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HD장편 영화제작에서의 시각특수효과에 대한 연구 : <7월32일> 제작연구

        안은상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effective workflow of HD post-production by the case of HD feature movie <July 32th>'s post-production system especially visual FX comparing with HD and 35mm film. The approach of this reseach is consisted of three parts, as follows: 1. Planing and co-working of CG part in pre-production 2. CG part's step-by-step process in production 3. Supervising and making CG part in post-production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digital movie production provides the better accessibility than 35mm film system. In other words it is more easier to produce the movie for anybody than before. The era of image and 1PC per person makes it possible. Through this thesis, I wish that effective and reasonable workflow of digital contents production especially HD production are provided. And another researchs about HD production are progressed more and more. 현재 HD영상물이란 단어는 이제 낯설고 특정 분야의 사람들만의 전유 물이 아니다. 공중파 방송의 드라마나 혹은 수입 외화들을 보면 오른쪽 상단 부분에 HD영상물임을 표시 하는 HD로고를 우리는 쉽게 접할 수 있다. 불과 몇 년 사이에 이제 DV매체를 대체하고 Film을 대신할 디지털 매체로서 자리잡고 있다. ‘시실리 2KM’를 시작으로 최근 몇 년 동안 HD영화는 급속한 발전을 하고 있다. HD영화의 성공 가능성을 짐작 가능하게 했던 영화로는 ‘달콤 살벌한 연인’이 있다. 이러한 HD 영화의 흥행의 성공 덕분에 영화의 제작방식이 Film기반에서 HD제작방식으로 점차적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많은 대학들의 영화관련 학과에서도 HD제작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Film 제작 시스템보다 비교적 간소화된 제작 시스템이기는 하지만 초기투자비용은 부담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런 부담을 안고 HD제작 시스템을 도입하는 이유는 국내, 국외에서의 상업적 성격을 지닌 영화들 중에서 HD제작 시스템을 도입한 영화들이 증가 하고 있는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많은 초기비용이 필요하기는 하지만 한번 구축을 하면 향후 몇 년 동안은 별다른 비용 없이 제작을 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색보정, VFX등 후반제작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던 부분을 약간 정도는 간소화 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이렇게 간소화된 제작 시스템은 제작기간의 단축과 비용절감 디지털 배급의 활용으로 인한 영상물의 Multi-use또한 가능하게 한다. 하나의 영상물을 만들고 여러 가지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동시에 배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극장용,방송용, DVD용, Web용 등 다양한 영상물로의 재 배포 또한 디지털매체라는 특성 때문에 더욱 빠르게 배포할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과도한 초기 투자비용이다. 때문에 여러 학교들의 경우 HD제작 시스템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제작된 영상물은 수가 적은 편이다. 그 이유는 아직 완전한 HD제작 시스템을 구성하지 못한 것을 들 수 있다. 물론 충무로 영상 제작 센터의 경우도 완전하지는 못 하지만 그래도 그 곳에서 거의 모든 작업을 하여 완성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7월 32일>를 통해서 HD장편 영화 제작 시스템을 프로덕션 과정을 거쳐서 포스트프로덕션 과정과 전체 제작 과정에서의 시각특수 효과작업 과정을 필름(35mm)과 HD, DV를 비교하고 제작 방식에서의 접목 가능한 방법과 요소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운용을 할 수 있게 하고 이후 충무로 영상 센터에서 제작 되는 HD영화에 있어서 제작 Workflow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 및 내용에 관한 접근 방식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사전 제작단계(Pre-Production), 제작단계(Production), 후반 제작단계(Post-Production)의 제작 과정 속에서 단계별 CG제작 참여 과정을 명시하였다. 둘째, 이를 바탕으로 <7월32일>작품에서 적용된 CG작업을 확인한다. 셋째, 각 단계별로 활용된 HD제작에서의 CG작업 과정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개선점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화사 100여 년에서 CG를 통한 영상의 완성도를 높이는 일은 영화 전체의 역사 속에서 매우 짧은 기간 동안 발전되어 왔지만, 현재 그 활용도는 상당히 높은 편이다. 하지만 아직 까지는 외화들에서 그러한 완성도를 많이 찾을 수 있고 아직 까지 한국 영화들에서는 그러한 모습을 찾아보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그 속에서도 많은 노력은 계속 하고 있다. 작년에 개봉한 ‘중천’의 경우도 많은 비용을 투자해서 시각 특수 효과를 활용했고 완성도를 높였지만 흥행에는 성공을 하지 못했다. 그와 비슷한 시기에 개봉한 ‘미녀는 괴로워’는 투자비용에 비하여 흥행에 성공을 거둘 수 있었다. 이러한 것은 영화의 흥행에 있어서 시각특수효과가 미치는 영향력은 크지 않다는 것을 단편적으로 보여 주는 것이다. 제작 방식의 변화 시대에 맞는 장비의 활용 그런 것 들도 중요 하겠지만 우리가 명심해야 할 것은 영화는 네러티브가 가장 중요 하다는 것이다. Film으로 제작 되었건 HD로 제작되었건 그것을 먼저 보는 것이 아니라 영화의 내용과 감동을 사람들은 먼저 본다 따라서 보다 좋은 작품들을 가지고 그 속에서 HD제작 방식이 영상 제작 방식의 한 방법으로 자리를 잡는 것이 좋은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좋은 제작환경과 시스템에서의 작업도 중요하지만 원론적인 문제는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된다.이러한 문제가 해결 되었을 때 HD영화 제작방식도 빛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디지털 영상물은 필름 영상물에 비해서 비교적 접근성이 좋다. SD급의 영상물이다 HD급의 영상물이나 제작하는 과정은 크게 틀리진 않다. 촬영을 하고 촬영소스를 디지털화하고, 컴퓨터를 통해 편집, 사운드, 시각특수 효과의 대부분의 제작 과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누구든지 제작이 용이하다는 말로 대신 할 수 있다. 1인 1컴퓨터 시대에 영상의 시대이기 때문에 가능 할 것이다. 요즘 웹 서핑을 하다 보면 가장 많이 보이고 뜬다고 하는 것들은 UCC(User Created Contents)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뜻하는 신조어로서 개인적으로 직접 만든 저작물들을 일컫는다. 최근에 UCC는 동영상이 그 부문의 대다수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단편적인 지식만을 가지고 만든 저질의 영상물이 대다수 이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이루어질 보다 다양한 디지털 영상 컨텐츠 제작에서 유용하게 참고가 될 Workflow를 제시하는데 초점을 맞추었고, 앞으로도 HD 영상제작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 밀레니얼 세대와의 인게이지먼트를 위한 패션 브랜드의 SNS 콘텐츠 활용 방안 : 인스타그램과 유튜브를 중심으로

        안은상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양방향성 소통이 가능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는 정보전달 방식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소비자들은 자발적인 참여와 정보를 공유하는 능동적인 주체가 되었다. 이러한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은 일방적인 메시지 전달이 아닌 소비자의 공감을 이끌어내고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인게이지먼트에 중점을 두고 있다. 공감과 관계 형성이라는 목적과 기대효과를 위해서는 소비자와 브랜드의 관련성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이고 적합한 접촉점의 구축이 중요하다. 그러나 소통채널이 날로 다양해지고 있는 가운데 각기 다른 상황의 패션 브랜드들이 그에 맞는 접점을 찾고 커뮤니케이션을 기획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션 브랜드의 SNS 커뮤니케이션 방식과 그에 따른 밀레니얼 세대 소비자 반응을 분석해 봄으로써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관계 구축을 위한 실효성 있는 SNS의 활용 방안을 도출하고 인게이지먼트를 위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인게이지먼트 개념과 SNS를 살펴본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패션 전문가 6인과 심층면접을 진행하여 패션 브랜드의 SNS 커뮤니케이션 접근 방식을 분석하였다. 패션 브랜드의 주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인 인스타그램과 유튜브를 중심으로 세부 패션 SNS 채널의 범위를 설정하고 각 채널의 콘텐츠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채널의 분석 기준으로서 패션 SNS 특성을 구체화하여 도출하였다. 전문가 심층면접 결과를 토대로 패션 SNS 채널과 콘텐츠 소비에 대한 밀레니얼 세대 소비자의 반응을 조사하고 인게이지먼트를 위한 점진적인 자기 관련화(사회 관련화, 동료 관련화, 자기 관련화)의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종합적인 연구의 결과로 각 관련화의 과정에 유리한 커뮤니케이션 경로를 도출하고 인게이지먼트를 위한 패션 SNS 콘텐츠 활용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사회 관련화를 위한 패션 SNS 채널은 브랜드 이미지와 평판, 인지도, 객관적인 제품정보 전달에 효과적이므로 브랜드 규모의 확장이나 리뉴얼 시, 시그니처 제품 또는 단기 주력제품을 홍보하는 하는 경우, 문화 또는 사회공헌 활동 같은 브랜드 이슈 홍보 시에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동료 관련화를 위한 패션 SNS 채널은 사회·문화적 성향 및 직업적 특성등 소비자 주변에서 영향을 주는 관심집단의 공감과 흥미유발에 효과적이므로 브랜드 개성 및 코어 타깃 강화의 목적과 캡슐컬렉션이나 신규라인 전개 시에 적합하며, 특정 컨셉에 관한 잠재 소비자 군 발굴을 위해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자기 관련화를 위한 패션 SNS 채널은 신체조건, 생애주기 같은 개인적인 이슈에 관해 필요한 정보를 채워주기에 효과적이므로 빅 사이즈 브랜드나 임산부복 브랜드 또는 장애인 의류 같은 개인 맞춤 및 기능성 패션제품의 홍보에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보다 실용적이고 가치 있는 자기 관련화 콘텐츠 제공을 위해 다양한 일반인 1인 미디어 채널과의 협력적 콘텐츠 개발 또한 제안하였다. 인게이지먼트를 위한 패션 SNS 활용 방안의 채널과 콘텐츠들이 적절히 연계되고 상호보완적인 조화를 이루어 적용된다면 브랜드와 소비자의 견고한 관계 형성이라는 강력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The mutual communic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s has changed the way information is delivered, and consumers have become active to participate voluntarily and share information. In the social media environment, brand communication is focused on engagement that attracts consumer empathy and creates positive relationships, not unilateral messaging. For the purpose and expected effects of empathy and relationship building,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n effective and appropriate contact point that can enhance the relevance of consumers and brands. However, as communication channels are diversifying, it is not easy for fashion brands in different situations to find the right contacts and plan for communi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rive effective way of utilizing SNS for building relations between the brand and the consumer by analyzing the fashion brand’s SNS communication methods and the consumer response of the millennials,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brand communication strategy for engagement.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on engagement and SNS,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six fashion experts to analyze the fashion brand’s SNS communication approach. Focused on Instagram and Youtube, the major communication platforms of the fashion brand, the range of detailed fashion SNS channels was established and the types of contents of each channel were analyzed. And the fashion SNS characteristics were specified as the analysis criteria of the channel. Based on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the experts, the responses of millennial consumers to fashion SNS channels and content consumption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terms of progressive self-relevance (social-relevance, peer-relevance, self-relevance) for engagement. As a result of the comprehensive study, advantageous communication paths to process of each relevance was derived and suggested ways to utilize fashion SNS contents for engagement as follows. First, fashion SNS channels for social-relevance are effective in delivering brand image and reputation, recognition and objective product information. It was suggested to be used for brand expand or renewal, promotion of signature products or short-term main products, and promotion for the brand issues such as cultural or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Second, the fashion SNS channels for peer-relevance is effective in generating interest and empathy among groups of interest that affects consumers around society such as social and cultural tendencies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It is suitable for strengthening brand personality and core targets, the development of capsule collections or new lines. And it is suggested to be used to find potential consumer groups for specific concept. Third, fashion SNS channels for self-relevance are effective in meeting the need for information on personal issues such as physical condition and life cycle. It is suggested to promote personalized and functional fashion products such as big size brands, pregnant women’s clothing or disabled clothing. It is also proposed developing collaborative contents with various personal media channels to provide more practical and valuable self-related content. If the channels and contents of the fashion SNS utilization method for engagement are applied in an appropriately connected and complementary harmony, it can lead to a strong brand communication effect of building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brand and the consum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