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속의 공기 유동에서의 알루미늄 입자 연소의 수치적 연구

        신준수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work was implemented with the intent of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distinct combustion problem spreading metal-contained fuel into high velocity flow field. This problem is distinguished from other combustion problems such as gas or droplet combustion which are well known. It is, also, can be found in industrial fields such as power plant, blast furnace, biomass boiler, and in researches on propulsion including solid rocket motor, water-breathing supercavitation vehicle and ducted rocket engine. In ducted rocket engine, fuel-rich solid propellant in the gas generator produces multiphase mixture of solid, liquid and gas, to combustion chamber, and thrust can be obtained by the combustion of delivered fuel-rich multi-phase mixture and breathed air through intakes in the combustion chamber. Aluminum particle can be added to the fuel-rich solid propellant for the purpose of high specific impulse and temperature in the combustion chamber, and decreasing combustion instability. Liquid and solid phase aluminum particle produced in gas generator is entrained into combustion chamber and react with air. However, aluminum has rather slow burning rate compared with gas or liquid fuel, so it is important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its combustion mechanism to achieve good combustion efficiency in ducted rocket system. In this thesis, three parts of researches are presented using three dimensional CFD combustion simulations. The first part is a research on combustion modeling of single aluminum particle. If the aluminum particle vertically drops in a high temperature gas chamber, particle temperature rises to ignition temperature by effect of convective heat transfer and heterogeneous reaction on particle surface. After reaching at its ignition temperature, the particle starts to combustion, and the particle diameter shrinks. These sequential reacting processes of the aluminum particle are modeled by the form of User Defined Function (UDF) used for the commercial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code, FLUENT, and are fairly validated to other researcher`s experimental results. The second part is a research on mixing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luminum particle injected into cross air flows with high velocity. In order to investigate mixing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luminum particle and high velocity air flows, aluminum particles are injected in backward step dump combustor which have high temperature by reaction of air and ethylene. Temperature of main flow field decreases because of low residual time of aluminum particle absorbing heat from the surrounding high temperature air. On the other hand, the temperature at recirculation zone increases because the particles can burn for staying in sufficient at the region. Similar results have reported by other researchers. However temperature distribution of combustor exit is somewhat different from experiment results. The third part is a research on combustion phenomena of the aluminum particles in a real scale ducted rocket combustor. Characteristics of aluminum particle combustion are studied by considering the actual combustor with two air intak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ies, a ducted rocket combustor with recirculation zone is selected. Numerical investigations have been performed with the intention of understanding of major parameters of combustion efficiency of the combustor, including mass flow ratio of fuel gas and intake air, size of metal particles, using unsteady numerical simulations. I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combustion efficiency of aluminum particles, sufficient effective oxidizer should be fed to the combustor, and also the temperature of entire combustor should be considered. Furthermore, the particle combustion efficiency and the momentum ratio of fuel gas and intake air are in non-linear relation. 본 연구는 높은 속도 및 온도 유동장 내에서 다상연료의 연소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소 현상은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발전소, 용광로, 바이오매스 보일러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추진분야에서는 고체로켓모터, 해수추진 초공동 어뢰, 덕티드 로켓 연소기가 있으며, 기존의 기체나 액적연소와는 상이한 현상을 보인다. 덕티드 로켓 연소기는 연료가 농후하게 포함된 추진제를 가스발생기로 사용하여 주연소기로 연료농후한 연소가스를 배출하며, 주연소기에서 다시 흡입공기와 재연소시켜 추력을 얻는다. 알루미늄 입자는 높은 비추력과 연소기에서의 높은 온도를 얻기 위해 가스발생기의 추진제에 첨가물로서 고려되며, 또한 연소불안정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함께 가지고 있다. 가스발생기에서 발생되어 주연소기로 주입되는 알루미늄 입자는 기존의 가스나 액체연료에 비해 낮은 연소율을 가지고 있으므로 덕티드 로켓의 연소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이에 대한 선행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3 가지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1. 알루미늄 단일 입자의 연소모델 연구 고온의 수직 유로에 알루미늄 입자를 떨어뜨리면 입자의 온도가 비균질 반응 및 대류 열전달에 의해 입자의 점화 온도까지 가열된다. 그후 점화온도에 도달한 입자는 연소를 시작하고 입자의 크기가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알루미늄 입자의 열역학적 상태변화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알루미늄 입자의 수치적 연소모델을 UDF 로 작성, FLUENT 12.1 에 접목시켜 전산유체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타연구자들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유사한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2. 알루미늄 입자의 고속 공기와의 혼합 및 연소 특성 연구 알루미늄 입자가 고속으로 흐르는 공기와의 혼합 특성 및 연소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덤프 유로에 공기와 에틸렌의 연소로 인해 뜨거워진 공기 속에 알루미늄 입자를 주입시켰을 때의 입자의 혼합 및 연소 특성을 살펴 보았다. 알루미늄 입자의 주입으로 유동의 주 영역에서는 공기의 온도가 감소하고 재순한 영역에서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 유동 영역에서는 알루미늄 입자가 충분히 연소실에 체류하지 못하고빠져나감으로 알루미늄 입자를 가열시키는데 고온의 공기열이 소모되어 공기의 온도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반면에 재 순환 영역에서는 입자가 충분히 연소실에 체류함에 따라 입자가 연소되어 공기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는 기존 연구자의 실험에서도 같은 결과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온도 분포에서는 실험과 다소 차이가 남에 따라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3. 실제 연소기 형태에서의 연소 현상 연구 두개의 공기 흡입구가 있는 실제 연소기 조건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입자의 연소 특성을 연구하였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재순환 영역이 존재하는 연소기를 설정하였다. 농후연료의 연소가스와 흡입공기의 유량 및 속도를 조절하여 연료와 공기의 모멘텀 비에 따른 재순환 영역의 크기, 가스의 온도, 입자의 거동, 입자의 연소효율을 관찰하였다. 또한 금속입자의 크기 등을 포함한 변수들을 통해 금속입자의 연소효율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변수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알루미늄 입자의 연소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동장 내부의 유효산화제의 양이 많이 공급되어야 하며, 그와 함께 유동장의 전체 온도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흡입공기/연료가스의 모멘텀 비율은 비선형적 관계에 있음을 밝혀내었다.

      • 골프 CAMA 프로그램이 운동수행학습에 미치는 영향

        신준수 숭실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스크린 골프의 가상현실 환경에서 시뮬레이션 기능을 활용한 CAMA 프로그램이 골프입문자들을 대상으로 골프지도학습에 얼마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지를 살펴보고, 골프입문자의 골프 운동수행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기간 동안 골프 시뮬레이션 CAMA 프로그램이 골프 운동수행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16.0 버전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골프 운동수행학습의 자료들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독립대응 t-test를 실시하였고,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골프 시뮬레이션 골프경기력 변인 측정은 집단 간과 실험 1차, 2차 시기 간의 페어웨이 안착 수, 그린 적중 수, 퍼팅 수, 더프 수, 등 타수변화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반복이원변량분석(two-way repeated ANOVA)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집단 간 비교는 독립대응 t-test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CAMA 프로그램을 활용한 12주 훈련 후 집단 간 프로그램에 따른 골프 경기수행능력을 검증하는 실험에서 CAMA 프로그램으로 훈련한 실험집단이 페어웨이 안착 수, 그린 적중 수, 퍼팅 수, 더프 수, OB 수, 18홀 타수 등 골프 경기수행능력 모든 변인에서 통제집단 보다 우수하게 나타나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CAMA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나타냈다. 둘째, CAMA 프로그램 12주 훈련 후 집단 간의 드라이버, 7번 아이언, 피칭웨지의 운동 학습적 방법을 통한 골프 운동수행능력을 검증하는 실험에서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험집단이 실내골프연습장에서 훈련한 통제집단보다 파지검사(즉각, 지연)와 전이검사에서 높은 평균 점수를 나타냈다. 셋째, CAMA 프로그램의 12주 훈련 후 집단 간의 골프 운동수행능력 검증에서 골프입문자에게 1개월의 훈련기간에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골프수행능력에서 차이가 없게 나타났으며, 피칭웨지, 7번 아이언보다 드라이버 수행이 좀 더 어려운 과제임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골프 경기수행능력 검증과 골프 운동수행능력 검증의 실험을 통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시뮬레이션 설치장소에서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CAMA 프로그램이 골프입문자에겐 효율적인 연습장소와 효과적인 지도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he CAMA teaching program by utilizing simulation function on the screen golf's virtual reality environment works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ability of beginners' golf performance. During the study period, to examine the effect of CAMA teaching program on the learning of golf performance, SPSS 16.0 was used to do independent t-test by calculating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SDs) from the performance test results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lso, the variable of the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by using two-way repeated ANOVA to examine significance of fairway driving accuracy, greens in regulation and changes of number of putts and strokes. Also, independent t-test was carried out for the comparison between groups and drew following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First, in the experiment which was conducted to examine learning of golf performance according to between-group program with CAMA teaching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trained in the simulation place was superior on the whole variables like fairway driving accuracy, greens in regulation and number of putts, duffs, OB(out of bounce) and strokes than control group. It showed the efficiency of CAMA teaching program. Second, in the experiment which examined golf performance ability in driver, 7iron and pitching wedge between groups after 12 weeks of the program, the score of the group that was taught using simulation was higher than control group that was trained in the in-door place on the immediate and delayed retention. Third, in the verification of golf performance ability between groups after 12 weeks training, in case of 1 month training for the golf beginner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nd driving practice was harder than pitching wedge or 7iron. On the whole with experiment for golf match performance ability and golf performance ability, CAMA teaching program with simulation could be efficient teaching method and could provide efficient place to practice.

      • 측정궤도 선형정보를 적용한 궤도틀림 관리기법이 궤도 품질지수 개선에 미치는 영향

        신준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부고속철도 1단계 구간에서 빈번하게 궤도틀림 현상이 발생되는 3곳을 선정하여, 그 근본 원인을 찾고자 시행되었다. 현재 곡선부 궤도틀림의 원인에 대해서는 열차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조건하에서 주기적인 궤도 보수작업이 시행되고 있다. 그 결과 점차 자갈마모와 같은 궤도틀림 원인제공만 하는 현실에 부딪쳤다. 작업주기는 짧아지고, 궤도품질지수는 더욱 악화되어만 갔지만, 궤도틀림에 대한 원인해결을 찾지 못한 임시방편적인 인력 및 장비작업만이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곡선부 궤도틀림에 대한 1차적인 원인은 궤도 선형에 있다고 보고, 선로 선형은 열차의 반복하중과 선로 1종 대형장비의 주기적인 반복 작업에 의한 누적된 궤도 틀림이 증가하는 현실이다. 측정궤도 선형정보를 적용한 궤도틀림 관리기법은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궤도의 일정한 간격을 정밀 검측하여 선로 준공시의 설계된 궤도정보와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 현재 열차운행이 되고 있는 선로 선형과 준공시의 선로 선형이 상이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1종 대형보수장비가 준공시 설계선형 제원을 바탕으로 선로보수작업을 하게되면 그 변형이 누적된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되었다. 이에 현재 궤도선형을 정밀 검측하여 그 선형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선로선형에 맞게 재설계를 한 후 현선로와 설계선형과의 이정량을 산출하여 대형 선로보수장비로 하여금 궤도를 이동시키는 작업을 실시하게 되었다. 본 측정궤도 선형정보를 적용한 선로 설계기법의 검증은 본 기법 적용 전, 후의 수차례의 궤도검측차의 운행을 통하여 축척된 궤도정보를 분석하였고, 궤도품질지수(TQI)의 변화추이도 관찰하였다. 그리고 관리기관에서 본 연구 샘플구간인 3곳에 대한 장비와 인력작업의 빈도수를 분석하여, 본 기법에 대한 효율성과 적합성을 입증하였다. 궤도틀림에 대한 다양한 복합적인 원인이 있을 수 있지만 근원보수 차원에서 궤도의 선형관리는 그 중요성이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특히 고속선로는 일반철도와 달리 장파장 관리가 중요하므로, 선형관리에 대한 연구에 더욱 집중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로 인해 곡선부를 신속히 검측할 수 있는 곡선레이져나 3D 검측기의 활용에 있어 본 기법 연구가 초석이 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cause for frequently occurring in three places which are track irregularity on the Kyeong-bu high speed railway step 1. The current, in the curve portion track irregularity section is doing regular the track maintenance under conditions that do not interfere with train operations. As a result, like this work has resulted offers only the cause of track irregularities such as the gravel worn out gradually. Working cycle of track irregularity section is shorter, track quality index has been getting worse. It could not find the cause and for track irregularity only makeshift work is being performed. I think the primary cause of the curved portion track irregularities are track alignment. Track irregularity by track alignment defect has accumulated by both the repetitive loads of trains and regular repetition tasks of first class large equipment. On the basis of these perceptions, track irregularity management techniques that applied to measurement track alignment information was compared with the times completion of track and designed track information on regular intervals accurate inspection. As a result, we learned that the current track alignment and the times completion of track alignment are different and first class large maintenance equipment that work on the basis of the design alignment specifications upon the times completion of track has become aware of the fact that the transformation is cumulative. After accurate inspection of track alignment, an alignment redesigns by the information based on the current track alignment fit. And then, calculates the amount of distance difference designed alignment and the current track. After that, the work was carried out for moving the track of a large track maintenance equipment. Verification of the track alignment techniques that applied to measured track information analyzed rail information accumulated by the high speed tracks inspection car operation of the number of times the difference applied to the method of before and after. By track Quality Index (TQI) changes and analyzing the frequency of job, proved the effectiveness and suitability for this technique. It may have a variety of complex reasons for track irregularity, but from the source maintenance level the importance of track alignment management would not be emphasized enough. Especially, high-speed railway is important more than general railway about a long wavelength management. Therefore it would be more focusing on the study of alignment management. I wish this study would be foundation of the use Curve Laser device to quickly inspect in the curve parts and 3D surveying instrument.

      •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성형 공정 최적화를 위한 수치해석

        신준수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icrolens and their arrays are simultaneously molded into geometric lenses of tens to hundreds of micro-scale dimensions, and the molding/imprinting process adopted by this molding method undergoes filling, cooling, and release. In this paper, the meta-lens considered for polarization, transmittance, and phase control of geometric lens wavelengths can be obtained by implementing high aspect ratio fine patterns on the surface of the microlens array. As the analysis process, Ansys-Fluent, a commercial CFD program, was used as the lens molding analysis tool through the molding imprinting process. Flow analysis was performed in the above three methods to calculate the movement of the model shape with a multiphase, a volume of fluid, and a moving deforming mesh. Since the pattern scale is in micro units, it is assumed to be a lamina flow because it moves by viscosity rather than by the action of gravity and inertia due to microfluidic characteristics. Unlike general flow analysis, the molding/imprinting process analysis used the MDM technique (Layering, Smoothing, Remeshing) to implement the mold compression process in the analysis. A polymethyl-methylacrylate (PMMA) polymer material, which is a high-capacity amorphous thermoplastic resin with high transparency,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that may be easily processed and converted to many semi-finished products such as films, rods, tubes, and sheets, was selected for analysis. In flow analysis, the boundary condition was given a no-slip condition, and the deforming technique was applied together to apply the categories at both ends. As the upper mold came down, the internal flow was confirmed to have a gain flow and the flow on the free surface was confirm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3x3 cavity,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filled symmetrically with 9.3% eccentricity to the center part from each cavity of left and right according to location and polarization around the center part. In the structural analysis, in case of 3x3 cavity, a shape error of 400nm~700nm was confirmed in the remaining eight cavities based on the cavity in the center part. 마이크로렌즈와 그 어레이는 수십~수백개의 마이크로 스케일 치수의 기하 광학적 렌즈로 동시에 성형되며 이러한 성형 방법으로 채택한 몰딩/임프린팅 공정은 충진, 냉각, 이형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논문에서 기하광학 렌즈 파장의 편광, 투과율 및 위상제어를 위해 고려되는 메타렌즈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표면에 고종횡비 미세패턴이 구현되어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해석 과정으로는 몰딩 임프린팅 공정을 통한 렌즈 성형 해석 tool은 상용 CFD program 인 Ansys-Fluent를 사용하였다. 다상 모델 (Multiphase), 유체부피 (Volume Of Fluid)와 움직이는 변형 격자 (Moving Deforming Mesh)로 모델형상의 움직임을 계산하기 위해 위의 3가지 방법으로 유동해석을 하였다. pattern scale이 micro 단위이므로 미세유체 특성으로 중력과 관성에 의한 작용보다는 점성에 의해 움직이기 때문에 laminar flow로 가정하였다. 일반적인 유동 해석과 달리 몰딩/임 프린팅 공정 해석은 몰드 압착 과정을 해석에서 구현하기 위해 MDM 기법 (Layering, Smoothing, Remeshing)을 사용하였다. 물성으로는 필름, 막대, 튜브 및 시트와 같은 많은 반제품으로 쉽게 가공되고 변환될 수 있는 높은 투명도와 우수한 기계적 특성 및 우수한 내후성을 지닌 고용량 비정질 열가소성 수지인 PMMA (Polymethyl-Methacrylate) 고분자 재료를 선정하여 해석을 진행하였다. 유동해석에서는 경계조건을 no-slip 조건을 부여하였으며 Deforming 기법을 함께 적용하여 양 끝단의 범주를 적용하였다. 상단 몰드가 내려옴으로 인해서 내부 유동의 흐름이 fountain flow를 확인하였으며 자유 표면상에서의 흐름을 확인하였다. 또한, 3x3 cavity일 경우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위치와 편광에 따른 좌우, 상하의 각 cavity에서 중앙 부분으로 9.3% 편심되어 충진되는 것과 대칭적으로 충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조해석에서는 3x3 cavity이면 중앙 부분의 cavity를 기준으로 나머지 8개의 cavity에서 400nm~700nm의 형상 오차를 확인하였다.

      • 고속철도 차량진동가속도에 의한 선로구조물별 궤도품질지수 (Track Quality Index) 기준 고찰

        신준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부고속철도 1, 2단계 구간에서 현재 고속철도 유지보수를 담당함에 있어 기준이 되고 있는 궤도 품질 지수에 대한 지난 15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현장과 동떨어져 사용되는 있는 TQI 기준에 대해 깊이 있게 고찰하고자 한다. 우선 고속철도 개통 초기부터 고저틀림에 대한 궤도품질지수와 방향틀림에 대한 궤도품질지수의 기준이 2011년까지 쓰이다가 2012년 한차례 수정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우리가 궤도 검측차에 의한 궤도틀림을 적어도 한 달에 한 두번 고속선로를 검측하고 있고, 그때마다 각 구간의 고저, 방향, 수평, 뒤틀림, 궤간에 대한 기준에 의거 관리하여 왔다. 단지 유도상궤도나 무도상궤도 구별 없이 똑같은 기준에 의해 교량, 터널, 토공부 선로구조물의 구별 없이 같은 기준에 의해 인력 및 장비가 투입되어왔다. 우리가 객관적으로 각 구간의 궤도의 상태를 한눈에 알 수 있는 방법 중에 하나가 궤도 품질 지수 이다. 그러나 현장의 상황과 선로 구조물의 구별 없이 그대로 똑같이 사용되어야 하는지 이제는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아야 할 듯하다. 왜냐하면, 선로 정비 등 유지보수를 책임지고 있는 현장과 너무나 상이하기 때문이다. 지난 10여 년간의 기록을 보면, 선로유지관리지침에 표기되어 있는 기준과 너무나 상이하고, 외부 인력이 투입되어 현장 궤도 품질지수에 대한 견해를 참고하고, 유지보수 직원들과의 의견을 참조 해 보면 각 구조물 별로, 궤도별로 각각 그 특성을 고려한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에 따른 유지보수 방법이나 인력 및 장비 투입에 따르는 비용적인 측면 에서도 본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하는 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년간의 DATA분석과 실제 운행되고 있는 열차를 이용한 차체 및 대차 진동가속도의 분석을 통해 열차의 승차감과 주행안정성 수치해석을 실시하였고, 현장 data에 적용하여 궤도품질지수를 고찰하였다. 실제 승차감에 영향을 주고 있는 장파장(현 30M 이상)에 대한 기준도 제시하였으며, 실제 궤도 틀림에서 고저와 방향 틀림뿐만 아니라 뒤틀림과 궤간틀림에 대해서도 궤도품질지수의 기준을 고찰해 보았다. 우리가 선로를 유지보수 하는 이유는 첫째로 열차의 승차감의 향상과 유지에 있고, 선로의 안정성에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공식화된 열차의 승차감 수치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검증 하였다. This paper studies the track quality index (TQI) standards used apart from the field based on the past 15 years of experience in the track quality index, which is currently the standard in the maintenance of high-speed rail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of the Gyeongbu high-speed rail section. From the beginning of the opening of the high-speed rail, the standards for the TQI for high and low torsion and the TQI for directional distortion were used until 2011, and were revised once in 2012 and used to date. The study reviews high-speed tracks at least once or twice a month for track misalignment caused by track-detecting cars, and manages them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height, direction, horizontal, warp, and gauge of each section. Manpower and equipment have been input by the same standard without distinction of bridges, tunnels, and earthwork track structures based on the same standard without distinction of guided or unguided tracks. One of the ways that we can objectively know the status of each section's track at a glance is the TQI. However, it should be reviewed as to whether the current TQI system should be used without distinguishing the situation of the site from the structure of the track. This is because it is very different from the site responsible for maintenance such as track maintenance. The records of the past 10 years shows it is very different from the standard indicated in the track maintenance guideline, and the external manpower is used to refer to the opinion on the field track quality index, and refer to the opinions of maintenance staff.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standard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ructure and each track should be prepared. This was the part that made me feel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n terms of the maintenance method or the cost aspect of manpower and equipment input. In this study, numerical analysis of train comfort and driving stability was performed through data analysis of the past 10 years and analysis of vehicle body and bogie vibration acceleration using actual trains, and the TQI was applied to field data. Standards for long wavelengths (currently over 30M), which have an effect on the actual riding comfort, were also presented, and the criteria for the track quality index were examined for twists and gauges as well as height and direction errors in actual track errors. The reason why we maintain the track is to improve and maintain the ride comfort of the train first, and the purpose of the track stability.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verified based on the train comfort level.

      • 일반국도 건설공사비 추이 및 변동요인 분석 연구

        신준수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로는 국가경제발전 및 지역개발의 견인차 역할을 하면서 산업의 생산활동을 지원하고, 국민의 일상생활을 보다 편리하게 해주는 가장 중요한 사회간접자본이다. 급속한 산업발전과 경제성장으로 인적, 물적 이동이 급격히 늘어나고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폭발적으로 늘어난 자동차 수 때문에 예상하지 못했던 엄청난 교통혼잡비용이 발생되면서 도로에 대한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도로건설사업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일반국도 건설공사를 대상으로 1991년부터 2003년까지 258건을 조사․분석하여 년도별 건설공사비 변화추이와 교량과 터널의 비중 및 도로폭에 따른 도로건설 공사비의 주요 변동요인에 대한 상관관계를 회귀분석을 통하여 규명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일반국도 4차로 신설공사의 경상가격기준으로 ㎞당 평균 건설공사비를 연도별로 살펴보면 1991년 2,171백만원에서 2003년 13,022백만원으로 같은 기간동안 약 6배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연평균18%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 경상가격기준으로 연도별 건설공사비를 건설공사비지수를 활용하여 물가상승 요인을 제거한 연도별 실질 건설공사비는 1991년 Km당 2,018백만원에서 2003년 6,728백만원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1991~2003년 기간 동안 건설공사비는 약 3.3배로 증가하고, 연평균 12%의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다. ∎ 또한 공사비산정기준 등 제도개선에 따른 공사비 상승요인을 감안할 때, 물가상승요인과 제도적 요인을 제외한 실질적인 ㎞당 건설공사비는 1991년 2,018백만원에서 2003년 5,817백만으로 약 2.9배 실질적인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실질적인 일반국도 건설공사비의 변동요인을 분석한 결과 설계속도, 기하구조 및 횡단구성 요소에 등에 대한 설계 기준 및 조건에 따른 물리적인 결과물이면서 도로 시설수준을 대표하는 변수로 취급될 수 있는 도로폭 및 도로구조물(교량 및 터널 등) 비율과 건설공사비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교량 및 터널 등의 구조물 비율이 노폭에 비하여 공사비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일반국도 건설사업에 대한 개략적인 자료를 기초로 건설공사비의 년도별 변화추이와 변동요인을 규명하였으며, 일반국도 시설수준의 상향조정, 특히 구조물 비율의 증가와 설계속도 증가에 따른 도로폭의 확대가 국도 건설공사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정체기 중소기업 성장을 위한 리더형 양손잡이 엔지니어의 역할에 관한 연구

        신준수 高麗大學校 技術經營專門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소기업의 성장 경로상 정체기에 진입하는 시기는 업종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평균적으로 창업 후 약 10년 전후에 진입한다. 그리고 다시 약 10년 동안 정체기를 보이다가 업력이 20년 전후가 되면 정체기를 벗어나 새로운 성장기로 진입한다. 그나마도 정체기에 진입한 기업은 살아남은 기업이며, 그 과정을 지나오면서 일반적으로 40%의 기업이 도산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어려운 경쟁 하에 살아남은 기업이 또다시 10년의 긴 정체기를 지나야 한다. 2012년 중소기업 중앙회에서 조사한 중소 제조기업의 평균 종사자수는 18.9명이다. 이중 연구직의 비율은 4.3%(0.8명)에 불과해 연구개발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정책을 발표하고 있지만 연구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에서는 지원을 받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논문은 중소기업의 성장을 위해서 ‘리더형 양손잡이 엔지니어’의 역할에 대한 연구로써 선행연구를 통해 중소기업의 성장경로를 파악하고 성장요인을 기업사례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성장요인은 크게 세 가지로 최고경영자, 외부네트워크, 정부지원시책으로 분석하였으며, 최고경영자의 기술개발의지와 ‘리더형 양손잡이 엔지니어’의 외부네트워크 활동과 정부지원정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기업부설연구소의 연구기획 및 기술개발역량을 키우고, 외부적으로는 공동연구를 통한 신사업 창출을 하는 등 중소기업의 내적, 외적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중소기업의 재성장을 위한 ‘리더형 양손잡이 엔지니어’의 역할에 대해 사례를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리더형 양손잡이 엔지니어’는 대학의 기술경영교육에 의해 육성되고 있으며 이렇게 육성된 인재가 정체기의 중소기업과 적절하게 연계된다면 향 후 독일과 같은 ‘히든챔피언‘ 기업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