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터넷 상의 게시물에 의한 명예훼손죄

        안재원 全北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and the information superhighway network have made a large change in our life. We are able to get faster and wider information right now through INTERNET space such as INTERNET news, e-mail and INTERNET broadcasting system etc. The INTERNET has not only positive functions but also negative functions due to the deviation in those expression, which are causing serious problems to our society. For example, contents on the INTERNET bulletin board cause defamation of character Defamation of character on the INTERNET space must be analyzed legally, and proper legal countermeasures must be considered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study at the countermeasure for Defamation of character on the INTERNET space. The content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Chap.1. Introduction Chap.2. The Expression on the INTERNET space Chap.3. Defamation of character on the INTERNET space Chap.4. Conclusion O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is research will be described. On the second chapter, we will give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And we will search what the freedom of the expression on the INTERNET is, and show how to solve the problem of conflicts between fundamental rights. On the third chapter, we will find some cases about the defamation on the INTERNET. Furthermore, we will look over how the judiciary of other countries deal with these problems as well as ours. Finally, we can give solutions for problems on existing law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among regulations related to the defamation. On the fourth chapter, we will summarize and conclude this argument, and let you know some improvements. Discussion on INTERNET defamation is a problem arose by the rapid spreading of INTERNET and the related theory and study are not enough. So, an in-depth study of this area should be continued from now on.

      • 사이버가정학습이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안재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yber Home-Study in Mathematics on students' performances on Mathematics and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s of students that combined school education with Cyber Home-Study and students that combined school education with privat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ddress the effect of Cyber Home-Study in Mathematics and the possibility of its replacement of private education for more economic education and to discuss ways to manage Cyber Home-Study in Mathematics more successfully. The following study topics were selected for this purpose: 1. How does the influence of Cyber Home-Study appear on students' performances in Mathematics? 2. How does the influence of Cyber Home-Study on students' performances in Mathematics appear in relation to their level of performances (satisfactory, average, unsatisfactory)? 3. Is there a significance difference in performances between students that took only Cyber Home-Study and students that took only private education? 4. How does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s between students that took only Cyber Home-Study and students that took only private education appear in relation to their level of performances (satisfactory, average, unsatisfactory)? To discuss these study topics, the experiment group to participate in Cyber Home-Study, the first comparative group (C1) to not participate in Cyber Home-Study, and the second comparative group (C2) to participate in private education were selected and pretested. The average of each group's preliminary performances was t-tested to compare the performances of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s (C1, C2). Then, the experiment group was assigned to Cyber Home-Study in Mathematics and the comparative groups were remained with general school education. After the experiment, the average of each group's performances was analyzed using the same process as the pretest an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assess the effects of the experiment. The following we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n result of the posttest, Mathematics performances of students that participated in Cyber Home-Study in Mathematics were higher than those of students that took only general school classes. A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groups, it was concluded that Cyber Home-Study in Mathematic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performances in Mathematics. Second, the influence of Cyber Home-Study in Mathematics on students' performances in Mathematics varied in strength by their level of performances. Cyber Home-Study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s showing satisfactory performances, but it greatly helped those showing average or unsatisfactory performances in Mathematics.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formances of students that took only Cyber Home-Study and students that took only private education in both pretest and posttest. In other words, the influence of Cyber Home-Study in Mathematics on students' performances in Mathematics was positive for students that took only general school classes, but was not as significant as the influence of private education on students' performances in Mathematics. Fourth, for students showing satisfactory performances in Mathematics, neither Cyber Home-Study nor private educa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s. The influence of Cyber Home-Study was positive for students showing average performances in Mathematics, but was not as significant as that of private education. However, Cyber Home-Study not only had positive influences on performances of students showing unsatisfactory performances in Mathematics, but its influence was also as significant as that of private educ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problem-solving contents for all levels of students, interactive data services such as IPTV, various customized contents, and Cyber Home-Study instruction and learning model that combines cyber learning with face-to-face activities along with their application measures for more effective Cyber Home-Study programs that can replace private education. It was also proposed that there should be a more improved form of inputting devices, such as electronic pen mouse or tablet mouse.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과 사이버가정학습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나타는지 살펴보고 학교 수학 수업과 사이버가정학습을 병행한 학생들과 학교 수학 수업과 사교육을 병행한 학생들 간의 수학 학업성취도 차이 정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수학과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성 및 사교육 대체 가능성을 검토하고 사교육비 절감에 기여하는 수학과 사이버가정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며 보다 성공적인 수학과 사이버가정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사이버가정학습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떻게 나 타나는가? 2. 사이버가정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수학의 학업성취수 준(상위수준, 보통수준, 하위수준)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가? 3. 사이버가정학습만 실시한 학생들과 사교육만 실시한 학생들 간의 수학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가? 4. 사이버가정학습만 실시한 학생들과 사교육만 실시한 학생들 간의 수학 학업성취도 차이는 수학의 학업성취수준(상위수준, 보통수준, 하위수준) 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으로 사이버가정학습에 참여할 실험집단과 사교육을 받고 있지 않는 비교집단(C1)과 사교육을 받고 있는 비교집단(C2)을 선정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사전검사 각각의 집단 학업성취도 평균을 t-검정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C1, C2)간의 차이를 살펴보고, 실험집단에는 수학과 사이버가정학습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일반적인 수업을 유지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사전검사와 동일형태의 학업성취도 평균 분석을 통해 실험효과를 얻어내는 이질 통제집단 전후검사 설계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과 사이버가정학습을 실시한 학생들의 사후 수학 학업성취도가 학교 수학수업만 유지한 학생들의 사후 수학 성취도보다 높게 나왔으며 두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수학과 사이버가정학습이 학생들의 수학과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과 사이버가정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수학 학업성취수준에 따라 다른 결과를 가져왔으며, 수학과 사이버가정학습이 수학 학업성취수준에 있어서 상위수준에 해당하는 학생들에게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으나 수학 학업성취수준에 있어서 보통수준과 하위수준에 해당하는 학생들에게는 수학과 사이버가정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이버가정학습만 실시한 학생들과 사교육만 실시한 학생들 간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사후 수학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도 사전 수학 학업성취도에서와 같이 여전히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학과 사이버가정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학교 수학수업만 한 학생들에 비해서는 그 효과성이 긍정적이나, 수학과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성을 사교육의 효과성과 비교함에 있어서는 수학과 사이버가정학습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사교육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비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학 학업성취수준 중 상위수준의 학생들에게는 수학과 사이버가정학습과 사교육 모두 수학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의미있는 영향을 주지 못하며, 보통수준의 학생들에게는 수학과 사이버가정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는 하나 그 효과성 정도가 사교육이 보통수준의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성에는 따라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이버가정학습이 수학 학업성취수준에 있어서 하위수준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수학과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사교육이 수학 학업성취수준의 하위수준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수학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비교했을 때 그 효과성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보다 효과적이고 사교육 대체 가능한 수학과 사이버가정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한 시사점으로 수학 학업성취수준별로 적합한 수학적 문제해결형 콘텐츠 및 IPTV와 같은 양방향데이터 서비스 및 다양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한 형태의 수학과 콘텐츠 개발, 수학과 사이버가정학습과 오프라인 상의 수학 학습활동을 연계한 수학과 사이버가정학습 교수학습 모델 개발과 실제적인 적용, 전자펜마우스(electronic pen mouse)나 타블렛 마우스를 활용한 입력매체의 한계점 극복 등에 대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 대기 및 수질요인에 의한 소성가공용 인산염피막의 부식현상

        안재원 忠州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environmental pollution becomes more critical, not only does the damage have harmful influence on all living things including human beings, but causes a serious problem, called 'corrosion', to non-living things such as metallic and nonmetallic materials. However, such a problem related to metallic corrosion hasn't attracted lot of attention from researchers in the filed of corrosion so far, as compared to its magnitude and importance, and it has been relatively less researched than other types of corrosion. Fortunately, as the seriousness of this problem is increasing recently and there are more new experimental techniques developed regarding corrosion, there are many new researches being actively conducted in the field at present. As for the research subjects, the product family was selected from 'H Company' located in the First Industrial Complex in Chugju City, Chungbuk Province, which produces phosphate-film products for plastic working out of all the kinds of metal, and by classifying causes of corrosion occurring in the product family into atmospheric factors and water-quality facto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enomenon of corrosion. Through an analysis of the properties of phosphate films, this study observed the mechanism of phosphate-film creation and the structure and role of film layers, while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nto the properties of phosphate films, it was found that phosphate film-forming (coating) agents can be divided into three kinds in general, out of which the main component of zinc phosphate-based chemical is basically Zn(H2PO4)2 H3PO4. A phosphate film is a structure composed of a total of 3 layers (soap layer, metallic soap layer and chemical conversion layer) and functions for anti-seizure property, low friction, corrosion resistance and thermal resistance. For an aquatic corrosion experiment, this study used a total of 5 specimens (underground water and tap water from 'H Company', industrial water from Ansan Industrial Complex and underground water and distilled water from 'S Company') and analyzed the components and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residual chlorine for each specimen. Aa a result of the component analysis, there was no large difference found between the components of water used for the process of phosphate films at 'H Company' and those of the other specimens. Then, by producing the same ones as the specimens whose component analyses were completed, this study observed the progress of corrosion as time passed for 7 weeks.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progress of corrosion by depositing steel grades having different components into each specimen, a phenomenon of red corrosion was found after about 5 week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found in the phenomenon of corrosion between the specimen from 'H Company' and the other specimens. For an atmospheric corrosion experiment, this study arranged the specimens at 8 different places inside the factory of 'H Company' and observed the phenomenon of corrosion.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from each place where the specimen was placed, the concentration chlorine was measured highest around the pickling factory in the process of removing scales, and it was found that other factors such as rain and fog have influence on the phenomenon of corrosion on the phosphate film. As a result of analyzed the degree of corrosion for each place where the specimen was placed, the corrosion of a specimen was most serious around the pickling factory where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was highest, and it was found because of the effect of HCL gas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removing scales. To provide a plan to prevent corrosion, this study conducted the wrap packing for the specimen and placed it around the pickling factory where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was measured highest.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progress of corrosion, there was any corrosion found in the specimen, and the value of the specimen was not lost as it should have as the product family as well.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corrosion occurring in the product family of 'H Company', it is needed to conduct wrap packing for goods in stock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not prevent chlorine gas from being generated inside the factory, it is the first priority to build additional washer-typed dust collection facilities in the operating area for removing scales so that the main cause may be eliminated most of all. 환경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그 피해가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명체에게 악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금속, 비금속 재료 등의 무생물에게도 부식이라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식 문제는 그 심각성과 중요성에 비추어 최근까지는 부식 문제 연구자들의 큰 관심을 끌지 못하였었으며 다른 여러 가지 형태의 부식문제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덜 연구되어 왔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문제의 심각성이 점점 커지고, 또 부식에 대한 여러 가지 새로운 실험 기법 등이 개발되는 것 등에 힘입어 이 분야에 많은 새로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연구 대상은 금속의 종류 중 소성 가공용 인산염 피막 제품을 생산하는 충북 충주시 제1산업단지 내에 위치한 ‘H사’의 제품군을 상대로 연구 하였으며, 제품군에서 발생되는 부식현상의 원인을 수질요인에 의한 부식현상과, 대기요인에 의한 부식현상으로 분류하여 연구 하였다. 인산염 피막의 성질 분석을 통하여 인산염 피막의 생성기구와 피막층 구조 및 역할을 관찰하였고,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인산염 피막의 성질 조사 결과 인산염 피막제는 총 3가지로 대별되는데 인중 인산 아연계 약제의 주성분은 Zn(H2PO4)2 H3PO4 이다. 인산염 피막은 총 3층(비누층, 금속 비누층, 화성피막) 구조이며 내 소부성, 저마찰, 내식성, 내열성 밀착성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수중 부식실험을 위하여 총 5개의 시료(‘H사’ 지하수 및 상수도, 안산공단 공업용수, ‘S사’ 지하수, 증류수)를 사용하여 실험하였으며 각 시료의 성분분석 및 잔류 염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성분분석 결과 현재 ‘H사’에서 인산염 피막 공정시 사용되는 수질의 성분과 다른 시료들간의 큰 차이점은 발견되지 않았다. 성분 분석을 마친 시료를 상대로 동일 시편을 제작하여 7주 동안 시간경과에 따른 부식진행 상태를 관찰 하였다. 각 시료에 성분이 다른 강종을 침적하여 부식진행을 관찰한 결과 약 5주후 붉은색의 부식현상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H사’의 시료와 다른 시료들간의 부식현화에 대한 차이점 발견되지 않았다. 대기 중 부식 실험을 위하여 ‘H사’ 공장 내부 8곳에 각각 시편을 배치하여 부식 현상을 관찰 하였다. 시편이 배치된 곳의 염소농도 측정결과 스케일 제거 작업이 진행중인 산세공장 부근의 농도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비, 안개등과 같은 요인도 인산염 피막의 부식현상에 원인이 있음이 확인 되었다. 시편을 배치한 구역별 부식정도 분석 결과 염소농도가 높게 측정되었던 산세공정 부근의 시편 부식이 가장 심하였고 그 원인은 스케일 제거 작업시 발생되는 HCl gas의 영향인 것으로 확인 되었다. 부식방지의 대책마련을 위하여 랩(wrap)포장을 실시하여 염소농도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던 산세장 부근에 비치, 그 부식상태를 관찰한 결과 부식정도가 발견되지 않았고 제품군으로서의 가치역시 상실되지 않았다. ‘H사’의 제품군에서 발생되는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일정기간 이상의 재고품에 대하여 랩(wrap)포장을 실시하고, 공장내에 염소가스가 발생하지 않도록 스케일 제거작업 공간에 세정식 집진 설비를 추가증설 하여 그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최우선일 것이다.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놀이지원역량과의 관계

        안재원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놀이지원역량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놀이지원역량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놀이지원역량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놀이신념, 놀이지원역량은 어떠한가? 셋째,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놀이지원역량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경기 및 인천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유아 교육기관(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만 3 ~ 5세반 유아교사 20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을 측정하기 위해 Fogel(2003)이 제작한 PPBS(The Parents Play Belief Scale)를 번안하고 수정한 유미(2008)의 어머니 놀이신념 척도 중 긍정적 놀이신념과 부정적 놀이신념을 권혜진(2013)이 영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수정한 긍정적 놀이신념을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은 김화록(2021)이 제작한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산출 및 기술 통계분석을 실시하고, 유아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놀이신념, 놀이지원역량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test 및 일원배치 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사후 검증으로 Scheffé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놀이지원역량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에서 긍정적 놀이신념은 5점 만점 기준으로 평균 4.45점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중 놀이지원역량의 전체도 평균 4.12점으로 나타나 5점 척도를 기준을 보았을 때 평균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놀이지원역량의 차이를 살펴보면, 유아교사의 연령에 따라 놀이신념과 놀이지원역량 전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놀이지원 기술에서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30대 미만 교사보다 30대 이상 유아교사가 놀이지원 기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최종학력에 따른 놀이신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놀이지원역량 중 놀이지원 기술, 놀이지원 신념, 놀이지원 계획, 놀이지원 실행, 놀이지원 평가에서도 유아교사의 최종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놀이지원 지식, 놀이지원 감수성, 놀이지원역량 전체에서는 최종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하위요인 중 놀이지원 지식은 전문대 졸업 이하 교사보다 대학원 석사 이상 교사가 더 높게 나타났고, 놀이지원 감수성은 전문대 졸업 이하 교사, 대학교 졸업 교사보다 대학원 석사 이상 교사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놀이지원 역량 전체에서도 전문대 졸업 이하 교사보다 대학원 석사 이상 교사가 다소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경력에 따른 놀이신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놀이지원역량 중 놀이지원 지식, 놀이지원 기술, 놀이지원 계획, 놀이지원 실행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놀이지원 신념, 놀이지원 감수성, 놀이지원 평가에서는 유아교사의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놀이지원 감수성은 6년 이상 9년 미만 경력 교사보다 9년 이상의 경력 교사가 더 높게 나타났고, 놀이지원 역량 중 놀이지원 평가에서도 6년 이상 9년 미만 경력 교사보다 9년 이상 경력 교사가 더 높게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유아교사가 맡은 학급의 교사 대 아동 비율에 따른 놀이신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놀이지원역량 중 놀이지원 지식, 놀이지원 기술, 놀이지원 신념, 놀이지원 감수성, 놀이지원 계획, 놀이지원 평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놀이지원 실행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교사 대 아동 비율이 법정 비율과 같거나 초과하는 학급을 맡은 유아교사 보다 교사 대 아동 비율이 법정 비율보다 적은 학급을 맡은 교사가 놀이지원 실행이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놀이지원역량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의 많은 하위 요인들이 놀이신념과 비교적 높은 상관을 보였고,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높을수록 놀이지원역량 전체도 높게 나타날 수 있어 유아교사가 가지고 있는 놀이신념이 놀이지원역량에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 되어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유아가 중심이 되어 놀이가 이루어지고 그 과정에서 배움을 경험할 수 있도록 놀이를 지원해주는 교사의 역할과 관련하여 교사의 놀이신념과 놀이지원역량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놀이지원역량의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유아교사는 놀이중심 교육과정 안에서 「2019 개정 누리과정」교육의 인지적인 측면만을 강조하기보다는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놀이지원역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자기 개발의 참여가 필요하며, 교사 스스로 자신의 신념이나 놀이지원역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을 찾을 수 있는 재교육 또는 반성적 사고 및 자기평가, 교사공동체 학습을 통해 더 나은 교육자로 성장해 나갈 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비 모델 외바퀴 로봇의 제어

        안재원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oposes a control system to keep the balance for a unicycle robot. The robot consists of the disk, wheel and the tile angle measured from the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sensor. A controller is designed PID controller based on a non-model algorithm to prove tha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balance of unicycle robot without linear algorithm such as sliding mode control and LQR. The PID controller has the advantage of that it is simple to design the controller and unnecessary the complex formula. That is why the PID controller is widely used in industries. In this paper, assuming that the pitch and roll axis are decoupled, design the controller separately. A reaction wheel pendulum method is used for the control of roll axis, and an inverted pendulum method is used for the control of pitch axis. To confirm the performance of controller using MATLAB Simulink, the dynamic equations of the robot are derived. To design the controller,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get a proper P(Proportional) gain, I(Integral) gain and D(Derivative) gain. In this paper, those are obtained from repetitive experiments.

      • 타겟팅 광고 시스템을 위한 키워드 증강 및 한국어 BERT를 활용한 관심사 키워드 추출 연구

        안재원 서강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방송광고 시장은 IPTV를 주축으로 디지털 매체로 변화하고 있고, 상품들의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 MASS 광고와 차별화된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1]. 맞춤형 광고를 위해서는 제품군 분류가 핵심이며, 신규 상품 분류 수작업을 최소화하고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키워드 추출 과정을 시스템화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은 맞춤형 광고의 기반이 되는 관심 키워드 추출 과정에서 선행 연구 대비 3가지 차별화된 연구 및 시스템 제안을 한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첫 번째로, 학습 데이터의 품질은 모델 성능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되므로, 도메인 전문가 지식이 반영된 정답 데이터의 지속적 확보와 모델 반영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하여 필수 프로세스인 검수 업무 외 모든 키워드 추출 과정을 자동화하였다. 두 번째로, 지도 학습과 비지도 학습 두 모델이 서로의 단점을 보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준지도 학습 구조로 구현하였다. 도메인 전문가를 통해 확보된 소량의 정답 키워드는 지도 학습 모델을 통해 학습하고, 대용량 사전학습 BERT[10]와 유사 키워드 추출을 결합하는 KeyBERT[7] 모델을 통해 객관적이고 다양한 후보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두 모델 추출 키워드로의 준지도 학습하는 본 제안 시스템의 성능이 기존 비지도 학습과 지도 학습 대비 약 30~40%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 데이터의 양과 학습 횟수(Epoch) 변경에 따른 성능 비교를 통해 최적값을 찾아내었다. 마지막으로, 사전학습 BERT 모델별 임베딩 성능 비교를 통해 한국어에 특화된 모델을 연구하였고, 약 10% 우수한 결과를 보인 KoBERT[11]를 적용하였다. The broadcast advertising market is changing to a digital medium centered on IPTV, and aims to provide customized advertising that is differentiated from MASS advertising in order to increase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of products[1]. For customized advertising, product classification is key, and it is necessary to automate the keyword extraction process to minimize the manual work of classifying new products and increase objectivity.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three differentiated research and system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keywords of interest, which is the basis for customized advertising. First, since the quality of learning data has a lot of influence on model performance, all keyword extraction processes except for inspection, which is an essential process, were automated by systemizing correct answer data that reflects domain expert knowledge and to reflect the model. Second, two models of supervised learning and unsupervised learning were implemented as semi-supervised learning structures so that they could play a role in complementing each other's shortcomings. A small amount of correct answer keywords secured through domain experts were learned through supervised learning models, and objective and diverse candidate keywords were extracted through the KeyBERT[7] model that combines large-capacity pre-learning BERT[10] and similar keyword extra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of this proposed system for semi-supervised learning with the two model extraction keywords was improved by about 30~40% compared to the existing unsupervised learning and supervised learning. In addition, the optimal value was found through performance comparis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amount of learning data and the number of learning(Epoch). Finally, we studied Korean-specific models through the comparison of embedding performance by pre-learning BERT model, and KoBERT[11], which showed about 10% superior results, was applied.

      • 천장지향 2D-LiDAR를 이용한 공간 정보 획득 및 실내 주행 로봇의 위치 추정

        안재원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oposes a high-accuracy localization system for indoor intelligent robots using the ceiling-looking 2D-LiDAR. The indoor intelligent robots operating in limited indoor area require the high-accuracy localization system to provide the high-level service. But, the widely used localization systems based on radio waves or computer vision are highly dependent on their usage environment, thus sometimes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location.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proposed localization system bases on LiDAR and a ceiling-looking information. LiDAR is a high-accuracy distance measurement sensor using the straightness of a light. And, the ceiling-looking information is rarely changed because it is far away from the working area. So, the proposed localization system is independent on its usage environment. The proposed localization system consist of two phases, to acquire spatial form information and to compare it with a blueprint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robot. The proposed localization system, first, obtains a point cloud (set of LiDAR measurement data) using 2D-LiDAR rotation system that overcomes 3D-LiDAR’s limitations with regard to spatial resolution. After then, the system segments the point cloud on the basis of normal vector and Standard distance from local plane to origin, to divide it into ceiling and wall (the boundary of ceiling) group. Second, the system converts the divided information into a two-dimensional information, and then compares it with blueprint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robot. The comparative process selects the candidate area based on wall group, and then calculates the special Matching score for the image matching. In order to verify the system, the system was placed in a random space in the hallway, and compared the estimated location and the actual.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localization system’s error is less than 10cm. So, the proposed localization system is enough to provide the high-level service.

      • DNA detection for blood trace evidence from washed textile

        안재원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Bloodstaining at crime scenes is crucial for identifying suspects. These traces often serve as decisive evidence to confirm the identity of suspects. However, suspects frequently attempt evidence tampering with detergents used to wash blood-stained fabric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preliminary blood tests and DNA detection using laundered bloodstains. Blood, diluted up to a million-fold from the original sample, was dropped onto 100% cotton, 100% nylon, 100% polyester, and blended fibers. The stained fabrics were washed with bleach and laundry detergent until the blood stains were no longer visible. Microscopic examination of each fiber before and after washing was performed to analyze blood absorption and fiber patterns. The boiling extraction method was used for DNA extraction, and the quantity of the extracted DNA was measured using absorbance. Additionally, real-time PCR using the short tandem repeat marker TH01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presence of human-origin blood. Preliminary experiments using luminol and Kastle–Meyer reagents were performed to confirm blood staining before and after washing. DNA was successfully extracted from all fibers before and after washing, and human-origin genes were detected in all fiber samples using real-time PC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