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나라 기업의 경력관리에 대한 연구

        서지숙 韓南大學校 經營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기술의 발달은 기업간의 장벽을 무너뜨리고 급속한 경영환경의 세계화를 이루며 무한경쟁의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기업은 이러한 환경 가운데에서 살아남기 위해 세계화에 발맞추어 기술과 전략을 구사할 수 있는 인재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앞 다투어 핵심인재를 유치 및 유지하기 위해 아낌없는 지원을 하고 있다. 게다가 현재 사람들의 직업에 대한 가치관이 변해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종업원들은 자신의 경력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기업 또한 종업원들에게만 경력개발에 대해 맡기는 것이 아니라 관심을 가지고 지원을 해준다면 보다 나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인재 계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업에서 어떻게 이들의 역량을 높여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현재까지 진행되어온 경력관리와 관련된 이론적인 내용들을 조사하여 기술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기업 환경과 비슷한 미국, 일본의 선진기업들 사례와 인재계발 실태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기업의 경력관리 현황과 특징에 대해 검토하였다. 끝으로 여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해 살펴보고, 구체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경력관리 프로그램에 대해 제시하였으며 이 제도에서 줄 수 있는 시사점에 대해 정리하였다. Development of the rapidly changed IT(Information Technology) nowadays has been destroying the barrier among companies globalizing business environment and beginning the age of limitless competition. The companies have recognized the necessity of a talented person able to command technology and strategy keeping a pace with globalization so that they can be survived from this situation. And they have been lavishly supporting to competitively recruit the talented. The sense of value about a career is changing. Employees, therefore, spare no effort to fulfill the interest about their career development. It could be made much better achievement if companies supported with concern. In view of this,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talented development. For that, theoretical contents about career development progressed career management so far was first investigated and described. I analyzed the cases and the main states about the talented development of advanced companie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hose environments are similar to ours. Finally, I searched the problems and the solutions on this point, then presented a career development program, and put suggestions in this system.

      • Henri Matisse 後期繪畵에 관한 硏究 : cut-out 作業을 中心으로

        서지숙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suit of a pure figurative art in the painting was the product of the modern figurative idea which was appeared in the development of the arts in the 20th century and it was very remarkable. The ideological and technical attitudes of the painting are the objective formation of aesthetic sense of the world and they are all extremely ambitious trials. Self-establishement, assertion of personality and respect of freedom as the subjective conditions are the core of such trials. The spirit of such a subjective expression is the motive of the modern arts. This study presents the figurative characteristics shown in Matisse's works through the anlaysis of the works and investigates the abstract nature of paper : cut-out which is considered as an original expression technique in his latter days. The formation of Matisse's painting is based on the educational role and influence of Gustav Moreau (1826- 1898), Neo-impressionism and Cezanne's firm composition which give Matisse's painting a basic feature, the influence of Gauguin's pure and plane colors, that of Gogh who liberated the colors from proper colors of things in the modem arts, and his art is the basic idea of fauvism by creating the composition with colors. Matisse's technique which minimizes the number of dyes (most pure colors) and shows a simplification builds the figurative world of a new aspect in the process of figurative plane formation. Therefore, his pursuit all in his lifetime is the development of a new expression obtained from the liberation of line and colors and further the abstract expression peculiar to Matisse is ripened in his cut-out work and verifies the combination of the purest color and form. This technique is in an inseparable relation from wallpainting of Vence church to stand-glass and it seems to be an end of a perfect unification. Accordingly, the world of Matisse's works is started from color itself, creates a figurative painting which integrates line, form and color considered from the viewpoint of figurative value as a 'figurative work', simple form, fairness of primary colors and his handling of canvas without matiere express the concentration of internal spirit of painting rather than a formal surface and then it is evaluated that his art approaches to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modern arts.

      • 4π β-γ 동시계수 방법을 이용한 ^(54)Mn 핵종의 방사능 절대측정

        서지숙 牧園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방사능 측정을 위해 4π 비례계수기와 두 대의 NaI(Tl) 감마검출기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4πβ-γ동시계수에서 검출효율의 향상을 위해 film 제작 방법의 개선하였으며, 이는 검출효율이 낮은 ^(54)Mn의 방사능 측정에 적용하였다. 검출효율을 높이기 위해 최소한 얇게 제작되고, 전기전도도 향상을 위하여 금으로 증착한 collodion film과 VYNS film으로 시료를 제작하였다. Film 두께는 각각 4.35 ug/㎠ (collodion), 5.01 ug/㎠(VYNS)를 얻었고, β-채널의 검출효율은 collodion film 시료보다 VYNS film 시료에서 약 3 % 높게 나타났다. β-채널의 저에너지 문턱준위변화 범위는 1 mV에서 660 mV로 하였으며, 문턱준위 이후의 계수율을 한 point당 500초씩 측정하여 20 ~ 23개의 data point를 획득하였다. 691 keV ~ 1049 keV의 에너지 영역을 감마 gate로 설정하여 효율외삽법을 이용하여 ^(54)Mn 선원의 방사능을 산출하였다. 측정한 결과 2003년 10월 1일 09시를 기준으로 collodion film의 시료인 경우 313.7 kBq/g, VYNS film의 시료인 경우 315.5 kBq/g로 결정하였고, 표준 합성 불확도는 각각 0.36 %, 0.31 %로 나타났다. The 4πβ-γ coincidence technique consisted of a pressurized proportional counter and two NaI(Tl) gamma detectors has been applied in standardization of ^(54)Mn. In order to enhance the detection efficiencies, the sources wore covered with both the same type films for VYNS of 5.01 ㎍/㎠ and for collodion thin films of 4.35 ㎍/㎠, respectively. And this film is coated with gold to have the electric conductivity. Observed maximum detection efficiencies for VYNS sources were about 3% higher than those of collodion sources. The gamma-ray window was set to the energy region from 691 keV to 1049 keV. And the efficiency variation was accomplished by the low-energy threshold level variation method for beta energy from 1 mV to 660 mV. The counting time at each discrimination level was 500 s and the number of discrimination lever was 20 - 23 for each sample. The efficiency function was obtained by means of linear least squared fit and the activity of the considering sample was determined by extrapolating the function to the point of efficiency of 100%. The results were found to be 313.7 kBq/g for collodion sources and 315.5 kBq/g for VYNS sources as of the reference data. The standard combined uncertainties for both type of sources were found to be 0.36% and 0.31%, respectively.

      • 글로벌 금융위기와 주가지수의 구조적 변화

        서지숙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8년에 미국에서 발생한 글로벌 금융위기가 국내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며 비단,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에 큰 파급효과를 주었다. 이는 세계 금융이 모두 상호작용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뿐만 아니라 유가와 환율에도 세계 경제가 민감한데 이 현상을 설명변수로 하여 유가와 환율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Nelson(1991)의 EGARCH모형에 AR(1)을 포함시켜 수정된 AR(1)-EGARCH(1,1)모형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여기서 GARCH모형을 적용한 경우와 EGARCH모형을 적용한 경우를 비교·분석하여 AR(1)-GARCH(1,1)모형과 AR(1)-EGARCH(1,1)모형을 이용해 2002년 6월 3일부터 2012년 3월 30일까지 일별 시계열자료(daily time series data)를 이용하여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모든 국가에서 예상치 못한 부(-)의 수익률이 예상치 못한 정(+)의 수익률보다 주가변동성을 더욱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정보의 유형에 따른 주가변동성의 비대칭성을 모든 국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미국의 비대칭성 계수의 절대값이 상대적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미국에서 발생한 금융위기가 당시 미국의 주식시장에서 주가변동성을 크게 증가시킨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외생변수인 환율변화율은 주식시장에서 거시적 정보유형으로서 주가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가수익률은 모든 국가에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글로벌 금융위기의 파급 충격으로 인해 주가변동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인권감수성과 직무만족이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

        서지숙 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에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눈에 띄는 특징은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들의 권리 혹은 인권에 대한 강조일 것이다. 이용자들의 권리 혹은 인권의 중요성은 직원 1인 체제의 공동생활가정의 특수한 근무환경에서 일하고 있는 사회재활교사의 인권의식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지난 20여 년간의 장애인공동생활가정의 급속한 증가와 더불어 종사자의 양적인 팽창에도 불구하고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재활교사의 근무여건은 지정된 근무시간뿐만 아니더라도 사생활의 제약 등 다른 거주시설에 비하여 근무환경이 열악하여 직무스트레스 뿐만 아니라 소진의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열악한 근무조건은 결국 질 낮은 서비스로 이어지며 이로 인해 인권문제로 이어 질 수 있는 높은 개연성을 갖고 있을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들의 인권감수성과 직무만족이 인권의식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각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으로는 서울시 장애인공동생활가정에 종사하는 179개소 사회재활교사들 중 100명의 사회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10월 1일부터 11월 30일에 걸쳐 조사하였고, 자료분석은 통계 패키지 SPSS 20.0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들의 인권감수성은 사회복지사 종사자들 중 부랑인복지시설 종사자와 노인종합복지관 사회복지사들 보다는 높고, 인권감수성 지표개발 연구에서 조사된 일반대학생의 인권감수성 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직무만족에 대해서는 보수만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무 응답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인권의식 수준 중에서는 사회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평등권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인권감수성과 인권의식간의 상관관계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직무만족과 인권의식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인권감수성 하위영역 중 결과지각이 정(+), 직무만족 하위 영역 중 상사에 대해서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재활교사의 인권감수성 하위요인 중 결과지각인식이 높을수록 인권의식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 하위요인중 상사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인권의식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인권감수성 하위요인 중 결과지각이 높아질수록 평등권 의식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 하위요인 중 상사와의 관계 및 승진에 대한 공정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평등권 의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결과와 같이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사회재활교사의 인권감수성인식과 직무만족이 인권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의 직접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재활교사들에 대한 인권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인권감수성인식과 직무만족을 제고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데, 첫째는 결과지각에 대한 인권감수성을 높이기 위한 차별화된 지원전략이 필요하다. 둘째는 결혼한 사회재활교사들이 안정적으로 출산 및 육아 휴직 등을 다녀올 수 있는 근무환경개선 및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는 직무만족 하위요인 중 상사에 대한 인식이 좋을수록 사회재활교사의 인권의식을 상대적으로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상사에 대해서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유의하게 나타났기에 사회재활교사들의 인권의식 제고를 위한 시설장의 역량 제고가 필요하다고 본다. 넷째는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들의 인권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종사자들의 직무만족을 위한 노동권 확보 및 근로기준법 준수를 위한 방안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연구로서는 인권의식에 대한 영향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인권감수성인식 및 사회재활교사의 직무만족요인만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추후 사회재활교사의 조직몰입, 정체성, 효능감 등 현실적 업무 특성을 반영한 후속연구들이 다양하게 연구되어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주제어 :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인권감수성, 직무만족, 인권인식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당뇨병 유병률 궤적과 영향요인 분석

        서지숙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목적: 본 연구는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우리나라의 당뇨병 유병률이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고 당뇨병 유병률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지역적 특성(고위험 음주율, 흡연율, 자가보고 된 비만율, 스트레스인지율, 우울증, 주관적 건강인지율, 고령인구 비율, 남성인구 비율, 의료기관 수, 의료인력 현황)에 중점을 두고 확인하였다. 방법: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총 5년간 지역사회건강조사, 주민등록인구현황, 국민건강보험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229개 지자체의 당뇨병 유병률과 지역적 특성 간의 관계를 추정하였다. 또한 각 지자체의 당뇨병 유병률 자료를 통해 당뇨병 유병률의 변화와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은 먼저 당뇨병 유병률, 지역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전반적인 당뇨병 유병률의 변화를 추정하고 당뇨병 유병률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잠재성장모형을 진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의 흐름에 따른 당뇨병 유병률의 변화 양상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 동안 지자체의 당뇨병 유병률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그 변화율은 지자체 간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둘째, 당뇨병 유병률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초기값의 수준에 따라 변화 정도에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당뇨병 유병률의 초기값이 높을수록 증가 추세가 가파른 폭으로 진행되며, 반대로 초기값이 낮을수록 증가 추세가 완만한 폭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지역적 특성 중 단기적으로는 고위험 음주율, 흡연율, 비만율, 우울증, 고령인구 비율이, 중장기적으로는 지역(지자체)과 고령인구 비율이 당뇨병 유병률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고위험 음주율이 높을수록, 흡연율이 높을수록, 비만율이 높을수록, 우울증이 높을수록, 고령인구 비율이 높을수록 당뇨병 유병률 초기값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군 지역 대비 시·구 지역인 경우, 고령인구 비율이 높을수록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당뇨병 유병률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단면조사 연구를 통한 기존의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본 연구는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당뇨병 유병률과 지역 간 특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당뇨병 유병률 변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지자체별 당뇨병 유병률 자료와 지역 간 특성 요인을 통해 향후 당뇨병 유병률을 낮추고 관리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 특히 지역별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uses a latent growth model to identify changes in diabetes prevalence in Korea over time,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changes in diabetes prevalence, focusing on regional characteristics (high-risk drinking rate, smoking rate, self-reported obesity rate, stress perception rat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subjective health awareness rate, elderly population rate, male population rate, health care workforce status, the number of medical institution. Method: For a total of 5 years from 2017 to 202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valence of diabet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in 229 local governments was estimated using data from the Regional Health and Social Survey, resident population status,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s. In addition, changes in diabetes prevalence and influencing factors were analyzed through diabetes prevalence data of each local government. For the main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first conducted to confirm the prevalence of diabet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a latent growth modeling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change in overall diabetes prevalence over time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in diabetes prevalence. Result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nd discussed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pattern of change in diabetes prevalence over time increased. However, the prevalence of diabetes in local governments tended to increase during the five years from 2017 to 202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rate of change among local governments. Second, although the prevalence of diabetes tends to increase from 2017 to 2021,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change differs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initial value.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initial value of diabetes prevalence, the steeper the increasing trend, and the lower the initial value, the slower the increasing tre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initial value of diabetes prevalence, the steeper the increasing trend, and the lower the initial value, the slower the increasing trend. Third, among regional characteristics, it was analyzed that high-risk drinking rate, smoking rate, obesity rate, depression, and elderly population rat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iabetes prevalence in the short term, and region (local government) and elderly population rate in the mid to long term.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high-risk drinking rate, the higher the smoking rate, the higher the obesity rate, the higher the depression, and the higher the elderly population, the higher the initial diabetes prevale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revalence of diabetes increased rapidly over time as the elderly population ratio increased in the case of districts compared to counties. Conclusion: Unlike previous studies using a cross-sectional study,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abetes prevalenc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by using a latent growth model, and identified the factors that affect changes in diabetes prevalence over time. Diabetes prevalence data by local government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can be used as evidence for establishing government policies, especially regional strategies, to reduce and manage diabetes prevalenc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