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거 평면도 제작이 기하영역 중 공간 감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심지영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은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하고 있으며 문제해결 능력 뿐 만 아니라 정의적 측면을 위하여 실생활에 활용되는 사례와 타 교과의 연계성을 통해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접근할 수 있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술?가정 교과와 실생활에 활용될 수 있는 주거 평면도 제작이 공간 능력과 수학교과 공간 감각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수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하기 위해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정하였다. 1) 주거 평면도 제작 과 공간 능력이 상관있는가? 2) 주거 평면도 제작 과 수학교과 공간 감각 능력과 상관있는가? 3) 주거 평면도 제작 후 공간 능력이 향상 되었는가? 4) 주거 평면도 제작 후 수학교과 공간 감각 능력이 향상 되었는가?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다중적성검사 종류 중 공간 능력과 수학교과 공간 감각 검사로 하였으며, 실험 대상은 주거 평면도 제작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1) 공간 능력 점수가 높은 학생은 주거 평면도 제작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2) 수학교과 공간 감각 능력 점수가 높은 학생은 주거 평면도 제작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3) 실험집단의 주거 평면도 제작 후 공간 능력이 향상되었다. 4) 실험집단의 주거 평면도 제작 후 수학교과 공간 능력이 향상되었다. 공간 능력과 수학교과 공간 감각 능력이 높은 학생은 주거 평면도 제작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사전 검사의 공간 능력과 수학교과 공간 감각 능력 또한 주거 평면도 제작 후 향상되었음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보아 앞으로 통합 교과 수업을 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조성하여 수학교과와 타 교과가 연계한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수업 한다면 수학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The 7th curriculum focuses on mathematical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ries to interest students through using the context of real life and the connection with other subjects not only for problem-solving ability but for affective dom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tudents interested in mathematic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designing a residence ground plan on spatial sense in mathematics.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selected as in the followings: 1) Is there close correlation between designing a residence ground plan and spatial ability? 2) Is there close correlation between designing a residence ground plan and spatial sens in mathematics? 3) Is there any improvement in spatial ability after designing a residence ground plan? 4) Is there any improvement in spatial sense in mathematics after designing a residence ground plan? To solve the above questions for this study, experimental group was asked to take a spatial ability part of Korea Multiple Intelligence Test and a spatial sense test in mathematics and to design a residence ground pla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in the followings: 1) The students who had higher scores on a spatial ability test scored higher on the test of designing a residence ground plan. 2) The students who had higher scores on a spatial sense test in mathematics scored higher on the test of designing a residence ground plan. 3) It appear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their spatial ability after designing a residence ground plan. 4) It appear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their spatial sense in mathematics after designing a residence ground plan. In sum, the students who had higher scores on a spatial ability test and a spatial sense test in mathematics scored higher even on the test of designing a residence ground plan and showed improvement on their spatial ability and spatial sense in mathematics after designing a residence ground pla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students are expected to be interested in mathematics through mathematical classes which are connected with other subjects, encourag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 classes for synthetic subjects.

      •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과학'의 지도실태 조사 및 Vee Diagram과 개념도에 의한 교과서 분석 : 심화·보충 과정을 중심으로

        심지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중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은 수요자 중심의 교육을 표방한 수준별 교육과정이다. 과학과는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는 동일한 내용을 수준별로 나누어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학습 수준을 선택하도록 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중학교 중 301개의 학교를 표집하여 중학교 1학년 과학을 지도하는 교사들의 의견을 듣고자 하였다. 설문지는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적용 실태와 교사들의 생각을 파악할 수 있는 질문들로 구성되었으며 발송된 301개의 설문지 중 109개(36.2%)가 회수되었다. 또한,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 '생물' 영역에서의 보충학습과 심화학습 내용을 분석하였는데, 사용된 도구는 Vee Diagram과 개념도이다. 학습내용에 따라 Vee Diagram은 탐구실험인 경우에, 개념도는 학습 내용이 조사, 토의, 역할놀이 등인 경우에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생물 영역은 '생물의 구성', '소화와 순환', '호흡과 배설' 세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대상은 7종 교과서의 21개의 심화학습과 21개의 보충학습 내용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학교 1학년 과학 과목을 담당하는 교사는 과학 과목 전체를 영역의 구분이 없이 모두 책임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설문지에 응답한 교사의 60% 정도가 심화·보충학습에 대한 연수를 받은 경험이 없었다. 심화·보충학습은 주로 교과서를 이용하여, 교실에서 강의를 중심으로 교사 재량에 의해 수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심화집단과 보충집단을 편성하지 않고 운영하는 경우가 많았다. 2. 교사들은 수업 시간의 부족, 학습 자료의 부족, 과다한 학급 인원 등이 현재 심화·보충학습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에 어려움을 주고 있으며,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점을 교사의 과중한 업무로부터의 해소로 심화·보충학습에 대해 연구를 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3. 심화학습 주제는 교육과정에서 주제를 이미 선정하여 제시하였으므로 교과서에 따라 크게 다른 점은 없었다. 그러나 보충학습 주제는 교과서의 종류와 단원의 특성에 따라 자유롭게 선정하였고, 주제가 동일하더라도 수업 방법이나 학습 목표가 서로 다르므로 다양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심화학습은 두 단원은 실험 활동을, 나머지 한 단원은 조사와 토의 활동으로 편성하였다. 그러나 실험 과정과 자료 등을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제시하여 학생들이 수동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보충학습 내용은 실험, 자료 해석, 역할놀이, 만들어 보기 등 다양한 수업 방식을 도입하여 구성되었다. 그러나 내용 전개는 일부 내용을 이미 알고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구성하여 기본 과정을 제대로 이수하지 못한 학생들이 제 시간 안에 모든 과정을 수행할 수 없는 내용이 많았다. 그러므로 교과서 내의 심화학습과 보충학습 내용은 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하게 구성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과학과의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이 제대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심화·보충학습을 위한 교사의 교육, 수업시간과 학습과정을 연구하기 위한 시간의 부족, 수업 자료의 부족, 과도한 학생 수와 업무 등의 기본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함을 알 수 있다.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hich is now applying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is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personal intellectual abilities. The curriculum is focused on the people who are actually affected by the educational service. The Enriched-Supplementary Ability grouping within class is selected in the science classes. It enables the students to learn the lessons for themselves selecting their own levels of the class which is distinguished to two levels. This method leads the students to have an interest in a self-leading way. This thesis is intended to convene the opinions of the teachers who are teaching the science to the grade 7 in the middle school. Among the every middle school all over the country, the 301 schools was sampled in order for this thesis.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with the questions in order to know both how the process of the Enriched-Supplementary lesson is going on and what the opinions of the actual teachers are. As a result, the 109 questionnaires were back(36.2%). Also, with Vee Diagram and Concept Map I analyzed both the Enriched Learning lesson and the Supplementary Learning lesson in the Biology textbooks of the grade 7 by the seventh educational curriculum. According to the lesson, Vee Diagram was applied to the inquiry experiment class and the Concept Map was applied to the research, discussion or role play class as a basic method of the analysis. The Biology context is composed with the three parts, the organization of the creatures, the digestion & the circulation, and the respiration & the excretion. The targets of the thesis are 21 sections of the Enriched Learning lesson and the Supplementary Learning lesson of the 7 kinds of the textbooks which are now using in the middle school all over the country.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teachers who take charge of the grade 7 teach the every field of the science classes without separation. Moreover, about 60 percent of the teachers who responded to this questionnaire have not been educated with these teaching skills, either the Enriched learning lesson or the Supplementary learning lesson. These teaching skills are generally up to the teachers with the textbooks in the classroom. It is also focused on the lecture as it was before. Most of the teachers lead the class without separating into either the Enriched group or the Supplementary group. 2. There are some problems to execute these teaching skills. The problems are the lack of the class time, the lack of the materials and the excess of the students. The most urgent thing to renovate is lessening the teachers' overworks. They need the time to study and make plans about the Enriched-Supplementary program. 3. The subjects of the Enriched class are 'Watching the protists' of the organization of the creatures chapter, 'Investigating the relation between exercise and a pulse frequency' of the digestion and the circulation chapter, and 'Discussing the relation between the respiratory organ diseases and smoking' of the respiration and excretion chapter. Because these subjects were appointed by the curriculum, there are no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each textbook itself. In the case of the Supplementary lesson, however, the subjects are selected freely according to the publishing companies of the textbooks or the characters of the chapters. Even with the same concept, teachers can make diverse classes using different teaching skills or following the goal of the class. 4. In the case of the Enriched lesson, the two chapters are composed with experiments and another one consists of research and discussion. However, because these lessons include the contents and the process of the experiments in detail, it is not helpful to those students. They nothing but follow the steps already arranged. They can't help learning in a passive way. The Supplementary lesson is composed with the diverse ways of the teaching skills like experiments, material analysis, role play and making etc. However, in the process of the lesson, the contents which are composed as if the students already knew the parts of the chapter are more or less difficult to those students who are not accustomed to the basic level yet. Therefore it's hard to conclude the Enriched-Supplementary lessons in the textbook are suitable for the each level students. With these results, we need the basic immaterial infrastructure in the science class in order to make the E-S lesson efficiently. We should solve the several problems first; the education of the teachers for the E-S, the lack of class time and study time, the lack of the materials, the excess of the students, overworks and inadequate contents for each level.

      • '읽기'를 바탕으로 한 <춘향전> 교육 연구 : 완판 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와 『남원고사』를 중심으로

        심지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춘향전>은 꾸준히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었으며 여러 차례에 걸쳐 영화로도 만들어진 고전문학이다. <춘향전>의 줄거리나 등장인물에 대해 알지 못하는 학습자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직접 <춘향전>을 읽으면서 재미와 감동을 느끼는 학습자 역시 찾아보기 힘들다. 이야기의 흥미성 때문에 지금까지도 영화의 소재로 사용되는 <춘향전>이 왜 고전 문학 교육에서는 빛을 발하지 못하는 것일까? 필자는 그 이유가 교과서의 구성방식에 있다고 보고 국어 교과서가 갖는 문제점을 찾고자 했다. 그것을 바탕으로 대안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먼저 본고에서는 <춘향전>이 실린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드러난 문제점은 크게 두 가지였다. 첫째는 1차에서 7차에 이르는 교육과정 동안 교과서에 수록된 <춘향전>이 완판 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로 동일하다는 것이다. 둘째는 교과서의 구성이 완판 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의 특성과 맞지 않다는 것이었다. 특히 교과서에 수록된 부분이 결말 부분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대로 된 감상이 이루어질 수 없다고 보았다. 이에 대해 필자는 완판 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의 특성이 잘 드러난 부분이 어디인지 분석하고 이것을 지문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춘향의 출생, 성장, 이도령과의 만남 부분은 교과서에 수록된 적은 없지만 완판 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의 춘향을 이해하려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이 부분을 지문으로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했다. 100여 종이 넘는 <춘향전>의 이본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문제는 ??남원고사??라는 새로운 텍스트를 통해 해결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본 교육의 필요성과 함께 ??남원고사??를 이본 교육의 제재로 선정한 이유를 밝혔다. 또한 ??남원고사??가 세책 소설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완판 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와는 다른 읽기방법을 제시했다. 지금까지의 이본 교육 연구에서는 주로 서사 단락을 중심으로 내용이나 인물을 비교하는 연구가 많았다. 그러나 내용이나 인물 특성을 분석하고 비교하는 것만으로는 ??남원고사??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향유문화를 고려한 읽기, 공감하며 읽기, 문화적 측면을 이해하며 읽기를 통해 학습자들이 ??남원고사??를 적극적으로 감상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다. 끝으로 완판 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와 ??남원고사??를 활용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했다. 학습자 중심의 활동은 많으나 텍스트에 대한 이해와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표현활동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교육 현실을 생각해서 텍스트 읽기를 중심으로 수업안을 구성했다. 완판 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와 ??남원고사??가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에서 창작된 개별 작품인 점에 주목하여 수업을 계획했다. 완판 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를 활용한 수업에서는 학습자가 텍스트를 통해 인물의 개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중심을 두었고, ??남원고사??에서는 필사본 소설이 독자에게 제공했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앞서 제시한 읽기 방식을 토대로 수업안을 구성했다. 이를 통해 학습자 스스로 ??남원고사??가 완판 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와는 전혀 다른 춘향이야기임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했다.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한 활동은 현장의 상황에 맞게 변형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교육 현장에서의 <춘향전> 이본 교육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학습자가 <춘향전>을 제대로 감상하고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이본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았다. 완판 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를 <춘향전>의 한 이본으로서 바라보는 것과 대표 <춘향전>으로서 바라보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남원고사?? 역시 완판 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와의 비교를 위해서가 아니라 동등한 위치에 있는 하나의 이본으로서 활용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가 <춘향전> 교육에 대한 시각의 변화를 불러오기를 기대한다.

      •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심지영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인구사회학적특성, 직무특성, 기관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 방문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 216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여 조사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살펴보면 보통수준정도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개인 및 일상 업무 요인에서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대상자 관계 요인, 동료 관계 요인, 상사 관계 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생활상태가 어려울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직무특성에서는 소득이 낮을수록, 근로형태가 계약직일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동기에 따른 자기발전을 위한 집단과 가족생계마련을 위한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기관특성에서는 연간직무교육 횟수가 적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요인 중 영향력 큰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소득이 적을수록, 근무동기가 자기발전을 위해서 일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근로형태가 계약직 일수록 서비스 제공하는 대상자 수가 많을수록, 직무교육 횟수가 적을수록, 휴게시설이 없는 기관에서 근무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관계를 규명함으로 직무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한 함의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안정적인 근무환경을 만들 수 있는 제도적인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며 요양보호사의 열악한 처우개선을 위해 현 수가체계의 적정성을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각 기관별 요양보호사의 급여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표준화된 인건비 가이드라인 제시가 필요하다. 둘째, 서비스이용자의 업무범위에 대한 철저한 교육과 필요시에 따라 서비스를 제지하여 요양보호사를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인 법적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체계적이며 전문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직무교육에 있어서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 직접 접목이 가능한 교육 중심으로 진행함으로써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영역의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기관에서는 서비스 품질 관리에 힘쓰고 대상자와 요양보호사간의 중간 허브 역할을 잘 담당 할 수 있어야 하며 기관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핵심과제인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이 요구된다. 넷째, 요양보호사들을 위한 기관 담당자의 적절한 슈퍼비전이 실시되어야 한다. 슈퍼비전을 통한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요양보호사의 스트레스를 다뤄주고 노인환자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이어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직업의식을 고취시켜 주어야 한다. 특히 업무의 어려움을 느끼는 요양보호사들을 위한 기관 내 멘토링 프로그램 또는 자체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기관 내에서 휴게시설을 포함한 편의시설을 구비하여 요양보호사의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수 있는 공간의 필요성도 검토되어야 한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개인의 문제로만 치부할 것이 아닌 사회적인 문제로 받아드리고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그에 따른 적절한 제도적인 대안, 기관에서의 노력 등이 수반되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sociodemographic, job and agency characters of care givers, in order to verify factors influencing job stress of them. Therefore, 216 caregivers who provide home care service in Gyeonggi-do province are examined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job stress of care givers is found to be moderate. Among sub-factors, the stress is highest in individual and routine task factor, followed by, recipient relationship factor, peer relationship and then superior relationship in order. Second,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job stress depending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s of subjects, and observes the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finding that the poor the health status and the living condition, the higher the job stress. This significant difference also found in other finding that when the job type is contract, the lower the income, the higher the job stress. According to their work motivations, the difference between one group for self development and other one for livelihood development for family appears to be significant as well. In the agency character, the fewer the session of annual job education, the higher the job stress, suggesting the significant one. Thir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find the most effective factor among some factors influencing job stress of them shows that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scholarship, the lower the income, if their work motivation is their self-development, the higher the job stress. If the job type is contract and they work at an agency without some resting rooms, job stress appears to be high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amines some methods to relieve job stress by finding out some factor to affect job stress. And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provided by this study. First, institutional support is required to make more stable working environment for care givers. And proper level of current wage system should be reconsidered to improve poor treatment of them. In addition, a standardized guideline regarding labor cost, for reducing some differences among wages in each agency is necessary. Second, thorough education of work range of service users and institutional legal devices to protect care givers by restraining the service if needed are needed. In addition, systematic and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 for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of them should be created. In the job education, the basis of professional area of care givers should be established by primarily developing the education which can be used effectively in the field, and applied practically and directly. Third, the agency is necessary to serve a medium herb between recipients and care givers, while striving to manage service quality. And the HRM system for successful use of human resources which is a core task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the agency. Fourth, proper supervision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agency for care givers should be implemented. Appropriate feedback through supervision should be provided to try to handle stress of care givers, keep positive relationship with elderly patients and encourage professional consciousness. In particular, in-house mentoring program or inside program should be developed for care givers who have some difficulties in performing their jobs. Fifth, some convenient facilities including rest rooms should be prepared by considering the necessity of spaces to relieve the stress of care givers. The job stress of them should be recognized as social problem rather than only private one. Accordingly, social interests, proper institutional alternative, efforts made by the agency and so on should be accompanied.

      • 백두산 화산지역의 제 4기 화산분출물 부석과 맨틀 포획함의 지구화학적 연구

        심지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백두산은 신생대 제 3, 4기에 일어난 화산활동으로 형성되었으며 일본 및 중국에까지 당시의 화산쇄설물이 발견될 정도로 대규모의 폭발적인 화산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백두산에 분포하는 알칼리 화산암류 중 부석과 맨틀 포획암의 광물·암석 화학적 특성과 맨틀 포획암의 광물 화학자료를 이용하여 백두산 심부의 지질압력과 온도 계산, 백두산 화산활동의 근원 및 특성과 이 지역 상부 맨틀의 구성물질과 지온구배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백두산 천지를 중심으로 동쪽편과 서쪽편, 그리고 쌍봉과 적봉에 분포하는 화산암류와 백두산 지역에서 산출된 맨틀 포획암과 백두산 화산활동대 부근에 위치한 중국 룽첸(龍泉) 지역의 맨틀 포획암을 대상으로 주성분, 미량성분, 희토류 원소 등 광물암석 화학적 특성을 분석·검토하였다. 백두산 화산암류는 현무암, 조면현무암, 현무암질 안산암, 안산암, 조면암, 유문암 등으로 다양하게 산출된다. 백두산 화산암류의 주성분 원소와 미량원소에 대한 지구화학적 특징은 감람석과 휘석류, 장석류의 정출과 관련되어 나타나고, 콘드라이트로 표준화한 REE 패턴은 대체적으로 LREE에서 HREE로 갈수록 감소하는 상관을 보이며 후기 분출 암석에서 사장석의 분별정출과 관련된 Eu 부의 이상이 보인다. 백두산 지역 화산암류의 주성분원소, 미량원소와 희토류 원소의 패턴은 유문암질 및 현무암질 화산암 특성의 두 그룹으로 구분되며, 이 같은 전암의 지화학적 특징은 백두산 화산암이 현무암질 마그마의 일련의 분화산물이 아니고 상이한 초기의 현무암질 마그마와 대륙 지각 물질 혼입에 기인한 후기의 유문암질 마그마의 산물임을 가리키고 있다. 백두산 지역 부석 시료는 주성분 원소 중 K의 함량이 High-K의 영역에 속하며 미량원소 특징은 대륙의 칼크-알칼리 계열과 판 내부 계열 사이에 해당하고 있다. 백두산 지역 부석은 주성분 원소의 특성 및 REE 패턴에서 일본 홋카이도 B-Tm의 것과 지구화학적으로 유사하다. 이는 일본 홋카이도에 분포하고 있는 부석층이 백두산 화산분출로 해석한 선행연구자들의 결론을 지시하고 있다. 백두산 지역 맨틀 포획암 산출지의 상부 맨틀 지질온도는 916~983 ℃, 지질압력은 14.8~17.6 kbar이며, 중국 북동부 룽첸 지역의 상부 맨틀의 지질온도는 1028~1211 ℃이며, 지질압력은 26.3~28.2 kbar로 계산되었다. 지질온도와 압력의 지온구배는 두 지역 모두 해양성 맨틀 지온구배에 속하며, 백두산 지역의 맨틀 포획암은 스피넬-레졸라이트에 속하고 중국 룽치엔 지역의 것은 석류석-레졸라이트에 속하고 있다. 그리고 백두산의 맨틀 포획암을 운반한 알칼리 현무암질 마그마의 생성 심도는 44~53 ㎞, 중국 룽첸 지역의 것은 79~85 ㎞ 부근으로 해석된다. 백두산의 화산활동은 태평양판과 유라시아판이 충돌하면서 중국 동부 연변부가 침강하였던 지구조 운동와 관련한 영향으로 열플룸이 상승하여 마그마방이 형성되었고, 초기 알칼리 현무암질 마그마 화산활동과 지각 물질의 다량 혼입으로 인한 후기의 조면암질 또는 유문암질 화산활동으로 진화된 것으로 해석된다. The Cenozoic Baekdusan volcanic eruption produced a large volume of early basaltic lava and late comenditic trachytic tephra. The widespread tephra deposition reaches to the northeastern Japanese island through the East sea. Geochemical analyses including major, trace and rare earth elements(REE) for the alkali volcanic rocks, pumices and mantle xenoliths from the Baekdusan area were carried out to interpret the origin and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the Baekdusan alkali basaltic magma. Mineral chemistry for the lherzolite mantle xenoliths from the Baekdusan and Lungchen area was determined to obtain informations of the uppermost mantle beneath the Baekdusan area. Analytical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volcanic rocks can be divided geochemically into two groups as (1) alkali basaltic rocks and (2) trachytic and rhyolitic rocks represented by comenditic tephra. This suggests that they are not caused by successive evolution of basaltic magma but discontinuous evolution from early basaltic magma to late rhyolitic magma with a contamination of continental crustal materials. The comenditic tephra represented by trachyte, ignimbrites, pumice and volcanic ash shows a high-K and continental calc- alkaline characteristics. In geochemical properties, the pumice in the Baekdusan area shows a quite similar to B-Tm pyroclastics in the Hokkaido area, Japan. Based on the mineral chemistry of the xenoliths, the equilibrium temperatures and pressures of clinopyroxene-olivine-orthopyroxene mineral pairs in lherzolitic mantle xenoliths were calculated to be from ca. 14.8kbar at 916℃ to 17.6kbar at 983℃ for the Baekdusan area and from 26.3kbar at 1028℃ to 28.2kbar at 1211℃ for the Lungchen district. The xenolith-derived paleogeotherm from the Baekdusan and Lungchen area is constrained in the depth from 44 to 53km and from 79 to 85km, respectively. This provides a possible depth information of alkali volcanic magma chamber in the upper mantle of the continental margin of the Eurasian plate.

      • 가정어린이집원장의 변혁적, 감성적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심지영 목포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가정어린이집은 다른 조직들과는 다르게 영아들의 보호와 교육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그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조직문화와 교육환경 속에서 운영되는 곳이다. 이러한 가정어린이집에서는 원장과 보육교사가 협소하면서도 서로 개방된 공간에서 밀착된 형태로 영아들에게 보호와 교육을 실행함으로써 영아들의 성장과 발달에 기여하고 있으므로 가정어린이집의 조직문화는 어떠한 다른 조직보다 특별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가정어린이집원장이 리더로서 보육교사들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보육교사와의 갈등을 어떻게 완화하고 해소해 가는지에 따라 보육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좌우하게 되므로 가정어린이집의 조직문화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가정어린이집원장은 리더로서 스스로 자신의 내면을 이해하고, 구성원의 감성 및 필요를 배려함과 동시에 구성원 스스로가 창의적으로 발달 할 수 있도록 이끌어줄 수 있는 능력을 갖춤으로서 보육교사의 질적 성장을 통하여 보육의 질적 성장을 꾀할 수 있어야 한다.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지각한 가정어린이집원장의 변혁적·감성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Home child-care center (HCCC) has goals to protect and educate young children in organizational cultur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 HCCC the director and teachers together contribute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n both confined and open space where they are close to each other. For this reas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HCCC is more special as compared to that in other educational organizations. Directors'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HCCC have been shown to be important factors to enhance the qualities of child care as well as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HCCC. The directors of the HCCC should understand their roles as a leader, consider the emotions and needs of the teachers, and have abilities to lead teachers to provide optimal developmental environment to children in HCCC.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s of the HCCC directors' transformational and emotional leaderships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provide basic data to enhance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HCCC, which ultimately contributes to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child care in HCCC.

      • 언론에 나타난 국민연금 담론의 흐름 분석 : 주요 일간지 사설을 중심으로

        심지영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analyze National Pension discourse and it was conducted by looking into four daily newspapers such as ChosunI lbo, Dong-A lbo, KyungHyang Shinmun and Hankyoreh Shinmun of the recent 15 years from 1998 to 2012. This study was performed by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CDA) devised by Norman Fairclough(1995a, 1995b) especially, based on the Media Discourse Analysis of Fairclough(1995b). And the analytical framework consists of Text Practice(Written language text), Discourse Practice and Social Practice(Sociocultural practice of discourses). ‘National Pension Finance’, ‘Administration’, and ‘Pension Scheme’ are subjects at 121 editorials. There were 69 editorials during the Kim Dae-jung and Lee Myung-bak presidency. And there were 121 editorials that were written during the Rho Mu-Hyun presidency. The results of the National Pension Discourse during the Kim Dae-jung presidency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e Text Practice are ‘Half Pension’, ‘Government as Lax Operator’, and ‘tax, goods’. And the results of the discourse practice that show the discourse 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National Pension has produced out the negative and distrust discourse about the National Pension. The results of the social practice are ‘National Pension Age’ and ‘the currency crisis of 1997’. And the results of the National Pension Discourse during the Rho Mu-Hyun presidency are as follows. The text practice results are ‘As a national pension burden future generations’, ‘pension allowance’ and ‘financial exhaustion’. At the time, the discourse practices are extended from ‘financial exhaustion’, ‘pension allowance’ to stock investment of National Pension Fund. The social practice result are ‘anti-National Pension movement’, ‘an aging population’ and ‘the election’. And lastly, the results of the National Pension Discourse during the Lee Myung-bak presidency are as follows. The text practice results are also ‘Half Pension’, ‘pension allowance(Ssamjitdon)’ as with the previous government. However new keyword like ‘Guaranteed retirement’ are appeared in the progressive daily newspapers(KyungHyang and Hankyoreh Shinmun). Also ‘good manager’, ‘a social consensus on Pension reform’ are part of that. The discourse practice result that pension fund financialization. The social practice result are ‘Pension fund investment in stocks’, ‘basic old age pen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ree as follows. First, the negative national pension discourse has appeared in the press from 1998 to 2012. As a result people have formed a negative perception about the national pension. Second, the national pension premium has increased and national pension receipt has reduced. That means a reduction of the Income Security for elderly that is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the National Pension. Finally, most of the negative discourses affected increase in stock investments of the pension fund.

      • 고등학생의 한국 전통음식문화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요구도 : 제 7차 교육과정의 기술·가정교과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심지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고등학생의 한국 전통음식문화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가정교과의 식생활 영역에서 한국 전통음식문화 교육의 부재를 지적하고, 앞으로 전개될 교육과정에서 한국 전통음식문화 교육에 대한 실천적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 구성에 기여하는 기초 자료로 사용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교과의 식생활 영역에서 다루고 있는 한국 전통음식문화 영역의 내용의 학년별, 단원별 체제는 중학교 3학년의‘상차림과 식사예절’, 고등학교 1학년의‘초대와 행사의 계획과 준비’, 고등학교 2-3학년의‘음식문화와 음식마련’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양적 비중은 매우 낮았고, 특히 활동 수가 양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전통음식문화 인식은 자긍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전통음식문화를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계승해야 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가정에서의 계승여부는 지켜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명절과 세시풍속의 의미’를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에서 보여주는 한국 전통음식문화는 형식적인 것에서 머물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가정과 교육에서 새로운 교육적 가치를 찾아야 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한국 전통음식문화의 하위 변인(자긍심, 계승여부, 경험시기, 인식도)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불교이면서 제사를 지내는 경우 전통음식문화에 대한 계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확대가족이면서 종교가 불교일 때 고등학생의 전통음식문화 인식에 긍정적으로 기여 하였다. 넷째, 한국 전통음식문화의 교육 요구도 중 교과 내용에 대한 요구도에서 필요도와 흥미도는‘음식문화와 음식마련’영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활용도는‘식사 예절’영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 전통음식문화의 인식에 따른 교과 내용의 요구도 분석에서 전통음식문화에 대한 자긍심, 계승여부, 인식도에 따라 필요도, 흥미도, 활용도의 점수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교과 내용 요구도의 하위 변인 간 상관관계에서는 필요도와 흥미도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고등학생의 흥미와 필요도는 활용도보다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한국 전통음식문화의 교육 요구도 중 교육의 요구도는 고등학생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교육 영역이었으며, 교육 내용으로는 만드는 방법이나 다양한 음식 종류의 내용이 높게 나타났고, 교육 방법으로는 조리실습과 음식문화 체험활동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