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지 영상에서의 방향 및 부분적 겹침에 강인한 휴먼 디텍션 알고리즘 : Robust View-invariant Human detection Algorithm for Partial Occlusion in Still Images

        손정은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esents a part-based human detection method that is invariant to variations in the view of the human and partial occlusion by other objects. First, to address the view variance, parts were extracted from three views: frontal-rear, left profile, and right profile. Then, a random set of rectangular parts were extracted from the upper, middle, and lower body as the distribution of Gaussian. Second, an individual part classifier was constructed using random forests across all parts extracted from the three views. From the part locations of each view class, part vectors were generated and part bases(PB) were also formalized by clustering part vectors with their significant weights representing the importance of each part basis. For testing, a part vector for the frontal-rear view was estimated using trained part detectors, and it was applied to trained PB for each view class. Then, the distance was computed between the PB and a part vectors. After applying the same process to the other two views, the final human and its view having the minimum score were selected. The proposed method was successfully applied to INRIA and TUD pedestrian datasets and its detection accuracy was confirmed to be higher than that of other related methods, while its processing time was shorter. 본 논문은 휴먼과 다른 객체 간의 부분적 겹침뿐만 아니라 휴먼의 방향 변화에도 강건한 파트 기반의 휴먼 디텍션 방법을 제안한다. 첫 번째로, 휴먼의 방향을 인식 하기 위하여 정면-후면, 좌측 그리고 우측에 해당하는 3개의 방향에서 파트들을 추출한다. 각 방향의 휴먼 영역에서 신체를 상, 중, 하로 3등분한 뒤, 각 분할된 영역에서 가우시안 분포를 이용하여 임의의 위치의 파트들을 추출한다. 두 번째로, 각 파트 분류기들은 3방향의 휴먼 영역에서 추출된 모든 파트들에 대해 랜덤 포레스트 분류기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파트 벡터는 각 방향 클래스의 파트 위치로부터 생성된다. 그리고 파트 베이스는 각 파트 베이시스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중요 가중치를 가지고 파트 베이스들을 군집화함으로써 구성된다. 입력 영상에서 휴먼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후보 윈도우에서 정면-후면 방향을 위한 파트 벡터를 학습된 파트 분류기들을 사용하여 추정하고, 각 방향 클래스를 위해 학습된 파트 베이시스를 적용한다. 그 후 학습된 파트 베이시스와 입력영상에 대한 파트 베이시스 사이의 거리값을 계산한다. 다른 두 방향들도 같은 절차를 적용한 후, 3방향의 거리값들 중 가장 작은 값이 사전에 정의된 임계값 보다 낮은 경우 최종적으로 휴먼과 해당 방향을 결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위해 INRIA 데이터셋과 TUD-Pedestrian 데이터셋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제안하는 방법은 다른 관련 방법들보다 더 높은 정확도와 빠른 검출 시간을 보였다.

      • 받아쓰기를 통한 철자 오류 분석

        손정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6학년 학습자들이 시행한 받아쓰기 결과물을 통하여 철자 오류 형태를 분석하고 학습자들이 오류를 범하는 원인을 파악하여 학년별 철자 인식의 변화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첫째, 학습자들이 철자를 쓰는 동안 반복적으로 저지르는 오류를 바탕으로 오류의 유형을 철자의 첨가, 생략, 전위, 대치와 같이 네 가지로 분류하고 각 오류율을 제시하였다. 둘째, 자음, 모음, 접미사 등의 철자별로 일어나는 오류의 빈도수와 오류의 대치 형태를 파악하였다. 셋째, 학년별로 나타나는 오류의 특징과 철자 인식의 변화 과정을 제시하였다. 학습자들의 철자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3~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동일한 받아쓰기를 18주간 주 1회 실시하였으며, 동일한 언어 입력을 위해 원어민 화자에 의해 녹음된 파일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류 유형 가운데 철자의 첨가로 인한 오류율이 6%, 철자의 생략으로 인한 오류율이 19%, 철자의 전위로 인한 오류율이 5%, 철자의 대치로 인한 오류율이 70%로 오류 대부분이 철자의 대치에서 기인하였다. 둘째, 학습자들은 자음 중에서 w와 같은 반모음이 첫 자음으로 올 때와 ck, ng, ch와 같은 이중 자음이 마지막 자음에 있을 때 가장 높은 오류율을 보였다. 모음 중에서는 단모음보다 장모음에서 높은 오류율을 보였는데, /ə:r/ 소리가 나는 ur와 ir, 장모음인 ee, i...e, o...e 형태에서 많은 오류가 나타났다. 셋째, 동일한 받아쓰기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년별 오류의 특징을 분석하였는데, 저학년에서는 소리를 인식하고 소리와 철자를 연결하기보다 철자의 모양을 암기하려는 경향이 있어 소리보다는 철자의 모양에 의존하여 받아쓰기를 하였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철자별 소리를 인식하고 소리에 따라 철자를 조어하였는데, 이때는 철자의 규칙보다 이미 알고 있는 단어를 조합하여 조어하는 경향이 있어 또 다른 오류의 원인이 되었다. 고학년일수록 음운 인식이 바르게 형성되어 소리와 철자의 상응 관계를 알고 그에 따른 철자의 패턴을 바르게 파악하였다. 또한, 철자의 오류를 스스로 파악하고 고치는 힘을 기르게 되었다. 교사들은 학습자들이 저지른 오류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부족한 점과 보완할 점을 파악하여 학습자의 발달 단계를 알고 무엇을 가르쳐야 할지 알 수 있으며, 교수학습 방법에 적용하여 오류를 미리 예방할 수 있다. 나아가 효과적인 교재 개발에 활용하고 교수법에 적용하므로 더욱 효율적인 학습을 지도할 수 있을 것이다.

      • 클래스 피아노 커리큘럼 개발 방안 : 음대 부전공자와 성인클래스 중심으로

        손정은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education has been changed riding on the trend of culture. With a development of musical instrument, the purpose of education in late 60 s intend to the eclectic pedagogics. In accordance with this, piano teaching method also took the new transitional period. The newly-appeared class piano teaching method was inclusive musical education through keyboard which was based on conception studies to learn the existing conception. Break from the existing one-on-one lessoning aimed simple skill learning, it uses group technic which is based on group dynamics to minor group. Thanks to Ph. D. Seong, Jin Hee, this teaching method was reconnized to us as a new conception in the year 1986. But in the early 1800's, Piano teaching method already had begun in England as group studies, also in 1900's that was introduced to the primary stage of public school in U. S. and widespread for the purpose of the colleges in U. S. is enforcing class piano program as a compulsory subject. This teaching method has been giving the oppotunities to experience, discover and create music through bread ranged contents of lesson and it can be applied for everyone including child and adult, novice and music specialist. To make a success in this program, the role of a teacher is very important and other conditions are such as ; textbooks which contain broad contents and studio facilities what make it possible to do a private lesson among group lessons, systemical class formation group studies and a lecture that can cover advantage and disadvantage of private lesson. Class piano teaching method is aimed at the whole personality through music. Therefore, the Contents of lesson should be mapped out with a first view performce, harmony setting, key moving, Playing own inventions, rhythm lesson, hearing exercises, technic, ensemble, repertory, accomaniment and covering the whole field of music so as to experience various kind of music. This disquisition, grounded above mentioned theoretic background, suggested the model of curriculum for efficient running of class piano to music specialist and the general adult, Programs for the person who minors in musicology at the college of music are made out curriculum by the course of 4 semesters, and one program is also suggested by daytime of 1 semester among this. This program is adjusted for the purpose of practicing the general fundamental knowledge about more practical keyboard experience and music for learning advanced skills such as performing with a first view, harmony, key moving, Playing after listening, Playing own inventions, repertory. It can be possible for student to expect with these programs broadening their world of music and musical maturity by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music, key moving, arranging, Performing a simple vocal music and an instrumental music with a first views, contacting the repertory of the main musical period. Also, there's a curriculum consists of primary, an intermediate, on upper grade which is established for the course of the general adult, specially, the primary grade class is proposed as a model what is classified by 16 weeks. For the general adult, Purpose is not on the learning of teachnical skill to be an expert, but on the esthetic experience through music to inspire their mind, body and soul with vitality by practicing the bases of music and experiencing music directly. Therefore, the program for the general adult course is focused on setting accompaniment to melody, moving key, performing with a first view and enjoyable repertory in real life. With these programs, they can perform a simple tune with a first view and sing a song which they like with accompaniment and move key where they want to. Also, they can improve their musical attainments by contacting various genre of repertory.

      • 옵아트 특징을 활용한 창의적 표현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중학교 미술을 중심으로

        손정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옵아트 특징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창의·융합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다. 이는 학습자들에게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어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마련하고, 학습자가 느끼는 생각과 감정을 여러 가지 매체를 활용하여 창의적인 방법으로 표현하고 미술 활동 과정에 타 분야의 지식, 기술, 경험 등을 연계, 융합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미술교육에서 표현활동은 다양한 방식으로 주제를 탐색하는 발상과 주제나 소재, 아이디어에 적합한 조형요소와 조형원리, 표현재료와 용구, 방법, 매체 등을 계획하고 개성과 창의성이 드러난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이다. 작품 완성 후 자신의 작품에 대해 성찰하고 평가함으로써 미적 안목을 기를 수 있고, 이러한 가치판단을 실생활에 적용함으로써 예술의 생활화를 실천할 수 있다. 옵아트는 조형 요소들이 구성하는 원리와 법칙을 평면상에 시각적인 매력을 가진 작품으로 제작하는 조형 예술이다. 또한, 옵아트는 기하학적이며 단순한 형태를 기본으로 하는 추상화로 작가의 감정적 표현이나 명상적인 내적 세계의 표현과 달리 시각 그 자체의 변화를 중요시한다. 그렇기 때문에 작가의 감정표현 보다는 이성적인 법칙과 원리에 의해 작품이 표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외에도 옵아트는 원근법의 활용을 적용하여 시각적 착각을 일으켜 관람자와 상호작용하며 작품으로 완성하는 특징을 갖고 있어 작가와 작품, 관객의 참여로 완성되는 포스트 모더니즘적 성격도 가지고 있다. 이에 2장에서는 옵아트의 이해와 옵아트를 활용한 창의적 표현 프로그램의 개발의 필요성 및 교육현황을 알아보고, 2015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와 교육 현장에서 실시되는 옵아트의 수업 현황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와 교육현장에서는 옵아트 또는 착시 미술의 옵아트로 수업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에게 옵아트나 옵아트의 구성요소인 조형 요소와 원리에 대해 질문을 제시하였을 때는 용어의 개념적 측면에서 인지가 낮은 것으로 보였지만, 시각적인 자료로 제시했을 때는 이미 경험을 했거나, 알고 있는 학생들이 대부분이었음으로 정확한 개념과 원리를 습득할 수 있는 본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옵아트 특징을 활용한 창의적 표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고 효과적인 지도방법을 연구하였다. 프로그램은 ‘기하학 형태를 활용한 옵아트 표현 프로그램’, ‘원근법을 활용한 옵아트 표현 프로그램’, ‘착시현상을 활용한 옵아트 표현 프로그램’으로 3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서울 소재의 중학교 1,2,3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적용하였고, 그 결과, 기존의 보고 그리기 수업과는 다른 추상적 표현 활동으로 보다 높은 흥미를 보이며 집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 번째, 기하학적 형태를 활용한 옵아트 표현 프로그램에서는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포스트잇을 활용하여 재료를 실험,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이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작품 제작에 임하는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원근법을 활용한 옵아트 표현 프로그램에서는 자신이 표현할 소재를 직접 선택하고 원근법을 적용하여 소재와 원근법의 관계를 생각한 작품을 표현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착시 효과를 활용한 옵아트 프로그램에서는 다양한 착시 현상의 설명을 통해 학생들의 이론적 폭을 넓히고, 이를 적용하여 각자의 개성이 드러난 작품으로 표현했다. 작품 제작 후에는 옵아트에 대한 학습자의 생각을 공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4장에서는 앞서 진행한 과정에서 얻은 내용 및 실제 수업 사례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옵아트의 특징을 활용한 창의적 표현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도출하였고, 활성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학생들이 접근하기 쉬운 조형 요소와 원리를 활용하여 시각적 매력을 가진 옵아트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었다. 둘째, 자신이 나타내고자 하는 대상을 시각 이미지로 표현하고, 대상을 분석하고 구성하는 능력을 신장할 수 있었다. 셋째, 작품제작을 계획하고, 과정에 맞게 표현하면서 자기 주도적인 미술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교육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의 프로그램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옵아트 표현을 통한 미적 표현을 성장할 수 있는 방법이 마련되어야 하고, 타 교과나 학습과 연계하여 활용 방향을 확장해야 한다. 또한 옵아트를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실용적 활용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옵아트의 조형적 특징과 원리에 대해 학생들의 인식이 기존 수업에서 진행되었던 방식과는 다르게 적용되었다. 창의적인 표현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의 미술수업에 대한 흥미 증진과 표현 능력 및 소통 능력을 향상하는 시간이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옵아트의 개념을 이해하고 창의력을 함양할 수 있는 표현 능력을 발휘하기 바란다. This paper uses the characteristics of op-art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the creativity and convergence of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learners with effective learning methods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allowing them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in creative ways, and to develop their ability to discover new possibilities by combining knowledge, skills and discover new possibilities. Expression activities in art education are the process of planning ideas, themes and materials, forming elements and principles suitable for ideas, materials and tools, methods and media to create works that show individuality and creativity. After completing the work, participants develop their aesthetic sense by reflecting on and evaluating their work, and apply this value judgment to their real life, so they can practice the dailyization of art. Op-art is a formative art that produces the principles and laws of forming elements into works of visual appeal on a plane. Op-art is an abstract painting based on geometric and simple forms, which emphasizes changes in vision itself, unlike the writer's emotional expression and meditative inner world expression. Therefore, it is characterized by rational laws and principles rather than the writer's emotional expression. Op-art also uses perspective to create visual illusion and interact with viewers to create works, and has a postmodernist character that is completed with the participation of writers, works, and audiences. In Chapter 2, the necessity and current status of developing creative expression programs using op-art are explained, and the current status of op-art teaching in textbooks is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Th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textbooks and educational sites are taught with op-art or optical art, most of the students have experienced or know the conceptual aspects of the term when asked questions about the components and principles of op-art, so the necessity of this study can be confirmed. In Chapter 3, creative expression programs that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op-art are developed and applied, and the results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are studied. The program developed three programs: "Op-art Expression Program using Geometric Form," "Op-art Expression Program using Perspective," and "Op-art Expression Program Using Illusion." The program was developed for first, second and third graders in Seoul,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were more interested in abstract expression activities than previous reports. First of all, in the op-art expression program using geometric form, students can confirm their interest and interest in the production of works by experimenting with post-it materials that can be easily accessible to people around them. Second, in the op-art expression program using perspective, students can directly select the material you want to express and apply perspective to exp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ial and perspective. Finally, in the op-art program that utilizes the illusion effect, the students' theoretical range is expanded by explaining various optical phenomena, and each student's individuality is expressed by applying them. After the production of the work, there was an opportunity for learners to share their thoughts on op-art. Chapter 4 introduces the educational effect of creative expression programs that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op-ar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ntents and actual teaching cases obtained in the previous process. First of all, it provides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express themselves with visual attractiveness by utilizing familiar elements and principles. Second, students were able to express the object they wanted to represent with visual images and to develop their ability to analyze and construct objects. Third, students can improve my self-directed art learning ability by planning their works and expressing it according to the process. Despite this educational effect, in order such programs to continue to be used in schoo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esthetic expressions through op-art expressions and expand the application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other subjects and learning. It is also necessary to find practical ways to apply op-art to various fields. In this paper,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plastic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s of op-art is being applied in a different way from the existing teaching methods. It is time to improve students' interest in art lessons,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creative expression programs. Based on this, I hope that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concept of op-art and develop their creativity.

      • 아이트래킹을 활용한 의료광고효과 측정연구 : 국내 성형외과 5곳을 중심으로

        손정은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의료시장의 개방화와, 의료관광의 증가, 대기업의 의료산업 참여 등으로 인한 병원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의료 소비자들의 생활수준 향상과 더불어 의료서비스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늘어남에 따라 의료계는 보다 적극적인 광고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의료 광고는 의료 서비스 상품에 대한 기능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에게 객관적인 사실에 기인하여 의료행위 선택에 있어 알권리를 충족시켜 합리적인 선택에 기여하도록 해야한다. 의료광고의 중요성에 관한 선행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어떻게 하면 의료서비스의 특성과 차별성을 합리적으로 소비자에게 전달할지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 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의료분야의 다양화에 따라 의료광고도 다양한 분야로 행해지고 있다. 2017년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의료광고의 접근 횟수에 관한 조사에 따르면 성인 남녀가 가장 많이 접하고 있는 광고는 미용 성형, 비만에 관한 광고라고 나타났다. 2011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는 인구 1만 명 당 131건의 성형수술이 이뤄져 인구대비 성형수술 횟수에서 세계 1위를 차지하였다. 유행에 따라 변하기는 하지만 외모에 대한 보편적 기준이 있다는 것은 사실이며, 그 기준에 맞추기 위한 성형에 대한 열풍은 날로 거세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국내에는 무려 약 1,414개의 성형외과가 존재하고, 또한 그 수도 날로 더해지고 있다. 그렇다면 어떤 방식으로 성형을 사람들에게 매료시킬 수 있을것인가.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성형외과 광고의 사례를 파악하고 그 유형을 분석한 후 아이트래킹 실험을 통하여 시각적 소구력을 높이는 광고의 유형을 파악할 것이다. 아이트래킹은 눈동자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자극에 대한 인간의 반응과 정보습득 결과를 연구하는 방법으로써, 시각적 소구력을 객관적으로 수집하는 방안이 될 것이다. 한 연구에 따르면 성형외과 방문을 결정한 계기에 40% 이상이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SNS와 인터넷 카페, 블로그 등을 보고 결정했다고 대답하였다. 병원을 선택하는 데 있어 소비자는 바이럴 마케팅을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성형외과 5곳의 SNS 광고를 수집하여 아이트래킹 실험 및 실험 사전, 사후 설문조사를 통한 호감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광고를 접한 피실험자는 성형외과 및 성형 시술에 대해 호감도가 소폭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아이트래킹 실험 결과를 통하여 성형외과 광고의 호감도와 이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진료내용의 정확한 전달과, 병원의 이미지와 알맞은 모델의 선택 등이라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성형외과 광고 제작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첫째, 소비자의 시선이 가장 먼저 향하는 모델의 외모와 이미지를 병원의 이미지와 특성을 잘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병원 광고에 호감을 가지게 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난 것이 모델의 이미지이다. 둘째, 광고를 볼 때 소비자에게 가장 영향을 주는 진료내용에 관한 부분은 허위나 과장없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소비자는 광고에서 진료의 내용을 가장 집중하여 응시하였다. 따라서 진료내용에 대한 객관적이고 확실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소비자의 신뢰성 향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광고하고자 하는 진료 내용과 알맞은 이미지를 사용하여야 한다. 진료내용 텍스트와 일치하는 이미지를 사용하여 시술/수술의 효과를 소비자에게 전달하여야 한다. 위의 제안을 통하여 의료광고 제작 시 참고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것이라고 판단 되며, 나아가 의료광고 효율성의 증대에 중요한 지침이 되고자 한다. Recently, the medical community is seeking a more aggressive advertising strategy as competition among hospitals is intensifying due to the opening of the medical market, the increase of medical tourism, and the participation of large companies in the medical industry, and the increasing interest and desire of health care consumers in addition to the living standards of health care consumers. Medical advertising should provide functions and information about health care products so that consumers can contribute to a rational choice by satisfying the right to know in choosing medical practice based on objective facts. The prior study of the importance of medical advertising has been active. However, studies have not been conducted on how to reasonably communicate the nature and differentiation of health care to consumers. Medical advertisements are carried out in various fields according to the variety of medical fields. According to a survey on the number of access to medical advertisements conducted by the Korea Press Promotion Foundation in 2017, the most popular ads among adults are cosmetic surgery and obesity. As of 2011, Korea had 131 plastic surgery cases per 10,000 people, ranking first in the number of cosmetic surgery procedures per population. It's true that there are universal standards for appearance, although they change with fashion, and the craze for plastic surgery to meet those standards is getting stronger. Due to this trend, there are as many as 1,414 plastic surgeons in the nation, and the number of cosmetic surgery clinics is increasing every day. Then, how can we attract people to the idea of plastic surgery? This study will use this problem awareness to identify examples of cosmetic surgery advertisements, analyze their types, and identify the types of ads that enhance their visual appeal through an astringing experiment. Aitracking will be a method to objectively collect visual appeal as a method to study human reactions to stimuli and information acquisition results by continuously monitoring eye movements. According to a study, more than 40 percent said they decided to visit plastic surgery clinics after seeing SNS, Internet cafes, and blogs. In choosing hospitals, consumers showed confidence in the marketing of their biologic products. Therefore, in this study, five domestic plastic surgery clinics were collected for SNS ads and a favorabl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n astringing experiment, an experimental dictionary, and a post-survey survey. The subjects' results showed a slight increase in affinity for cosmetic surgery and cosmetic surgery, and the results of the astringing experiment showed that the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affinity and image of plastic surgery advertisements were the accurate delivery of the care contents and the selection of the correct model for the hospital image and the correct model. These results suggested factors to consider in the production of the following cosmetic surgery advertisements: First, the appearance and image of the model to which consumers' eyes are directed should be selected with consideration of the hospital's image and characteristics. The model's image is the biggest factor that appeals to hospital advertisements. Second, the section on care that most affects consumers when viewing advertising should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without falsification or exaggeration. The consumer gazed at the contents of the treatment in the advertisement. Thus, providing objective and reliable information about the care has an important impact on improving consumer confidence. Third, they should use the appropriate image and the care they want to advertise. Images consistent with the text of the care should be used to communicate the effects of the treatment/surgery to the consumer. Through the above proposal, it is deemed that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in the production of medical advertisements, and further, it will serve as an important guide in enhancing the efficiency of medical advertisements.

      • SNS 시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자본 영향 요인 연구

        손정은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는 많은 이용자를 확보하고 있으며 그 규모와 사회적인 영향력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SNS 상의 사회 분열을 초래하는 현상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부정적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는 SNS 시민 행동에 대해 규명하고, 이를 사회적 자본 이론을 기반으로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모형은 SNS 시민 행동에 구조적, 관계적, 인지적 사회적 자본의 축적이 중요한 영향 요인이라는 것을 제시한다. 또한 SNS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는 SNS의 주요 특징 요인들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가정하였다. 연구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페이스북(N=148), 트위터(N=153), 공개게시판(N=163)이라는 SNS 유형 별로 설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SNS 시민 행동에 사회적 자본이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SNS 특징이 사회적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력을 가진다는 것을 밝혀냈다. 본 연구는 SNS 시민 행동이라는 개념을 정립하고, 사회적 자본 이론을 기반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SNS 제공자에게 지속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

      • 셰익스피어 극에 나타난 사랑의 비극 연구 : 『로미오와 줄리엣』,『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를 중심으로

        손정은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Shakespeare wrote many kinds of drama concerning love and the treating way of love depends on its genre. Love with the marriage at the end of the drama is natural and all the perturbations and troubles that block fulfillment of love in comedies are overcome in the happy ending. On the other hand, lovers in Shakespearean tragedies do not end with happy wedding ceremonies. Though they have troubles to fulfill their love, tragedies don't allow them happy ending. Romeo and Juliet and Antony and Cleopatra are tragedies which have the lover's deaths at the end of the stories. But these two tragedies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comedies. Falling in love at first sight, dualism and the heroine who plays a leading role in love are common in comedies. In many Shakespearean drama, lov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me. In these two tragedies, love has both similarity and difference. In『Romeo and Juliet』we can understand that pure and fateful love exist. The Fate puts the young lovers through the wringer in the course of love fulfillment. She remains a spectator while they're falling in love and separate them by killing Mercutio and Tybalt after the wedding. The young lovers strive to fulfill their love, but Fate delays Friar John so that Romeo who thinks his lover is dead kills himself. The young lover's pure and devotional love touches the audience very deeply. On the other hand, Antony and Cleopatra's love looks different. It is not pure or devotional but has a sense of maturity and scheming. Cleopatra is very capricious and extremely calculating. Antony is torn by conflicting loyalties and impulses. They do not love devotedly each other. In nearly every case the encounters between the two lovers are marred by irritation, scorn, distrust, or coquetry. Their love is totally different with the young lover's. But these two mid-aged lovers prove their sincere love by killing themselves at the end of the story. Shakespeare used the devices of oxymoron and dualism to sharpen the love theme. An oxymoron is a figure of speech that combines contradictory terms. He used oxymoron to show the hidden truth behind the contradictory things. Of all Shakespeare's tragedies, Antony and Cleopatra present us with the most sustained vision of doubleness and change. The dualism of the two protagonists and their love undermine throughly the audiences and readers' ability to understand and judge them. The dualism in Antony and Cleopatra brings tragic end and it also strengthen its unique characters. The pure love story of Romeo and Juliet is a tragedy of Fate. The Fate brings tragic end to the lover. But we should recognize that there's another factor which drives this drama to a tragedy. That is unawareness. The participants' unawareness causes death of many people and the young lovers. Antony and Cleopatra is a tragedy of fortune. Shakespeare used the words 'fortune' 45 times here in the story. The fortune turns against Antony so he's preordained to fall. Fortune's turn down and dualism of the character draw tragic ending. Romeo and Juliet ends their lives to fulfill their love and their love ends the ancient grudge between two households. Antony and Cleopatra's deaths show us their bound. Shakespearean tragedies' stories lead up to the death or they include the death of the heroes. Similarly, the two love tragedy Romeo and Juliet and Antony and Cleopatra end with the deaths of lovers. We need to concentrate on the effect of their death. It gives us something more than just a sadness or pity. The two tragedies, Romeo and Juliet and Antony and Cleopatra can be catagorized as love tragedies. Both dramas deal with love as theme. These two have leading heroines which remind us the witty aspect of women in comedies. However, their characters cause tragic end. The two tragedies have diverse things in common but there are also differences. 셰익스피어는 희극과 비극에서 공통적으로 사랑을 다루고 있는데 그 진행과정이나 결말에는 상당한 차이점이 있다. 희극에 등장하는 연인들의 사랑은 고난과 역경을 거쳐 결국 결혼이나 이에 상응하는 행복한 결말을 맺는 반면 비극 속 연인들은 고난과 역경을 딛고 사랑을 하지만 죽음이라는 상이한 결말을 맺는다. 『로미오와 줄리엣』 그리고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는 사랑에 빠진 두 남녀의 죽음으로 극의 결말을 맺음으로써 셰익스피어 비극의 전형적인 공식을 따르고 있지만 그 비극성과 더불어 희극적인 요소들도 엿볼 수 있다. 첫눈에 빠지는 사랑, 이중성과 변덕, 사랑에 있어 적극적인 두 여주인공 등은 셰익스피어 희극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요소들과 공통점이 있다. 사랑은 장르에 상관없이 중요한 주제로 다뤄지며, 이 두 작품에서 사랑의 이야기를 살펴보면 두 쌍의 연인들의 사랑에는 공통점도 있지만 차이점 또한 두드러진다. 전자가 청년의 순수하면서도 운명적인 사랑을 그리고 있다면 후자의 경우 중년의 원숙하고 책략적인 사랑을 그리고 있다. 『로미오와 줄리엣』의 두 주인공의 사랑은 운명적이다. 운명(Fate)은 원한관계인 두 집안의 자제를 사랑에 빠지게 하고 그들의 결혼식 이후에 머큐쇼(Mercutio)와 티볼트(Tybalt)의 죽음으로 인해 연인을 갈라놓는다. 하지만 인간의 힘을 넘어서는 운명에도 어린 연인은 사랑을 지키고자 애쓰고, 갈수록 잔인해지는 운명은 존 신부(Friar John)를 지연시키며, 줄리엣이 가사상태에서 깨어나는 순간을 로미오가 독약을 마시는 순간보다 지연시켜 두 연인을 죽음에 이르게 한다. 오로지 사랑을 위해서 목숨을 버리는 어린 두 연인의 순수함과 헌신은 관객들에게 감동을 준다. 반면 중년의 연인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의 사랑은 조금 다른 양상을 보인다. 순수하고 헌신적인 로미오와 줄리엣과는 달리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의 사랑은 시작부터 원숙하고 계산적이다. 클레오파트라의 유혹으로 시작된 두 사람의 사랑은 본국에 아내를 두고 온 안토니로 하여금 클레오파트라를 향한 마음과 로마를 향한 마음이 수시로 뒤바뀌며 줄리엣만을 사랑하는 로미오와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게 만든다. 사랑에 눈이 먼 안토니는 용맹함과는 거리가 멀어지고 그의 맹목과 더불어 시저(Caesar)의 편인 행운(Fortune)은 이 중년의 연인들의 사랑을 비극으로 이끈다. 클레오파트라 역시 순수하고 사랑 앞에 솔직했던 줄리엣과는 너무나 다르게 온갖 술수로 안토니를 잡아두며 그녀의 속임수는 안토니를 죽음에 이르게까지 한다. 클레오파트라는 안토니의 적인 시저에게도 능수능란한 처세술을 부리며 안토니를 전장에서 도망쳐 나오는 치욕적인 행위를 하도록 만들기도 한다. 로미오를 위해 가짜 죽음을 선택한 줄리엣의 순수함과는 대조적으로 안토니의 마음을 사로잡으려는 클레오파트라의 노련한 책략이 돋보인다. 이 두 비극의 여주인공들은 사랑에 있어 매우 지배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14살에 불과한 어린 여인 줄리엣은 사랑을 고백해온 로미오에게 결혼에 대한 약속을 요구했을 뿐만 아니라 가부장적인 당시 사회에서 아버지의 뜻을 거스르며 로미오와의 사랑을 지키기 위해 노력한다. 줄리엣의 결단력은 두 번이나 죽음을 선택할 때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다. 비록 가짜 죽음이지만 무덤 속에 들어가야 하는 두려움을 감수하며 약을 마셨고, 로미오의 주검 앞에서는 한 치의 망설임도 없이 죽음을 선택했다. 클레오파트라 역시 안토니를 유혹한 후 두 사람이 함께 있을 때에도 끊임없는 술수로 그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또한 죽음까지도 철저하게 계산하며 결국 안토니와 함께 할 수 없는 세상을 스스로 저버린다. 이러한 사랑의 비극이라는 주제를 더 효과적으로 부각시키는 표현기법으로 작가는 모순어법(oxymoron)과 이중성(dualism)을 사용한다. 로미오와 줄리엣에서는 모순어법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상반되는 두 가지를 병치하여 그 안에서 숨은 진실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수사기법으로 두 사람의 비극적 사랑이 전개되는 동안 연인을 향한 진실한 마음을 드러내기도 하고 때로는 비극적인 결말을 암시하기도 한다.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에서는 특히 이중성이 두드러지는데, 로마와 이집트, 지조와 변덕, 용기와 사랑, 비극과 희극 등 양립할 수 없을 것 같은 대조적인 요소들이 극이 진행되는 동안 끊임없이 전개되며 등장인물을 돋보이게 한다. 어린 연인의 순수한 사랑을 그린 로미오와 줄리엣의 비극은 운명의 조정으로 비극적 결말을 맺고 있는데 그렇다고 이 이야기가 단순히 운명의 작용을 통해서만 전개되는 것은 아니다. 분명히 운명이 결말을 암시하지만 그 운명 안에서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다른 요소들 또한 명백히 존재한다. 그에 맞서려는 어린 연인의 노력은 운명을 꺾지 못하고 결국 죽음으로 끝이 나고 만다.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에서는 행운이 결말을 예고한다. 역사와 자연의 흐름에 의해, 이미 정해진 대로(preordained) 결국 시저의 것이 될 세상에서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는 로미오와 줄리엣의 헌신적이고 순수

      • 냉방 시 사무소 건물의 온도 성층화 향상을 위한 바닥공조시스템 제어 방안 연구

        손정은 한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바닥공조(Underfloor Air Distribution)시스템은 거주역(Lower Zone)과 비거주역(Upper Zone)으로 나누어 공조 공기를 바닥 패널(Raised Access Floor) 상부에 위치한 바닥 디퓨저(Floor Diffuser)를 통해 공조기로부터 실내 거주역으로 직접 공급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기존 천장취출형 공조(Ceiling Based Air Distribution)시스템에 비해 냉방운전 시 상대적으로 적은 반송동력과 높은 공급온도로 실내 설정온도를 맞출 수 있어 에너지 절약적인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바닥공조시스템과 관련하여 바닥공조시스템 관련 기술과 설계 지침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바닥공조시스템에서는 바닥 디퓨저로부터 취출 된 공조 공기가 실내 발생한 열부하(Heat Load)를 처리하고 천장(Return Plenum)으로 배기되면서 실내 온도 성층화(Temperature Stratification)가 발생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온도 성층화는 바닥에서 천장까지 일정하지 않은 수직 온도 분포로 공조된 찬 공기는 거주역에, 상승된 공기는 비거주역에 집중됨으로써 상대 밀도에 따른 내부 공기의 온도분포 결과이다. 온도 성층화가 잘 형성될수록 비거주역의 부하를 고려할 필요성을 없애주기 때문에 바닥공조시스템에서 에너지 효율에 매우 큰 영향을 주는 핵심적인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바닥공조시스템에서의 에너지 절감의 주요한 인자인 온도 성층화와 관련하여 무차원 계수인 Gamma와 Phi를 바탕으로 CFD와 EnergyPlus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바닥공조시스템에서의 온도 성층화 제어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각 시뮬레이션 조건에 따른 실내 온도 분포 분석을 통해 바닥공조시스템에서의 효과적인 설계 인자에 대해 평가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결과에 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Gamma와 Phi는 바닥공조시스템에서의 온도 성층화를 수치화하여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무차원 계수로 Gamma는 Phi를 구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Phi는 일반적으로 0.6에서 1의 범위 값 사이에서 계산되어 Phi 값이 0.6일 경우 이상적으로 온도 성층화가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 Gamma-Phi 관계식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CFD 시뮬레이션 및 실측 실험을 통해 다양한 조건 하에 실 높이에 따른 온도와 Gamma 조건 값을 대입하여 Gamma 값을 계산한 후 Gamma 값에 따른 Phi 값 변화를 회귀분석하여 Gamma-Phi 상관관계식을 산출할 수 있다. (2) 동일한 시뮬레이션 조건 하에 공급 풍량만을 75 ㎥/h(풍속 0.33 m/s), 225 ㎥/h(풍속 0.99 m/s), 300 ㎥/h(풍속 1.32 m/s)로 변화시켰을 때 75 ㎥/h로 풍량을 설정한 경우 실내 수직 온도 분포는 바닥에서부터 천장부근으로 가까워질수록 온도가 상승하는 분포를 나타내 온도 성층화가 형성된 가장 잘 형성 되었다. 반면, 225 ㎥/h, 300 ㎥/h로 공급 풍량을 상승시킨 경우 비거주역까지 공조 공기가 도달하게 되는 것을 보여 거주역만을 공조하는 온도 성층화 현상이 파괴되어 온도층이 발생하지 않고 실내 온도층이 형성되지 않아 공급 풍량이 증가할수록 온도 성층화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3) 동일한 풍량 하에 디퓨저의 개수만을 2개, 4개, 6개로 디퓨저 개수를 변화시켰을 때의 온도층 분포를 분석한 결과 설정한 디퓨저의 개수 2개로 가장 적게 설정하였을 때 온도층이 더 잘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디퓨저의 개수가 6개인 경우 실내 발생한 열부하 대비 디퓨저를 과도 설계하여 온도층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내 쾌적성을 기준으로 분석하자면 디퓨저 개수를 2개로 설정하였을 경우 실내 재실자의 불쾌적감을 야기시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므로 여러 분석 과정을 통해 실내 조건에 부합하는 디퓨저의 개수 설계를 설정하여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4) 취출구 헤드의 길이를 증가시키면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취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풍압이 낮아지게 되고 좁은 간격으로 몰리는 압력으로 인해 토출 공기의 각도가 곡선 방향으로 거주역을 전반적으로 선회하지 않고 디퓨저 주변의 공간에 집중적으로 몰리게 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5) 사무소 건물에 상용화 되는 디퓨저를 적용한 일반적인 사무소 건물을 모델링한 케이스와 이상적인 성층화 계수인 Phi 0.6값으로 고정한 케이스를 시뮬레이션하여 분석한 결과 내·외주부의 거주역 모두 냉방 설정온도인 26℃를 유지하지만, 외주부에서 상용 디퓨저를 적용한 케이스에서 거주역과 비거주역 온도가 동일한 것을 나타내 성층화가 형성되지 않았다. (6) 온도 성층화 계수인 Phi 값이 작을수록 거주역-비거주역 온도차가 증가하는 것으로 이는 실내 발생 부하 중 비거주역을 제외하고 거주역 발생 부하만을 집중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7) Phi 값 평균 0.08 작을수록 Chiller로 인한 에너지 소비량은 최대 약 15.2%의 냉방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an의 경우 약 17.6%의 에너지가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8) 내주부에서 디퓨저 당 공급 풍량이 높고 디퓨저 개수가 적은 순서대로 성층화 계수인 Phi 값이 높게 나타내며 실 전체 공조와 유사한 거주역-비거주역 온도차를 보였고, 공급 풍량을 가장 적게 설정하고 디퓨저 개수를 늘렸을 때 가장 낮은 Phi 값을 나타내어 적은 공급 풍량과 디퓨저 개수가 많을수록 일정한 거주역-비거주역 온도차가 발생하여 성층화가 더 잘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온도 성층화 현상은 공기의 자연대류 현상으로 생기기 때문에 각 디퓨저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풍량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9) 외주부의 경우, 공급 풍량을 가장 적게 설정하고 디퓨저 개수를 늘렸을 때를 제외하고 모든 Case들이 1.0의 Phi 값을 보여 성층화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공급 풍량을 가장 적게 설정하고 디퓨저 개수를 늘렸을 경우 디퓨저 개수가 많아 외주부 구역의 전반적인 공조가 가능하여 부하가 가장 많은 시간대에도 성층화 현상을 유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10) 디퓨저 개수를 증가함에 따라 각 Zone의 디퓨저 공급 풍량이 적어져 비거주역에 도달하지 않고 거주역을 선회하기 때문에 성층화가 가장 뚜렷하고, 환기(Return air) 온도와 공급(Supply air) 온도의 온도차가 커지면서 AHU의 공급 풍량이 작아져 에너지 절약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