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민 참여 마을 만들기의 선호사업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북구 문화동을 중심으로

        송혜승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현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마을 만들기 사업을 평가해 봄으로써, 현재 마을 만들기 사업에 대한 평가 및 향후 마을 만들기 계획에 있어서, 지역에 필요한 사업을 선택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일정기간 이상 주민참여 방식의 마을 만들기 활동이 진행되고 있는 지역 중에서 주민참여 제도가 정비돼있고, 행정적 지원이 활발한 광주광역시 북구 문화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에 있어서는 평가 상위기준과 하위기준을 추출, 기존에 제시된 마을 만들기 사업 유형 제시, 도출된 평가기준 항목 간 가중치 설정, 각 평가기준에 따른 기여도 산정 등의 과정을 거쳐 대상지역인 문화동 주민참여의 마을 만들기 사업이 어떠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첫째, 전문가가 경제성 뿐 아니라 환경성, 편리성, 안전성, 문화성 등 다양한 분야에 고르게 관심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주민은 경제성과 안전성, 관계성에 대해서 두드러지는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주민이 지역 활성화를 위한 사업을 선호하고 있는 반면에 전문가는 쾌적한 생태환경조성과 생활환경 정비 등 환경개선 사업을 선호하고 있었다. 셋째, 문화동에서 진행 혹은 계획 중인 마을 만들기 사업은 환경개선과 문화 중심의 사업이 주를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는 마을 만들기 사업이 전문가와 행정가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만을 대상으로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향후 평가지표에 대해 전문가 설문 및 통계분석을 수행하여 좀 더 정밀한 평가 지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a criterion which is enable us to choose activities needed to the local area through assessment of the on-going maeulmandeulgi as well as future projects. Using the example of Machizkuri activities of Gwang-ju Buk-gu Moonhwadong, this study evaluates Machizkuri activities because Moonhwadong has various systems and executive support. Moreover Moonhwadong has carried out Machizkuri activities for a long time. Evaluation is done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environment, convenience, security, culture, economic feasibility, interrelation and structure. All the projects are scored for each of these categories and the preference of different classes of people are drawn from a summation. This study procedure is as follows. ① Through reviewing the prior studies, evaluation factors are selected. ② In order to draw preference types of residents and professionals, this study indicates existing types of Machizkuri. ③ Through conducting the survey with Moonhwadong residents and professionals of Machizkuri, weight of each factor is drawn with AHP. ④ Machizkuri professionals decide the extent of contribution of each factor with brainstorming. ⑤ The preference types of Machizkuri depends on the weight of each factor and the extent of contribution. ⑥ After looking for prefernce types of Machizkuri, the character of Machizkuri of Moonhwadong is concluded. According to study results, firstly, the professionals are interested in various fields like economic, environmental-friendliness, convenience, security and culture while residents only focused on economic, security and interrelation. Secondly, it revealed that the residents tend to think more about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district while professionals and administrators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The projects of Moonhwadong mostly focus on environmental improvement which indicates that they are led by professional and administrators with limited reference from the residents. In conclusion, the method is needed to be found in the planning stage of Machizkuri to get more opinion from the residents, so to have a balanced development in variety of aspect as well as a lively local district that will be peculiar to Moonhwadong. Because this study indicates criterion of deduction of preference types of Machizkuri, other regions will use this way which can inspect current Machizkuri projects and estimate the project in advance. Factors of this study has a lack of objectivity. Therefore the next study will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this study.

      • 전시공간의 활용과 공간체험 : 전시콘텐츠사례분석

        송혜승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전시공간이 전시콘텐츠의 주제가 된 사례를 중심으로, ‘전시공간’과 ‘작품’ 그리고 관람객과의 상호적인 ‘공감체험’에 대해서 탐구한다. 문화 공간은 공간 자체가 가지는 시대적·맥락적 의미 위에 세워지고, 과거의 역사와 시대의 이야기를 품고 있는 지역문화콘텐츠로 시민들의 휴식처가 되고 있다. 그러나 회화, 조각, 사진, 영상 등 작품을 위주로 기획되던 기존 미술관의 전시콘텐츠는 그 공간과는 연계성이 부족하다고 보는 입장이다. 본 연구는 관람객들에게 ‘전시공간’ 자체를 체험할 수 있게 다양한 시도를 선보인 《덕수궁 야외 프로젝트》, 《보이드》, 《양지앙: 서예》 그리고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의 분석을 통해 ‘공간체험’을 통한 미적체험을 시도하고 있는 전시콘텐츠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를 발견하는데 목적을 둔다. 그리고 예술과 사회가 만나는 접점에서 관람객과 미술관의 상호적인 교류와 다양한 의미를 품고 있는 전시공간의 발전가능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예술가에게 외부 조건(전시공간)과 작품(현장제작설치)의 결합은 미래 대안적인 전시공간의 의의와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현장제작설치는 전시공간을 기반으로 만들어지며 교육기관으로서 미술관과 관람객의 심리적 격차를 줄이는데 영향을 준다. 또한 미술관을 찾는 관람객뿐만 아니라 주변관광객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장치로서의 기능을 한다.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공간의 역사성’, 공간 디자인을 고려한 ‘건축적 특성’ 그리고 ‘일상 공간(야외마당)’을 활용한 전시콘텐츠의 분석을 통해 작품-공간-관람객의 상호작용을 엿본다. 그러면서 도시와 예술 그리고 관람객의 문화공간이 실현되는 과정을 발견한다. 작가의 상상력으로 구현된 다양한 의미망은 관람객들에게 미적체험과 함께 상징적 사유까지 선사한다. 관람객은 전시 기획자나 작가의 의도에 따라 예술 작품들을 관조하는데 그치지 않고, 감상의 주체가 되어 공간들의 여건에 맞춰 설치된 현대미술작품을 감상한다. 도시와 예술 그리고 관람객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문화공간이 실현되는 과정에서 이들을 연결시키는 전시콘텐츠가 문화콘텐츠로서 지속적인 인문학적 논의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전시공간을 작품이 담기는 그릇정도의 물리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의미가 더해질 수 있는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생각하기 시작한 미술관의 공간 확장에 의미를 둔다. 관람객의 작품에 대한 예술경험을 넘어선 그 공간자체를 이해하고 받아들이게 하는 ‘공간체험’의 확장의 사례로서 미적체험이 일어나는 전시콘텐츠의 활용에 대한 전략과 연구의 필요성을 살핀다. The Use of Exhibition Space and Space Experience :Studies on the Exhibition Contents Based on the cases where exhibition spaces have become the subject of exhibition contents, this study explores 'Exhibition Space', 'Work' and interactive 'Empathy Experiences' with viewers. Cultural space is built on the meaning of time and context of space itself. Also it is a resting place for citizens with local cultural contents that contain stories of history and time. However, the exhibition contents of existing art galleries, which were mostly designed for paintings, sculptures, photographs and video clips, are not related to the space. This study is to discover a new paradigm shift in exhibition content attempting to ‘Space Experience’ through the analysis of 《Deoksugung Outdoor Project》,《VOID》, 《Yangjiang Group: Seoul Box 》 and 《Young Architects Program》. These exhibition contents offer visitors a variety of attempts to experience the exhibition space itself. For an artist, the combination of external conditions (exhibition space) and works (site-specific art project) can discover the significance and potential of alternative exhibition space in the future. Site-specific art project is based on exhibition space and is an educational institution that can help reduce the psychological gap between the museum and the audience. It also serves as a device that can attract not only visitors but also tourists. Through analysis of ‘History of Space’ where past and present coexist,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considering space design, and exhibition contents using ‘Daily Space (outdoor yard)’, this study will se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work, space, and the audience. Then, it discovers how cities, art, and cultural spaces of visitors are real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tension of the space of an art museum, which began to think as a work of art that can be added to various meanings from the physical concepts of a bowl containing works, and ‘Space Experience’ of visitors.

      • 적응순환이론의 적용을 통한 저층주거지 지역사회의 리질리언스 고찰 : 서울시 장수마을을 대상으로

        송혜승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Resilience is a concept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old approach to urban issues(Lu·Stead, 2013) and is recognized as a direction to be sought after in urban regeneration that is actively being discussed(Kim Jeong-gon et al., 2016), thus increasing in its need and importance. It is time to conduct research on plans to present the resilience concept clearly and establish resilience for its proper utilization in the field of urban planning and management. There are various interpretations of resilience. Previous studies commonly explain that resilience refers to a capability of coping with confusion and crises appropriately to maintain the functions and values of a system and a process of adjusting to and innovating problems on an ongoing basis. Even though resilience is understood as a process of innovation through reaction and adjustment to problems, it is interpreted as a concept of recovery in the field of urban planning in many cases(Kim Dong-hyeon et al., 2015). This problematic consciousness recognizes resilience only as a means of dealing with an abrupt crisis situation(Kang Hyeon-cheol and Lee Chang-geun, 2017), thus having a difficult time with offering proper implications as a capability of reacting and adjusting to changes and problems that are present in daily life or appearing slowly. This study focused on the adaptive cycle theory to recognize resilience as a "process" of reacting and adjusting to changes and shocks toward innovation and examine it specifically since the theory defined resilience as an ability of passing through each stage of the cycle successfully(Fath et al., 2015). The adaptive cycle theory is also used as a framework of tracing and analyzing changes to the social ecosystem and the adaptive process of a system(Pelling·Manuel-Navarrete, 2011). This study thus made a judgment that the theory would have high utilization values as a means of analyzing a response and adjustment process to various local issues and changes. Although the theory is considered to have high utilization values as a means of analyzing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resilience, it has a couple of problems with its utilization in actual areas: First, the definitions of the analysis criteria are ambiguous in the preceding adaptive cycle theory. Being the first to introduce the adaptive cycle theory in the aspect of social systems, Holling·Gunderson(2002) explained the stages of an adaptive cycle based on the changing size of potential and connectedness. Since the definitions potential and connectedness proposed as analysis criteria are abstract and ambiguous, they are not proper to be applied to actual areas straight. Second, there are no domestic case studies that examined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local resilience by applying the concept of the adaptive cycle theory. Most of previous studies from Holling·Gunderson(2002) to Pelling·Manuel-Navarrete(2011) and Abcouwer·Parson(2011) analyzed certain organizations or social systems. There should be empirical analysis of the analysis criteria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in real case areas in order to figure out they could analyze and explain the capabilities of local systems to deal with actual local issues. Thirdly, studies based on the adaptive cycle theory proposed different analysis criteria. There is a need to apply these analysis criteria frameworks to real case areas and revise and supplement the content of the analysis criteria according to the local situations in the na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usable possibilities and problems of the preceding adaptive cycle theory by applying it to actual areas and propose its utilization direction as a model to diagnose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local resilience.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ing process of the community in a low-rise residential area by applying the adaptive cycle theory and chose the Jangsu Village in Seoul as a specific subject area.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ss: First, this study examined major analysis items related to the adaptive cycle theory by looking into the current state of low-rise residential areas as well as the theory. Second, it examined the activities developed by the community of the Jangsu Village and selected a set of specific analysis criteria and methodologies to analyze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Third, it analyzed the changing processes of "resource structures" and “organization forms & realization structures" based on the community activities implemented in the Jangsu Village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tages of the theory. Lastly, it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ngsu Village according to the stages of theory with those proposed in the preceding theory according to the stages, supplemented the content in each stage,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resilience in the community in a low-rise residential area. The major findings and implication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community activities of the Jangsu Villag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daptive cycle theory and judged that the theory could be utilized as a means of diagnosing the resilience establishment process in an actual community. The analysis results of the Village revealed some common characteristics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first, the four stages of an adaptive cycle, which include organization, growth, stabilization, and deconstruction, were observed in the community of the Jangsu Village, as well. The findings were, in particular, the most similar to the research content of Abcouwer·Parson(2011) that proposed an adaptive cycle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changing organizational needs and abilities. The changing forms(organized - diffused) of the community organization worked as major analysis criteria to determine a stage in the adaptive cycle like the adaptive cycle model of Pelling·Manuel-Navarrete(2011). Second, it supplemented partially the content when the interpretations were ambiguous of the analysis criteria proposed by the preceding adaptive cycle theory or when the changing process of the analysis criteria was different from the current state of an actual community. The content was follows: Holling·Gunderson(2002) divided the stages of an adaptive cycle according to potential and connectedness, but these concepts were too ambiguous to be applied to the community in a low-rise residential area in the nation. By consulting the content of previous studies that offered explanations about Holling·Gunderson(2002), the present study interpreted potential as accumulated resources(Kim Jeong-gon et al., 2017; Daedlow et al., 2011) and proposed the accumulated amount and nature of community capabilities(a component of resilience) as specific analysis criteria. An approach was made to connectedness from the perspective of systematization among the variables(Kim Jeong-gon et al., 2017) or changing forms of an organization. As the adaptive cycle model proposed by Holling·Gunderson(2002) did not match the current state of the Jangsu Village in some parts, the preceding model was partially revised in the form according to its current state. The changing process of an institution proposed as an analysis criterion by Pelling·Manuel-Navarrete(2011) was removed from the list of analysis criteria because its relations were difficult to be explained from the perspectives of community changes in a low-rise residential area and the adaptive cycle theory. This study examined a resilience establishment direction for the community in low-rise residential areas by supplementing the preceding adaptive cycle model and ha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major characteristics and coping directions of each stage in an adaptive cycle. The organization stage sees the emergence of new organizations and ideas with temporary and experimental activities. In the case of the Jangsu Village, the organizations established and the resources accumulated in the organization stage had effects even on the stabilization stage. These findings imply that when the resources and organizations established in the previous stage in the community have effects on the following stages, they can serve as positive factors to pass each stage successfully. One particular capability established in the organization stage was local study. Since local study was the biggest influencer in the establishment of other capabilities, there is a need for ongoing local study to build various capabilities. If the organization stage persists, there will be a risk of repeating only unproductive activities in the swamp of the wandering stage. The community thus needs to be fast to set specific goals and move onto the next stage. The growth stage is characterized by the biggest accumulation of resilience capabilities and the rich pool of community members doing activities within the community. The stage is need of active resource accumulation and ongoing input of labor force and resources. If there are no proper strategic investments to fulfill the goals, the community may fail to achieve its goals in the swamp of the poverty stage. The stabilization stage sees the community in an overall stable state with its goals fulfilled. As the organizational form of the community shrinks at this stag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community will lose its flexibility and diversity. The longer the stabilization stage continues, the better it will be. There is, however, a risk of negative outcomes including vigilance against exchanges with the outside and increasing internal rigidity when the community is trapped in the swap of narcissism. Negative emotions about new ideas or outsiders can, in particular, hinder local innovation and lead to the prolonged deconstruction stage. The deconstruction stage witnesses the accumulated resources and the old community breaking down. It represents the biggest crisis and, at the same time, an opportunity for innovation. This stage requires fast decisions and responses. If the community fails to overcome the stage swiftly, it can lose all of its autogenous abilities accumulated in the swamp of the confusion stage. In such a case, the values sought after by the community may break down along with the major environmental and social resources of a low-rise residential area, which will make it difficult to restore its forms and values. The community should thus be careful not to have the deconstruction stage prolonged. This study holds it significance in that it applied the adaptive cycle theory to an actual area and thus checked its usable possibilities and further supplemented the preceding adaptive cycle model to utilize it as a means of analyzing the resilience establishment process in an actual community. If the adaptive cycle model is supplemented with various local cases, it can be used as a criterion to diagnose the resilience establishment process in the community in the nation in a more specific and accurate manner. The present study claims its significance as a basic study on the subject.

      • Ludwig van Beethoven의 violin sonata op. 47, no.9에 관한 연구

        송혜승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39

        Ludwig van Beethoven(1770-1827)은 음악 역사상 고전파 음악의 대작곡가인 동시에 낭만파 음악의 선구자로 꼽힌다. 그의 전 10곡의 Violin과 Piano를 위한 Sonata 가운데 제 9번 <Kreutzer> Sonata는 그 규모의 장대함과 웅대함으로 그의 10개의 Violin sonata중 최고의 걸작이다. 이 작품은 1830년에 작곡되었으며, 이 시기는 베토벤의 작품양식 시기 구분상 제2기에 해당한다. 각 악장별로 요약해보면 제1약장은 서주를 포함한 Sonata form으로 제시부에서 일반적인 소나타 양식과는 달리100마디가 넘는 긴 coda가 있어 이 악장은 제시부, 전개부, 재현부, coda의 4부로 이루어진 확대된 규모의 큰 Sonata form이다. 제2악장은 주제와 변주로 되어있다. 주제는 II:A:II:B A:II의 3부 가요 형식의 곡이며, 제1변주에서는 Piano가 주제를 변주하고, Violin이 3연음부로 obligato의 효과를 낸다. 제2변주에서는 Violin이 32분음표로 주제를 변주하며, 제3변주에서는 F Major로 전조되어 이제까지와는 다른 우울한 느낌을 갖는 다양한 변주다.제4변주는 4개의 변주곡 중 가장 화려한 변주로 trill,pizziccato,6,7잇단음표 등 여러 주법 등이 등장하여 마친다. 제3악장은 약동하는 리듬이 악장 시작부터 끝까지 거의 쉬지 않고 나타나는 긴 tarantella로 되어있는 Sonata form이다. 이 작품은 Beethoven의 이전의 Sonata들이 Piano가 Violin에 종속된 형태였던 것에서 탈피하여, Piano와 Violin의 균등한 역할 배분이 이루어져 진정한 2중주 소나타를 이루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Ludwig van Beethoven was a accomplishment of classical music and a pioneer of romantic in history of music. He produced ten symphonyies and his various range of composition includeds other forms such as orchestral music, chamber music, instrumental music. He composed 10 violin sonatas in 1797-182. Among his 10 violin sonata, `Kreutzer’ sonata is the greatest work. It composed in 1803 and was dedicated to Rudolph Kreutzer. This work composed Beethoven’s second period. It represents his stylistic change at the beginning of 19th century. The study aims to analyze his ingenious, unique and variant composing technique through examining various documents and notes, mainly concentrating on the analysis of L. v. Beethoven's violin sonata op.47. Taking a look of each movement, First movement is a expanded sonata form, including introduction. And it has long coda. Thus first movement is expanded 4 parts sonata form including exposition, development, recapitulation, and coda. Second movement is theme and variation. The theme is a ternary form in F Major. The first variation is primarily for the Piano, the Violin being relegated to the role of punctuating accompaniment. In this variation, the theme is varied through the triplet figuration. In the second variation, Violin carries the melody. The third variation modulated to f minor. The change of mood is successfully brought especially through the chromatic progression. The last variation is the most brilliant variation in four variation. It includes pizziccato, long trill, the use of sequence. Third movement is Presto in 6/8 time. In third movement, the development is reduced and the coda is expanded. The main elements of this movement are the snapped rhythm and triplets, which remind us of the tarantella. This sonata is a monumental work in this field.

      • 동시대 시각매체와 이미지를 활용한 미술교육 연구

        송혜승 성신여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시각매체를 중심으로 한 교육이 동시대 다양한 미디어와 이미지의 올바른 이해력과 비평력 함양의 일환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내용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술의 진화와 더불어 각종 매체가 발달하면서 매체들이 제공하는 다양한 이미지들이 시각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오늘날 대표적 문화양상으로 부상한 시각중심의 문화현상은 텔레비전, 인터넷과 같은 디지털 매체에 의한 이미지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들은 수용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더욱 자극적인 성향을 띠는 추세이다. 또한 시각매체에 의한 이미지 정보는 인간이 직접 경험할 수 없는 정보와 가상의 환경을 제공하며, 현대인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아직 자신의 가치관과 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들은 시각매체와 이미지에 몰입되고 영향 받기 쉽기 때문에 시각매체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현재 우리나라에서의 시각매체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시각매체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미술교과서를 분석하고, 대안미술교육에서의 시각매체교육과 재량활동 시간의 미디어교육사례를 검토하였다. 현행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미적체험영역의 필수학습요소로 ‘시각문화 환경’이 제시되면서, 미술교과서에서도 시각문화교육의 일환으로 시각매체 교육이 적용되고 있었지만, 주로 사진, 컴퓨터그래픽, 애니메이션, 영상, 광고를 제작하는 표현활동과 기술적 습득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매체 자체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이해와 다양한 사회·문화적 현상을 파악하는 관점은 취하고 있지 않았다. 한편, 대안미술교육과 재량활동 시간의 미디어 교육은 시각매체가 제공하는 다양한 이미지들과 매체의 다양한 관점에서 조명해보고, 그 의미를 학습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이는 청소년들이 미디어를 선택하고 활용할 줄 아는 주체적 능력을 함양하게 하여 개개인의 생활에서 올바르고 능동적인 미디어 소비태도를 기르는 데 도움이 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동시대 시각매체와 이미지를 해독하고, 비평하기 위한 시각매체 교육으로서 첫째, 매체가 제공하는 실재적 이미지 컨텐츠들을 미술교과에서 적극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이론, 토론, 실습이 연계되는 통합적 학습모형을 제시한다. 이러한 시각매체교육 방안으로 ‘TV광고’, ‘애니메이션’, ‘인터넷 블로그’ 3가지를 선정하고, 청소년들의 시각매체와 이미지 수용에 있어 세밀한 관심과 관찰을 통해 분석적, 비평적 태도를 기르고, 창조적 사고와 표현활동까지 이어지는 학습이 되도록 수업을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학습을 통해 청소년들은 시각의 다양성을 인정하게 되고, 이미지 문해력과 비판력을 향상 할 수 있으며, 이미지와 사회의 관계를 새롭게 인식하는 성찰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 현대를 살아간다는 것은 매체이미지들과 더불어 살아감을 의미할 만큼 매체는 오늘날 매우 중요한 사회문화 담당자가 되었다. 시각문화교육으로써 매체교육은 미디어 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에게 필요한 지식과 경험을 제공하고, 시각매체의 이해를 통해 사회와의 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이것은 21세기 문화의 시대를 맞아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문화시민 양성에도 기여할 것이다.

      • 朝鮮時代의 神仙圖 硏究

        송혜승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조선시대 전시기를 통해 제작되었던 神仙圖를 대상으로 하여 유형과 양식을 분류,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드러나는 조선시대 신선도의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신선은 超越的이며 飛翔하는 神的인 존재이며, 신선도는 不老不死하는 이 상서로운 신선의 형상과 그들의 고사를 그린 인물화로서 도교의 현세지향적인 종교적 성격에 그 기반을 둔다. 따라서 신선도는 무엇보다도 壽·福과 같은 吉祥性에 그 의미가 집중되며 또한 祝壽畵나 歲畵와 같이 실용적인 목적을 갖고 제작되는 예가 많다는 특성을 갖게 된다. 한국회화에서 신선의 모티프를 형상화한 시초는 高句麗 벽화에서부터 찾을 수 있다. 飛仙이나 학, 봉황을 탄 乘烏神仙의 형상이 고구려의 여러 고분벽화에서 형상화되고 있는데, 이는 피장자가 순조롭게 승천하기를 염원하는 의미에서 그려진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한국에서의 도교는 국가차원의 의례를 중심으로 이어져 나갔으며 여기에서 수요되는 老人星을 비롯한 도교의 尊像으로부터 또한 신선도의 기원을 더듬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예배도의 전통은 명맥을 잇지 못하고 있으며 조선시대에 와서야 비로소 본격적인 신선도의 전개를 보게 된다. 그런데 조선시대 신선도의 전개와 발전에 있어서 왕실이 그 주된 배경의 역할을 담당하였다는 점은 주목된다. 궁중에서는 주로 길상화로서의 수요에 의해 신선도를 제작하였으며 왕실의 연례행사인 歲畵나 생일이나 혼인, 冊立 등의 중요한 왕실 행사를 기념하기 위한 용도로 쓰였다. 여러 문헌자료와 작품들을 통하여 볼 때 궁중화로서의 신선도는 왕공사대부라는 계층의 기호에 맞게 주로 대폭의 비단바탕에 五彩를 중심으로 한 강한 채색과 工筆의 윤곽을 사용하는 것이 전형적인 기법이었으며 정형화된 내용과 형식을 반복하는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조선시대 신선도는 다른 회화장르와 마찬가지로 기존의 전통 양식을 토대로 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과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되었다. 특히 로부터는 吳偉를 중심으로 한 明朝의 後期浙派 화풍의 인물화로부터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또한 순수회화 외적으로는 명대에 전성기를 이루었던 판화미술을 회화적 원천으로 운용하여 새롭게 소화해 내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특히 明 萬曆년간에 출간되어 조선에 유입된 洪自城의 傳記說話集 『仙佛奇?』의 삼화는 여러 작품에서 드러나듯이 직접적으로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조선의 화가들은 이를 도상의 원료로 삼아 개성있는 화면을 창조해 내고 있다. 신선도는 도교라는 종교를 원천적으로 하는 회화장르로서 신선은 여러 가지 종류의 종교적 신념을 상징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일정하게 정해진 도상이 중시되고 반복된다는 특성을 갖는다. 조선시대 신선도에서는 다수의 도상이 출현하고 있기는 하지만 화제로 인기를 누렸던 것은 壽星, 劉海蟾, 呂洞賓 을 위시한 소수의 신선도상에 집중되며 또한 群仙圖에 나타나는 신선의 도상들은 개별표현에서와 달리 더욱 고정된 형태만을 묘사하는 경향이 강하다. 신선도는 조선시대 전 시기에 걸쳐 그려졌으며 특히 조선 중기 이후로는 크게 성행하면서 여러가지 다양한 유형과 양식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현존하는 조선시대 신선도는 單獨形, 聚合形, 群集形의 세가지로 크게 분류되는데 각 유형의 양식적인 특징들을 통해 조선시대 신선도의 성격이 드러난다. 하나의 신선을 그리는 단독형 신선도는 다시 圖像人物畵式 신선도와 山水人物畵式 신선도로 분류되는데 전자는 吉祥의 상징에 최우선의 목적을 두는 유형이며 후자는 문인취향의 도가적 변용이 보다 강하게 나타나는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신선도의 용도와 화가 및 감상자의 신분, 그에 따른 작화의도의 차이는 그림의 주제에서부터 표현양식 등에서 보이는 조선시대 신선도의 다양한 성격을 결정하는 요건이 됨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의 사대부 및 상류계층은 길상적 욕구의 한 가지 통로로서 신선도를 수요, 제작하였고 한편으로 신선이라는 초월적인 존재에 도가적인 심의를 기탁하여 더욱 자유롭게 묘사하는 방식을 택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취합형 및 군집형에서 역시 우리나라 고유의 양식적인 정착이 이루어지고 있다. 즉 취합형에서는 당시인들이 희구했던 길상적 요건들이 나타나며 동시에 후기로 갈수록 도상이 토착화되며 해이해지는 시대적 변화를 볼 수 있다. 그리고 群仙慶壽圖, 波上群仙圖, 瑤池宴圖 등의 군집형 신선도는 특징적인 표현상의 공식을 반복하면서 김홍도를 정점으로 조선시대 고유의 양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이후로는 그것이 답습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is an investigation of those Taoist Immortal Paintings(神仙圖) produced in the entire Chosun(朝鮮) dynasty in which their types and styles are classified and analyzed and the peculiar characteristics of them are examined. Taoist Immortals(神仙) are supernatural god-like beings, and Taoist Immortal Painting is a kind of portrait that imaginarily depicts the appearances and behaviors of these auspicious Immortals on the basis of the Taoistic religious traits oriented to this life. Therefore, the purport of Taoist Immortal Paintings is concentrated on the auspice such as longevity and good fortune, and most of Taoist Immortal Paintings are characteristically drawn under practical goals to celebrate long life or wish good luck. The origin of making shape of Taoist Immortals motif goes back to the wall paintings of Koguryo(高句麗) period, In many ancient tomb wall paintings of Koguryo(高句麗) , there are soaring wizards to heaven or supernatural beings mounting on a bird(乘鳥神仙) like crane(鶴) of Chinese phoenix(鳳凰), and this can be interpreted as from eamest wish for the buried to smoothly ascend to heaven. Meanwhile, we can trace back to those Shouxings(壽星) or objects of worship as the originating elements of pictures since Taoism has been transmitted centering around rituals at national level. This kind of religious tradition, however, once disappeared but by the Chosun period Taoist Immortal Paintings began to blossom. And it is noteworthy that the royal court played a main role in introducing and developing Taoist Immortal Paintings, In court, Taoist Immortal Paintings were demanded as auspicious pictures, also to celebrate important royal events such as birthday, wedding or New Year's Day. Looking into various literary references and works, we can see that Taoist Immortal Paintings as court paintings were typically drawn upon big silk cloth with five primary colors(五彩) and fine brush outlines in accordance with loyal family's and upper classes' taste in which repetition of somewhat fixed matter and form was conspicuous. In Chosun dynasty, Taoist Immortal Paintings, like other pictorial genres, made the existing traditional styles their basis while accepting various stimuli and influences from outside. Especially it seems China, the portraits of the late Ming(明) dynasty, had the greatest influence upon the Taoist Immortal Paintings, and it is worthy of attention that wood printing which was in full blossom in Ming dynasty was also employed to develop Taoist Immortal Paintings anew. In particular, as we see in many works of the Taoist Immortal Paintings, illustrations in Xianfuqicong(仙佛奇?), biographical tales written by Hong Zi-xing(洪自誠) published in Wanli(萬?) a period of Ming dynasty and introduced to Chosun later, directly exerted a great influence upon Taoist Immortal Paintings, and Chosun artists set those illustrations as the mati?re for their figuration to create their own unique scenes. Taoist Immortal Paintings, based on Taoistic religion and Taoist Immortals are beings symbolizing various kinds of religious faith, characterically emphasize and make repeat of some fixed, definite diagrams. In Taoist Immortal Paintings of the Chosun period, though there appears lots of Taoist Immortals, figures like Shouxing(壽星), Liuhaichan(劉海蟾), and Ludongbin(呂洞賓) are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ones, and appearance of Taoist Immortals in Painting of A Group of Immortals(群仙圖) is strongly fixed unlike the differentiated expressions in other Taoist Immortal Paintings. Taoist Immortal Paintings were popular throughout the Chosun period, especially after middle period they began to form various types and styles as they became greatly prevalent. Therefore, existing Taoist Immortal Paintings of the Chosun dynasty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sole type(單獨形), combination type(聚合形), and group type(群集形); each of them reveals the stylistic uniqueness of their own. The sole type which depicts only one taoist immortal can be again classified into figurative portrait and landscape portrait. The former aims at symbolization of the auspice above all things while the latter shows a stronger tendency of the Taoistic, academic transformation. Here we can see that the usage of Taoist Immortal Paintings, artist's or seer's social position, and the difference of artistic aim from those positions might determine the various characters of Chosun dynasty's Taoist Immortal Paintings from the theme to expressional modes. The gentry and upper class in Chosun Age demanded Taoist Immortal Paintings as one pathway to soothe their desire for auspice, and on the other hand adopted freer descriptive methods to depend upon those Taoistic transcendent beings, Taoist Immortals. In the next two types, combination and group types, we can see the settlement of our own peculiar pictorial modes. That is, in the combination type, there appears every auspicious factors people of that time aspired, and at the same time as time went by figures became indigenous and remiss. The group type Taoist Immortal Paintings such as Painting of A Group of Immortals Celebrate Longevity (群仙慶壽圖), Painting of A Group of Immortals on the Sea(波上群仙圖), and Painting of Taoist Immortals on Their Way to Xi Wang Mu's Banquet(瑤池宴圖) shows its own unique repetition of the peculiar expressional formulae that yielded the pictorial modes inherent to the Chosun dynasty and reached the peak by Kim Hong-do(金弘道), and this tendency has been followed every since.

      • NF-кB 활성 저해를 통한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의 합성 및 활성 연구

        송혜승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류마티스 관절염은 관절을 감싸고 있는 활막에 염증이 생기면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발생 원인이 정확히 규명되지 않았지만 면역체계 이상으로 자신의 인체를 공격하는 자가면역현상이 주요 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심각한 통증을 동반하기 때문에 우울증 등 정신적인 질환까지도 야기시킬 수 있어 사회적인 측면에서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NF-кB는 천식과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의 발병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전사인자로 NF-кB의 활성화는 IKK 복합체에 의해 IкB가 인산화되면서 일어난다. IKK 복합체 중 catalytic subunit인 IKK-β는 NF-кB의 활성화에 따른 염증 반응 과정에서 중요한&#61472;역할을&#61472;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F-кB 활성화 경로에서 IкB를 인산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IKK-β를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후보물질 개발을 위하여 rhodanine, hydantoin, succinimide 유도체 등을 합성하였다. 합성한 화합물은 in vitro 상에서 다양한 약물학적 실험을 통하여 IKK-β 활성 저해도, 안정도, 선택성 등을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화합물들은 in vitro 상에서&#61472;좋은 저해 활성을 가졌으며, IKK-β에&#61472;대하여 비경쟁적 저해제 (allosteric inhibitor)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IKK-β에&#61472;대하여 좋은 저해 활성을 가진 화합물 중 혈액과 간세포에서 높은 안정도를 보인 I-64 화합물은 lead 화합물로 선택하여 동물 실험 준비 중에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