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과 통합교과형 논술문제 연계성에 관한 연구 : 과학 과목 중심으로

        안미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7차 선택중심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의 심화과목 선택기준이 대학입시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을 밝히고, 논술에서 심화 선택 과목에 따라 유?불 리가 나타나고 있음을 문항 분석으로 그 연관성을 밝혀 앞으로 각 대학이 논술문제 출제 시 기본 방향으로 삼을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하기 위해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개설된 과학 선택과목 현황과 수학능력시험에서 과학Ⅰ?Ⅱ 과목 응시율을 조사하여 대학입시의 유?불리에 따른 학생 선호도가 교육과정에 반영되고 있음을 비교하였고, 논술 문제에서 출제된 과학 과목과 제시문 및 논제에서 요구하는 지식수준을 분석하여 출제 의도와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 비교하였다. 이 연구 결과 2008학년도 보다 2009학년도 논술문제가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더 많이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과 반영 정도를 보았을 때, 80%는 교과과정에서 출제되었고 나머지 20% 정도가 비교과과정으로 교과과정 이상의 난이도를 묻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과학 교과는 통합된 과학 교과 중 한 개 교과를 중심으로 작성해야 높은 평가를 얻을 수 있게 됨으로써 변별력 있는 답안 작성을 위해서는 과학Ⅱ 과목에 대한 지식이 선행되어야 했다. 일부 상위권 대학에서는 고등학교 교과과정에 대한 이해없이 모든 과학Ⅱ 수준의 내용 이해를 전제로 하는 문제를 출제하여 사실상 난이도가 높은 수준의 문제로 우수 학생을 선발하고자 하였는데 이로 인해 선택 과목의 유?불 리가 크게 작용하기도 하였다. 또, 현행 7차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고등학교 2학년부터 선택형 교과로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4과목을 모두 배우지 않는다. 그러므로, 과학논술을 볼 경우 선택하지 않은 영역의 문제들도 있을 수 있는데, 이런 경우 배운 학생(혹은 선행심화학습을 한 학생)과 배우지 않은 학생간의 차이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대학에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학이 논술 출제 기본 방향으로 할 기준 3가지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은 논술문제 출제 시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고등학교 교사들을 출제위원으로 참가시켜 교육과정을 반영한 문제가 보다 많이 출제되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각 대학들은 논술시험 후 보도 자료를 통해 채점 기준을 명확히 밝혀 수험생 및 논술 지도를 하는 학교 측에 논술 준비 가이드 라인을 제공해 주어야한다. 셋째, 단일교과 문제 출제 시 제시문이나 논제가 과학Ⅱ 수준이거나 그 이상의 난이도로 출제되는 것을 지양하고, 과학Ⅰ 교과 간의 통합적인 문제를 출제하여 자연 현상 및 사물에 대한 과학적?창의적 사고를 평가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고 보다 발전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이 연구는 대학입학전형 요소 중 하나인 논술에 관한 내용만 다루었으나, 교육과정과 대학입학전형에 관한 전반적인 연관성 연구가 필요하다. 일반계 고등학교가 대학진학을 목표로 학생들을 지도해야 있는 현 교육체제 속에서 7차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형식상으로만 운영하는 학교들이 많다. 이것은 교육과정이 변화되는 대학입학전형 방법과는 동떨어진 채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심화선택 과목이 대학 진학과 전공과목 이수 및 진로 선택 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일반계 고등학생 2?3학년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관성을 조사한 후 앞으로 교육과정이 수정?보완될 방향성을 제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인문계 고등학교 특별활동 운영에 관한 연구

        안미혜 청주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Present academic highschool treat extra(special) activity such as education for the whole man lightly. Although the purpose of education is to foster able men, it is just focused on education for entering unversity and it's pity to despise the form of the whole man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begun for the purpose of rediscovery of student's hobbies and characters(abilities) through extra activity, of becoming regular school education of extra activity's relocation. The specific goal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understanding of management of extra activities in academic highschool. Second providing reference materials for extra activity activation by cause analyzing of the problems of extra activities in school. For approaching this study's propose, we researched 238 students, 204 teachers by wireless selecting of 6 academic highschool in Chwong Chung Buk Do. The statistics of the study used SPSS/PS + for ratio of subordinate cause and inspection of difference.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synthetic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students, the management of four extra activity sectors has shown negative view that is time wasting by regulati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eachers, it has thought that every sectors has well managed. Second, in the aspect of class activity, there's big view gap in system situation. Students think a charge teacher decide it while teachers think they follow students' wish. Also in the group of student this similar differences has shown by grade causes. In the aspect of selecting subject way, there's big ratio response gap between male teacher(57.4%) and female teacher(79%). Although it is the highest that they select subject in annual plan in advance. Third, in the aspect of club activity. The research of management situation shown big differences by grades. Freshmen think it is replaced with self-study time. Second and third think it is well managed as planned. The view of necessity. There's ga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eachers think it is necessary activity while students think it is necessitate a little. And in the group of students, there's also gap. Boys think it is necessary while girls think it is necessitated a little. Forth, in the case of student council activity. We could know there's positive school view by both well selected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aspect of item acceptance situation. Fifth, in the case of group activity. The view of interest, there's huge recognition ga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Boy(31.3%) and girl(36%) students regard it meaningless time wasting by all regulation, while male(49.6%) and female(53%) teachers beard it the chance of cultivating cooperation and self-denying spirit. Sixth, in the case of specialty aptitude activity. In the research of charge teacher, there's little use of outside teacher in city(1.8%), while major use of outside teacher in towns. So the application of outside teacher is more active in towns than cities. Seventh, the hinder causes of extra activity management. They are said entrance examination oriented educations and indifference of parents. But students think it is insufficiency of school equipment and finance in towns. We could find the inferiority of these area. Both teachers and students think positive using is effective in the view of outside teacher application. But negative opinion is generally high in the view of reflecting school grade. It is mostly preferred once a month and whole day in the frequency of CA management. But senior students want twice a week and teachers in cities preferred once a week operation. The reason of dullness of extra activity is that "insufficiency" is the most in both teachers and students. There's a few opinion of "sufficiency" in student's case. Evaluation sector of extra activity is focused on "individual's specialty and skill" for student's case, focused on "participation attitude" for teacher's case.

      • 唐 前期 異民族 奴婢 賣買 및 通關 課程과 그 의미 : 吐魯番 出土 文書 중 소그드 상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안미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ang(唐) dynasty is often considered to have been an ‘open empire’ with overflowing cosmopolitanism and openness. This is represented in the scenery of Chang’an(長安), the Tang capital city, where exotic hobbies were popular, and many foreigners could enter and work in China. However, what was stipulated by the Tang Code(唐律) was rather a ‘closed world’ in which people’s travels were strictly controlled, borders were strictly managed, and private trade was prohibited. This does not correspond well with the perception of an ‘open empire’ Tang. This paper attempts to address this gap by examining the cases of foreign slave trade. Among the various products coming from the West, slaves, as a special kind of commodity, provide interesting research points from which to approach this problem. Since slaves were human beings as well as commodities that could be traded, the authorities imposed strict control on the transactions and entry process. The governing ideology of Tang dynasty is reflected in this system of slave trade and entry. Furthermore, a large number of slave trade records involve Sogdian merchants. It is worth noting that these documents recorded transactions between ‘marginal people’ on the ‘borders’. By examining the lifestyles of (or treatment towards) people who deviated from the ‘typical people’ of the empire, such as foreigners, merchants, and slaves in Gaochang(高昌), a cultural border area, it is possible to observe how the ‘universal’ ideology of imperial rule met and compromised with the ‘peripheral’ substratum reality. This enables not only the interpretation and restoration of the regulations and system, but also a broad examination of the operating practice, substratum agents’ response patterns, and the influence of foreign and private traditions. In this study, not only Tang administrative documents written in Chinese, but also various sales documents that have not received attention in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Along with the public transaction documents, Shiquan(市券), Siqi(私契), private transaction documents, and even livestock trade documents were examined. In addition, a comprehensive reconstruction of the reality of the time was conducted by extensively examining the documents of pre-Tang and non-Chinese documents. Thus, this study not only analyzes the individual aspects of the system but also the complex interaction between the imperial system imposed from the top as well as the local traditions or strategies of the substratum responding from the bottom.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observe how the administrative systems were actually being implemented by the authorities and how the agents of the slave trade were adapting or corresponding to them.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sets the following questions. On what basis could the foreign merchants and the foreign slaves that they brought in be transferr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ang? When foreign slaves were sold in the city of Xizhou(西州), located in the Turfan Basin, how were they recognized and treated by the authorities, and what does that reveal about the attitudes toward foreign people and foreigners in the Tang Dynasty? Through what administrative procedures were they able to be incorporated into Tang society? How did foreign merchants involved in this trade adapt to the system of the Tang? Did the tradition of the Sogdian Network continue into the Tang Dynasty or was it discontinued?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first, the existence of foreign slaves was examined and verified. Slaves, who were products for sale, traveled long distances with their names on pass documents accompanied by their owners. Slaves imported from Central Asia through Xizhou(Gaochang) and into China proper were traded in Koumahang(口馬行), the slave markets, in Chang’an, Luoyang and other cities. Imports and trades of foreign slaves were routine to the extent that ‘Fannubi(蕃奴婢)’, a foreign slave imported from abroad, was listed as an item in the market’s standard price list. Sogdian merchants were actively participating in this market. When slaves imported from outside were traded in the inner city, the commercial management policy of Tang empire was applied. In the Tang Code, when a slave was sold, the transaction should be notarized by the office and the office issued a Shiquan. At this time, the office conducted an identity check called Guojian(過賤). This means the official document was issued only after an investigation shows the slave’s low birth status was certain, and the slave was not abducted or enticed to sell. By the excavated materials, it is confirmed that the Guojian investigation was practiced on foreign slaves without exception, and the same was true for slaves imported from outside the region. Therefore, under the rule of Tang, the Sogdians were faced with the task of cooperating with the identity check of the slaves they procured and proving that they were legitimate slaves. To solve this problem, Sogdian merchants arranged for notarization by Guosuo(過所) or Shiquan in Xizhou before going to Inner China to sell slaves. This was the first official document issued (out of several such official documents) that was used to prove the slave was legal in the Tang Dynasty. In the process of obtaining the notarization, the Sogdians passed the investigation by having the guarantee of the compatriot and ethnic group, which was possible because the Sogdians had a network that had the medium of ethnicity and commerce from the pre-Tang period. The phenomenon of guaranteeing by a large number of compatriots staying in the interior and having guarantee capabilities is a practice that also appears in local sales contract documents before the Tang invasion. The Sogdians were able to respond to the control of Tang empire by using the resources of those traditions. Tang authorities tolerated such a practice because trade and exchange through the Sogdian merchants served their interests. As suc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tinuity of the local commercial tradition in the background of the slave trade of Sogdian merchants. A case study of foreign slave trade shows to what extent the universal system of the Chinese Empire was implemented and to what extent was it compromised by necessity, in the actual reality of the Han and non-Han, resident and traveling merchants, and foreigners and natives. The principle of traffic and trade control and the social class system were reflected in the regulations that required verification of identity in the slave trade. And in reality, there were various administrative practices that bridged the gap between the law and reality. Some of the practices were embodied in a culture mixed with the underlying reality of the region, allowing us to observe the continuum of local cultural traditions before and after the Tang Dynasty. The trade of foreign slaves was enabled by the succession of human resources and commercial traditions of the Sogdian network together with the attitude of authorities tolerating it. In other words, the foreign slave trade in the northwest region, as well as international private trade, could be achieved only when the imposition of the imperial system and the succession of local commercial tradition operated and harmonized simultaneously. In the border area of ​Xizhou-Gaochang, this pattern – which was practiced by the marginal people, who deviated from the epitome of the imperial system - was being tolerated at the end of the centralized administrative body of the Tang empire. It is at this point that the junction of the system and the substratum,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can be read. Although this case may seem like a special local practice at first glance, it has a universal meaning as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enter in this way. The culture of this joint border region fills the gap between the closed world stipulated in the Tang Code and the actual ‘cosmopolitanism’. 唐은 흔히 국제성과 개방성이 넘쳐 흐르는 ‘열린 제국’으로 연상된다. 이국 취미가 유행하는 수도 長安의 모습을 비롯하여, 중국 내지에 많은 외국인들이 들어와 활동하는 등의 모습이 그것이다. 그러나 唐의 율령이 규정한 모습은 인민의 이동을 엄격히 통제하고 국경을 엄정하게 관리하며 사무역을 금지하는 ‘닫힌 세계’에 가까웠다. 이는 ‘열린 제국’ 당이라는 인식과는 잘 조화되지 않는다. 본고는 이러한 간극에 착목하여, 이민족 노비 무역이라는 사례를 탐구함으로써 이 문제에 접근하고자 했다. 서역에서 들어오는 각종 문물 중 상품으로서의 인간, 곧 奴婢는 일종의 특수 상품으로서 위에서 제시한 문제의식에 접근할 수 있는 흥미로운 탐구 지점들을 제공한다. 노비는 사람이면서도 동시에 거래될 수 있는 상품이기도 했기 때문에, 그 인적 성질로 인해서 거래 및 관문 통과 시에 官에 의하여 엄격한 통제가 가해졌다. 인민에 대한 唐의 통치 이념은 이러한 노비 매매 및 通關의 제도에 반영되어 있다. 나아가 분석 대상인 노비 매매의 양상에는 胡人 곧 소그드인 상인이나 노비가 다수 관찰되는바, 이 문서들이 ‘경계지’에서 ‘경계인’들 사이에 벌어진 거래를 기록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高昌이라는 문화 접경 지대에서 이민족, 상인, 노비 등 제국의 ‘전형적 백성’을 비껴간 경계인들의 사례를 통해, 제국 통치의 ‘보편’ 이념이 ‘주변부’ 기층 현실과 만나서 부딪히고 타협하는 양상을 관찰할 수 있다. 이로써 율령 규정의 해석과 제도의 복원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운영 실태를 폭넓게 살펴보며 기층 행위자들의 대응 양상 및 외래·민간 전통의 영향 관계까지 짚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문으로 작성된 唐代 행정 문서는 물론, 기존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다양한 매매 문서들, 곧 공적 매매 문서인 市券을 넘어 사적 매매 문서인 私契, 유사 사례인 가축의 매매 문서까지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또한 唐 이전의 매매 문서와 非漢語 자료까지 폭넓게 살피고 당시의 현실을 종합적으로 재구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제도의 단편적 면모만이 아니라 복합적 상호작용을 살피고, 위로부터 강제되는 제국의 제도만이 아니라 아래로부터 대응하는 현지의 전통이나 기층의 전략을 실태 속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럼으로써 官에 의한 행정 제도들이 실제로는 어떻게 실천되고 있었는지, 그리고 그에 대해서 노비 무역의 당사자들은 어떻게 적응 내지는 대응하고 있었는지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바탕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설정하였다. 외래 상인과 그들이 데려온 이민족 노비는 어떤 근거로 域外에서 唐의 내지로 入境할 수 있었을까? 이민족 노비가 吐魯番 분지에 위치한 西州의 市에서 매매될 때, 그들은 당국에 의해 어떻게 인지되고 취급되었으며, 그것은 唐朝의 化外人 및 이민족에 대한 태도에서 어떤 함의를 가지는가? 그들은 어떠한 행정적 절차를 통해서 唐의 사회 구성원으로 편입될 수 있었는가? 무역에 관여하고 있는 외래 상인들은 唐의 제도에 어떻게 적응하였는가? 소그드 네트워크의 전통은 唐 이전과 이후에 어떻게 단절 또는 연결되고 있는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먼저 이민족 노비들의 존재 양상을 살펴보고, 이민족 노비의 무역이 존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판매 상품인 노비들은 過所·公驗과 같은 통행증 문서에 이름을 올리고 주인에 동행하여 원거리 여행을 하고 있었다. 그렇게 중앙아시아로부터 西州(高昌)를 거쳐 중국 내지로 수입된 노비들은 장안과 낙양 등지의 노비 시장, 口馬行에서 거래되었다. 역외에서 수입해온 이민족 노비인 ‘蕃奴婢’가 시장의 기준 가격표인 市估案에 품목으로 등재될 정도로, 외래 이민족 노비의 수입 및 거래는 일상화되어있었다. 이 시장에는 소그드 상인들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었다. 외부에서 수입해온 노비를 唐 내지에서 거래할 때에는 唐 제국의 상업 관리 정책을 적용받았다. 唐律에서는 노비를 매매할 때 官의 공증을 받고 市券을 발급받도록 했다. 이때 官府에서는 過賤이라고 하는 신분 검사를 시행하였다. 곧, 노비의 신분이 賤人이 확실한지, 良人 百姓을 납치 또는 유인하여 매매하는 것은 아닌지 조사를 한 뒤에야 市券을 발급해주었던 것이다. 출토 市券 실물로 확인되는바 이민족 노비에게도 예외 없이 過賤이 실행되었고 역외에서 유입된 노비 역시 마찬가지였다. 따라서 唐의 지배 아래 소그드인들은 자신들이 조달하는 奴婢의 신분 검사에 협조하고 합법적 노비 신분임을 증명해야 하는 과제를 마주하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소그드 상인들은 내지에 가서 노비를 팔기 전에 西州에서 過所 또는 市券을 발급받음으로써 공증을 마련했다. 이것은 唐 안에서 합법 노비임을 증빙할 수 있는 첫 번째 공식 서류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공증을 얻는 과정에서 소그드인들은 同鄕·同族의 보증을 갖춤으로써 조사를 통과하였는데, 이는 소그드인들이 唐 이전부터 종족성과 상업이라는 매개를 가진 인적 네트워크를 자원으로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내지에 머무르며 보증 능력을 가진 다수의 동족이 보증해주는 현상은 唐 이전에도 당지의 매매 계약 문서에서 나타나는 관행이다. 소그드인들은 그러한 전통의 자원을 연용하여 唐 官府의 통제에 대응할 수 있었다. 唐 측에서도 소그드 상인을 통한 교역과 교류가 이익에 부합하였기 때문에 그러한 관행을 용인하였다고 생각된다. 이렇듯 소그드 상인들의 노비 무역이 이뤄질 수 있었던 배경에는 현지 상업 전통의 연속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민족 노비 무역의 사례 연구는 중화 제국의 보편 제도가 한족과 이민족, 정주민과 이동 상인, 외래인과 내지인이 혼재하는 ‘邊境’의 기층이라는 실제의 현실에서 어느 정도로까지 관철되고 또 필요에 의하여 얼마나 타협되고 있었는가 하는 질문에 하나의 사례를 제시해준다. 율령에서 교통·교역의 통제와 신분제의 원리는 노비 매매에서 신분 검증을 요구하는 통제 규정에 반영되어 있었다. 그리고 실제의 현실에는 율령과 현실의 간극 사이를 연결하는 여러 가지 행정 관행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그 행정 관행 중 일부는 해당 지역의 기층 현실과 혼합된 문화 속에서 배태된 것이었고, 唐의 이전과 이후 현지 문화 전통의 연속을 관찰해낼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소그드 네트워크의 인적 자원 및 상업 전통의 계승, 이를 용인한 官府의 태도가 어우러져 이민족 노비의 무역은 가능했다. 곧 서북 지역의 이민족 노비 무역, 나아가 국제 민간 무역은 唐 제국 제도의 관철과 지역 상업 전통의 연속 두 가지가 동시에 작동하고 조화하면서 비로소 이뤄질 수 있었던 것이다. 西州-高昌이라고 하는 경계 지역에서 이동 상인·이민족·化外人이라고 하는 제국 체제의 전형에서 비껴간 경계인들이 벌이고 있었던 이러한 양상은 唐의 중앙집권적 행정기구 말단에서 용인되고 있었고, 바로 이 지점에서 제도와 기층, 중앙과 변방의 접합부를 읽어낼 수 있다. 이 사례는 언뜻 지방의 특수 관행처럼 보이기도 하나, 이처럼 중앙에 직결됨으로써 보편적 의미를 지닌다. 이렇게 접합된 경계 지역의 문화는 唐 제국의 율령에 규정된 닫힌 세계와 실제 나타나는 ‘국제성’ 사이의 간극을 채워 준다.

      • 環境彫刻과 都市環境의 調和에 關한 硏究

        안미혜 朝鮮大學校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Buildings, cars, roads, and people... are the usual elements with which we live, what we always feel and see. If all of these have harmony and beauty, our own inner world will be affected by them directly. Even in today's complex society, if we can feel, see and appreciate the worth of human beings everywhere, all including sculptors artists will form the basis of the common people. Beauty, joy, hope, fun, courage, sorrow, loneliness, emptiness etc are esthetic essentials transferred physically and seen with the visual. As the human spirit is sculptured and placed on the road, we can have a chance to appreciate it. Where it is placed is thus the important thing that because the spaces we feel are different depending on each person's points of view and they may be used for different purposes. Redivision of the space is the desired role sought by our minds. It is the role of artists and the role of sculptors. Sculpture is a three-dimensioned medium. It is the nature of the sculpture that all the spaces we live in and possess are used in it, From the big buildings to small inter spaces. By thinking of the more detailed intensional space division and the sculptures placed in it, we gain other esthetic effects. When going along the street, if there is a big building, a landscape architecture or a pretty is sculpture, what is our reaction? It is like a lady dressed and decorated with jewels. Who can appreciate her by seeing and feeling.

      • (A) study of control constructions in Chinese

        안미혜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1 국내석사

        RANK : 247615

        Recently, Control theory is a new issue since it has been developed by a lot of linguistics including Chomsky, Manzini, Hornstein and so on. In Government and Binding theory, Chomsky(1981) claims that PRO-theorem determines the distribution of PRO, which requires that PRO must be ungoverned. Furthermore, the control theory determines the interpretation of PRO. On the contrary, Manzini(1983) claims that we do not have to use two theories, PRO-theorem and control theory for PRO, but instead we should use one theory, a modified binding theory for a pronominal anaphor to account for distribution and interpretation of PRO. In the Minimalist Program, Hornstein(1999) claims that PRO is a residue of movement, an NP-trace, in the specifier position of an embedded infinitive clause, and that a pro is a last resort when movement is prohibited.This thesis is to account for the special properties of Chinese control constructions. Following James Huang's(1989) proposal for Chinese control constructions, he claims that PRO and pro are one empty category, so they are subject to one theory, (Generalized Control Rule (GCR)). In the case of a null subject in an embedded complement clause, he divided the structures into OC and NOC structures by inserting NP to the embedded clause. However, GCR cannot account for the phenomena of control shift and the case of a null subject that has split antecedents. The classification of OC and NOC structure in Chinese is defined again by the finiteness of the embedded complement clause. If it is non-finite, the structure will be an OC structure; If it is finite, the structure will be an NOC structure. With this proposal, we have found that MTC can apply on these Chinese structures. So that, in Chinese OC structure, OC PRO is a residue of movement, an NP-trace; in NOC structure, NOC PRO is a last resort, a pr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