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비장애유아 학부모와 장애유아 학부모의 인식 연구

        서영숙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장애유아 학부모와 비장애유아 학부모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의 차이를 조사하여 바람직한 통합교육 실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자 한다. 또한 두 집단의 인식과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현장에서 통합교육을 실행하는데 있어 장애유아, 비장애유아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교육을 실현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대상 교육기관 선정은 K지역에 위치한 교육청 단위의 유치원(만3세-만5세)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표집된 교육기관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고, 장애유아 부모 53명, 비장애유아 부모 116명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장애유아의 부모, 비장애유아의 부모 간 통합교육 인식의 차이와 통합교육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적 인식에 있어 ‘통합교육의 실천성’, ‘통합교육의 필요성’과 ‘미래교육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 비장애유아부모보다 장애유아부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영역, 사회성 영역, 행동문제, 교육적 효과, 언어영역 중 언어영역과 사회성 영역에서 장애유아학부모가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행동문제나 학습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으나 비장애학부모보다 장애유아학부모가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통합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교사의 통합교육 실행 능력’, ‘장애유아의 평가’, ‘장애아 교육정보 공유’의 세부항목부분에서 장애유아부모보다 비장애유아부모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만족도 부분에서도 장애유아부모보다 비장애유아부모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도시와 농촌학생들의 음악교육 격차에 대한 비교분석 : 영남지방을 중심으로

        서영숙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音樂敎育은 올바른 精神世界 추구와 情緖的 人格陶冶를 도와줌으로써 藝術로서의 音樂이 生活과 같이 呼吸하면서 명랑하고 건전한 社會를 이룩하는 데 그 中心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音樂敎育은 예술교육의 일부분으로서 音樂 專門家를 養成하기 이전에 참다운 人間生活과 道德的 敎育으로서의 참다운 意味를 찾아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現實 音樂敎育은 地城的, 文化的, 經濟的 水準 차이에서 오는 學校와 家庭의 音樂施設, 環境 등 여러 가지 差異 때문에 音樂敎育 隔差를 유발시킨다. 이러한 社會條件에 따른 音樂敎育의 格差와 感受性이 예민한 靑少年들의 音樂에 대한 반응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해 改善點을 찾고자 하는 데 本 硏究의 目的과 意義를 찾을 수 있다. 本 硏究의 表集 對象은 嶺南地方을 中心으로 하여 2學年 女子中學生을 대상으로 도시 5개 학교 300名, 농촌 5개 학교 300名의 總 10個 학교 600名을 대상으로 30個의 문항으로 구성된 設問紙를 使用하였다. 回收된 資料의 結果處理는 各 대상 문항별로 百分率로 통계 처리하여 도시와 농촌 그리고 全體의 반응에 대하여 比較分析하였다. 여기에 나온 結果는 다음과 같다. 첫째, 中學校 音樂授業은 고교입시에 대한 과중한 부담감으로 인해 音樂敎育을 통한 정서적 함양과 우미한 人間性을 기르는 目的에서 벗어나고 있다. 둘째, 學校施設 및 資料 不足으로 학생의 音樂授業에 지장을 초래하고 社會的인 音樂施設의 不足으로 音樂會에 參與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고 있다. 셋째, 家庭音樂 環境은 대부분 매스컴을 통한 저속한 음악으로 일관되어 있으며 이로 인한 靑少年의 情緖 生活은 커다란 問題點이 되고 있다. 넷째, 부모의 音樂生活이 적극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子女의 音樂敎育에 또한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다. 부모들은 音樂敎育이 子女에게 어떠한 影響을 줄 것인가에 대해 많은 생각과 반성을 하여야 한다. Musical education focuses on artistic music which, trying to be familiar with ordinary lives and to develop Cheerful and Sound society, helps make the mental state of human beings sound and their characters cultivated. Therefore, musical education, as one of art edu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ading the truthful and moral human life prior to musical experts training. But, up to now, various problems produced by regional disparity between urban and rural region in the cultural and economical level has brought out a considerable differential in the musical education.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and analyze the gap due to the social situation and the response of sensitive teenagers toward music, to show what matters the education has and to seek the betterment of it. This paper was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s. Composed 30 questions sent to 600 muniors of ten girls' middle schools in Yeoungnam, 300 of urban five schools, 300 of rural ones. Calculating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in a percentage, by item, I research and Compare the response and attitude of urban, rural and both students toward music. First, owing to the heavy burden of the entrance examination for high school, musical education in middle school goes astray from its original goal, Cultivating students' sentiment and elegant humanity. Second, the deficit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information brings about the difficulty in musical education, and students can have few opportunities to attend a concert due to the shortage of social educational facilites. Third, home musical environment is mostly built with low level music through mass media, which give rise to a serious obstacle to the mental state of young boys and girls. Fourth, because parants are not interested in music, they are the same in the musical education of their children. Parents must give a careful consideration that what influences the musical education gives to their Children.

      • 지적장애인 모음의 음향학적 특성

        서영숙 호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지적장애인 모음의 음향학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전라북도 K시의 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지적장애 남녀 50명과 같은 지역의 비 지적장애 남녀 44명을 대상으로 Praat 분석을 통한 단모음 7개(/ㅣ,ㅐ,ㅏ,ㅓ,ㅗ,ㅜ,ㅡ/)의 포먼트 F1, F2값을 추출하였다. 이 중 네 개의 모음(/ㅣ,ㅐ,ㅏ,ㅜ/)을 이용해 모음공간면적(Vowel Space Area, VSA)과 모음공간관련 파라미터(VAI, FCR, F2 Ratio)를 산출하여 성별과 장애유무에 따른 집단별 차이와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실험음성학적인 방법으로 산출된 VSA와 청지각적인 방법으로 측정한 말 명료도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여 지적장애인 모음의 발화 특성을 살펴 보았다. 연구결과는 지적장애 집단과 비 지적장애 집단의 모음 포먼트와 모음공간의 차이에 대해 지적장애집단의 F1, F2 조음점이 정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모음공간면적도 더 좁게 나타났다. 이는 지적장애인이 모음 산출시 전설모음을 후설모음화하거나 후설모음을 전설모음화 하는 경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성은 모음 공간 파라미터(VAI, FCR, F2 Ratio)와 관련성을 살펴보며 확인할 수 있었다. 지적장애집단의 모음공간과 말 명료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적률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VSA가 넓을수록 말 명료도가 높게 나타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해 지적장애 아동이 성인이 되어서도 진전을 보이지 않는 모음의 발화 특성을 역으로 추정해 볼 수도 있어, 이를 바탕으로 향후 조기중재와 평생교육의 관점으로 접근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아울러 18세 이후에는 교육과 중재의 대상에서 소외될 수밖에 없는 성인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전생애적 발달조망을 고려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oustic properties of vowel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rmant F1 and F2 ​​of seven monophthongs(/i, æ, a, ʌ, o, u, ɨ/) through Praat analysis were extracted, from 50 men and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using the Welfare Center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 City Jeollabuk-do, and 44 non-intellectual disabled men and women in the same area. In this study, the vowel space area(VSA) and vowel space related parameters (VAI, FCR, F2 ratio) were calculated using four vowels (/i- æ- a- u/), and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and relatednes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gender and disability.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 the vocalization characteristics of vowels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comparing the Pearson correlation between VSA calculated by experimental phonetic method and speech intelligibility measured by auditory perception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1 and F2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y group were not correct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wel formants the vowel space area was narrower. This indicates that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end to front vowels moved backwards or back vowels moved frontwards. This tendency can be confirmed by examining the relation with the vowel space parameter (VAI, FCR, F2 ratio).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owel space and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y group,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greater the VSA, the higher the clarity of speech.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an infer the vocalization characteristics of vowels that do not show progress even when they become adults, so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ill be able to mediate early speech intervention and approach as a lifelong education perspective. In addition, after 18 years of age, it seems necessary to consider the whole lifelong development perspective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are inevitably alienated from the subjects of education and intervention.

      • 여성의 이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서영숙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여성의 이혼의향과 관련변인들을 살펴보기 위하여 이혼의향의 일반적 경향 및 이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자아분화, 부부의사소통효율성, 부부갈등대처행동, 사회적지지 등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각각의 변인들이 이혼의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이혼감소를 위한 사회적 개입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광주광역시와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70세 미만 기혼여성 총 600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521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증(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과 Duncan의 방법으로 사후검정, 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의 이혼의향과 관련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본 결과, 이혼의향은 5점 만점에 평균 2.04점으로 중간점수인 3점보다 낮게 나타났다. 자아분화의 평균은 3.12점으로 중간점수인 3점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부부의사소통효율성의 평균은 3.40점으로 중간점수인 3점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부갈등대처행동을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이성적 대처’의 평균점수가 3.37로 가장 높고, ‘회피대처’가 2.64, ‘부정적 감정∙행동표출’이 2.27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의 전체 평균은 3.36점으로 중간점수인 3점보다 약간 높았으며,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가족지지’가 가장 높고, ‘친구지지’, ‘지역사회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련변인에 따른 여성의 이혼의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이혼의향은 학력과 가구소득에 따른 이혼의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나, 연령, 자녀수에 따른 이혼의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력에 따른 이혼의향은 대체적으로 학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이혼의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구소득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이혼의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분화에 따른 이혼의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는데, 대체적으로 자아분화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이혼의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의사소통효율성과 부부갈등대처행동에 따른 이혼의향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대체적으로 부부의사소통효율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이혼의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부갈등대처행동을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이성적 대처행동을 많이 하는 집단이 이혼의향이 낮았고, 회피대처 행동과 부정적 감정∙행동표출을 많이 하는 집단에서 이혼의향이 높았다. 사회적지지에 따른 이혼의향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가족지지, 친구지지, 지역사회지지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이혼의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혼의향과 관련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력, 가구소득, 자아분화, 부부의사소통효율성, 이성적 대처, 가족지지, 친구지지, 지역사회지지는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회피대처와 부정적 감정∙행동표출에서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넷째, 여성의 이혼의향과 유의한 상관을 보인 변인을 중심으로 여성의 이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4단계에 걸쳐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부의사소통효율성, 회피대처, 이성적 대처, 지역사회지지, 자아분화, 가구소득 순으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투입한 모형1의 분산설명력은 6%였으며, 여성의 학력이 낮을수록,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여성의 이혼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자아분화를 추가 투입한 모형2의 분산설명력은 모형1에 비해 10% 증가한 총 16%였으며,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여성의 자아분화 수준이 낮을수록, 여성의 이혼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부부의사소통효율성과 부부갈등대처행동을 추가 투입한 모형3의 분산설명력은 모형2에 비해 30% 증가한 총 45%였으며, 여성의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자아분화 수준이 낮을수록, 부부의사소통효율성이 낮을수록, 이성적 대처를 적게 할수록, 회피대처를 많이 할수록, 이혼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여성의 사회적지지를 추가 투입한 모형4의 분산설명력은 1% 증가한 47%였으며,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여성의 자아분화 수준이 낮을수록, 부부의사소통효율성 수준이 낮을수록, 부부갈등대처행동에서 이성적 대처를 적게 할수록, 회피대처를 많이 할수록, 지역사회지지가 낮을수록 이혼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이혼의향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들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중점을 두었다. 이를 통하여 결혼생활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필요한 대안을 제시하고, 특히 부부간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부부의사소통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모색과, 건강한 가정을 도모하기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자료로서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이주민제작자 영화작품의 특징과 내용에 관한 연구 : 영화를 통한 이주민의 한국이미지 재현을 중심으로

        서영숙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이주민 영화제」에 출품된 이주민제작자의 작품에 관한 연구이다. 이 작품을 통해 이주민 영화제작자의 특징과 그 작품에 나타난 주제와 내용의 특징들을 연구하고 작품 내의 한국이미지의 재현방식과 제작자의 의식에 관해 분석연구 하였다. 매년 열리는「이주민 영화제」가 이주민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을 개선하고, 다양한 문화와 예술이 공존하는 문화다양성의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이바지한 바를 기초자료로 제공하였다. 또한 문화다양성 사회를 구현하는 구체적인 실현과 통합의 현실화를 위한 대안 설정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이주민 영화제」기점인 2006년 제1회『이주노동자 영화제』부터 최근인 2014년 제8회 이주민 영화제에 이르기까지 이 영화제를 통해 상영되고 출품된 작품 중 순수 국내거주 이주민제작자의 작품 46편만을 선정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주민 영화제작자의 특징은 출신지, 성별, 이주유형, 한국에서의 직업유형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연구하였고 둘째, 작품의 주제와 내용에 관해서는 이주민의 삶, 사회적 문제와 갈등, 한국 생활에 대한 전망, 이주민의 정체성의 문제 등에 대한 묘사를 내용으로 분석하였으며 셋째, 영화제작자의 작품에서 재현된 한국이미지에 관한 것으로 한국사회와 한국인에 대한 이미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주민 영화제작자의 의식에 관한 연구로 이주에 대한 시선 묘사, 이주민 정책 및 제도 개선에 대한 표현, 한국인들에 대한 시선의 표현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주민 영화제작자의 특징과 작품에서 재현된 한국의 이미지, 제작자의 작품제작 의식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지 않을까 하여 알아보기 위해 재분석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첫째, 이주민 영화제의 발전을 위해서는 영화제를 주최하는 ‘이주민 방송’의 입장, 이주민 영화제작자 개인의 의식, 그리고 무엇보다 다양한 이주민이 영화제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홍보전략, 참여 독려, 미디어교육의 기회제공 등의 대안 마련과 문화다양성을 지향하는「이주민 영화제」에 대한 합리적인 작품선정의 기준이 필요하다. 둘째, 다수의 작품들이 이주노동자에 대한 내용과 주제들로 일관된 편향성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축제라는 이주민 영화제의 분위기에 어울리는 작품과 다양한 장르를 선보일 수 있는 제작자 의식교육이 미디어 교육과 함께 이루어 져야 한다. 셋째, 이주민 영화제작자의 작품에서 재현된 이주민을 바라보는 한국사회에 대한 이미지 재현에 있어서 나타난 부정적 이미지 개선을 위해서는 이주노동자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행위자들이 정책이 현실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이주민 영화제작자의 의식에서 이주민 영화제작자는 이주에 대한 시선의 묘사, 정책 및 제도개선에 대한 표현, 한국인에 대한 시선의 표현을 통해 감독이라는 이름으로 자신의 작품을 가지고 관객과 소통함으로써 자기 긍정의 힘을 발견하였을 것이다. 이주민 영화제작자는 관객들과의 만남을 통해 이주사회에서 사회연결망을 재수립하고 무엇보다 신분상의 위치 변화를 이끌어 내는데 성공하여 한국인과 이주에 대한 긍정적인 시선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주노동자에 지나치게 편향된 이주민 영화제작자의 특징과 이주민 영화제작자 작품에서 재현된 한국의 이미지와 이주민 영화제작자의 의식 사이 재분석 결과를 해석에 적용하기에는 한계를 보이며 이주민제작자의 특징보다도 작품 내용에 따라 큰 연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이주민 영화제」가 이주민에 대한 보다 나은 인식개선 및 문화다양성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많은 이바지를 해왔음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제공했다는 점에 연구의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