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빠른 응답속도를 위한 새로운 액정화합물과 혼합물에 관한 연구

        양일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cent concern in the development of liquid crystal display (LCDs) has created strong demand for new liquid crystalline materials with high clearing temperature, high birefringence, high dielectric anisotropy, and low visco elastic ratio.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various new type of liquid crystalline materials. The majority of liquid crystalline molecules consist of carbon, oxygen, nitrogen, and hydrogen atoms. Though a few examples containing hetero atoms are known. In this thesis, we report a new series of laterally fluorinated phenyl pyridazine LC compounds, their physical properties and synthesis methods. These compounds have lateral difluoro substitutions on the benzene ring and two nitrogen in the benzene ring to achieve a negative dielectric anisotropy. These compounds can also serve as dopants in negative LC hosts and substantially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mixtures. We measured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dielectric anisotropy, birefringence, viscosity in liquid crystal state of synthesized materials. These qualities were calculated by extrapolation with the host mixtures. These results show that fast response time for VA-LCD

      • 한미 FTA가 밸브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양일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유무역협정(FTA)은 특정국가간에 무역특혜를 서로 부여하는 협정으로 가장 느슨한 지역경제통합이며, 지역무역협정(RTA)의 대종을 이루고 있다. 현재 발효 중인 지역무역협정(RTA)은 WTO 출범인 1995년 이후 급속히 확산되어 2005년 기준 전 세계 교역량의 50% 이상이 RTA 교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WTO 체제 출범 전후하여 FTA의 적용범위도 크게 확대되어 대상범위가 점차 넓혀지고 있다. FTA 협정이 체결되면 관세가 인하되어 체결국은 비교우위를 갖는 재화를 중심으로 상호교역을 하게 된다. 한ㆍ미 FTA가 체결되면 “탭, 밸브 및 유사장치 제조업”이라는 밸브산업이 한국의 평균 수입관세 8%, 미국의 평균 수입관세 3%이던 것이 한국은 3~10년간 균등 철폐, 미국은 체결 즉시 관세를 철폐한다. 우리나라의 8%와 미국의 3%로 관세 면에서만 보면 우리나라가 FTA 체결로 국내 산업에 나쁜 영향을 미치리라 생각이 든다. 그러나 8% 관세를 부과하는 우리나라는 미국으로부터 관세 철폐의 영향이 적은 특수밸브만을 수입하기에 대부분의 밸브 생산업체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미국은 2007년 GDP 기준 우리나라보다 약 17배나 큰 경제대국이다. 밸브 시장도 우리나라의 출하액 대비 미국시장은 약 9배에 이른다. 미국 시장에서 중국의 시장점유율은 지난 10년간 6.1%에서 15%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반면 우리나라는 3.3%에서 2.5%로 시장점유율이 낮아졌다. 따라서 한ㆍ미 FTA를 통하여 2005년 기준 세계 밸브시장의 27%를 차지할 정도의 넓은 시장에서 잃어버렸던 우리의 위치를 다시 회복해야 할 것이다. 또 밸브 산업의 특징상 미국시장의 납품 실적은 세계 PLANT 시장에서 국제규격의 인증서를 받은 것과 같은 효과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렇듯 한ㆍ미 FTA는 밸브 업계에서는 추진해 나아가야 일이라고 생각한다.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requires to remove 8% tariff in 3 to 10 years in Korea and 3% immediately in USA. It may be said that Korea valve industry does not gain from the KOR-US FTA considering than removal of tariff in USA is smaller than that in Korea. One of the characteristics in valve industry indicates that the performance in USA market acts like quality certificate. In other word, a company who succeeded in entering USA market is recognized as a good quality making and can easily enter the world market. Beside the reduction of tariff barrier, the Korean valve industry can gain from the expansion of the market and the economies of scale, since the American valve market is nine times greater than the capacity of Korean valve production. During the last decade the market share of Korean product in American market decreased to 2.5% from 3.3% while that of Chinese product increased more than double from 6.1% to 15%. Through the KOR-US FTA, Korean valve industry expects to resume the world market share, which has been up to 27% in 2005.

      • 학교 행정실장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간 지각차이에 관한 연구 : 제주특별자치도 초.중.고등학교 중심으로

        양일호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suggest the righteous direction of role accomplishment for school administrative chiefs. For this, this is based on experiences at school administrative department and various document and books about administrative chiefs' rol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role expectation and role performance had been analyzed. At first, the levels of school administrative role expectation by each role and item have been analyzed. As a result of it, administrative chiefs themselves evaluate their own role expectation and they regard the expectation level of all their roles important. Next, as a result of role performance of administrative chiefs by each role, all respondents said that 7 roles were performed better that average level. Among the manager roles of school management committee, the school development fund raising has showed very low as average 2.98. Overall level of role performance is average 3.87 and it does not reach the expectation level, average 4.32. Also,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expectation and performance is the security manager (average gap .58) and school supporter, facilities manager, manager of school management committee, administrative manager, organization member, accountant officer in order. The difference between role expectation and performance by items showed highest in the intensification of security education and school development fund raising, lessening administrative workload, facilities security management, security facilities management of fire prevention, security check -up management, improvement of education circumstance, formation of school personnel circumstance, formation of sound relationship among school personnel, relation intensification with local community in order. The reason why the intensification of security education is shows that security education has been performed conventionally in schools. The validity for appointment of school management committee members showed the lowest level, the rationality and transparency of accounting, kindness of administrative officers have been performed better than expectation. Demographically, the administrative chiefs in elementary schools feel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le expectation and role performance more than middle and high schools and the less experience they have, the more difference they have. Small schools such as less than 6 classes shows big difference and women chiefs, younger chiefs, lower positions have more conflict. Next, as a result of difference analysis by role and item, there is a partially meaningful difference. This shows that the administrative chiefs have a high role expectation but it does not reach the performance level. Moreo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le expectation and performance is a major problem for managing schools and has a strong effect on role performance of administrative role. Therefore, the plans for righteous role accomplishment of administrative chiefs to support the administration bas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of less than 6 classes which has the 8th or 9th grade officer as a administrative chief should have a higher rank officer and release the conflict by lessening the difference the role expectation and performance. Second, in case of female chiefs, there are a lot of conflict between members, so chiefs should participate in professional education and important decision to lessen the conflict through understanding. Third, the fundamental solutions to the problems because of imperfect laws should be concerned by improving laws and regulations about the promotion of school administrative chiefs and privileged treatment. To sum up, school administrative chiefs should recognize their role as a education supporters and have a positive attitude. When these efforts accord with each other, the conflict cause by the difference between role expectation and performance can be lessened 이 연구는 일선학교 행정실에서 직무수행시 체험한 경험과, 행정실장역할에 대한 각종 연구물을 참고하여, 자신의 수행해야 할 역할영역에서, 역할기대 수준과 역할수행 정도 차이를 분석하여, 일선학교에서 근무하는 행정실장들에게 바람직한 역할수행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학교 행정실장의 역할기대 수준을 각 역할별, 문항별로 분석한 결과, 행정실장 스스로 자신의 역할에 대한 기대 수준을 높게 평가하고 있었으며, 모든 역할에 대해서도 기대수준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다음은 행정실장의 역할수행을 역할별로 분석한 결과, 모든 응답자들이 7가지의 역할 대부분이 보통 이상으로 수행하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학교운영위원회 간사의 역할 중, 학교발전기금 조성 부문이 평균 2.98점으로 역할수행 정도를 가장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그리고 전체적인 행정실장의 역할수행 수준은, 평균 3.87점으로 역할기대 수준 평균 4.32점에는 도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간 차이가 가장심한 영역은, 보안관리자로서의 역할(평균차이 .58점)로 갈등이 가장 심했으며, 다음으로 교단 지원자로서의 역할, 시설관리자로서의 역할, 학교운영위원회 간사의 역할, 일반사무 행정처리자의 역할, 조직구성원으로서의 역할, 회계공무원으로서의 역할 순이었다. 문항별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차이는 보안교육 강화 부분에서 차이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다음은 학교발전기금 조성, 행정사무 경감, 시설물 안전관리, 보안시설 방화관리, 보안 점검관리, 교육환경개선, 교직원 근무여건 조성, 교직원간 건전한 인간관계 형성, 지역사회와 유대강화 순으로 차이를 보였다. 여기에서 보안교육 강화 부분이 차이가 가장 큰 이유는, 실제 학교 현장에서 보안교육을 형식적으로 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여 주고 있다. 그리고 학교운영위원 선출의 적법성은 차이가 가장 낮았으며, 다음은 회계의 합리성과 투명성,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친절성 등이 기대 이상으로 역할수행이 잘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 된다. 인구 통계적 요인에서 근무학교별로 본 역할기대와 수행간의 차이는,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행정실장이, 중ㆍ고등학교에 근무하는 행정실장 보다 갈등을 많이 느끼고 있었으며, 총 행정경력별에서도 경력이 낮을수록 차이 폭이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학교 규모별에서는 6학급 이하의 소규모 학교일 수록 차이 폭이 컸으며 성별로는 여자 행정실장이, 나이별로는 비교적 나이가 적을수록, 직급별로는 직급이 낮을수록 갈등이 많음을 알 수가 있었다. 다음은 학교 행정실장의 역할영역별, 문항별을 인구 통계적 요인에 따라 역할기대 수준과 역할수행 정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이러한 결과는 행정실장 자신들의 역할기대 수준은 높으나, 역할수행 정도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해 주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학교 행정실장의 역할기대 수준과 역할수행 정도 차이에 대한 괴리는, 학교를 경영하는데 있어서도 중대한 문제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학교 행정실장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서도 막대한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교조직에서 행정실장이 적극적인 지원 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바람직한 역할수행 방향이 어떤 방법이 있는지 제시해 보고자 한다. 첫째, 초등학교 6학급 이하에 8-9급 행정실장을 배치한 학교에는, 직급이 높은 행정실장을 임명하여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간 차이 폭을 줄여 갈등을 해소하여야 하고, 둘째, 행정실장이 여성인 경우 남성보다 지각의 차이가 예민하여 학교내외의 구성원들 간의 생기는 차이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교육이나 중요한 의사결정에 빠짐없이 참석하여 상대방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갈등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고, 셋째, 학교 행정실장에 대한 승진이나 각종 우대관련 여러 문제들에 대한 해결방안들이 제도적인 미비로 인하여 시행되지 못하는 부분은, 법과 제도를 개선하여 근본적인 해결 방안들을 검토하여야 한다. 이상과 같이 학교 행정실장들의 역할이 결국 교육활동 지원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역할수행에 적극적인 자세로 임해야 할 것이며, 이러한 노력들이 하나로 일치 되었을 때 행정실장 자신이 느끼는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간의 괴리에서 오는 갈등이 해소될 것이다.

      • 반복적 비터비 디코딩을 이용한 강인한 화자분할

        양일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robust speaker diarization system using iterative Viterbi decoding. Most speaker diarization systems have four steps which consists of feature extraction(step1), speaker segmentation(step2), speaker clustering(step3) and re-segmentation (step4) processes. Our proposed method is in between step3 and step4. The number of speakers in input stream and the number of clusters in diarization results are matched by proposed method which iterates Viterbi decoding. We assume that the number of speakers is given by a user. In a real-world speaker diarization, the accuracy of speaker diarization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stance measures. We evaluate our proposed speaker diarization system based on various distance measures such as GLR, ICR and KL2. The experiments show that GLR outperforms the other measures in ideal cases. GLR is also better than other measures when the amount of one speaker’s voice has smaller proportion than the others. Performance of diarization is dropped when the amount of one speaker’s voice has smaller proportion than the others. But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problem if we maintain enough speech length about 25 seconds per speaker. 화자분할이란 다수의 화자가 발성한 내용을 녹음한 하나의 음성신호로부터 각 화자별로 발성 구간을 분할하는 기술이다. 이는 거래 • 인터뷰 • 회의 • 재판 등 여러 화자가 일정한 순서 없이 번갈아 발성하는 상황에서 발성 내용을 자동적으로 기록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제반 기술로, 회의록 자동 작성 등에 쓰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강인한 화자분할을 위해 반복적 비터비 디코딩(Viterbi decoding)을 이용하여 군집 수와 화자 수를 일치화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일반적인 화자분할 시스템은 입력한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특징 추출(단계1) • 화자 변경점 검출(단계2) • 화자 군집화(단계3) • 화자 변경점 재추정(단계4) 작업을 수행[9][13]한다. 이 때, 제안한 방법은 단계3과 단계4 사이에서 비터비 디코딩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군집 수와 화자 수를 일치화하여 성능을 개선한다. 이를 통해 시스템이 화자 수를 알고 있는 상황에서의 화자분할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성능 평가 실험을 위하여 화자별로 수집한 발성 데이터를 무작위로 연결해 회의 상황을 연출한 인공 데이터(artificial data)를 생성하였다. 다양한 거리 척도(GLR • ICR • KL2)를 사용하여, 이상적인 상황과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 화자분할 시스템의 성능을 각각 평가하였다.

      • 문장 독립 화자 확인시 짧은 테스트 발성 i-vector를 DNN으로 보상하는 방법의 일반화 성능 개선

        양일호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기존의 문장 독립 화자 확인 연구들은 대부분 2~5분 가량의 충분히 긴 발성만을 다루었다. 하지만 발성의 길이가 짧을 경우, 널리 사용되는 화자 확인 방법인 i-vector/probabilistic linear discriminant analysis의 정확도가 급격히 하락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장 독립 화자 확인시 10초 길이의 짧은 테스트 발성을 사용함으로 인한 정확도 하락을 완화하고자 한다. 이 때, 최근 기계학습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는 심층 신경망을 이용하여 짧은 테스트 발성에서 추출한 화자 특징 벡터(i-vector)를 보상한다. 이와 가장 유사한 관련 연구는 2015년 H. Yamamoto 등의 것인데, 해당 연구에서는 얕은 신경망 구조의 잡음제거 오토인코더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심층 신경망 구조로 확장하고, 일반화 성능을 개선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심층 신경망을 이용하여 짧은 테스트 발성으로부터 추출한 화자 특징 벡터(이하 ‘짧은 발성 특징’)를 보상한다. 이 심층 신경망은 짧은 발성 특징을 입력 받아 충분히 긴 발성으로부터 추출한 특징(이하 ‘긴 발성 특징’)과 유사하게 변환한다. 이를 위해, 개발 세트의 각 발성을 짧게 절단하여 긴 발성 특징(출력 레이블)과 짧은 발성 특징(입력)의 쌍들을 생성하고 심층 신경망을 학습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이 때, 심층 신경망의 일반화 성능을 높이고 파라미터 탐색 공간을 줄이기 위해 추가적인 작업을 수행한다. 추가 작업이란 개발 세트의 긴 발성 특징 벡터와 짧은 발성 특징 벡터 사이의 잔차를 계산한 뒤, 이 잔차들로부터 상위 몇 개의 주성분 벡터를 구하는 것이다. 본래의 짧은 발성 특징을 평행이동하기 위한 축으로 이 주성분 벡터들을 이용한다. 심층 신경망의 각 출력 노드는 주성분 벡터 하나에 대응한다. 최종적으로는 심층 신경망의 각 출력을 가중치로 하여 주성분 벡터들을 선형 결합하여 적절한 잔차 벡터를 얻고, 이를 본래의 특징 벡터에 더하여 새로운 화자 특징을 얻는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공개된 음성 코퍼스들을 이용한다. 기존의 i-vector 화자 특징은 물론이고, 선형 변환 기반의 짧은 발성 보상 방법인 짧은 발성 분산 정규화, 신경망을 이용하는 비선형 변환 기반의 잡음제거 오토인코더 보상 방법과 화자 확인 정확도를 비교한다. Most studies on text-independent speaker verification have only dealt with sufficiently long utterances of 2-5 min. However, the accuracy of the well-known i-vector/probabilistic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systems can degrade when the utterances are short. In this research, we try to reduce the accuracy degradation when using a short test utterance of 10 s duration in text-independent speaker verification. We achieve it by compensating a speaker feature vector (i-vector) extracted from a short test utterance using deep neural network, which is currently very popular in the field of machine learning. The most relevant research is that of H. Yamamoto et al. (2015). Their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a denoising autoencoder with a shallow neural network structure. We extend it herein to a deep neural network structure and try to improve the generalization performance. We compensate for the speaker feature extracted from the short utterance (short utterance feature) using the deep neural network. The network transforms a short utterance feature to a new feature. In training this network, every utterance in the development set is truncated to prepare pairs of long utterance feature (target output label) and short utterance feature (input). Some additional steps are added in the proposed method to improve the generalization ability and reduce the dimensionality of the search space. First, we calculate every residual vector between the long- and short utterance features in the development set. The largest few principal components are then estimated from these residual vectors. Each output of the deep neural network corresponds to each principal component. A residual vector is constructed by a linear combination of these principal components using the outputs of the network as combining weights. Finally, this residual vector is added to the input feature to obtain a new feature vector. We use public speech corpora to evaluate the method.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ed with the canonical i-vector, short utterance variance normalization, which is a linear transform method used to normalize the short utterance variance, and the denoising autoencoder-based compensation method.

      • 경상분지 북부 길안역암체의 퇴적기구와 퇴적환경

        양일호 안동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안동시 길안면에 경상분지 북쪽 경계에 인접하여 거력 크기의 역을 흔히 포함하는 역암이 우세한 퇴적체가 약 130m의 두께로 분포한다. 이 역암체는 주로 역암과 조립질 사암으로 구성되고, 소량의 암회색 이암을 포함한다. 길안역암체는 하양층군 최하부층인 일직층의 하부에 대비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선캄브리아기 편마암류와 트라이아스기 청송화강암 위에 부정합적으로 놓인다. 역암층에서 측정된 고수류 방향은 서남서~남남서 방향의 방사상 패턴을 보인다. 길안역암체의 퇴적층들은 자세한 퇴적상분석을 통하여 총 12개의 퇴적상과 2개의 퇴적상조합으로 분류되었다. 퇴적상조합 1은 주로 역지지의 비조직화된 역암, 역지지의 역점이 역암, 괴상 사암, 정점이 사암으로 구성되고, 이 퇴적상들은 흔히 상향세립화 단위들을 구성한다. 퇴적상조합 1은 상부 선상지 퇴적층으로 해석되며, 이를 구성하는 역암층들은 홍수 시 주로 고농도 홍수류와 쇄설류에 의해 퇴적된 것으로 해석되고, 사암층들은 홍수류로부터 모래퇴적물이 부유퇴적 또는 밑짐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퇴적상조합 2는 주로 괴상 사암, 수평층리 사암, 암회색의 균질 이암, 담회색의 왕모래질 이암으로 구성되며, 하부 선상지 퇴적층 및 선상지 말단부에 발달한 얕은 호수환경의 퇴적층으로 해석된다. 또한 역암체의 하부에서 상부로 감에 따라 우세한 역암 퇴적상이 역점이 역암에서 비조직화된 역암으로 바뀌는데, 이는 선상지 발달 초기에는 쇄설류가 우세하였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농도 홍수류가 우세하였음을 제시한다. 이러한 퇴적기구의 변화는 집수역의 크기와 경사도 변화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길안역암체의 하부와 상부는 퇴적상조합 2로 구성되고, 중부는 역암이 우세한 퇴적상조합 1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상향조립화-세립화 경향의 층서를 보인다. 퇴적상조합 2가 우세한 지역에서도 이암층이 역암체의 하부와 상부에 빈번히 협재하여 상향조립화-세립화의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층서적 특징은 분지경계의 구조운동과 관련된 단속적인 분지침강에 따라 선상지가 전진-후퇴하였음을 제시한다. 또한, 길안선상지는 신동층군 퇴적 이후 경상분지의 침강범위가 동쪽으로 확대되기 시작하면서 형성된 것으로 사료된다. In Giran-myeon, Andong, a conglomerate body (ca. 130 m thick) is present on the northern margin of the Gyeongsang Basin. The conglomerate body mainly comprises conglomerate and coarse-grained sandstone with interbedded, gray mudstone. The Giran conglomerate body is correlated with the lower part of the Iljik Formation (the lowermost formation of the Hayang Group) and unconformably overlies Precambrian gneisses and Triassic Cheongsong granite. Paleoflow directions inferred from clast imbrications indicate sediment transport toward the WSW―SSW with a radial dispersal pattern. The deposits of the Giran conglomerate body are classified into 12 sedimentary facies, which are organized into 2 facies associations. The Facies Association 1 mainly consists of clast-supported and disorganized conglomerate, inversely graded conglomerate, massive sandstone, and normally graded sandstone, which commonly form fining-upward units. It represents a proximal-fan deposits. The conglomerate beds are mostly interpreted as the deposits of high-concentration flood flows and cohesionless debris flows. The sandstone beds are interpreted as having been deposited by rapid suspension fallout and bedload from heavily sand-laden flood flows. The Facies Association 2 mainly consists of massive sandstone, horizontally stratified sandstone, dark gray homogeneous mudstone, and light gray granule-rich mudstone. The Facies Association 2 represents a distal fans/shallow lakes deposits. The dominant conglomerate facies changes upward from inversely graded conglomerate to disorganized conglomerate, indicating changes in depositional processes with time from debris flows to hyperconcentrated flood flows. This is most likely ascribed to the temporal changes in the morphology of the drainage basin, i.e. an increase in area and decrease in slope. The lower and upper parts of the Giran conglomerate body consist of Facies Association 2, whereas the middle part comprises Facies Association 1, showing an overall coarsening-to-fining-upward sequence. At distal locations dominated by Facies Association 2, mudstone beds are relatively frequently interbedded in the lower and upper parts, also showing a coarsening-to-fining-upward sequence. These stratigraphic characteristics are suggestive of the progradation and retrogradation of the Giran fan system in response to repeated basin subsidence. The formation of the conglomerate body was most probably related to the eastward expansion of the Gyeongsang Basin after the deposition of the Sindong Group.

      • Dispersion of nanodiamond o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erformance for Ge1Sb6Te3 film

        양일호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study describes the effect of surfactant concentration on the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of Ge1Sb6Te3 film using nanodiamond-based slurry. Aggregated diamond nanoparticles were dispersed in a slurry solution containing anionic poly(sodium 4-styrene sulfonate) using milling system. The zeta-potential, particle size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image of the dispersed nanodiamond particles were analyzed for slurries having varying surfactant concentration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on the milling process. The cationic nanodiamond particles were covered with the anionic poly(sodium 4-styrene sulfonate) polymer, and the polymer acted as a dispersion agent on account of the electrostatic repulsion. In the comparison with fumed silica which have been commonly used as an abrasive, the nanodiamond with 0.9 wt% of poly(sodium 4-styrene sulfonate) resulted in comparable surface roughness and removal rate. In addition, the surface roughness and material removal rate of the Ge1Sb6Te3 film in the polishing process strongly-depended on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By increasing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in the milling process,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nanodiamond particle decreased until the concentration reached 0.9 wt%. Both surface roughness and material removal rate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Excess poly(sodium 4-styrene sulfonate) acted as a passivation layer,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surface roughness and material removal rate of the Ge1Sb6Te3 film.

      • Dispersion of nanodiamond on chemical mechanical

        양일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study describes the effect of surfactant concentration on the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of Ge1Sb6Te3 film using nanodiamond-based slurry. Aggregated diamond nanoparticles were dispersed in a slurry solution containing anionic poly(sodium 4-styrene sulfonate) using milling system. The zeta-potential, particle size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image of the dispersed nanodiamond particles were analyzed for slurries having varying surfactant concentration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on the milling process. The cationic nanodiamond particles were covered with the anionic poly(sodium 4-styrene sulfonate) polymer, and the polymer acted as a dispersion agent on account of the electrostatic repulsion. In the comparison with fumed silica which have been commonly used as an abrasive, the nanodiamond with 0.9 wt% of poly(sodium 4-styrene sulfonate) resulted in comparable surface roughness and removal rate. In addition, the surface roughness and material removal rate of the Ge1Sb6Te3 film in the polishing process strongly-depended on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By increasing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in the milling process,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nanodiamond particle decreased until the concentration reached 0.9 wt%. Both surface roughness and material removal rate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Excess poly(sodium 4-styrene sulfonate) acted as a passivation layer,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surface roughness and material removal rate of the Ge1Sb6Te3 fil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