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증시에서 개인투자가의 합리성에 관한 연구

        서우경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 증권시장은 외국인투자가 기관투자가 개인투자가로 구분되어지는 3투자주체가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이중 개인투자가는 전인구의 약 10%에 달하는 400만명 정도로 추산되어진다. 문제는 시장 참여의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개인투자가들이지만 성과는 외국인투자가와 기간투자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너무 열악하다는데 있다. 통상적으로 시장에 참여하는 개인투자가중 약 90%는 손실을 보고 있으며 2000년 기준으로 개인투자가의 총 손실금액은 약 90조원에 달한다. 시장에서의 개인투자가의 투자실패는 비단 개인적인 문제를 떠나 사회 전반의 이슈로 대두되기에 충분하다. 그럼, 시장의 다수인 개인투자가는 왜 외국인투자가나 기관투자가에 비하여 열등한 게임을 하는것일까가 본 논문의 시발점이다. 과연 한국증시에서의 개인투자가들은 어떠한 기준과 행동양식으로 매매에 임하는 것일까? 외국인투자가와 기관투자가에 비해 구체적으로 어떠한 차이를 보일까? 자못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론적인 개념보다는 실제적으로 시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 가지 상황중 개인투자가의 투자행태중 가장 일반적 오류로 생각되어지는 투자성향효과(disposition effect), 군집행동(herding behavior), 추세추종거래(positive feedback trading)의 관점으로 접근하여 결과를 도출해 보도록 하며 실제 수익을 내는데 있어 효율적인 거래패턴의 결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The Korean investment industry is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investors: foreign investors, investment bankers and private investors. Of these three investors, ten percent of the total Korean population, approximately 4,000,000 are private investors. The problem is the majority of the market made up by private investors has underperformed. The problem is, although the majority of the market consists of private investors, the market has underperformed when compared to the foreign markets and investment bankers. Generally speaking, 90% of private investors who invest in the stock market have lost money and in the year 2000, private investers total loss totaled 92 billion dollars. This is not only a problem for direct investors in the market, but also a big social issue. Then, the question is, why has private investors done poorly when compared to foreign investors and investment bankers? What type of strategy and behavior patterns do private investors follow when trading? Compared to foreign investors and investment bankers, what are. some specific differences? These are questions that are naturally fascinating. This dissertation is more of the actual practices that take place in the market rather than a collection of basic concepts. Some of the investment patterns that are wide spread and common are the "disposition effect", the "herding behavior", "positive feedback trading". These three practices will be the point of interest and results will be recorded. After efficient trading patterns are recorded, the corresponding real results will be observed

      • 국내?외 아동학대 연구동향의 비교분석

        서우경 숙명여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동학대는 아동복지를 실천하는데 가장 장애가 되는 분야이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아동학대 연구동향 분석이 아동복지를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보고, 지금까지 아동학대 선행연구 논문들의 내용분석법을 적용하여 동향파악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선행연구들의 문제점과 보완책을 제시함으로써 우리 나라의 아동학대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되는 후속 연구들의 방향제시와 연구방법의 선택에 도움을 주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① 국내의 아동학대 연구동향은 어떠한가? ② 국외의 아동학대 연구동향은 어떠한가? ③ 국내와 국외의 아동학대 연구동향의 비교는 어떠한가? 를 연구문제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의 한 방법인 내용분석법을 적용하여 기술하였고, 분석대상 연구 논문은 국내·외 연구 논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1975년부터 1993년까지 발표된 아동학대 관련 문헌목록집을 가지고 '한국에서의 아동학대 연구경향'이라는 선행연구가 있었기 때문에 본 연구의 분석대상 연구 논문의 연구기간은 1994년부터 2000년까지로 정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분석은 아동학대의 ① 개념·정의 및 유형 ② 연구방법 ③ 발달 ④ 원인 ⑤ 실태 ⑥ 대책 등 모두 6개 분석항목을 선정하여 연구동향을 비교분석 하였다. 본문의 내용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학대의 개념·정의 및 유형의 연구동향은 국내·외 연구 모두 최근까지 학자들마다 개념·정의 및 유형에 대한 서로 다른 의견으로 논란을 계속하여 왔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지금까지 개념·정의에 대한 연구의 방향은' 외국 문헌의 고찰을 통한 정의의 개념화⇒ 외국의 척도를 이용한 한국부모의 인식 파악을 통한 개념화⇒ 한국의 일반인의 인식 파악을 통한 개념화⇒ 한국의 전문가의 견해 파악을 통한 개념화⇒ 광의·협의의 개념화⇒ 법적 정의의 개념화' 순으로 이어지고 있다. 국외의 경우는 아동학대 연구에 대한 오랜 기간의 역사와 방대한 연구업적에도 불구하고 아동학대의 정의를 내리는 것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학자들 간의 공통된 견해가 없는 실정이다. 이는 외국의 학자들은 확고한 학문적인 이해의 토대 위에서만 정의가 발전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서 연구자의 주관적인 시도는 인정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아동학대의 연구방법의 연구 동향을 보면 국내의 아동학대에 대한 원인과 실태의 연구방법은 거의 대부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양적 연구인데 반해 대책의 연구방법은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 연구나 사례분석, 또는 이를 바탕으로 한 도구 제작 등 질적인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국외 연구는 어느 한 유형에 의해서만 연구가 고안되지 않고 연구설계나 방법상의 특징을 강조한 새로운 유형의 연구방법들이 발전되고 세분화되어 소개되고 있다. 셋째, 아동학대가 발달상에 미치는 연구 동향을 보면 국내의 제 1기(1975∼1988), 2기(1989∼1993)까지의 연구들은 주로 신체적 학대를 다룬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1994년부터 2000년 사이의 발달과 관계된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신체적 학대뿐만 아니라 제 1, 2기에는 다루지 않던 언어적 학대, 성적 학대, 방임 등 아동학대 전반적인 유형에서 발달상의 미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국외의 연구는 태아부터, 신생아기의 아동학대를 예측하는 연구에서부터 연령별로 발달 단계에 미치는 종단적 차원의 연구까지 전(全)생애 발달적인 측면에서 아동학대를 다루고 있다. 넷째, 아동학대 원인의 연구동향은 국내·외 모두 발생원인에 대한 이론적 접근 외에 관련 제 변인의 파악, 단일원인에 심화된 고찰 등 세 부분으로 구분하여 탐색하였다. 이 가운데 국내의 이론적 접근을 보면 아직도 외국이론을 단순히 소개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아동학대 실태의 연구동향을 보면 제 1기(1975∼1988)와 제2기(1989∼1993)까지는 전국적인 규모의 실태 파악이 어려웠지만, 1994년 이후부터는 사회복지시설, 특정지역의 실태 파악에서부터 전국적 규모의 실태 파악까지 제 1, 2기에 비해 비교적 광범위하고 포 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국외는 아동학대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다민족적, 다문화적 차원의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섯째, 아동학대 대책의 연구동향을 보면, 아동학대에 대한 세계적인 동향은 예방이 최선의 치료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국내의 연구는 예방을 강조하면서도 제 1, 2기에 이어 지금까지 아동학대의 예방은 치료대책과 함께 동시에 취급되어 왔으며, 원인이나 실태에 비해 발표된 연구수도 극히 한정적이다. 한편, 국외는 아동학대 방지를 위한 예방 프로그램이 해마다 보완되어 비교적 활성화되어 소개되고 있고, 치료대책 역시 사회적 후원과 정책을 고려한 수준 높은 의료적 치료대책을 제시함으로써 아동보호서비스(Child protective services-CPS)의 대안적 반응들이 최근의 이슈로 등장하게 되었다. 지금까지 본 연구의 동향분석을 통해 향후 연구 가능한 아동학대 주제에 대한 전망을 가늠해보고, 연구방법에 있어서도 기존의 일관된 연구방법과는 달리 통합적 접근 방식의 새로운 연구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통찰력을 제공하였다는 점은 본 연구의 의의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Since child abuse is the primary factor to hinder the proper execution of Child Welfare Systems,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on child abuse is deemed imperative.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data in order to enrich current scholarship, and suggest viable research methods for succeeding studies. This research will explore a variety of problems and will present complementary measures to prevent and remedy the situation of ongoing child abuse in South Korea. A content analysis method is applied to analyze the theses of existing Child Abuse studies, in order to facilitate the better understanding of common approaches to the issue. The subjects of inquiry: 1. The status of S. Korean research trends on child abuse. 2. The Status of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n child abuse. 3. A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ies on child abuse. The research is explicated by a content analysis form that engages with a critical analysis of documents regarding child abuse. The subject of analysis is categorized by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into an examination of scholarly theses. The research will focus on the period stretching between 1994 and 2000, as a similar line of academic inquiry titled "The Research Trends of Child Abuse in Korea" utilized a catalogue of documents involving the critical analysis of child abuse as published from 1975 through 1993. The six points of analysis utilized to dissect the material for this study are: 1. Concept, Definition and Pattern 2. Research Method 3. Development 4. Cause 5. Actual State 6. Countermeasures The summarized contents of the text are as follows: 1. Both Korean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n the concept, definition and pattern of child abuse fall under vociferous criticism due to the dissenting opinions of many social theory experts. We are yet to have a common view to clarify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child abuse. 2. When evaluating the research methods used in child abuse studies, Korean studies on the cause and actual state of child abuse have been primarily quantitative and consist mostly of structured surveys. Alternately, the research methods exploring reactive countermeasures have tended to be qualitative in nature. Countermeasures are drawn by researching preceding studies and case analyses, or by producing new options from such material. International studies are not usually based around the exploration of a specific pattern of child abuse. Instead they tend to introduce new types of improved and itemized research methods which place emphasis on the character of variable approaches and methodologies. 3. In evaluating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developments from 1994 to 2000, studies on verbal and sexual abuse, noninterference and other overall types of activity all had a relative effect. These factors were not explored in phases one and two of previous studies, as such documents were usually strictly limited to examining physical abuse. International studies are often carried out on a divisional level, from handling the possible abuse of fetuses and new born infants, to dealing with the concrete abuse of various age groups during their development stages. 4.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n the causes of child abuse take three different approaches: the theoretical approach to developmental causes, the consideration of various contingent factors, and the execution of deep investigations into unitary causes. Of the three, the Korean theoretical approach is still limited to merely introducing international theories. 5. In evaluating the research trends of the actual state of child abuse for the first phase (1975-1988) and the second phase (1989-1993), one may see that it was difficult to gauge the level of real nationwide abuse during these periods. But since 1994, social service facilities for various regions (and in general terms for the whole nation) have been investigated with a relatively widened scope and greater coverage. As for movements abroad, multi-national and multi-cultural research into the actual state of child abuse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6. In evaluating the research trends of countermeasures for child abuse, the amount of publicized research is very limited in comparison to that of data regarding causes or actual states. Internationally, countermeasure programs being actively introduced as well as receiving solid annual supplements.

      • 미성취 영재아의 학업성취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서우경 숙명여자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to unify·analyze the subject study by the meta-analysis metho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ed variables that affected the underachieving gifted childs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was to make the variable related to the effect on the underachieving gifted childs academic achievement as independent variable, and unify analyze the research papers released in the foreign countries and the masters·doctors dissertations that made the achievement as dependent vari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ults to what extent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academic achievement established in this research affected the underachieving gifted childs academic achievem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to what degree of the grand average effect size were the 11 related variables for the underachieving gifted child affected the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o what degree of the average effect size were 4 related to variable groups for the underachieving gifted child like individual·psychological variable group, family·parents variable group, peer relations variable group, and school·teacher variable group affected the academic achievement? Third, how different was each effect size that the related variables for the underachieving gifted child like self concept, locus of control, anxiety·melancholy property, learning attitude, support by the parents, parents attitudes, support by the peer relations group, support by the teachers, and teacher attitudes, and environment affected the academic achievement? Fourth, how different the effect size that affected the underachieving gifted childs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research method like their ages, area, I.Q., the number of persons of research object, the issued year of papers, and intervention by the source of paper materials, etc.?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like above this study was to search the materials, using the online search method. This researcher collected the treatises that dealt with the underachieving gifted childs academic achievement as a dependent variable according to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searching The underachieving gifted child as the main keyword in the domestic·foreign materials. The number of treatises among the domestic ones related to the underachieving gifted child that could apply to the meta-analysis was just 3 volumes. Accordingly, it was not proper as meta-analysis method that drew the conclusions comprehensively and objectively using the statistical technique. The meta-analysis was not executed in the domestic research because of those volume limitations. This study was to execute the meta-analysis with the domestic treatise only. And, it was to select 51 treatises with the quantitative research as analysis object excepting for the same treatises overlapped in each search keyword among the foreign treatises. But, from the foreign prerequisite research, it was vague in the standard that determined the underachieving gifted childs academic achievement in cognitive side and affective side. Finally, this study was to select the treatises that suggested the academic achievement only in the affective side as dependant variable clearly as an object of analysis. As to the number of treatises proper to the standard in this research, all of them were 37 volumes from 1958 to 2003. After all, this study was to select the final 33 volumes as object of research analysis, excepting for 4 volumes in the homogeneity of materials and confidence interval test. To analyses the collected materials like above total 7 experts, 4 experts in the related field and 2 experts in the statistics including this researcher, have selected 33 treatises as research object. We tried to work to classify it each according to 4 related variable groups for the underachieving gifted child established as standard of classification as <Appendix> in this study like the individual·psychological variable group, family·parents variable group, school·teacher variable group, and peer relations variable group. In addition, as to the classification of treatises with the different views among them during their works, 7 experts in classifying have discussed them thoroughly. They have excluded the things failed in agreement from the data analysis. This study was to calculate the effect size in the 33 volumes selected in this research, using the transformation formula that Wolf(1986) has suggested.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t found out that the grand average effect size that 11 related variables for the underachieving gifted child affected the academic achievement was 0.33. When it is calculated as percentile, it was to be 62.93 percentile. It could be interpreted as it brought to increase by 12.93 percentile when the average score in the control group is calculated as 50 percentile under the situation of experimental research. Second, the order of average effect size that 4 related variable groups for the underachieving gifted child affected the academic achievement was as follows. The first largest thing was to be individual·psychological variable group, and its effect size was 0.37. The second largest thing was to be family·parents variable group, and it found out that its effect size was 0.19. And, the effect size of peer relations variable group was 0.12. Also, it was shown that the effect size of the school·teacher variable group was 0.08. After all, the peer relations variable group and school·teacher variable group showed the relatively lower average effect size than the other variables. Third, the variables that affected most among 11 related variables for the underachieving gifted childs academic achievement were anxiety·depression variable, and it found out that its effect size was 0.49. And, it shown that the effect size of self concept·learning attitude was the same as 0.36. Also, the effect sizes of support by parents and self-control variable had 0.27and 0.23 each. The effect size of poor school environment variable was 0.08, so it found out that it affected the underachieving gifted childs academic achievement at least. Fourt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variables according to various research methods that affected the underachieving gifted childs academic achievement, the 16-18 age group, high academic students age group, among age groups had the highest effect size like 0.60. The 13-15 age group, middle school students age group, had the lowest effect size like 0.34.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ach effect size of area, I.Q., the number of persons of research object, the issued year of papers, and the source of data of papers. In conclusions, under the domestic·foreign country that the gifted children with the excellent potential were degraded to the underachieving gifted children because of various causes, this study was to have deep insight of the foreign materials that have already accumulated in the research for a long time, applying to the Korean situation on a basis of study with the meta-analysis method.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could be considered as its usability was very high as basic data that could be prepared for the side effects of comprehensive plans for the education of excellence, applying it to Korean situations. Also, this study was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that could be helpful to the preventive and therapeutic dimension in the field of consultation dealt with the side effects which variables made the gifted child with the high intelligence the underachieving gifted children who had low in academic achievement. 본 연구는 미성취 영재아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분석대상 논문을 메타분석 방법으로 통합·분석하였다. 미성취 영재아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학업성취를 종속변인으로 하는 국외에서 발표된 학술 논문과 석ㆍ박사학위 논문들을 메타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된 학업성취 관련변인들이 미성취 영재아의 학업성취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미성취 영재아의 11개의 관련변인들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둘째, 미성취 영재아의 4개의 관련변인군(개인·심리 변인군, 가족·부모 변인군, 또래관계 변인군, 학교·교사 변인군)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평균 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셋째, 미성취 영재아의 관련변인들(자아개념, 통재소재, 불안·우울, 학습태도, 부모지지, 부모태도, 가족환경, 또래지지, 교사지지, 교사태도, 학교환경)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각각의 효과크기는 어떻게 다른가? 넷째, 미성취 영재아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연구방법에 따른 변인들, 즉 그들의 연령, 지역, 지능, 연구대상 인원수, 논문 출간연도, 논문자료 출처별 등의 개입에 따라서 어떻게 다른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온라인 검색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검색하였다. 국내·외 자료의 주요 검색어는 ‘미성취 영재아’로 본 연구의 주제에 맞춰서 미성취 영재아의 학업성취를 종속변인으로 다루고 있는 논문을 수집하였다. 미성취 영재아와 관련된 국내의 논문 가운데 메타분석을 적용할 수 있는 논문편수는 3편 밖에 되지 않아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여 포괄적이고 객관적인 결론을 이끌어 내는 메타분석 방법으로는 적절치 않았다. 이러한 편수의 제한성 때문에 국내연구는 메타분석을 실시하지 않았고, 본 연구에서는 국외논문만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국외 논문 중 각 검색어마다 겹쳐지는 동일 논문을 제외하고 양적 연구를 실시한 논문 51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국외의 선행연구에서 미성취 영재아의 학업성취를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에서 결정짓는 기준이 모호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측면에서의 학업성취만을 종속변인으로 분명하게 제시하고 있는 논문만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기준에 맞는 논문편수는 1958년도부터 2003년도까지 모두 37편 이었으며, 자료의 동질성 및 신뢰구간 검증에서 4편이 제외되어 최종 33편을 본 연구의 분석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자를 포함하여 해당분야 전문가 3명과 메타분석 통계 전문가 3명, 총 7명이 33편의 논문만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 분류의 기준(부록1)으로 설정해 놓은 4개의 영재아의 미성취 관련변인군, 즉 개인·심리 변인군, 가족·부모 변인군, 학교·교사 변인군, 또래관계 변인군에 따라 각각 분류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분류작업을 하는 가운데 상호간의 이견이 이었던 논문들의 분류는 7명의 분류자가 충분한 토의를 거쳤고, 합의를 보지 못한 것은 본 연구의 분석자료에서 제외시켰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33편의 논문들을 Wolf(1986)가 제안한 변환공식을 사용하여 그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문제와 관련된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성취 영재아의 11개 관련변인들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0.33으로 밝혀졌다. 이것을 백분위로 환산하면 62.93퍼센타일로 실험연구 상황 하에서 통제집단의 평균점수를 50퍼센타일로 하였을 때, 12.93만큼의 증가를 가져온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미성취 영재아의 4개의 관련변인군들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평균 효과크기 순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번째로 가장 크게 나타난 것 개인심리 변인군으로 이의 효과크기는 0.37이며, 두번째로 효과크기가 큰 변인은 부모ㆍ가족변인군으로 그 효과크기는 0.19으로 나타났다. 또래관계변인군의 효과크기는 0.12이며 학교ㆍ교사 변인군의 효과크기는 0.08로 밝혀져 또래관계 변인군과 학교ㆍ교사 변인군은 다른 변인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평균 효과크기를 나타내 보였다. 셋째, 미성취 영재아의 11개의 학업성취 관련변인들 가운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불안ㆍ우울변인으로 이의 효과크기는 0.49로 나타났으며, 자아개념과 학습태도 변인으로 이들의 효과크기는 똑같이 0.36으로 밝혀졌다. 부모지지 변인과 자기통제변인도 효과크기가 각각 0.27과 0.23으로 나타났으며, 열악한 학교환경 변인의 효과크기는 0.08로 나타나 미성취 영재아의 학업성취에 가장 낮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드러났다. 넷째, 미성취 영재아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연구방법에 따른 변인들을 알아본 결과 연령집단에서는 고등학생 연령인 16-18세 집단의 효과크기가 0.60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가장 낮게 효과크기가 나타난 연령집단은 중학생 연령인 13-15세로 효과크기는 0.34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지역, 지능, 연구대상 인원수, 논문 발행연도, 논문자료 출처에 대한 각각의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뛰어난 잠재능력을 가진 영재아들이 여러 가지 원인들로 인해 미성취 영재아들로 전락해 버리는 국내·외의 상황하에서, 이미 선행 연구가 오랫동안 축적되어온 외국 자료를 가지고 메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이들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국적 상황에 적용해 보는 것을 고려함으로써, 본 연구는 수월성 교육 종합대책의 부작용을 대비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고 사료된다. 또한 지적으로 우수한 영재아들이 어떤 변인들로 인해 학업성적이 낮은 미성취 영재아가 되는지 그 부작용을 다루는 상담의 현장에서도 예방 및 치료적 차원에서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어머니의 불안, 양육태도 및 심리적 안녕감이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일반아동과 장애아동 어머니 비교를 중심으로

        서우경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반아동과 장애아동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심리적 변인으로 어머니의 불안, 양육태도, 심리적 안녕감을 비교하고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일반 어린이집, 장애통합 어린이집, 장애전담 어린이집, 지역복지관, 사설 치료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일반아동과 장애아동 어머니 249명을 대상으로, 불안(STAI), 양육태도(MBRI), 심리적 안녕감(PWBS), 양육 스트레스(PSI)의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상관 분석, 빈도분석, 기술분석, 분산분석(ANOVA, MANOVA), 위계적 회귀방식을 이용한 중다회귀 분석 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정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예비분석으로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의 불안이 높으면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덜 애정적, 덜 통제적, 덜 거부적, 덜 긍정적이며 심리적 안녕감이 낮고, 양육 스트레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태도는 애정적· 통제적· 거부적· 긍정적일수록 양육 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애정적· 통제적· 거부적일수록 심리적 안녕감은 높게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은 높을수록 양육 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장애 유무에 따라 어머니의 불안, 양육태도, 심리적 안녕감, 양육 스트레스를 비교해 본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와 심리적 안녕감은 일반아동 어머니가 장애아동 어머니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양육 스트레스는 장애아동 어머니가 일반아동 어머니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장애유무와 성별에 따라 어머니의 불안, 양육태도, 심리적 안녕감, 양육 스트레스를 비교해 본 결과, 남아의 경우 장애아동 어머니가 일반아동 어머니에 비해 양육 스트레스가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아의 경우 장애 여아 어머니는 불안과 통제적 양육태도, 양육 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 여아 어머니는 긍정적 양육태도와 심리적 안녕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의 장애유무와 성별, 어머니의 불안, 양육태도, 심리적 안녕감이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일반아동의 경우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정적 혹은 거부적이거나,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양육 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아동의 경우 어머니의 불안이 높으면 양육 스트레스가 높은 반면,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거부적 혹은 긍정적일수록 양육 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아동의 장애유무와 성별에 따라 어머니의 불안, 양육태도, 심리적 안녕감, 양육 스트레스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장애아동 어머니가 부정적인 정서를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는 일반아동 어머니의 경우 양육태도와 심리적 안녕감, 장애 아동 어머니의 경우 불안, 양육태도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차후 일반아동과 장애아동 어머니 각각의 심리적인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부모교육 및 상담 혹은 심리증진 프로그램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 佛典에 나타난 胎兒의 生命尊重觀과 胎敎

        서우경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Nowadays, our country has a shameful dishonour, holding 'the first rank of the abortion rate in the world'. Notwithstanding that, more than 1.5 millions of precious, unborn lives are being killed in their mother's womb yearly in the nation, and most of the people seem to never know a crisis of such killing. And still at the moment somewhere in the country, some unborn children are being killed without any mercy, So. there is no doubt that the embryo, unborn child, is not well treated by the people as a humankind. Thus, the author of this study,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a more in-depth study on the respect of the life of the embryo or fetus and basing the Buddhist view of life which regards 'never killing' as the first virtue of its precepts, has tried to find out the basis of the dignity of the life of the unborn child, and highlight here the yunkisul(緣起說) which gives the theoretical context of the preciousness of the unborn life in order to enlighten the people's waking from their ignorance of such preciousness of the unborn life. and thereby suggest some new directions in the academic world's theoretical studies as well as in the religious world's preactical activities in their efforts given to preventing abortion from happening. Additionally in the study, the fact that even the unborn child has a right to receive education is suggested by virtue of the Sutras, and also the method of antenatal training to practice such education has been reviewed. Contents of this study in the awareness of an impending crisis of the negligence of the unborn life are as follows: 1. The idea of the preciousness of the unborn child's life has been researched through yunkisasang(緣起思想), the basis of the Buddhist theory of the generation of life in three theories of yunkisul(緣起說) which implicates the preciousness of the unborn child's life. 2. How the embryo grows and develops as a subject of an organism after being conceived in the mother's womb has been briefly reviewed, and with a review of the illegal abortion and its retribution warned in the Sutras. some of practical morality for the respect of the unborn child are suggested as a method to relieve the suffering from abortion. 3. Based on the Buddhist view of life which sees an embryo as a humankind having a life, some practical plans for the pregnant women to let the unborn child get education have been studied in the situation of Buddhism. In conclusion, as reviewed above, it is understandable that the Buddhist view of the embryo sees 'the embryo as a human having a life from the moment of its conception in its mother's womb'. Accordingly, in order to waken or enlighten the people to have a mind of respecting the life of the embryo, it is urgently necessary to open the Buddhist mass or study session, etc., and also it is deemd to require some religious activiti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some Buddhist programs concerning the embryo, any measure to prevent abortion from happening in a dimension of the religious body, etc.

      • Bonding effect of silane in universal adhesive on lithium disilicate glass ceramic

        서우경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ilane on the surface treatment of silica based ceramic when silane is incorporated into the universal adhesive versus using silane separately from the adhesive.The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only All-Bond Universal, Silane mixed with All-Bond Universal, only Porcelain Primer (which is a regular silane primer), and SBU (which is a commercial silane-containing universal adhesive). IPS e-Max press, a lithium disilicate, was used as the silica-based ceramic. In terms of shade matching, IPS e-max press has more aesthetic characteristics compared to any other CAD-CAM ceramic block. Duolink resin cement was used as a composite applied to the surface to test for shear bond strength. Contact angle test is a measurement of hydrophobicity on a silica-based ceramic surface. The more hydrophobic the surface of the ceramic is, the better bonding strength to the adhesive. Shear bond strength was tested by universal testing machine (Instron 4466 crosshead speed=1mm/min). The surfaces of the specimen were polished in order to eliminate any bias from micro mechanical retention due to an uneven surface. Only silane applied to the silica based ceramic surface, result in highest contact angle and shear bond strength.Silane should be used separately from a hydrophobic resin monomer in order to maximize its porcelain surface treatment function. Using silane separately and using silane incorporated into the universal adhesive (contains hydrophobic resin) do not perform equally on silica-based ceramic.

      • Change in adhesive strength and pH of universal adhesive in accordance with varying proportions of 10-MDP

        서우경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4 국내박사

        RANK : 247615

        This study aimd to investigate the physical properties of dental adhesive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10-MDP, a functional monomer that is a representative component of universal adhesives, by measuring the shear bond strength using direct composite resins,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proportion of 10-MDP related with pH which can affect compatibility with self-cure composite in universal adhesives for use in restorative dentistry. 목표: 이 연구는 유니버설 접착제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10-MDP라는 기능성 단량체의 조성에 따라 직접 복합 레진을 사용하여 전단 결합 강도를 측정하고, 치과 재생수술에 사용되는 유니버설 접착제의 자가중합 composite과의 호환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최적의 10-MDP 함량을 결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재료 및 방법: 이전 실험을 기반으로 다양한 접착제 성분인 BisGMA, HEMA, TEGDMA, 에탄올, 물, CQ, EDMAB 및 DPPA 등을 사용하여 실험용 접착제를 제조하였으며, 10-MDP의 양을 변화 시킴에 따른 접착강도 실험을 실시하여 접착 신뢰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최적 용량을 설정했습니다. 실험에는 우치 및 수복용 레진이 사용되었습니다. 이 실험용 물질에 대해 전단 결합 강도와 pH를 측정하였습니다. 결과: 실험용 유니버설 접착제의 결합 강도는 10-MDP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했지만, 일정 양을 초과하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pH 측면에서는 실험용 유니버설 접착제의 10-MDP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pH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실험에서 사용된 유니버설 접착제는 10-MDP 함량이 9.710%이고 pH가 2.86인 경우에 가장 높은 접착 강도를 보였습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10-MDP 함량이 가장 이상적으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