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를 셈하는 손짓을 사용한 한국어 자음의 발성 유형 교수 방법 효과

        안은미 공주교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수신호 ‘안은미의 기식보임씨’를 사용한 한국어 자음의 발성 유형 교수 방법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전체적으로 교육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어 자음의 대표적 오류 양상은 발성 유형에 의한 것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정확한 발음을 하기 위해서는 소리의 다름을 인지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 때문에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휴지 등을 이용해 기식성을 보이는 방법을 사용해 왔는데 여러 한계들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수신호를 활용한 교수법을 고안하였다. 먼저, I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고 한국어의 대표적인 발음 교육론에 관련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고 발성 유형별로 제시한 교수 방법을 검토하고 문제점을 점검하였다. II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하여 서술했다. 실험은 의사소통 목적 학습자 30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실험군의 수업은 연구자 본인이 개발자라 기존에 적용된 수업군이 없어 3개월간 직접 수업을 하였다. 실험 자료는 실제 발화 상황에서의 오류를 얻고자 문장 상황을 책정하였다. 한국어에서 기식성의 차이로 변별 체계를 갖추는 음소 목록 총 14개를 어두 위치와 어중 위치로 총 28개의 문장 텍스트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또 다른 실험 자료는 ‘안은미의 기식보임씨’ 5개이다. 기식성에 중심을 두는 것이 긴장성에 두는 것보다 발성 유형을 지도하기에 용이하므로 기식성이 가장 작은 경음에서부터 평음, 격음 순으로 숫자의 증가를 의미하는 1번, 2번, 3번을 대입하여 수신호를 정하였다. 경음은 ‘안은미의 기식보임씨 1번’이라 하였다. 경음과 격음의 중간 기식성을 가진 평음은 ‘안은미의 기식보임씨 2번’으로, 기식성이 가장 큰 격음은 ‘안은미의 기식보임씨 3번’이라 명명하였다. 추가적으로 경음에서 발화 직전에 숨을 들이 쉬고 참으며 근육에 힘을 주는 모습을 나타내는 ‘안은미의 공기멈춤씨’와 평음의 오류 정정 시 ‘안은미의 기식보임씨 2번’을 뒤집어 보이는 ‘안은미의 힘빠짐씨’가 있다. 이는 손가락을 아래로 향하며 함께 발음하므로 자연스럽게 음높이도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많은 학습자들의 오류 양상 및 ‘안은미의 기식보임씨’ 사용 횟수 등을 기록하기 위해 모든 수업은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험일지를 작성하였다. 녹음 절차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3주 간격을 두고 총 3차례 실시하였다. 측정은 상호 작용을 하는 의사소통에 있어서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청자가 어떠한 소리로 듣느냐에 중점을 두고 진행하였으며 채점에는 3인이 참여하였다. 측정 방법은 목표어 소리, 애매한 소리, 다른 소리로 나누고 점수를 부여하여 채점관 3인의 채점 결과의 평균값으로 분석을 하였다. III장 1절에서는 실험군의 결과를 그림과 채점 결과표로 자세히 보였다. 어두 어중 위치 모두에서 경음에서의 교육 효과가 가장 높게 나왔다. 한국어의 발성 유형별로는 경음 > 격음 > 평음의 순으로 향상성을 보였다. 조음 위치별로는 ㄷ 계열 > ㅂ 계열 > ㅈ 계열 > ㄱ 계열 > ㅅ 계열 순으로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조음 방법별로는 파열 > 파찰 > 마찰의 순으로 교육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어두 어중 위치를 마지막 3차 경음의 결과를 보면 어두보다 어중 위치의 발음 정확도가 높다. 다만 /ㄲ/는 어두 위치의 정확도가 조금 높은 양상을 보인다. 평음에서는 어두에서의 발음 정확도가 어중보다 높다. 이는 평음의 어두에서 기식성을 학습자들이 확실하게 인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격음은 1차와 2차에서는 어중의 발음 정확도가 높고 3차에서는 어두의 발음 정확도가 높다. 3차의 결과만으로 보면 천장 효과를 보이고 있다. 요약에서는 전체 양상과 다른 독특한 양상을 보이는 학습자들에 대해 분석해 보였다. 2절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 분석하였다. 어두 위치와 어중 위치 모두 1차에서 실험군보다 대조군의 발음 정확도가 높다. 같은 단계의 수업이지만 이전 학습기간이 대조군이 4.7배가 많았기 때문이다. 이는 피험자 선정에 있어서 본 연구의 아쉬운 점으로 볼 수 있으나 2차와 3차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의 발음 정확도가 크게 상승하는 것을 보면 ‘안은미의 기식보임씨’ 교수 방법의 효과를 시사한다. 효과는 그림 자료들을 통해 충분히 보였으나 이를 더 확실히 하기 위하여 통계 검증 자료를 제시하였다. 통계 결과 경음에서의 교육 효과가 가장 크다. 이는 한국어의 경음이 전 세계 451개 언어 중에 나타나는 매우 유표적인 발음이기에 그 의미가 더욱 크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양상을 보면 발음 교육의 필요 시점을 볼 수 있다. 2차에서 3차의 시기에 두 그룹의 양상이 판이하게 달라진다. 대조군은 정체, 하락하거나 때에 따라서는 조금 개선되기도 하나 실험군은 같은 시기에 폭발적 향상을 보인다. 이는 지속적인 인지와 오류 정정 교수가 수신호에서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IV장에서는 가장 많은 오류 양상을 보이는 평음의 발화 오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평음은 경음이나 격음에 비하여 분포가 넓고 출현 빈도가 월등히 높다. 사전의 표제어로 보면 평음 69%, 격음은 17%, 경음은 14%이다. 발화에서는 평음 72%, 격음은 10%, 경음은 18%로 평음이 압도적으로 높다. 문제는 모국어 화자에게는 평음이 무표적인, 즉 보편적인 발음이나 한국어 학습자에게는 무척이나 보편적이지 않은 발음이라는 것이다. 평음에서의 전체적인 오류 양상은 어두 어중 모두 다음과 같은 양상을 나타냈다. 대조군은 평음을 경음으로 발화하는 오류가 많고 실험군은 격음으로 발화하는 오류가 많다. 이는 실험군에서 ‘안은미의 기식보임씨’ 교육 효과가 한국어의 자동화 작업으로 시냅스 연결 효과를 보이는 것이라 해석된다. 이 수신호 교수 방법의 효과는 보이지 않는 기식성을 명시화함으로써 학습자가 느끼는 불확실성을 확실하게 보여주어 모국어에 없는 소리에 대한 인식의 효과를 증대하였다. 별도 매개어 없이 목표어만으로 수업을 가능하게 하며 기존의 수업 시간 내에서 발음 오류에 소요하는 시간을 단축시켜 주어 효율성을 보였다. 듣기·말하기·읽기·쓰기 등 영역을 불문하고 수업의 맥락을 방해하지 않고 지속적인 발음 교수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확인 욕구를 충족시켜 주어 오류를 정확하게 알고 수정할 수 있음을 보였다. 학습자들이 동료의 피드백에 자발적으로 적극 참여하며 즐거워하는 것도 인상적이다. 자칫 무료할 수 있는 발음 수업에서 목표어인 한국어를 통해서 학습자들은 서로 대화를 한다고 생각한다. 이는 자연스러운 발화로까지 이어진다. 발음의 오류를 두려워 할 필요 없이 놀이처럼 익히는 것이다. 학습자들의 자발적 참여가 높아짐으로 교사의 부담도 경감할 수 있다. Nineteen consonants of Korean are to be classified in terms of the place and the manner of the articulation, and the phonation types. A set of hand signals for teaching students of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among the phonation types was invented.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the educational effect of this hand signals, named ‘An Eun-mi's Ki-sik Bo-im-ci’. Recognizing the difference among sounds must be achieved for accurate pronunciation. To this end, previous studies suggest to use a piece of tissue in order to show the aspirational differences between Korean consonants. However, this method has critical shortcomings. So, this study invented its own hand signals. First, Chapter I presents the purpose of the study, reviewed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e theory of pronunciation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and examined the problems of teaching methods presented by phonation types. Chapter II elaborated on the method of research.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groups of experimenters and control groups. There were 30 subjects who were learning Korean for communication purpose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for 3 months. The experimental data set up a sentence situation in order to obtain errors in the actual speaking situation. In overall 14 phonemes were distinguished by aspirational differences. So 28 sentences were created (14 sentences with the beginning position and 14, the middle positions.), and used to test the subjects. Another tool used in the experiment was 5 “An Eun-mi’s Ki-sik Bo-im-ci”s. Since focusing on aspiration is easier to guide the phonation types than on tense, the degrees of the aspiration are signified by a number, from 1 to 3. The tensed one was called “An Eun-mi’s Ki-sik Bo-im-ci No. 1”. The laxed one was called “An-Eun-mi’s Ki-sik Bo-im-ci No. 2”, and the aspirated one was called “An Eun-mi’s Ki-sik Bo-im-ci No. 3”. Lastly, there are also the “An Eun-mi’s Kongi-Momchum-ci” and the “An Eun-mi’s Him-Ppazim-ci”. In order to record the error patterns of learners and the frequencies of use of “An-Eun-mi’s Ki-sik Bo-im-ci”, all classes were filmed, followed by an experimental diary. The voice recording was performed three times every three weeks between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ree scorers have been selected as incumbent Korean teachers who speak Korean in their native language. This focuses on how listeners listen when the scoring standard communicates in Korean. The measurement method was analyzed by dividing the test result into target, ambiguous and different sounds, then giving scores to the average of the scoring results of the three scorers. Chapter III, Section 1, details group results that contain graph and scoring results. In both beginning and middle positions, the effect of education on the tense consonants sound was the highest. In the summary se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of their study group and their analysis of learners who showed different aspects from the whole. Section 2 compared and analyzed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the educational effect of “An Eun-mi’s Ki-sik Bo-im-ci” with a higher pronunciation accuracy than the control group. To further ensure this, statistical data were presented. The statistics showed the greatest educational effect in tense consonants. This is very significant because the Korean word ‘tense consonants’ is a very significant pronunciation among all the languages around the world. If the pattern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to observed, one can see when pronunciation education is needed. During the second to third periods, the two groups differed widely. The control group is stagnant, falling or sometimes slightly improving, bu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explosive improvement at the same time. This means that the use of hand signals is well-recognized to the learner and error correction is apparent. Chapter IV detailed that the most error patterns in the Korean phonetic type are ‘lax consonants’. Lax consonants are widely distributed and have a high frequency of pronunciation errors of speaking than tense or aspirated consonants. When pronouncing the lax consonant's sound, the contrast group has many errors that pronounce by the tense consonant's sound, and the experimental group has many errors that pronounce by the aspirated consonant's sound. The difference in the error patterns between the two groups means that the group trained in “An Eun-mi’s Ki-sik Bo-im-ci” has a good understanding of the Korean language's phonation types. This method clearly reduced the uncertainty felt by learners by specifying an invisible aspiration, thereby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recognition of sounds not found in their mother tongue. It showed efficiency by allowing classes with only target words without any additional intermediaries, and 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pronunciation errors within the existing class. Continuing phonetic teaching was possible regardless of areas such a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without disrupting the context of the class. It also met the learner's need to identify and correct errors. Another beneficial effect of this method is learner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their amusing of peer feedbacks. This naturally leads to speech. The increased voluntary participation of learners will reduce the burden on teachers. Chapter V summarized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 method of “An Eun-mi’s Ki-sik Bo-im-ci”. The author presented the remaining questions, suggesting the need for a brisk research for “An Eun-mi’s Ki-sik Bo-im-ci” in the future.

      •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상태 및 사회적 지지와 노인 우울간의 관계

        안은미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노년기는 자아를 통합하고 절망감의 위기를 극복하는 시기인 동시에 신체적, 정신적 능력이 감소하는 시기로 상실과 절망, 만성질환, 타인에 대한 의존도 증가 등은 심리적 위축을 가져와 우울과 같은 정신적 문제를 야기하며, 복합적이고 다양한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상태 및 사회적 지지와 노인 우울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노인우울의 관련요인을 밝히고 이를 통하여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우울증 예방 정책 개발 및 발전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된 횡단적 관계연구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연구의 연구자료로 2006년과 2008년에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조사된 ‘고령화 패널연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45세 이상 인구 10,000여 명 중 65세 이상 인구 3,511명의 자료를 2차 분석하였다. 우울의 측정도구는 CES-D(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 Depression Scale)의 항목 중 10개 항목으로 조사한 결과를 점수화한 것을 의미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자료 분석은 SAS 9.1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울은 총점 10~40점에 평균 19.24점이며, 조사대상의 60.8%가 우울증이 있었다. 사회경제적 특성에서는 평균 연령은 72세였고, 여자가 58.3%였으며, 교육수준은 초등학교 졸업 이하가 73.2%로 가장 많았고, 한 해 총 소득수준은 500만원 미만이 40.5%으로 가장 많았으며, 직업이 없는 사람은 82.5%였다. 건강상태에서는 고혈압이 있는 사람이 39.8%로 가장 많았고, ADL은 총점 7점~35점에 평균 7.70점이었으며, IADL은 총점 10점~50점에 평균 12.63점이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의존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나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47.5%였다. 사회적 지지에서는 동거가족이 있는 사람이 84.8%였고, 이웃과의 접촉은 일주일에 1회 ~ 거의 매일인 사람이 67.5%로 가장 많았으며, 참여하는 종교 및 여가활동 단체가 있는 사람은 61.7%, 자녀와 만남 또는 연락을 하는 사람은 99.4%였다. 2. 인구학적 및 사회경제적 특성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t=9.35, p<.001), 여자(t=10.66, p<.001), 배우자가 없고(t=8.64, p<.001), 교육수준이 낮으며(F=37.72, p<.001), 소득수준이 낮을수록(F=34.10, p<.001), 직업이 없는 노인(t=7.95, p<.001)에서 우울증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건강상태에서는 고혈압(t=2.14, p=0.03), 관절염 및 류마티스 질환(t=10.83, p<.001), 당뇨병(t=3.59, p<.001), 뇌혈관질환(t=5.57, p<.001), 암 또는 악성 신생물(t=3.22, p=.002)이 있는 노인에서 우울증상이 심했고, 자신의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생각할수록(F=126.97, p<.001), 이환되어있는 만성질환의 수가 많을수록(r=.164), 타인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록(ADL r=.17, IADL r=.22) 우울증상이 심했다. 4. 사회적 지지에서는 동거가족이 없는 노인에서 우울증상이 심했고(t=6.38, p<.001), 이웃과의 접촉빈도가 높고며(F=13.09, p<.001), 참여하는 종교 및 여가활동 단체가 있으며(F=57.92, p<.001), 자녀들과의 만남 또는 연락을 하는(t=4.82, p<.001) 노인에서 우울증상이 낮았다. 본 연구 결과로 나타난 노인 우울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연령, 성별, 교육 및 소득수준, 직업, 주관적 건강상태, 만성질환, ADL과 IADL이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에서 규명된 관련 요인을 고려한 건강 관리 및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활성화, 사회적 제도 마련과 사회적 정책의 개선, 사회적지지 자원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만성질환의 심각도와 노인우울과 관련한 후속연구를 통한 간호중재 개발이 필요하다. -----------------------------------------------------------------------------------------핵심어 :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상태, 사회적지지, 노인우울

      • 노후준비교육 참여 중년여성의 예기적 사회화 인식 변화

        안은미 아주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예기적 사회화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분석함에 있다.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들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 노화불안 감소, 성공적인 노화 기대와 관련된 예기적 사회화 인식의 변화가 어떠하며, 연령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네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식 변화는 어떠한가? 둘째,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감소 인식 변화는 어떠한가? 셋째,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인식 변화는 어떠한가? 넷째,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식, 노화 불안 감소, 성공적 노화 인식 변화에서 연령차는 어떠한가? 노년기를 앞둔 중년여성들의 생활양식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삶의 질, 노화 불안,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평생교육원을 이용하고 있는 중년여성 4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구성은 연령별로 균등하게 배정하여 각각 20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를 비교하는 혼합설계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적용한 측정도구는 세 가지이다. 이론적 배경 고찰 및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척도의 문항들을 참고하여 예비문항을 선정한 다음 요인분석 절차를 거쳐 연구자가 직접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실시에 앞서 중년여성의 삶의 질, 노화 불안, 성공적인 노화 기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주 1회, 12주 동안 12회기로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인식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사전검사와 동일한 검사도구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는 연구자가 해당기관을 방문하여 직접 실시하였다.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에 따른 두 집단의 삶의 질 인식, 노화 불안, 성공적 노화 기대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사전검사 점수에 대한 효과를 제거하고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에 따른 순수효과를 분리 검출할 수 있도록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량으로 하는 공변량분석(analysis of covariancs; ANCOVA)을 적용하였다.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삶의 질, 노화 불안 감소,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사후검사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Kolmogorov-Smirnov 검정을 통해 변인에 대한 정규성을 검증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Kolmogorov-Smirnov 값은 삶의 질, 노화 불안, 성공적 노화 기대 모두 유의수준 .05 수준보다 높게 나타나서 정규분포를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점수 동질성 검정을 위해 사전검사 점수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삶의 질, 노화 불안, 성공적 노화 기대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사전검사 점수의 동질성이 확보되었다고 판단하였다. 12주 동안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후 중년여성의 삶의 질, 노화 불안, 성공적 노화 인식의 변화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식 전체 점수 뿐만 아니라 삶의 질 인식의 하위요인 모두에서도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왔다.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식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식의 변화는 40대 중년 여성과 50대 중년 여성에서 연령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연령집단을 비교해 볼 때 40대 중년여성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가 더 높게 나타났다.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식 변화는 50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젊은 40대의 중년여성들에게서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중년여성의 노화 불안 인식 전체 점수 뿐만 아니라 삶의 질 인식의 하위요인 모두에서도 유의미한 감소를 가져왔다.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노화 불안 인식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노화 불안 인식 변화는 50대 중년여성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가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기대 전체 점수 뿐만 아니라 성공적 노화 기대의 하위요인 모두에서도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왔다. 넷째,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인식 변화는 50대 중년여성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가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중년여성들이 성공적 노화에 대한 기대를 증진시켜 나가면서 예기적 사회화에서 인식의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질적 연구방법으로서는 14명을 대상으로 전화를 통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 적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성공적 노화와 관련된 예기적 사회화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어 갔다. 성공적 노화 요소인 자기 효능감, 노화 수용, 적극적 사회활동, 가족 지향에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조사 분석된 연구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식의 전체적 향상과 인지 평가, 긍정적 정서 평가와 관련된 삶의 질 인식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음이 규명되었다. 노화 불안의 전체적인 감소와 노인에 대한 두려움, 심리적 불안정, 신체적 외모에 대한 두려움, 상실에 대한 두려움 등과 관련된 노화 불안 감소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음이 규명되었다. 성공적 노화 기대의 전체적인 증진과 자기 효능감, 노화 수용, 적극적 사회활동, 가족 지향 등과 관련된 성공적 노화 기대 증진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음이 규명되었다. 또한, 성공적 노화와 관련된 예기적 사회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음이 규명되었다. 둘째, 노후준비교육에 참여 후 인식의 변화는 연령대별로 차이가 나타나서, 40대의 비교적 젊은 중년여성들의 경우에는 삶의 질 인식 향상에, 50대의 비교적 노년기에 가까운 중년여성들의 경우에는 노화 불안 감소, 성공적인 노화 기대 증진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음이 규명되었다.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식 향상, 노화 불안 감소, 성공적 노화 기대 증진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 중년기는 삶의 연속이자 연장, 생의 계속적 측면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새롭게 진행되는 생애주기에 따라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사회적 구성원으로서의 자아를 확립하는 과정은 반드시 요구되어야 한다. 중년기 역할변화에 적응하고 다가 올 노년에 대비하여 새로운 역할을 미리 준비하는 예기적 사회화를 통해 노화에 대한 불안에서 벗어나게 하고 궁극적으로 중년여성의 자기 존중감 및 자아정체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넷째,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중년여성들이 현실적 상황을 고려하여 새로운 역할로 전환할 수 있는 간접체험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노년을 인정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인식과 가치관, 이상과 신념 등을 고양할 수 있는 계기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정서적 공감을 토대로 중년여성들에게는 위로와 위안을, 고령사회라는 국가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새로운 변화를 예측하고 준비하며 적절한 제도를 마련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 한식 나물류 채소의 비만·대사증후군 관련 염증지표 개선효과 연구

        안은미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배경 및 소개 한식은 주식과 부식의 구분이 뚜렷하고 채소를 많이 포함하는 식단 구성이 특징이다. 한식을 구성하는 채소류는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며 다양한 건강기능성을 가지는 식이섬유와 폴리페놀, 식물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만성질환의 예방과 개선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인들이 많이 섭취하는 채소를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선정하고, 이들이 비만 및 대사성 질환 관련 지표 개선에 미치는 효과 평가를 세포에서 실시하였다. 세포(대식세포, 지방전구세포, 간장세포)를 이용하여 in vitro 질환 모델계에서 채소들의 만성질환관련 사이토카인분비와 유전자발현, 중성지질 축적 억제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1. 한국인의 다소비 채소를 선정하고 11가지 채소의 에탄올 추출물이 비만에 의한 염증 모델 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 억제 효과를 평가하고 비교․고찰하였다. 연구 2. 한국인 다소비 채소 에탄올 추출물 9가지 시료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 비알콜성 지방간의 세포 모델에서 지방 축적 저해능을 평가하고 고찰하였다. 연구 3. 스크리닝을 통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억제 효과가 있는 한국인의 다소비 채소 종류 중에서 머위의 항 비만효과를 대식세포 및 지방세포에서 확인하고 고찰하였다. 또한, 머위의 항비만 효과를 뒷받침하는 폴리페놀 성분을 정량․정성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1. 11가지 시료의 에탄올 추출물 중에서 애호박, 고사리를 제외한 콩나물, 부추, 쑥갓, 우엉, 연근, 고구마줄기, 가지, 쑥과 늙은 호박에서 유의적인 NO 감소 효과를 보였다. 콩나물과 부추는 TNF-α, 가지, 쑥과 늙은 호박은 TNF-α와 MCP-1 모두 분비를 감소시켰다. 연구 2. 9종의 시료 중 애호박, 부추, 쑥갓, 쑥에서 지방과 간장세포의 지질축적 억제, 지방세포에서 과분비된 MCP-1의 감소, 지방분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 억제 효과를 보였다. 연구 3. 머위 에탄올 추출물 처리에 의해 대식세포에서 NO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MCP-1, TNF-α의 분비량 및 유전자발현이 감소하였다. 머위 에탄올 추출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저해하고, MCP-1의 분비는 억제, Adiponectin의 분비는 증가시켰다. 또한 지방세포 분화와 지질축적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였고, 열 발생 기작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머위 에탄올 추출물에서 12가지의 플라보노이드를 확인하였으며 폴리페놀 정량결과 Kaemperol, Quercetin, Astragalin, Nicotiflorin의 함량이 높았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스크리닝 방법을 통해 한국인이 가장 많이 섭취하는 채소류가 가지는 항염증, 항비만 지표에 대한 효과를 in vitro 모델에서 확인하였다. 채소에 함유된 단일 성분이 아닌 ‘실제 섭취하는 형태’를 구현하기 위하여 시료의 80% 에탄올 추출물을 평가하였다. 세포실험의 결과를 토대로 시료의 기능성 물질 성분분석을 통해 항염증, 항비만 효과를 뒷받침 하였다. 한식의 건강 우수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하는 기반 자료로 학문적 가치가 있으며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농산물 소비 증진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 중년여성의 평생학습 참여가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

        안은미 한국교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의 평생학습 참여가 그들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함으로써,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 제고를 위한 여성 평생학습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이 개인배경특성, 평생학습 참여동기, 평생학습 만족도에 의해서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세 가지 요인들이 상호인과적으로 영향을 미쳐서 이루어지는 하나의 과정으로 판단하였다. 가설적 인과관계모형을 바탕으로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을 추출하고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평생학습에 참여하고 있는 40세 부터 59세 까지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의 평생학습 참여동기를 하위영역별로 구분해 볼 때, 학습지향 참여동기가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고, 다음으로는 활동지향 참여동기, 목표지향 참여동기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중년여성 평생학습자들은 주관적인 삶의 질에 대해서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긍정적 정서 평가 영역의 주관적인 삶의 질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년여성의 전체적인 평생학습 참여동기는 40대의 비교적 젊은 사람들일수록 높지만, 반대로 건강상태가 나쁘거나 좋은 사람들일수록 낮게 나타났다. 활동지향성 평생학습 참여동기는 40대의 비교적 젊은 사람들일수록, 건강상태가 나쁘거나 보통인 사람들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목표지향성 평생학습 참여동기는 40대의 비교적 젊은 사람들일수록, 건강상태가 좋은 사람들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학습지향성 평생학습 참여동기는 40대의 비교적 젊은 사람들일수록, 대졸 이상의 고학력자들일수록, 건강상태가 보통인 사람들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년여성의 평생학습 만족도는 50대의 비교적 나이든 사람들일수록, 소득수준이 낮은 사람들일수록, 건강상태가 나쁜 사람들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넷째,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은 40대의 비교적 젊은 사람들일수록, 대졸이상의 고학력자들일수록, 소득수준이 높은 사람들일수록, 좋은 건강상태를 보유한 사람들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평생학습 참여동기수준과 평생학습 만족도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도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은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평생학습 만족도이며, 개인배경특성은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평생학습 만족도를 거쳐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적으로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요인은 평생학습 참여동기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평생학습 만족도였다. 개인배경특성요인은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간접적인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에 대한 관련요인의 간접적인 영향 중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을 설명하는데 가장 비중이 큰 경로는 ‘개인배경특성 → 평생학습 참여동기 →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 경로였으므로, 개인배경특성 보다는 평생학습 참여동기 및 평생학습 만족도가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을 결정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성대상 평생교육기관에서는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평생학습 만족도가 중년여성들의 개인배경특성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고려하여 고객맞춤형 전략을 수립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이와 같은 노력과 지원이 선행될 때 평생학습에 대한 중년여성학습자들의 참여동기와 만족도 수준이 향상됨으로써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 제고와 같은 평생학습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평생교육기관에서는 학습지향적이고 활동지향적인 평생학습 참여동기를 부여해주고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지원전략이 수립되고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 무용활동이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은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이 인간다울 수 있는 것은 주체적이고 창조적인 활동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롯되는데 창조적인 사고와 표현, 그리고 행동은 그 자체가 인간의 삶이고 보람인 동시에 이와 같은 활동에 의해서 오늘날까지 역사와 문화가 이루어진 것이다. 이를 위해선 교육이 밑받침이 되어야 하며, 교육의 기본적인 목적은 ‘인간형성’이고, 전반적인 모든 교육 중에서도 예술교육은 이상적인 인간형성의 측면에 그 목적이 두드러지므로 교육적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무용의 교육적 가치는 신체적, 지적ㆍ정신적, 사회적 가치로 볼 수 있다. 말하자면 무용활동을 통해 이러한 가치들을 균형 있게 발달시켜 바람직한 사회인으로서의 인간을 형성하는 데에 기여하는 것이 무용교육이다. 이러한 무용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면 신체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억압된 감정을 표현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심리적인 욕구의 만족을 가져와 정신건강을 건전하게 이끌어내기에 충분하다. 본 연구는 무용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청소년에게 실시함으로써 청소년의 정신건강이 사전과 사후에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에 관해 파악ㆍ분석하고, 이를 통해 그들에게 당면해 있는 정신건강의 문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 무용교육이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혀, 우리 사회가 갖고 있는 청소년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다소나마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용교육을 경험하지 않은 대전 N 중학교의 남학생 13명과 여학생 27명을 대상으로 40분간 주 3회씩, 4주간 총 12회에 걸쳐 무용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김광일과 원호택(1984) 등이 우리 실정에 맞게 재표준화 한 간이정신진단검사지(Symptom Check List-90-Revision : SCL-90-R) 단축형(BSI)을 단일 집단에 대하여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으며, 각 문항을 세분화하여 각각의 평균, 표준편차,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강박증, 대인민감성, 불안, 적대감, 편집증, 정신증에 대한 하위요인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신체화, 공포불안, 우울증에 대한 하위 요인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무용활동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으며, 앞으로도 무용교육에 따른 정신건강의 영향에 대한 보다 인과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경험적인 후속 연구가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Being human is originated from the ability to subjective and creative activity, and creative thinking, expression and behavior is human life itself. Also, this activity has led to today's history and culture. For this activity, education must support, and art education is conspicuous in its purpose of the aspect of ideal man forming. Therefore, its educational value is very high because the basic purpose of education is 'forming human'. Expecially, the educational value of dance can be divided into physical, intellectual, mental and social values. In other words, dance activity can contribute to the forming of a desirable man by developing these values in balance practicing dance education continuously will lead sound mental health by giving a physical effect and the opportuning of expressing repressed emotions. This study has a purpose to contribute to solving the youth problems our society has by analysing how a dance program affect the youth's mental health, examining the problems of their mental health and how dance education influence the youth's mental health. To achieve this goal, I practiced a dance program of 40 minutes three times a week for 4 weeks with the subject of 13 boystudents and 27 girlstudents from N middle school located in Daejeon city, and analyzed its result. I took symptom check list -90-Revision ; SCL-90-R-BSI, which is re-standardized by Kim Kwang-il and Won Ho-taek(1984) ; and made an average, the standard deviation and t-inspection by specifying each questionnair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ub-factors of obsession, sensitivencess to others, anxiety, hostility, parahoia and mental disease have statistice. difference after the program. Second, Sub-factors of physicalization, fear and depression have no statistic difference after the program. As written above, a dance education program exert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youth's mental health, and I hope more empirical studies on the influence of dance education on mental health will follow.

      • 지역사회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과 빈곤아동 발달에 관한 혼합 연구

        안은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Poor children's psychosocial development is negatively influenced by their own experiences of living in poverty. Not only that, the influence lasts until their adulthood, which results in it being passed down to the next generation. Currently, the importance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is emphasized to solve the issues of children from poor backgrounds. A publicly funded company called “El Sistema” in Venezuela successfully resolved the economic problems of poor children through Music Education Program which includes orchestra activities. Experts in Korea showed interest in this method, and they also began to implement this approach in order to help children in poverty. This paper made an attempt for the development of poor children by checking on the effects made by community-based orchestra educational activities and providing basic materials for positive involvement in the matters concerning the said children from a social welfare perspective. For the said objective, the paper used a mixed methods research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attempting to generalize validation of effects through objective data and to mak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al context of the process possible. Parts of the aforesaid data are those collected for ⌜The Evaluation of the Impact of Our Neighborhood Orchestra on Children’s Learning⌟ made by the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Parts of the qualitative materials were used in in-depth interviews of social workers operating community-based orchestra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planning directly devised by them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social welfare-based involvement. Subjects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were 85 children who took part in the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The data were a result of the surveys made on a total of four occasions carried out every six months in 2011 and 2012. This paper reviewed elements related to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with the focus on the trajectory of development concerning the effects of child development and how to enhance the effects, using potential growth models. The qualitative research materials analyzed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through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and relevant operation, using 13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he subject children, their parents, and relevant instructors carried out in the 2011 – 2013 period and four in-depth interviews with social workers carried out in 2014. This paper analyzed the following factors, which are part of the development of poor children, by means of quantitative research: depression and aggressive behavior, which fall in the mental realm, communality, which fall in the social realm, and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which promote trajectory and effects of chang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n analyzed them additionally by means of quantitative research to understand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search more deeply and convey the voices of participants more vividly. Major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on what was found as a result of quantitativ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development of poor children from a perspective of effects of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they displayed significantly positive development in depression, aggressive behavior,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 for communality, they did not display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communality due to ceiling effect, selective effect, initial insight, etc., but they appeared to display a gradual increase in communality and then maintain a high level of communality. This result tells us that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are very positive educational activities for poor children, who generally show more severe depression or aggressive behavior, which becomes serious as they grow older, than the others and they constitute very significant intervention that can exert positive influence on the mental realm and even on the social realm, displaying an effect related to commun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at individual music teaching can hardly accomplish. The results of comprehensi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ontext that appeared concerning depression, aggressive behavior, communality, and the trajectory of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children first showed mental depression due to their home environment, but went through a positive change of sentiment, acquiring a sense of confidence while learning to play the musical instrument. The children showed a slight increase in aggressive behavior related to the difficulty in learning to play a new musical instrument, but their aggressive behavior diminished with the flow of time as they got used to the musical activities and mingled with others, while controlling themselves to an extent that could be recognized by their buddies, families, and social workers taking care of them. The instructors who taught the children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heir communality rather than competition. The children showed that they were happy to play music with buddies. They showed development in their sense of communality and even the sense of responsibility in their working as a team. With regar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at first the children did not show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buddies or their family members or adults in their neighborhood, but they gradually changed their ways, getting close to their buddies through camps and orchestra activities. Second, facilitative factors for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include evaluation (focused on music achievement and attitude), satisfaction, outsiders’ (parents and people of the community) attention and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e checking on activity elements that have an impact on initial value and rate of change in conditional models of the trajectory of children’s development are as follows. Out of the evaluation elements, the evaluation on music achievemen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rate of change in communality, while the evaluation on attitude had an impact in the initial value of depression, aggressive behavior, and communality. As for the context of the evaluation on music achievement, the children expressed difficulty in handling a new instrument at first, but showed a gradual improvement in music skills, came to give hand to buddies, and made efforts to abide by the orchestra’s rules, displaying positive development in their communality. With regard to the context of the evaluation on attitude, the children showed interest in learning to play a new instrument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a member of the orchestra in which there are buddies. Thus, it appears that the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hildren’s depression, aggressive behavior, and communality development. It appears that the sense of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initial value of commun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Looking at the context of the sense of satisfaction having an impact on communality, the children satisfied with the beautiful sound made by their orchestra work harder together to make more beautiful sound. Even if individual children’s music skill is not very good, they express a high sense of satisfaction with the sound they make together with buddies. Thus, they make a community. As regards the context that has an impa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said children find delight in making new buddies and talking to a new teacher, come to form a deep solidarity with the buddies also from poor families, and feel a sense of satisfaction. The sense of satisfaction like that helps them understand each other better. With an increase in their sense of satisfaction, they wish to continue the orchestra activities or play an instrument as an expert, but they know they cannot afford it. The sense of unease like that sometimes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 As for outsiders’ attention and participation, parents’ attention and participation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initial value of aggressive behavior, while the atten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people of the community showed a positive impact on the initial value of depression and aggressive behavior. The aforesaid contexts tell us that the children like to play their instrument before their family members encouraged by their interest. That is, their family members’ interest makes the children feel motivated stronger about playing an instrument, but it appears that the situation has a stronger impact on the entire family. The children play more often in front of their family members and the entire family comes to have something to boast about. They feel a high sense of satisfaction with the positive change shown by the children. This way, parents start to change, which in turn bring about an opportunity of communication among the family members. However, parents showed a sense of unease about their children, high elementary graders, spending lots of time in music. Such a negative sense felt by parents also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children. Concerning the context of atten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people of the community, the children participating in an orchestra come to receive that attention of the people around them. Especially, they feel their value enhanced, seeing that they have become an object of envy. Besides, the children feel closer to the community as a result of having an opportunity to play music with the support from the community. The children experiencing the atten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community like that appear to show low depression in the initial stage. The children engaging in orchestra activities come to establish close relationship with diverse adults and carry out more positive activities. The children experience the sense of giving something to others through their orchestra activities in the community and people around them send a warmhearted signal to them. The atmosphere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 Third, the impact of evaluation, the sense of satisfaction, and attention/ participation, which are facilitative factors for the effect of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can be deemed to be intervening factors in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operated by social workers. With this, we can review the role to be assumed by a social welfare expert based on a systematically arranged program. The role of a social welfare expert in each factor is as follows. As for evaluation (focused on music achievement and attitude), it appears that the intervention through continued evaluation on the children’s musical talent and attitude of participation can help them develop by having them adapt to the orchestra activities. The level of satisfaction felt by the children is highly dependent on the way instructors handle them. It means that relevant programs need to be operated in the way that encourage instructors to understand the children’s psychological, sentimental, and behavioral patterns through the education of the instructors so that they ma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children. The intervention is also necessary to encourage and support the instructors, as it i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sense of satisfaction felt by the children. It is also necessary to inspect the activities designed to educate the children from time to time rather than leaving the assignment to the instructors completely. Steps need to be taken to enhance the level of the sense of satisfaction felt by the children by encouraging them and providing opportunities like camping in which they can take part happily. Attention and participation are divided into two, i.e. parents’ and those of the people of the community. The social workers in charge appear to have high effects when they induce parents’ attention and participation to encourage the children to take part in their activities positively by carrying out relevant community events based on a prearranged plan. The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carried out by the community for poor children are thought to be very meaningful intervention with a positive impact on the children’s development, but the activities are not carried out systematically due to diver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relevant programs by utilizing factors of intervention like evaluation, the sense of satisfaction, attention/particip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relevant resources and education of, attention to, the instructor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ystematic policy support and develop collaboration between those engaging in welfare and those of cultural, art, and educational circles.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support for R&D for education and training of relevant human resources and the development of criteria for evaluation of operational effect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research: First, this study attempte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poor children taking part in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and provide diverse materials o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poor children as the research that mixes quantitative materials accumulated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with the results of qualitative materials containing diverse perspectives. Second, this study attempted to point to the need for understanding social welfare programs and provide a practical basis for social workers’ direct invention in the activities of the poor children by shedding light on the effects of the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 role of social workers for such childre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poor children by reviewing the influence of the orchestra-based educational activities on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 and identifying relevant factors that enhance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 to maximize relevant effects. Finally, this study attempted to maximize positive effects and look for new ways by shedding light on the merits of the cultural/art education of poor children that engage in the community-based orchestra educational activities. 빈곤아동의 빈곤 경험은 심리사회적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성인이 되어서까지 영향이 이어져 빈곤이 세대 간 대물림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현재 빈곤아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베네수엘라의 사회복지 사업인 ‘엘 시스테마’는 아동들의 경제적 문제를 해결한 성공적 문화예술교육으로 자리잡게 되어 우리나라에서도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을 통한 빈곤아동 발달에 관심을 가지고 접근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운영하는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과 참여 빈곤아동의 발달에 대한 연구로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이 빈곤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효과와 그 효과를 촉진하는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요소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빈곤아동에 대한 적극적인 사회복지적 개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빈곤아동의 발달을 도모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양적, 질적 종단 자료를 활용한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객관적 데이터를 통한 효과입증 일반화뿐만 아니라 과정에 대한 상황적 맥락의 심층적 이해를 도왔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해 사용된 양적자료와 질적자료 일부는 서울시립교향악단의 「우리동네 오케스트라 학습영향평가」를 위해 수집한 자료이며, 질적자료의 일부는 사회복지적 개입에 대한 경험을 탐구하기 위해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을 운영하는 복지기관 중 직접 기획하여 운영하는 사회복지사의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활용하였다. 양적연구 대상은 2년 이상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에 참여한 아동 85명이며 자료는 2011년부터 2012년까지 6개월 간격으로 총 4회 조사한 자료로서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아동발달 효과 영역에 대한 발달궤적과 효과촉진을 위한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요소를 살펴보았다. 질적연구 자료는 양적연구 대상의 아동과 아동의 부모, 활동 강사의 2011년부터 2013년에 진행한 초점집단인터뷰(FGI) 13건과 사회복지사의 2014년에 진행한 심층면접 4건을 활용하여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을 통한 발달 맥락과 운영에 대한 맥락을 분석하였다. 빈곤 아동의 발달부분인 정의적 영역의 우울, 공격성과 사회적 영역의 공동체성, 대인관계 변화의 궤적과 효과를 촉진하는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요소들을 양적연구로 분석하고, 양적연구로 도출된 결과의 맥락을 심도 깊게 이해하고 참여자들의 소리를 생생히 전달하고자 질적연구로 추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양적연구의 결과와 결과에 대한 맥락을 살펴본 질적연구 결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효과로 나타난 빈곤아동의 발달을 살펴보면 우울, 공격성, 대인관계에서 의미 있는 긍정적 발달을 보였으며, 공동체성은 천장효과와 선별효과, 초기 통찰력 등으로 인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초기 감소 후 증가 하여 지속적으로 높은 공동체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빈곤 아동들의 우울이나 공격성이 비빈곤 아동보다 심하고 청소년기로 갈수록 심각해지는 일반적 현상을 고려할 때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은 빈곤아동에게 매우 긍정적인 교육 활동이며 공동체성과 대인관계는 개별 음악 학습으로는 이루기 힘든 효과로 정의적 영역과 동시에 사회적 영역까지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매우 의미 있는 개입으로 볼 수 있다. 각 결과에 대한 통합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 공격성, 공동체성, 대인관계 발달 궤적에서 나타난 맥락을 살펴보면, 먼저 우울의 감소 맥락에서는 빈곤아동들이 가정환경으로 인해 정서적 우울감을 보이나 접하기 어려운 악기를 배우면서 자신감을 얻고 이전보다 긍정적인 감정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공격성의 감소 맥락에서는 빈곤아동들이 보이는 공격성과 활동초기 어려운 연주 활동으로 표출되는 공격성으로 인해 약간 증가 추세를 보였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음악 활동에 익숙해지고 함께 어우러지면서 친구, 가족, 강사, 사회복지사가 인지할 만큼 아동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면서 감소하는 공격성을 보였다. 공동체성 변화의 맥락에서는 아동들을 가르치는 강사들이 경쟁보다는 공동체성에 초점을 맞추어 지도하는 방법이 아동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함께 연주하는 생활이 즐거운 아동들은 합주를 통해 공동체성이 발달되고 서로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활동에 임하는 모습까지 보이게 되었다. 대인관계의 증가 맥락에서는 아동들이 초기에 보여주는 대인관계는 친구들이나 주변 어른, 혹은 가족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지 못하였으며 환경적인 요인으로 학교나 오케스트라 내에서 친구들과의 어울림이 적었으나 캠프와 오케스트라 활동을 통해 가까워지고, 서로에 대한 관심과 이해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대인관계의 긍정적 발달을 보였다. 둘째,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효과를 촉진시키는 활동요소는 평가, 만족, 외부의 관심과 참여로서 평가는 음악평가와 태도 평가, 외부의 관심과 참여는 부모와 지역사회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아동발달궤적의 조건모형에서 초기치와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 요소들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가요소 중 음악평가는 공동체성의 변화율에, 태도평가는 우울과 공격성, 공동체성의 초기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음악평가 영향 맥락에서는 아동들이 새로운 악기를 접하면서 초기에는 악기 다루는 것을 어려워하였으나 배울수록 음악 실력이 향상되어 함께 연주하는 과정에서 친구를 도와줄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고 오케스트라의 규칙을 지키려는 노력들이 행해지면서 공동체성에 긍정적 발달을 보였다. 태도평가 영향 맥락에서는 일반아동들이 배우는 악기를 배울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아동들은 활동에 적극성을 보였으며, 친구들과 함께 하는 오케스트라 활동이기에 참여에 대한 긍정적 책임감을 가지게 되면서 보다 적극적인 활동을 하게 되어 친구들과 어울리면서 적극성을 보이는 아동들의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은 우울, 공격성, 공동체성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만족은 공동체성과 대인관계의 초기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이 공동체성에 영향을 주는 맥락을 살펴보면 오케스트라의 아름다운 하모니에 만족한 아동들은 그 소리를 만들어내기 위해 더욱 협동하게 되며, 개인의 음악 실력은 높지 않으나 친구들과 함께할 때 만들어지는 멋진 공연에 높은 만족감을 보인다. 아름다운 하모니와 성공적인 공연에 대한 만족감이 공동체를 이루어나가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또한 대인관계에 영향을 주는 맥락을 살펴보면 비빈곤아동에 비해 할 일이 없고 매일 같은 일상을 살아가는 빈곤아동이 초기에 새로운 선생님과 친구들을 만나면서 심심했던 일상에서 즐거움을 느끼고, 함께 하는 친구들이 같은 저소득층이라는 환경에 깊은 공감이 이루어지면서 더 큰 만족감을 보인다. 이러한 만족감이 서로를 이해하고 좋은 관계를 맺는데 긍정적 영향을 준다. 그러나 아동들의 만족감이 늘어날수록 오케스트라 활동을 지속하거나 악기를 전공하고 싶은 마음을 갖게 되는데 마음대로 지속할 수 없는 현실을 인지하게 되면서 불안한 마음을 갖게 되어 아동의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외부의 관심과 참여 중 부모 관심과 참여는 공격성 초기치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지역사회 관심과 참여는 우울과 공격성 초기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각각의 맥락을 살펴보면 초기 아동들의 활동에 대한 가족의 관심이 나타나면서 아동들은 가족들 앞에서 연주하며 보여주는 것을 좋아한다. 가족의 관심은 아동에게 악기 연주에 대한 동기부여를 해주고 있으나 가족의 관심이 아동에게 영향을 주기보다 가족에게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들은 집이나 외부에서 가족들에게 연주를 들려주고, 자녀의 연주는 가족에게 자랑거리가 된다. 실력이 향상된 연주뿐만 아니라 활동하면서 자녀에게 나타나는 긍정적인 변화에 높은 만족을 보이고 관심이 높아질수록 부모들도 변화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변화는 아동과 부모의 소통의 장을 만드는 중요한 변화가 된다. 그러나 부모들은 초등학교 고학년인 자녀가 음악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것에 대한 불안감을 보여, 부모의 불안한 정서적 반응이 아동에게도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지역사회 관심과 참여의 맥락에서는 아동들이 오케스트라를 시작하면서 주변인들의 관심을 받게 되며, 특히 학교친구들이나 그 외에 친구들의 부러움을 경험하면서 아동들 스스로 느끼는 가치가 높아졌다. 뿐만 아니라 아동들은 지역사회의 지원을 받으면서 지역사회 내에서 연주를 하고, 지역사회 인사와의 친밀한 관계를 누리는 기회를 얻게 되어 지역사회와 더욱 가까워졌다. 이러한 지역사회의 관심과 참여를 경험하는 아동일수록 초기 우울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아동들은 오케스트라를 시작하면서 다양한 어른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기 시작하고 지역사회 내 어른들의 관심을 받으면서 다양한 연주 활동을 하게 된다. 아동들은 연주활동을 통해 아름다운 음악을 들려주게 되면서 타인에게 베푸는 경험을 하고, 주변인들은 빈곤아동들에게 긍정적 시선을 보내준다. 빈곤아동들이 경험하는 주변의 따뜻한 시선은 아동의 공격성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셋째,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의 효과를 촉진하는 요소인 평가, 만족, 관심과 참여의 영향은 사회복지사가 운영하는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의 개입 요소로 생각해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회복지사는 보다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운영하기 위한 역할을 살펴볼 수 있다. 각 요소들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평가와 관련해서 음악평가와 태도평가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아동들의 음악성과 참여태도에 대한 끊임없는 사정을 통한 개입이 이루어질 때 아동의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적응력을 높여 발달을 도모할 수 있다. 활동에 참여하는 빈곤아동들의 만족은 강사들의 태도와 관련이 높다. 따라서 강사들을 위한 교육을 진행하고 빈곤아동의 심리정서행동 양식을 이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기획 및 운영해야 강사들이 아동들을 교육하고 이해하는 과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강사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강사들의 어려움을 공감하고 격려 및 지지 등의 개입이 이루어질 때 아동들의 만족을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강사들에게 모든 교육 활동을 위임하기보다 수시로 아동들의 교육 활동을 참관하고, 아동에 대한 격려나 보다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캠프 등의 활동을 계획하여 아동들의 만족감을 높여야 한다. 관심과 참여는 부모와 지역사회의 관심과 참여로 나누어 역할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사회복지사는 아동의 적극적인 활동을 위해 부모들의 참여와 관심을 요청하고 지역사회 내 홍보 및 행사를 기획해서 운영하는 과정을 초기부터 계획하여 실행하는 것이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통합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지역사회의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이 빈곤아동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어 매우 의미 있는 개입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다양한 문제들로 체계적인 운영이 현실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실천적으로는 프로그램 기획시 평가, 만족, 관심과 참여 등의 개입요소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활동을 위해 자원개발과 연계, 강사들에 대한 교육과 관심 등이 필요하다. 정책적 함의로는 체계적인 지원과 문화예술교육계와 복지의 협력 활성화가 필요하며 인력에 대한 교육이나 양성 및 운영효과에 대한 평가기준 개발이나 정책 도출을 위한 R&D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이러한 통합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장기간의 양적자료와 다양한 시각의 질적 자료 결과를 통합한 혼합연구로써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빈곤아동의 발달에 관한 이해를 넓히고, 빈곤아동의 발달과정에 대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둘째,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의 효과와 더불어 효과에를 촉진하는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요소와 사회복지사의 역할 등을 활동 과정을 통해 탐색함으로써 사회복지계의 사업에 대한 이해와 사회복지사의 직접적인 개입의 실천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의 빈곤아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빈곤아동 발달을 촉진하는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 요소들을 확인하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지역사회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을 실행하고 연구하는 사회복지계, 문화예술계, 교육계 등의 사각지대에 있었던 빈곤층 문화예술교육의 특장점을 부각하여 새로운 방안을 모색함과 동시에 긍정적 효과를 최대화하고, 빈곤아동 발달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 농어촌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안은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cent surge in international marriages is one of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rise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s Office, one out of every three marriages for people engaged in farming or fisheries is an international marriage, making it an increasingly prominent family structure in the rural regions. Such a trend is leading to a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 couples. By 2010, biracial children entering the public education system are expected to expand substantially. Although the growing number of such children portends potential problems in school adjustment arising from cultural differences, dissimilar skin tone, facial features etc, and thus requires greater attention and assistance, as of yet, research and literature in this area are scarce in the Korean academia. Therefore an investigation into the implications of this issue for the social welfare community at large should be most meaningful.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ways for the social welfare community to assist the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 marriages. To this end, an assessment on the current status of these children were made based on examining their unique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the kinds of social support provided, and level of adjustment in school life. Afterwards the degree of influence different variables play had been analyzed. Data for the study was collected over a five week period, during which writte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biracial children in their 3,4,5,6th grade, residing in northern Cholla province. A total of 110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answered and returned, and subsequently us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ocio-demographical attributes were examined, which included gender, grade in school, religion, nationality of mother. The sex ratio was almost equally balanced, with 49.1% male, 50.9% female. In terms of grade, there were more third, fourth graders compared to fifth and sixth graders. Religion wise, 38.2% Protestant, 30.0% none, 12.7% Unification church, 10.0% Catholic, 5.5% Buddhism. Survey of nationality showed Japanese, Chinese, and Philippine women making up the majority with 36.4%, 34.5%, 23.6% respectively. Second, bi-linguistic and bi-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 that in 90.9% of the case, parents of respondents always or at times spoke in the Korean language.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 respondents were taught the native language of the mother, 66.4% replied in the positive. 73.6% believed themselves to proficient in Korean, and 48.2% indicated an ability to speak (no matter how poorly) the native language of the mother. Among the children surveyed, 69.1% displayed knowledge of the mother's country of origin, 73.7% had a positive opinion of the mother's country. 32.7% perceived his/her features and appearance negatively. 70.9% indicated a willingness to introduce their parents (both mother and father) to friends while 29.1% were against the idea. Third, with regards to level of social support received and school adjustment, the average level of social support received was found to be high at 3.17. Sub-variables in this category were family support (3.36), peer support (3.13), teacher support (3.01). The average for school adjustment was 2.80 slightly higher than the norm. In this category, the sub-variables wer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2.94), observance of rules (2.88), relationship with peers (2.85), participation in school events (2.69), class activities (2.62) Fourth, upon examining the difference in major socio-demographic variables,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among the degree of usage of Korea, degree of teaching the children the mother's native language, and appreciation of one's looks. Also depending on the nationality of the mother, the respondent's proficiency in Korean and in the mother's native language differed significant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ith regards to school adjustment based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ifth, the difference in school adjustment based on bi-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to be significant for all seven variables with the exception of the degree of usage of Korean. Sixth, with respect to the level of influenc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bi-cultural attributes have on school adjustment, the stronger the social support received, the more positive an attitude one has toward one's own bi-cultural environment, in case the nationality of the mother was China, Japan, Philippines (countries where the majority of the international spouses come from)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the child adjusting well at school. In conclusion, in order to facilitate children of international marriages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grams incorpo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bi-cultural attributes are necessary. Such children require a higher level of social support than the average school child, and in particular, the teachers should be trained in multi-cultural awareness and outreach thereby enabling them to serve as solid supporters of these children. In addition, a climate in which the children feel pride in their mothers and form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ir bicultural environment should be encouraged. Effective community welfare strategies should be devised so that the local community has a high level of bi-cultural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other countries. Such programs must be rapidly put in place especially in the rural areas witnessing a considerable growth in their migrant population. Also, mothers of all nationalities must be encouraged to form a network of support groups to share information and assist each other. Finally, an essential factor in facilitating a child's adjustment at school is language education. Should language pose a barrier, the children will undergo severe difficulties in following class activities. Therefore policies to provide them with the necessary educational programs are urgently called for. 최근 국제결혼가정의 증가와 함께 한국문화 속에서 다양한 형태의 다문화 가정이 자리를 잡고 있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농림어업 종사자의 경우 총 결혼의 3건 중 1건은 국제결혼이 이루어지면서 농어촌의 새로운 가족유형으로 정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가족유형으로 인하여 국제결혼가정 자녀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10년이 되면 농어촌에는 공교육에 진입할 국제결혼가정 자녀 수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제결혼가정 자녀수가 늘어나면서 이중문화를 가지며 외모가 다른 모습으로 살아가는 이들에게는 학교적응에 있어 여러 문제들이 발생될 수 있어 더욱 주의 깊게 다루어져야할 상황이나 아직 우리사회는 국제결혼가정 자녀들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학교적응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 도출은 매우 의미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제결혼가정 자녀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국제결혼가정 자녀만이 가지고 있는 이중문화 특성, 사회적지지, 학교적응을 살펴보아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실태를 파악하고, 각 요소들 간의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국제결혼가정 자녀들의 학교적응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사회복지적 함의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농촌지역 초등학교를 다니고 있는 3,4,5,6학년의 국제결혼가정 자녀들을 대상으로 5주에 걸쳐 자료수집이 실시되었으며 총 11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성별, 학년, 종교, 어머니의 국적을 살펴본 결과 성별은 남자가 49.1%, 여자가 50.9%로 비율이 거의 같게 나왔으며 학년은 3,4학년이 5,6학년보다 많았다. 종교를 보면 개신교 38.2%, 무교 30.0%, 통일교12.7%, 천주교 10.0%, 불교 5.5%로 나타났으며 국적을 살펴보면 일본 36.4%, 중국 34.5%, 필리핀 23.6% 으로 일본, 중국, 필리핀 여성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이중문화특성으로 이중언어와 이중문화 특성을 살펴본 결과 연구대상자들의 부모님들이 대화시 한국어 사용정도를 보면 항상 잘 사용하거나 약간 사용한다는 응답이 전체의 90.9%를 차지하였으며, 어머니의 언어를 연구대상자들에게 가르쳐주는 정도를 살펴보면 66.4%의 연구대상자들은 어머니에게 어머니 언어를 배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 스스로 생각하는 자신의 한국어 능력은 73.6%가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연구대상자들이 어머니의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정도를 살펴보면 어머니의 언어를 약간이라도 사용할 수 있는 대상자는 48.2%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들이 어머니의 나라에 대해 알고 있는 대상자가 69.1%였으며 어머니 나라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대상자가 73.7%로 나타났다. 부정적으로 자신의 외모를 생각하는 대상자가 32.7%로 높게 나타났으며 연구대상자들이 친구에게 아버지나 어머니를 소개시켜 주는 것을 어느 정도 좋아하는지 살펴본 결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대상자가 70.9%이며 좋아하지 않는 대상자도 29.1%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자들의 사회적지지와 학교적응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지지 평균은 3.17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하위변인으로 가족지지 3.36 친구지지 3.13 교사지지3.01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들의 학교적응의 평균은 2.80으로 보통에서 약간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하위변인으로 담임교사와의 관계 2.94, 규칙준수관계 2.88, 교우관계 2.85, 학교행사관계 2.69, 학습활동관계 2.62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변수들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년에 따라 부모님들이 대화시 한국어를 사용하는 정도와 어머니의 언어를 연구대상자들에게 가르쳐주는 정도, 연구대상자들 자신의 외모를 좋아하는 정도의 차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보였다. 또한 어머니의 국적에 따라 연구대상자들의 한국어 능력정도와 어머니나라언어 능력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어머니의 나라를 좋아하는 정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 외에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적응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다섯째, 연구대상자의 이중문화특성에 따른 학교적응의 차이를 살펴보면 부모님들이 대화시 한국어 사용정도를 제외한 7가지 변수의 모든 이중문화특성들은 학교적응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적지지, 이중문화특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자신의 이중문화특성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국적이 중국, 필리핀, 일본 등의 다수가 있는 국적의 자녀들일수록 학교적응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제결혼가정 자녀들의 학교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중문화특성을 반영한 적절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되어진다. 이들에게는 높은 사회적지지가 필요한데 특히 교사들에게 국제결혼가정 자녀들의 특성인 다문화에 대해 교육시켜 이들에게 알맞은 교사의 역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교사의 지지를 강화해야한다. 또한 어머니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이중문화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갖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은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잘 수립하여 지역주민이 이중문화를 이해하고 각 나라를 존중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진행되어야 하며 특히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농어촌 지역에서 빠르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모든 국적의 어머니들이 서로의 정보를 공유하며 서로 도울 수 있는 모임을 활성화 시켜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교적응을 위해 국제결혼가정 자녀들에게 꼭 필요한 것이 언어교육이다. 언어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지금과 같이 학습활동에 있어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다. 따라서 정책적 노력을 통하여 이들에게 맞는 교육정책이 요구되어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