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conomic catch-up and similarity in trade structures: Case of BRICs and CIVETS.

        야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degree to which export composition affects the growth rate of emerging countries has been shown to be contingent upon the similarity in trade structure. The role of export composition in economic growth is examined in this study by analyzing how greater trade structure similarity across nations might lead to catch-up in income levels in a group of emerging economies. This research compares the Brazil, Russia, India and China (BRIC) and Colombia, Indonesia, Vietnam, Egypt, Turkey, and South Africa (CIVETS) country groups and sectoral export trends to those of current members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The study examines the export trends of OECD nations that developed and became richer earlier with BRIC and CIVETS countries that are considered to be latecomers. In particular, the main interest is in seeing if export patterns help BRIC and CIVETS economies to catch up. The results suggest that BRIC and CIVETS countries that have a higher similarity with OECD economies show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economic catch-up. 무역 구조는 신흥국의 성장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최근 연구는 국가 간 수출 구조의 유사성을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간의 수출 구조 유사성과 경제 추격, 즉 신흥국이 선진국의 소득수준을 따라잡게 되는 과정의 관계를 분석하여 수출 구조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역할을 연구한다. 본 연구는 신흥국으로 꼽히는 BRIC 및 CIVETS에 속한 각 국가의 수출 구조를 상대적으로 산업 고도화가 이루어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수출 구조와 비교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BRIC과 CIVETS의 경제가 수출 구조의 변화를 통해 OECD의 경제수준을 따라잡는 데 영향을 주었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OECD 국가들과 유사성이 높은 BRIC 및 CIVETS 국가들이 경제 추격을 달성하고 있음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수출 구조의 유사성이 경제 추격에 긍정적이고 유의미한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시사한다.

      • The effects of Korean broadcasting programs export on the country’s overseas consumer goods trade

        야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논문은 한국 방송 프로그램이 소비재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한류는 한국의 국가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소비재 분야에서 교역량을 늘리는 데 기여하였다. 더욱이2013년부터 시작된 신인 보이그룹 방탄소년단(BTS)의 폭발적인 인기는 세계 속 한류의 영향을 급속도로 확산시키고 있다. 한국 문화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은 더욱 촉진되고 있고, 한국 소비재는 새로운 시장에 더 적극적으로 진출 할 수 있게 되었다. 한국의 문화는 매우 독특하다고 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전 세계에 그 영향력을 퍼뜨릴 만큼의 보편성 또한 아울러 갖고 있다. 한국의 음악과 드라마는 젊은 소비자들이 좋아할 만큼 상당히 트렌디하지만, 동시에 상대적으로 나이가 많은 소비자들 또한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대중적이다. 한류는 드라마, K-POP, 뷰티 스타일 등 다방면으로 높은 수준을 보여줌으로서 한국 문화 팬들의 관심을 사로잡았다. 본 연구는 소비재 수출을 촉진하는 한국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결정요인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한류가 소비재 무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프로그램 수출 채널로서 지상파 방송과 방송채널 사용사업자를 다룬다. 2009년부터 2019년까지의 두 수출 채널 각각과 그 합계 값을 모두 분석하여 어떤 장르가 교역에 가장 큰 영향을 주며, 어떤 제품군이 한류로부터 가장 큰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본다. 특히 2009년부터 2019년이라는 기간 설정은 방탄소년단(및 블랙핑크)의 성공에 따른 한류의 돌풍적 변모와, 이에 따른 아시아 이외 지역에서의 한국 상품의 상승된 인기를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무역전쟁이 방송프로그램과 소비재무역간의 상관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에 따르면, 그동안 한국 TV 프로그램의 수출은 주로 지상파 방송 채널을 통해 이루어져왔지만, 최근에는 방송 채널 사용 사업자가 지상파 방송 채널을 능가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수출에 있어서는 드라마가 가장 인기 있는 장르였으며, 그 외의 다른 장르는 상대적으로 훨씬 적은 양이 수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역별로는 여전히 아시아권이 선두를 달리고 있으나, 콘텐츠 수입액은 하향세를 지속하고 있다. 반면 현재 2위를 달리고 있는 북미는 수입량을 점점 늘리고 있다. 다음으로는 유럽이 뒤따르고 있으나, 앞의 두 지역과는 큰 격차를 두고 있다. 국가별로는 한국 콘텐츠 수출의 주요 대상국으로서 일본, 중국, 미국 및 기타 아시아 국가가 있었다. 한국 티비 쇼와 한국 소비재의 수출 패턴을 비교한 결과, 한국 티비 쇼의 패턴과 특정 소비재 수출 패턴 간에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두 수출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본 논문은 한국의 총소비재 수출, 제품군 (미용, 의류, 신발, 장신구, 주방세제, 식품, 전자, 컴퓨터, 스마트폰)별 수출과, 장르별 (드라마, 오락,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영화, 음악, 교육, 교양, 뉴스) 및 수출채널별 (지상파방송, 방송채널사용사업, 그의 합계) 한국 콘텐츠 수출 간의 상관관계를 중력모형을 활용하여 확인한다. 데이터 세트에는 2009년부터 2019년까지 77개국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연구 결과는 한국의 총 상품수출과 TV 프로그램 수출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가설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품군별 분석에 따르면 잠재적으로 영향을 받는 소비재로 판명된 모든 제품이 실제로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수출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테스트한 상품 중에서 가장 강한 상관관계는 뷰티 상품(화장품), 신발, 세제, 식품 순으로 나타났다.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지만 앞의 4개 상품군만큼 강하지 않은 다른 상품 그룹은 의류, 전화기 및 전화기 액세서리, 개인용 컴퓨터, 가전 제품 및 장신구로 나왔다. 자동차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한국의 방송 프로그램 장르를 보면 드라마, 오락, 교양, 음악 순으로 수출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 프로그램을 장르별, 수출채널별 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접근하여 전체 콘텐츠 수출액만으로 테스트할 때는 보이지 않던 세부적인 모든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미중 무역전쟁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무역전쟁의 타격을 입은 두 년도 (2018년과 2019년)를 생략하는 방법을 통해 상관계수의 변동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결과적으로, 미중 무역의 영향이 있었으며, 이는 한국 프로그램과 소비재 수출 상관 지수의 변화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변동에도 불구, 한국 프로그램 수출과 소비재 사이의 상관관계는 여전히 유의미한 것으로 보였다. 두 년도를 생략했을 때, 대부분의 영향을 받는 제품 그룹 순위는 동일하게 유지되었으나, 특별히 교양 부문에서 이전에는 관찰되지 않았던 숨겨진 유의미한 상관 계수가 드러났다. 또한 t년으로 분석된 한국 소비재 수출에 대해 1년 차이(t-1년)로 분석한 콘텐츠 수출 변수와의 시차상관 분석 역시 시도하였다. 이 분석 모델 역시 한국 콘텐츠 수출과 한국 소비재 수출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며, 이전 테스트의 결과를 다시한 번 확인시켰다. 한국의 콘텐츠 수출과 소비재 무역이 실제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입증하기 위해 소비재 수출(제품군별)과 콘텐츠 수출(전체, 장르, 수출 채널별)에 국한하여 이질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대부분의 회귀분석 결과가 콘텐츠 수출과 상품 수출 사이에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앞의 분석 결과의 유효함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논문의 결과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본 연구의 몇 가지 한계점을 언급하고자 한다. 첫째, 분석된 데이터는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공식 수출만을 나타내며 많은 국가의 불법 무료 스트리밍을 포함하지 않는다. 둘째,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제공하는 연차보고서는 매년 상이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결측변수 발생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셋째, 객관적 한류의 영향을 측정하는데 있어, 한국정부와 특정 국가 정부 사이의 정책 기인적 무역 특혜의 존재는 방해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가 결론적으로 시사하는 바는, 한류가 무역 성장을 촉진하기 때문에 정부가 지속적으로 한류를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류는 초기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았다. 그러나, 올림픽을 기점으로 한국 정부가 미국 영화를 영화관에서 자유롭게 상영할 수 있도록 허용한 이후 한류에 큰 충격이 있었다. 소비자들이 미국 콘텐츠, 미국 제품으로 매우 빠르고 대규모로 이동했기 때문이었다. 이는 당시 한국 정부가 미국 영화의 수용에도 불구, 한국이 자체적으로 콘텐츠를 개발하고 또 그 혜택을 얼마든지 누릴 수 있다고 예상했던 오판에 있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 정부는 한국문화산업국을 설립하였고, 콘텐츠 및 문화 관련 업무를 관리하고 본격적으로 국내 대기업의 재정 지원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이후 이러한 한국 정부의 노력은 한국 영화, 드라마 및 기타 유형의 콘텐츠가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는 데에 주춧돌이 되었다. 현재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는 한류홍보를 공식 활동 중 하나로 두고 있다. 예를 들어, 교육부는 2020년 11월 COVID-19 전염병 시기에 한류를 돕기 위해 "온: 한류 페스티벌"이라는 온라인 및 부분 오프라인 행사를 개최했다. 콘텐츠 영역에서의 비즈니스 미팅과 같은 활동만 아니라 전 세계 시청자들을 위해 온라인으로 볼 수 있는 무료 K-POP 콘서트를 개최했다. COVID-19 전염병 이전에도, 대한민국 외교부가 주최하고 다른 정부 기관이 지원하는 창원 K-POP 월드 페스티벌과 같은 행사 역시 한국 문화, 소비재에 대한 세계적 관심을 이끄는데 기여했다. 이 페스티벌은 전 세계 K-POP 팬들이 그들이 좋아하는 한국 스타를 커버하고, 국내 우승자들에게 한국에서 열리는 결승전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탤런트 경연 대회이다. 또한 특히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도 한류의 힘을 유지하고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모색하고 있는데, 코리안 타임에 따르면 2021년 6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한류 주요 기업 대표들이 참석한 자리에서 한국 콘텐츠 산업에 대한 잠재적 보조금, 수출 장벽 완화, 세제 혜택에 대해 논의 한 바 있다. 결론으로, 한류와 한국 콘텐츠 산업의 지속적인 지원을 위해 한국 정부는 위에서 언급한 창원 K-POP 월드 페스티벌이나 “ON: 한류 페스티벌”과 같은 행사를 더 많이 개최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그 이유는 이러한 행사는 비즈니스 미팅 조직의 형태로 직접적인 비즈니스 지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일부 무료 한류 콘텐츠 또는 콘서트까지 제공하여 전 세계 더 많은 사람들에게 한국어 콘텐츠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 문화 팬들에게 무료로 한국을 방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더욱 높일 수 있다. 한류를 지원하는 또 다른 방법은 업계의 직접적인 산업적 경제적 지원이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일부 세금 혜택이나 보조금 등이 있을 수 있다. 또 하나의 옵션은 한국과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을 촉진하고 결과적으로 전 세계적으로 한국 상품에 대한 수요 증가를 촉진하는 한국어 및 문화 교육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This thesis provides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impact of Korean broadcasting programs on consumer goods export of the country.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to check the dependence of Korean consumer goods export in general and by product groups (beauty goods, clothes, footwear, imitation jewelry, cleaning agents, food, electronics, computers, smartphones, cars) on Korean content export by genre (drama, documentary, animation, movies, music, education, refinement, news) and by channel of export (terrestrial broadcasting, broadcasting channel operation and in total). The study finds that among the goods that have been proved to indeed be dependent on Korean programs export there are beauty goods, food, personal computers, phones and accessories, footwear, and cleaning agents. Cars have almost no correlation whilst for imitation jewelry, clothes, and home electronics the correlation is positive but much weaker than for previously mentioned product groups. Among the genres of Korean programs dramas, entertainment, refinement shows, and music influence the growth of export the most. This thesis also examines the effect of the US-China trade war on correlation fluctuations by omitting 2017 and 2018 in the analysis revealing that despite some shifts significant positive dependence holds with most affected product groups being the same as for full-time span. Moreover, the research includes the analysis of the lagged correlation with content export variables included in the regression analysis with a one-year gap.

      • The Baku-Tbilisi-Ceyhan Pipeline and Its Impact on Georgia : A Study on Economic, Political, and Geopolitical Implications

        야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thesis examines the impact of the Baku-Tbilisi-Ceyhan (BTC) pipeline on Georgia, focusing on its economic and political implications. The study analyzes the role of the pipeline in Georgia's economic development, employment generation, and trade facilitation. It also explores the political and strategic considerations associated with the pipeline, including energy security, geopolitical dynamics, and regional cooperation. Additionally, the thesis investigates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onsequences of the pipeline, addressing social impacts on local communities, environmental concerns, and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Furthermore, the research evaluates the implications for global public administration, highlighting lessons learned, governance challenges, and the role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ultifaceted effects of the BTC pipeline in Georgia and provide policy recommendation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ffective management of cross-border energy projects." "이 논문은 바쿠-트빌리시-세이한(BTC) 송유관이 조지아에 미치는 영향을 경제적, 정치적 영향에 초점을 두고 조사합니다. 이 연구는 조지아의 경제 발전, 고용 창출 및 무역 촉진에 대한 송유관의 역할을 분석합니다. 또한 에너지 안보, 지정학적 역학 및 지역 협력을 포함하여 송유관과 관련된 정치적 및 전략적 고려 사항을 탐구합니다. 또한 논문은 송유관의 사회적 및 환경적 결과를 조사하여 지역 사회에 대한 사회적 영향, 환경 문제 및 문화 유산 보존에 대해 설명합니다. 또한 이 연구는 글로벌 공공 행정에 대한 시사점을 평가하여 얻은 교훈, 거버넌스 과제 및 국제 조직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조지아의 BTC 송유관의 다각적인 효과를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과 국경을 넘는 에너지 프로젝트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정책 권고 사항을 제공합니다."

      • 일본어 듣기학습에 있어서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의 모국어 대역 음성 교재 활용의 효과

        Daichi, Yanamoto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81

        본 연구는 일본어 듣기 학습에 있어서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고등학생들의 모국어 대역 음성교재의 활용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고등학생 대상으로 일본어와 한국어 대역 인쇄교재를 보고 일본어 음성교재를 듣는 집단(집단1), 일본어 인쇄교재를 보고 일본어와 한국어 대역음성교재를 듣는 집단(집단2), 그리고 일본어 인쇄교재를 보고 일본어 음성교재를 듣는 집단(집단3)을 구분하여 매일 20분간 5회 실험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 후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 검사를 통해 그 학습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와 논의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 집단간에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실험처치 기간이 짧았고 대상학생들이 학력우수집단이며 학업성취도 문항수가 적었기 때문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되었다. 둘째, 세 집단간에 학습동기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역시 실험처지 기간짧았고 대상학생들이 학력우수집단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다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사전사후 학습동기검사 평균차이와 학생들의 자유기술식 성찰보고에서 모국어 대역음성교재의 학습동기효과의 가능성이 탐색되었다.

      • 할리우드 영화 속 한국 대도시의 형상화에 관한 연구 :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의 서울과 <블랙 팬서>의 부산을 중심으로

        밀로사블례비치 야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358

        The relationship between film and city began with the birth of film as the seventh art in the city and has continued to modern days. The visual medium of the film allows audiences to view city space through a prism that focuses not only on urbanity and architecture, but also on national identity. The main goal of this study lies in defining the identity of Korean metropolitan cities represented among numerous others in Hollywood movies while focusing on its role as a character in the film, as well as through genre and narrative structure elements, with the ultimate purpose of describing the cities' representation and propose their future recreation prospects.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research on cities' representation in movies, the field that is yet to be explored to its full potential in Korea, and serve as a motivation for research changes on the identity of Korean metropolitan cities both on and off-screen and their future cinematic representation. Urban space and in particular its cinematographic representation articulates national and regional features even in times of a globalized world. Therefor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complex elements of urban spaces and urbanity demand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cluding and relying on different fields of expertise such as sociology, architecture, geography, cultural studies, history, and literature. However,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even though the above disciplines are mentioned, they did not serve as a basis for the in-depth analysis. The study is conducted solely from the point of view of film studies. Perceived as a cultural text in a globalised world, the film can reveal truths about various societies around the world to global audiences. Furthermore, in this respect, such cultural text can be examined through discourse analysis. Particularly Hollywood production, known to be dominant in the global film industry, has created specific codes and customs that are understood and read as cultural texts by global audiences. The idea behind establishing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was the presumption that the global audiences accept and view culture based on its representation in Hollywood movies. In addition, due to the recent popularization of Korean pop culture on a global level, the study is conducted based on the premise that Hollywood production is showing more interest in filming on location in Korea. The aforementioned resulted in constructing the following three hypotheses. First, the representation of city in film based on elements of genre and place creates an idea of urban experience within it and implies conceptual ideas about a specific city. Second, the world's many metropolitan cities play a specific role in movie's narrative structure based on their unique identities on and off-screen alike and have a representation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audience in both cases. Finally, the last hypothesis proposes the idea that the image of Korea perceived by the global audiences as well as the concept of Korean metropolitan cities’ urbanity and real city experience can be sufficiently explained based on the previous two hypotheses. In order to evaluate the above-stated hypothes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using data obtained from the site. Fir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film and city is introduced and examined, focusing on the paradigm of representation with the goal of explaining its correlation to cultural and social aspects, while also reviewing previous research and its methodology to date. Following that, the study presents a literature review sett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research and interpret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representation of city in film. Having presen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ity and film, the study explaines the differences between ‘city in film’ and term ‘cinematic city’ and looks into connections between the cinematic city and the concept of urbanity. Finally, through reviewing selected cinematic cities’ representation, the research sets up a theoretical base for analysis and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representation of city in film, with special focus on the theories of spatial stereotype and film genre. The close examination of selected episodes featuring Seoul and Busan from the films "Avengers: Age of Ultron"(2015) and "Black Panther"(2018), which were chosen as subjects of case analysis, describe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etropolitan cities' representation through analysis based on spatial stereotypes and genre theory. The result from the point of view of spatial stereotype theory finds that Korea and its metropolitan city spaces need to be repeatedly represented in Hollywood movies to strengthen their global presence, and more research and effort are necessary to visualise their cultur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mise-en-scène elements. The results on the research in terms of genre theory reveal that there are infinite possibilites of representing the two metropolitan cities in the future, however, for the time being Seoul's architectural visualisation can be read as representing a high-tech future city and Busan's imagery is closer to that of film noir or gangster film genre represented through dark alleys filled with neon signs at night. Unlike Seoul, which is represented as the center of highly developed technology and speed, Busan's representation shows a somewhat stronger sense of traditional culture and can imply creating Busan's identity as an international meeting point of cultures, similar to that shown in "Black Panther." It can be concluded that Hollywood has shifted to presenting Korea in a more positive light, as opposed to many previous negative representations such as those connected to war, poverty, zombies or showing Koreans as merely neutral onlooker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ed topic were faced due to lack of relevant cases that could be analysed, which is why the results implied in the study were based on mentioned two examples only. Nevertheless, the potential of the research lies in it being a precedent in a potentially prolific field of research on Korean metropolitan cities' representation in Hollywood movies and in setting a base for a positive outlook on its future prospects. 영화라는 제7의 예술과 도시의 상호관계는 영화가 도시 환경에서 태어난 후부터 시작되며 현재까지도 끊이지 않고 있다. 관객들은 영화의 시각적 매체를 통해 도시 공간을 도시성과 건축 뿐만 아니라 국가적 정체성에 초점을 맞춘 프리즘으로 인식하게 된다. 본 연구는 수많은 할리우드 영화 속 형상화된 도시들 중 한국 대도시의 정체성을 창조한다는 것을 주 목표로 하며 영화 속 캐릭터로서 또한 장르나 서사구조 요소로서 도시의 형상화를 묘사하고 이의 전망도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는 한국에서 아직 충분히 연구되지 않은 영화 속 형상화된 도시에 관한 연구 분야에 기여하고 한국 대도시 스크린 안팎의 정체성과 이의 미래 영화 속 형상화에 대한 연구 변화의 계기가 되고자 한다. 글로벌화된 세계의 시기에도 도시 공간과 특히 그것의 영화적 표현은 지역적과 국가적 그리고 도시적 정체성을 제외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복잡한 도시 공간과 도시성을 연구하고 해석할 때 다수의 사회학, 건축학, 지리학, 문화학, 역사, 문학와 같은 분야 연구 요소를 모두 포괄하는 접근법을 이용한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다방면적인 분야에서 깊이 연구하지 못하고 오로지 영화학적 요소에 기초하여 수행된다는 한계점이 있다. 문화적 텍스트의 관점에서 바라보면 영화는 글로벌화된 세계에서 관객들에게 전 세계적 다양한 사회에 관해 알려주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측면에서 이 문화적 텍스트는 담화 분석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특히 할리우드는 세계적 영화산업을 지배하며 관객들로 하여 문화 텍스트로 표현한 작품을 읽으며 이해를 촉진시키는 특별한 코드와 관습들을 만들어냈다. 본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을 때 가정된 부분은 관객들이 할리우드 영화 속 재현을 따라 문화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또한 최근 특히 한국 팝컬처의 세계적 대중화로 인해 할리우드가 한국에서 촬영 로케이션에 관심을 끈 전제를 바탕으로 두고 본 연구를 시행하였고 이에 따라 다음 세가지의 연구가설이 도출되었다. 첫째로 영화 속 도시의 장르와 도시 공간 요소에 근거한 형상화는 도시 경험에 관한 개념을 만들어내고 특정 도시에 관한 인식도 만들어준다. 둘째로 세계적 대도시는 스크린 안팎에 유사하게 알아볼 수 있는 형상화가 있음에 따라 독특한 정체성 및 영화 서사구조 속에 이의 역할을 하며 장르와 도시 공간의 요소를 통해 이를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위의 가설을 바탕으로 세계 영화 관람자가 장르와 도시 공간으로부터 형상화된 이미지에 따라 한국 대도시의 도시성과 실체 도시 경험에 관해 충분히 인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가설을 증명하기 위하여 문헌 조사와 현장에서 얻은 자료를 활용한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한 질적연구 방법론으로 진행되었다. 도입에 영화와 도시의 관계를 소개하고 형상화의 패러다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문화적 또는 사회적 상황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현재까지 분야 전문가들이 선행연구에서 이를 어떤 식으로 다루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어서 이론적 배경을 설정하여 영화 속 도시의 형상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해석하기 위한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다. 영화와 도시의 상호관계로부터 시작하여 영화 속 도시와 영화적 도시의 차이점을 살피고 영화적 도시와 도시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구체적인 영화적 도시의 형상화를 제시한 후에 특히 공간적 스테레오타입 (spatial stereotype) 그리고 장르 영화라는 이론을 바탕으로 영화 속 도시의 형상화와 그 외의 효과를 이해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사례분석의 대상으로 둔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Avengers: Age of Ultron, 2015)과 <블랙 팬서>(Black Panther, 2018) 영화에서 한국 대도시 형상화의 특징을 살펴보았고 분석한 에피소드를 통해 서울과 부산의 영화 속 형상화의 공간적 스테레오타입과 장르 이론을 통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찾았다. 공간적 스테레오타입의 측면을 통해 보면 한국과 한국 대도시는 세계적 입지를 다지기 위하여 할리우드 영화 속에 더 자주 반복적으로 비슷하게 형상화되야 하며 문화적 특성을 미장센 요소를 통해 형상화하기 위하여 더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장르적 측면을 보면 두 도시들이 앞으로 형상화될 가능성이 무궁무진하지만 현재로서는 서울의 건축물은 분명히 하이테크 미래도시를 보여줄 수 있고 부산의 형상화는 네온사인이 있는 밤 골목으로 지금까지 대표되는 갱스터 영화나 필름 누아르에 더 가깝다. 기술과 속도의 중심인 서울과는 달리 부산은 <블랙 팬서>에서처럼 전통문화에 대한 감각이 조금 더 강하고 문화들을 만날 수 있는 다문화 국제적 공간으로서의 정체성을 만들어낼 수 있다. 따라서 할리우드는 전쟁과 가난 또는 좀비나 평범한 관중들과 같은 한국의 재현에서 더 긍정적인 재현으로 변화한 것을 결론지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주제는 관련 사례가 충분하지 않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본 연구결과는 두 사례만을 바탕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논문은 할리우드 영화에 나타나는 한국의 초기 분석자료라는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앞으로 나타날 할리우드 영화 속 한국 대도시 형상화의 긍정적인 전망을 위하여 연구되었다.

      • 단편영화 <솜사탕 같아> 제작보고서 : 연출을 중심으로

        야나 레카스카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343

        The purpose of the current report is to analyze the short film “The Bridg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rector. The main focus of the author of this report is the film’s narrative structure and the techniques from a director’s point of view used in order to transfer the written text (the script) onto the big screen. The film’s title both in English (The Bridge) and in Korean (As Cotton Candy – literal translation) carry the main messages of the film. The film deals with acute problems of nowadays society: pressure to conform to stereotypes, isolation, loneliness and feeling of disconnection. The film tries to deliver hope that just as the bridge connects the two river banks, we can find a way to cross over the hardships we encounter in our lives so that we can enjoy our time on Earth just as we do with the cotton candy: despite the fact that it melts in our mouths without a trace, the sweet taste of the actual experience remains. The report include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whole process of creating “The Bridge”: starting from the idea about the film, going through the preproduction process of writing the script, gathering the team, doing the casting and the location scouting, then explaining the production process with description of the shooting schedule and detailed analysis of each scene, and finishing with the different stages of the postproduction process: editing, sound design, color corrections and special effects. “The Bridge” received the “Best Expat Short Film” award at the 2nd Korea Expat Film Festival in Seoul in 2016 and was screened at 10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ll over the world. Currently it is included in the online catalogue of the biggest internet-based short film platform in Asia viddsee.com. 본 연구논문은 <솜사탕 같아> 라는 단편 영화를 감독의 관점에서 분석한 제작 보고서이다. 본 논문은 이 영화의 내러티브 구조와 감독의 의도를 시나리오에서 스크린으로 옮기는 기법에 대해 주된 초점을 둔다. <다리> 라는 영어 제목과 <솜사탕 같아> 라는 한국어 제목은 이 영화의 주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 영화는 기존 질서에 대한 순응, 고립, 외로움, 단절감 등 현대사회의 심각한 문제들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 영화는 다리가 각각의 강둑을 연결하는 것처럼, 우리가 이 세계를 살아가는 동안 고난을 극복하고 우리의 삶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는 희망을 전하고자 한다. 마치 입 안에 들어가면 흔적조차 없이 녹아버리는 솜사탕이 그러하듯이, 실제 경험은 달콤한 맛으로 남는다. 본 제작보고서에는 <솜사탕 같아> 라는 단편 영화를 만드는 전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다: 영화에 대한 아이디어에서부터 시작해, 촬영 준비 과정인 시나리오 작성, 스탭 구성, 캐스팅 및 로케이션 스카우팅을 거쳐, 촬영 일정과 각각의 씬들에 대한 세부 분석을 통한 촬영 과정 설명 그리고 편집, 사운드 디자인, 색보정 및 특수효과와 같은 후반 작업의 각기 다른 영역들에 대해서까지 다룬다. <솜사탕 같아>는 2016년 서울에서 열린 제2회 Korea Expat Film Festival에서 Best Expat Short Film 상을 수상했으며, 전 세계적으로 총 10개의 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되었다. 현재 아시아에서 가장 큰 인터넷 기반 단편 영화 플랫폼인 Asia viddsee.com. 에 온라인 카탈로그가 등록 되어있다.

      • 한국에서 러시아 무역상에 관한 실태 연구 : 동대문시장 보따리상을 중심으로

        Yana, Lytkina 韓國學中央硏究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327

        1990년대 초 소련 붕괴 이후의 사회적·정치적으로 충격적인 변화의 물결을 배경으로 중요하게 발생한 새로운 사회적 현상은 보따리 무역상의 등장이었다. 대중적인 성격을 갖게 된 러시아 보따리무역은 러시아 사회 내의 변화된 과정을 아주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회적 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보따리 무역은 1990년대에 비공식적인 성격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보따리 무역의 규모에 대한 정확한 관련 정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보따리상인들이 러시아 시장경제 제도 아래에서 중요한 큰 축으로의 역할을 한 상징적인 사건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보따리 무역 상인들의 사회적 기능은 90년대 초 당시의 소비재 부족 문제의 해결과 구소련 때의 사회적 행동 모델과 규범, 가치들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모델의 형성에 매우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한국과 러시아 간의 보따리 무역을 현재 하고 있거나 과거에 했었던 러시아 사람들을 조사 대상으로 보따리무역의 출현, 발전, 쇠퇴의 3 단계로 살펴보았다. 한국에서 보따리무역을 하고 있거나 과거에 보따리무역을 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의 직접적인 인터뷰를 통해 보따리 무역으로 얻은 사회적 경험과 사회적 변화에 적응해 가는 모습에서의 러시아 보따리 무역의 특성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자의 이야기와 러시아 관련 연구 자료 등에서 나타난 1990년대 초부터 오늘날까지의 보따리 무역 현상의 특성을 종합해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중요한 특징을 들 수 있다. 첫째, 1990년대에 비공식 성격을 가졌던 보따리 무역은 1997년 경제 위기 이후 점점 공식적인 무역의 인프라 구조로 들어가기 시작했다. 1997년의 경제 위기를 계기로 무역에 따른 수입 규모가 큰 보따리 무역상만이 비즈니스를 지속할 수 있었다. 둘째, 러시아 내의 보따리 무역이 무역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많은 보따리 상인들이 해외에서 직접 구매하는 방식에서 도매로 물건을 수입하는 대형 보따리 무역업체로 부터 물건을 구매한다. 그런 방식으로 해외에 가서 직접 구매를 하는 것보다 비용과 노력 등이 훨씬 절감된다. 이처럼 모든 비즈니스는 변화를 거듭할 수밖에 없고,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면 사라져 갈 수밖에 없는 현실을 러시아 보따리무역이 웅변해준다. 이제 러시아 보따리 무역은 완전 쇠퇴기라기보다는 또 다른 형태로 변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80년대 말~1990년대 초의 제도적인 위기 상태에서 경제적 전략의 선택권은 육체적 능력과 물질적 자원, 개인 네트워크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개개인의 차원에 주로 의존하였다. 경제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보따리 무역을 하게된 대다수의 많은 사람들에게 상업 활동은 심리적으로 많은 스트레스와 어려움이 따랐지만 보따리 무역에 대한 긍정적인 능력을 발견한 사람들은 보따리 무역업의 활동에서 빠른 적응 양상을 보였다. 이 맥락에서 보따리무역이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뿐만 아니라 새로운 경제 시장 제도에 적응하기 위한 수단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Начало девяностых годов прошлого века стало периодом радикальных переме н в российском обществе, вызванных коллапсом СССР. Одним из видов общес твенных реакций на произошедшие перемены можно назвать новое социальное явление того времени- "челночество". В 1990-х челночная торговля носила неофициальный, неформальный характер, поэтому нет достоверных данных о реальных масштабах данного явления. Тем не менее, это не будет преувеличением если сказать, что челночество стало од ним из символов периода перехода в рыночной экономике. Главной социально важной функцией, которую выполнила челночная торговля, является частичное решение проблемы повсеместного острого дефицита промышленных товаров ши рокого употребленияю Помимо этого, челночная торговля оказала большое влия ние на формирование новых моделей поведения, новых социальных ценностей, значительно отличаюшихся от таковых во времен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Объектом исследования данной разработки являются действующие "челноки" в Корее, а также люди, име.ющие опыт челночной торговли между Россией и Кореей в прошлом. Цель данного исследования - выявление особенностей росс ийской челночной торговли посредством анализа материалов интервью, взятого у "челноков" на сеульском рынке Тонгдэмун и у людей, которые занимались торговлей корейскими товарами в прошлом. Суммируя результаты анализа материалов интервью и предыдущих исследова ний, можно выявить следующие главные особенности российской челночной торговли: Во-первых, российская челночная торговля, которая носила неформальный, оф ициально не документируемый характер в 90-е годы, начиная с 1997-го года, после финансового кризиса стала постепенно интегрироваться в традиционную торговую инфраструктуру, приобретая официальный характер. Финансовый кри зис стал своего рода фильтром, после которого в челночном бизнесе осталисьтолько "челноки" крупных масштабов Во-вторых, в результате "кризисной фильтрации" челночные торговцы средне го и мелкого масштабов вынуждены были перейти на исследование внутриросс ийского рынка, либо переквалифицироваться в дилеров для оставшихся в зарубе жном челночном бизнесе оптовиков. Пример российской челночной торговли подтверждает факт, что выживает и добивается в бизнесе успеха тот, кто обладает гибкостью и высокыми способ н остями к адаптации к новым условиям. Но несмотря на видимость постепенно го упадка челночной торговли, нельзя говорить о ее последующем полном исче зновениию Челночная торговля, как социальное явление, переживает процесс тр ансформации, перехода в другую модель. Институционный кризис 1980-90-х годов заставил людей полагаться только на свои собственные физические, материальные, социальные ресурсы. Экономичес кое преимущество было у тех, у кого были лучшие ресурсы. Многие россияне в тот период выбрали челночную торговлю в качестве инструмента решения ма териальных проблем, но тем не менее, можно сказать, что чедночная торговля стала также инструментом адаптации к новой системе рыночных отношений. The beginning of the 1990's was a period of shocking social changes for Russian society because of the Soviet Union's collapse. One of the social reactions on these changes was a new social phenomenon known as shuttle trading. In the 1990's shuttle trading had an informal character, thus there is no exact data about its actual scale. Nevertheless it would not be a hyperbole to say that shuttle trading was a symbol of Russia's transformation into the market economy. The main social function of shuttle trading was partially solving the problem of generalized shortage of consumer goods and it had a big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new behavior models and new values, different from those typical during the Soviet Union. The research objects are people who are shuttle traders or who have an experience of shuttle trading between Korea and Russia in the pa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specifics of the Russian shuttle trading through analyzing the interview materials which were obtained by interviewing Russian shuttle traders at Dongdaemun Market in Seoul and people who have shuttle trading experience in the past.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analysis and the study of previous researches lead to the conclusion that the specifics of Russian shuttle trading can be described as the following: To begin with, Russian shuttle trading which had an informal character in the 1990s, began to integrate into official (traditional) trading infrastructure after the 1997 financial crisis. The 1997 financial crisis did a filter function for shuttle trading so only big scale shuttle traders could stay in this business. Furthermore, after the crisis only the wholesale scale shuttle traders could continue to buy goods abroad, the rest of the middle and small scale shuttle traders had to begin exploring the Russian domestic market or to function as dealers for wholesale shuttle traders. The example of the Russian shuttle trading proves again that surviving in business depends on an individual’s flexibility and adaptation abilities. Although shuttle trading is slowly fading, we can't say that it is vanishing but transforming into different mode processes. The institution crisis of 1980~1990s made people to lean only on their own physical, material, network resources and who had a better resources had a bigger economical advantages . Many people that time chose shuttle trading as an instrument of solving their material difficulties, but shuttle trading also can be considered as an instrument of adaptation to the new market economy system.

      • 단편영화 <소속감의 구조> : 심리표현의 연출 방식 중심으로

        Stancheva, Yana 동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326

        From my perspective, art is always something personal. I cannot imagine how someone could write a story and present it visually if they do not feel it, if it does not come from within. And when it comes to the things within it is always difficult to draw the line between intimate experience and what the public sees and percepts. When the general idea of this film formed in my mind I knew that while I feel this story very strongly, the actual scenario I had written may not convey that feeling or that intensity and so some work needs to be done on it. I had no idea where to begin from and I left it for quite some time. Then one day quite by accident I came across an interview with Lantian Xie, whose works eventually became the defining frame of the story. To my embarrassement I had never before heard of him but reading his interview I was shocked to see how he had been treating the same issues but on a different medium. Eventually that message that art can connect us and help us discover ourselves became another defining aspect of the film. I have discussed this issue with a lot of people along the long and bumpy road of production and it surprises me how many people find this “truth” trivial and too obvious when for me it is so hard to find people who deal with the issues I am dealing with. And think about it – how many top selling world-renowned painters deal with immigration? Not many actually. Journalists address the issue often but not artists. So you may end up thinking that the theme is altogether popular but it is not at all. The ultimate first step to building this story was a book I came across, just as accidentally as I had come across Lantian Xie, called 『Translating Lives』. It was a collection of essays authored by people living outside of their native language and culture. They relayed their experiences and the challenges they had come to face in the process of adjusting and then simply existing in such environments. To be honest though my situation is similar I could not relate to most of the stories in the book but what stayed with me long after I had finished it was the feeling of continuation. The struggles of these people continued and no one seemed to think they will ever cease. This does not necessarily mean they are unhappy but they are definitely aware of the unusualness of their position. This was the emotional, philosophical and personal basis of the movie. I was lucky enough to meet and/or at that time find myself in one way or another surrounded by the right people without whom none of this would have ever been possible. I was lucky to meet the right cast and crew at exactly the right time who helped me bridge the gap between my personal take on the issue and what the audience actually sees and reads in a movie. The leading lady, HyeMin, is a curator, a woman who by the nature of her profession looks at art in a philosophical, reserved, conceptual and distanced way. Art is emotion but curating is rational approach to those emotions. Curating is a line of work where people look at the world around us, define the ongoing issues and find artworks that would treat all aspects of it. It requires diving and openness, it requires rejection of hard-fixed truths and definitions in favour of the fluidity of personal experiences. Her husband Steven is in the same position his entry into it is different. He also deals with emotions even more powerful than those HyeMin deals with and just like her he needs to look at them and analyse them calmly and from scientific perspective. He exercises control over these emotions by dealing with them with reserve. Collected as his job requires him to be as the movie goes on we come to see a different side of him. Flashbacks to his past searching for truth and peace in Buddhist temples, his advice to his patient Ms Lyn all speak of a person who is calm and collected only because he has come out of an intense personal storm, someone who came out of his own personal hell to discover his strength and own voice in the world. None of the above mentioned characterstics, however, take central stage in the story. It is the emotional background of our characters which we see bits and pieces of but the main storyline looks at the characters in their role of people inhabiting a large, vast and undefined area between two cultures. You could call them immigrants or emigrants but really these people live between two cultural practices. Particularly important for me was to imply that they are not economic immigrants. Movement and drama do not come from financial instability but from the challenges of living in a world where everything is acceptable, everything is ok, everything has a reason for being which is the mindset you need to adopt to live happily in multicultural environments. Many things you come across will look and feel wrong but in the end you have to accept them and that largeness of openness, that flexibility of opinions can undermine your own stable convictions and beliefs. In many cases this “going out of your comfortable zone” is a recommended experience but also in many cases it might be bewildering and leave you lost. The Buddhist theme was included to suggest the religious depth of the characters' interior struggles and also to position spirituality as their common ground for connection. In the end when the characters meet again in a setting just like the one in the opening scene the main message of the movie – that we connect when we have similar interior makeup not when we have similar background – comes full circle. We shot the film in a location that looked sleek and Scandinavian, minimalistic and white. We wanted that clean, empty but not poor look, the collected exterior that supposedly covers a messy mind. The paintings that you can see through out the movie also tell their individual stories. What I wish had been better in the final version is that I wish we had had more time and resources to develop the story further. To repeat the messages, to see how each aspect of the issue plays out in different set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