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학클리닉이 중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안영주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2015 Mathematics curriculum emphasizes the aspect of the learner's affective aspect. Korea students are ranked in the top of math studying time compare with other countries. On the other hand, it is at the bottom of the list in terms of affective domain, such as math anxiety, self-efficiency index for math, and motivation index for math learning. Given these results, efforts should be focused on improving math education not only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but also from a affective perspective. Also,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getting students to take time to think about their confidence, interest and value in math learning. Accordingly, programs are needed to allow students to analyze and improve the causes of anxiety about mathematics or low learning confidence on their own, and a math learning consultation tailored to each student to help them recognize the value of mathematics. In light of this,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how math learning counseling can affect middle school students' math learning. In this study, I conducted a preliminary examination of fou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math learning diagnostic test used by KOFAC and conducted a learning counseling for each stud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est. The consultation was conducted from 3 to 6 sessions, and each consultation session lasted about 10 minutes. I analyzed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and identified the followings: First, I confirmed that students were motivated to study math and that their perception of math learning changed positively through the mathematics learning counseling. Second, I confirmed that math learning counseling could help students identify their own methods of learning math and recognize for themselves the difficulties or obstacles they face in math learning. Third, through math learning counseling, students can help them have a new motivation for learning math by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gave them value and meaning. Fourth, math learning counseling can help students find problems and causes for math learning by letting them see how they learn math and how they perceive it. As a result, through this study, I confirmed that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math learning could change if students were given the opportunity to identify problems themselves in the course of learning math. Given this, each learner's environment is different, so a program in the form of a student-specific math learning clinic is needed to diagnose each learner and to provide them the appropriate prescription.

      • 인천지역 중도·중복장애학급 학생들의 통합교육 실태 및 특수교사, 일반교사, 학부모의 만족도 조사

        안영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ith diverse educational requirements increase recently, more effective and proper educational methods need to be searched for educational sites. In Incheon area,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have been established and run in special classes at primary general schools since 2009. In every education department (East, West, South, and North), one or two classes were made and 5 in total. Taking them as models, they are going to be launched over the country. Therefore, this study is to suggest actual recent status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in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lasses in Incheon area and how we should support that educationally. The following issues of study were established. First, how is the current state of integrated education for the students in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in Incheon area? Second, how is the level of satisfaction from parents of the students in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in Incheon area? Third, how is the level of satisfaction from teachers and instructors in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in Incheon area? To answer these study issues, research questions about these issues (the actual status of integrated education and satisfaction for the students in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were given to general teachers who teach in integrated classes including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5 special instructors in the classes, 31 parents whose kids belong to total 5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in Incheon area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First, the actual status of integrated education for students in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in Incheon area was analyzed by researches about integrated education, facilities and operation of integrated classes, and awareness of general and special teachers. Seco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integrated education from those parents, was separately analysed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and integrated classes).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they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convenient facilities in schools and classes,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class hours, types and contents of classes, employee use, etc. In addition, parents showed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rather than with integrated classes. Third, the level of satisfaction from special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in integrated classes was analyzed into 4 sub-categories. As a result, special teachers showed relatively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class facilities and management. General teachers in integrated classes showed higher satisfaction with school support and integrated education. The satisfactory level of general teachers in integrated classes including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special teachers in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This study gave right directions to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and integrated classes which will be established more in the future. Key Words: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classes, integrated education. 최근 다양한 특수 교육적 요구를 지닌 중도·중복장애 학생들의 증가로 인해 특수교육 현장에 이들을 위한 보다 적절하고 효과적인 교육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인천지역에서는 2009학년도부터 초등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중도·중복장애학급을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각 지역(동부, 서부, 남부, 북부) 교육청마다 1~2학급, 총 5학급을 설치하였으며, 이를 모델로 삼아 전 지역으로 확대 될 예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인천지역 중도·중복장애 학생들의 통합교육 실태와 만족도, 더 나아가 교육 지원 방향에 대해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천지역 중도·중복장애학급 학생들의 통합교육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인천지역 중도·중복장애학급 학생 학부모의 통합교육 만족도는 어떠한가? 셋째, 인천지역 중도·중복장애학급 특수교사 및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만족도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천지역에 설치된 총 5개의 중도·중복장애학급에 속한 학생의 학부모 31명, 중도·중복장애학급을 지도하는 특수교사 5명, 중도·중복장애 학생이 포함된 통합학급을 지도하는 일반교사 전원을 대상으로 중도·중복장애학급 학생들의 통합교육 실태 및 만족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인천지역 중도·중복장애학급 학생들의 통합교육 실태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중도·중복장애학급 및 통합학급의 시설과 운영, 통합교육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둘째, 인천지역 중도·중복장애학급 학생 학부모의 통합교육 만족도는 중도·중복장애학급에 대한 만족도와 통합학급에 대한 만족도로 나누어 조사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부모들은 학교 및 학급의 편의시설, 교재․교구, 수업 시간, 수업 형태 및 내용, 보조인력의 활용 등 여러 가지 영역에서 대체로(평균이상)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부모는 통합학급에 대한 만족도 보다 중도·중복장애학급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천지역 중도·중복장애학급 특수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의 통합교육 만족도는 각 4가지 하위영역에 따른 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특수교사는 학급 시설과 학급 운영에 관한 만족도가 대체로 높게 나왔으며, 일반교사는 학급 지원과 통합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중도·중복장애학급을 지도하는 특수교사의 만족도 보다 중도·중복장애 학생이 포함된 통합학급을 지도하는 일반교사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후에 확대되어 설치 될 중도·중복장애 학급과 통합학급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핵심어 : 중도·중복장애, 중도·중복장애학급, 통합교육

      • 기술교육에서 학생활동 중심 수업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안영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echnology classes centered on student activity in Korea on students. Through this, the research trends of teaching technology was analyzed and the effect size on students was calculated.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 analysis. For literature data, papers were collected through a representative database in Korea. Through this, the papers related to the technology classes were selected, and 72 articles were analyzed in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44 articles were analyzed in meta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d research trends of technology classes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n Korea Technology Education. The effect size was analyzed by year, data source, research type, teaching method, analysis target selection, and content area.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number of paper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steady studies. Second, The research trends in technology education are as follows. Most of the research types are quasi-experimental designs of experimental control groups among quantitative studies. Middle school students are the most frequently analyzed targets, and in the content area,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in the manufacturing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reas. Third, Representative teaching methods in technology education were identified as STEAM education, Cooperative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learning. Three representative teaching methods(STEAM education, Problem solving method, and Cooperative learning) were selected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he effects of these teaching methods on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STEAM education in technology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technological attitude, creative disposition, self-efficacy and interest, and problem-solving ability. Second, Cooperative learning in technology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social interaction, and affective domains. Third, Problem-based and Problem-solving learning in technology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affective domain,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meta analysis, the effect size on students in a representative student-centered technology class was shown as medium effect size(0.633). A total of 76 effect sizes were analyzed by dividing subcategories into publication type, teaching method type, school level, experimental type, and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the publication type showed a median effect size for published(0.647) and unpublished(0.515). As for the teaching method type, STEAM education(0.859) showed a high effect size, followed by Cooperative learning(0.669), Others(0.608), Problem solving method(0.390), and Project method(0.326). For school level, Elementary school(0.816) showed a high effect size, followed by Middle school(0.597) and High school(0.531), showing a medium effect size. Experimental type showed the median effect size in the order of single group(0.765) and experimental control group(0.568). The dependent variable showed the median effect size in the order of affective(0.668), psychomotor(0.601), and cognitive(0.539). This study intends to mak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irst, Various studies that can inform the effect of students in technology education should be promoted, and through this,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education should be informed. Second, As qualitative research related to technology education is promoted, research that c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students who are difficult to quantify should be conducted. Third, An in-depth study on the implementation effect of the instructional model should be conducted with the subject of teaching methods used in technology classes. 이 연구는 우리나라 학생활동 중심 기술수업이 학생에게 주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술 교육의 연구 경향과 학생에게 미친 효과 크기를 분석했다. 연구는 체계적 문헌 분석과 메타 연구를 진행했다. 문헌 자료는 한국의 대표적인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논문을 수집했다. 이를 통해 주제와 관련된 논문을 선별하여 체계적 문헌 분석은 72편, 메타분석은 44편을 분석했다. 체계적 문헌 분석을 통해 연구 경향을 파악했다. 분석틀은 연도별, 자료원, 연구 유형, 교수법, 분석대상선정, 내용영역으로 하여 효과크기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논문 수 파악 결과 꾸준한 연구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기술교육의 연구 경향은 양적 연구 실험통제집단 준실험설계가 대부분이며, 중학생을 분석 대상으로 제조, 정보통신 영역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기술 교육에서 대표적인 교수법은 융합교육, 협동학습, 문제기반 및 문제해결 학습으로 파악되었다. 체계적 문헌 분석을 통해 대표 교수법 3가지(STEAM 교육, 문제해결법, 협동학습)을 선정했다. 이 교수법들이 학생에게 주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교육에서 융합교육은 기술적 태도, 창의적 성향, 자기효능감 및 흥미, 문제해결력을 높이는데 긍정적 영향을 준다. 둘째, 기술교육의 연구 경향은 다음과 같다. 연구 유형은 양적 연구 중 실험통제집단 준실험설계가 대부분이다. 분석 대상은 중학생이 가장 많고, 내용 영역은 제조, 정보통신 영역에서 활발히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기술교육에서 문제기반 및 문제해결 학습은 학업성취도, 정의적 영역, 문제해결력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메타분석을 통해 대표적인 학생 중심 기술 수업에서 학생들의 효과크기는 중간 효과크기(0.633)를 보였다. 하위범주를 출판형태, 교수법 유형, 학교급, 실험유형, 종속변수로 나누어 총 76개의 효과크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출판형태는 학술지(0.647), 학위논문(0.515)는 중간효과크기를 보였다. 교수법 유형은 융합수업(0.859)이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협동학습(0.669), 그 외(0.608), 문제해결법(0.390), 프로젝트법(0.326) 순으로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다. 학교급은 초등학교(0.816)이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중학교(0.597), 고등학교(0.531) 순으로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다. 실험유형은 단일집단(0.765), 실험통제(0.568)순으로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다. 종속변수는 정의적(0.668), 심동적(0.601), 인지적(0.539)순으로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기술 교육에서 학생 효과를 알릴 수 있는 다양한 연구들이 촉진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기술 교육의 중요성을 알릴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기술 교육과 관련된 질적 연구가 촉진되어 수치화되기 어려운 학생들의 효과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기술 수업에서 사용하는 교수법을 주제로 하여 수업 모형의 적용 효과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 경기 일부지역 고등학생의 교내 매점유무에 따른 간식 및 학교급식 이용실태

        안영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야)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is for 650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the northern area of Gyeonggi-do from two high schools which have cafeteria and two which do not have cafeteria from December 26thto30th, 2016. Total of 548 students are analyzed in the final statistical analysis excluding 102 students who have insufficient responses and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results. Gender distribution turns out to be similar in all schools either they have cafeteria or not and the two groups have similar results based on mothers’ job status(p<0.01). Schools that have cafeteria tend to have many dual-earner parents. The frequency of the meals is three times a day and it is examined that students eat breakfast more than 5 times a week which is an unexpected result. Also, high skipping rate of breakfast is investigated from students who don’t eat breakfast. Two group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and mothers’ job status seems to be influential. Frequency of ingesting snacks and the cost of i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wo groups(p<0.001) and they tend to be higher in the schools that do not have cafeteria. Most answers for the reason to eat snacks are ‘because I’m hungry’ and ‘because it tastes good’. Their standard to eat snacks is the ‘taste’ in both two groups which proves that students consider good tast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choose snacks. In schools that have cafeteria, a time slot to eat snacks turns out to be in the order of ‘9am-noon’ and ‘noon-3pm’ which shows that students eat snacks the most when they are at school because of easy accessibility to cafeteria. In the schools that don’t have cafeteria, students usually eat snacks in the order of ‘after 6pm’ and ‘3pm-6pm’ which proves that most of students eat snacks after school when they have free time outside of school. Frequency of using school meal plan is 5 times a week and the amount of intake turns out to be average. In both two groups, ‘particular vegetables’ and ‘fish’ rank the highest for students’ unbalanced diet and garbage amount appears to be in the order of ‘vegetables’, ‘soup/stew(excluding liquid)’, and ‘fish’ . There was not much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groups, but it appears to be that unbalanced diet is high in particular vegetables and fish. Overall satisfaction level towards school meal plan and satisfaction level in food are high in the schools that don’t have cafeteria and they have significant differences(p<0.05). In terms of snack ingestion rate instead of school meals, at schools that have cafeteria, there are many students who eat snacks while eating school meals. At schools that don’t have cafeteria, there are many students who eat snacks instead of school meals. There are many students who eat snacks instead of school meals during the meal time and the most reason for eating snacks is because ‘there is food that I hate in school meals’. Students who eat snacks while eating school meals tend to eat snacks after their meals and the most reason for eating snacks is because ‘lunch was not enough’. It is considered that students are not affected by regular meals because most students say ‘same’ when comparing their eating amount of meals after eating snacks. Satisfaction level towards school meals after ingesting snacks is high at schools that don’t have cafeteria, but there are not much significant differences. Frequency analysis by the types of snacks based on whether school has cafeteria or not shows that snack/crackers, frozen desserts, general bread, beverages, milk/dairy products and candy/chocolate in order at schools that have cafeteria. At schools that don’t have cafeteria, it shows that snack/crackers, general bread, beverages, milk/dairy products and candy/chocolate in order. At schools that have cafeteria,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requency of ingesting snacks and satisfaction level towards school meals. At school that don’t have cafeteria, there i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requency of ingesting snacks and change of satisfaction level towards school meals after eating snacks(p<0.05) which proves that they are influential.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breakfast skipping rate is high at school that have cafeteria and when students skip breakfast, they tend to buy more snacks at cafeteria. Also, they eat snacks before and after lunch time and it affects their regular meals which shows that they have low satisfaction level towards school meal plans. For this fact, we try to contribute to form healthy eating habits by balanced nutrients ingestion for students by informing them the importance of appropriate ingestion of snacks and importance of school meals. 본 연구는 경기도 북부지역에 소재한 고등학교 중 매점이 있는 학교 2개교, 매점이 없는 학교 2개교의 2학년 남녀 고등학생 650명을 대상으로 2016년 12월 26일 ~ 30일 기간 동안 조사하였으나 응답이 불충분한 102부를 제외하고 총 548부를 최종 통계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본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성별은 매점이 있는 학교와 매점이 없는 학교에서 비슷한 분포로 조사되었고 어머니 직장여부에서는 두 집단간 유의하게 나타났으며(p<0.01), 매점이 있는 학교에서 맞벌이 가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식사횟수는 하루에 3회 정도 식사를 하고 있었으며, 아침식사횟수는 예상과 다르게 일주일에 5회 이상 섭취하는 학생들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아침을 거의 먹지 않는 학생들도 많은 것으로 나타나 아침 결식률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두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어머니의 직장여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간식섭취횟수와 간식섭취비용은 두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0.001), 매점이 없는 학교에서 간식섭취횟수와 간식섭취비용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식섭취이유로는 두 집단에서 ‘배가 고파서’, ‘맛이 있어서’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간식섭취기준으로는 두 집단에서 ‘맛’이 가장 높게 나와 청소년들이 간식을 선택하는데 있어 맛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식섭취시간으로는 매점이 있는 학교에서는 ‘오전 9시~12시’, ‘오후 12시~3시’ 순으로 높게 나와 학교에서 생활하는 시간대에 가장 많이 간식을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매점과의 접근성이 용이하기 때문에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매점이 없는 학교에서는 ‘오후 6시 이후’, ‘오후 3시~6시’ 순으로 높게 나와 대부분 교외출입이 자유로운 방과 후 시간에 학교 밖에서 간식을 섭취하는 것으로 보인다. 학교급식이용횟수는 일주일에 5회 급식을 섭취하고 있으며, 급식섭취량은 표준정도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식여부에서는 두 집단에서 ‘특정채소’와 ‘생선’의 편식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잔반량 또한 ‘채소반찬’, ‘국/찌개(국물제외)’, ‘생선류’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육류에 비해 특정채소, 생선류 등의 편식이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교급식의 전반적인 만족도와 음식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매점이 없는 학교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왔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학교급식 대신 간식 섭취율은 매점이 있는 학교에서 학교급식을 섭취하면서 간식류를 먹는 학생들이 많았으며, 매점이 없는 학교에서는 학교급식 대신 간식류를 섭취하는 학생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식 대신 간식을 섭취하였을 때 급식 중에 섭취하는 학생들이 많았고, 간식섭취 이유로는 ‘싫어하는 음식이 나와서’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학교급식을 섭취하면서 간식을 섭취하는 학생들은 급식 후에 가장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간식섭취이유로는 ‘점심량이 부족해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식 섭취 이후 급식섭취량 차이로는 ‘같다’가 가장 높게 나와 학생들은 정규식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간식 섭취 이후 급식만족도는 매점이 없는 학교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왔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매점유무에 따른 간식섭취 종류별 빈도분석에서는 매점이 있는 학교에서 스낵/과자류, 빙과류, 일반 빵류, 음료수, 우유/유제품, 사탕/초콜렛류 순으로, 매점이 없는 학교에서는 스낵/과자류, 일반 빵류, 음료수, 사탕/초콜렛류, 우유/유제품, 빙과류 순으로 섭취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매점이 있는 학교의 간식섭취횟수와 급식만족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매점이 없는 학교에서는 간식섭취횟수와 간식섭취 이후 급식만족도 변화와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유의하게 나타나(p<0.05) 간식섭취횟수가 간식섭취로 인한 급식만족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볼 때, 교내 매점이 있는 청소년들의 아침결식률이 높았으며 아침결식시 매점에서 간식을 구매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점심시간 전과 후로 간식을 섭취하고 있어 정규식사에 영향을 주어 학교급식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올바른 간식섭취와 급식의 중요성을 알고 청소년들이 보다 더 균형 잡힌 영양소 섭취로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물을 소재로 한 악곡의 감상 교수·학습 방안 연구

        안영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Water' is an intangible material that flows constantly by nature, and resembles music created by intangible sounds. Also, water has been described in music as an attractive subject for its unique movement and sound, and its philosophical implications. A number of images that water has are reflected in sounds, stirring up our imagination through listening to the sounds. Listening to a musical piece based on water encourages listeners to be more musically imaginative with searching for musical expressions in the piece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of water's nature, from its physical features to sentiments, images and symbolism that it indicates. Moreover, the teaching methods for listening to a musical piece based on water has a significance in that with the methods instructors can help learners broaden their horizons of music by exposing them to a variety of eras, regions and styles of music, and experience images evoked by sounds through the composition and combination of musical elements by making them listen to music profoundly. This study is composed of three parts. First, this study shows the meaning and process of listening to music and the meaning of program music and guidance for listening to it, and establishes a ground for understanding of musical pieces based on water by analyzing water as an object outside music. Second, with a view of exploring music based on water, this study puts an emphasis on analyzing musical expressions of water in several musical pieces categorized as describing 'sound', 'looks' and 'symbolism' of water. In the musical pieces that describe sound and looks of water, one can listen to descriptions of its looks and sound together and find various features and movements of water in flowing and circulation. The musical pieces that express symbolism of water are arranged and analyzed according to a degree of the symbolism, from concrete ones giving water's images based on descriptions of its movements and looks to more abstract ones conveying its images through organization and combination of musical elements. What is found through this process is that music bears sentiments and symbolism in the contextual sounds intended by the composer just like water's nature of containing numberless images, and encourages our imagination to be awaken because of its abstraction. Third, the contents for teaching are drawn by analysing of musical expressions in selected musical pieces that contain various images of water. Then, with the steps of teaching set as 'preparation', 'searching' and 'expression', this study suggests an activity of listening to music in which listeners can understand musical pieces on the subjects of `sound', 'looks' and 'symbolism' of water and be inspired to search for musical expressions of water in them. This study reaches three points: a limitless nature of water as an inspiring musical subject; the various musical expressions of the water found in musical pieces based on water serving as an object outside music; and the sounds of musical expressions intended by the composers to quicken our imagination about various images of water. This study has a meaning of suggesting a teaching methods for listening to music in which, during the process of listening to a musical piece based on water, learners can be encouraged to be more imaginative so that they experience sentiments and flow of emotions of its composer and search for musical expressions of water in it, feeling the meaning and beauty inhered in the music. ‘물’은 시간 속에서 끊임없이 흐르는 유동성을 지닌 무형(無形)의 물질로서, 형체가 없이 흘러가는 소리로 만들어지는 음악과 매우 닮아있다. 또한 특유의 움직임과 소리로, 한편으로는 철학적 사유의 대상으로서 음악의 매력적인 소재가 되어 표현되어 왔으며, 물이 지닌 수많은 이미지는 음향에 담겨져 다시 감상을 통해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있다. 물을 소재로 한 악곡의 감상은 물이라는 물질이 갖는 표면적인 성질에서부터 물이 함축하고 있는 정서, 이미지, 상징성에 이르기까지, 물의 속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음악적 표현을 탐색하는 가운데 상상력을 발휘하도록 한다. 또한 물을 소재로 한 다양한 시대와 지역, 양식의 음악을 접하도록 하여 음악 감상의 폭과 경험을 넓힐 뿐만 아니라, 음악을 깊이 있게 듣도록 함으로써 음악적 요소의 구성과 결합을 통해 소리가 불러일으키는 이미지를 경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음악 감상의 의미와 과정, 그리고 표제 음악의 의미와 감상의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 음악 외적 대상으로서의 ‘물’에 대한 고찰을 통해 물을 소재로 한 악곡에 대한 이해의 바탕을 마련하였다. 둘째, 물을 소재로 한 악곡 탐색의 주안점을 설정하고, 물을 소재로 한 악곡을 대상으로 물의 '소리', '모습', '상징성'을 표현한 곡으로 나누어 물의 음악적 표현에 중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물의 소리와 모습을 나타낸 악곡에서는 물의 외적인 이미지를 바탕으로 물의 모습 및 음향 묘사를 함께 들을 수 있으며, 흐름과 순환에 따라 변화하는 물의 움직임을 찾아볼 수 있었다. 물의 상징성을 표현한 악곡은 물의 움직임과 모습의 묘사에서 출발하여 물의 이미지를 상상하도록 하는 구체적인 것에서부터 음악적 요소의 조직과 결합을 통하여 물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는 추상적인 것까지, 상징성이 점점 깊어지는 흐름에 따라 악곡을 배열하여 생각해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모든 것을 반영하여 수많은 이미지를 함축하는 물의 속성과 같이 음악 또한 작곡가가 의도한 음향 조직 속에 정서와 상징성을 함축하고 있으며, 그것이 갖는 추상적 성격으로 인해 우리에게 열린 상상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을 찾아볼 수 있었다. 셋째, 음악적 표현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음악 속에서 물의 다양한 이미지와 표현 방법을 탐색할 수 있는 악곡을 선정하여 지도 내용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감상 교수·학습 단계를 ‘준비’, ‘탐색’, ‘표현’의 과정으로 설정한 후 물의 ‘소리’, ‘모습’, ‘상징성’이라는 각각의 주제에 따라 악곡의 전체적인 이해 속에서 물의 음악적 표현을 탐색하고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감상 활동을 제시하였다. 물을 소재로 한 악곡의 감상을 통하여 물이라는 하나의 소재가 갖는 무한한 상상의 영역을 발견하게 되었고 그것이 음악 외적 대상으로 작용하여 음악 속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었으며, 작곡가가 의도한 소리가 다시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하여 다양한 이미지를 불러일으킨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을 소재로 한 악곡의 감상 교수·학습 방안 연구는 음악 안에서 음악 주체의 상상력을 집중시킴으로써 작곡가가 느꼈던 정서와 감정의 흐름을 경험하도록 하고, 물의 음악적 표현을 탐색하는 가운데 작품 속에 내재한 음악의 의미와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감상 학습의 한 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이주 노동자를 위한 아자아자 한국어 1, 2」 교재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 교수요목 및 단원의 재설계를 중심으로

        안영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이주 노동자 한국어 교육 실태에 적합한 교재 개발을 위하여 학습자 및 교사의 요구 조사를 실시하고,「이주 노동자를 위한 아자아자 한국어 1」 교재와 「이주 노동자를 위한 아자아자 한국어 2」 교재를 분석한 것을 바탕으로 개선된 교수요목 및 단원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1장에서는 이주 노동자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과 함께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지적하고, 연구의 절차를 보인 뒤 관련 선행 연구를 살펴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였다. 2장에서는 이주 노동자 한국어 교육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이주 노동자 한국어 학습자와 이주 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재에 대한 연구 및 보고서를 검토하여 정리하였고, 현장의 요구를 교재 개선에 반영하기 위하여 이주 노동자 한국어 학습자와 이주 노동자 한국어 교실의 교사를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로 이루어진 양적 연구, 예비조사와 설문 결과 분석 면담으로 이루어진 질적 연구를 통해 학습자와 교사의 요구와 현장에서의 애로 사항을 파악하여 이주 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재의 교수요목 및 단원 설계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의 개발 원리와 분석 및 평가에 대한 이론과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본 연구의 대상 교재 및 분석 기준 설정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분석 대상 교재와 기준을 설정하고, 일반 요소․외형 요소․내용 요소․활용 요소의 4가지 측면에서 교재를 분석하여 장점과 제한점을 도출하였다. 4장에서는 2장의 요구 조사 결과와 3장의 교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주 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재의 교수요목 및 단원 재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주 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선 방향의 원리를 설정하고, 「이주 노동자를 위한 아자아자 한국어 1」 교재와 「이주 노동자를 위한 아자아자 한국어 2」 교재의 교수요목 및 단원을 재설계하여 개선 교재의 단원 구성의 예를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연구가 지니는 한계점과 의의를 서술하며 향후 진행되어야 할 논의에 대해 제언하였다.

      • 심리극 연구 동향 분석

        안영주 백석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1998년 9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배출된 심리극에 관한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들을 대상으로 심리극 연구의 동향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도별, 학위별, 연구방법별, 학문영역별, 연구대상별, 연구내용별(치료회기 및 치료효과)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 예술치료를 통한 치료사의 자기치유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안영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what experiences I had while I looked back on my life in self-healing process, and what the meanings of them were. The study was begun from not only self-working to relieve my anxiety, worry, helplessness, and depression, but also communication with inner mind to receive me just as I am. While researching ‘I’, I objectively tried to study my problems through self-working, arts therapy, dream analysis, as well as personal analysis. I also tried to get rid of prejudice from getting out of my dad’s negative appearance. Furthermore, I tried to search how the therapy processes, which therapists have, are, and how these processes give meanings for my healing. As the study method, I chose narrative research because it helps to understand my problems which I have not resolved for a long time and to describe my healing process. To do this, I collected and interpreted my works and documents which I worked by group counselling, classes of graduate school, expressive arts therapy, personal work, and personal analysis since 2016. While the process, I frankly described my journey of life to face my shadow which communicated with unconsciousness. Since I recognized my problems and listened to voices of inner mind, I could more understand the meanings what I got from these experiences. In particular, I could realize the things that gave suffering to me while analyzing my dreams were I, myself. Moreover, I experienced I have lived for others, and that was to hide unstable my status. Thus, I experienced artistic creative healing process which accepts myself, sublimates negative emotions, and then makes inner energy by personal analysis. That means that I am on the center of the healing process, I listen to my real inner voices, and I have to move on ‘my life’ and ‘my way’. My healing experiences were composed of 3 parts. In part 1 ‘the path I have taken’, I recalled my childhood and it showed the process to ask the question where my anxiety and hopelessness come from and to find the answer cause of the question. Part 2, ‘way out of the egg’ is the processes from the beginning of the journey of healing while recalling myself in the past and facing my problems. By expressing myself and communicating with my body, I looked my inner mind and then found that my look which is still hidden faces with the past. In addition, while the process I listen to my inner voice and find the freedom of expression, I also found something that still is not enough. In part 3 ‘go to my way’, it showed my negative animus is gradually disappeared by the process that I stay in deeper inner mind, meet my persona by self-working, communicate with unconsciousness by dreams, and face my shadow. These 3 experiences showed the meanings of self-healing experience. While meeting children and taking care them in my inner mind, I felt healing during the process, and I realized my problems were the prejudice I made. So, it helped leaving my stalled problems in my life and subliming them positively to create my inner energy resources. The communication with unconsciousness by the dreams made me to change from negative shadow to positive one. I have changed and healed by finding myself, so I could meet whole self of my mind. A narrative inquiry about self-healing experience of therapist by arts therapy showed the communication with unconsciousness while I meet my works and the process to find realization while I deeply communicate and face with my shadow inside. By the inquiry, I am sure that I can accept me just as I am and develop myself as great arts therapist based on these experiences. 본 연구는 연구자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며 자기치유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했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탐구하고자 했다. 이 탐구는 나의 불안, 걱정, 무력감, 우울감을 해결하기 위해 자기작업으로 시작했으며 ‘있는 그대로의 나’를 받아들이기 위한 내면과의 소통을 위한 시작이었다. ‘나’를 탐구하는 과정에서 자기작업과 예술치료, 꿈 분석, 개인분석 등으로 나의 문제를 객관적으로 보고자했다. 또한 아버지의 부정적인 모습으로부터 벗어나 스스로에게 갖는 선입견을 바로잡고자 하였다. 나아가 예술치료가 가지는 치유적과정이 어떤지, 그 과정은 나의 치유에 어떤 의미를 주는지도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오랜 시간 나의 해결되지 못한 미해결된 문제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나의 치유과정을 이야기할 수 있는 내러티브 탐구라는 연구방법을 선택했다. 이를 위해 2016년부터 집단상담, 대학원수업, 표현예술치료, 개인작업, 개인분석 등을 받으며 작업해온 나의 작품과 자료를 수집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거쳤고, 이 과정에서 무의식과 소통하면서 그림자와 직면하기 위해 나의 삶의 여정을 솔직하게 써내려갔다. 점차적으로 나의 문제를 인식하고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게 되면서 나에게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갈 수 있었다. 특히 연구자의 꿈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나타났던 상징들을 통해 나를 괴롭혀 왔던 것들이 다름이 아닌 나 자신이었음을 깨닫게 되었다. 또한 나는 자신이 아닌 타인을 위한 삶을 살고 있었고 그것은 불완전한 나를 포장하기 위함이었다. 이에 개인분석을 통해 있는 그대로의 나를 수용하고 부정적 감정들을 승화시켜 내적 에너지로 만들어가는 예술적인 창조적 치유과정을 경험하였다. 그것은 치유의 과정 중심에 내가 있는 것이며 내게 들려주는 진정한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었고 이제는 온전히 ‘나’를 위한 삶, ‘나의 길’을 걸어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나의 치유경험은 세 장으로 구성되었다. 첫 장인 ‘내가 걸어온 길’에서는 나의 유년 시절을 회상해 보고 나를 둘러싼 무력감과 불안이 어디에서 오는 것인지 의문을 갖고 나에게 질문하고 원인을 찾게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과거의 나를 회상해보고 문제와 직면하게 되면서 치유여정이 시작되는 ‘알을 깨고 나오다’라는 두 번째 장이 전개된다. 나를 표현하고 몸과 소통하면서 내면을 들여다보고 현재의 드러내지 못하고 침묵하는 나의 모습이 과거와 맞닿아 있음을 발견하고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 표현의 자유를 찾는 과정에서 채워지지 않는 무언가를 또 발견하게 된다. 세 번째 장인 ‘자신의 길을 가다’에서는 조금 더 내면 깊이 머물러보고 자기작업 등을 통해 나의 페르소나와 만나고 꿈을 통해 무의식과 소통하고 그림자와 직면하게 되면서 비로소 부정적 아니무스가 작아지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러한 세 가지 경험은 자기치유 경험의 의미를 드러내 주었다. 나는 내면의 어린아이와 만나며 그 아이를 돌보는 과정에서 치유가 일어남을 느꼈고, 나의 문제는 내가 만들어낸 선입견이라는 것을 깨닫고 그동안 내 삶 속에서 고착된 문제와 사건들을 떠나보내고 긍정적으로 승화시켜 내적 에너지 자원으로 만들었다. 꿈을 통한 무의식과의 소통은 부정적 그림자를 긍정적으로 바꾸어 주었다. 나에게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고, 자기를 발견하면서 치유되어지고 비로소 온전한 나와 만날 수 있었다. 예술치료를 통한 치료사의 자기치유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는 연구자가 자기작업을 하면서 만나게 되는 무의식과의 소통과 그림자와의 직면으로 내 면에 있는 나 자신과 심층적으로 소통하고 깊이 대면하면서 깨달을 수 있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있는 그대로의 나를 수용하고 받아들여 건강한 예술치료사로서 성장할 수 있다고 확신을 가지면서 탐구를 마무리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