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日韓両国の固有名詞における音相研究

        라 사치코 釜山大學校 2018 국내박사

        RANK : 1871

        本研究では、「ことばの音の響きが与えるイメージ」を「音相」と定義し、signifiantとsignifiéの関係が直接的かつ固定的とされる固有名詞を対象に、日韓両国における人名・車名・ホテル名の音相を分析し、その特徴を考察した。その結果は以下の通りである。 1)人名全体に使用される高頻度母音(中声)を比較すると、日本人名は、/a/,/o/,/ɯ/,/i/,/e/の割合順であるのに対し、韓国人名は/i//u/,/ʌ/,/jʌ/,/ju/の順であった。このうち、男女の割合差から音相を抽出した結果、日本人男性名は/o/、女性名は/a//i/であり、韓国人男性名は/u/、女性名は/ju/であった。よって、両国の人名において、性別を示唆する母音のプロトタイプには共通点が見られなかった。しかし、拍(音節)による音相を比較すると、男性の場合、語頭・語末ともに日本人が/o/、韓国人が/u/であり、女性の場合、日本人は語頭・語末ともに/i//a/、韓国人は語頭が/a//je/、語末が/ju/であった。したがって、語頭/a/は両国ともに女性名を示唆する母音であることが分かった。 次に、両国の人名全体に使用される高頻度子音(初声)を比較すると、日本人名は/Ø/,/k/,/ɾ/,/t/であるのに対し、韓国人名は/Ø/,/c/,/s/,/h/であった。このうち、男女の割合差から音相を抽出した結果、日本人男性名は/t/、女性名は/n//m/であり、韓国人男性名は/h//c/、女性名は/Ø/であった。拍(音節)による音相を比較すると、男性の場合、日本人は語頭が/ɾ//t/、語末が/t/であり、韓国人は語頭が/c//t/、語末が/h//c/であった。女性の場合、日本人は語頭が/m/、語末が/n/であるのに対し、韓国人は「語頭・語末」ともに/Ø/であった。したがって、語頭の破裂音/t/は両国ともに男性名を示唆する子音であることが明らかとなった。 2)車名全体に使用される高頻度母音(中声)を比較すると、日本車名は、/ɯ/,/a/,/i/,/o/,/e/の割合順であり、韓国車名は/a/,/ɯ/,/o/,/e/であった。また、拍(音節)における最多母音は、語頭の場合、両国ともに/a/であり、2拍(音節)目の場合、日本車/ɯ/、韓国車/a/、語末の場合、両国ともに/ɯ/であった。したがって、両国の車名における母音のプロトタイプは語頭/a/及び語末/ɯ/が共通しており、2拍(音節)目に相違点が現れることが分かった。 空間別全体では、「小」の場合、日本車/o/、韓国車/a//e/であり、「大」の場合、日本車/a/、韓国車/ʌ//ɛ/であった。拍(音節)別では、「小」の場合、語頭は日本車/o/、韓国車/a//i/、2拍(音節)目は両国ともに/o/、語末は日本車/o/、韓国車/a/であった。「大」の場合、語頭は日本車/e/、韓国車/o/、2拍(音節)目は両国ともに/a/、語末は日本車/a/、韓国車/ʌ/であった。したがって、2拍(音節)目は両国ともに/o/が「小」であり、/a/が「大」の音相であるという共通点が見られた。 価格別全体では、「低」の場合、日本車/o/、韓国車/a//e/であり、「高」の場合、日本車/ɯ//e/、韓国車/ʌ//i/であった。拍(音節)別では、「低」の場合、語頭は日本車/o/、韓国車/i/、2拍(音節)目は日本車/i/、韓国車/o/、語末は日本車/o/、韓国車/a//o/であった。「高」の場合、語頭は日本車/e/、韓国車/o/、2拍(音節)目は日本車/a/、韓国車/i/、語末は日本車/a/、韓国車/i//ɯ/であった。したがって、語末は両国ともに/o/が「低」の音相であるという共通点が見られ、特に語頭・2拍(音節)目は両国で異なる音相を持っ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 次に、両国の車名全体に使用される高頻度子音(初声)を比較すると、日本車名は、/Ø/,/ɾ/,/s/であり、韓国車名は、/ɾ/,/Ø/,/tʰ/,/s/であった。つまり、両国の車名には流音/ɾ/と摩擦音/s/が多用されるという共通点が確認できた。また、拍(音節)における最多子音は、語頭の場合、両国ともにゼロ子音/Ø/、2拍(音節)目の場合、両国ともに/ɾ/、語末の場合、日本車が/Ø/、韓国車が/s/であった。したがって、両国の車名における子音のプロトタイプは語頭が/Ø/と2拍(音節)目が/ɾ/という共通点を有しており、語末に相違点が現れることが分かった。 空間別全体では、「小」の場合、日本車/k/、韓国車/p/であり、「大」の場合、日本車/d/、韓国車/Ø/であった。拍(音節)別では、「小」の場合、語頭は日本車/s//k/、韓国車/c/、2拍(音節)目は両国ともに/p/、語末は日本車/s//t/、韓国車/ɾ/であった。「大」の場合、語頭は日本車/g//v/、韓国車/kʰ/、2拍(音節)目は両国ともに/ɾ/、語末は日本車/d/、韓国車/p/であった。したがって、2拍(音節)目は両国ともに/p/が「小」であり、/ɾ/が「大」の音相であるという共通点が見られた。 価格別全体では、「低」の場合、日本車/p//k/、韓国車/ɾ/であり、「高」の場合、日本車/d//Ø/、韓国車/Ø/であった。よって、価格別による子音の音相は「高」のゼロ子音/Ø/に共通点が見られることが分かった。拍(音節)別では、「低」の場合、語頭は日本車/k/、韓国車/ɾ/、2拍(音節)目は両国ともに/p/、語末は日本車/t/、韓国車/ɾ/であった。「高」の場合、語頭は日本車/m/、韓国車/kʰ/、2拍(音節)目は日本車/ɾ/、韓国車/pʰ/、語末は日本車/d/、韓国車/p/であった。したがって、2拍(音節)目/p/が「低」の音相であるという共通点が見られ、語頭・語末は両国で異なる音相を持っ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 3)造語ホテル名全体に使用される高頻度母音(中声)を比較すると、日本は/ɯ/,/o/,/e/,/a/,/i/の割合順であるのに対し、韓国は/i/,/e/,/a/,/ɯ//o/の順であった。また、「低・高」における割合差から各音相を抽出した結果、語頭の場合、「低」は日本が/a/、韓国が/wa/であり、「高」は日本が/ɯ/、韓国が/e//o/であった。語末の場合、「低」は両国ともに/i/であり、「高」は日本が/e//o/、韓国が/e/であった。したがって、語末/i/は両国ともに「低」を、/e/は「高」を示唆する母音であることが確認できた。 次に、両国の造語ホテル名全体に使用される高頻度子音(初声)を比較すると、日本は、/Ø/,/ɾ/,/t/であるのに対し、韓国は/Ø/,/p/,/c/であった。また、「低・高」における割合差から各音相を抽出した結果、語頭の場合、「低」は日本が/d//v/、韓国が/c/であり、「高」は両国ともに/ɾ/であった。語末の場合、「低」は日本が/d/、韓国が/p/であり、「高」は日本が/Ø/、韓国が/tʰ/であった。したがって、語頭/ɾ/は両国ともに「高」を示唆する子音であるという共通点が見られた。 본 연구에서는 ‘언어음이 주는 이미지’를 ‘音相’이라고 정의하고, 원칙적으로 signifiant과 signifié의 관계가 직접적이고 고정적인 고유명사를 대상으로 인명, 자동차명, 호텔명의 音相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명 전체에 사용된 高頻度 母音(中声)을 비교하면, 일본인 인명은 /a/,/o/,/ɯ/,/i/,/e/, 한국인 인명은 /i//u/,/ʌ/,/jʌ/,/ju/의 비율 순이었다. 이 중 남녀의 비율차에서 각 音相을 추출한 결과 일본의 경우 남성 인명은 /o/, 여성 인명은 /a/ /i/이었고, 한국의 경우 남성 인명은 /u/, 여성 인명은 /ju/이었다. 즉 양국 인명에 사용된 母音에는 성별에 따른 공통적인 프로토타입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拍(音節)에 따른 音相을 비교하면, 남성의 경우 語頭・語末 모두 일본인은 /o/, 한국인은 /u/이며, 여성의 경우 일본인은 語頭・語末 모두에서 /i/ /a/가, 한국인은 語頭에서는 /a/ /je/, 語末에서는 /ju/이었다. 따라서 語頭/a/는 양국 모두 여자 인명을 시사하는 母音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인명 전체에 사용된 高頻度 子音(初声)을 비교하면, 일본인 인명에서는/Ø/,/k/,/ɾ/,/t/이었고, 한국인 인명에서는 /Ø/,/c/,/s/,/h/이었다. 이 중 남녀의 비율차에서 각 音相을 추출한 결과, 일본의 경우 남성 인명은 /t/, 여성 인명은 /n/ /m/이며, 한국의 경우 남성 인명은 /h/ /c/, 여성 인명은 /Ø/이었다. 拍(音節)에 따른 音相을 비교하면, 남성의 경우 일본인은 語頭에서 /ɾ/ /t/, 語末에서 /t/이며, 한국인은 語頭에서 /c/ /t/, 語末에서 /h/ /c/이었다. 여성의 경우 일본인은 語頭에서 /m/, 語末에서 /n/이었고, 한국인은 語頭・語末 모두 /Ø/이었다. 따라서 語頭의 破裂音/t/는 양국 모두 남자 인명을 시사하는 子音으로 나타났다. 2) 자동차명 전체에 사용된 高頻度 母音(中声)을 비교하면, 일본 자동차명에는/ɯ/,/a/,/i/,/o/,/e/의 비율 순이었고, 한국 자동차명에는 /a/,/ɯ/,/o/,/e/의 순이었다. 또한 拍(音節)에 따른 최다 母音은 語頭의 경우 양국 모두 /a/이며, 2拍(音節)의 경우 일본 자동차명은 /ɯ/, 한국 자동차명은 /a/이고, 語末의 경우 양국 모두 /ɯ/이었다. 따라서 양국의 자동차명에 사용된 母音의 프로토타입은 語頭/a/와 語末/ɯ/에서 공통점이 있고, 2拍(音節)에서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차량의 공간 크기에 따른 자동차명 전체의 母音을 비교해보면, 「小」의 경우 일본자동차명은 /o/, 한국 자동차명은 /a/ /e/이며, 「大」의 경우 일본 자동차명은 /a/, 한국 자동차명은 /ʌ/ /ɛ/이었다. 拍(音節)에 따른 音相을 비교하면, 「小」의 경우 語頭에서는 일본 자동차명은 /o/, 한국 자동차명은 /a/ /i/, 2拍(音節)에서는 양국 모두 /o/, 語末에서는 일본 자동차명은 /o/, 한국 자동차명은 /a/이었다. 「大」의 경우 語頭에서는 일본 자동차명은 /e/, 한국 자동차명은 /o/, 2 拍(音節)에서는 양국 모두 /a/, 語末에서는 일본 자동차명은 /a/, 한국 자동차명은 /ʌ/이었다. 따라서 2拍(音節)은 양국 모두 /o/가 「小」이며, /a/가 「大」의 音相 이라는 공통점임을 알 수 있다. 차량의 가격 차이에 따른 자동차명 전체의 母音을 비교해보면, 「低」의 경우 일본 자동차명은 /o/, 한국 자동차명은 /a/ /e/이며, 「高」의 경우 일본 자동차명은 /ɯ/ /e/, 한국 자동차명은 /ʌ/ /i/이었다. 拍(音節)에 따른 音相을 비교하면, 「低」의 경우 語頭에서는 일본 자동차명은 /o/, 한국 자동차명은 /i/, 2拍(音節)에서는 일본 자동차명은 /i/, 한국 자동차명은 /o/, 語末에서는 일본 자동차명은 /o/, 한국 자동차명은 /a/ /o/이었다. 「高」의 경우 語頭에서는 일본 자동차명은 /e/, 한국 자동차명은 /o/, 2拍(音節)에서는 일본 자동차명은 /a/, 한국 자동차명은 /i/, 語末에서는 일본 자동차명은 /a/, 한국 자동차명은 /i/ /ɯ/이었다. 따라서 語末에는 양국 모두 /o/가 「低」의 音相이라는 공통점이 보이고, 語頭・2拍(音節)에서는 양국이 각기 다른 音相을 가지고 있었다. 다음으로, 양국의 자동차명 전체에 사용된 高頻度 子音(初声)을 비교하면, 일본 자동차명은 /Ø/,/ɾ/,/s/이었고, 한국 자동차명은 /ɾ/,/Ø/,/tʰ/,/s/이었다. 즉 양국의 자동차명에는 流音/ɾ/과 摩擦音/s/가 많이 사용된다는 공통점이 확인 되었다. 그리고 拍(音節)에서 최다 子音은 語頭의 경우 양국 모두 /Ø/, 2 拍(音節)의 경우 양국 모두 /ɾ/, 語末의 경우 일본차가 /Ø/, 한국차가 /s/이었다. 따라서 양국의 자동차명에서 子音의 프로토타입은 語頭가 /Ø/ 그리고 2 拍(音節)이 /ɾ/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語末에서는 상이점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차량의 공간 크기에 따른 전체 子音은 「小」의 경우 일본 자동차명은 /k/, 한국 자동차명은 /p/이며, 「大」의 경우 일본 자동차명은 /d/, 한국 자동차명은 /Ø/이었다. 拍(音節)에서는 「小」의 경우 語頭에서는 일본 자동차명은 /s/ /k/, 한국 자동차명은 /c/, 2 拍(音節)은 양국 모두 /p/, 語末은 일본 자동차명은 /s/ /t/, 한국 자동차명은 /ɾ/이었다. 「大」의 경우 語頭에서는 일본 자동차명은 /g/ /v/, 한국 자동차명은 /kʰ/, 2拍(音節)은 양국 모두 /ɾ/, 語末은 일본 자동차명은 /d/、한국 자동차명은 /p/이었다. 따라서 2拍(音節)은 양국 모두 /p/가 「小」이고, /ɾ/이 「大」의 音相이라는 공통점을 볼 수 있다. 차량의 가격 차이에 따른 전체 子音은 「低」의 경우 일본 자동차명은 /p/ /k/, 한국 자동차명은 /ɾ/이고, 「高」의 경우 일본 자동차명은 /d/ /Ø/, 한국 자동차명은 /Ø/이었다. 따라서 가격에 따른 子音의 音相은 「高」의 /Ø/에 공통점이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拍(音節)에서는 「低」의 경우 語頭에서는 일본 자동차명은 /k/, 한국 자동차명은 /ɾ/, 2拍(音節)은 양국 모두 /p/, 語末은 일본 자동차명은 /t/, 한국 자동차명은 /ɾ/이었다. 「高」의 경우 語頭에서는 일본 자동차명은 /m/, 한국 자동차명은 /kʰ/, 2拍(音節)은 일본 자동차명은 /ɾ/, 한국 자동차명은 /pʰ/, 語末은 일본 자동차명은 /d/, 한국 자동차명은 /p/이었다. 따라서 2拍(音節) /p/가 「低」의 音相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語頭・語末은 양국이 각기 다른 音相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造語 호텔명 전체에 사용되는 高頻度 母音(中声)을 비교하면, 일본은 /ɯ/,/o/,/e/,/a/,/i/ 의 비율 순인 것에 비해, 한국은 /i/,/e/,/a/,/ɯ//o/의 비율 순이었다. 그리고 「低・高」의 비율차에서 각 音相을 추출한 결과, 語頭의 경우 「低」는 일본이 /a/, 한국이 /wa/이며, 「高」는 일본이 /ɯ/, 한국이 /e/ /o/이었다. 語末의 경우 「低」는 양국 모두 /i/이고, 「高」는 일본이 /e/ /o/, 한국이 /e/이었다. 따라서 語末/i/는 양국 모두에서 「低」를, /e/는 「高」를 시사하는 母音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양국의 造語 호텔명 전체에 사용되는 高頻度 子音(初声)을 비교하면, 일본은 /Ø/,/ɾ/,/t/인 것에 비해, 한국은 /Ø/,/p/,/c/이었다. 그리고 「低・高」의 비율차에서 각 音相을 추출한 결과, 語頭의 경우 「低」는 일본이 /d/ /v/、한국이 /c/이며, 「高」는 양국 모두 /ɾ/이었다. 語末의 경우 「低」는 일본이 /d/, 한국이 /p/이고, 「高」는 일본이 /Ø/, 한국이 /tʰ/이었다. 따라서 語頭 /ɾ/은 양국 모두 「高」를 시사하는 子音이라는 공통점이 보였다.

      • 배지조성과 배양환경이 감자 마이크로튜버 대량생산에 미치는 영향

        순일 삼육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1855

        감자 마이크로튜버는 크기가 1g 이하로 실내의 배양용기에서 생산하므로 연중 계획생산이 가능하며 노지 재배를 위해서는 무게가 0.3g 이상, 미니튜버 생산을 위해서는 0.2g 이상이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0.2g 이상의 마이크로튜버를 대량생산하기 위하여 고안한 가로 20×세로 13×높이 3.5㎝의 배양용기에 액체배지를 공급하여 최적 배양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배양소식물체의 크기, 배양밀도, sucrose 농도, 배양온도와 광주기, 배지의 질소원 및 생장억제제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감자 품종은 수미(superior)를 사용하였으며, 소식물체의 정단부 1∼1.5㎝를 액체배지에 치상하여 약 20일 간 배양하여 생산된 소식물체를 실험에 사용하였고 계대배양으로 유지하면서 실험 재료로 사용하였다. 배양용기 당 액체배지 180㎖씩 넣고 마디절편 50∼60개를 치상하여 온도 17.5±1.0℃, 연속 암 조건에서 8주간 배양하여 마이크로튜버를 생산하였다. 마디 절편의 평균 굵기 1.91㎜, 1.52㎜ 및 1.13㎜로 구분하여 배양한 결과 마디 절편이 굵을수록 마이크로튜버의 출현기간이 짧았으며, 생체중도 굵기가 클수록 무거웠으며 1.91㎜의 경우 생체중은 0.403g/개이었다. 마디절편의 배양 밀도를 용기 당 40, 60 및 80개, 배지의 sucrose 농도를 6, 8 및 10%로 배양했을 때 마이크로튜버의 생체중은 sucrose 10%, 밀도 60개의 마디 절편을 배양했을 때 0.342g/개로 가장 무거웠으며, 건물중은 생체중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배양온도를 12.5, 15, 17.5 및 20℃에서 배양한 결과, 마이크로튜버의 직경은 온도가 높을수록 크기가 커졌다. 생체중은 15℃와 17.5℃에서 0.364g과 0.354g으로 가장 컸으며 건물중도 생체중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광조건과 암 조건을 24시간 주기로 설정하여 0/24, 4/20 및 8/16시간의 3처리로 배양 한 결과 마이크로튜버의 출현은 0/24시간 주기(연속 암 조건)에서 가장 빨랐으며, 생체중은 8/16시간에서 0.301g으로 가장 컸으며, 4/20시간과 0/24시간은 0.265g과 0.253g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암모니아태질소와 질산태질소의 비율인 1:2 을 유지하면서 질소 농도를38.8, 46.8, 52.8 및 60.0mM로 하고 pH는 5.7로 배양한 결과 마이크로튜버의 1개의 생체중은 질소의 총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52.8mM에서 0.279g으로 가장 컸으며, 건물중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질소의 농도를 48∼52mM 범위에서 암모니아태 질소와 질산태 질소의 비 율을 1:1.7, 1:1.9, 1:2.2 및 1:2.6으로 조성하여 배양한 결과 생체중은 NH4+-N:NO3--N 비가 1:2.6일 때 0.287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1:1.6일 때 0.223g으로 가장 작았다. 건물중도 생체중과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지베렐린 합성 억제제로 알려진 chlorocholine cholride(CCC), ancymidol (ANC) 및 paclobutrazo(PAC)를 처리하였다. CCC는 0.3×10-4M, 0.6×10-4M, 0.3×10-3M, ANC는 9.8×10-6M, 1.9×10-5M, 1.9×10-4M, PAC는 1×10-6M, 1×10-5M, 5×10-5M를 처리하였다. 무처리에 비하여 CCC 0.3×10-4M과 ANC 1.9×10-5M에서 생체중이 컸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PAC는 1.0×10-5M에서 가장 좋았으나 무처리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마이크로튜버 크기를 大(500㎎ 이상), 中(300∼500㎎) 및 小(100∼300㎎)로 구분하여 3.5℃에 암 조건에 30일, 90일 및 180일 저장한 후 맹아율을 조사한 결과, 30일간 저장이 끝난 후 맹아율은 98.6∼89.2%로 높은 맹아율을 나타냈으며, 180일 저장 끝난 후에는 86.4%(대)∼61.2%(소)를 나타내어 크기가 클수록 저장 후 높은 맹아율을 보였다. 마이크로튜버의 대량생산 기술 확립을 위하여 배양 조성과 배양환경을 구분하여 최적의 조건을 구명하였다. 배지의 sucrose 농도는 10%, 배양 용기 당 줄기 절편은 60개를 치상하고 배지 내 질소 농도는 52.8mM을 기준으로 암모니아태질소와 질산태질소의 비를 1:2.6으로 구성해야한다. 해당 배양 조성을 기준으로 광주기 8/16시간과 15~17.5℃ 온도로 배양하여 60일 후 수확을 하면 고효율의 마이크로튜버 생산을 기대할 수 있다.

      • 中高等學生의 非行實態와 그 原因糾明의 摸索에 관한 硏究

        소순아 漢城大學校 行政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quire into the reality of juvenile delinquency and its cause. Juvenile delinquency is understood as a serious problem of our society. Under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find out how far juvenile delinquency is arising and how far it is a serious problem. Therefore, an attempt was made to inquire into the factor of juvenile delinquency in Korea through an questionnaire research on respondents' characteristics such as personal data, family and school life, the reality of juvenile delinquency, and so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 follows: Firstly, juvenile delinquency was analyzed to include a diversity of delinquent experiences overall. Secondly, it was found that family concord, the extent of parental interest in the degree of conversation, cold treatment, family type and the like exerted a great effect on juvenile delinquency. Thirdly, experiences demonstrated that the influence of friends on the friendship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peer group,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quality friends exerted a decisive impact on juvenile delinquency. Fourthly, it is necessary to revise and complement all sorts of laws and regulations to suit the reality and be feasible to a maximum at national level and to enact new laws and regulations. Fifthly, it is desirable that specialists able to have the greatest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should take a direct part to in maximizing the function of guiding, protecting and disciplining adolescents. On the other hand, it is desirable for non-specialists to participate in adolescent guidance. Based up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make a few suggestions as follows : Firstly, the method of scholastic achievement oriented toward entrance examination is sickening human education in terms of human emotion, ethics and morality. For propose of education for the whole man, it is desirable to conduct human education thoroughly in teams of emotional cultivation, moral development and ethics for adolescents. This role is most effective when it may well boldly be accepted and proceed to be actively played on the educational scene. Secondly, the climate of the times by interaction between members of society other than all sorts of norms can exert a great influence on the occurrence of undesirable adolescents. The social aspect of unwholesome and decadent trends and pursuit for happiness is a major fact or to sicken the value-view of adolescents who live in an age. Considering that unwholesome society has a great effect on juvenile delinquence, adults will have to become a model of adolescents and take the lead in guiding adolescents into a right road.

      • Effects of supplemental normal-acetyl L-tryptophan on myogenic differentiation in BEFS-MyoD cell lin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Korean native steers : Normal-acetyl L-tryptophan(NALT)의 첨가가 소의 태아 유래 섬유아세포(BEFS-MyoD cell)의 근육분화와 한우 거세우의 도체

        아예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4

        본 연구의 목적은 L-트립토판이 비육기 한우의 근육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in-vitro, in-vivo 실험 방법을 통해 진행하였다. 5가지의 농도의 acetate 결합 L-트립토판 (NALT) (0, 25, 50, 100, 200 μM)을 근육 분화 시 소 태아 유래 섬유아 세포 주 (BEFS-MyoD 세포) 처리 후, desmin (Des) 유전자의 발현을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화가 된 세포들의 경우 50 μM NALT을 처리하였을 때 유전자의 발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그 후 BEFSMyoD 세포에 각 성분들이 근육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이 농도로 추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조군과 50 μM L-트립토판, 50 μM acetate (Ac), 50 μM L-트립토판과 Ac 혼합군 및 50 μM NALT군으로 첨가 결과 MyoD 와 Des 유전자의 발현은 NALT와 L트립토판와 Ac 혼합군에서 발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Des의 경우 두 군 간에 발현이 비슷하였으나, MyoD의 경우 NALT 군의 발현량이 높았다 (P < 0.05). NALT가 비육우에서 도체성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10마리의 한우 거세우 (23개월령, 평균 체중 596±4.7 kg, 평균 초음파 마블링 지수 3)를 2개의 군으로 무작위로 배치 후 각각 대조군 (0% NALT), 첨가군 (0.1% NALT/kg diet)로 6개월간 급여하였다. 실험 결과, NALT 첨가 급여는 일당증체량 (ADG) (0.51±0.043 kg vs 0.64±0.059 kg)의 증가 및 사료 요구율 (FCR) (30.1±2.69 vs 24.0±2.08) 개선 효과를 보였으며 (P < 0.05), 등지방 두께 (18.0±2.70 vs 14.6±0.81 mm) (P = 0.285), 그리고 평균 마블링 지수 (5.8±0.92 vs 7.0±0.55) 같은 비육기 한우의 도체성적을 향상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NALT의 첨가 급여는 육색, 지방색, 조직감 및 성숙도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경제성 분석에서 NALT의 급여는 대조군 보다 사료비를 절감하여 보다 첨가군에게 이윤을 발생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NALT는 비육우 한우의 육색, 지방색, 조직감 및 성숙도 등에 아무런 부정적인 영향이 없으면서 성장 증진, 도체성적 향상, 이윤 발생에 효과적인 비육 말기 사료첨가제로 충분히 사용 가능할 것으로 제안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s of acetate-conjugated Ltryptophan (NALT) on the myogenesis,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traits using both in-vitro and in-vivo studies to shorten the fattening period of Korean native cattle. In in vitro study, relative mRNA expressions of desmin (Des) by real-time PCR analysis in bovine embryonic fibroblast cells (BEFS-MyoD) induced to myogenic differentiation with different levels (0, 25, 50, 100, 200 μM) of normal-acetyl Ltryptophan (NALT) were conducted. The differentiated cells showed the highest Des expression at 50 μM NALT (P < 0.05). Then, another similar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his level to test the individual effect of each compound on myogenic differentiation in BEFS-MyoD cells. The test included control group without any supplement, 50 μM L-Trp, 50 μM Ac, 50 μM mixture of L-Trp + Ac and 50 μM NALT. The results showed that MyoD and Des expressed more abundantly in both NALT and a mixture of L-trp+Ac groups compared with others (P < 0.05). Des expressed similarly between these two groups, but MyoD expressed significantly higher in NALT group than in a mixture of L-trp+Ac group (P < 0.05). In in vivo study,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traits of 10 Korean native steers (23-months old; average BW 596 ± 4.7 kg; average ultra sonographic marbling score were observed, bein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supplemented with 0% NALT as control and 0.1% NALT as treatment for 6 months. We found that dietary supplementation of NALT improves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traits in Korea native steers, with average daily gain (ADG) of 0.51±0.043 kg vs 0.64±0.059 kg; feed conversion ratio (FCR) of 30.1±2.69 vs 24.0±2.08; back-fat thickness of 18.0±2.70 vs 14.6±0.81 mm; and average marbling scores of 5.8±0.92 vs 7.0±0.55 for control and supplemented groups respectively. Additionally, in economic analysis, it was estimated that NALT supplementation reduced feed costs and generated more profits than control feeding system. Therefore, we concluded that NALT could be supplemented to beef cattle’s finishing diet in an effective dosage to improve their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economical profits without any negative effects on meat color, fat color and meat texture.

      • 사용자 경험중심의 복합상업시설 실내 공공공간 아트리움의 서비스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대형 복합상업시설은 생활에서 갈수록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다. 물질적인 삶이 풍부한 사회에서는 복합 상업 시설에 대한 사람들의 수요는 단순한 물질적 수요에서 정신적 향락으로 상승하였다. 전통적인 상업 시설은 이미 고차원적인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다. 사용자들은 상업시설 내 공공공간에 대한 요구가 디자이너들의 디자인할때 포인트로 작용한다. 건물 내부의 기능도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다원화하고 있다. 규모가 큰 복합상업시설은 교통, 쇼핑, 오락, 등의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전통적인 상업시설이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복합상업시설은 이용자들에게 다원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가능한 모든 연령대의 사용자를 만족시키다.대형 복합 상업 시설은 다원적인 주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좋은 경험을 가져다 주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서울 4개 복합상업시설을 선정하였다. 복합상업시설의 내부 공공공간을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복합상업시설의 공공공간은 1층 진입공간, 아트리움, 보행로, 교차로를 포함한다. 복합상업시설의 공공영역은 기능면에서 주로 집산, 교통소산으로 표현된다. 사용자의 소비 외의 휴식, 교류 등 활동 니즈를 만족시킨다. 사용자에게 공공 활동 공간을 제공한다. 복합상업시설의 실내 공공공간은 계절, 기후 등의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고 복합상업시설에 대한 사용자의 체류기간을 연장할수 있다. 공간 디자인은 사용자의 체류 기간과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공간 디자인은 복합상업시설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 복합상업시설의 공공공간은 단순한 매개공간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사용자의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는 감성공간이다. 사용자의 공간에 대한 체류시간과 장소에 대한 정체성을 증가시키고, 시설 활성화 효과를 발휘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바탕으로 설문 조사의 내용을 디자인했다. 조사결과를 SPSS로 분석하여 사용자 중심으로 서비스 가이드라인을 제기하다. 본 연구에서는 2개의 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바탕으로 한 설문 방법과 인터뷰 조사 방법을 통해 사용자의 의견을 분석하여 총괄해 내다. 복합상업시설 실내 공공공간 사용자의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사용자가 복합상업시설의 외식, 쇼핑, 오락 등이 일체화된 공간을 선호하지만사용자는 복합상업시설 내부공간을 사용하며 복잡한 공간 구조 때문에 사용자가 항상 방향을 못 잡곤 한다. 사용자가 처음 공간을 방문했을 때 공간의 기본적인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없다. 복합상업시설 공공공간은 디자인에 있어서 천편일률적이다. 공간은 개성적인 디자인이 부족하며, 공간은 디자인의 세부 사항에 있어서 매력적인 부분이 없다. 따라서 공간의 접근성이 낮다. 사용자의 진정한 니즈를 이해하려면 다양한 조사방법으로 사용자를 조사해야 한다. 데이터를 수집 후에 SPSS로 종합분석을 실시한다, 다양한 조사 방법을 통해 사용자의 진정한 니즈를 찾다.

      • 신석정 시의 주체 변모 양상 연구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7 국내박사

        RANK : 1839

        辛夕汀(1907~1974)是韓國現代文學史上的一位著名詩人。自從1924年在 《朝鮮日報》上發表處女作《日落西斜》以來,直到1974年逝世,他的文學創作生 涯長達半個世紀。辛夕汀的詩歌中繼承了東方山水田園詩的傳統,因此他一直 被視為田園牧歌詩人。本文通過考察辛夕汀詩作品中所體現的主體意識,來說 明他不僅熱愛自然,對時代的變化和現實問題也非常敏感。自然與現實是主體 始終如一的關心對象,筆者深入分析了兩者是如何有機結合的,從而得出隨著 時間的推移主體對於自然與現實的認識步步加深的結論。 辛夕汀詩歌作品的先前研究主要圍繞他生前出版的五本詩集而展開。但是關 於他的遺稿詩集的研究卻基本處於空白階段。遺稿詩集《我想歌唱的是》是詩人 生前親自誊写整理而成的,足以可見其研究價值。然而這本詩集在他去世后的 2007年才得以出版并公佈於世。為了彌補研究史上的空白,本文將包括遺稿詩 集在內的共六本詩集作為研究對象,并依據每本詩集的主題意識與創作背景將 辛夕汀的詩歌世界劃分為初·中·后三個時期,具體分析各個時期詩歌作品中所 體現的主體特征,找出變化中的主體之間的內在聯繫。 首先,第二章中對日本殖民地時期創作的初期詩集《燭光》和《悲傷的牧歌》 進行了考察。《燭光》中的主體以幼稚天真的幼兒身份出現,他不斷呼喚“母 親”,反復懇請母親帶他到完美無瑕的自然空間里結伴生活。主體試圖與母親成 為一體來否定外部世界的存在,但殖民地現實使主體感到不安,這種不安情緒 無意識地從字裡行間中表現出來。主體的這種特點,恰好可以用精神分析學理 論來解釋。 根據精神分析學理論,想象界的本質是主體的自我欺騙。幼兒出生之前與 母親一體,感受到的是完整感和安全感,而出生后,幼兒覺得自己的身體是支 離破碎、不完整的,因此他希望通過與母親的結合統一來認同自我,否定現實 的不完美。但幼兒和母親終究是兩個不同個體,這種認同必然是失敗的,幼兒 被自己編織的想象關係中的母親所異化。因此《燭光》中的主體從表面上看是在 有意識地追求理想的自然空間,但他對現實的不安意識卻從來沒有消失過。 《悲傷的牧歌》里主體的視線從遙遠的理想空間轉移回“地球”的現實空間。與完美無瑕的想象空間相比,地球是失去生命力的絕望空間,是當時社會現實 的寫照。作為代替母親位置的他者,屠格涅夫筆下為祖國解放而勇敢奮鬥的青 年“英沙羅夫”成為主體想要認同的對象。主體通過與他們的想象性認同來間接 參與社會,但與此同時又因未能直接參與社會活動而感到慚愧自責,就這樣主 體再次被異化。 需要注意的是,在這種認同與異化的反復作用中與他者相似的主體原型逐 漸形成,即《燭光》中的自然親和性自我與《悲傷的牧歌》中的社會參與性自我逐 步成型,在初期作品中形成的主體的這兩種性格也同樣體現在中·后期詩歌作品 中,并獲得進一步的發展與完善。 第三章中考察了辛夕汀中期詩歌中的主體特征。中期詩集有《冰川》和《山之 序曲》,這兩本詩集分別是在六·二五戰爭和四·一九革命的時代背景下創作而成 的。《冰川》中的主體開始直視飽受六·二五戰爭之苦的民眾的生活現場,同情民 眾生活的艱辛困苦。與《悲傷的牧歌》時期相比,《冰川》中的主體對於社會現實 的認識變得更加真實深刻。 《山之序曲》中的主體將矛頭直接指向無視民眾權利的李承晚政權,並且表 現出克服現實困難的堅定意志。他提出民眾是創作歷史的主體,因此每個人都 應當充分發揮主觀能動性,結成民眾共同體參與到爭取民主的社會活動中去。 另外,主體將自然界的運行規律類比人類歷史發展的規律,堅定了民主主義必 將取得勝利的信心。《山之序曲》中呈現出來主體的民眾歷史觀和高度社會責任 感正是基於《冰川》中對現實的深刻認識。 後期詩集《竹風之音》和《我想歌唱的是》是在以朴正熙總統為首的權威主義政權期的時代背景下創作的,在第四章中主要分析了這兩本詩集中所體現的主 體特點。后期詩歌中的主體意識到了近代化的虛偽和不切實際,體會到了人類 社會的變化無常和局限性,揭露了疾速發展的城市化過程中自然與人性遭到前 所未有的嚴重破壞的問題。 作為解決問題克服人與自然之間的衝突的途徑,他主張要擺脫自我中心主 義和人類中心主義的思考方式,恢復人的自然本性。後期作品中的主體展現出 了拋開世俗慾望心繫天地萬物的“無為自然”境界。主體暗示道家哲學中的無為 自然思想有助於在更高的層面上理解人類社會的諸多問題,給未來社會的發展 指出新的方向。 另一方面,主體提出無為自然也是對當時苦悶壓抑的社會現實的一種迂迴 抵抗,儘管之前的研究中只單純地把辛夕汀的後期詩歌歸類為自然關照性質的 詩歌。筆者發現後期作品中出現的仲長統,山濤和嵇康等人物皆為魏晉時期的 玄學家,他們都熱愛老莊思想,主張儒道合一的政治理想。而在文人的言論自 由受到嚴厲制約的當時,作品中主體對這些玄學家的羨慕之情恰好可以解讀為 對於當時政治體制的不滿情緒的間接表達。 在主體不斷變化的過程中,自然與現實一直是主體的關心對象,兩者交織 成一條主線貫穿辛夕汀的整個詩歌世界。考察自然與現實的關係變化可以豐富 對主體的理解,更加立體地把握主體特征。總的來說,初期詩歌中的自然是以 母親為表象的理想空間,這與殖民地時期黑暗的現實空間相對立,給主體提供 了一個逃避現實的烏托邦。與初期詩歌相比,中期詩歌中的自然是與勞苦大眾 的命運緊密相連的,象征著民眾頑強不息的生命力,給處於貧困壓迫中的民眾 以希望和克服現實的意志。後期詩歌中的自然則是基於現實卻又超越現實的道 家哲學中的“無為自然”。由此可見隨著時間的變化主體對於自然與現實的理解 是步步加深的。 신석정(辛夕汀, 1907~1974)은 1924년 《조선일보》에 「기우는 해」라는 처녀작 을 발표하면서부터 1974년 타계하기까지 반세기 동안 문학 활동을 해 왔다. 그의 시세계는 창작 시간이 길었던 만큼 많은 변모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신석정 시 작품에 나타난 주체의 변모 양상을 살펴보고, 이와 같은 변모를 보여준 시적 내면세계와의 유기적 연관성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고시집을 포함한 신석정의 여섯 권의 시집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고 각 시집의 주제 경향과 역사적인 사회배경을 고려하여 신석정의 시세계를 초기·중기·후기의 세 시기로 나누어서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창작된 『촛불』과 『슬픈 목가』를 살펴보았다. 『촛 불』에서 시적 주체는 어머니를 비롯한 타자와의 동일시를 추구한다. 어머니 는 주체가 추구하는 이상적 자연 공간의 표상으로 나타나는데, 주체는 어머 니에 의지하고 어머니와의 일체를 꿈꾼다. 하지만 주체는 항상 어머니로부터 소외된다. 이러한 소외는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의문문과 요청문, 가정법을 통해서 엿볼 수 있다. 『슬픈 목가』에서 주체의 시선은 이상적 자연 공간에서 지구의 현실 공간으 로 전환된다. 현실의 공간은 꽃 한 송이도 없는 절망적인 공간으로 드러나는 데, 그것은 당시의 피식민지 상황을 암시한다. 주체는 어머니를 대체하여 인사로푸와 같은 청년들을 동일시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는 청년들과의 동일시 통해서 간접적으로 사회 참여를 하였으나 역시 청년으로부터 소외당한다. 이러한 소외는 사회적 현장에 직접 뛰어들지 못한 주체의 자책감이 무의식적 으로 표출된 것이다. 이러한 동일시와 소외의 과정에서 주체의 원형이 형성된다. 즉 『촛불』에서 는 자연 친화적 자아, 『슬픈 목가』에서는 사회 참여적 자아가 형성된 것이 다. 초기 시에서 형성된 주체의 이 두 가지 성격은 중·후기 시에서도 지속적 으로 나타나고 전개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3장에서는 중기 시에 나타난 시적 주체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중기 시집인 『빙하』와 『산의 서곡』은 각각 6·25전쟁과 4·19혁명의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 로 창작되었다. 『빙하』에서 시적 주체는 전쟁으로 인하여 고난을 겪은 민중 의 삶의 현장을 직시하게 되고, 민중의 비참한 삶을 연민하는 태도를 보여주 었다. 그는 자연 이미지를 사용함으로써 민중의 삶의 현장과 생명의 취약함 을 묘사해냈다. 『슬픈 목가』를 거쳐서 『빙하』에 나타난 주체의 현실인식은 한층 더 강화되었다. 『산의 서곡』에서 주체는 4‧19혁명에 대해서 강인한 저항의지를 표출하였다. 주체는 민중에게 역사를 창조하는 주체로서 능동성을 발휘하여 현실 참여를 해야 한다며 민주주의의 실현을 위해서 민중 공동체를 형성해야 한다 고 강조하였다. 아울러 자연계의 순리를 인간 역사 발전의 원칙으로 연계시 키고 민중에게 극복 의지를 심어주었다. 『산의 서곡』에 드러난 주체의 투철 한 역사의식은 『빙하』에서 보여준 현실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형성되었다. 4장은 신석정의 후기 시, 즉 박정희 정권기에 창작된 『대바람 소리』와 『내 노래하고 싶은 것은』에 나타난 시적 주체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때 주체는 근대화의 허황함과 무상함을 느끼고 인간사회의 한계를 깨닫게 된다. 그리고 인간사회와 대조되는 자연의 절대적 가치를 인식하게 된다. 주체는 성급한 근대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자연 파괴, 인간성의 상실 문제를 주목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체는 자기중심적이고 인간중심적인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인간이 지니는 자연 본성으로의 회복을 주장하였다. 후기 시에는 주체는 외적인 욕심을 비우고 천지만물을 사랑하는 무욕·무위자연 의 경지를 보여주었다. 주체는 도가적 무위자연의 사상으로 인간사회를 보다 높은 차원에서 조망하였고 미래사회의 비전을 제시하였다. 후기 시가 창작된 시대적 배경과 견주어 보면, 주체가 무위자연을 제기한 것은 억압된 사회 현실에 대한 우회적인 저항으로 볼 수도 있다. 이처럼 주체의 변모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신석정의 시적 내면세계는 끊임없이 변모하였으나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신석정의 시적 주체는 현실의 변화에 민감하였고, 늘 자연에 관한 기술을 통해서 현실을 인식하고 자연으로부터 현실을 대응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시기 변화에 따라 현실과 자연에 대한 시적 주체의 인식은 점층적으로 심화되고 강화되었다. Shin Seok-Jeong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igures in the modern literary circles of South Korea. From the publication of his maiden work "Sunset west oblique" until he died in 1974, he had a long literary career that lasted almost half a century. His works inherited the tradition of oriental landscape pastoral poems, therefore he has been regarded as a pastoral poet. By investigating the consciousness of the lyrical subject embodied in his poetry, this paper illustrated that not only that he loved nature, but had also been very sensitive to the change of times and social issues. Nature and reality are two consistent concerns of the subject,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objects, I concluded that, with time, the subject's consciousness of nature and reality deepened gradually.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his five volumes of poetry published during his lifetime. However, studies on his unpublished manuscripts are rather scarce. The anthology entitled "The Things I Want to Sing" was transcribed and organized by himself during his later years, which proves its value. The anthology was not published until 2007 after his death. In order to fill the vacancy in academic history, this paper examines six anthologies including the posthumous manuscripts as research materials. Accordingly, his poetic world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to analyze the subject's characteristics as they appeared in each of them. In the second chapter, I observed his early anthologies "Candlelight" and "Sad Pastoral" , which were crea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Candlelight", the subject appeared as a naive child, who constantly calls "mother", and repeatedly urges her to take him to the ideal natural space and live there together.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s anxiety about the reality of Japanese colonization is shown unconsciously in the poems. This feature of the divided subject could be interpreted with psychoanalytic theory. According to Lacan's theory, the essence of "imaginary" is self-deception. An infant child can find the perfect love given by one's mother at the time of birth. However after being born, the child feels disintegrated and unsafe. By identifying itself with the mother, the infant child can gain unity and deny the imperfect outside world. However, the identification cannot come true and the subject experiences alienation. Thus, apparently the subject consciously pursues the ideal natural world, but his unconsciousness of anxiety about the reality has never disappeared. In "Sad Pastoral", the subject's sight changed from ideal world back to the earth, which stands for the real world. Compared with the ideal world, the earth is a desperate space losing its vitality, and is a reflection of social reality. As a substitute for the mother, Ying Sharov, who struggles for the liberation of his motherland became the object whom the subject wants to identify with. Ying Sharov is a character created by Turgenev. Through this imaginative identification, the subject could be able to participate in society indirectly. However at the same time, the subject felt ashamed and guilty because he does not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directly. The subject feels alienated again. Through the repeated function of identification and alienation, the prototypes of the subjects gradually formed. In "Candlelight", natural affinity ego, and in "Sad Pastoral", social participation ego were formed. These two characteristics formed in the early poems also appeared in medium-term and later poems, and led to further development and improvement. In the third chapter, I discussed the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 in the medium-term anthologies, "Glacier" and "The Overture of Mountains". These two anthologies were respectively created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War and April 19 Revolution. The subject in "Glacier" looked directly at the victims of the Korea War, and sympathized with the hardships of people's lives. Compared to the subject's consciousness of reality in "Sad Pastoral", in "Glacier" it has become more real and profound. In "The Overture of Mountains", the subject put the spearhead directly to the Rhee Syng-man's authoritarian regime which disregarded people's rights. At the same time, he showed a firm will to overcome practical difficulties. He claimed that people are the subject of historical creation, and everyone should pay full attention to subjective initiative. He also suggested that we should form a public community to participate in the social activities fighting for democracy. The subject connected the laws of nature with the laws of human history development to strengthen people's confidence in the success of democracy. The percept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the high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that appeared in "The Overture of Mountains" is based on the profound consciousness of reality as it appeared in "Glacier". Later anthologies "The Sound of Bamboo Wind" and "What I Want to Sing Is" were created under the period of authoritarian regime headed by President Park Chung-hee. The subject recognized the hypocrisy and impracticality of modernization, and experienced the vagaries and limitations of human society. He pointed out the problems that both nature and human have been seriously damaged during the rapid development of urbanization process.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and overcome the conflict between human and nature, the subject advocated getting rid of the thoughts of self-centrism and anthropocentricism, and restoring the natural instincts of human beings. Furthermore, the Taoist philosophy of ‘Wuwei-Ziran(無爲 自然)’ was well presented in the later poems. The subject indicated that ‘Wuwei-Ziran’ could help view the problems of human society at a higher level, and proposed a new direction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society. Also the suggestion of ‘Wuwei-Ziran’ can be interpreted as a kind of roundabout resistance to the authoritarian regime. Though in previous studies, his later poems were simply categorized as poetry of natural contemplation, I found that literary intellectuals of Wei and Jin dynasties appeared in his later poems. The intellectuals had insisted on the role of ‘Wuwei-Ziran’ and stressed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Confucianism with Taoism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of those times. The subject admired them and dreamed of following them. The review system of literary circles was rigorous at that time from 1960s’ to 1970s'. Therefore the admiration of these intellectuals can be interpreted as an indirect expression of the dissatisfaction with the political system. In the constantly changing process of the subject, nature and reality had always been the concern of the subject. The two were interwoven throughout the poetry world of Shin Seok-Jeong. By examining the changing relationships between nature and reality can help enrich the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In conclusion, the nature in the early poems was a symbol of the ideal world, which contrasts with the dark realities of colonial times but provides an utopia for the subject to escape from the reality. In medium-term poetry, nature was closely linked with the fate of the toiling masses, and symbolized the tenacious vitality of the people. Also it gave hope and will to the people to overcome the poverty and oppression. In later poems, nature was signified with Taoist meaning ‘Wuwei-Ziran’, which is based on reality but beyond reality. Therefore, in Shin Seok-Jeong poems, the image of nature evolved from merely being a symbol of ideal world to becoming a weapon to fight the hostile reality. It is visible how the subject's consciousness of nature and reality had deepened gradually.

      • 고도 지능망의 IP 서비스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蘇□ 전북대학교 1995 국내석사

        RANK : 1839

        Recent studies on the AIN(Advanced Intelligent Network) are at the stage of developing basic concepts on the detailed functions of IP(Intelligent Peripheral) and other elements of the AIN. The introduction of an IP into the AIN results in the study of a service system which is applicable to the IP. The main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1) to design and implement a service software which performs voice services in an IP, 2) to survey and implement examples of voice services suitable for an IP, 3) to study the connection scenario among network elements for each of those services. In order to provide more intelligent services to general subscribers and network users, the simple telecommunication network is evolving toward an intelligent network. The generic difference between an AIN and the existing system is that the centralized SCP(Service Control Point) controls all the services occurring in an AIN, while, in the existing system, services are performed on every switching unit. Therefore, new services can be added easily in an AIN by modifying the SCP software. An AIN can be much more flexible by introducing an intelligent information-providing system(IP) with the help of the SCE(Service Creation Environment). An IP is defined as an independent network element providing intelligent services such as voice-to-text services, text-to-voice services, voice recognition services, and image related services. Among them the voice services are the most important ones at present in an IP, since most other types of services cannot be realized easily. As voice services become more intelligent, their use is expected to grow rapidly. Therefore, there exists a pressing need for the research on voice services for an IP.

      • Study on Electrical Energy Storage System for Supplying Environmental System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국문초록 환경 장치에 에너지 공급을 위한 전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관한 연구 소가 대전대학교 대학원 환경공학과 환경공학전공 (지도교수 임봉수) 여러가지 전도성 폴리머 중에서 폴리 아닐린(PANI)과 폴리 3-메틸사이오펜 (P-3MTh)은 높은 전도도, 좋은 산화환원 가역성과 환경적 안정성때문에 많은 관심을 끌게됐다. 폴리 아닐린은 수용액 중에서 화학전 고분자 반응에 의하여 준비되어0.25 M ZnCl2, 0.5 M NH4Cl, 0.4 M H3BO3, pH 4.0 전해질이 들어있는 아연 - 폴리 아닐린 전지의 플라스극으로 시험되었다. 아연 - 폴리 아닐린 전지는 일정전류로 충전되고 방전되었다. 충방전 과정 동안에 납금속은 전해질 속에서 H+ 이온의 환원에 대한 과전압을 높이기 때문에 카드뮴 금속보다 더 좋은 성능을 보였다. 납금속의 농도가 20 ppm 이었을 때 아연금속이 산성 수용액 전해질에서 부식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었다. 납금속은 또한 아연 - 폴리 아닐린 전지의 특성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100.08 mAh/g의 극대 특성 용량과 140.11 %의 전류효율이 성취되었다. 전지 에너지 효율은 최소한 97.11 % 로 계산되었다. 폴리 아닐린을 준비하는 다른 방법은 연탄소판위에 전기화학적 폴리머화에 의한 것이었다. 이방법의 Zinc-PANI 전지를0.25 M ZnSO4, 0.5 M (NH4)2SO4, 0.4 M H3BO3, pH 4.0 전해질에서 시험하였다. 피복시간과 적출 전류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방전 특성용량이 감소되었다. Zinc-PANI 재충전 전지의 성능은 플라스 (폴리 아닐린)극에 의하여 제한을 받았다. 9 mA/cm2 의 적출 전류밀도에서 피복시간이 2 h 이었을 때 40 mAh/g 의 극대 방전 특성 용량이 성취되었다. 동시에 111.48 % 의 전류효율과 65.09 % 의 에너지 효율이 얻어졌다. KPF6와 아세토나이트릴로 되어있는 비수용액 전해질 용액에서 폴리 3-메틸사이오펜의 EIS와 순환정전압법을 기초로P-3MTh-KPF6/AB 전지가 시험되었다. 여러가지 전류밀도에서 0.5V 와 2.0V 사이에서 전지를 충전 – 방전 시켰다. 전지가9 mA/cm2 에서충전 – 방전 되었을 때 27.13 mAh/g 의 극대 특성용량과 67.92 % 의 전류효율이 성취되었다. 카위드: 폴리 아닐린 전지, 폴리 3-메틸사이오펜 전지, 재충전 전지, 납금속, 아연 부식 방지.

      • MBL 실험수업에서 모둠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학생들의 관점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이 연구의 목적은 MBL(microcomputer-based laboratory)실험수업에서 모둠의 리더유형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과학학습법, 토론학습, MBL실험수업, 협동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관점을 알아보기 위한데 있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1학년 학생 32명이었다. 사전검사로 논리적사고력(SRTⅡ), 학업성취도, NEO 청소년성격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포용적, 설득적, 배타적 리더가 있는 모둠과 리더부재 모둠을 구성하여 MBL실험을 진행하였다. 사후검사로는 학업성취도를 검사하였다. 연구결과, 사후 학업성취도는 포용적 리더가 있는 모둠과 설득적 리더가 있는 모둠이 배타적 리더가 있는 모둠과 리더부재 모둠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인터뷰 내용 분석을 통해선 각 모둠의 수업 분위기와 과학학습법에 대한 학생들의 관점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each groups leader's style in MBL(Microcomputer-Based Laboratory) experiment class on the student's scholastic achievement and to know the student's thoughts on MBL experiment class. For this study, 32 students in the 7th grade were chosen. SRTⅡ test, scholastic achivement test and NEO adolescent character test was done as a pretest. According to the pretest result we constructed groups which each group had inclusive, persuasive, alienating style of leader and another group with no leader and proceed MBL experiment class. Scholastic achivement test and interview for the student's view on MBL experiment class was done as postest. The results showed that groups with leaders of inclusive and persuasive styles were higher than groups with leaders of alienating style and groups with no clear leader in post-examination of scholast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we could know the student's thoughts and the studying atmosphere of each groups.

      • 한국문학 학습자를 위한 현대어 표준판시 텍스트 구성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39

        이 연구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학과 학부 과정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그들에게 한국문학 텍스트, 특히 현대시 텍스트를 가르치는 데 바람직한 작품 선정과 교과 내용 구성 방안 및 표기 기준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시 텍스트 선정과 작품 이해를 돕는 각종 활동 항목을 구성하고 시 텍스트에 대한 올바른 표기 기준을 탐색하고자 한 논문이다. 현재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한국문학 교육 방안과 문학 작품 교과서의 개발 방안에 관한 논의는 미비하거나 간략한 언급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특히 문학의 한 장르로서 시에 대한 선정 기준이나 교수 방법 등 내용을 다룬 연구는 거의 없다. 본 논문은 이 점을 감안하며 중국 대학의 한국문학 교육 현황 분석을 통해 그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책을 탐구하고자 한다. 우선, 중국 일부 대학의 한국문학 교육 커리큘럼 현황과 문제점을 조명하고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한국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시 텍스트를 분석하여 현행 교재의 문제점을 밝혔다. 이는 주로 교재의 목표설정 문제, 시 텍스트의 선정 기준 문제, 교과 내용의 층위 구성 문제, 시 텍스트의 표기 문제 등의 4 가지 측면으로 정리될 수 있다. 또한, 더욱 효과적인 시 교육 효과를 거두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언어와 문학 측면에서 시 텍스트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문학 교육 목표를 설정했다. 첫째, 언어 측면에서 시어는 일상어의 범주에 포함되며 일상어와 분리해서 따로 존재하는 언어가 아니란 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시 언어 교육 목표를 설정하는 데는 한국어 교육 목표를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에서 언어 교육 목표를 설정하였다. 둘째, 문학 측면에서는 시 정의와 특징에 따라 운율적·회화적· 의미적 측면에서 교육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목표에 따라 시 텍스트를 둘러싼 다양한 교과 내용 항목이 필요하고 이들 교과 항목들은 수업 절차에 따라 학습 전·학습·학습 후 단계로 구성되어야 한다. 교육 목표를 명확히 한 후에는 본격적으로 시 텍스트의 선정 방안을 살펴보았다. 시 텍스트의 선정 기준은 어휘 및 표현기법· 가치 기준· 창작 시기에 따른 선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어휘 및 표현기법에 따른 선정 방안’ 에서는 현대시의 언어 등급 부여 방안을 사용해서 작품의 어휘적 난이도를 판정하였다. 시 텍스트에 나타난 표현 기법은 주로 직서적(直敍的), 비유적 (比喩的), 상징적(象徵的) 표현이 있는데 그 난이도는 갈수록 높아진다. 따라서 어휘와 표현 기법 측면에서는 학습자의 언어 수준에 따른 시 텍스트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국어 수준이 비교적 낮은 학습자에게는 어휘적 난이도가 쉽고 이해하기 쉬운 표현 기법을 사용한 텍스트를 가르치는 것이 적합하다. 반면, 언어 수준이 높은 학습자에게는 고급 어휘와 더욱 복잡한 표현 기법을 사용한 텍스트를 가르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논문은 가치 기준, 그리고 창작 시기에 따른 선정 방안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기존 문학 교재에 수록된 시 텍스트 표기법은 동일한 작품에 대한 표기를 교재마다 다르게 하며 한 작품 안에서도 일정한 표기 원칙에 따르지 않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현대시 작품, 특히 '한글맞춤법통일안'이 선포되기 이전에 발표된 작품은 지금까지 여러 이본이 나와 있지만, 문학 교과서에 어느 판본으로 실어야 하는가를 판정하는 기준이 그 기본이 된다. 이처럼 표기 문제의 중요성은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이라는 대상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더욱 강조해야 한다. 시에 대한 표기 방법은 그들에게 모범적인 쓰기 모델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인의 표기법을 존중하는 의미에서 원본을 기준으로 삼으면서도 그 원본을 현대어 화해서 가르치는 것을 주장하였다. 다만 시인이 의도적으로 사용한 사투리나 시적 표현은 시적 허용(詩的許容)으로 간주하고 이를 그대로 받아들인 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현대어 표준판으로 칭한다. 중국에서 유래된 한자어는 비슷한 뜻에 여러 단어를 사용할 수 있어 미세한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시에서 한자어를 사용하는 것은 시 자체가 지닌 함축성을 부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그래서 한국의 고전 시가 뿐만 아니라, 현대시에서도 한자어를 사용한다. 그러나 한자어는 중국에서 한국으로 전파된 후에 사회 문화적 환경으로 두 나라에서 서로 다른 변화 과정을 겪으면서 그 형태와 의미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 한자어의 의미를 모른 채 중국어 어휘를 이해한 방식으로 작품을 해석한다면 이해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또한, 중국에서는 주로 간체자를 쓴 반면에 한국은 번체자만을 써왔다. 따라서 중국 학습자가 알아 보기 힘든 번체자에 대한 표기 방법과 의미 주석은 시 교육과 병행할 필요가 있다. 本论文针对中国各大高校韩国语专业本科生学习韩国文学作品的教育现状, 研究了韩国文学作品特别是现代诗作品教育的作品选定、标记基准和教学内容 组成方案。换言之,本论文的目的在于探索韩国文学教育中如何选择作品、如 何规划作品的教学内容和教学方案、如何判定诗歌标记的基准等。目前,以中国学习者为对象的韩国文学教育方案以及文学作品教材开发方案的相关论文较 少,或是只涉及在简单的介绍或者粗略的综述。特别是作为文学体裁之一的诗 歌教育的选定基准以及教学方法相关的研究几乎没有。鉴于此点,本文通过对 国内大学韩国文学教育现状的考察,揭示目前存在的问题与不足,并给出了相 应的改善对策和建议。 首先,本文通过对部分中国大学的韩国文学教育课程设置情况的考察,提出 了课程设置的基本改善方案。通过对韩国文学教科书中诗歌作品收录情况的考 察,提出了现行教材存在的问题。目前,存在的问题大致可以归纳为以下四个 方面:教材的目标设定问题、诗歌作品的选定基准问题、教科内容的层次组成 问题和诗歌原文的标记基准问题。根据以上四个目前教材存在的问题,为了提 高现代诗的教育效果,首先本文提出在语言和文学这两个层面设定诗歌作品的 教育目标。第一,在语言层面,采用科学的方法证明了诗歌语言和日常用语的 关系。即,诗语包含于日常用语的范畴之内,并不是从日常用语中分离出来独 立存在的。因此,在设定诗语教育目标的时候,同样需要参照韩国语教育目标 来设定。第二,在文学层面,根据诗歌的定义和特征,分别从‘韵律层面’、‘绘 画层面’以及‘意义层面’设定了教育目标。为了实现以上设定的目标,需要借助 诗原文以外的多种教科内容来更好的阐释作品,而这些教学内容应该按照‘学习前阶段’、‘学习阶段’,‘学习后阶段’的授课顺序有机组成。 其次,本论文研究了目前韩国文学教育中的诗歌作品的选定方案。本文所制订的诗歌作品选定基准包括 ‘根据词汇和表现技法制订的选定方案’, ‘根据价值基准制订的选定方案’, 还有 ‘根据创作时期制订的选定方案’. 在‘根据词汇和表现手法制订的选定方案’里使用了现代诗歌词汇等级附与方法,由此对作品的词 汇难易程度做出判断。诗歌作品中出现的表现手法主要有直叙型技法、比喻型 技法和象征型技法等,它们的难度依次增高。通过以上方法,可以从词汇和表 现技法层面选择出符合学习者语言水平的诗歌作品。例如,对于处于基础阶段 的学生,应当选择使用的词汇比较简单、表现技法相对容易理解的作品;对于 语言水平比较好的学生,可以选择使用高级词汇和表现技法相对复杂的作品。此外,本文也阐述了根据作品的文学价值以及创作时间而设定的选定方案和选 择标准。 再者,本文考察了现行文学教材中所收录的诗歌的标记情况。现行现代诗教 材中的标记各有不同,甚至在一个作品里,也能发现标记不一致的现象。现代 诗作品,特别是在‘韩国语正书法统一案’颁布以前发表的现代诗作品,到目前 为止出现了很多异本,那么判断应该按照哪种版本为基准收录到文学教材里成 为一个重要问题。尤其在考虑到以中国人为教育对象的特殊性的时候,标记问 题的重要性显得更加突出。因为对于学习语言的外国人,诗的标记应该作为韩 国语模范书写的样本。针对这一问题,本文提出了以下建议,即为了尊重诗人 的标记方法应当选用作品原本为基准,同时把原本的标记改成现代语. 这里要 指出的是一种例外情况,对于诗人下意识使用的方言或诗歌式表现语言,在诗 歌里是被允许的,对于此类情况应当采取保留。本论文将以上描述的版本称为 现代语标准版。 最后,中国流传来的汉字词具有丰富性,可以用很多不同的词汇来表示相似 的意思,展现出微妙的差异.。尤其是在诗歌里面,汉字词的使用可以凸显出诗 歌本身所具有的含蓄性。因此汉字词不仅在韩国的古典诗歌里出现,现代诗歌 中也常被使用。需要注意的是,汉字词从中国传播到韩国之后,由于社会环境 和文化背景的不同,汉字词在两个国家经历了互不相同的变化过程,在形态和 意义上都发生了变化。因此,中国学生如果不了解韩国汉字词的含义,而按照 对中国词汇的认识来理解韩国汉字词的话就容易产生理解错误。除此之外,中 国主要使用简体字,而韩国的汉字词自古以来一直使用繁体字。因此,对于大 陆学生不易看懂的繁体字,应当在诗教育的同时注意对这类汉字词的标记方法 及对它们的意义做出注释。 This research targets undergraduate-level learners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in Chinese universities. My objective is to prepare a preferred method of work selection planning, construction planning and marking standard that can be used when teaching Korean Literature texts, especially modern poetry texts, to this group. In other words, I want to explore what kind of poetry we should select, how to construct various kinds of articles that will help to understand these literary works, and present a straight-forward marking standard for poetry texts. Until now, not a lot of scholarly debate has taken place relating to Chinese learners in the field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nor are there many texts related to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Korean Literature courses. Comparatively, the available research remains basic and simple. Especially, as one of the genres of literature, there is almost no research on selection standards or teaching methodology focusing on the poetry genre. Considering this poi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this paper pointed out questions dealing with research for possible reform measures. First, the research, which took a few sample case-studies of Chinese universities, cast light upon the curriculum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nd its problems. Then some reform measures are suggested.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 analyzed poetry texts of Korean Literature textbooks and clarified the problems. Primarily, the problems can be summarized in four aspects; the matter of presenting the objectives, the selection standards for poetry texts, the procedural organization of subject contents, and the patterns of marking orthography for poetry texts. 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more effective poetry education, goals should be set in perspective of both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which can be gained from studying poetry. As for the language aspect, I was able to prove that the language of poetry belongs to everyday language and cannot be separated to make it exist independently. Next, I set goals for the poetry language education aspect with consideration for the goals discussed for the Korean language aspect. In terms of the literature aspect, according to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 of poetry, I set the educational goal in aspects of rhythmic, imagery and semantics. In accordance with the goals, various kinds of subject contents are needed to help understand the text better, and the items should be organized in the following order: before study, study and after study; according to the proceedings of class. After clarifying the goals of education, the next stage is starting the selection process in earnest. The selection standard of poetry is set according to vocabulary, expressive techniques, value standards and creation time. In the first part of selection process, considering vocabulary and expressive techniques, I used a plan which classified words in modern poetry to judge the grade level of the poetry by its lexical aspect. The expressive techniques used in poetry mainly have straightforward, figurative and symbolic expressions, and the level goes higher. Therefore, vocabulary and expressive technique aspects can be used to select poetry which is suitable to the language ability of learners. For example, for students with relatively low language ability, it is suitable to teach poetry with easy words and expressive techniques that are easy to understand; while to the students with higher language ability, it is appropriate to teach poetry using advanced vocabulary and more complicated expressive techniques. Also, I researched a selection process based on value standards, and creation time. For each plan, I came up with two selection measures. The orthography of the same poetry work from existing literature textbooks shows variation among textbooks. Even in a work of poetry, there has been no certain rules for a system of marking the language. Modern poetry works, especially poetry works that were released before the announcement of the draft for unified spelling orthography, might exist in many different editions; to decide the standard of which one should be put in a textbook is of fundamental importance. The importance cannot be over-emphasized considering the target is Chinese learners. The method of marking should be an exemplary writing model for them. Therefore, in my thesis, I suggest that the importance of respecting the poet's marking orthography should be based on the original text as a standard edition, and modernize the original text marking orthography. However, there is an exception. Only in the case that poet uses some dialect or poetic expressions on purpose, should it be regarded as a kind of poetic license, and be accepted as it is. Consequently, this paper suggests the term 'modern language standard edition' for this new version. Sino-Korean words which originate from China, can use various words to express similar meaning with extremely small differences. It is especially more effective to use Sino-Korean words in poetry to bring out the hidden meanings in order to revive the poetry itself. Not only classical Korean poetry but also modern Korean poetry uses Sino-Korean words. However, after Sino-Korean words spread from China to Korea, the different socio-cultural environments led to a change in form and meaning. Moreover, if Chinese learners do not understand the meaning of Sino-Korean words and they are only explained in a Chinese context, the learners are likely to make mistakes. Furthermore, in China they use simplified characters. On the other hand, in Korea they use the same complex characters carried forward from the ancient literary styles. So for the complex characters which Chinese learners may not recognize,it is imperative to provide them with the simplified characters together with the complex ones, and the meaning need to be expla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