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 음악교육을 적용한 아시아 민요 지도방안 연구

        어현숙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문화 교육(Multicultural Education)은 다인종 · 다문화 사회로 이행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 필요한 교육 방안이다. 한국 사회는 1990년대부터 증가하기 시작한 외국인 이주노동자,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유입으로 인하여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 따라서 21세기의 학교에서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은 더 이상 우리나라의 문화를 단일민족 상황 안에 둘 수 없는 시대적인 요구에 있으며, 또한 세계 속에서 세계인들과 더불어 살아가며 그 안에서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찾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 음악교육을 적용한 아시아 민요 지도방안의 연구를 그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먼저 다문화 교육의 개념과 다문화 음악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였고, 그리고 음악과 교육과정을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 아시아 민요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이 과정에서 현행 교과서의 아시아 민요 수록곡을 분석하고,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네 가지 학습모형을 적용한 아시아 민요 지도방안을 구성하였다. 지도방안의 학습 대상은 7학년으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지도 방향에 맞추어 고안하였으며, 제재곡의 대상 국가는 여성 결혼 이민자의 출신국 비율을 고려하여 필리핀, 베트남, 중국 민요를 선정하였다. 또한 공교육 수업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을 고려하여 2차시 수업지도안을 구성하였다. 제시한 지도방안은 중학교를 대상으로 실제로 적용하고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지 못한 한계를 가진다. 본 연구는 다양한 문화집단에 속해있는 사람들에 대한 존중과 평등, 자유와 정의의 가치를 함양할 수 있는 수업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다문화 음악교육은 교과목의 연계를 통한 통합학습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이에 대한 후속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아시아 민요 지도방안이 교육현장의 음악수업 환경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a very necessary education plan for our society which is becoming a more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 society. Korea has become a multicultural society as there has been dramatic increase of foreign workers and foreign married women since 1990. Therefore, the needs for having multicultural education at schools in the 21C have been in demand of the times to stop Korea being a closed culture in a racially homogeneous nation and also, it means to find our own cultural identity living along with people from around the world. The study aims for Asian folk song teaching method applying to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First of all, it researched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nd needs then studied Asian folk song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of music education process in the view of multiculturalism. In this process, it analyzed Asian folk songs in current textbooks and organized the teaching plan for Asian folk songs applied to four different study models with reference to previous research. The model of the teaching plan is 7th grade and was designed for the teaching guide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the target folk songs were selected out of Philippines, Vietnam and China considering the rate of foreign married women. Also, it organized two teaching models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using them in public education. The limit of this study is the lack of actual trial to middle school students and verification of its educational effect as a result. The research still means a lot as it suggested the teaching program that can cultivate the value of the respect and equality for the diverse races in all different culture and true meaning of freedom and justice. As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can be very effective when it is combined with the study of subject. I expect there would be further research afterward. As well, it can be used in the actual music class after a proper adjustment and complement according to music class circumstance at school.

      • 미술관의 아동체험교육프로그램 현황과 활성화방안 연구

        어현숙 동아대학교 예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 사회가 예술적으로 성숙하고 사회 구성원 개개인의 문화 예술을 생활 속에서 일상적으로 향유하기 위해서는 특히 어린 시절부터 예술 활동에 자연스럽게 참여하는 경험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미술관은 미술 작품을 감상하면서 문화적 활동의 다양성을 경험할 수 있는 장소이며, 미적체험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대중과의 소통을 담당하는 사회 교육기관으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미술관은 교육 기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예술작품의 전시와 수집, 보존이라는 이전 미술관의 소극적인 기능에서 벗어나 대중에게 바람직한 문화적 교육경험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중에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체험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국내의 공, 사립 미술관의 교육프로그램의 현황을 분석하여 효율적이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황조사와 사례연구의 결과, 미술관의 체험미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으로서 다음의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미술관의 통합적 체험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프로그램의 다양성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질적으로 우수하고 미술관 특성과 자원을 주제로 한 교육 프로그램의 기획과 내용의 전문화가 이루어져야하며 반드시 교육의 대상층인 아동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된 교과과정과 연계한 통합 프로그램의 개발은 미술관 교육이 더욱 많은 참여자에게 개방될 수 있는 길을 열어 줄 것이다. 미술관의 통합 프로그램으로 아동이 오감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때 그 교육적 효과는 극대화될 것이다. 둘째, 지역 미술관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수도권에 편중되어 있는 질적으로 우수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무조건 모방할 것이 아니라 지역문화에 맞는 사회교육프로그램과 어린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역 문화의 관심을 이끌어내기 위한 다양한 기획과 교육의 지속성 있는 전략으로 열린 문화공간을 지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와 연계한 미술관 교육이 필요하다. 미술관 교육과 학교 미술 교육과의 연계 활성화를 위해 정부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야 하며 미술관 교육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미술관은 학교단체 관람 프로그램과 교사연수, 미술 감상 자료의 제공에 있어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학교 연계프로그램을 다양화하여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이다. 교사는 교육과정을 계획할 때 미술관 감상 교육을 포함시켜 수업을 진행하도록 해야 하며, 미술사나 미술관 교육에 관한 전문성확보를 위해 학교교사를 대상으로 연수회 등의 워크샵을 개최하고 교사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사들이 미술관을 하나의 재교육기관으로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야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