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70年代 新舞踊에 나타난 男性舞踊家의 活動과 影響力에 관한 硏究

        서용석 세종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우리의 신무용 80년사는 변화와 발전의 진화라는 끊임없는 사슬의 연속이었다. 하지만 그 과정을 해석하는데 있어 우리는 종종 오류와 함정의 덫에 발목을 잡혀 왔다. 이는 신무용을 전통춤의 대립각으로 이해한다거나 일본을 통해 유입되었다는 이유로 인하여 그 태동 자체를 불온하게 바라보는 그릇된 시각에서 비롯된 것이다. 하지만 분명히 인식하여야 할 것은 우리의 신무용이 엄연히 한국춤의 근대를 지탱하면서 현대에 이르고 있는 역사적 산물이라는 사실이다. 물론 이러한 이해는 우리 무용계의 전반적인 흐름을 바탕으로 하여야 하는 명제이지만 본 논문에서는 애초부터 1970년대 남성무용수의 활동과 그들이 끼친 영향력에 국한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 주된 이유는 첫째, 국립극장의 건립과 국립무용단이라는 직업무용단이 탄생하고 둘째, 무용에 대한 인식변화에 따라 정책적 지원과 교육의 활성화가 이루어짐으로써 그 결과물이 도출되기 시작했으며 셋째, 성의 혼용이 범람하던 이전과는 달리 정체성이 확립되면서 남성과 여성의 역할이 뚜렷해지기 시작하는 1970년대의 시대적 특성 때문이었다. 그리고 본 논문의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신무용이 우리 무용사에서 갖는 가장 커다란 의의는 ‘무용의 틀’을 바꾸어 놓았다는 점이다. 우리의 신무용은 무대화라는 새로운 체계를 통해 유럽의 살롱문화와 견주어질 만한 춤의 대중화를 이루었고 전문무용수의 배출을 촉진시켰으며 지식인들의 동참을 이끌어 내었다. 이는 우리 예술계 부피의 확장이며 질적 도약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둘째, 1970년대에는 그동안 혼란스럽게 이어져왔던 성의 혼용으로부터 벗어나 남녀 무용수 각자가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게 되었다. 이는 최승희, 조택원으로 일컬어지는 신무용 1세대 이후 지난 세월동안 끊임없는 변화와 발전을 이루어온 신무용 2세대들의 뜨거운 열정과 각고의 노력 덕분이었다. 이들의 발자취는 지난 세월동안 신무용을 국민무용으로 발돋움시키고자 늘 전통과 현대의 접경을 넘나들어 왔으며 이러한 모습은 원형의 재현과 재창조라는 방식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셋째, 1970년대에는 조택원 이후 우리나라 신무용계를 잇는 걸출한 남성무용가 3인이 전면에 등장하였다. 송범, 김진걸, 최현이 바로 그 주인공들이며 이들은 안무가이자 교육자이며 무용가로서 우리 무용계에 든든한 토대 역할을 담당해 냈다. 넷째, 1970년대는 위의 3인을 통하여 양성된 남성 제자들이 우리무용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는 시기였다. 국수호, 조흥동, 정재만 등이 그들이며 이들은 21세기 현재 우리 무용계를 이끌고 있는 중견으로 성장하였고 그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다섯째, 몇몇 오류와 시행착오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모든 성장과 발전의 총제적 동력은 1970년대에 이루어진 국립무용단의 창단, 무용에 대한 정책적 지원, 대학무용교육의 고급화, 사설무용학원의 활성화 등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나타난 사실들이 오늘의 토양임을 자각하고 역사적 체계를 잡아간다면 우리의 무용계는 보다 나은 내일을 기약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오늘의 <창작>이 미래의 전통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선(先) 남성적 이미지를 확립하고 이후 다양한 춤언어를 개발한다면 현재의 어린 남성무용인들의 혼돈된 정서 또한 선별적으로 수용,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 물론 여기에는 남성무용의 특성화된 전문적 지원이나 교육이 무용인 스스로의 의식에서 발로되어야 하며 무용의 기교발현을 위한 노력 또한 무용의 시작단계부터 움직임의 특이성을 수용하는 것으로부터 비롯되어야 한다는 전제가 주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서울 부도심지역 소방무선통신망 전파경로 손실모델 최적화 방안 연구

        서용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 목 : 서울 부도심지역 소방무선통신망 전파경로 손실모델 최적화 방안 연구 소방무선통신망은 재난현장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상황 파악과 적절한 대응을 위해 현장지휘관과 대원사이, 지휘기관과 종합방재센터 간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소방무선통신을 단절 없이 재난현장에서 적절한 대응을 위해서는 무선통신망이 어떠한 재난상황이라도 극복할 수 있는 신뢰성, 생존성 등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다양한 멀티미디어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방식이 가능하며, 고층 건물 내에서나 지하공간 등 어떠한 환경 및 재난현장에서 활용되는 현장작전통신은 긴박한 현장 환경과 현장대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높은 생존성과 가까운 근거리 통신방식과 운영방법이 선택 되어야 한다. 소방무선통신망은 안테나, 지역 환경, 전파, 거리 등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전파환경을 분석하고 측정하기 위해서는 기존 외국에서 제안된 전파모델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그간에 우리나라 전파환경 손실모델 연구는 도심지역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UHF 소방무선통신망 중, 주파수 450 MHz 대역 실험대상지역으로 부도심 지역인 서울시 중랑구 봉화산 기지국을 중심으로 반경 5km 내외 까지 위·경도와 기지국의 위·경도 거리를 계산 현장실험을 통하여 실측한 측정치와, 기존 모델인 Hata 모델, Egli 모델, FSPL (자유공간)모델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그 중에서 실측정치와 평균오차가 적었던 Hata모델을 이용하여 서울권역 부도심지역 주변 환경으로 인한 오차와 거리에 의한 오차 보정을 위하여 전파실제측정, 기존 전파모델 선택, 도시크기에 따른 보정 계수와 거리에 의한 보정 계수를 최적화 하여 검증 개선된 전파모델을 도출하였다. 제안 전파모델에서 평균이 Hata 모델보다 21.48dB, Egli 모델보다 23.93dB, FSPL 모델보다 26.91dB 실제 측정치에 근사치를 보였으며, 표준편차에 있어서는 Hata 모델보다 0.100dB, Egli 모델보다 0.080dB, FSPL 모델보다 1.110dB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개선된 전파모델은 소방무선통신의 전파 커버리지 설계에 활용할 수 있으며, 기지국 추가 신설시 적정지역을 선택 할 수 있고, 보다 나은 통화품질 향상으 로 적정한 소방무선통신 네트워크 운용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Propagation Path Loss Model for Fire Fight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Urban Secondary Centers in Seoul Seo, Yeong Seok (Supervisor Lee, Keun Oh) Dept. of safety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Industry and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Technolgy Fir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hould be implemented seamlessly between field commanders and emergency operations center in order to quickly identify and properly respond to the situation at the disaster site. To ensure proper response at disaster sites without interruption of fir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reless networks should have the reliability and survival to overcome any disaster. In addition, diverse multimedia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s are possible and The field operational communication that is used in any environment or disaster site, such as in High-rise Buildings or underground space, need to increase the viability of fire fighter and should be operat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The reality is that many of the propagation model proposed by foreign countries are being used to analyze and measure the radio environment, up until now, study on Propagation Path Loss Model is mainly conducted in urban areas. In this study, By using UHF, one of the fir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et the target area for the 450 MHz band test based on the Bonghwasan base station in Jungnang-gu, Seoul. It was analyzed using calculations of existing Hata models and Egli model, FSPL(Free Space) Using a Hata model, which had little error in actual measurement value and average error, to correct errors by distance and error caused by the environment of the the Seoul subcenter. A verifiable and improved propagating model was derived by actually measuring propagation, optimizing correction according to city size, and correction by factor and distance. The proposed model was 21.48dB more accurate than Hata model compared to the actual measurement. and The proposed model was 23.93dB more accurate than Egli model compared to the actual measurement. The proposed model was 26.91dB more accurate than FSPL model compared to the actual measure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standard deviation was 0.100 dB better than the Hata model, 0.080 dB better than the Egli model, and 1.110 dB better than the FSRA model. The improved propagation model can be used in the radio coverage design of fir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etter call quality could be used for proper fire-fight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peration and It can lead to better call quality.

      • 분리된 십자형 개구 결합 마이크로스트립 원형 편파 배열 안테나

        서용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충분한 대역폭과 이득을 갖는 5.8 GHz 대역의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용 십자형 개구결합 마이크로스트립 원형편파 2x2배열 안테나를 설계 &#8228; 제작하였다. 설계한 안테나는 정사각형 패치를 사용하고 직렬 형태의 급전선로 위에 위상차가 나는 곳에 슬롯이 위치하게 하여 전류 방향이 최대 &#8228; 최소가 반복되어 원형편파를 발생시키게 된다. 방사 소자와 급전선로는 상대 유전율 , 유전체의 높이는 인 테플론(Teflon) 기판을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기존의 십자형 슬롯 안테나 구조를 수정하여 두 개의 슬롯이 직각으로 교차하는 부분을 없애고 분리된 4개의 슬롯으로 안테나를 설계함으로써 후방방사를 줄이고 배열을 통해 안테나의 지향성도 개선할 수 있다. 측정된 2x2 배열 안테나의 대역폭은 로 나타났으며 최대 방사 이득은 를 얻었다.

      • 대학교기숙사 리모델링에 의한 시설 및 에너지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서용석 한밭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lot of discussion with respect to the lifetime of buildings. To improve environment and extend the lifetime of buildings, It starts with designing. According to changes in environmental policy, the need for high efficiency in energy is increa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the changing social needs, such as the change in the use of buildings and the contribution function. So, the demand for remodeling has been increasing. In this paper, user’s tendency was observed and the optimal system was planed. it is intended to provide the remodeling technique through lowering energy consumption and improving the environment.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1, 2007 to December 31, 2008. The resulting values that are improvements and energy savings was investigated after the direct construction of the dormitory facilities of K University in Daejeon.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remodeling environment in university dormitory that is installation of external insulation and individual air conditioning, the reduction in energy cost was about 26,000,000 won. Second, the thermal environment of each room was improved by applic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the change of heating system to convection heating as warm air floor heating. Third, through remodeling internal and external improvement in the dormitory, the cost of construction was saved 30~60%. So, this construction is more economical. Fourth, the university renovation of aging facilities led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demands made by the students, in turn, increasing the satisfactory rate. The findings mentioned above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In comparison to starting construction for new buildings, remodeling can accomplish the following: less construction time, cost reduction, and the creation of a pleasant environment. Also, planning an optimal system leads to: energy saving, eco-friendly environment, convenience in maintenance and utilization of existing resources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such as economic benefits. 최근 들어 건축물에 대한 수명과 관련하여 많은 논의가 있다. 건축물의 환경개선과 건축물의 수명 연장을 위해 건물을 설계하는 단계에서부터 논의한다. 21세기의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는 기후와 관련한 심각한 변화, 환경정책의 변화에 따라 에너지 고효율화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므로 요구에 맞는 변화를 위해서 건축물의 용도변경 등 사회적 요구 및 기여기능이 무엇인지를 파악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리모델링을 요구하는 수요는 갈수록 많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경향을 살피고 최적의 시스템을 기획함으로써 에너지 절감과 환경친화 및 환경개선을 통해서 리모델링 기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기간는 2007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대전소재 K대학교기숙사의 직접 시공을 통해 시설을 개선하고 에너지 절감 사전․사후결과 값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학교기숙사 환경의 리모델링 결과 외단열 시스템 적용 및 개별냉방시스템 설치 후 호실별 사용료 개별부과에 따라 연간 총 26,000천원 정도의 에너지 절감효과를 가져왔다. 둘째, 기존에 없던 냉방시스템 적용 및 대류난방에서 바닥복사난방으로의 난방방식 변경 적용을 통한 침실 내부의 열환경이 쾌적하게 개선되었다. 셋째, 리모델링을 통한 내․외부 환경의 개선을 통해 신축공사비의 30~60%의 저비용으로 건물을 재완성 시공하여 저비용의 경제성을 갖추었다. 넷째, 대학교기숙사의 리모델링을 통해 기존의 노후된 시설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사항이 현저히 감소하여 학생들의 기숙사 이용 만족도를 향상시키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대학교 기숙사의 리모델링에 관한 공사는 신축공사에 비해 효과적인 계획을 통해 공사기간의 단축, 원가절감, 쾌적한 환경의 조성에 있어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최적의 시스템을 기획함으로써 에너지 절감과 환경친화 및 환경개선을 통하여 유지관리의 편리성 또한 제공할수 있으며, 기존 자원의 활용에 대한 경제적인 이익을 거둘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제공한다는 의미가 있다.

      • 지역주민의 시민의식과 정치참여에 관한 경험적 연구 : 강화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서용석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최근 지방화시대가 도래하면서 지방자치와 함께 변화하고 있는 지역 생활세계의 특징을 시민의식과 정치참여의 경험적 탐구를 통해서 규명하고, 지역시민사회의 앞으로의 발전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시민사회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경험적인 연구를 위한 시민의식과 정치참여의 척도구성 및 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는 방안을 선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역사회에서 시민사회론적인 접근이 타당한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그동안 논의되었던 시민사회 이론들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지역시민사회를 조작적으로 규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지역시민사회 모델을 확립하고 경험적 탐구를 위한 관련 변인을 도출하였다. 탐구 변인은 시민의식과 정치참여이다. 2) 지역시민사회의 시민의식과 정치참여의 경험적인 연구는 먼저 인과적 분석 틀과 연구과제 및 가설을 설정하고 조사대상지역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어서 어느 정도 도시화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전통적인 일상적 특성이 남아있는 강화군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표본 추출은 확률 표집을 실시하였으며 조사 대상 부락은 총 147개 중 49개 마을이었다. 3) 조사를 실시하기 위한 척도 구성은 먼저 각 변인을 그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 차원으로 나누고 차원별로 문항을 구성하여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조사를 결과를 바탕으로 신뢰도 분석(신뢰도 계수 : 0.4-0.9)을 실시하여 본 조사의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최종 분석 척도를 구성하였다. 4) 본 연구에서 지역시민사회의 경험적 탐구를 위해 설정한 변인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배경변인은 인구학적 변인, 사회경제적 변인, 심리학적 변인, 생물학적 변인으로 구성하였다. 독립변인인 시민의식은 정치적 시민의식(전통정치문화와 시민문화)과 일상적 시민의식(일상문화와 지역문화)으로 구성하였다. 종속변인은 정치참여로 그 차원은 정보추구형, 항의형, 토론형, 투표형, 선거운동형, 단체활동, 지방정치참여 등이다. 5) 지역시민사회의 경험적 탐구는 각 변인에 대한 응답 경향을 먼저 분석하고 배경변인과 정치참여의 관계, 시민의식과 정치참여의 관계, 지역시민사회의 특징 및 과제 등의 순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응답 경향의 경우 빈도 분석을 실시하고 변인간의 관계는 감마값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6) 시민의식의 응답 경향은 민주적 시민의식이 성숙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것은 젊은 세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보수적 성향을 보이는 기성세대 중심의 의미체계이다. 정치참여의 응답 경향은 가장 기본적인 참여방식이라고 할 수 있는 선거나 투표의 경우 매우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지는 반면 개인적인 참여방식인 정보추구형 참여, 항의형 참여, 토론형 참여, 지방정치참여 등은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7) 배경변인과 정치참여의 관계 양상을 보면, 정치참여는 본 연구가 설정한 다양한 배경변인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특히 인구학적 변인의 영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젊은 세대보다는 기성세대가, 여성보다는 남성이, 미혼보다는 기혼자들의 참여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8) 시민의식과 정치참여의 관계 양상을 보면, 두 변인간의 상관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것은 본 연구의 조사가 작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응답 경향의 동질성이 높아서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시민의식의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배경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정치참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이다. 정치참여의 관계에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나타낸 시민의식의 차원은 공동체 의식이었다. 정치참여의 유형 중에서 특히 공동체 의식과 높은 상관성을 나타낸 것은 지방정치참여였다. 9) 지역시민사회의 활성화 과제는 기성세대 중심으로 동원적 참여가 주류를 이루는 공공영역의 특성을 젊은 세대의 역동적이고 자율적인 참여가 이루어지는 생활세계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최근 젊은 세대들은 사이버 공공영역을 형성하고 그 속에서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출하고 토론을 전개하면서 여론을 주도하여 사회적 의사결정 과정에 매우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러한 네티즌의 움직임이 지역사회에서도 어느 정도 나타나고 있지만 좀더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형태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전국단위 시민단체들이 지역사회 시민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life world through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ivil consciousnes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s the local autonomy is increasing recently in Korea. The basic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ome fundamental problems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civil society. To accomplish the purpose, a thorough review of the theories on civil society is followed by a survey including the formulation of scales to measure political participation and civil consciousnes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order to analyze whether applying the previous ?civil society theory? approach to local society is appropriate or not, a multilateral analysis was done upon existing civil society theories. Then, the concept of local civil society was operationally defined. Based on this, a local civil society model was established and variables for the empirical study were derived. The related variables for researching are civil consciousnes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2) Regarding the empirical study on local civil society?s civil consciousnes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 casual model was built to deduce the research subject and the hypothesis. Based upon that, a survey was conducted after the selection of the target area, Ganghwa-gun. Ganghwa-gun is located with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is being influenced by urbanization to a certain level. However, traditional and ordinary characteristics still remain. For the survey's samples, probability sampling was used, and 49 villages among 147 were chosen for this study. 3) A scaling for conducting the research was done by differentiating various dimensions of each variable considering its special features. Then a questionnaire was made according to the different dimensions, and a pretest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test, a reliability analysis(Chronbach's alpha : 0.4-0.9) was performed to form the final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Next, the survey was executed,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analysis scale was organized. 4) The variables set up in this research for empirical study of the local civil society are as follows. Background variables are composed of demographical variables, socioeconomic variables, psychological variables, and biological variables. Civil consciousness, the independent variable consists of political civil consciousness(traditional political culture and civil culture) and ordinary civil consciousness(ordinary culture and local culture). The dependent variable, political participation, comprises various dimensions such as "information pursuing type," "protesting type," "discussion type," "voting type," "election campaigning type," "group activity," and "local political participation." 5) The empirical research of the local civil society first analyzed the tendency of the responses given toward each variable. Then, "relationship between background variable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relationship between civil consciousnes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nd " the task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ivil society“ were analyzed systematically. As for the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through percentage" was used to assay the tendency of the responses, and the "gamma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6) The tendency of responses to the civil conscious appeared to have acquired the necessary factors for activating a self-regulating civil society sufficiently. However, this is a meaning system of the existing generations, which tend to be conservative compared to the younger generations. The tendency of the responses to political participation, appeared to be very positive in the case of people?s voting rate, the most basic method of participation among the types of political participation.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showed that people took passive attitudes toward individual methods of participation such as "information pursuing type," "protesting type," "discussion type," and "participation to local politics." 7)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background variable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was examined, it was revealed that political participation was largely influenced by various background variables set up in this study. Especially, the influence of demographical variable was very large. Th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revealed that old generations, the married, and men, participated more in politics than singles, women, the young generations. 8)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civil consciousnes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was examined,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is only a very low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Since the survey was conducted in a small district, the responses tended to have similarities yielding such a result. However, that is not the only reason, Political participation is also influenced by the mutual reaction between background variables and civil conscious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ivil consciousnes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e civil consciousness that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as "community consciousness." Among the types of political participations, what showed a specially high correlation with the community consciousness was "local political participation." 9) The task of activating the local civil society is chang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public sphere, which is formed mainly from the mobilized participation of existing generations, to a life world that will be realized through of the young generations?free and lively participation. Recently young generations are forming a "cyber public sphere," within which they are freely expressing their opinions, and are conducting discussions. By doing so, they are leading the public opinion, and are greatly influencing the social decision-making process. such actions of the netizens are somewhat appearing at the local society as well, but in order for this to have a more organizational and systematic form,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civil organizations nationwide should put more effort in supporting the civil movements of the local society.

      • 원전 계측제어설비 개선을 위한 품질속성기반 아키텍처 개발 프로세스 수립과 아키텍처 개발

        서용석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Korea, 20 nuclear power plants(NPPs) are operating, 6 NPPs are under construction, and 2 NPPs are under plan. There are 8 Korea standard NPPs (KSNPs), Yonggwang (YGN) 3, 4, 5, 6 and Ulchin (UCN) 3, 4, 5, 6, among the 20 operating NPPs. The first KSNP is YGN 3 that was operating in 1995. The life time of instrumentation and control (I&C) equipment is 20 years. So, the I&C of YGN 3 should be upgraded in 2015. For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rchitecture for upgrading I&C of the KSNPs throughout this paper. When the architecture is developed it can be applied to the 8 KSNPs since the 8 KSNPs are the same type of plants. In software engineering fields, the architecture-based development (ABD) method that was developed in Carnegie Mellon university (CMU) 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 (SEI), has been well applied to develop software architecture. The ABD was developed to the attribute driven design (ADD) method that is a proper method to develop the I&C architecture. The ADD is a systematic approach that is a methodical approach repeatable and learnable through a step-by-step procedure. It follows a recursive process that decomposes a system or system element by applying architectural tactics. The tactics are to satisfy quality attribute requirements that are architectural drivers. The ADD has a 7-step procedure. We simplified the ADD into a 4-step procedure called a PDDA (Plan-Decision-Design-Assessment) method that is optimized to develop the I&C architecture. This method leads architects to develop the architecture by establishing architectural drivers that are quality requirements of the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tactics that are specific and detailed patterns of design satisfying the drivers. Work activities in each step of the PDDA are defined as follows: 􀁺 In the Plan step: Analyzing existing I&C systems and establishing architectural goals. 􀁺 In the Decision step: Determining architectural drivers and tactics that are applicable to the I&C architecture and satisfy the drivers and determining primitive architecture. 􀁺 In the Design step: Allocating functions and systems, designing signal interfaces via communication and/or hardwire, and building the architecture by applying tactics. 􀁺 In the Assessment step: Evaluating the architecture In the Plan step, KSNP I&C was analyzed. It consists of 22 systems that are composed of 183 cabinets. They are separated into safety and non-safety systems that are autonomously functioning only with signal interfaces each other. They are hybrid systems of digital and analog, which means most systems are digitals and safety-critical systems are analogs. Architectural goals are established as follows: adoption of distributed control system (DCS), satisfaction of nuclear safety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use of network, and development of assessable architecture. In the Decision step, we selected most important three architectural drivers: single failure criterion (SFC), common cause failure criterion (CCFC) and determinism. The SFC and CCFC have been applied not only to the I&C but also to the design of NPPs. The determinism played important role in the design of digital-based I&C with the DCS. The primitive architecture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DCS to the safety and non-safety systems. Three tactics are selected to meet the SFC driver: fault detection, redundancy and independence. Two tactics are selected to meet the CCFC driver: defense-in-depth and diversity. Cyclic execution is selected to meet the determinism. Self-diagnostic and heartbeat are used for the fault detection tactics. Hot-standby and voting are used for the redundancy. These tactics are applied to developed the architecture. In the Design step, 17 systems out of the 22 systems of KSNP I&C are selected and grouped into safety and non-safety systems. The safety systems are safety process instrumentation system, core protection calculation system, plant protection system, safety component control system and safety indication and alarm system. The non-safety systems are non-safety process instrumentation system, diverse protection system, nuclear steam supply system (NSSS) control system, non-safety component control system and non-safety indication and alarm system, plant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nd sequence-of-events system. When designing digital-based I&C architecture, mechanism of data transmission should be considered to meet the SFC and CCFC. Four data transmission for safety systems are designed: safety datalink, safety control network, safety information network and safety inter-channel network, and two for non-safety systems: plant monitoring and control network and non-safety indication and alarm network. After grouping the systems and designing the interface mechanism, high level architecture was first developed. The defense-in-depth tactic makes non-safety control systems, protection systems, safety control systems and monitoring systems be shown. the diversity makes safety and non-safety systems and analog backup facilities. The independence makes the gateway and isolation between the safety and non-safety. The detailed architecture was divided into the safety and non-safety. The two-out-of-three voting tactic is applied to the protection and safety control systems. The hot-standby tactic is applied to th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s. In the Assessment step, it was assessed that the architecture met the SFC and determinism. The two-out-of-three voting logic eliminates spurious output and hot-standby increases availability of I&C systems. In order to assess whether the architecture is implementable, the network performance requirements considering worst-case of maximum loads were calculated. The datalink requires maximum 120kbps, the safety network requires 5Mbps, and the non-safety network requires 60Mbps. There are two equipments in South Korea: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applicable to the safety systems and a DCS applicable to the non-safety systems. The PLC provides 10 Mbps of Profibus and the DCS provides 100 Mbps of Ethernet. The architecture is implementable with this equipment. This paper presented a process and practice to develop the architecture for upgrading existing I&C systems, especially for KSNPs. The complicated existing I&C systems were simplified to the DCS-based architecture. The PDDA process motivated from the ADD method that was developed in software engineering fields was well applied to developing the architecture. The seven steps of the ADD were simplified into four steps of the PDDA. It was well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the architecture. The SFC and CCFC showed high impact architectural drivers on the development of the architecture but the determinism showed low impact. In developing the DCS-based I&C architecture, designing the network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architectural drivers revealed as an important activity. In conclusion, the architecture covered 17 systems out of 22 KSNP?s I&C systems and reduced existing 109 I&C cabinets to 64 cabinets. The architecture could be implemented with the PLC and DCS developed in South Korea. The study results can be used for upgrading I&C systems of operating NPPs in planned, large-scale, and one-shot both in Korea and overseas. A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velop more fine-grained architecture down to software level. In this case, more detailed architectural drivers and tactics should be referenced from software engineering fields.

      • 엘리베이터의 Operating System에 관한 디자인 연구

        서용석 한양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물의 고층화, 대형화로 인해 건물 내에서 층과 층간의 이동이 잦아지면서 엘리베이터를 탑승하기 위해서 기다리는 시간과 이동속도가 길어지고 있다. 따라서 빌딩내의 유동인구와 엘리베이터의 교통량을 파악하여 엘리베이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러한 가운데 터치스크린을 적용한 제품들이 증가하면서 엘리베이터의 운행시간을 단축시키고 전력 소모량을 줄여 빌딩의 가치를 높여 주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의 Needs가 새로운 부가가치를 요구하는 추세로 바뀌어 가고 있다. 엘리베이터 디자인과 내부 커뮤니케이션 요소들은 마케팅 측면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질 것이다. 초고층 빌딩과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가 많아지면서 엘리베이터 승객들은 탑승 시 많은 버튼 중에서 자기가 가고자 하는 층을 찾는 어려움과 공간의 폐쇄성으로 인한 공간의 협소감과 불쾌감등을 호소하기도 한다.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에 거주하는 고급형 아파트의 새로운 측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촉진제 역할 뿐만 아니라 주거 문화의 리더로서 역할을 수용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공간구성이나 사용자적 측면의 개발이 필요하며, 국내의 소재 개발과 새로운 제품의 품질과 디자인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건물 환경이 크기와 범위 면에서 증가하는 것처럼 엘리베이터 역시 매우 중요하고 새로운 이해와 발전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기능적, 공간적, 미적 요소들은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에의 각 부분들을 차지하고 각기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 그 발전 영역을 넓혀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시대와 유비쿼터스의 환경에서 건축의 변화와 엘리베이터의 트렌드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엘리베이터의 운행과 제어시스템의 인터페이스 향상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엘리베이터의 Operating System의 구성요소와 각 회사별 디자인과 종류를 살펴본 후에 조작반의 인터페이스에 관해 분석을 하고, 그 다음으로 설문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의 사용성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일반 조작 시스템과 터치스크린 조작 시스템의 사용성과 교통량, 전력 소모량에 대해 비교 분석을 통하여 각 시스템 간의 장단점을 파악하였다. 엘리베이터에서 Operating System은 모든 사람이 사용하는 부분으로 인터페이스가 중요하다. 기존의 방식과 달리 터치스크린 방식의 조작 시스템은 일반 사용자들에게 익숙하지 않지만 인터페이스의 개선을 통해서 점점 활성화 되고 있다. 사회적인 약자를 포함해서 모든 사람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조작 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한다. It takes more waiting time and moving speed to get in an elevator as frequent movement between floors is needed because buildings today get of high-rising and larger.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operate an elevator effectively by analyzing elevator traffic and floating population inside a building. Now we have more products applied with a touch screen to reduce an operation time and power consumption of an elevator for improving building values. In addition, as consumers need new value-added, elevator design and internal communication factors will become more important in terms of marketing. When skyscrapers and high residential-commercial complex are constructed more and more, elevator passengers appeal narrow space and unpleasantness by closed space and a difficulty to find out a floor they head to among lots of buttons. In a new perspective of advance apartments and skyscraping residential-commercial complex, user interface needs to reflect spatial composition and user-focused aspectsin developing an elevator to lead and improve residential culture. Also, quality and design development of a new product as well as domestic material development are in need. As building environment is enlarged in terms of a size and a scope, it is also required to understand and develop an elevator in a new perspective. Furthermore, functional, spatial and aesthetic factors are getting more important in development of space as each part of it with its own potential. This study analyzes changes of buildings and trends of elevators in the digital era and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and then suggests how to improve interface of a control system and elevator operation. First of all, it describes components of an elevator operating system and their designs and types by manufacturer. Then, it analyzes interface of an operating panel and then use of an elevator operating system through a survey. Comparative analysis of usage, traffic and power consumption between a conventional operating system and a touch-screened system was also conducted to understand merits and demerits of each system. As the operating system of an elevator is used by all passengers, the interface is very important. Unlike previous methods, a touch-screened operating system is getting more popular through interface improvement, although ordinary users do not feel comfortable with it. Therefore, an operating system that everyone including the social disadvantaged can use easily should be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