrating infrared thermometry, total reflection and laser interferometry techniques was introduced to simultaneously measure the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liquid-vapor phase boundary including the microlayer geometry. It was applied to explore the fundamental processes for microlayer and critical heat flux (CHF). During the microlayer formation and evaporation processes for a single bubble nucleate boiling in a pool of saturated water under atmospheric pressure, a complete picture of the bubble geometry including the triple contact line, microlayer and macroscopic bubble and the associated local temperature were obtained. Extant prediction models of the initial microlayer thickness that use an idealized hemispherical bubble shape and neglect surface tension force significantly overestimate microlayer thickness measured in experiment. The observation results revealed that the non-hemispherical shape and surface tension of the bubble play a critical role in determining initial microlayer thickness. Theoretical analysis also indicated that the short-lived residual flow could play a key role in microlayer formation. Finally, a sophisticated model of initial microlayer thickness, developed to take into account the three identified mechanisms, provided predictions in agreement with experiments for different fluids. In addition to the microlayer formation, the heat transfer mechanisms associated with the microlayer, including the heat flux of microlayer evaporation, the wall heat flux beneath the microlayer, and the conduction heat flux across the microlayer, were estimated and then systemically compared each other. It was found that neglect of the interfacial resistance in microlayer evaporation model, which is a conventional assumption in the modelling, made a significant uncertainty in predicting the heat flux in microlayer. The value of the evaporation coefficient between 0.1 and 0.01 was suggested for the accurate prediction for the evaporation process in the microlayer. The dynamics of dry patches underneath massive bubbles during the pool boiling of saturated water under atmospheric pressure, and measured the associated temperature distribution was also observed to reveal the CHF triggering mechanism. The observations provided evidence that the critical heat flux phenomenon is triggered during the rewetting of large dry patches with periphery temperatures that are much lower than minimum film boiling temperature, so-called Leidenfrost point. As the liquid meniscus advanced toward the dry patch, numerous secondary bubbles nucleated and impeded the flow of liquid toward the dry patch. This prevented the liquid from rewetting the dry patch. The key physical mechanism for triggering CHF is initiated when the line density of the secondary bubbles nucleating at the periphery of a shrinking dry patch underneath a departing mushroom bubble exceeds a critical value. These bubbles completely block the liquid inflow into the dry patch and prevent rewetting, eventually causing the dry patch to expand irreversibly. An empirical value of the critical line nucleation site density in the present experimental condition was determined. 최근 컴퓨터 계산성능이 크게 향상됨에 따라 이상유동 전산수치해석 및 직접수치모사와 같은 작은 스케일의 해석도구를 사용하여 비등열전달 현상을 보다 정밀하게 해석할 수 있게 되었다. 작은 스케일 해석 도구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해석 코드 내 모델 검증 및 코드 성능평가를 위하여 비등현상과 관련된 기본적인 메커니즘에 대한 실험 연구의 필요성 또한 증대되었다. 비등열전달과 관련된 기본적인 메커니즘을 조사하기 위하여 비등 벽면에서 건조 영역과 젖음 영역을 분리하는 삼중선의 거동 및 삼중선 거동에 따른 각 영역에서의 열전달 분포에 대한 상세 관찰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벽면 온도 분포 및 미세액막층 구조를 포함한 액상-기상 분포를 동시에 측정하기 위하여 적외선 열화상 가시화 기법, 전반사 가시화 기법 및 레이저 간섭 기법을 통합한 광학 기법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광학 기법은 미세액막층 및 임계열유속과 관련된 기본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활용되었다. 대기압 포화상태의 물을 이용하여 수평 벽면에서의 단일 기포 핵비등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기포하부 미세액막층의 형성 및 증발 과정 동안 삼중선, 미세액막층 및 거시적 기포를 포함한 완전한 기포 형상 및 관련 국소 온도 분포를 획득하였다. 기존의 초기 미세액막층 두께 예측 모델들은 이상적인 반구형 기포 형상을 가정하고 표면 장력의 영향을 무시하였으며, 초기 미세액막층 두께를 과대 예측하였다. 그러나 실험 관찰 결과는 기포의 비구면 형상과 표면 장력이 초기 미세액막층 두께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론적인 분석을 통해 미세액막층 내부의 잔여 유동이 미세액막층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였다. 따라서 세가지 확인된 메커니즘을 고려하여 초기 미세액막층 두께에 대한 이론적 예측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다양한 유체에 대해 개선된 예측 결과를 얻었다. 초기 미세액막층 두께뿐만 아니라 미세액막층과 관련된 세가지 열전달 열유속 (미세액막층 증발 열유속, 미세액막층을 통한 전도 열유속, 미세액막층 하부에서의 벽면 열유속)에 대한 측정 및 평가가 이루어졌다. 미세액막층 증발 열유속 예측 모델에서는 일반적으로 계면 저항을 무시하여 증발 계수를 무한대로 가정하지만, 계면 저항의 무시는 큰 예측 불확실도를 초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미세액막층 증발 열유속에 대한 예측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0.1-0.01 사이의 증발 계수 값이 제안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임계열유속 발생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하여 대기압 포화수에 대한 수평 비등 시 거대비등기포 하부 과열건조영역의 거동 및 관련 온도 분포를 측정하였다. 거대기포가 가열벽면에서 이탈할 때 벽면을 타고 밀려드는 미세액체유동이 삼중선 부근에서 순간적으로 생성되는 다수의 비등기포들에 의해 정지되어 재젖음이 실패하는 순간 임계열유속이 발생함을 관찰하였으며, 재젖음이 실패하는 순간 과열건조영역의 온도는 최소 막비등 온도인 idenfrost point보다 훨씬 낮은 온도를 가졌다. 즉, 임계열유속을 유발하는 주요 물리적 메커니즘은 과열건조영역 주변에서 형성되는 2차 기포의 선밀도가 임계값을 초과했을 때 건조영역으로의 액체 유입이 완전히 차단되어 재젖음이 실패하고 결국 건조영역이 비가역적으로 팽창하는 것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임계 기포선밀도 값을 제안하였다.

      • 바울 신학의 새관점에 대한 비판적 연구 : '하나님의 義'를 중심으로

        샛별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311

        Paul's theology which has been generally recognized in the Korean churches can be considered as the traditional perspective starting from Martin Luther. However, 'new perspective of paul's theology' has been discussed recently in New Testament Society of Korea. In ‘new perspective,’ totally different opinions have been argued from the traditional ones. It is considered that confusion is likely to be occurred when both different perspectives are met without discrimination by the church. Hence, this study aimed to summarize the traditional as well as new perspectives on paul's theology and to investigate how we could accept these two now. In this article, interpretation of paul's theology was summariz-ed first under the traditional perspective. Traditional perspective perceived ‘the righteousness of God’ as the main topic of paul's theology. Under the traditional perspective, ‘the righteousness of God’ was understood as passive righteousness exceeding from active one which was understood in Catholics in the Middle Ages. Passive righteousness, which empathizes God’s power, means that the righteousness of God can get not from the human’s effort but from the grace of God. This position has been started from Luther, and continued to Calvin, Wesley and Bultmann who was a scholar of existentialism. Upon reviewing their positions in detail, they showed some differences, however, God’s righteousn-ess was understood as an imputed righteousness that empathizes God’s power and His behavior of salvation. ‘New perspective of paul's theology’ which is totally different from traditional perspective had been emerged by Sanders. ‘New perspective’ was understood on the righteousness of God differe-ntly from the existing understanding. Upon ‘new perspective,’ the righteousness of God was insisted to be established in order to argue the positions of the Jews and the Gentiles in late Paul’s period, not as the main topic of paul's theology. Therefore, new perspective did not empathize the salvage by the righteousness of God but the problem solving in the dimension of tribes. and ‘New perspective’ was confirmed that it did not highlight God’s power but the responsibility of semi-Pelagianism human-beings. In this article, it was reviewed how we had to understand ‘the righteousness of God’ between these two perspectives, how we understood ‘the righteousness of God’ in the Old and New Testaments, and how Paul utilized ‘the righteousness of God’ Paul as a Jew developed its meaning not by ignoring the Old Testament but by succeeding it. the righteousness of God descri-bed in the Old Testament could be understood to be related with salvage ultimately and to recover God’s power. This God’s righteousness was used to describe the concept of God’s salvage in the New Testament. Also, for Paul who told about God’s righteousness, it was confirmed that he recognized and explained the righteousness of God as the concept of salvage that realized Jesus Christ and experienced the Holy Spirit. In this article, it was summarized how we should understand 'the righteousness of God' in the traditional and new perspectiv-es. It was found that the questions were different on the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and new perspectives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this article. The question was ‘how do we become brands?’ in the traditional perspective while it was ‘where is the position of the Gentiles?’ in the new perspective. Solution process and the results were different because the emphasis was different. Therefore, we could understand the righteousness of God by supplementing our weaknesses rather than the decision what was right and what was wrong in these differences. In fact, Paul explained on the righteousness of God in the Epistle to the Romans why we could get the righteousne-ss of God by the belief and why those who were recognized by God to be righteous had to build up commandment strongly. That is, those who got God’s righteousness could see the expla-nation not only on the belief but also on the reasonable behaviors for them.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we should accept and understand God’s power from traditional perspective and human's behaviors(works) empathized from new perspective complementa-rily each other when we understand the righteousness of God. 국문초록 한국교회에 보편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바울신학은 루터에 의해 시작된 전통적인 관점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한국신약학회에서 ‘바울 신학의 새 관점’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새 관점’은 전통적인 관점과는 상이하게 다른 입장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이한 두 관점에 대해 교회에서 구분하지 못한 채로 접하였을 때에 혼동이 일어나기 다분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바울 신학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과 새 관점을 정리하고 상이한 입장의 두 관점을 지금의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고찰하였다. 본 논문은 먼저 바울 신학의 전통적인 관점의 해석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전통적인 관점은 ‘하나님의 義’를 바울 신학의 중심주제로 보았다. 전통적인 관점에 의하면 ‘하나님의 義’는 중세 카톨릭에서 이해하는 능동적인 義에서 벗어나 수동적인 義로 이해하였다. 수동적인 義란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는 것으로 인간의 공로가 아닌 오직 하나님의 은혜를 통해서 하나님의 義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입장은 루터로 시작하여 칼빈과 웨슬리 그리고 실존주의학자인 불트만까지 이러한 입장은 이어져온다. 이들의 입장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조금씩 다르게 나타나지만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는 전가된 義와 하나님의 구원의 행위로서 하나님의 義를 이해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전통적 관점과 상이하게 다른 ‘바울 신학의 새 관점’은 샌더스에 의해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새 관점’은 하나님의 義에 대해서 기존의 이해와 다르게 이해하였다. ‘새 관점’에 의하면 하나님의 義란 바울의 중심 주제가 아니라 바울의 후기에 유대인들과 이방인의 입장에 대해 논쟁하기 위해 세운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새 관점은 하나님의 義를 통하여 구원을 강조하였던 것이 아니라 종족적인 차원의 문제를 해결한 것에 강조점을 두었다. 그러므로 ‘새 관점’은 하나님의 주권적인 부분보다는 반(半)펠라기우스적인 인간의 책임에 대해 강조점을 두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두 관점 사이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義’에 대해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구약에서 말하는 하나님의 義와 신약에서는 하나님의 義를 어떻게 이해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바울이 하나님의 義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바울은 바리새적 유대인으로서 구약을 무시하지 않고 오히려 구약을 전승함으로 그 의미를 발전하였다. 구약에서 말하는 하나님의 義란 결국 구원과 관련이 있으며 하나님의 주권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하나님의 義는 신약에서도 하나님의 구원을 표현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義를 말하였던 바울에게도 하나님의 義는 예수 그리스도를 깨닫고 성령을 체험하는 구원의 개념으로 인식하며 설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전통적인 관점과 새 관점에서 말하는 하나님의 義에 대해서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 것인가 정리하였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연구를 통해서 전통적인 관점과 새 관점의 근본적인 차이에 대해서 서로 질문이 달랐음을 발견하였다. 전통적인 관점은 ‘어떻게 구원을 받을 수 있는가’라는 질문이었다면 새 관점은 ‘하나님의 구원의 계획 속에서 이방인의 위치는 어디인가’라는 질문이었다. 즉 강조점이 다르기 때문에 해결 과정과 결과가 달랐던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다름 속에서 우리는 어떤 것이 옳은 것이고 그른 것이라는 판단보다는 서로의 약한 부분을 보완함으로 하나님의 義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바울은 로마서를 통해서 하나님의 義에 대해 믿음으로 인해 하나님의 義를 얻을 수 있음과 하나님께 의롭다 인정받은 자는 율법을 굳게 세울 수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곧 하나님의 義를 얻은 자는 믿음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義를 얻은 자에게 합당한 행위에 대해서도 설명한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義를 이해할 때에 전통적인 관점에서 강조하는 하나님의 주권과 새 관점에서 강조하는 행위를 상호보완적으로 수용하여 이해해야 함을 주장한다.

      • 컨템포라리 아트(Contemporary Art)로서 드로잉 연구

        샛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311

        드로잉은 작가의 감성이나 내면을 표현하기에 가장 솔직하며, 자유롭고 직접적인 표현이다. 단 한 가지의 획이나 선만으로도 작가의 내면을 드러내기에 부족함이 없고, 선이 나타내는 속도감, 굵기, 또는 방향성 등을 통해 작가의 감성을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작가의 손에서 표현되는 간결한 선과 터치 등은 그들의 정신이 내포된 조형요소이다. 르네상스와 함께 발전된 이 드로잉의 원뜻은 그 자체로서의 독립된 작품이 아니라, 준비단계의 밑그림을 가리키는 것 이었다. 완성작의 습작이라고 여겨지던 드로잉은 ‘르네상스적’ 전통이 쇠퇴하면서 그 의미를 달리하게 된다. ‘미완성의 상태’나 ‘프로세스적’ 성격을 띠던 드로잉은 회화작품의 절대적 완결성처럼 여겨지게 되는데, 그 이유는 완성된 작품보다 그것의 제작과정이나 작가의 개념, 관념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작가의 내면세계를 가장 순수하게 표현할 수 있는 조형요소인 드로잉이 더 이상 본 작업의 전 단계인 스케치나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습작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고, 그 자체만으로 하나의 회화 작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본 논문을 통해 연구하고자 한다. 현대미술에 있어 드로잉은 많은 시대를 거쳐 오면서 다양한 변화와 시도를 겪고 있다. 많은 작가에 의해 실험되어져 왔고, 더 이상 2차원의 평면으로서의 모습도 아니다. 인류와 함께하면서 가장 기본적인 조형언어였지만, 근대미술에서 ‘그린다’라는 개념조차 다시 해석되고 있는 요소가 드로잉이다. 현대에는 드로잉을 미디어적 기능으로 극대화한 작가가 많이 나타나는 추세이며, 이 작가들을 통해 드로잉이 어떻게 확대되었으며, 어떠한 방식으로 작가의 의도를 제시하는지 확인하려고 한다. 평면을 벗어나 공간을 이용하고, 작가의 창의력과 개성을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나타내고 있는 선행 작가를 연구한다. 이를 통해 그들의 생동감 있는 내적 개념, 관념 등을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드로잉의 의미가 재해석 되고 있는 현대미술에서 어떤 작가가 기존의 드로잉의 개념을 탈피하여 자율적으로 접근하고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따라서 다른 예술형식으로부터 독립하여 독자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드로잉이 현대미술에서 나아가고 있는 방향을 모색해 봄으로써 본인만의 독창적인 조형언어를 연구하여 작품 활동을 하는데 있어 도움을 받고자 한다. Drawing reflects the artist’s sensitivity and emotion the most clearly as it expresses freely and straight-forwardly. Not only the speed, thickness, directions that each line implies can carry the artist’s sensitivity to the viewers, one line is enough to show the entire inner mind of the artist. The concise lines and touches of drawing are the modeling element of artist’s soul. This drawing, which was developed with Renaissance, wasn’t actually a finalized work, but a rough sketch that was in the preparatory stage. Once considered as a studying material of the finalized drawing started to carry different meaning as the tradition of the Renaissance started to deteriorate. The reason why the “incomplete” or “in the process” drawing started to be considered as absolutely completed art painting is because the process that the drawing has undergone or the artist’s fundamental notion and concept of the drawing were starting to be valued higher than the painting’s mere completeness. The fact that art painting drawing can represent the artist’s inner mind the most genuinely and is no longer considered a simple incomplete sketch or an idea-showing practice, we can prove that such drawing is an actual completed work of art painting. Contemporary art drawing has undergone many changes as it lived through many different periods of time. Not only it has been dealt by many different artists, it is no longer a two-dimensional plane figured drawing. Although it has been considered as a simple formative language of humanity for a long time, the meaning of “drawing” is being redefined in the contemporary art. The trend of contemporary art is to amplify its meaning through medium. The art’s intention through such methods and steps of amplification will be confirmed explained in this thesis. This thesis studies the artist’s creativity that has gone beyond using only flat surface by introducing space through medium. The lively inner notion and concept of artist were taken as the fundamentals of the thesis. Also how creativity of contemporary artists is redefining the definition of contemporary art drawing and how it is breaking off from its traditional art will be carefully examined. This thesis is to guide artists in their works by presenting the studies of the contemporary art’s new direction, its independence from other art traditions, and its new formation of formative language by artist’s creativity.

      • 고등학교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 ‘한복과 창의적인 의생활’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샛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31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육 현장의 실정에 맞춘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구자가 구축한 메이커 스페이스에서 실행해 가정과 메이커 교육의 효과를 평가하여, 가정과 메이커 교육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가정 교과의 교육 목적인 실천적 지혜(phronesis)를 갖춘 사람(phronimos)을 기를 수 있는지 교육적 의의를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는 ADDIE 모형을 따라서 분석, 설계, 개발, 실행, 그리고 평가의 단계로 연구의 단계를 진행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메이커 교수·학습 모형 관련 문헌, 2015 개정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학습자 요구 조사, 메이커스페이스와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분석 단계에서 도출된 가정과 메이커 교육 요소를 토대로 메이커 교육 모형인 TMSI 모형과 Laster(1982; 2008)의 실천적 행동 모형을 통합·수정하여 가정과 메이커 교육 모형(TPMS)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가정 교과서 단원을 결정한 후 분석 단계에서 도출된 가정과 메이커 교육 요소를 고려해 프로그램 주제 및 내용 요소와 목표, 주요 학습 활동을 선정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고등학교 가정 교과 시간에 실행할 수 있는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과정안 12차시와 학습자료, 그리고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및 메이커스페이스의 효과에 관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또한 기존 가정실을 9개의 세부 공간으로 구성하고, 44개의 메이커 도구, 장비, 재료를 마련해 의생활 메이커스페이스를 구축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개발한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연구자가 재직 중인 대구광역시 S 고등학교 1학년 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약 2달간 12차시를 실행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설문조사, 학생 인터뷰, 자기 성찰지, 학생 작품을 분석해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가정과 메이커 교육 모형을 설계하고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은메이커 교육 모형인 TMSI 모형과 Laster(1982; 2008)의 실천적 행동 모형을 통합·수정하여 개발한 TPMS모형{팅거링(T: 4차시), 실천적 추론하기(P: 3차시), 함께 만들기(M: 4차시), 공유 및 확산하기(S: 1차시)}으로 총 12차시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가정과 메이커 프로그램의 주제는 ‘창의적인 전통 의생활 문화(한복)의 실천과 확산’이다. 프로그램 각 단계의 학습 주제는 팅거링Ⅰ(TⅠ)의 주제는 ‘3D펜과 led 캔들로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이고, 팅거링Ⅱ(TⅡ)는 ‘버려진 청바지로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실천적 추론하기(P)는 ‘한복의 가치를 알리고 생활 속에서 창의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함께 만들기(M)는 ‘다함께 비판적으로 생각하며 만들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공유 및 확산하기(S)는 ‘온·오프라인으로 전통 의생활 문화의 가치와 우수성을 공유하고 확산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이다.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된 학습자료는 동영상 자료(15개), PPT 자료(4개), 학습 활동지(3개), 모둠 평가지(1개), 자기 성찰지(1개)이다. 둘째,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 학생 인터뷰, 자기 성찰지, 학생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 메이커 수업에 참여한 남녀 고등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한 결과, 학생들은 가정과 메이커 수업이 5점 만점에서 체험적(4.26), 인지적(4.22), 감성적(4.18), 사회적(4.18), 실천적(4.10) 순으로 긍정적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메이커스페이스 공간에 대한 만족도는 5점 만점에서 평균 4.04였으며, 메이커스페이스 내의 도구, 장비, 재료에 대한 만족도는 5점 만점에서 평균 3.94를 보여 비교적 높은 만족을 하였다. 수업 참여자 중 남녀 9명(남학생 2명, 여학생 7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는데, 학생들은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은 자율적이며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하게 하며, 새로운 도전을 해 볼 수 있는 자신감을 심어주었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메이킹 활동은 가정과 이론을 이해하고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되고, 감성적 지식, 방법적 지식도 스스로 구성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배움이나 공부에 대한 인식을 확장시켰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은 다양하고 예상하지 못한 난제(難題)를 해결하는 역량을 키우며, 자신의 생활에 대해 반성하고 더 나은 삶을 실천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학생들은 학습 과제를 협업함으로써 도전적인 과제를 시도해보고, 친구를 더 깊이 알아가고 서로 도움을 주고 받는 학교 문화를 형성하며, 사회 공동체의 문제에 참여하는 체인지메이커로 성장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은 메이커 교육의 다섯 영역인 인지적, 감성적, 체험적, 사회적, 실천적 영역에 모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가정과 메이커 수업은 현재 학교 교육에서 실행되고 있는 메이커 교육의 실천적 영역과 관련한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현 시점에서, 학생들로 하여금 윤리 의식을 함양하고, 사회 변화의 촉진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며, 가정과 교육에서 추구하는 자신과 타인 그리고 사회를 위해서 유익한 행동을 할 수 있는 실천적 지혜를 갖춘 인간상(phronimos)으로 성장시킬 수 있음에 의의가 있다. 이는 다양한 맥락과 가치가 반영된 지식을 사용하여 자신과 타인의 유익을 위해서 새로운 방식과 방향으로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최선의 행동을 실천하게 하는 실천적 행동 모형(Laster, 1982, 2008)과 수정·통합되어 개발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식·의·주·가족·소비 영역 중 의생활 주제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서 실행하였기에 본 연구의 결과를 다른 영역의 메이커 교육으로 일반화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추후 가정과의 식생활, 주생활, 가족생활, 소비생활 등 다양한 영역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가정과 메이커 교육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