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一般化可能度 理論에 의한 體操審判 判定 誤差源 分析

        안애정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체조 심판판정의 信賴度 糾明과 관련하여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하여 審判判定 誤差源의 크기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체조경기의 下位種目, 審判, 採點方法을 일반화가능도 이론의 局面 (facet) 으로 설정하고 심판판정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대표선수급 우수선수의 演技와 國際審判 資格을 소지한 심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인지패턴이 採點結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심판들을 대상으로 認知樣式 檢査를 실시하였다. 실제 演技의 測定은 FIG규정에 의해 진행되는 公式試合으로 이뤄졌으며 여자 종목인 도마, 평행봉, 평균대, 마루운동 등 4개 종목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審判判定 點數는 제2경기 (자유종목) 결과를 기준으로 하였다. 비디오에 의한 採點은 실제 연기상황을 녹화하여 동일한 심판에 의해 재 採點 하도록 하였으며 비디오 카메라는 주심의 위치로 고정하였다. 採點者 (審判) 認知樣式 유형에 대한 측정은 표준화된 潛入圖形檢査 (GEF T) 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 체조경기 심판판정의 신뢰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一般化可能度 理論을 적용한 결과 각 국면의 변량성분 추정치와 그 상대적 크기는 각각 다르다. 피험자 그리고 被驗者와 種目의 相互作用 效果 비중이 가장 크다. 둘째, 一般化可能度 係數 결과에서는 4종목을 대상으로 두가지 채점방법으로 4명의 심판이 채점할 때 信賴度는 1에 가깝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D연구 결과는 현재의 채점방법에 의한 체조 심판판정 방법의 一般化可能度 水準 즉, 신뢰도는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체조 심판판정에서 種目의 특성이나 審判의 특성 그리고 判定方法의 특성이 체조 심판판정의 誤差源으로서는 거의 작용하고 있지 않다. 네째, 종목별 그리고 채점방법별 신뢰도계수에서는 場獨立的 認知特性을 가진 심판들이 신뢰도 계수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연구결과는 一般化可能度 理論의 연구설계에 의해서 體操 審判判定의 誤差源의 크기가 분산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심판판정의 오차요인은 경기종목과 선수특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현행 체조 심판판정의 信賴度는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심판의 특성으로서 認知樣式과 審判經歷이 판정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심판판정의 客觀度릍 제고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심판의 個人的 變因과 관련된 특성을 보다 심층적으로 규정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ource of gymnastic judging errors in association with the reliability of gymnastic judging. A set of statistical procedures, called, Generalizability Theory, was used in this study for analyzing the extent to which gymnastic judging produces comparable scores over three different facets establish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generalizability theory to this study: gymnastic events, judges, and judging methods. Some national team players were randomly selected as the subjects and asked to perform the routines of some selected women's gymnastic events such as uneven parallel bars, side horse vaualt, floor exercise, and balanced beam. The competition-like routines of the events were viewed and scored by a number of international judges whose judgements were arguably subjected to the official FIG rules, and the same judges were asked to view the video replays of the routines and rescore them. It should be noted here that, to eliminate the question of from which point the judges view the video taped routines, the video taping was done from the viewpoint where the chief judge was positioned. Before the present research began, all judges were administered a test measure of cognitive style based on a visual perception test known as the Group Embedded Figures Test of field dependency/independency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individual cognitive styles affect the judging results. The conclusion that seemed warrented by the evidence discussed in this study with respect to the reliability of gymnastic judging is in order.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generalizability theory to this study, it has been shown that estimated value of variance components and their weighted value of each facet were different, and that subject effects and subject-event interaction effects contributed most to variability in the source of judging error. The second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as that, as was evidenced by the generalizability coefficient, judging results did not significantly vary across the three different facets, that is, the effects of variations in each facet was of little significance. The variations in characteristics of the events, the judges, and the scoring methods can be worded following statements: 1. the judging results were consistent for a number of gymnastic events. 2. the video recorded scores were comparable to the competition scores. 3. A high degree of reliability resulted between the judges. It should be, however, noted here that those judges identified as field-independent oriented showed a relatively higher coefficient for the scoring methods. As a result of this finding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source of judging errors are evenly distrubuted across the variables as has been suggested by the discussion of the design of the generalizability theory which was used in this study. This study also pointed out that the method on which current gymnastic judging is based can be viewed as fairly reliable one because most of judging errors are attributable to the variations in characteristics of the events and the players. Lastly, It also appeared that individual cognitive style and experience might have some influence on scoring. This study suggested that future research examining the reliability of gymnastic judging control for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 of the judges as was mentioned before, yielding more objectively determined patterns of gymnastic judging.

      • 정호승 시의 공간의식 연구

        안애정 한국교통대학교 인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 요약 정호승 시의 공간의식 연구 A Study on the Space Consciousness of Jeong, Ho-Seong's poetry 이 연구는 정호승 시집 전체에 나타난 공간을 분석하여, 공간이 정호승 시세계의 변모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시인의 내면의식과 세계관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정호승 시에 나타난 공간을 논의하는 것은 공간이 시의 본질 가운데 하나로 시인의 창작 의식과 시세계를 이해하는데 필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정호승 시의 공간 구조는 크게 민중적 삶과 역사적 공간, 고독과 성찰의 공간, 자연과 동심의 공간으로 분류하였다. Ⅱ장에서는 민중적 삶과 역사적 공간이 나타난 작품을 대상으로 민주화 투쟁의 공간, 통일 염원의 공간으로 세분하였다. 민주화 투쟁의 공간에서는 1960~80년대 독재와 군사정권 하에서 당대 억압된 정치 현실을 벗어나 민주화를 열망 하였던 민중들의 의지와 민주화 투쟁으로 고통 받았던 민중의 삶을 조명하였다. 민주화 투쟁의 주요 공간은 서울과 광주 시내, 들판, 망월동 등으로, 이러한 공간은 민중이 열망하는 대상에 대한 뚜렷한 지향의식을 바탕으로 형성되었다. 그리고 통일 염원의 공간은 현실과 역사인식을 가졌던 시인이 꿈꾸는 세계로 민족의 통일과 깊은 관련이 있다. 분단이 고착화 된 현실에서 시인은 통일 염원의 공간으로 백두산, 천지, 연평도, 평양 등의 공간을 형성하여 통일에 대한 지향성을 드러냈다. Ⅲ장에서는 고독과 성찰의 공간이 나타난 작품을 대상으로 소외의 공간, 반성과 연민의 공간으로 세분하였다. 소외의 공간은 정호승이 초기 시부터 현재까지 관심을 가졌던 경제 성장에서 소외되고 외면당한 대상들을 형상화 하여 나타난 공간이다. 그 공간은 농촌과 탄광촌, 산동네, 서울역 등으로 부정적이고 소외된 공간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연민과 반성의 공간은 정호승이 자신과 가족의 이야기를 시적 대상화 하는데 착안하여 살펴보았다. 시인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화두는 사랑인데 이 공간에서는 사랑에 실패한 노숙자, 아버지와 어머니, 자신의 이야기를 소재로 한 작품들이 나온다. 시인은 서울역, 가족이 살고 있는 집, 성당 등의 공간을 내세워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사유하며 자기반성의 시간을 갖는다. Ⅳ장에서는 자연과 동심의 공간이 나타난 작품을 대상으로 생명체들의 공간, 동화적 상상력의 공간으로 세분하였다. 정호승의 작품에서 자연과 자연물을 노래한 시들이 다수 발견되는데 시인은 자연과 인간이 대등하게 상호 공존하는 세계를 지향한다. 생명체들의 공간에서 대상이 된 생명체들은 미미한 존재지만 큰 울림을 준다. 지구라는 거대한 공간 안에서 인간이 혼자 살아갈 수 없듯이 인간은 생명체들과 공생하며 살아가야 한다는 게 시인의 생각이다. 생명체들이 존재하는 공간은 숲, 강과 바다, 길 위 등이다. 그리고 동화적 상상력의 공간의 핵심 인자는 동심인데 인간은 동심의 공간으로 회귀하고자 하는 원형질을 가지고 있다. 동화적 상상력은 정호승 시인이 독자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하나의 장치로 시인의 시에서 동화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시가 많다. 동화적 상상력이 실현되는 공간은 골목길, 앞마당, 어머니의 젖가슴, 바다 등이다. 동화적 상상력이 바탕이 된 동심의 세계는 그의 시세계를 더욱 풍요롭게 해준다. 지금까지 정호승 시의 시세계나 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논의 되어 왔으나, 문학 공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호승 시의 공간 연구에 접근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Abstract A Study on the Space Consciousness of Jeong, Ho-Seung's poetry This research has a purpose to analyze the space in whole poems of Jeong, Ho-Seung,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space and changes in his world of poetry and consider his inward consciousness and view of the world. I think that the discussion of the space in his poems is necessary to understand his creative consciousness and poetry world, because the space is the essence of his poems. Spatial structure of his poems is largely divided into the space of civil life and history, the space of solitude and self-examination and the space of nature and childhood. In Chapter II, the space of civil life and history is subdivided into the space of fight for democracy and the space of wish for unity. The space of fight for democracy demonstrated intentions of normal people who desired democracy to get out of suppressed political circumstances at that time under dictatorship and military regime in 1960s ~ 1980s and civil life who suffered from fight for democracy. The main space of fight for democracy is down town in Seoul and Gwangju, field, Mangwon-dong and etc., which is based on the distinctive intentional consciousness the public desired. The space of wish for unity is the dreaming world of the poet with awareness of reality and history and closely involved with Korean unification. In reality,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became permanent, but the poet showed his intention for the unification to form the space of Baekdusan Mountain, Cheonji (lake on the top of Baekdusan Mt.), Yeonpyeong-do Island, Pyongyang and etc. as the space of wish for unity. In Chapter III, the space of solitude and self-examination is subdivided into the space of isolation and the space of regret and sympathy. The space of isolation is a space to embody isolated and neglected from economic growth whom he had concerned in the early days. The spaces are farming town, coal-mining town, mountain town, Seoul Station and etc., which are negative and neglected places. And the space of regret and sympathy is examined in the view which he objectified himself and his family in poetry. The most important topic for poet is love, and in this place, he wrote poems with the topic of homeless who failed to love, father and mother and his stories. The poet thought back his life through the space of Seoul Station, his family’s house, Catholic Church and etc. to have time to self-reflection. In Chapter IV, the space of nature and childhood is subdivided in to the space of creature and the space of fairy-tale imagination. In his works, there are many poems about the nature and natural objects, and he aimed the world which the nature and human can coexisted on equal terms. In the space of creature, objectified creatures are very impressive though they are very insignificant. In the huge space of the earth, he thought that human should coexist with creatures as human cannot live alone. The space of creature is forest, river, sea, on the road and etc. And the core of the space of fairy-tale imagination is the innocence of childhood, and human has a protoplasm to return the space of childhood. Fairy-tale imagination is one of devices which he can approach to readers and he wrote many poems based on fairy-tale imagination. The space to realize fairy-tale imagination is alley, front yard, mother’s breast, sea and etc. His childhood world based on fairy-tale imagination enriches his poet ry world. Until now, many researches has discussed about poetry world and methodology of Jeong Ho-Seung’s poetry relatively, however, there are few researches about his literary space. Therefore,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to make an attempt to approach the spatial research in his po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