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마그네슘 입자 크기에 따른 마그네슘의 연소 특성 및 화재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신하림 창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마그네슘은 가연성금속으로 물과 접촉 시 반응하는 금수성 물질이다. 마그네슘은 열전도가 우수하고 강도가 높아 항공우주, 운송기기, ICT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마그네슘의 사용량 증가와 함께 화재도 증가하고 있다. 마그네슘과 관련된 화재 및 폭발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현재 국내에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화재 관련 법, 제도, 기술기준 등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마그네슘은 연소 시 입자 크기, 퇴적상태, 주변 환경 등에 따라 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마그네슘 화재가 발생할 경우 대응 및 예방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요소 중 입자 크기는 마그네슘 화재의 확산, 열적특성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마그네슘의 입자 크기에 따른 연소 실험을 통해 마그네슘 화재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마그네슘 화재 특성 및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해 마그네슘 화재 통계와 선행연구, 마그네슘 화재의 법령 및 규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마그네슘의 입자 크기에 따른 연소속도, 열적특성, 연소생성물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연소 실험을 진행하였다. NFPA 484 기준에 따른 연소속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연소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마그네슘 150㎛의 평균 최고온도는 TC2 284.3℃, 마그네슘 100㎛의 평균 최고온도는 TC2 274.7℃, 마그네슘 75㎛의 평균 최고온도는 TC3 253.4℃로 75㎛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마그네슘 표면에 발생하는 연소생성물의 생성 과정을 측정하여 연소속도를 측정하였다. 150㎛, 100㎛, 75㎛의 연소 길이에 대한 기울기 값을 확인한 결과 150㎛은 9.2, 100㎛은 8.0, 75㎛는 9.5로 나타났다. 또한, 연소과정에서 표면에 산화반응에 의한 MgO 층이 생성되면서 강한 빛을 동반한 연소가 진행되었다. 이와 함께 내부로의 산소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내부에는 Mg2N3 가 생성되었으며 마그네슘의 용융점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지 않으면서 탄화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마그네슘 연소 시 공기의 차단을 통한 소화방법이 필요하며 화재 대응 시 이러한 점을 고려한 대응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현대미술의 중첩 이미지를 적용한 공간지각능력 신장 방안 연구

        신하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공간 속에서 살아가며, 공간을 통해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먼 곳에 있는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으며, 다양한 매체들이 발달하여 예전과 달리 시공간의 개념이 확장되었다. 우리의 삶은 공간 속에서 이루어지기에 공간에 대한 이해는 중요하며 시공간개념이 확장되어 시공간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공간표현과 관련하여 현대미술 속에서 나타나는 중첩의 이미지는 2차원 평면 속에서 3차원을 떠올리게 하며 3차원에서는 무한한 공간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중첩이미지를 미술 수업에 활용하여 학생들이 공간지각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중첩이미지에 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중첩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분류한 중첩의 유형을 바탕으로 중첩이미지를 활용하여 공간감 있는 작품을 제작하는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공간지각능력과 공간표현에 대한 자신감이 신장되었는지 살펴보고, 공간 인식의 변화에 대해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워크북, 학생 작품, 수업관찰기록을 통하여 학생들의 중첩표현과 공간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소감문을 통하여 학생들의 공간표현의 인식 변화를 살펴본다. 서울의 D초등학교 3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2016년 5월∼7월에 시행하였으며, 예비수업을 2차시 진행한 뒤 본 수업은 6차시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중첩이미지 표현을 하며 학생들이 공간을 탐색하고 공간 요소들을 재구성하는 경험을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학생들의 공간표현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둘째, 초등학교 중학년의 경우 로웬펠드의 공간표현 발달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중첩표현이 나타나는 시기이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2차원의 중첩이미지의 표현에서 시작하여 3차원의 입체를 활용한 중첩이미지의 표현을 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프로그램 적용과정에서 학생들이 체계적으로 이해하며 학습하여 미술 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학생들은 중첩이미지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공간지각능력이 신장되었다. 학생들은 중첩이미지를 지닌 공간감 있는 작품을 만들며 중첩의 의미를 이해하고, 공간요소에 대해 탐색하고 재구성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넷째, 본 연구는 중첩표현 지도로 공간지각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교사들이 중첩이미지에 대하여 이해하는 데에 참고자료가 될 수 있으며, 수업 속 사례를 구체적으로 안내하여 실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다. 다섯째, 학생들은 중첩이미지의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작품에 대해 만족감을 가지고, 공간표현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상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중첩이미지의 유형을 분류하고, 중첩이미지의 유형을 활용하여 공간지각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후 중첩이미지와 관련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들이 계발될 것으로 생각된다. Living in the given space, we can express who we are and communicate with people through the space. Also, we can get any information easily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concept of time-space was broadened with the development of a diverse range of media. Since we live in the specific space, understanding of space is important, and the necessity of time-space education h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extension of time-space concept. Overlapping images in modern art related to spatial expression make a three-dimensional effect in a two dimensional space and they also create the illusion of infinite space on the three-dimensional space. On the basis of this fact,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way of improving students’ spatial perception ability by using overlapping images in art class. Earlier studies of overlapping images being analyzed, overlapping imag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parts according to art media and technique. Based on it, the program through which artwork with a sense of space can be produced was developed. The research was focused on the aspect that program could lead to the development of a child's spatial awareness and confidence of spatial expression, the change of space recognition being analyzed. In order to study this, workbooks and class journals were used to analyze the expression to superimposition of students and awareness of space. Also how spatial expression of students changed was reviewed through journals of class students wrote after the art class. This study was done for third grade students of one class in Seoul 'D' elementary school from May to July in 2016. The preliminary classes were done for two periods, and the main classes consisted of six period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expressing overlapping images, students explored the space of art and had experience of reconstructing spatial elements, which led to the better understanding of spatial expression. Second, third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begin to use superposition method in their artworks according to children's space expression development designed by Lowenfeld. Activities using overlapping technique were conducted starting from two-dimensional expression to three-dimensional expression considering developmental stages of students. Students participated in art classes with high motivation and interest, and understood overlapping images systematically during the program Third, spatial perception ability of students was enhanced through the program using overlapping images. Students could figure out the meaning of superimposition in art by producing art works with overlapping images, and they explored and reconstructed the elements of space to create the work. Fourth, this study has an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new educational program able to develop spatial perception ability by teaching the expression to superimposition in art was designed. It can be used by other teachers who want to teach superimposition in art and utilized in real art class guiding field class instruction in detail. Lastly,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own art works during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art with overlapping images, and acquired confidence and positive thought about spatial expres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an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types of overlapping image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educational program which can help students to improve their spatial perception ability was developed. It is expected to develop various educational program of superimposition in art later.

      • (The) effect of referral network on the customer loyalty

        신하림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referral connections in customer referral program on the loyalty of referred customers. Customer referral program motivates existing customers’ participation providing rewards when the referral succeeds. A recommender refers an acquaintance to the service after considering the demand for the service, and the referred customer who signed up for the service through this process refers the service usage pattern of the recommender. Referral conne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recommender and a referred customer, in this sense reveals more direct and more mutual relationship than general social connection does. The authors explored how the referral connection is related to the referred customer’s loyalty with respect to the referrer’s loyalty and referral pattern. Two qualitatively different problems should be considered to analyze the referred customers’ loyalty, since they first determine whether to use a service or not, and decide how much amount of service they use. The results showed that a referred customer is more likely to buy the service when the referrer spends less and provides a recommendation less frequently. This study initially suggested the referral connection as a factor to explain the customer loyalty. Also, the authors found when referred customers are more likely to be paying users, showing that referrer’s order amount and referral pattern affect referred customer’s likelihood to purchase the service. The results thus imply that marketing managers can enhance marketing efficiency considering not only whether a new customer was acquired from referral program but also which existing customer referred the new customer.

      • FMD 위해 보도에 대한 국내신문의 프레임과 수용자 인식 연구

        신하림 강원대학교 녹색생명산업정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News Frames of Domestic Newspapers and Audience Perception of Foot-and-Mouth Disease Risk Coverage HA-RIM SHIN Department of Policies for Green and Life Industry Graduate School of Green and Life Industry Polic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is study is focused on report trends of domestic major and local newspapers about foot-and-mouth disease and how these reports affect audience perception of the risk. The purpose is to suggest evolutive ways about reports of the risk of infectious disease in domestic animals. The risk of infectious disease in domestic animals hugely affects social stability and related industries due to it's direct relationship with food security. Mass media has an important role of transferring risk information to audiences. Three issues were considered as risk information exchange necessary to keep security in today's societies, risk communication suggested by several scholars as an alternative to risk societies, advanced research about the frames which are meant to be message composition patterns of the media. The Chosun Ilbo with the biggest circulation among the major daily newspapers and two local newspapers, Maeil Shinmun of An-dong (Daegu-Gyeoungbuk province) where foot-and-mouth disease relapsed in 2010, and the Kangwon Ilbo of Kangwon-do were selected from the domestic daily newspapers to analyze report trends of foot-and-mouth disease risk. 1,158 reports of foot-and-mouth disease risks from the three daily newspapers taken between Nov. 29, 2010 and Apr. 30, 2011 when there was a relapse of foot-and-mouth disease throughout the country, were the subjects of analysis and quantitative capability and news sources were analyzed as priorities. Reports with 'News frame of formal aspects' and ten kinds of 'news frame of contents aspects' sampled by deductive and inductive methods were analyzed to grasp the reports' general direction and focus through the headline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308, 536 and 314 reports of foot-and-mouth disease risk in the Chosun Ilbo, Kangwon Ilbo, and Maeil Shinmun respectively with the two local newspapers reporting more times than the major daily newspaper. Most news sources were from the local governments of the three locations. If the ranges are expanded to the central institutions, administrative agencies for crisis management covered the highest rates between 53.8% to 73.6%. Also this is not right concerning the principle that it is desirable for mass medias to make various interested parties of foot-and-mouth disease participated in risk information exchange and so to make the gap of risk perceptions narrowed. ‘Government Reaction · measure frame’ was rated the most of between 30.6% to 44.8% from the total 10 frames for contents concerned news frame. This suggests that most news sources were from administrative agencies demonstrating that domestic daily news papers were weak in reporting the risks from various point of views. 278 sample participants separated the Kagnwon Ilbo's reports of foot-and-mouth disease risk into positive and negative frames to find how reports about risks affect audience perception. While positive frames were included reports about food safety of foot-and-mouth disease not involving infected persons cases and the government's active crisis management, negative frames covered reports issuing risks as the first class infectious disease in domestic animals and the government's management failu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udiences' perception of foot-and-mouth disease risk depended on whether the frames were positive or negative. In other words, audiences exposed to negative frames showed more negative perception of foot-and-mouth disease risk. The conclusion suggests that domestic daily newspapers' reports about foot-and-mouth disease risk should carefully consider audiences perception and its huge impact on related industries, and so should be based on a sound scientific basis and confirmed by various sources. Further, reports of foot-and-mouth disease risk should not be based only on specific news frames and news sources but also various reports connected with experts and civic groups. The research shows that domestic media's report of the risk of the infectious disease in domestic animals should not only transfer government announcements and situation, but should also present various points of view of each social agent and make social agreement through it. Also the gap in perception about the risk of infectious disease in domestic animals between experts and the public should be narrowed by supplying scientific information accurately. Therefore it is urgent to establish connections between domestic media and experts, and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editors and reporters in related fields. 본 연구는 FMD(Foot-and-Mouth Disease)에 대한 국내 중앙·지역 일간지들의 위해보도(Risk Reporting) 경향과 이 같은 위해보도가 수용자들의 위해도 인식(Risk Perception)에 끼치는 영향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가축 전염병 위해보도의 발전적인 방향을 위해정보교환(Risk Communication)의 관점에서 제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가축 전염병 위해는 식품 안전성 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에 사회 신뢰도와 관련 산업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 위해가 수용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에서 매스 미디어는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 이에 대한 논의를 위해 현대사회에서 안전성 유지에 필요한 위해정보교환, 위해의 사회적 증폭 모델, 언론들의 메시지 구성 패턴을 의미하는 프레임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국내 일간지들의 FMD 위해보도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대상은 중앙 일간지 가운데 발행 부수가 가장 많은 조선일보와 2010년 FMD 재발 지역이었던 안동(대구·경북권)의 지역 일간지인 매일신문, FMD 확산 지역이었던 강원도의 지역일간지인 강원일보로 정하였다. 이를 통해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간의 위해보도 차이와 발행지역이 서로 다른 지역일간지간의 위해보도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FMD 발생 기간 중 분석 기간은 전국적으로 FMD가 재발·확산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설치·운영 및 해체된 시점인 2010년 11월29일~2011년 4월30일까지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기간 내에 3개 일간지들의 FMD 관련 보도 1,158건을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양적 특성과 뉴스 정보원을 우선 분석하였다. 또 기사의 헤드라인을 통해 기사의 전반적인 방향과 초점을 파악하기 위해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과 연역적·귀납적 방법으로 추출한 10가지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별 보도 건수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일간지별 FMD 위해보도 건수는 조선일보는 308건, 강원일보는 536건, 매일신문은 314건으로 먼저 지역일간지의 보도 건수가 중앙일간지 보다 많았다. 뉴스 정보원은 3개 일간지 모두 지방자치단체 비중이 가장 컸고, 중앙 정부기관으로까지 넓힐 경우 위해관리를 맡는 행정기관이 정보원으로 차지하는 비중은 53.8%~73.6% 로 압도적으로 컸다. 이는 매스 미디어가 FMD 위해를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위해정보교환에 참여시키고 이를 통해 위해도 인식 격차를 줄여나가도록 해야 바람직하다는 위해정보교환의 원칙에 맞지 않는 부분이다.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도 ‘대응·대책 프레임’이 전체 10개 프레임 중 차지하는 비중이 30.6%~44.8% 로 가장 컸다. 이는 정보원이 행정기관에 편중된 데 따른 결과로 해석되며 국내 일간지가 다양한 관점에서 위해보도를 하는데 취약하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위해보도가 수용자 인식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강원일보의 FMD 위해보도를 긍정적 및 부정적 프레임 유형으로 분리해 278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긍정적 프레임은 인체 감염사례가 없는 FMD의 식품 안전성과 정부 위기 대처 적절성을 강조한 기사들로 추출하였고, 부정적 프레임은 1종 가축전염병으로서의 위해성과 정부의 대응의 실패를 강조한 기사들로 추출하였다. 실험 결과 긍정적 프레임, 부정적 프레임에 따라 수용자의 FMD 위해도 인식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내 일간지들의 가축 전염병 위해보도는 수용자 인식과 관련 산업에 끼칠 막대한 영향을 고려해 과학적인 근거를 갖고 다양한 정보원에게 사실 확인을 거쳐 신중하게 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 가축 전염병 위해보도는 특정 뉴스 프레임과 정보원에 편중되지 않고 전문가, 시민단체와 연계된 다양한 프레임들이 발굴돼야 한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언론의 가축전염병 위해보도가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입장을 전달하는 역할에 그치지 않고 위해를 바라보는 사회 각 주체들의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끌어내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 가축 전염병 위해에 대한 과학적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함으로써 전문가와 일반인 사이의 위해도 인식의 격차도 줄여야 한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국내 언론과 전문가간의 연계, 편집자 및 기자들의 전문성 강화도 시급하다고 하겠다.

      • 보행가로의 시각적 연속성 분석 - 청주시 성안길을 대상으로 -

        신하림 충북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reets are very influential space that creates the image of city by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city as well as playing the role of the moving passages of the city. The streets themselves, buildings on the street sides, and the street facilities interact with each other to create single scenery. Humans experience such sceneries continuously and build an image of the city. Despite the importance of continuous scenery, the Korean streets have highly advanced individual concept of the city streets and the continuity has not been consider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attempted to deduce the street structural factors with continuity and also analyze the visual continuity of pedestrian streets. The spatial scope included the main commercial road of Chungjushi, Sungahn Road, and 540m section was divided into 5 intervals for a more detailed analysis and the time range included both night and day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 of the target where there are full activities during both night and day. Through the literary study and the preliminary study of the target, 16 street organization factors were determined and classified into Structure and Element. The 10 items of Structure included floor width, floor color, floor cover, signs, building color, building width, use of the 1st floor lines(building), direction of building, and skyline and the 6items of Element are divided into the fixed factors of landscape and street lights, and the non-fixed factors of standing signs, street vendors, plants, and bench. Based on these factors, the questionnaires use the form of evaluating the continuity of the intervals and each factor with Likert measurement out of 5 from watching the video of the road. The analysis methods includes first, the Microsoft Excel 2010 program was used to get the average of each factor’s 5-point Likert measurement to understand the continuity level, and second,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perform trust level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veraged 10 Structure items in each interval showed that in all intervals, the floor width, floor color, floor cover, and building directions are the factors with highest continuity. The element items were different in each interval, but the streetlights, benches, and the street vendors in certain intervals had high continuity. Second, th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10 items of structure can be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of ① street characteristics (street cover, street colors, street width), ②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use of the 1st floor of building, direction of building, and skyline), ③ construction scale (1st floor line of building, and building width), and ④ construction face (signs, and building colors). Based on the results, when the two intervals with highest continuity and lowest continuity are compared, the individual factors that make up the streets may not show high continuity on its own, but the balanced continuity of each factor increased the overall continuity. On the contrary, the discontinuity of each factor shows visually negative effects despite the same factors. In other words, the each factor that make up the street will not become visually pleasant by itself, but will create an image of the streets with unique and balanced appearances. In the future, the evaluation methods and analysis methods require detailed and systematic studies on the continuous scenery.

      • 대규모 가축질병에 대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 소비자의 축산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하림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축산물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대규모 가축질병 발생시, 위험에 대한 일반인의 주관적인 인식차로 야기되는 축산물 소비 급감 등의 사회적 혼란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이를 위해 대규모 가축질병이란 위험에 대한 최종적인 수용 여부로 볼 수 있는 ‘축산물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사회적 차원의 특성을 고려하는 ‘소비자 중심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는 가정 아래, 2단계로 나눠 소비자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소비자의 위험인식과 최종적인 축산물 구매의도에 있어서 여러 선행연구 검토를 거쳐 설정한 변인들간의 구조적인 관계성을 밝히고자 관련 변인으로 뉴스이용정도, 관여도, 주관적 지식과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및 통제가능성에 대한 인식, 불안감, 준거집단 등을 설정하였고 이들의 인과 관계를 포함한 구조적인 관련성을 가설로 설정하여 연구모형 1을 설정하였다.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전국의 성인남녀 72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구조방정식 모형(SEM)으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사회적 차원의 요인인 뉴스 메시지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동일한 위험 현상도 ‘언론이 보도하는 조류인플루엔자 보도를 접한 뒤,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긍정적/부정적)과 메시지 소구(appeals)유형(신체적/경제적), 성별(남성/여성)에 따라 소비자의 내적 요인(불안감/통제가능성/축산물 구매의도)은 차이가 있을 것인가?’ 란 연구문제와 관련된 연구모형 2를 도출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의 성인 남녀 30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한 실험을 거쳐 메시지 프레이밍과 메시지 소구유형, 성별의 주 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먼저 첫 번째 단계의 조사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뉴스 이용정도, 관여도, 주관적 지식등 3가지를 외생변수로 상정해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의 여부, 크기를 검증한 결과 3개 요인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향력의 크기로는 관여도, 뉴스이용정도, 주관적 지식 순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위험인식이 커질수록 심리적 불안감도 높아졌는데, 이 경로의 매개변인으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온 반면 ‘통제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그렇지 않았다. 불안감이 높아질수록 준거집단의 정보제공에 대한 의존도는 높아지지만, 구매의사결정에까지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언론 보도의 메시지 유형과 프레이밍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두 번째 단계의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불안감은 메시지 프레이밍과 메시지 소구유형, 성별의 차이에 따른 주 효과,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메시지 프레이밍, 소구유형, 성별의 차이에 따른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물 구매의도에서는 메시지 소구유형, 성별에서 주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 통제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축산물 구매의도에서 메시지 소구유형과 성별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신체적 소구유형에서 통제가능성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였고, 여성은 경제적 소구유형에서 통제가능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인식을 보였다. 축산물의 구매의도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 부정적으로 프레이밍 된 보도에서 축산물 구매의도가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는 점과 주관적 지식이 높을수록 위험인식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소비자의 정보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은 반드시 필요하지만 쌍방향으로 이뤄져야 하며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뉴스 미디어는 대규모 가축질병 발생과 관련된 신체적, 경제적 위험을 언급하는 기사를 보도할 때 특히 신중해야 한다는 점이다. 소비자 중심의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위해 요소에 대한 궤변론적이고, 거짓된 정보를 소비자들이 스스로 분별해 내고, 뉴스 미디어와 정부, 축산물 생산자 에 대한 사회적 신뢰도를 강화시키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withdraw a more effective risk communication strategy that could minimize the social turmoil including the abrupt decrease in the consumption of livestock products, caused by the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public regarding the risk for the occurrence of a large-scale animal disease. This study selected news use level, involvement, subjective knowledge, risk communication, awareness of control possibility, anxiety, and reference group as variables, which were chosen from a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The study model 1 was established by developing hypotheses regard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m including the causal relationship.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728 adults in order to test these hypotheses empirically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s a next step, a study model 2 was derived, which was associated with the study question of “Will there be differences in the internal variables of consumers (i.e., anxiety, control possibility, and livestock goods purchase intention) depending on the message framing type (positive and negative), message appeal types (physical and economic), and gender (male and female) after receiving a report about avian influenza from the mass media for phenomenon posing the same level of risk?”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news message, a social level variabl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s of message framing, message appeal type, and gender to examine the question. First, the results of the first stage survey are as follows. News use level, involvement, and subjective knowledge were chosen as exogenous variables and the presence and magnitude of their effects on risk perception were evalu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se three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effective and the magnitude of influence was in the order of involvement, news use level, and subjective knowledge. Moreover, psychological anxiety increased with higher awareness of risk. Risk communication was a significant mediator variable but the awareness regarding control possibility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higher the anxiety, the higher the dependence of the reference group on the provided information. However, it did not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decision. Next, the results of the second step, which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f news reports’ message type and framing, are as follows. The main effects according to message framing, appeal type, and gender were not significant. In the livestock products purchase intention, the main effects were significant in message appeal type and gender**. Moreover, in the awareness of control possibility and livestock goods purchase intention, message appeal type, and gender significantly interacted. Male subjects showed high awareness regarding the control possibility in the physical appeal type while female subjects revealed relatively higher awareness regarding the control possibility in the economic appeal type.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 the livestock goods purchase intention, both groups had lower livestock good purchase intention in the response to the negatively framed repo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a customized risk communication, consider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a consumer, would be needed and the higher subjective knowledge would reduce the risk perception. Consequently, it would be necessary to strengthen the information competency of consumers. Moreover,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risk communication shall be made bilaterally, although it is an essential element, and it will be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interpersonal communication”. Particularly, the news media should be cautious when reporting news articles referring to physical and economic risks associated with a large-scale animal disease outbreak. The consumer-oriented risk communication will ultimately help consumers distinguish sophistic and false information and fortify the social credibility of the news media, government, and livestock producers.

      • Mach-Zehnder 간섭계의 분해능

        신하림 蔚山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두개의 거울과 두개의 빔분할기로 구성된 Mach-Zehnder 간섭계는 입사하는 빛이 두경로를 지난 후 중첩될 때 미세한 경로차, 즉 위상차를 측정할 수 있어서 기초과학에서부터 매질의 온도차, 열기관의 연소분석과 같은 응용기술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간섭계에 있어서 위상의 측정한계는 고전적으로 1/□ rad 이다 (N은 입사한 광자수). 이것은 흔히 고전적인 한계로 불리고 있는데, 이상적인 조건에서는 이러한 정밀도로 위상차를 측정할 수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 입사광이 특별한 양자상태의 조건에 있을 때 측정한계는 이보다 훨씬 정밀한 양자적 한계 즉 1/N rad 까지 가능하다고 이미 연구되어왔다. 실험적으로 양자 수준에서 위상의 정밀한 측정이 가능해지면 극도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중력파의 측정도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 알려진 여러 가지 측정방법과 특수한 양자상태의 광(Fock-state)를 이용한 이론적인 계산과 간섭계가 가진 조건이 이상적이지 않은 두 검출기를 가졌을 경우 간섭계가 가지는 측정한계에 대한 이론적인 계산을 해보았다. 또, 간섭계의 두 입구에 입사하는 광자사이의 상관관계가 Mach-Zehnder 간섭계의 위상자 정밀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계산을 해보았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특수한 양자상태의 광들중에 Coherent-state light는 우리가 얻고자 하는 양자적인 한계를 가질수 없음을 알수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Fock-state light를 이용하여 Angular momentum operator를 이용하여 계산을 하였다. 결론적으로, 입사광이고 전광인결맞음상태(Coherent-state light)광일때에는 어떠한 측정에서도 고전적인 한계를 벗어날 수 없음을 알수 있었고, 비고전적인 광의수상태(Fock-state light)광에서는 측정방법에 따라서 양자적인 한계를 가짐을 알수 있었다. 측정장치의 양자효율을 이용한 계산에서는 두검출기가 가지는 양자효율이 이상적인 경우(Ideal detector) 1에 매우 근접하지 않으면, 비고전적인 광의수상태(Fock-state light)광을 이용하더라도 양자적인 한계를 가질수 없음을 알수 있었다.

      • CRISPR-매개 염기 편집 개선을 위한 소분자 약물 스크리닝

        신하림 울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 (CRISPR)-CRISPR-associated protein 9 (Cas9) system, which was originally designed as an adaptive immune system to defend against viral genomes, is now more commonly known as a genome editing tool termed RNA-guide engineered nucleases (RGENs). The mechanism of the CRISPR-Cas9 system is that Cas9 protein and gRNA form a complex, recognize a target DNA sequence, and induce a DNA double-strand break (DSBs). Cleaved DNA is repaired through an intracellular DNA repair pathway, non-homologous end joining (NHEJ), or homology-directed repair (HDR). NHEJ induces gene disruption through small insertions and deletions, whereas HDR induces homologous recombination in the presence of a donor template, thus assisting with gene correction and insertion. Recently, CRISPR-based genome editing has applications in a variety of fields, including agriculture, drug discovery, medicine, and biotechnology. Especially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promising tool to treat disease, and clinical trial development is currently accelerating. However, despite having enormous potential for treating disease, there are several problems. Recently, p53-mediated toxicity, large chromosomal deletions and rearrangements, and the occurrence of unwanted byproducts and indels caused by DSBs caused by Cas9-based genome editing have been continuously reported. In addition, since many pathogenic genetic diseases are caused by point mutations, Cas9 nuclease-based disease-related mutation correction is inefficient and has safety issues. In this manner, an approach to precisely correct the target base was required, prompting the development of a base editor capable of correcting the base without DSBs. Base editors currently have two major types, cytosine base editor (CBE) and adenine base editor (ABE). CBE fused with cytidine deaminase to nCas9 (nickase Cas9, catalytically inactive D10A mutation) induces C:G to T:A conversion and ABE fused with adenine deaminase to nCas9 induces A:T to G:C conversion. The present generation of base editors has evolved and refined to optimize efficiency; however, their activity is highly variable depending on cell type and target sequences.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an attemp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base editor. Notably, the efficiency of CBE was improved by fusing uracil glycosylase inhibitor (UGI) which inhibits the activity of uracil N-glycosylase (UNG).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hibition of certain endogenous protein functions of base editors. To inhibit certain protein functions, small molecule drugs have been adopted, and these strategies have been us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as9-based genome editing but have not been investigated in base editors. In this study, a fluorescence-based reporter system was developed to identify novel small molecules. 414 small molecule drug libraries were screened in the HAP1 cell line, which was integrated with a reporter system, and histone deacetylase (HDAC) inhibitors were ranked high. Romidepsin with the highest-ranking increased adenine base editing efficiency up to 3.8-fold at the endogenous target sites. These effects verified that romidepsin enhances the expression levels of ABE7.10 protein and gRNA. Additionally, HDAC inhibitors can convert euchromatin through histone hyperacetylation. To evaluate the effect of chromatin status on base editing efficiency, ABE7.10 ribonucleoprotein (RNP), a complex of purified ABE7.10 protein and gRNA that excludes expression-enhancing effect, was electroporated, and romidepsin increased the adenine base editor efficiency up to 4.9-fold.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romatin was converted to an open state throughout the ChIP assay, leading to improved adenine base editing efficiency due to improved RNP accessibility. In conclusion, the HDAC inhibitor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CRISPR-mediated base editing based on enhanced expression and improved RNP accessibility. These results may provide insights into further studi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RISPR-mediated genome editing and support strategie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 vivo genome editing in therapeutic applications. Clustered regular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 (CRISPR)-CRISPR-associated protein 9 (Cas9) 시스템은 원래 바이러스 게놈을 방어하기 위한 적응 면역 시스템으로 설계되었으며, 이제는 RNA-guide engineered nuclease (RGENs)으로 불리는 게놈 편집 도구로 더 잘 알려져 있다. CRISPR-Cas9 시스템의 기작은 Cas9 단백질과 gRNA가 복합체를 형성하여 표적 DNA 서열을 인식하고 DNA의 이중 가닥 손상 (DSB, double strand break)을 한다. 절단된 DNA는 세포 내 DNA 복구 경로인 비상동말단연결 (NHEJ. Non-homologous end joining) 또는 상동성 유도 복구 (HDR, Homology-directed repair)를 통해 복구된다. NHEJ는 작은 삽입과 결실을 통해 유전자 파괴를 유도하는 반면 HDR은 기증자 주형의 존재 하에서 상동 재조합을 유도하여 유전자 수정과 삽입을 돕는다. 최근 CRISPR 기반 게놈 편집은 농업, 신약 개발, 의학, 생명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특히 질병을 치료하는 유망한 도구로 주목받고 있으며 현재 임상시험을 위한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CRISPR 기술이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큰 잠재력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우려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Cas9 기반 게놈 편집에 따른 DSB에 의해 p53 매개 세포 독성, 대규모 염색체 결실 및 재배열, 원하지 않는 부산물 및 인델 (Indel, insertion and deletion)의 발생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많은 병원성 유전 질환이 점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Cas9 뉴클레아제를 기반으로 한 유전 질환 관련 돌연변이 교정은 비효율적이며 안전성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표적 염기를 정밀하게 교정하는 전략을 필요로 했고 DSB 없이 염기를 교정할 수 있는 염기 편집기 (BE, base editor)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염기 편집기는 현재 사이토신 기본 편집기 (CBE, cytosine base editor)와 아데닌 기본 편집기 (ABE, adenine base editor)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nCas9에 시토신 탈아미노화효소 (cytidine deaminase) 와 융합된 CBE (nickase Cas9, 촉매적으로 불활성인 D10A 돌연변이)는 C:G에서 T:A로의 전환을 유도하고, ABE는 nCas9에 대한 아데닌 탈아미노화효소 (adenine deaminase)와 융합되어 A:T에서 G:C로의 전환을 유도한다. 현재 세대의 염기 편집기는 효율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진화하고 개선되었지만 그 활동은 세포 유형 및 대상 시퀀스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이전 연구에서는 염기 편집기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노력들이 있었다. 특히, 우라실 N-글리코실라아제 (UNG, uracil DNA glycosylase )의 활성을 억제하는 우라실 글리코실라아제 억제제 (UGI, uracil DNA glycosylase inhibitor)를 융합하여 CBE의 효율이 개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정 내인성 단백질 기능 억제가 염기 편집기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특정 단백질 기능을 억제하기 위해 소분자 약물이 적용되었으며 이러한 전략은 Cas9 기반 게놈 편집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되었지만 아직까지는 염기 편집기에서는 그 효과가 조사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염기 편집기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소분자를 식별하기 위해 형광 기반 리포터 시스템을 개발했다. 리포터 시스템이 통합된 HAP1 세포주에서 항암 특성을 가진 414개의 소분자 약물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 했고,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HDAC, Histone deacetylase) 억제제가 높은 순위에 기록되었다. 순위가 가장 높은 로미뎁신은 내인성 표적 부위에서 아데닌 염기 편집 효율을 최대 3.8배까지 증가시켰다. 이러한 효과는 로미뎁신이 ABE7.10 단백질 및 gRNA의 발현 수준의 향상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HDAC 억제제는 히스톤 과아세틸화를 통해 열린 염색질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ABE7.10의 접근성이 향상되었을 거라 추측했고, 발현 강화 효과를 배제하기 위해 정제된 ABE7.10 단백질-gRNA 복합체인 RNP (ribonucleoprotein)을 전기 천공 후 로미뎁신을 처리했을 때 염기 편집 효율이 최대 4.9배 증가했다. 이러한 결과는 ChIP 분석에 의해 염색질이 열린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RNP 접근성 향상에 의해 염기 편집 효율이 향상되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HDAC 억제제는 개선된 발현 및 향상된 RNP 접근성을 기반으로 CRISPR 매개 염기 편집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CRISPR 매개 게놈 편집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추가 연구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치료 응용 분야에서 생체 내 게놈 편집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지원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