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입주지역의 발전정도가 기업설비투자에 미치는 영향분석

        신미정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degree of local development on the facility investment. For the empirical analysis, I collect from 2005 to 2008 years the 'Mining and Manufacturing Survey data' and 2005 years the LDI(Less Development Indicator). Analysis model designed the facility investment rate of increase as dependent variable and the less development indicator as explanatory variable. And explanatory variables was included industry dummy variable(separated with light industries and the heavy chemical industry) and year dummy variable. The Mining and Manufacturing Survey data was not included the code of the company, so the panel analysis was impossible in the empirical model. Consequently, I had two different approaches. One is regression analysis for each year. The other approach is a pooled OLS regression that 4 year data integrated. The both of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less development indicator had negative correlation on the facility investment rate of change. This means that the facility investment rate of increase is strong in the less development regional. In addition, the GRDP rate of change is higher in the less development regional. 본 논문은 2005년부터 2008년까지의 통계청 '광업·제조업조사'자료와 한국개발연구소에서 산정한 2005년도 지역낙후도 지수(LDI) 자료를 이용하여 전국 168개 시·군을 대상으로 지역의 낙후된 정도에 따라 지역의 설비투자가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용광로, 선박·차량 등 수송장비, 기타 공구 및 기구의 합계인 유형자산 합계의 연간증가율을 종속변수로 사용하고, 설명변수로는 지역낙후도 지수를 비롯하여 개별 사업체의 특성을 통제하기 위하여 업력, 제조원가비율, 일인당 자본집약도, 임금총액, 종업원수, 연초 유형자산 총액를 사용하였다. 또한 산업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공업과 중·화학공업을 구분하는 산업더미와 2005년을 기준으로 하여 2006~2008년 연도별 더미변수를 설명변수에 추가시켰다. 광업·제조업조사 자료는 사업체코드 미기재로 패널데이터 분석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방법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자료를 각 연도별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번째로는 2005년에서 2008년의 자료를 통합하여 Pooled OLS 분석방법을 택하였다. 지역낙후도 지수를 이용하여 낙후된 지역일수록 지역설비투자 증가 추이를 분석해 본 결과, 연도별 분석 및 통합자료 분석 모두 지역낙후도 지수가 낮은 지역일수록 연간 유형설비증가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낙후된 지역일수록 설비투자율가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지역내총생산 비교 시에도 낙후된 지역에서의 상대적으로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간 소득수렴효과라고 볼 수 있다.

      •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자아정체감 및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신미정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자아정체감 및 대학생활적응이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세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아 대학생활 부적응의 예방과 대학생 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2곳, 강원 1곳의 대학교 재학생 297명(남: 153명, 여: 144명)이었다. 의사소통능력척도, 자아정체감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여 연구대상자들에게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사용했고, 독립표본 t-검정과 ANOVA를 통해 주요 변인들이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사후분석이 필요한 경우 Scheffé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세 변수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능력은 전공계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자아정체감은 성별, 종교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대학생활적응은 성별, 종교 유무, 평점, 경제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의사소통능력과 대학생활적응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섯째, 의사소통능력과 자아정체감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여섯째, 자아정체감과 대학생활적응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요약하면, 의사소통능력과 자아정체감 및 대학생활적응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의사소통능력, 자아정체감, 대학생활적응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look into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self- identity and college adjustment among college students for providing basic data about guidance service and prevention of maladjustment. The subjects were 297(M: 153, F: 144) students from three college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communication ability scale, self-identity scale and college adjustment scale and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with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hrough IBM SPSS Statistics 21.0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abi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tudents’ major. Second, self-ident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x and religious affiliation. Third, college adjust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x, religious affiliation, GPA and economic status.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and college adjustment. Fifth,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identity. Sixth,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identity and college adjustment. In summar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self-identity, and college adjustment.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Key word : communication ability, self-identity, college adjustment

      • 연암 박지원의 생태사상 연구 : 法古而知變 刱新而能典을 중심으로

        신미정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ork of Yeonam Park Ji-won and his ecological thoughts that would help address ecological crises of the current era. Though the scholar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is commonly known as a literary writer, Yeonam's way of seeing and dealing with language is substantially philosophical, and reflects his ecological awareness. This study examined his ecological thoughts in terms of 法古而知變 刱新而能典("Preserve the ancient text, but at the same time, adapt to changes in reality. Create the new, but at the same time, do not contradict the spirit of the classics.") to draw principles that form the basis of ecological thoughts, assessed how those principles are relevant to the Organistic World View that is centered around 氣化 ("the movement and transformation of Ki"), and lastly contemplated interaction between the Organistic World and the Mind (心). John Berthrong suggested that ecological philosophy attempting to address ecological crisis should be centered around contemplation of the world view of Ki (氣) and the Mind's interaction with it. In line with his suggestion, this paper also examined the Mind as the ecological sensitivity. Details of the investigation is as follows. Three principles, namely inseparability (不離性), equality (均等性), and complementarity (相補性), were drawn from the argument of 法古而知變 刱新而能典, as the basis of ecological ideology. Inseparability represents the inextricable connection between 法古 ("preserving the ancient text") and 變 ("change"), and between 刱新 ("creating the new") and 典 ("the spirit of the classics"). This is a criticism of two extreme trends in the literary circle of the time: reverence and formal imitation of the classics on one end, and being ridiculously creative with no respect to the spirit of the classics on the other. Yeonam maintained that preserving the old must be in line with changes of today, while creating the new must not contradict the spirit of the classics. Considering that the spirit of the classics is about fundamental virtues to be pursued by human beings, 法古 is in the dimension of Li (理). 刱新, on the other hand, is in the dimension of Ki, in that it represents new expressions commensurate with the changing reality. Inseparability is also in line with the idea of 理氣不相離 ("Li and Ki not being separate"), as it calls for harmony between the spirit of the classics and the changing reality. Equality represents the need for a middle ground between 法古 and 刱新 which are of equal value. Even time-wise, the past and the present stand on an equal footing, as opposed to one being subordinate to the other. This argument, in the context of the Li-Ki Theory (理氣論), overturns the common view held in the Joseon era, which valued Li over Ki. It has ecological relevance, in that it restores the status of Ki by freeing it from Li. Finally, complementarity represents the negotiation between 法古 and 變, and between 刱新 and 典. Complementarity is evident in the mutually reinforc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pirit of the classics (古) and the changing reality (今). On the basis of these principles, Yeonam's Organistic World View was observed to feature connectivity, equality and reciprocity of beings. In his words on 氣化, Yeonam posits that all things keep on changing by receiving Ki, meaning that, from the viewpoint of Ki, all things bear the potential to mutually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In other words, all beings are interconnected, with the potential for mutual communication. The equality of beings is relevant to ecological ideology, in that it implies preservation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ir unique values, as opposed to one dominating value system extinguishing or alienating them. The reciprocity of beings represents two things of equal value, in a win-win relationship of mutual benefit, harmony and reciprocal influence, on the ground for mutual communication laid by 氣化. Lastly, this paper attempted structuration of the Mind as the communicator with the Organistic World, and reviewed three mind relationships: 仁心, 冥心 and 童心. Similar to 生意, 仁心 is the mind for nurturing and maintaining life, and is categorized into 生意之心 or 相依之心. 冥心, the mind which can be reached through intuition, has two categories: 悟心 and 中和之心. 實心, is the mind which pursues oneness with things, and has two categories: 專心 and 童心. In summary, this paper puts forward three principles - inseparability, equality and complementarity - that form the basis of ecological thoughts, drawn from Yeonam's proposition of 法古而知變 刱新而能典, assesses how they work to reinforce the Organistic World View, and finally, investigat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Organistic World and the Mind.

      • 요양보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

        신미정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요양보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대처방식,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소진의 관계를 파악하고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 요양보호시설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요양보호사 185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9월 8일부터 9월 20일까지이었으며, 본 연구자가 직접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실수와 백분율, 기술통계분석,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여성 185명으로, 연령은 50세미만 53명, 현 직장근무경력은 3년 이상 73명, 평균근무시간은 6∼9시간미만 102명, 월수입은 100∼130만원 미만 63명이었으며, 요양보호대상자의 유형은 혼합형 노인 84명, 보호대상자의 수는 3∼5명 미만 67명, 소속기관은 재가요양시설 148명, 근무형태는 시간제 109명, 근무경력은 3년 이상 124명, 주 소득원은 배우자 100명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2. 대상자의 소진은 2.41±0.39점으로, 하위영역에서는 정서적 탈진 2.83±0.64점, 개인적 성취감결여 2.23±0.61점, 대상자에 대한 비인간화 1.95±0.56점이었다. 대처방식은 2.72±0.30점으로, 하위영역에서는 적극적 대처 2.97±0.35점, 소극적 대처 2.49±0.38점이었다. 직무스트레스는 2.55±0.58점으로, 하위영역에서는 대상자관계 3.01±0.76점, 개인역할 및 일상 업무요인 2.61±0.66점, 동료관계 2.25±0.71점, 상사관계 2.18±0.80점이었다. 자기효능감은 3.74±0.52점으로, 하위영역에서는 추진력 3.80±0.61점, 유능감 3.77±0.56점, 자신감 3.66±0.72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소진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은 평균 근무시간이었다(F=4.08, p=.018). 4. 소진은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449, p<.001),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280, p<.001). 대처방식은 뚜렷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나(r=.112, p<.129), 하위영역인 소극적 대처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238, p<.001). 5.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개인역할 및 일상업무요인(β=.307, p<.001), 상사관계(β=.186, p<.021), 자신감(β=-.182, p<.005), 소극적 대처(β=.140, p<.035)로 총 27.5%의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요양보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개인역할 및 일상업무요인, 상사관계, 자신감, 소극적 대처로 확인되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요양보호사의 소진 예방 및 감소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이에 대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 요양보호사, 소진, 대처방식,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 전문대학생의 인생 태도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신미정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생의 인생태도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자아존중감은 인생태도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 대한 조절변인으로 가정되어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개의 전문대학 학생 383명을 대상으로 하여 인생태도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진로성숙도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고, 실제 유효설문 350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생태도의 하위요인 중 자기부정, 타인부정의 태도는 낮을수록, 타인긍정의 태도는 높을수록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 중 진로결정도, 진로참여도, 진로독립도, 진로준비도는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자기긍정의 태도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는데 이는 전문대 학생들이 4년제 대학진학의 어려움과 성적과 입시위주의 사회에 대한 실망감을 겪으면서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이나 자신감이 부족해졌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렇지만 사회속에서 자신과 타인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경험들을 갖게 되면 보다 긍정적인 인생태도를 갖고 진로성숙도도 높여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인생태도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기긍정의 하위요인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조절변인으로 투입하면서 진로타협도와 진로준비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사회적 자아존중감이 높을 때 자기긍정이 높을수록 진로준비도가 높아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예상한 가설대로 채택이 되었고, 일반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진로타협도가 높아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조절효과가 있었지만 예상했던 부분과 반대의 값으로 조절효과가 되어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진다. 또한 일반적인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이 높을 때 타인긍정이 높으면 진로독립도와 진로참여도, 진로준비도가 높아진다는 결론을 통해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다시 한 번 확인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은 비록 2, 3년으로 짧은 기간이긴 하지만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진로교육에 도입하여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보다 긍정적인 인생태도를 형성한다면 진로성숙도가 높아질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한 진로성숙을 바탕으로 노동시장으로 진입하기 전에 주도적으로 자기탐색 및 준비를 하고 진로정보 수집 및 직무분석 등을 한다면 보다 현명하고 행복한 진로선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elf-esteem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of junior college students. Therefore, self-esteem was assumed to be a controlling variabl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In this study, 383 students from four junior colleges in Gyeonggi area were surveye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life attitude scale, self-esteem scale, and career maturity scale. 350 vali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life attitude, the lower the self-denial and the negative attitude of others,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 career participation, career independence and career preparedness. And the higher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others,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 career participation, job independence and job preparation. Positive attitudes toward oneself did not show meaningful results. In the case of junior college students, it seems that they are lacking in positive thinking and confidence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entering a 4-year comprehensive university and the disappointment of their grades and entrance examination. However, if you have more positive experiences about yourself and others in society, you will have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life and you will be able to improve your career maturity.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the sub-factors of self-affirm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but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career compromise and career readiness while controlling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has a moderating effect as expec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ffirmation and career preparedness, and further analysis is need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eral self-esteem and family self-esteem. Therefore, junior college students' college life is a short period of two to three years, but if you introduce a career education program to increase your self-esteem and have a more positive attitude, you will improve your career maturity. Based on such career maturity, it will be possible to select wiser and happier career by leading self-search and preparation, career information collection and job analysis before entering the labor market. Key words: Junior College student, Life attitude, self-esteem, career maturity

      • 취업면접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신미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고도로 산업화되어 급변하고 있으며 그만큼 조직의 환경도 다양하고 복잡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 속에서 모든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한 핵심적 요소로 중시되는 것이 인적자원, 즉 조직에 속한 구성원의 역량이다. 21세기의 성공기업과 실패기업의 차이점은 기업의 우수인력 확보를 위한 채용과정에 대한 관심에 달려있다는 다수의 의견에서 보듯이 우수한 인력을 유인하여 선발하는 것은 조직의 목표달성에 있어 중요한 과제이고 따라서 기업은 인적자원 선발과 채용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조직의 역량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기업들이 신입사원을 채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선발기법 중 다른 기법보다 더 중요하게 사용되는 것이 면접에 의한 선발시험이다. 취업정보업체인 (주)인턴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채용과정에서 가장 중시하는 것은 면접(88.2%)으로 그 선호도와 중요성이 날로 중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 면접 시 면접관이 중요시하는 평가항목에 대하여 면접관의 성별 및 지원자의 성별에 따른 중요항목과 비서직, 非비서직에 따른 중요항목의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는데 있다. 위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를 설정하였다. 첫째, 채용면접에서 면접관이 중점을 두고 평가하는 항목은 무엇인가? 둘째, 면접관의 성별과 지원자의 성별에 따라 평가항목의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가? ① 남성 면접관이 남성 지원자를 평가할 때 중점을 두는 항목은 무엇인가? ② 남성 면접관이 여성 지원자를 평가할 때 중점을 두는 항목은 무엇인가? ③ 여성 면접관이 남성 지원자를 평가할 때 중점을 두는 항목은 무엇인가? ④ 여성 면접관이 여성 지원자를 평가할 때 중점을 두는 항목은 무엇인가? 셋째, 비서직 지원과 非비서직 지원에 따른 중요 평가항목에 차이가 있는가? ① 비서직 채용을 위한 지원자를 평가할 때 중요한 항목은 무엇인가? ② 非비서직 채용을 위한 지원자를 평가할 때 중요한 항목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면접관의 성별 및 지원자의 성별에 관계없이 조직적응력이 가장 중요한 범주로 나타났다. 남성 면접관과 여성 면접관 모두 지원자의 개개인의 능력을 최우선으로 평가하기 보다는 입사 후 조직에 지원자가 조직 문화에 융화할 수 가능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성 지원자의 경우에는 면접관의 성별에 관계없이 지원자의 직무 항목들을 모두 중요한 평가항목으로 생각하고 특히 회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가 높은 지원자를 선호했던 반면, 여성 지원자의 경우에는 남성 면접관보다 여성 면접관이 지원자의 업무 수행 능력을 가장 중요한 평가 항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지원자의 성별 관계없이 개인의 기본적인 자질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체적인 항목을 살펴보면 남성지원자의 경우에 자신감, 적극성 등의 남성적인 성격을 부각시킬 수 있는 지원자를 선호했던 반면, 여성지원자에게는 이와는 다르게 성실성, 책임감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지원자를 평가할 때 면접관의 성별에 관계없이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중요성이 남성지원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특히 표정, 자세, 태도 등이 중요한 항목으로 나타났으며 남성 면접관이 여성 면접관에 비해 용모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결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구체적 항목으로는 용모, 표정, 자세, 태도, 옷차림, 말투, 인상 등이 포함된다. 다섯째, 면접관이 평가할 때, 非비서직 지원자에 비해 비서직 지원자에게 전체적인 평가 항목인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기본적 지원자의 자질, 직무관련 항목들에 대한 중요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현재 조직에서 요구하고 있는 비서직은 非비서직에 비해 사무 관리자로써 다양한 업무 수행을 요구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비서의 중요성이 증대되어 가는 추세이다. 여섯째, 기본자질 면에서 비서직 지원자에게는 희생정신, 非비서직 지원자에게는 창의력이 중요한 평가항목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비서직의 경우에 개인이 혼자 하는 업무보다는 상사를 보좌하는 것이 기본 역할이기 때문에 非비서직보다 희생정신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조직문화 적응은 비서직과 非비서직 지원자 모두에게 중요한 범주로 나타났으나, 유일하게 非비서직 지원자 평가 시 더 중요한 평가항목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서직의 특성상 상사 및 기업의 기밀사항을 다루고, 직속상사와의 업무가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반면, 非비서직의 경우에는 업무수행에 있어서 타 조직원들과의 교류가 자주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여덟째, 직무관련 평가항목 중 비서직에게 특히 상황대처능력이 중요한 평가항목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에서 나타난 모든 평가 항목 중에 가장 두드러지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서직은 외국어 능력 및 학점과 같은 개인의 학업능력보다는 비서에게 요구되는 전문적인 교육을 통한 상황 대처 능력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비서직 지원자에게는 非비서직보다 외모가 면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서적이나 인터넷 싸이트에서는 외모가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 다고 발표되고 있으나 비서직의 경우에는 업무의 특성상 외부인을 접할 기회가 非비서직에 비해 높으며, 기업의 이미지를 대표할 수 있다는 생각을 면접관들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중요성이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위에 언급된 외모는 미모가 아닌 인상, 태도, 자세, 표정, 이미지 등을 뜻하고 있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채용 면접에 대한 연구 중 성별을 구별하여 처음 시도된 실증적 연구이다. 면접관의 성별에 따른 지원자에게 요구되는 자질을 구체적으로 연구함과 동시에 지원자의 성별에 따라 면접관이 요구하는 자질을 제시하였다. 이는 본 연구 결과에 따라 향후 면접에 임하는 지원자들이 면접에서 자신을 표현할 때 면접관의 성별에 따라 효과적으로 자신을 부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둘째, 비서직의 면접에서 非비서직에 비해 강조되고 있는 자질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를 향후 비서직 면접에 임할 지원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비서관련 교육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Characterization and Functional Analysis of The Causative Gene of Circling Mouse : 자연발증적 청각장애 마우스의 원인 유전자의 기능 분석

        신미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자연발증적 청각장애 마우스 (circling mouse, cir/cir)는 사람의 청각장애 DFNB6의 동물 모델이다. 이 마우스는 비정상적인 회전운동을 보이며 청각장애와 함께 평형감각의 이상을 보인다. 이 마우스의 가장 대표적인 조직학적인 이상으로는 내이 조직과 청신경의 퇴화를 들 수 있다. 이 마우스의 원인 유전자는 transmembrane inner ear (tmie)으로 밝혀졌다. 유전자 치료기법을 이용하여 원인유전자를 과발현하는 마우스를 생산하였고, 이를 이용한 치료 결과로, tmie를 가지는 형질전환 circling 마우스는 청각테스트에서 반응을 보였으며 비정상적인 행동을 보이지 않았다. Tmie 단백질의 기능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tmie는 정상적인 청각과 전정기관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tmie 단백질의 기능을 분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출생 후 이른 시기에서의 tmie는 내이의 hair cell의 stereocilia 부분과 세포질에서 많은 발현을 보였다. Circling 마우스의 hair cell은 출생 후 생성되었다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base에서 apex 방향으로 퇴화의 패턴을 보였으며, 이는 tmie가 없을 경우 초기의 hair cell의 발생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Tmie 단백질의 기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아미노산의 서열을 기초로 한 분석에서 막관통 부분이 1-2개 정도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내이 유래의 HEI-OC1 세포에서 tmie 단백질은 ER 마커인 calnexin과 같은 부분에서 발현을 하였으므로 ER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mie 단백질의 내이에서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내이에 특이적인 프로모터를 이용하여 유전자 치료 실험을 수행한 결과, 내이에서 발현은 유도가 되었지만 행동과 청각을 회복하지는 못하였다. 이는 정상적인 청각의 기능을 위해서는 내이의 hair cell과 함께 다른 조직에서도 발현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체적인 실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tmie 단백질은 내이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며 청각에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The circling (cir/cir) mouse is a model for human non-syndromic deafness DFNB6. Circling mice have abnormal circling behavior that suggests a balance disorder as well as profound deafness. The most notable pathological phenotypes are an almost completely degenerated cochlea and remarkably reduced cellularity in the spiral ganglion neurons. The causative gene for circling is transmembrane inner ear (tmie). As a gene therapeutic way with tmie-overexpressing transgenic mice, a rescue experiment using the CMV promoter was successful in that many circling mice with a transgenic tmie responded to an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test and did not show any abnormal behavior. Although the function of mouse Tmie is unknown, it is important for normal hearing and vestibular function.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functional analysis of Tmie at the protein level. Mouse tmie expression in early postnatal life is prominent in the stereociliary bundles and the cytoplasm of hair cells. In circling mice, cochlear hair cells show a progressive degeneration pattern following a basal-to-apical gradient, implying that the absence of Tmie does not affect the initial production and differentiation of inner ear hair cells. Sequence-based analysis showed that the Tmie protein may have one or two predicted transmembrane domains. In HEI-OC1 auditory cells, Tmie protein is coexpressed with the endoplasmic reticulum marker protein Calnexin. Transfer of the tmie gene into homozygous circling mice through inner ear-specific transgenesis using the Myo7A promoter does not ameliorate the hearing and behavior phenotypes, implying that the tmie gene is required not only in hair cells but in other types of cochlear cells, including supporting cells and spiral ganglion neurons. These results show that Tmie plays a critical role in inner ear development and hearing.

      •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신미정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subjective wellbeing. For analysis, the study used the data of the 2017 Korea Social Integration Survey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covered 17 cities and provinces selected through stratified sampling. Quantitative study was conducted both with literature study and secondary data. Focusing on the utility of social capital in recent years, the investigator made an approach to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a bottom-up theory. An attempt at subjective wellbeing research from this perspective would provide abundant implications for policies. Subjective wellbeing was organized with the essential elements recommended by OECD(2013), and the study applied overall life satisfaction, subjective happiness including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and eudaimonia. Social capital was comprised of four subfactors including trust, participation, networks, and norms, which were segmented and applied. A hypothesis was set "Higher social capital will result in higher subjective wellbeing." The study analyzed influential factors of social capital on subjective wellbeing.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hen only the control variables of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were entered, gender, age, area, educational background, health, and income had significant effects on subjective wellbeing; second, when only the independent variable, social capital, was entered, interpersonal trust, limited communication network, isolation,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under networks, and altruism, sense of belonging, and fairness under norms had significant effects on subjective wellbeing; and finally, when both the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were entered,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subjective wellbeing was under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interpersonal trust, limited communication network, isolatio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ltruism, sense of belonging, and fairness. Isolation, which represented the level of qualitative networks, had the biggest and most consistent impacts on subjective wellbeing, being followed by health, sense of belonging, interpersonal trust, limited communication network, educational backgrou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ltruism, income, fairness, and gender in the order.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solation was a more powerful influential factor for subjective wellbeing than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Trust in the government and social participation had no significant impacts on it.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took interest only some of social capital or segmented a single variable into several subfactors and investigated their effects on subjective wellbeing, the present study organized social capital with its overall core elements including trust, participation, networks, and norms, segmented its subfactors further, and focused on their relative influences on subjective wellbeing. The present study is also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that used small samples of certain groups or areas as it targeted unspecified masses of common adults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welfare and made use of large-scale macroscopic data of nationally approved statistics. It is also differentiated for its higher reliability based on the representativeness of samples and its higher possibilities of generalization. The analysis results above suggest that improved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the expansion of social capital can be a way of leading a happier and better lif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its conclusions, suggestions, limitations, and future tas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