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따른 부양자의 부담감과 우울감

        성기혜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aregivers burden and depression according to cogni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of dementia patien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mediating nursing plan to help the caregiver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124 caregivers of dementia diagnosed patients visiting the S hospital (located in Seoul) neurophsychiatric outpatient clinic. The tool developed by Zarit(1980) and standardized by Kwon, Joong-don(1995) were used to measure burden, and Radloff's(1977) CES-D(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to measure depression. The cognition function was measured using the MMSE-K(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and daily living ability using the ADL(Activity Daily Living) and the IADL(Instrumental -Activity Daily Living). Data were analyzed by SAS 9.13 to deduct real numbers, ratios,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t-test, ANOVA and Scheffe tes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 1. General features of the caregivers are as following; The majority of the caregivers were women(63.7%), aging over 60s(33.8%), and mostly being the spouse of the patient(37.9%), which was followed by being daughters(27.4%). Most of them were highschool graduates or above (33.8%), married(85.4%), and had no job(59.4%). 70% had a monthly income exceeding 2 million won, and had 3 to 4 family members (45.1%). Most of them had had 3 to 5 years' experience looking after the patients. 2. Cognition abilities of patients variated from 4 to 26, and the average turned out to be 16.47±4.83. 3. Daily living ability scaled on a 5 point criterion, showed an average of 3.43±1.26 points, and the following activities required the most support in sequential order; Bank utilization(72.4%), marketing(66%), going outdoors(52.0%), laundry(50.9%), taking a shower or bath(45.1%). 4. The pressure of caregivers was scaled from 28 to 129 points with an average of 70.31±24.81, showing a high level of burden, and depression from 0 to 52 points with an average of 16.82±11.65 points. 5.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and depression of caregiver, and general features of the caregiver was significant in such case that the caregiver being a woman(F=-3.08, p=.0002) or having no job(F=-2.98, p=.004) or being the patient's spouse(F=2.48, p=.035). Significancy rate was high if the caregiver was a spouse(F=.89, p=.016), or if the caregiver had over 5 years of experience looking after the patient (F=3.42, p=.019). 6. Significance between patient cognitive ability and burden of caregiver were shown as such; If MMSE points were measured lower than 16, burden was 76.37±25.09 and depression 15.45±12.01, which was more significant than in the case of it being higher than 16. 7. Daily living ability was scaled on a 5 point criterion of which average was 3.43±1.26. The burden of the caregiver according to daily living ability was deducted as following; 87.81±23.7 point burden when living ability scored 1 to 2, a situation in which patient needs assistance at all times, 71.41±20.16 point burden when living ability scored 2 to 4, a situation in which patient needs half-and-half help, and 60.80±25.55 burden when living ability scored over 4, a situation in which the patient can live almost on him/herself. The burden was highest when the living ability score was 1 to 2, and als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10.65, p<.0001). Depression of caregiver was variated as following; 21.59±14.35 when living ability score is 1 to 2, 11.45±9.72 when living ability score is 2 to 4, 10.65±8.94 when living ability score is over 4. Depression was highest when living ability score was in the range of 1 to 2, and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F=9.40, p=.000). From the above results, according to cognitive and daily living ability of the patient, burden and depression of the caregiver, differential nursing should be provided, and development of a nursing intervention reflecting the individual needs and features is required.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노인 인구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의 인구 비율 또한 2000년도에 7.2%를 넘어서면서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다.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치매환자의 수도 증가하고, 이에 따라 치매환자들을 돌보고 있는 부양자들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많은 부담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따른 부양자의 부담감과 우울감을 조사함으로써 부양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간호중재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내 소재 S 대학병원 신경정신과 외래를 방문하는 치매 진단이 확정된 환자의 부양자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담감 측정을 위한 도구로는 Zarit(1980)가 개발하고 권중돈(1995)이 표준화 한 것을 사용하였고, 우울감 측정 도구는 Radloff(1977)의 CES-D(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를 이용하였다. 치매환자의 기능정도는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는데 인지기능은 MMSE-K(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일상생활수행능력은 ADL(Activity Daily Living)과 IADL(Instrumental -Activity Daily Living)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9.13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t-test, ANOVA, multiple comparison을 위해 Scheff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양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은 여자(63.7%)가 대부분이고, 연령은 60대(33.8%) 이상이며 환자와의 관계는 배우자(37.9%)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딸(27.4%)의 순서로 나타났다. 교육정도는 고졸 이상(33.8%)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기혼(85.4%)이 대부분이었고, 직업(59.4%)은 없었다. 월수입은 200만원 이상이 70%이었고, 가족 수는 3-4명(45.1%)으로 치매환자를 돌본 기간은 3-5년 정도로 나타났다. 2.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은 최저 4점에서 최고 26점으로, 평균은 16.47±4.83점으로 나타났다. 3. 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은 5점 척도로 평균은 3.43±1.26점으로 나타났으며, 은행이용(72.4%), 장보기(66%), 외출(52.0%)의 순으로 도움을 필요로 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세탁(50.9%), 목욕&#8228;샤워(45.1%) 순이었다. 4. 부양자의 부담감과 우울감 정도를 보면 부양자의 부담감은 최저 28점에서 최고 129점으로 평균이 70.31±24.81점으로 부담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우울감은 최저 0점에서 최고 52점으로 평균이 16.82±11.65점으로 나타났다. 5. 부양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담감과 우울감에서는 부양자가 여자(F=-3.08, p=.0002)일 때, 직업이 없을 때(F=-2.98, p=.004), 배우자(F=2.48, p=.035)인 경우에 부담감이 높은 것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부양자가 배우자(F=.89, p=.016)인 경우, 치매환자를 돌본 기간이 5년 이상인 경우(F=3.42 , p=.019) 우울감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은 MMSE 점수가 16점 미만인 경우 부담감은 76.37±25.09점, 우울감은 15.45±12.01점으로 16점 이상 일 때 보다 유의하게 나타났다. 7. 일상생활수행능력은 5점 척도로 본 연구에서의 평균은 3.43±1.26점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수행능력 정도에 따른 부양자의 부담감은 항상 도움을 받아야 하는 1점 이상-2점미만은 87.81±23.7점, 도움이 필요한 경우가 반반인 2점 이상-4점 미만인 경우는 71.41±20.16점, 혼자서 하는 경우가 많은 4점 이상은 60.80±25.55점으로, 1점 이상-2점미만의 부담감이 제일 높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F=10.65, p<.0001). 부양자의 우울감은 항상 도움을 받아야하는 1점 이상-2점미만은 21.59±14.35점, 도움이 필요한 경우가 반반인 2점 이상-4점 미만인 경우는 11.45±9.72점, 혼자서 하는 경우가 많은 4점 이상은 10.65±8.94점으로 1점 이상-2점 미만에서 우울감이 제일 높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F=9.40, p=.000).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한다. 1. 간호연구 본 연구의 결과와 제한점을 바탕으로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해 치매환자 의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과 부양자의 특성을 확대한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2. 간호실무 간호실무의 측면에서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따른 부양자의 부담감과 우울감의 차이에 따른 차별화된 간호가 제공되어야 하며, 부양자의 특성과 치매환자의 특성에 따른 개별적 요구를 반영한 적절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부양자들이 치매환자를 돌보면서 겪게 되는 문제점 등을 환자 가족모임 등의 자조그룹을 통해 지지체계를 마련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3. 간호교육 간호교육적 측면에서는 치매환자를 돌보는 부양자들도 간호의 대상자로 포함되어야한다는 간호사들의 인식 변화와 함께 이에 따른 간호사 대상의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 한국인 신생아 만성 폐질환의 임상 양상 : 다기관 연구

        성기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 As the neonatal intensive care is advanced, the incidence of neonatal chronic lung disease (CLD) has been increased. We evaluated a different prevalence of each hospital, epidemiology of CLD in Korea by multi-center study. Methods : Retrospective reviewes were performed for survival, prevalence of CLD of total 4476 newborn infants who were admitted to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in Konkuk university hospital, Sung-Ae general hospital, Kangbuk Samsung hospital,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Konyang university hospital, and Gangneung Asan hospital between June, 2005 and May, 2007. By Ogawa, CLD was defined as oxygen dependency at 28 days after birth, with respiratory distress symptoms and the change of chest x-ray finding. This classification was subclassified as CLD into 6 subtypes by the presence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pathologic chorioamnionitis and the type of chest X-ray finding. Classic CLD was defined as oxygen dependency at 36 weeks of postmenstrual age. We evaluated distributions of birth weight of newborn infants, survival rate, prevalences of CLD according to birth weight, subdistribution of CLD, mortality, incidence of home oxygen therapy, and morbidities. Results : Survival rate of 28 day after birth was 98.7%. CLD infants by Ogawa classfication were 70 (1.6% of overall newborn infants), classic CLD infants were 30 (0.7%). No mortality and mean duration of hospitalization was 97.8 ± 51.2 day (43~405 days). Peak prevalence of CLD by Ogawa classification was 21.4% (15 infants) in both 900~999 g and 1000~1249 g group, peak prevalence of classic CLD was 23.3% (7 infants) in 900~999 g group. In Ogawa classification, infants with RDS as type Ⅰ and Ⅱ, were 17 infants (24.3%) and 44 infants (62.9%), and they were the majority of CLD. And type Ⅲ' were 2 infants (2.9%), type Ⅳ were 2 infants (2.9%), and type Ⅴ were 5 infants (7.1%), but type Ⅲ, Ⅵ were none. Home oxygen therapy of CLD was performed to 8 infants as 11.4% of CLD. Among thease, type Ⅰof CLD infants were 7 of them(87.5%). Prevalence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 was 35 infants (50.0%), necrotizing enterocolitis (NEC) was 3 infants (4.3%), and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was 6 infants (8.6%). Conclusion : Prevalence of CLD infants among overall newborn was 1.6%, and CLD by Ogawa classification with history of RDS as type Ⅰand Ⅱ were 24.3%, 62.9% as the majority of CLD. This study would be the first report of epidemiology of Korean CLD infants by multi-center study. 목적 : 최근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생존율의 개선으로 신생아 만성 폐질환(chronic lung disease, CLD)이 늘고 있다. 다기관 연구에 의해 전국적인 CLD의 역학, 임상 양상과 각 병원 간의 차이를 조사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CLD 감소와 중증도를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5년 6월부터 2007년 5월까지 건국대학교병원, 성애병원, 강북삼성병원, 중앙대학교병원, 건양대학교병원, 강릉아산병원의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하였던 신생아 4,47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CLD의 진단 기준은 비전형적인 기관지 폐 이형성증(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을 포함하여 병인적인 분류를 하고 있는 Ogawa 등의 분류법을 이용하여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과 전형적 또는 미만성 혼탁의 방사선 소견, 산전 감염의 유무에 따라 6가지 type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전체 신생아의 출생체중 분포와 생존율, 각 출생체중 군별 CLD의 발생률, 병태 비율, 사망률 등을 조사하고, 이 후 재택 산소요법 시행 여부와 미숙아 망막증, 괴사성 장염 등의 합병증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 생후 28일째 산소 치료가 필요한 신생아는 89명이었으며, 이 중 Ogawa 분류법에 의한 CLD 환아는 70명(1.6%)이었다. 생후 28일 이상 생존율은 98.7% 이었고, 사망 예는 없었으며 평균 재원 기간은 97.8 ± 51.2 일(43~405 일)이었다. CLD는 900~999 g, 1000~1249 g 의 체중 군에서 발생률이 각각 15명(21.4%)으로 가장 높았으며, 교정 36주 이후에도 산소투여가 필요한 중증 CLD의 경우 900~999 g 의 체중 군에서 7명(23.3%)로 가장 높았다. Ogawa 분류법으로 CLD의 각 병태 비율로는 RDS 이후에 나타나는 I, Ⅱ형이 각각 전체의 17예(24.3%), 44예(62.9%)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이외에도 III'형은 2예(2.9%), Ⅳ형은 2예(2.9%), V형은 5예(7.1%)이었고, III형, VI형은 없었다. 재택 산소요법은 8예에서 시행되어 전체의 11.4%였으며, 이 중 CLD I형이 7예로 87.5%를 차지하였다. 미숙아 망막증은 35명(50.0%)에서 발생하였으며, 700 g 이하 신생아에서 9예(26.5%)로 가장 많았다. 또한 괴사성 장염은 3명(4.3%)이었다. 결론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진행된 CLD의 전국적인 다기관 역학 조사로, 대상 신생아의 CLD 유병률은 1.6% 이었고 Ogawa 분류의 I, II형이 각각 24.3%, 62.9%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 낙관성과 억압적 대처가 소아청소년암 환자 보호자의 삶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성기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암 환자 보호자의 삶 만족도와 우울에 낙관성과 억압적 대처가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낙관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에 있어서 대처전략의 효과가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억압적 대처가 낙관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경기도 소재 암센터의 소아청소년클리닉을 내원한 외래환자와 입원환자의 보호자 56명, 비교집단으로 서울 소재 암 환자와 가족 관련 자조모임과 시민단체의 프로그램에 참가한 성인암 보호자 14명, 서울 소재 초등학생과 고등학생 자녀를 둔 보호자 5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질적 낙관성을 측정하는 낙관성 척도 (Life Orientation Test-Revised: LOT-R), 사건충격척도 개정판(Impacti of Event Scale-Revised: IES-R), 간병부담척도(Burden Interviews: BI)와 억압적 대처 집단 선별을 위하여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MCSDS), 명백 불안 척도 (Taylor Manifest Anxiety Scale: TMAS)를 사용하였고, 심리적 적응의 지표로 우울 증상 측정에 Beck 우울증 척도-II (Beck Depression Index-II: BDI-II ), 삶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는 삶 만족도 척도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암환자 보호자의 우울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억압적 대처, 사건충격, 간병부담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소아암 보호자에 있어서는 낙관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다. 또한, 소아암 보호자의 우울에 낙관성과 억압적 대처가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가지는 것이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 및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어: 소아청소년암 보호자, 낙관성, 억압적 대처, 삶 만족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