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온라인 그리고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마스크 정보를 활용한 다중 객체 추적 그리고 세그멘테이션 시스템

        성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중 객체 추적 그리고 세그멘테이션(Multi-Object Tracking and Segmentation, MOTS)은 영상 내에 등장한 관심있는 객체들의 마스크 정보를 뽑아내는 동시, 연속된 프레임(Frame)에서 동일한 객체들을 추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중 객체 추적 그리고 세그멘테이션(MOTS)은 자율주행 및 CCTV 시스템에 주로 사용이 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선 추적 시스템은 실시간(Real-Time) 및 온라인(Online)으로 추적이 가능해야 한다. 하지만, 최근 MOTS의 추적 성능을 높이는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졌지만, 온라인 및 실시간 성능을 고려하지 않은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본 논문은 가벼운 백본(Backbone)을 가진 딥러닝 기반 모델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동작하며, 온라인 추적이 가능한 다중 객체 추적 및 세그멘테이션 시스템을 제안하였으며, KITTI MOTS 벤치마크 중 실시간으로 추적가능한 유일한 모델임을 보인다. 또한, 기존 SOTA(State-of-The-Art) 다중 객체 추적 시스템(Multi-Object Tracking) 모델들은 객체의 외관 특징을 표현해주는 re-identification feature를 추출하여 객체간 유사도를 측정하는데, 이러한 re-identification feature를 추출할 때 입력 정보로 객체의 바운딩 박스(Bounding Box)정보를 주게 된다. 하지만, 바운딩 박스에는 배경 정보(Background)가 함께 포함되어 객체의 외관적인 특징(Appearance Feature)을 온전히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하기 때문에, 정확한 매칭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모호한 매칭을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re-identification feature를 추출할 때 입력으로 객체 바운딩 박스에 해당하는 feature를 입력으로 주지 않고, 객체 마스크(Mask)에 해당하는 feature를 입력으로 넣어 준다. 이렇게 객체의 마스크 정보로 re-identification feature를 뽑게되면 객체간 유사도를 매칭할 때 배경 정보를 제외한 뒤, 객체에 해당하는 정보 값으로 매칭이 가능해진다. 디텍션(Detection),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재인식(Re-Identification) 3개의 각 작업은 서로 다른 Loss 스케일(Scale)을 가진다. 우리는 이 작업들간의 Loss값이 불균형하다는 것을 인지한 뒤, 동시에 3개의 작업간의 Loss를 자동으로 밸런스를 맞춰줄 수 있는 Uncertainty Loss를 제안하였다. 마스크 기반 re-identification 실험 결과, 기존 바운딩 박스 기반 re-identification 모델 보다 높은 association accuracy성능을 보이며, KITTI MOTS 벤치마크 중 온라인 작동이 가능한 모델 중에선 2위를 차지하였다. 우리의 실험은 다중 객체 추적 시스템에서 re-identification 매칭에 있어 배경 정보가 모호한 매칭을 유발시킨다는 점을 보여줌과 동시에, 모호한 매칭을 막기 위해 객체 마스크 정보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 전문가 및 대중 기반의 도시습지공원 수생식물 경관 선호도 평가 : 중국 장시성 난창시를 중심으로

        성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경관 선호도 평가요인을 선정하고 이들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중국 난창시의 대표적인 도시습지공원의 경관선호도를 비교·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경관평가 요인 중 전문가와 대중의 경관 선호도의 차이를 보이는 경관유형을 구분함으로써, 향후 대중의 참여를 통한 도시습지공원의 수생식물 경관에 대한 선호도를 높이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시습지공원 별 경관 선호도 평가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연구에서 언급된 25가지 경관평가 요인 중 9가지 요인을 선정하고 이를 정량분석(4 요인) 및 정성분석(5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전문가 12명에 대한 AHP 분석을 통해 9개 요인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였으며, 수생식물 경관 선호도 평가에서 3개 도시습지공원의 전체 점수는 위저우완 > 샹후 > 아이시후로 나타났다. 수생식물 경관에 대한 전문가 및 대중의 선호도 차이성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5개 정성평가 요인 가운데, 식물건강상태 및 식물과 전체 환경과의 조화 요인의 경우 전문가와 대중의 선호도 차이를 보였다. 식물의 건강상태는 전문성이 필요하며, 이에 전문가들은 이미지 간 소신 평가를 한 반면, 전문성이 떨어지는 대중의 경우 뚜렷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둘째, 전체 환경과의 조화성과 관련하여 경관 내 고층 건물이나 시설물이 존재하는 경우, 대중의 평점은 높았으나 전문가는 낮게 나타났다. 단 시설 중 공원 내 랜드마크와 같은 상징물의 경우(ex. 완슈궁) 전문가 또한 높은 평점을 주었다. 4개 경관 유형별 차이성 분석에서는 개방수면, 습지식생 및 시설물 및 건축물 경관의 경우 식물건강상태와 식물과 전체 환경과의 조화성에서 전문가와 대중 간 평가 차이를 보였다. 개화경관의 경우 분산 및 평균평점 모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종합하면, 도시습지공원의 경관 선호도 평가에 있어 전문가는 보다 자연성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 반면, 대중의 경우 고층 건물과 같은 인공구조물이라고 하더라도 전체 경관과 어울린다면 높은 평점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도시공원의 경관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중의 의견이 함께 반영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evaluate the landscape preferences of representative urban wetland parks in Nanchang, China, by selecting factors for evaluating landscape preferences and weighting them. In addition, by distinguishing between landscape types that show differences between expert and public landscape preferences among various landscape evaluation factors, basic data are provided to increase the preference for aquatic plant landscapes in urban wetland parks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e landscape preference evaluation by urban wetland park are as follows. First, nine factors were selected among the 25 landscape evaluation factors mentioned in the previous study,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quantitative analysis (4 factors) and qualitative analysis (5 factors). Second, 9 factors were weighted through AHP analysis of 12 experts, and the overall scores of the 3 urban wetland parks in the aquatic plant landscape preference evaluation were Yuzhouwan > Xianghu > Aixihu.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of experts and the public for the landscape of aquatic pla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five qualitative evaluation factors, there was a difference in preference between experts and the public in the case of plant health status and harmony between plants and the entire environment. The health status of plants requires professionalism, and experts have evaluated their beliefs between images, but in the case of the less professional public, they have not shown a clear difference. Second, when high-rise buildings or facilities exist in the landscape in relation to harmony with the entire environment, the public's rating was high, but experts were low. However, in the case of symbols such as landmarks in the park (ex. Wanshougong Palace) among the facilities, experts also gave high ratings.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s by four landscape types, there was a difference in evaluation between experts and the public in terms of plant health and harmony between plants and the entire environment in the case of open water, wetland vegetation, and facility and building landscapes. In the case of the blooming landscape, there was no difference in both variance and average score. Taken together, experts evaluated the landscape preference of urban wetland parks with more emphasis on nature, while the public gives high ratings even for artificial structures such as high-rise buildings if they match the entire landscape.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it was more desirable to reflect the opinions of the public together in order to increase the landscape preference of urban parks.

      • 지역의 안전수준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진 부산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갈수록 예측하기 어려워지는 기후변화로 인하여 재연재난의 빈도와 규모, 강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와 더불어 도시로의 인구집중 및 교외화로 비롯된 사회 인프라와 인력의 부족은 화재, 감염병과 같은 각종 사회재난을 심화시키고 있다. 갑작스러운 재난의 발생은 불안감을 고조시켜 거주민의 평범한 일상생활의 지속을 힘들게 할 뿐만 아니라 사회 인프라를 망가뜨리고, 지역의 경제마저 침체시키는 결과를 야기한다. 다만 동일한 재난이 발생하더라도 지역의 안전수준이 높은 도시는 낮은 도시보다 피해가 적고, 피해 복구 측면에서 빠른 회복이 가능하다. 즉, 지역안전수준이 높은 도시가 현 시대에서 사회경제적으로 바람직한 도시, 지속가능한 도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안전수준과 지역경제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안전수준을 비용 효율적으로 바라보는 기존 관점에서 나아가 지역경제수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 보고자 한다. 지역 안전수준을 나타내는 변수로 지역안전지수를 활용하여 지역위험점수를 산출하고, 내생성의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연구변수의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공간 2단계 최소자승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지역의 안전수준은 지역경제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의 위험 및 재난 관리는 거주민 삶의 질과 행복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자체는 적극적으로 안전한 환경을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자체의 정책 수립 과정에 있어서 지역의 안전을 도모하는 정책과 경제성장을 위한 정책 간 연계를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지속가능한 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RTAI 기반 저전력 계층적 실시간 스케쥴러 연구

        성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basic technology of the hierarchical real-time scheduling ensures that tasks or subsystems are run isolatedly. Thus, it makes the system integration easier and more flexible. As recent computing technology requires energy issue, the hierarchical real-time scheduling framework also needs to consider power-aware computing. The Dynamic Voltage and Frequency Scaling (DVFS) scheme reduces dynamic power consumption by slowing down the clock speed. In this thesis, we apply DVFS scheme to the hierarchical real-time scheduling framework based on RTAI-Linux.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both hierarchical real-time scheduling APIs and DVFS controller in RTAI kernel.

      • Scp1의 촉매 억제에 대한 저분자 저해제 탐색

        성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진핵 생물에서 RNA polymerase II의 C 말단 도메인 (CTD)의 인산화와 탈인산화반응은 전사에 있어서 중요한 조절적 체크 포인트를 제공하고 있다. 새로이 발견된 탈인산화효소 종인 small CTD phosphatase 1 (Scp1)은 CTD의 일곱 개의 아미노산이 순서대로 연속된 펩타이드 (Y1-S2-P3-T4-S5-P6-S7)의 반복으로 구성된 CTD의 인산화된 5번째 Serine에 대해 선호적으로 탈인산화 함으로써 CTD의 인산화 상태를 조절한다. 또한, Scp1은 신경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신경발달 배아세포의 조절자로서 알려져 있다. Scp1은 Mg2+ 이온 의존적 haloacid dehalogenase (HAD) superfamily에 속하고, 이는 보존적인 DXDX 활성자리를 가지고 있다. 그 모티프의 첫 번째 Asp는 phosphoryl-aspartate intermediate를 생성시키는 탈인산화반응을 일으키는 nucleophile로서 확인되었다. 이 고에너지 무수 중간체는 다음에 효소를 재생시키기 위해 가수분해된다. 이러한 효소 재생을 일으키는 반응은 down stream 에 위치한 또 다른 Asp에 의한 general acid / general base 반응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행된 여러 연구를 통해 Scp1은 hydrophobic pocket의 몇몇 잔기에 의해 기질인 5번째 Serine이 인산화된 CTD peptide를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로 한 기질 유사체의 발견은 Scp1의 촉매 메커니즘을 밝히는데 가치가 있을 것이고, 새로운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여기서 우리는 kinetic 분석을 통한 Scp1의 억제제 탐색을 주제로 연구하였다.

      • 건강기능식품의 브랜드이미지가 고객만족과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성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15

        According to the Third Wave of Alvin Toffler, a high degree of technology based on information and knowledge is becoming the main stream that is changing and leading society. Therefore, information access to businesses and products is easy, and businesses focus on enhancing brand value by branding their products to secure competitiveness through intangible attributes. With the streams of times,‘Brand Image’ is receiving attention. Health functional food market in Korea has continued to grow steadily as interest in beauty and preventing aging increases with the entry into an aging society despite concerns about stagnation of consumption. Brand image of Health Functional Food can be analyzed as a vital and measurabl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by improving the image of Health Functional Food Brand, which can not fail to provide a Health Functional Food Brand with a substantial ripple effect on the company's economic growth or profitability. However, the effects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through brand images are focused on research in various areas, such as cosmetics, clothing, and equipment other than healthy functional foods, so a brand image study of health function foods is inadequate. The study selected healthy function food brand image factors through prior studies and identified the difference in terms of Brand Image of food Industry, cosmetics Industry and pharmaceutical industry brands respectively and examined effects of Health functional foods Brand Image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The study's target for surveys was consumers in their 20s to 50s who ate or purchased health functional foods, and offline results in stores such as department store or Drug store that sell health products (e.g. editing stores for people in their 40s and 50s) and people in their 20s and 30s conducted a mobile surveys, using a total of 321 surveys, which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irst, the frequency analysis of samples showed that the age of the people in their 50s was the most prominent, with 99 persons (30.8 %), and then 40 to 30 years old. a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actuality of utilization, the health function food products were found to be the most purchased at the health function food specialty store (27.7 %). Therefore, it is revealed that the main group of consumers who are stay-at-home moms in their 50s who have healthy health functions are highly interested not only in themselves but also in husbands and children, and will purchase Health functional food in the future. On the other hand, those in their 20s, 30s to 40s that they concerned about high efficiency of health are awareness of health, but they don't have time to determine for buy the products. but they'll be possible potential purchase expansion. As the currently their purchase intention is higher than purchase rate. Second, the research selected factors by performing a factor analysis on brand images, customer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as a questionnaire on the effects of the brand images of health function food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Analysis of the factors were conducted to review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between the effect on factors of the brand image. Thereunder, 15 variables are extracted from the prior study and 1 variables eliminated through in the factor analysis. Third, the demonstration of the assumptions in this study showed that only marketing / sales images of Health Functional Food products will have a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Fourth, corporate imag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brand loyalty in the hypothesis that the brand image of Health Funtional Food would affect brand loyalty. But marketing / sales images di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brand loyalty in the hypothesis that the brand image of Health Funtional Food would affect brand loyalty(+).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more reliable and competitive the brand is when purchasing health function foods, the more loyal it is to the brand. Finally, the post-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Brand Image on brand loyalty was reduced in step 3 compared to Step 1, and Brand Loyalty appeared highly affected when injecting the brand image and customer satisfaction simultaneously. That is,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es are found to lead to customer satisfaction from the marketing / sales brand image , the marketing / sales brand image has been shown to increase brand loyalty, therefore customer satisfaction is a parameter that indicates a relationship between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business to build a hygienic image, environmentally friendly image for the use of good and safety raw materials, in order to build up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rketing / sales image. Consumers ' recent reluctance to synthetic materials for sanitation has led to increased interest in eco-friendly materials and the need for these eco-products to be released. Also as a future study, the majority of sales figures are Health Functional Food such as vitamin imported products and Omega- 3, EPA, DHA and lactic acid, so these imported brand image have must be studied on the effect of consumers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By comparing domestics health functional food and imports health functional food. 앨빈토플러의‘제3의 물결’에 따라 정보와 지식에 기반을 둔 고도의 과학 기술 문명이 사회를 변화시키고 이끌어가는 주된 흐름으로 기업과 제품에 대한 정보적 접근이 쉬워짐에 따라 기업들은 무형의 속성을 통해서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자사 제품을 브랜드화 하여 브랜드 가치 향상에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흐름에 따라 관심 받고 있는 것이‘브랜드 이미지’이다.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소비 침체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고령화 사회 진입과 함께 미용 및 노화방지에 대한 관심 증가로 안정적인 성장이 지속되고 있으며,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시켜 고객 만족과 충성도에 영향을 미쳐 기업의 경제적 성장이나 수익성을 안정화시키는 등 상당한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건강기능식품의 브랜드 이미지를 분석하는 것은 건강기능식품 산업에 있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브랜드 이미지를 통한 고객만족과 충성도의 영향은 화장품, 의류, 외식 등 건강기능식품 이외의 다양한 분야에서 치중되어 있어,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서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이미지 요인들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이미지 요인들을 통해 건강기능식품을 판매하는 식품 업계, 화장품 업계, 제약 업계 각 업계별 브랜드 이미지 차이를 살펴보고,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이미지가 고객 만족과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거나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대부터 50대까지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오프라인은 고연령층(40-50대)을 위해 편집매장과 같은 드럭스토어(Drug store)와 백화점 내 건강기능식품 판매장에서 실시하였으며 그리고 저연령층(20-30대)은 모바일 설문을 실시하여 총 321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첫 번째, 표본의 빈도분석 결과 연령은 50대가 99명(30.8%)로 가장 많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40대 30대 순이었다. 그리고 이용실태 분석결과, 건강기능식품을 건강기능식품 전문 판매점(27.7%)에서 가장 구매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기능식품의 주된 소비층인 50대 전업주부들이며 본인뿐만 아니라 남편과 자녀 건강에 관심이 높아 건강기능식품의 구입율과 향후 구입 의향이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건강의 중요성은 인지하고 있으나 시간적인 여유가 부족하여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추구하는 20-30대 남녀 및 30-40대 남성 소비자들의 경우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현재 구입률 대비 향후 구입 의향이 높아 잠재적인 구매 확대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두 번째, 본 연구에서는 건강기능식품의 브랜드 이미지가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설문문항으로 브랜드 이미지, 고객 만족, 브랜드 충성도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을 추출하였다. 브랜드 이미지의 영향요인과 그에 따른 변수들 간의 타당성과 신뢰성 검토를 위하여 실시한 요인분석에서는 선행연구로부터 추출된 15개의 변수를 1차 변수 제거하여, 총 14개의 문항을 요인분석에 적용하였다. 세 번째, 본 연구의 가설에 대한 검증 결과‘건강기능식품의 브랜드 이미지는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가설에서 2 가지 요인 중 마케팅/영업이미지만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건강기능식품의 브랜드이미지는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가설에서 마케팅/영업이미지와 기업이미지 두 가지 요인에서, 기업 이미지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마케팅/영업이미지는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건강기능식품 구매 시 브랜드의 신뢰도 및 경쟁력이 높을수록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간의 매개효과 사후 분석 결과 충성도에 대한 브랜드이미지의 효과가 step1보다 step3에서 줄어들었으며 브랜드이미지와 고객만족을 동시에 투입했을 때, 브랜드 충성도에 대한 미치는 영향이 높게 나타났다. 즉, 건강기능식품 구매 시 브랜드 이미지에서 고객의 만족을 이끌어내면 마케팅/영업 브랜드 이미지는 충성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고객만족은 브랜드 이미지와 고객충성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매개변수임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건강기능식품 마케팅/영업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서 소비자들로 하여금 위생적 이미지, 친환경 원료 사용 이미지를 구축해나갈 필요가 있다. 최근 소비자들의 위생에 대한 합성원료에 대한 기피 심리로 인해 친환경 원료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맞는 제품들이 출시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소비자들의 구매실태결과를 반영하여 매출액 순위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비타민 제품과 오메가3/EPA/DHA 함유 제품, 유산균 제품의 대다수가 수입 브랜드이므로 국산 브랜드 대비 고객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비교 분석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opulation pharmacokinetic analysis of sulindac in women with preterm labor : focus on genetic polymorphisms of FMO3 and AOX1

        성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조기진통 환자에서 조산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sulindac과 활성 대사체의 집단 약물동태학적 모델을 확립하고, sulindac의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FMO3, AOX1)의 유전적 다형성이 sulindac의 약물동태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Sulindac 200 mg을 경구로 복용한 임신 주수 16-37 주의 68명의 조기진통환자를 모집하여 약물을 복용한 후 1.5, 4, 10 시간 후에 채혈하여 sulindac과 대사체의 혈중농도를 HPLC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68명의 환자 중 약물소실단계의 데이터가 없는 10명의 환자가 제외되었고, 최종적으로 58명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Sulindac의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의 유전적 다형성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SNaPshot 방법과 TaqMan 유전자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10가지 단일염기다형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에 포함된 단일염기다형성은 FMO3 (rs909530, rs2266780, rs2266782, 1800822, rs1736557, rs2075992), AOX1 (rs2293528, rs10497853, rs10931910, rs2241080) 이었다. 약물동력학적 분석은 nonlinear mixed effects model을 이용한 NONMEM 7.3 프로그램으로 시행하였다. 모집된 환자의 약물 복용 시 평균 나이와 임신 주수는 각각 32.5 ± 4.4 (세), 27.4 ± 4.4 (주) 이었다. 58명의 환자 중, 약물 복용 시 임신 주수가 26주 이상인 환자는 38명 (65.5%)이었고다. 평균 몸무게는 60.2 ± 9.7 kg 이었다. 집단 약물동태학적 분석에서는 sulindac과 대사체에 대해 모두 1구획 모델이 가장 적합하였다. 흡수 모델은 지연시간이 있는 흡수 모델이 가장 적합하였으며 추정 방법은 FOCE+I가 가장 적합하였다. Sulindac과 대사체 사이의 대사 과정은 미카앨리스-멘텐 속도론을 적용한 모델이 가장 적절하였다. 단계적 공변량 모델링 결과로는 26주를 기준으로 한 임신 주수와 분포용적, FMO3 rs2266782와 유전자형과 대사체가 sulindac으로 산화될 때의 미카앨리스 상수 (Km32)의 관계가 최종모델에서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조기진통환자에서 sulindac과 대사체의 약물동태학적 정보를 제공하고 FMO3와 AOX1의 유전적 다형성이 sulindac의 약물동태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sulindac의 약효를 예측하고 조기진통환자의 환자맞춤형치료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stablish a population pharmacokinetic model of sulindac and its active metabolite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genetic polymorphisms in sulindac-related metabolizing enzyme genes including FMO3 and AOX1 on the pharmacokinetics of sulindac. Sixty-eight patients diagnosed with preterm labor between 16 and 37 weeks’ gestation were enrolled in the study cohort and given 200 mg sulindac orally twice a day.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1.5, 4, and 10 hrs after the first dose. Plasma concentrations of sulindac and its active metabolite sulindac sulfide were determined using HPLC. Of the 68 patients, 10 subjects whose elimination phase data were not available were excluded from this pharmacokinetic study. To evaluate the effects of metabolizing gene polymorphisms on the PK of sulindac, 10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including SNPs in FMO3 (rs909530, rs2266780, rs2266782, rs1800822, rs1736557, and rs2075992) and AOX1 (rs2293528, rs10497853, rs10931910, and rs2241080) were analyzed by SNaPshot and TaqMan genotyping assays. The pharmacokinetic models for sulindac were built with NONMEM 7.3. The mean maternal age and gestational age at dosing were 32.5 ± 4.4 (range, 20-41) years old and 27.4 ± 4.4 (range, 16.4-33.4) weeks, respectively. Of the patients, 38 (65.5%) were over 26 weeks of gestational age at dosing and the mean body weight was 60.2 ± 9.7 kg (range, 45.0 – 92.0). In population PK analysis, one depot compartment model of sulindac with absorption lag time best described the data. The metabolism of sulindac and sulindac sulfide was described using Michaelis-Menten kinetics. In stepwise modeling, gestational age divided by 26 weeks impacted volume of distribution (Vc) and FMO3 rs2266782 was shown by the Michaelis constant to impact conversion of sulindac sulfide to sulindac (Km32), and these were retained in the final model. The present study details the pharmacokinetic characteristics of sulindac and its metabolites in pregnant women and verifies that genetic polymorphisms of FMO3 and AOX1 affect the pharmacokinetics of sulindac in women who undergo preterm labor.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could help clinicians predict the efficacies of sulindac in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ized treatment plans for patients who undergo preterm lab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