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프로젝트 중심의 탐색활동이 유아의 그림표현에 미치는 효과

        안은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 미술교육에서 프로젝트 중심의 탐색활동이 유아의 그림표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프로젝트 중심의 탐색활동과 전통적인 교사 중심 활동은 유아의 그림 표현과정에 어떠한 차이를 보일 것인가? 2) 프로젝트 중심의 탐색활동과 전통적인 교사 중심 활동은 유아의 그림 표현능력에 어떠한 차이를 보일 것인가? 이러한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라남도에 위치한 P병설유치원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는 프로젝트 중심의 탐색활동을, 비교집단에는 전통적인 교사 중심 활동을 각각 한 주제에 대해 1주씩, 5가지 주제에 대해 총 5주간 실시하였다. 실험 실시 전에 두 집단이 동질 집단임을 확인하기 위해 그림 표현능력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는데, 분석 결과 두 집단의 점수는 의의있는 차이가 없어 동질 집단임이 확인되었다. 연구의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그림 표현과정과 그림 표현능력의 사후검사 결과의 평균점수 차이를 t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그림 표현과정은 전체점수에서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흥미도, 자신감, 성실성, 작품존중 요인 중 흥미도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차이를 보였다. 2. 그림 표현능력은 전체점수에서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를 보였다. 주제에 대한 표상능력, 세부적 묘사, 조화로운 화면구성, 다양한 형체묘사 요인 중 주제에 대한 표상능력, 세부적 묘사, 조화로운 화면구성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차이를 보였다. 위와 같은 결과는 프로젝트 중심의 탐색활동이 유아로 하여금 흥미와 호기심을 갖고 그림 표현과정에 참여하도록 하며 그림표현에 있어서도 표현 주제를 잘 인식하여 나타내도록 하고, 표현주제를 세부적으로 묘사하도록 해 주며, 주제가 화면에 조화롭게 묘사되도록 함으로써 유아 미술교육에 효과적인 지도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This study is aimed at how effective are young children's drawing expression by project-centered exploring activities in are education. Two research questions were used for this purpose: 1) How effective are project-centered exploring activities on the process of young children's drawing expression? 2) How effective are project-centered exploring activities on the ability of early children's drawing expression? The subjects were P kindergarten establishment, an annex in Chonnam, they were divided into two classes. the drawing ability was the same quality in the two groups tested.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project-centered exploring activities, and the control group was given the treditional teacher-centered activities for 5 weeks. The two classes proved the same quality, without remarkable difference, After testing with the t-test, an average difference of their drawing expression ability, and drawing expression process between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 in the process of drawing expression. Of the four factors investigated (interest, self-confidence, sincerity, and respect for work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remarkable difference in the interest factor. 2) There was statistically a remarkable difference on the ability of drawing expression between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scores in the expression ability,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harmonic constructions of a drawing, and various descriptions of a shape than the controled group. Therefore, project-centered exploring activities may be an effective was of teaching young children in art education.

      • 사회복지시설장과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이 시설종사자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은옥 서남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사회복지시설장과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인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서번트 리 더십, 감성리더십 등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조직유효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연구들이 다수 있지만 어떠한 리더십 유형이 사회복지시설에 적합한 리더십 유형인지에 대한 다차원적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시설종사자의 직무만족이나 조직몰입을 높여 줄 수 있는 시설장이나 중간관리자 의 리더십 유형인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 감성리더십 중 어떠 한 유형이 가장 적합한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가설검증을 위해 Survey법을 선택하였으며, 자료수집은 서울, 경기, 충북, 전북 지역 사회복지시설을 중심으로 450부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그 중에서 397부의 설문지를 가지고 가설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회수된 설문지의 각 문항을 모두 점수화하여 PASW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을 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구 조방정식모형분석 검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Ⅰ>의 검증결과, 시설종사자의 직무만족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시설장의 리더십 유형은 존재하지 않았으며,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시설장의 리더십은 거래적 리더십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복지시설에서 시설장의 리더십은 직무와 관련해서는 시설종사자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크지 않음을 시사해 주 고 있었다. 직무만족이 시설장의 리더십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다는 것은 시 설종사자들의 업무가 전문직임을 간접적으로나마 시사해 주고 있었다. 이에 반해 시설 장의 거래적 리더십만이 조직수준인 조직몰입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시설장이 시설종사자들이 일정한 수준의 성과를 달성하였을 경우 약속된 보상을 제공하거나 자기 의무를 불이행하거나 기준 성과에 미달했을 경우 리더가 개입하여 관리하는 리더십을 발휘할 경우에 시설종사자들의 조직몰입을 높여 줄 수 있다는 것 이다. 사회복지시설에서는 시설장이 변혁적인 리더십이나 서번트적인 리더십, 감성을 기반으로 하는 리더십을 발휘하더라도 직무만족이나 조직몰입을 높여 주지는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비교적 안정적인 조직에서 나타나는 교환관계를 기반으로 한 거래적 리더십만이 사회복지시설에는 적합한 리더십임이 밝혀졌다. <가설 Ⅱ>를 검증한 결과, 중간관리자의 거래적 리더십만이 시설종사자의 직무만족 이나 조직몰입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시설장에서와 같이 중간관리자의 경우에서도 사회복지시설에서는 중간관리자가 변혁적 리더십이나 서번트 리더십, 감성 리더십을 발휘하더라도 직무만족이나 조직몰입을 높여 주지는 못하고 있었다. 비교적 안정적인 조직에서 나타나는 교환관계를 기반으로 한 거래적 리더십만이 사회복지시 설에는 적합한 리더십임이 밝혀졌다. 그런데 시설장과의 차이점은 직무만족에 중간관 리자의 거래적 리더십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직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 은 시설장이 아니라 중간관리자이었다. 즉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친 것은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이었다. 이에 비해 조직몰입에는 시설장과 중간관리자 모두가 영향을 미치고 있 었다. 따라서 시설장과 중간관리자의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 감성 리더십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분석 결과, 사회복지시설에 가장 적합한 리더십 유형은 거래적 리더십 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실천적 제언을 살펴보면 첫째, 다양한 리더십 유형이 있지만 다차원적 접근방법을 통해 사회복지시설에 적합한 리더십 유형을 찾을 수 있었으며, 중간관리자의 리더십도 시설종사자의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 도 밝힐 수 있었다. 둘째, 시설장이 리더십을 통해 조직차원에서 시설종사자들이 조직에 애착을 갖고 조직에서 일을 하고 싶어 하도록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human resource management)를 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교육훈련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다 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시설장은 직무나 조직과 관련 해서는 중간관리자에게 보다 많은 권한을 부여해 주는 임파워먼트(empowerment)를 조직에서 실천하는 방안 등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시설장을 비롯해 중간관리 자들에게도 리더십과 관련된 교육훈련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도록 조직을 운 영해 가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실천적 제언과 함께 정책적 제언을 살펴보면, 첫째, 사회복지 협회 차원에서 리더십 교육훈련을 체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 하다. 지역 대학들과 연계하여 리더십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방법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대처해 나갈 뿐만 아니라 환경을 원하는 방향으로 변화시켜 나갈 수 있는 사회복지 종사자들의 의식구조를 변화시켜 줄 정책개발이 필 요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 Although quite a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affirmative effect of the leadership styles at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nd middle manager's leadership styles - transitional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rvant leadership and emotional leadership - there have been no multi-dimensional studies that what kinds of leadership styles are suitable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a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nvol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what kinds of the leadership styles are suitable among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middle manager's leadership styles - transitional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rvant leadership and emotional leadership - to satisfy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e factors of transitional leadership were composed of a contingent rewards and management by excep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ere composed of a charisma, inspirational motivation,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servant leadership were composed of a steward, support of growth, formation of community, presentation of vision, and emotional leadership were composed of a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social-awareness, and relationship -management. This dissertation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CEO's leadership styles (Hypothesis-Ⅰ) and middle manager's leadership styles (Hypothesis-II)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easured by a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nvolvement.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397 social workers of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n Seoul, Gyeonggi-do, Chungcheongbuk-do, and Jeo1labuk-do. The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samples T-test.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s are as follows: Frist, in Hypothesis-I, the CEO's leadership(transitional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rvant leadership and emotional leadership) have not a significant effect in a job satisfaction, but the CEO's transitional leadership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a organizational involvement withou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avant leadership, and emotional leadership. Second, in Hypothesis-II, the middle manager's transitional leadership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a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nvolvement withou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rvant leadership, and emotional leadership. This study has yield two key findings. First there is no leadership styles at social welfare organization for the affirmative effect in the job satisfaction, but the leadership styles at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n the organizational involvement are transitional leadership. Second, the middle manag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effect both in the job satisfaction and in organizational involvement. There are also some practical implications and the implications of policy in this study. First, because the middle manager's transitional leadership has an effect on the social workers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we must take this effect into consideration in both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specialized instruction. Second, based on the middle manager's transitional leadership, the CEO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should be considering the empowerment by giving them an authority to make effectiveness in the organizations. Third,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should carry out a policy on the instruction of leadership to organize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effectively. The connection of local universities and company may be very helpful because of accessibility and professional instruction. Fourth, we should emphasize policy development for the social workers to handle the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Fifth, we should formulate supporting policy for the social workers to give better treatment and competence improvement.

      • 대중문화 몰입이 청소년의 심리적 요소에 미치는 영향

        안은옥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immersion of pop culture on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the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grouped with the help from the faculty members. Out of 42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that were primarily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with unanswered, duplicate, or identical answers were exempt, leaving 285 selected as the final recipients for the study.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overall self - directedness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immersion of the mass culture, showed that the degree of commi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pper Group. Secondly,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overall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immersion of the mass culture, showed that the degree of commi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pper Group than in the Lower Group. Thirdly,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overall self-concep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immersion of the mass cultur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ven though the degree of immersion; and the degree of immersion of the popular culture did not affect the self-conception of the adolescent. Fourthly,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overall stress-level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immersion of the mass culture, the degree of commi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pper Group than in the Middle group and Lower Group. The results conclude that popular culture has effect in the psychological elements of the adolescents. It is considered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pop culture and to create a proper pop culture so as to have more positive impact on youth. 본 연구는 대중문화 몰입이 청소년의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최종 연구대상자는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교사들의 도움을 통해 편의군집하였다. 최초 배포된 설문지는 420부였으며, 미응답·중복기재·동일번호기재의 설 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285명이 본 연구의 최종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이 에 따른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중문화 몰입 정도 에 따른 전반적인 자기주도성을 분석한 결과 몰입 정도가 상인 집단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대중문화 몰입 정도에 따른 전 반적인 자기효능감을 분석한 결과 몰입 정도가 상인 집단이 몰입 정도가 하인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대중문화 몰입 정 도에 따른 전반적인 자아개념을 분석한 결과 몰입 정도에 상관없이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대중문화의 몰입정도가 청소년의 자 아개념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중문화 몰입 정 도에 따른 전반적인 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 몰입 정도가 상인 집단이 중 집단과 하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론 은 대중문화의 몰입정도가 청소년의 자기주도성, 자기효능감, 자아개념, 스트레스등의 심리적 요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걸 나타냈다. 대중문 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청소년에게 더욱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올바른 대중문화 만들기에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Effects of Creative Thinking Enhancing Activities on Underachievers in Technical High School

        안은옥 숙명여자대학교 TESOL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reative thinking enhancing activities (CEA) on underachievers who attend a technical high school in Korea. The study was designed under the assumption that cognitively appropriate challenge should be provided even to the students with low English proficiency. This study was different from other studies on creativity which were conducted in Korea because it targeted underachievers who attend a technical high school. This student population has been excluded from past research which employed activities enhancing creativit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21 third grade students who attend ‘S’ Technical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They took both types of classes in which rote learning (RL) or CEA was used for seven weeks. In the CEA centered classes, activities which were designed to develop characteristics of creative people were used. Students were allowed to express their ideas by drawing or using Korean in consideration of their low English proficiency. Various tools such as survey, interview, tests, and diary studies were adop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EA on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ly, the participants came to have a positive perception toward CEA. There were many participants who perceived that CEA are effective in their learning. It was noticeable that the students who had lower proficiency among the participants had more positive perception towards CEA and they benefited more in their test scores than the others. Secondly, it could be said that participants’ learning attitudes improved in that they participated more actively in the class, they enjoyed working with other classmates, and they increased the amount of their speaking (L1 and L2) in the English class. Thirdly, the participants had opportunities to reflect on their lives and they improved their test scores. Contrary to these positive findings,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wanted to learn English through RL methods in the futu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time span of the experiment was too short for the participants to change their perception as much as they want to learn English through CEA. 이 연구는 학습부진아에게도 그들의 인지능력에 맞는 학습활동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가정 아래 창의성 함양 활동이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설계되었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의 창의성 관련 연구에서 배제되어온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창의성 연구들과 차별된다.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특성화 고등학교 3학년 한 학급의 21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참여학생들은 암기활동 위주의 수업을 통해서만 영어를 배웠었는데, 7주의 실험수업 동안에는 암기활동 위주의 수업 뿐 만 아니라 창의성 함양 활동 위주의 수업을 통해서도 영어를 학습하였다.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창의성 함양 활동은 창의적인 사람들의 인지적, 정의적인 특성을 증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생각을 영어로 표현하기 힘든 참여학생들의 낮은 영어실력을 고려하여 그림이나 우리말을 통해서도 자신의 생각을 보충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이러한 창의성 함양 활동의 효과를 알고자 설문, 인터뷰, 시험, 일기 연구의 다양한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학생들은 암기활동 위주의 수업과 창의성 함양 활동 위주의 수업을 모두 경험한 뒤에, 창의성 함양 활동 위주의 수업이 더 재미있고 자신의 영어실력향상에 더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수업시간에 더 활동적으로 참여하고, 급우들과 함께 학습하는 것을 즐기고, 자신의 생각을 영어와 한국어로 더 많이 표현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참여학생들의 학습태도가 나아졌다. 자신의 삶과 자신 및 주변사람들에 대해서 깊이 생각해보는 기회를 가졌으며, 영어성적도 향상되었다는 점에서도 창의성 함양 활동이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다. 주목할 점은, 참여학생들 중에서도 영어점수가 낮은 그룹의 학생들이 창의성 함양 활동을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였으며, 그들의 성적 향상도가 더 높았다.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예전에 하던 암기활동 위주의 수업을 통해 영어를 학습하기를 희망하였다. 학생들이 새로운 활동이 더 흥미롭고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지라도 익숙한 기존의 수업활동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통해, 학생들이 창의성 함양 활동을 통해 영어배우기를 원하기에는 7주간의 실험수업은 부족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