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ZT를 利用한 鐵骨보 損傷計測

        서혜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Various monitoring sensors are being used for the prediction and detection of structural damage. Smart sensors such as glass-fiber sensor, PZT, MEMS, etc. have replaced traditional sensors and are being used in many area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damage by measuring the strain of strain gauge(SG) the voltage of PZT by impact load. Firstly, two beams of H-400×200×8×13 were joined with bolt for the test of damage to the beam joint.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accelerometer and PZT were compared by FFT. The damage to beam was presumed by loosening the bolt, and then the damage measurement was accompanied. Secondly, steel plate beam of PL600×65×5.8 was fabricated for the experiment of damage measurement. Impact loading test on three different locations was carried out. The ratio of frequencies before and after the damage were computed to quantify the damage level by using FFT, and the change in mode pattern with the increased damage was investigated to predict the damage.

      • 시진핑 시기 중화민족주의 특징 연구 : 역사교과서 『歷史: 中外歷史綱要 上篇』 분석을 중심으로

        서혜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2019년 출판된 고등학교 학제 과정의 역사교과서『중외역사강요(歷史: 中外歷史綱要)』상편 중국사를 분석하여 시진핑 시기 중화민족주의의 특징을 탐색하는 것이다. 시진핑 주석은 집권 초기부터 공식 연설에서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강조하였다. 중화민족은 근현대시기 중국이 처한 대내외적 조건 속에 정치적 필요 의해 발명되고 구체화된 개념이다. 중화민족의 의미는 한족을 지칭하다가 후에는 대륙 내 각 민족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에는 한족 및 55개의 총칭으로 사용하여 중국 국적을 가진 모든 사람들을 지칭하였다. 그러다가 1980년대 개혁개방 이후 중화민족을 다양한 민족들이 융합한 단일한 민족체로 간주하기 시작하였다. 시진핑 시기 중화민족주의는 관제민족주의로 중국공산당과 정부 주도로 이루어진 하향식 민족주의이다. 관제 민족주의는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를 보완하는 국가주의적 속성을 가지기에 강한 국가를 추구하며 핵심 가치는 국가 영토 보전, 주권과 국가 통일이다. 이러한 관제 민족주의는 중국공산당의 필요에 의해 사용되기 때문에 실용적이고 도구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시진핑 시기에 들어 중화민족주의는 강화되어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라는 중국의 꿈이 헌법 및 국정 목표가 되었다. 시진핑 시기 국정 목표는 역사적 담론으로서 중화민족의 재건을 강조하며 근거를 찬란한 역사를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진핑 시기 중화민족주의의 주창 근거를 역사서술에 주목하여 통편화 역사 교과서인 중외역사강요󰡕 상편 중국사를 분석 해 보았다. 본 연구 사례 결과, 첫 번째, 시진핑 시기 중화민족주의는 역사적 중층적인 성격을 가진다. 고대사와 근대사는 시진핑 주석이 중화민족주의를 합법적으로 주창할 수 있는 배경적 요인이다. 두 번째, 중화민족주의는 중화민족이라는 단일한 개념 강조를 통해 민족 단결과 영토를 보존성을 지닌다. 세 번째, 중화민족주의는 강대국으로서 공세적인 성격을 가지고, 네 번째 초 국가주의적 민족주의 특징을 가진다. 다섯 번째, 중화민족주의는 중국식 발전 노선을 견지하는 민족주의로서 성격을 지닌다. 여섯 번째, 중화민족주의는 시진핑에 대한 충성을 강조하는 민족주의이다. 본 연구는 시진핑 주석의 연임이 확정 된 현 시점에서, 시진핑 시기 중화민족주의 특징을 시진핑 시기 역사 교과서라는 구체적 사례를 통해 밝혀냈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nationalism during the Xi Jinping period by analyzing Chinese history in the upper part of the history textbook "Chinese History Competition" published in 2019. President Xi Jinping emphasized the “great revival of the Chinese people" in his official speech from the beginning of his administration. The Chinese people are a concept invented and embodied by political necessity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of China dur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The meaning of the Chinese people refers to the Han Chinese, but later was used as a generic term for each ethnic group in the continent. After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t was used as a generic term for the Han Chinese and 55 people with Chinese nationality. Then,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of the 1980s, the Chinese people began to be regarded as a single national body in which various ethnic groups converged. During Xi Jinping's period, Chinese nationalism is controlled nationalism, which is a top-down nationalism led by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nd the government. Controlled nationalism pursues a strong state because it has a nationalistic attribute that complements socialist ideology, and its core values are national territorial integrity, sovereignty, and national unification. This controlled nationalism has a practical and instrumental character because it is used by the needs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During the Xi Jinping period, Chinese nationalism was strengthened, and China's dream of a great revival of the Chinese people became the constitutional and national goals. The national goal of Xi Jinping's period emphasizes the reconstruction of the Chinese people as a historical discourse and emphasizes the brilliant history of the Chinese peopl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y of China in the upper part of the composition of Chinese history, which is a comprehensive history textbook, focusing on history description as the basis for advocating Chinese nationalism during Xi Jinp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Chinese nationalism during the Xi Jinping period has a historical layered character. Ancient history and modern history are background factors that allow President Xi Jinping to legally advocate Chinese nationalism. Second, Chinese nationalism has national unity and territorial integrity through the emphasis on the single concept of the Chinese nation. Third, Chinese nationalism has an offensive character as a great power, and fourth, ultra-nationalist nationalism. Fifth, Chinese nationalism has a characteristic as a nationalism that maintains a Chinese-style development line. Sixth, Chinese nationalism is a nationalism that emphasizes loyalty to Xi Jinp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nationalism during the Xi Jinping period through a specific case of history textbooks during the Xi Jinping period at a time when President Xi Jinping's second term was confirmed.

      • 스파의 서비스품질과 관계지속의도와의 관계에서 관계몰입의 매개효과

        서혜원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스파는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왔지만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서비스 표준 모듈이 정착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어 서비스품질의 질적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운영방안과 마케팅 전략이 스파 기업의 중요한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파의 서비스품질이 관계몰입,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와 관계몰입의 매개역할을 분석하여 스파의 체계적인 경영에 필요한 서비스 개선 및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스파 고객의 욕구에 맞는 고객 응대 매뉴얼 개발 방향과 스파가 지향해야 할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검증을 위하여 서울·수도권·제주도 지역의 스파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2020년 1월 14일부터 2월 11일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 총 347부를 최종 분석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파의 서비스품질이 관계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확신성, 공감성, 신뢰성이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직원의 전문성과 고객의 욕구 파악을 위한 개별적 관심, 서비스의 정직성이 심리적 애착을 유발해 스파와의 장기적인 관계를 희망하게 만드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공감성, 확신성, 유형성이 계산적 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고객 맞춤형 서비스와 스파 직원의 능력과 지식에 대한 믿음, 스파의 물리적 시설의 효용성이 스파와의 관계를 사회적, 경제적 이득으로 느끼게 해 다른 스파로 이동을 하지 않게 만드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스파의 서비스품질이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확신성, 반응성, 유형성, 공감성이 관계지속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직원의 전문적인 태도와 능숙한 기술, 대응의 신속성, 스파의 장비와 시설의 우수성, 스파 이용의 편리성이 스파와 고객의 관계를 안정적으로 만들어 스파를 계속적으로 이용하게 만드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스파의 관계몰입이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정서적 몰입, 계산적 몰입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스파와의 장기적인 관계를 지속하는 데 있어서 경제적 이득을 추구하기보다는 스파와의 정서적, 감성적 몰입에 더 큰 가치를 두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스파의 서비스품질과 관계지속의도의 관계에서 관계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정서적 몰입과 계산적 몰입이 서비스품질과 관계지속의도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스파의 서비스품질에 따라 관계몰입과 관계지속의도를 살펴보고 관계몰입의 매개효과를 실증함으로써 스파가 지향해야 할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윤이상 작품에 나타난 한국 전통적 기법에 관한 연구 : 예악(禮樂)과 Interludium A를 중심으로

        서혜원 명지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럽의 현대음악계에서 동양적인 철학 및 음악을 토대로 자신만의 독특한 음악세계를 창조한 한국인 작곡가 윤이상(Isang yun 1917-1995)은 현재 세계음악사에서 20세기 현대음악에 큰 영향을 끼친 역사적인 인물로 평가되고 있으며, 그의 작품은 유럽의 연주회와 주요 음악콩쿨의 기본적인 레파토리로 꾸준하게 연주되어 오늘날 우리에게 중요한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관현악, 실내악, 독주곡, 오페라, 합창곡 등 다양한 장르에 걸쳐 작곡한 150여개의 작품에는 동서양의 음악을 조화롭게 결합한 그 만의 독자적인 음악세계가 잘 드러나 있다. 본 논문은 윤이상의 작품에 나타난 한국전통적인 요소를 연구한 것이다. 그의 음악이 한국적인 요소와 불가분의 관계임은 그의 강연과 글, 작품을 통해 여러 차례 접해왔고,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그의 독특한 작곡기법으로 자리 잡은 한국적인 요소들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음악을 보다 심도 있게 고찰하고자 하였다. 작품으로 선정한 「예악(禮樂)」과 「간주곡 A(Interludium A)」는 그 만의 음악적 언어인 주요음향기법의 토대위에서 한국적인 요소들을 근사한 소리로 반영해주고 있는 곡들이라 하겠다. 「예악」은 윤이상 음악의 중요한 양식적 특징들이 총체적으로 잘 응축되어 있다. 이곡에서는 우리 전통음악에서 사용되어지는 악기들의 유려한 소리와 농현법과 같은 주법을 서양의 것으로부터 창출해내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과 함께 동양음악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간주곡 A」에서는 도교의 ‘정중동(靜中動)’ 사상을 잘 드러내주는 ‘주요음기법’의 짜임새에 가장 한국적인 시김새를 사용하여 동양적 색채를 표현하고 있다. 현대음악의 지배적인 주류에 편입되지 않고 오히려 그 지배적인 어법들을 특유의 방식으로 변형시켜 가장 한국적인 것으로부터 가장 세계적인 음악을 만들어낸 윤이상은, 넘쳐나는 서양음악들 사이에서 한국의 전통적인 것을 등한시 해온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It is said that Isang Yun, a world-famous native Korean composer, created his unique music world by harmonizing Asian culture and music with western style. In this sense,his great music has been known as major repertories for main concerts in Europe, which attracts our research on. His creative music world with harmony of Korean and western style reveals in 150 compositions in the various genres such as orchestral works, chamber music, solo works,opera,and choral music.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Asian cultural characteristics in Isang Yun's music,and analyze how to harmonize them with Western European music. Core philosophy and basis of his music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aoism,His understanding of Taoism helped him create concept of oriental sound and 'movement within stillness', which produced techniques such as Hauptton and Hauptklang. "Reak" and "Interludium A" produce great sounds with techniques of Hauptklang and his own excellent skills reflecting Korean culture. In the "Reak", various sounds from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s and unique playing skills such as Nong-Hyun were recreated in western music,which might be a contributing factor to make western people become interested in oriental music. In addition, "Interludium A" was expressed in traditional Korean style with using Shi-Gim-Saeasa texture of Hauptklang.

      • 그림일기를 통한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저학년을 중심으로

        서혜원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동들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순수하게 나름대로의 방법으로 표현한다. 표현방법에서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어린 아동에게는 언어나 문자가 익숙하지 않으므로 읽고 쓰는 것으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기가 쉽지 않다. 문자를 배우기 전 실제로 아동들은 글로 쓰는 것보단 자유로운 그림을 그리는 방법을 통하여 그들의 표현을 만족스럽고 흥미 있게 표현 해 내고 있다. 즉, 아동은 여러 장르의 미술 활동을 통하여 자신의 흥미, 상상, 감정 등을 나타낸다. 초등학교에서는 저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그림일기 쓰기를 통하여 글과 그림을 함께 표현하여 자기의 생각과 감정을 나타낸다. 자기가 겪은 일 중 접하게 되는 감정, 환경, 사색 등 여러 가지를 되짚어 볼 수 있는 옳고 그름을 판단하여 올바른 인격형성과 안정적 정서를 가질 수 있는 중요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어린 아동은 인격 형성이 가장 중요한 단계이므로 하루 동안 있었던 일 중 반성들을 통하여 자기 성장의 단계를 밟아 나아가는 것이다. 일기를 통해 아동과 교사가 밀접하게 관련되어 아동의 마음, 도덕, 인성을 올바르게 도와 줄 수 있다면 자연스러운 인성교육을 도맡아 할 수 있다. 인간은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면서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고 정보를 교환하며 상호작용하며 살아간다. 이는 어릴 때부터 아동은 자신의 사고력과 통합적인 의사전달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미래의 사회는 새롭고 개성적이며 창의성 있는 사람을 요구함으로 교육은 지성과 감성이 잘 조화를 이루고 아동 스스로가 새로운 것을 찾고 발견하는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방향으로 점점 더 변화 할 것이다. 그림일기는 아동의 경험을 바탕으로 함으로 환경과 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하며 자신의 성격을 형성하는 과정이 일기에 기록되어 있다. 그림을 통해 그 날에 보았던 섬세한 관찰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며 경험에 대한 사고력을 발전시킨다. 또한 아동의 인격, 인성의 올바른 길을 제시하며 안정적 정서와 인간성의 함양이 되기 때문에 그림일기 지도의 필요성을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창의적 미술 표현 능력과 정서의 발달, 언어 발달과 더불어 전인 교육에도 도움이 되는 그림일기를 쓰는 아동들의 교육적 효과에 연구의 초점을 맞춘다. 학자들의 아동 발달 단계를 근거로 그림일기를 통한 창의적 생각과 비판 능력을 기르고 경험을 바탕으로 반성을 통한 아동의 올바른 자아 형성을 이끌어 내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그림일기를 중심으로 아동화와 의미를 살펴보며 아동화의 발달 단계의 대표적인 학자를 중심으로 국외학자와 국내학자로 나누어 정리한다. 학자로는 로웬펠드(Viktor Lowenfeld), 하버드 리드(Herbert Read), 시릴 버트(Cyril Burt), 뤼케(Luquet), 디 프랜시스코(De Francesco), 김정의 이론을 바탕으로 아동 발달 단계를 비교 분석 하였다. 또한 아동 그림 표현의 유형을 블로(Edward Bullough), 로웬펠드(Viktor Lowenfeld), 하버드 리드(Herbert Read)의 학자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아동이 사용하는 색채의 개념을 나이, 색채, 학자별로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그림일기의 종류에는 형태 및 내용에 따라 나뉘며 쓰는 목적과 대상에 따라 다양하다. 형태에 따른 분류로 그림일기의 형식과 내용에 따른 분류로는 사적일기형식으로 수업계획과 실제 수업을 통하여 결과물을 제시한다. 연구 대상은 부산시 초등학생으로 1~3학년 학생으로 제한하며 연구기간은 2009년 6월 1일부터 2009년 11월 2일까지로 본다. 수업의 계획단계에서는 수업 목표를 명료하게 정의하고 그림일기는 교과 과정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본 수업안은 아동의 개인적인 수업이며 그림일기의 특성, 성질에 맞게 구체적으로 만들어 졌다. 본 논문에서는 그림일기를 아동화적 관점에서 바라보며 그 결과로 통하여 얻어지는 연구에 관한 다음과 같은 결과을 얻었다. 첫째, 올바른 정서 함양과 긍정적 사고를 가진다. 꾸준히 일기를 쓰면서 아동은 그날의 일들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지며 솔직하고 아동의 시각에 따라 기록한다. 아동은 잘할 일이나 칭찬 받았던 일에 대해서는 기쁨과 보람을 느끼면서 올바르게 행동하는 것을 받아드린다. 그러나 반대로 잘 못한 일이든지 반성해야 되는 일을 쓸 때도 옳고 그름을 배우며 바른생활과 올바른 자아 형성의 방법이 되는 것이다. 둘째, 창의적인 표현과 생각을 가질 수 있다. 아동은 경험을 통하여 주변 환경과 사회에 관하여 다양한 시각을 바라보게 된다. 그림일기에는 그러한 시각이 바탕이 되어 주제가 정해지고 미술 활동을 하며 채색하거나 형태를 그려보며 가위로 오려 배열해보는 등의 자신만의 개성 있는 표현을 하기 때문이다. 그림일기는 통합적이며 창조적인 사고를 가져야 그날의 일들에 대해 판단하고 반성을 할 수 있다. 어릴 때부터 아동은 통합적인 의사전달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한데 미래 사회는 능동적이며 새롭고 창의성 있는 사람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매일 그림일기를 쓰는 습관은 통합적이며 능동적인 사고를 가질 수 있다. 셋재, 그리기와 문장의 표현 발전이다. 글과 그림의 상호작용으로 일기에 대해 글과 그림의 통합적인 표현력이 생기며 사고력과 묘사력에도 발전한다. 그리고 그림일기라는 것은 매일 자신이 경험과 관찰을 바탕으로 반복하는 과정임으로 문장 표현력과 그림 표현, 완성도 까지 발전한다. 본 연구를 살펴보면서 그림일기의 미술 교육은 올바른 정서 함양과 긍정적인 사고를 가질 수 있는 인성교육과 창의적인 표현과 사고를 가지게 된다. 끝으로, 그림일기의 체계적인 수업을 연구 계발하여 아동들의 사회에 대한 생각, 창의력, 올바른 인성 함양을 이끌어 주는 사회의 관심이 필요하다. Children express their thoughts and emotions purely in their own manner. There are many methods of expression but in the case of young children who are not familiar with language or letters, it is difficult for them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emotions through reading and writing. Before learning the alphabet, children actually express their emotions with satisfaction and interest through freely drawing rather than writing. Therefore, children show interest, imagination and emotions through various genres of art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lower grades, students are able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 naturally together through words and pictures through the picture diary. The most important advantage of the picture diary is that students can view and judge the events that they encounters including their feelings, environment, colors and more which allows the student to develop a rightful character and safe emotional state. Young children’s character development is the most important stage and they must tread through their self growth by reflecting on the events of the day. Through the picture diary, children and teachers form a close relationship so the children’s mentality, morals and character can be developed and allow a natural humanities education to be undertaken. The picture diary, which is based upon the children’s experience, interacts with the environment and society and records the growth of the child’s personality in the diary. Through the picture, a child can express what they have observed in detail during the day. This develops their social skills regarding that experience. Also, an appropriate path for children’s personality and humanity is proposed and since stable emotions and humanity is fostered, the need for picture diary is provided. In this paper, the picture diary is viewed from children’s painting perspective and research that is gained fro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ppropriate emotional state is fostered along with optimistic thinking. When a child writes in a diary continuously, they gain time to reflect on the day’s events and the diary records the child’s perceptive honestly. The child will feel happiness and avail through good work and praise and will being to accept the right actions. Oppositely, when a child writes about wrongful events or actions that require reflection, the art that they learn becomes a lifestyle and appropriate self development method. Secondly, innovative expression and thinking is gained. Through experience, they child looks a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society with various perspectives. The picture diary becomes the basis for that perspective and by deciding on the subject and performing artistic activities that require coloring, drawing and cutting and arranging art pieces it provides a channel for the child to express their own individualism. The picture diary requires a comprehensively innovative attitude by the child in order for them to reflect upon a day’s events. It is important to foster a child from an early age so that they have the ability to deliver comprehensive communication and also prepare the child for the future since the future society will require a person that is active, new, and innovative. Therefore, by making the picture diary a habit, a child can gain a comprehensive and active attitude. Third, drawing and sentence expression develops. Through interaction of writing and drawing, the ability to comprehensively express oneself is created regarding words and picture. In addition sociability and explanation ability develops. The picture diary also develops sentence and drawing expressions in addition to goal completion skills as it is a process that repeats itself through self experience and daily observation. While examining this research,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icture diary’s art is a type of humanities education where students can cultivate a healthy emotion, optimistic attitude and gain innovative expression ability. Finally, the societies’ interest is needed so that picture diary’s systematic course can be researched and developed to guide a child’s views about society, innovativeness, and help cultivate appropriate humanism.

      • 안드로겐 민감성이 상이한 전립선암세포에서 유도되는 다양한 형태의 세포사멸 연구

        서혜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전립선암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남성 발병률 및 두 번째로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질병이나, 명확한 분자적 발병원인은 정확하게 규명되어 있지 않다.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로 세포가 성장하기 때문에, 전립선암의 발생과 진행에 있어 안드로겐 수용체 (AR) 가 결정적 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초기 전립선암의 치료로 AR 의 활성을 억제하는 호르몬 고갈 요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발률이 매우 높고, 재발 시에는 안드로겐 호르몬에 비의존적으로 성장하는 hormone-refractory 유형으로 발전하게 되므로 이전의 호르몬 고갈 요법은 효과가 없어, 적용 가능한 치료법이 전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안드로겐 내성 전립선암에도 적용 가능한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이 절실하다. 이러한 AR 의 안드로겐에 대한 민감도 및 의존성은 전립선암의 진행 단계 및 발생 기원 등에 따라 다양하며, 따라서 이러한 AR 에 대한 의존 정도에 따라 다양한 phenotype 의 전립선암 세포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AR 을 발현하며 안드로겐에 의존적 성장을 하는 LNCaP 세포, AR 이 발현되고 활성화되기는 하나 안드로겐-비의존적인 성장을 하는 C4-2 세포, 그리고 AR 을 전혀 발현되지 않고 동시에 안드로겐에 비의존적인 DU145, PC3 세포 등 다양한 종류의 전립선암 세포들을 사용하여, 각각의 세포에서 AR 의 특성에 따른 항암활성 신물질 MCS-C3 의 세포사멸 유도 효과를 비교하였다. 선행 연구에 의하면, 항암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sangivamycin 으로부터 새롭게 전합성한 pyrrolo[2,3-d]pyrimidine 유도체 MCS-C2 가 다양한 인체 암세포에서 세포주기 조절 억제 및 apoptosis 를 유도하는 효과를 확인한 바 있다. 이를 바탕으로, MCS-C2 의 새로운 carbocyclic 유도체인 MCS-C3 가, 앞서 언급한 다양한 phenotype 의 전립선암 세포에서 유도하는 세포사멸 형태 및 그 분자적 기전을 규명하였다. 우선, MCS-C3 가 비전립선암 HeLa 및 PA-1 세포에서 각각 6 μM 및 4 μM 을 24 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apoptosis 를 유도하는 항암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전립선암 세포들에서는, 안드로겐에 대한 의존도 및 반응성 차이에 따라 MCS-C3 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사멸의 형태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즉, 안드로겐에 의존적으로 성장을 하는 전립선암 세포에서는 MCS-C3 처리에 의해 특정 농도 와 시간에서 (LNCaP 세포는 6 μM 24 h, C4-2 세포는 9 μM 48 h) 농도 특이적인 apoptosis 가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p21CIP1 단백질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이는 저해제 처리 실험을 통해 AR 의 활성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반면, AR 을 발현하지 않고 안드로겐-비의존적으로 성장하는 전립선암 세포에서는 약물에 의한 세포사멸이 전혀 유도되지 않거나 (PC3 세포), 24 시간 처리 후에 autophagy 형태의 세포사멸이 특정 농도 (6 μM) 에서 유도 (DU145 세포)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pyrrolo[2,3-d]pyrimidine 계 carbocyclic 유도체 MCS-C3 에 의한 전립선암 세포의 세포사멸 유도 현상은, 해당 전립선암 세포의 안드로겐에 대한 의존성 및 반응의 민감성에 따라 다양하게 발생된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특히, LNCaP 세포에서 농도 특이적 (6 μM) 으로 유도되는 apoptosis 는 AR 이 관여하는 p21CIP1 유전자의 급격한 발현 증가가 그 주된 원인임을 확인하였다.

      • 복잡한 메뉴 주문 상황에서 직원의 시선 행동이 소비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서혜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선은 인간 대면 상호작용 상황에서 많은 정보를 전달하고, 인상형성이나 인지적 활동 등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접점에서 직원과 소비자 간의 시선 행동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며, 특히 국내 소비자 환경에서 직원의 시선의 영향력을 다룬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국내 소비자 접점에서 직원의 시선이 소비자의 시선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아이트래킹 방법론을 활용하여 검증하고, 나아가 전반적인 소비자의 경험과 접점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소비자의 시선 행동은 인지 부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메뉴의 복잡성에서 기인하는 인지 부하가 직원의 시선에 따른 소비자의 시선 행동 및 인지적 평가를 달리하는지를 함께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2, 30대 성인 67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카페 주문 상황에서 직접적, 또는 회피적 시선을 보내는 직원의 사진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소비자의 직원 눈에 대한 시각적 주의, 직원에 대한 사회적 인상, 서비스 접점에 대한 만족, 매장에 대한 재방문 의도를 측정하였다. 인지 부하가 시선의 영향력을 달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메뉴를 주문하는 상황을 활용하였고, 메뉴의 복잡성에 따라 인지 부하를 조작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가 카페 주문 상황에서 직원의 눈 영역을 주시하는 비율은 23.2%였고, 이는 인지 부하의 정도에 따라 달라졌다. 주문해야 하는 메뉴가 복잡할수록, 소비자는 직원 눈을 더 많이 회피하였다. 그러나 직원이 소비자를 직접적으로 바라보거나, 시선을 회피하는 것은 소비자가 직원의 눈 영역을 보는 비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직원의 직접적 시선은 소비자의 인상, 접점 만족, 재방문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인지 부하와 참가자 성별에 따른 시선의 영향력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인지 부하가 높아져 직원 눈에 대한 시각적 주의가 줄어들더라도, 직원의 직접적 시선에 대한 소비자의 호의적인 평가가 달라지지는 않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기존에 주목받지 못했던 소비자 접점 상황에서의 직원 시선의 영향력을 총체적으로 검증하고, 메뉴의 복잡성에서 기인하는 인지 부하를 중심으로 그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서비스 접점 상황에서 소비자가 직원의 시선에 반응하는 방식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직원의 시선 행동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Gaze coveys a lot of information in human interaction and has a strong influence on impression formation and cognitive activities. Nevertheless, there are limited studies about the gaze behavior between employees and customers in the service encounter, and few studies have dealt with the influence of employees' gaze, especially in the Korean consumer environment.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influence of employees' gaze on customers' gaze behavior and overall experience in the Korean service encounter, using eye tracking methodology. In addition, customers' gaze behavior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gnitive load, and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cognitive load on the gaze effect. The study was conducted on 67 adults and measured the participants' gaze behavior, social impression, service encount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depending on the employee's gaze and cognitive load. The employee's gaze was manipulated as directed or averted gaze, and the cognitive loads was manipulated as situations of custom-order.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ercentage of customers watching employee's eye area in the cafe order situation was 23.2%, and the cognitive load decreased the visual attention of the customer to the employee's eyes. The direct gaze of the employe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ustomer's impression, service encount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However, there was no interaction of employees' gaze and cognitive load. There was also no interaction with the participant's gender. This study can provide academic implications by verifying the influence of employees' gaze in Korean service encounter that has not previously received attention. In addition, we attempted to understand how customer respond to employee's gaze in service encounter,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guidelines for employees' gaze behavior based on this.

      • 한국 아동소설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연구

        서혜원 한국교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한국 아동문학에서 포스트휴먼의 특성을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실제 작품에서 포스트휴먼의 의미를 살핀다. 아동문학은 다양한 인간과 삶의 문제를 조망하는 창구라고 할 수 있다. 사회변화나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한국 아동문학 역시 다변화하고 있지만, 인간과 아동에 대한 탐구는 전통적인 인식에 머물러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인간상을 탐구하는 담론으로서 ‘포스트휴먼’이라는 개념에 주목한다. 포스트휴먼은 과학기술의 변화 속에서 근대적 인간관의 비판이자, 새로운 인간의 개념을 모색하는 과정이다. 즉, 인간이 아닌 다른 존재들까지 포함한 ‘새로운 인간’인 동시에 ‘인간을 이해하는 새로운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의 존재 의미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는 점에서 포스트휴먼은 아동문학의 본질적 측면과 맞닿아 있다. 포스트휴먼의 특성은 인간과 삶의 문제를 궁구하는 아동문학 작품 속에 들어와 존재론적 질문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한다. 포스트휴먼의 특성은 ‘신체의 생성과 변이’, ‘경계의 해체’, ‘상호연결성’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포스트휴먼의 세 가지 특성은 사유 방식의 변화를 초래한다. 오랫동안 우리는 서구 중심의 이원론에 근거한 사유 방식과 삶의 모습에 익숙해져 있었다. 그러나 탈근대적 바탕에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나타난 포스트휴먼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이로 인해 사유 방식의 전환 및 변화가 일어나는 것은 필연적이라 할 수 있다. 이 같은 포스트휴먼의 특성과 사유 방식의 변화는 새로운 인간의 정체성을 모색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아동문학에서 포스트휴먼을 탐색하는 방식에는 ‘존재 양식의 변화’, ‘인간성의 비판적 성찰’,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 이해’ 가 있다. 생물학적/외형적 특성, 정신적 특성, 사회적 특성에 따른 전통적인 존재론적 인식 근거가 어떻게 해체되는지 살펴봄으로써 아동문학에서 새로운 인간상을 탐색하는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포스트휴먼 탐색 방식을 바탕으로 한국 아동소설에 나타난 포스트휴먼의 특성과 아동상을 탐구한다. 2000년대 이후 한국 아동소설 가운데 선정한 작품은『컬러보이』,『로봇의 별』,『열세 번째 아이』,『알렙이 알렙에게』이다. 한국 아동소설에서 포스트휴먼은 이분법적 세계관을 해체하여 인간 개념의 확장을 시사한다.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것으로 비인간이 존재성을 드러내며,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를 생태적으로 인식하여 인간 중심적 사고를 전복한다. 이때 아동은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 혼합체적 존재로서 다중의 정체성을 갖되, 스스로 삶을 고민하고 행동한다. 타자의 위치에서 주체로 나아가며, 사회적 존재로서의 역할을 보여준다. 또, 타인의 욕망을 거부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스스로 선택하며, 비인간의 존재를 인식하고 이들과 공존하고 소통하기 위해 노력한다. 본 연구는 새로운 흐름으로 등장한 포스트휴먼이라는 개념을 활용하여, 한국 아동소설에서 그 특징이 드러나는 양상과 아동상의 변화를 함께 살피고자 하였다. 한국 아동소설 분석의 새로운 단초를 제공하고, 그간 도외시 되었던 아동상에 대한 연구로까지 논의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문학교육에서 포스트휴먼과 관련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탐색할 때, 이론적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아동문학에서 포스트휴먼에 관한 논의가 계속 이루어져 한국 아동소설의 다양성이 확보되고, 나아가 학생들의 반응연구나 문학교육 지도 방안에 관한 논의로까지 이어지길 바란다.

      • 인공지능 학습자를 위한 전이학습 기반 나선형 교수설계모형 제안

        서혜원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 학습자는 어떤 주제에 대해 학습할 때 기초 지식부터 학습한다. 처음 보는 복잡하고 어려운 과제를 해결하기에 앞서 우선 간단한 문제부터 학습하고 점차 어려운 문제를 학습하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해 학습한 인간 학습자는 문제를 해결할 때 필요한 사고력과 함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정보 기술의 발전으로 인공지능이 이슈로 떠오르며 인공지능에 대한 다양한 연구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연구도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인공지능을 인간 학습자처럼 ‘학습자’로 보고 진행하는 학습 전략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연구자는 인공지능을 학습자로 보고 인공지능을 위한 전이학습 기반 나선형 교수설계모형, SLT4AI(Spiral Learning Model based Transfer Learning for AI)을 개발하였다. SLT4AI 교수설계모형은 인공지능 학습자에게 학습 내용을 한 번에 학습시키지 않고, 난이도별로 나눠서 학습시키는 교수설계모형이다. SLT4AI 실험을 통해 학습 데이터셋 전체를 난이도별로 나눠 쉬운 난이도부터 어려운 난이도의 데이터까지 순서대로 학습시키는 전이학습 기반 나선형 교수설계모형의 효과성 및 가치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이 논문에서 인공지능 학습자를 위한 전이학습 기반 나선형 교수설계모형을 연구․개발한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 학습자’에게 전이학습을 기반으로 나선형 교육과정을 적용하여 학습 내용에 위계를 지닌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교수설계모형을 개발한다. 둘째, 인공지능 학습자를 위한 전이학습 기반 나선형 교수설계모형이 일반 인공지능 모델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지 검증한다. 셋째, 인공지능 학습자를 위한 전이학습 기반 나선형 교수설계모형이 대량의 데이터셋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그 효과성과 가치를 지니는지 검증한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인공지능 학습자를 위한 전이학습 기반 나선형 교수설계모형(SLT4AI)’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SSURE 모형과 Dick & Carey 모형을 참고하여 만들어졌으며, 총 6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학습 목표 진술, 학습자 환경 분석, 데이터 수집, 데이터 분석 및 전처리, 교수전략선택 및 학습, 평가의 순서로 진행된다. 이 중 인공지능 학습자가 이전에 배운 지식을 전이시키며 나선형으로 학습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절차들로, 전체 데이터를 난이도별로 분할하는 <데이터 분석 및 전처리> 단계와 난이도 순서대로 학습시키는 <교수전략선택 및 학습> 단계에 초점을 맞춰 구성하였다. 또한 순환과정을 거쳐 발전하고 피드백을 통해 계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구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고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설계모형 중 검증된 모형이라고 할 수 있는 ASSURE 모형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학습자’를 위한 교수설계모형인 SLT4AI 모형을 개발하였다. 총 6단계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는 순환적으로 반복해서 실행된다. 평가 단계 에서 학습 목표의 달성 여부를 확인하고 피드백을 통해 수정․보완이 가능하다. 둘째, 인공지능을‘학습자’로 보고 인공지능의 학습 과정에서 지식이 전이되도록 교수설계모형을 개발하였다. 일반적인 인공지능 학습 프로세스에서는 학습의 전이에 대해서 고려하지 않는다. 하지만 인간 학습자가 더 높은 난이도 의 지식을 학습하기 위해 이전에 배운 지식의 내용을 전이시켜서 활용하 듯이 인공지능 학습자도 유사한 학습의 경험이 있는 모델을 전이시켜와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SLT4AI 모형은 난이도가 낮은 것부터 높은 것까지 단계별로 분할된 데이터를 순서대로 학습시키며, 학습시키는 과정에서 학습 의 전이가 이루어진다. 각 단계별로 데이터셋의 학습이 완료될 때마다, 나선형으 로 지식이 한 층씩 쌓아 올려지고, 가장 높은 난이도의 데이터 학습까지 완 료되면 모든 학습이 나선형으로 쌓아 올려진 구조가 완성된다. 셋째, SLT4AI 기반 교수-학습 실험을 실행하였다. 기존의 인공지능 학습 프로세 스와 달리 인공지능을 ‘학습자’로 보고 나선형 교육과정을 적용하여 학 습 난이도 순서대로 학습시킨다. SLT4AI 기반 교수-학습의 실험 결과, 기존 의 인공지능 모델보다 정확도가 대체로 높고, 훈련 시간이 줄어드는 등 성능 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넷째, SLT4AI 교수설계모형을 적용하여 인공지능 학습자를 학습시킨다면, 학습이 완료되는 것을 기다리는 사용자에게 빠른 시간 안에 초기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보통 대량의 데이터셋을 모두 학습시키는 동안 사용자는 오랜 시간 기다려야 한다. 또한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데이터를 학습시키는 것에 대한 복잡한 시스템 구조가 요구될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SLT4AI 교수설계모형을 적용하여, 난이도별로 데이터셋을 나눠 인공지능 학습자에게 쉬운 데이터셋부터 학습시켜 초기 학습 모델을 먼저 완성하고, 초기 모델을 사용하는 동안 어려운 난이도까지 학습시키며 학습 모델을 추가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학습자는 대량의 데이터셋 중 난이도가 낮은 일부 데이터만 학습하고도, 좋은 성능의 초기 인공지능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어려운 난이도까지 모두 학습된 인공지능 학습자는 인간 학습자에게 나선형 교육과정을 적용시키는 것과 같이 더 좋은 성능과 함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다.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대량의 데이터셋을 학습시켜야 하는 현실에서, 이 연구에서 개발한‘인공지능 학습자를 위한 전이학습 기반 나선형 교수설계모형’이 인공지능의 학습 전략에 대한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rapidly changing not only various industries but also society. It is also changing the paradigm of life as it converges in all fields. As AI evolves over time through various discoveries and technological breakthroughs, it generates a lot of data that can be used to train AI. This has resulted in an unimaginable amount of diverse data being available for AI training. However, as the volume and diversity of data grows, it is no longer realistic to utilize all of it to train a model. Dealing with large amounts of data and responding to constantly generated data is challenging in terms of computing resources and tim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efficient data management and learning strategies for training AI in such situations. Research is needed on how to maximize learning within limited computing resources and how to extract important information from various data. These studies explore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learning quality and efficiency of AI models by exploring intelligent and efficient data utilization beyond the existing data-driven learning methods. It is impossible to teach humans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Similarly, it is not possible to train an AI model on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that is constantly generated in real time, all at once. Therefore, this paper addresses the question of how to train an AI when utilizing large amounts of data. The study of human education and learning is known as pedagogy. It explores various education-related topics such as education systems, learning theories, teaching methods, learning assessment, learning environments, learner development, education policy, and educational philosophy to develop and study effective methods and approaches in the field of education. While the pedagogy of educating humans is well-structure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how to teach A.I. or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A.I..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we need a paradigm for teaching AI by looking at AI as a learn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spiral instructional design model (SLT4AI) based on transfer learning for AI learners. In this paper, we define both AI and humans as learning objects, AI as learners, and human learners as AI learners. Based on the ASSURE model and the spiral teaching process, which are well-known as traditional instructional design models, the researcher developed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AI learning that consists of six stages: learner environment analysis, learning goal statement,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and preprocessing, teaching strategy selection and learning, and evaluation. The research objectives of developing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AI learners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o develop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to apply a spiral curriculum to A.I. learners so that they can learn hierarchically. Second, apply a spiral instructional design model based on transfer learning to A.I. learners so that previously learned content is transferred to the next level of learning. Third, we verify whether the spiral instructional design model based on transfer learning for AI learners outperforms the general AI model. Fourth, we verify that the spiral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AI learners is efficiently organized to handle large datasets, making it effective and valuable. This paper presents a new paradigm and direction on how to efficiently train AI models under the increasing data load by looking at AI as a learner. This paper aims to propose a spiral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A.I., emphasizing that research on how to teach A.I. should be further expanded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