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어 주어-동사 도치 구문에 관한 코퍼스 기반 연구

        서아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nglish Subject-Verb Inversion(SVI) in terms of syntactic complexity and information status based on a personally built corpus. This study also attempts to examine SVI with regard to the genres of novels and newspapers, the differences between British and American English, the diachronic changes from 1900 to 2019,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rbs. The corpus includes two subcorpora, i.e. the novel subcorpus and the newspaper subcorpus, amounting to approximately 600,000 words of English in total. For the analyses of SVI in different regions and periods, this study only uses the newspaper subcorpus because of representativenes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revealed that both syntactic complexity and information status influence word order in English, in that most cases of SVI in the corpus were post-heavy and post-new, which means that an element of heavy weight or new information tends to be located toward the end of a sentence. In terms of genres, more cases of SVI were identified in the novel subcorpus. It also identified that more cases of SVI were used in British English than in American English and that there was a diachronic decline in the use of SVI from 1900 to 2019 in both dialects. It was also revealed that most of the verbs found in the SVI construction were be or intransitive verb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s that SVI is in correlation with syntactic complexity and information status. In addi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re are different frequencies of SVI in the genres and in the dialects of British and American English with a diachronic decrease.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rbs used in the SVI construction indicate that they are informationally light without representing new information. However, it is acknowledged that the corpus size of this study is small compared to other corpus-driven studies. It is due to the fact that no existing corpus can be used for the current study, which aimed to identify SVI, and that the corpus had to be compiled and analyzed manually.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ncrease the data size of the corpus for future research. Moreover, this study only focuses on written texts, so it is necessary to include spoken texts for a comparative analysis of written and spoken texts. 본 논문은 연구자가 직접 구축한 코퍼스를 기반으로 영어 주어-동사 도치 구문을 통사적 무게와 정보성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영어 주어-동사 도치 구문이 소설과 신문 장르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영국 영어와 미국 영어에서 사용상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더 나아가 1900년도부터 2019년도까지 통시적인 변화와 주어-동사 도치 구문과 나타나는 동사의 특성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본 연구의 코퍼스는 두 개의 하위 코퍼스인 소설과 신문 기사로 되어있으며, 약 60만 단어로 구성이 되어있다. 영어 주어-동사 도치 구문의 사용 지역별, 통시적 분석은 연구 결과의 대표성 문제로 신문 코퍼스만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코퍼스에서 나타난 대부분의 주어-동사 도치 구문들이 후치 요소가 무겁고 신정보라는 점에서 통사적 복잡성과 정보성 두 가지 요소 모두가 어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통사적으로 무겁거나 정보적으로 새로운 요소는 문미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장르별 차이를 살펴보면, 소설 코퍼스에서 더 많은 주어-동사 도치 구문이 발견되었다. 또한, 사용 지역별 연구에서는 미국 영어보다 영국 영어에서 더 많은 주어-동사 도치 구문이 사용되었고, 통시적인 분석에서는 1900년부터 2019년까지 두 지역 모두에서 주어-동사 도치 구문의 사용이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주어-동사 도치 구문에서 발견된 대부분의 동사는 be 동사 또는 자동사였다. 본 연구는 통사적 복잡성과 정보성이 서로 상관관계에 있고, 주어-동사 도치 구문 사용이 장르와 지역별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주어-동사 도치 구문은 통시적으로는 계속 감소하는 현상을 보이고, 주어-동사 도치 구문에서 사용된 동사들은 정보적으로 가볍다는 결과도 얻었다. 하지만 본 연구의 코퍼스는 다른 코퍼스를 기반으로 한 연구들과 비교하였을 때, 코퍼스의 크기가 작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는 도치 구문을 검색하는 기능을 가진 코퍼스가 거의 없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자료를 모으고 분석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추후의 연구를 위해 코퍼스 데이터를 좀 더 크게 만들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문어체에만 국한되어 있는데 후속 연구에서는 구어체도 포함하여 문어체와 구어체의 사용을 비교하여 분석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 FESWMS-2D 모형을 이용한 유로만곡부의 교각 주위 국부세굴심 예측

        서아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1839

        실제 자연하천은 일반적으로 유수력에 의하여 사행이 발달함에 따라 대부분 만곡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만곡부 하천에서는 원심력의 영향으로 외측의 수위가 내측의 수위보다 높아지는 편구배와 2차류 등이 존재하고 있어서 직선수로와는 그 특성상 큰 차이가 있으며. 만곡부는 흐름 방향전환으로 인한 소통능력이 문제되는 구간으로서 빈번하게 홍수피해를 발생시킨 다. 본 연구에서는 유로만곡부에 의한 만곡부 흐름특성 실험자료와 FESWMS-2D 모형 적용자료를 비교분석하고, 최대 유속이 발생하는 만곡부 150 단면에서 교각주위 흐름특성 실험자료와 FESWMS-2D 모형 적용자료를 비교분석하여 적용성을 검토하였으며, 적용자료를 이용하여 만곡부 내 외측의 최대유속차와 편수위차를 비교하였다. 비교한 결과 최대 유속선이 60' 이후에서 외측부로 편기되는 경향을 나타내였으며. 외측부 유속이 내 측부보다 최대 13배 크게 나타났다. 최대수위는 만곡부 외측으로 편기되었고, 편수위차는 150 단면 외측부에서 1.06배 크게 나타났다. 또한 만곡부 150 지점 외측에 설치한 각기 다른 교각직경을 갖는 6개 의 원형교각 세굴심에 대한 실험자료와 FESWMS-2D 모형 적용자료를 비 고 교분석하여. 교각설치 지점으로부터 교각직경의 1배. 2배. 3배, 4배 거리에 서의 전면부 접근유속과 접근수위의 산정으로 국부세굴심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교각직경2배 거리 전면부(상관계수-0.9969)와 3배 거리 전면부(상관계수-0.9935)에서 만곡부 150' 외측에 설치된 교각의 세굴심을 잘 예측 하였다. FESVVMS-2D 모형의 CSU식에 의한 세굴심을 예측할 경우 교각직경의 2배에서 3배 거리 사이의 전면부 접근유속과 접근수위를 사용하는 것 이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Meandering in a channel occurs when meander is developed hydraulically. A curved channel is different from the straight channel for having superelevation caused by the change of water level of the channel whose outer section gradually becomes higher than that of the inner section during to the centrifugal force, as well as secondary flow. A curved channel is the section where the flow of waterway changes dramatically that it often causes flood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0.9m in width, 0.15m in depth with 8m in length and a radius of 2.5m in 180˚. A pit of sand of approximately 15cm in height with a median diameter of 0.53mm and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of 1.82 formed the bed. The width of the piers used in this experiment are 8.9, 7.6, 6.0, 4.8, 3.8 and 3.2cm In this study, I have discussed the flow characteristics of a curved channel with the analysis of the FESWMS-2D model, flow characteristics around the bridge pier of the maximum transverse surface slope taking a bearing of 150˚ and the application of the FESWMS-2D model in order to analyze the application, and compared the maximum flow velocity of both inner and outer section of the channel and superelevation using data generated. As a result, the maximum flow velocity shows a tendency of converging towards the outer section at the bearing of 60˚. Also the flow velocity of the outer section is measured 1.3 times bigger than that of the inner section. The maximum water level also converges towards the outer section with superelevation 150˚ which happens to be 1.06 times bigger at the outer section. The maximum transverse surface slope are generated at the location of 150˚ in a curved channel since the local shape and the maximum scour depth were analyzed in the place. I have discussed the six scours of bridge piers having each different diameter that are located at the bearing of 150˚ of the outer channel as well as the FESWNS-2D model. By doing this, I made a prediction for the local scour calculated from approach velocity and approach depth considering different distances in 1, 2, 3 and 4 times the diameters of the bridge piers from the original locations. As a result, predictions of local scours located at 2 times the distance of the diameter of bridge piers(coefficient of correlation = 0.9969) and 3 times the distance of the diameter of bridge piers(coefficient of correlation = 0.9935) of diameter of bridge piers, were correct. When the scour depth is predicted using the CSU(Colorado State University) equation of FESWMS-2D model, it is suggested that using approach velocity and approach depth between 2 to 3 times the distance of the diameter of bridge piers is efficient.

      •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단계별 담화표지 사용 양상 연구 : 중국어권 학습자 구어 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

        서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학습 단계별에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구어 대화에서 나타난 담화표지의 출현빈도와 사용 양상을 파악하고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각 학습 단계에서 담화표지의 교육 방향과 담화표지와 관련된 한국어 교재 개선 방안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학습 단계별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 구어 말뭉치에서 나타난 담화표지의 출현 빈도와 사용 양상을 모어 화자 구어 말뭉치에서 나타난 담화표지와 비교하였다. 그리고 교재 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담화표지의 교수·학습의 문제점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어 교육에서 담화표지의 교육 방향과 담화표지와 관련된 한국어 교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담화표지의 정의와 특징, 기능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담화표지를 '화제와 화제 결속', '화자와 화제 결속', '화자와 청자 결속'의 기능 범주에서 구어 말뭉치 분석의 틀을 정하였다. Ⅲ장에서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 구어 말뭉치에서 나타난 담화표지의 전체 출현 빈도와 기능별 출현 빈도를 모어 화자와 비교 분석하고 나서 학습단계별 담화표지의 전체 출현 빈도와 단계별에서 담화표지의 기능별 출현 빈도를 살펴보았다. 그 다음으로 학습 단계별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기능별에서 출현 담화표지의 유형과 사용 양상을 '화제와 화제 결속', '화자와 화제 결속', '화자와 청자 결속' 세 가지 큰 기능 범주로 나눠서 모어 화자의 대조를 통하여 그 특징을 밝혀냈다. Ⅳ장에서는 지금 한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한국어 교재 48권을 분석하여 앞선 분석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 구어 담화표지 사용 양상과 비교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한국어 교육 현장에 담화표지의 교수·학습의 문제점을 밝힌 후 앞으로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담화표지의 교육방향 과 담화표지와 관련된 한국어 교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준 한국어교육에서 개별 담화표지에 대한 연구나 구어 말뭉치 분석연구나 특징 단계 학습자 담화표지의 사용 양상 연구 등 선행연구와 달리 학습 단계별에서 구어 담화표지의 사용양상의 특징을 전체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와 모어 화자의 비교하고 전체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 내부에서 각 단계별의 사용 양상을 비교한 것, 교재 분석결과와 비교하고 지금 교육 현장에 담화표지 교수·학습의 문제점을 무엇인지를 밝혀냈다는 점과 향후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담화표지의 교육 방향과 담화표지와 관련된 한국어 교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alization frequency and usage pattern of discourse cover in Korean spoken language conversation and to improve the teaching direction and teaching materials of discourse cover at each learning stage. To this end, this paper compares the frequency of speech discourses and usage patterns of spoken language corpus in Chinese-speaking Korean language learners at the stages of learning, and compares them with the discourse cover represented in spoken language corpus. Identified the problems of learning and based on them and made suggestions Chapter II examines the definitions, features, and functions of discourse labels, which ar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is study, and based on them, the functional categories of discourse labels: 'Topic and Topic', 'Speaker and Topic', and 'Speaker and Listener' Set the framework for colloquial corpus analysis. In Chapter Ⅲ, the total frequency of realization of discourse cover and the frequency of function by function of spoken language corpus in Chinese-speaking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compared and analyzed. Next, the types and patterns of use of speech covers are divided into three major functional categories: topic and topic engagement, speaker and topic engagement, and speaker and listener engagement. By contrast, the features were revealed. In Chapter Ⅳ, we analyze 48 representative Korean textbooks widely used in Korea and compare them with the analyzed patterns of spoken language spoken by Chinese Korean learners. After that, I suggested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teaching direction and textbook of discourse cove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such as the study of individual discourse labels, the colloquial corpus analysis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study of the pattern of use of discourse cover. Compared and spoken speakers, compared the usage patterns of each stage within the entire Chinese-speaking Korean language learner, compared with the textbook analysis results, and found out the problems of teaching / learning on the cover of the speech in the field of education. It is meaningful to suggest that the direction of discourse cover and the improvement of Korean textbooks were suggested in education.

      • 러시아 현대 미술과 소츠 아트(Sots art) : 코마르&멜라미드(Komar&Melamid)의 '스탈린주의' 신화의 해체

        서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러시아 현대미술, 특히 소츠 아트(Sots Art)라 칭해지는 구소련 비공식 미술 혹은 반체제 미술을 다루고자 한다. 소츠 아트의 선구자인 코마르와 멜라미드의 작품 속에서 소츠 아트의 특성을 살펴보고, 나아가 러시아 사회와 동시대인들에게 감춰졌던 스탈린주의 신화에 내포된 사회적 함의를 해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소츠 아트는 이전 러시아 사회에서 공식 이데올로기인 스탈린주의를 해체하는 전략적 특성을 가지며, 이는 스탈린 집권당시 공식 미술인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역으로 풍자화하기도 한다. 그리고 소츠 아트는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미국의 팝 아트 성격을 담고 있는데, 이는 각각의 대중적 아이콘을 표출한다는 점에서 공통적 특성을 찾을 수 있다. 여기서 본 연구자는 소츠 아트에서 대중문화 아이콘을 스탈린주의로 보았다. 스탈린주의는 거대한 이데올로기로써 문화 및 예술 전반에 자리 잡으며, 러시아 인들의 사회의식 속에서 하나의 신화가 되었다. 특히 코마르와 멜라미드의 작품 중 ‘Nostalgic Socialist Realism’(1981~83)는 스탈린주의 신화를 더욱 강조한 시리즈이다. 그들은 고전주의 기법을 차용한 패러디 방법과 이질적인 결합 혹은 사실적인 묘사의 강조를 통해 아이러니함을 보여주었다. 이는 스탈린주의 신화를 해체하기 위함이었고, 나아가 사회주의 체제가 열망한 유토피아 이상을 벗어나려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스탈린주의 신화는 코마르와 멜라미드의 작품에서 해체의 대상이 된다. 연구자는 이것을 알아보기에 앞서 이데올로기적 패러다임으로 신화의 의미를 해석한 바르트(Barthes)와 그로이스(Groys)의 논지를 하나의 연구 방법론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신화의 일반론적인 입장을 살펴봄으로써 스탈린주의 신화의 의미를 심도 있게 분석할 수 있는 근간이 되었다. 그리고 코마르와 멜라미드의 작품 내용에서 스탈린주의 신화를 노스탤지어 시각에서 해석하기도 하였다. 그 결과 스탈린이 해체됨과 동시에 재신화화로 탄생되는 것이라는 의미를 도출하게 되었다. 연구자는 코마르와 멜라미드의 작품을 통해 러시아 공식 미술에 가리어져 있던 소츠 아트에 주목하고자 했고, 신화 속에 내포된 이데올로기적 함의를 또 다른 시각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소비에트 문화에 숨겨진 함의는 러시아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의 태동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소츠 아트는 그 가능성을 열어주는 역할을 했고, 러시아 현대미술에 새로운 전망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I examine Russian contemporary arts, especially the Soviet's unofficial or antiestablishment arts, called Sots Ar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characteristics of Sots Art expressed on the works of two pioneers of Sots Art, Komar and Melamid and furthermore analyze the social implication that was included in the myth of Stalinism which was concealed from then Soviet society and the people at that time. Sots Art has a strategic characteristic that dismantles the Stalinism, the official ideology and satirizes the social realism, the only official art at the Stalin's regime as well. Sots Art has both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ist Realism and the US Pop Art, which means they represent each popular icon in their countries. I see the popular icon of Sots Art as Stalinism. The Stalinism dominated comprehensively the society and culture of the Soviet era and became a myth in the social consciousness of Russians during that time. In particular, ‘Nostalgic Socialist Realism’(1981~83), among the works of Komar and Melamid, emphasized more the myth of Stalinism. They showed irony through the emphasis on realistic description or heterogeneous combination and parody from classic techniques. This was for the dismantlement of the myth of Stalinism and moreover and was also escape from the goal of Utopia the socialism system had strongly desired. The myth of Stalinism becomes the subject that would be taken to pieces in the works of Komar and Melamid. Before the research on this, I suggested as a study methodology the argument of Barthes and Groys who interpreted the meaning of myth as an ideological paradigm. This helped to deeply analyze the myth of Stalinism through a usual overview of myth. And I also interpreted the myth of Stalinism in the works of Komar and Melamid in the viewpoint of nostalgia. As a result, I could deduce the meaning where Stalin got dismantled and at the same time born as a re-mythicization. Through the works of Komar and Melamid, I tried to pay attention to Sots Art hidden under the Russian official arts and came to interpret an ideological implication included in myth in a different viewpoint. Such implication made it possible for Russia's post-modernism art to be created. And Sots Art played a role of opening the possibility of it and gave a new prospection on the new art of Russia.

      • 물가와 실질주가와의 상관관계 분석

        서아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23

        본 논문은 실질주가지수와 물가지수와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분석해 보았다. Fama(1981) 이후 실질주식수익률에 대한 인플레이션의 영향력을 확인하는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왔지만, 최근 국내에서는 연구가 지속되지 못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000년 이후 월별 자료를 이용하여 실질KOSPI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의 상관관계를 파악했다. Johansen 공적분 검정으로 두 변수의 장기균형관계가 확인되어, 실질주가지수에 대한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DOLS(Dynamic OLS)로 모형을 추정했다. 선형회귀분석 결과 Fama의 대리가설과 같이 우리나라도 실질주가지수와 물가지수의 음의 관계가 성립하고, 산업생산지수와는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Chow검정을 통해 2008년 9월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가 금융시장과 실물시장의 구조적 분기점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위기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회귀분석을 실행하였고, 위기 이후에 실질주가지수에 대한 물가와 산업생산지수의 영향력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 On Strategies of Chinese-Korean and Chinese-English Subtitle Transl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Relevance Theory : A Case Study on the Film “Red Cliff”(적벽대전)

        서아 동국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1823

        사회와 경제가 매우 빨리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문화권간의 의사소통(communication)은 예전보다 훨씬 더 중요해졌다. 영화는 새로운 의사소통(communication) 방식의 한 가지로서, 국가 간의 문화교류에 매우 큰 자리를 차지하고 있고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갈수록 많은 중국영화들이 외국시장으로 진출하면서 외국사람들에게 중국 문화가 알려 지고 있다. 그러므로 영화를 잘 이해하기 위해 자막번역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 번역 학자들이 점점 영화자막번역에 관심을 두고 있지만, 일반 번역학 이론의 틀에서 봤을 때, 깊이 연구 하고 있지는 않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 적합성 이론을 중심으로 영화자막번역 전략을 연구하고자 한다. 적합성 이론에 따라 중국영화 "적벽대전 1부"의 중한자막과 중영자막을 분석하고 비교하면서 각자 어떤 특징이 있는지, 사용되어지는 전략이 어떻게 또한 왜 다른지를 살펴보았다. 자막에서 나타내는 문화고유어(Culture specific items)는 번역할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이기 때문에 데이터로 분석하였다. 우선, 적합성 이론은 의사소통(communication) 행위 중의 의미전달과 추측하는 과정을 강조한다. 즉, 원문의 의도를 최대한 상대방에게 잘 전달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상대방이 정보를 처리하고 이해하는 노력도 최소로 감소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역시 시간과 공간의 제한이 있는 자막번역의 핵심문제이다. 자막번역에서 번역자들은 두 가지의 의사소통(communication)에 참여한다. 한 가지는, 자막번역자들은 먼저 영화대사를 통해 제작자의 의도를 제대로 이해하고 관련된 정보를 얻어야 한다. 다른 한 가지는, 자막번역자들은 외국 관객들의 인지환경(cognitive environment)을 충분히 고려해서 그들에게 대사의 의도와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 그래서 자막번역을 하는 과정에서 영화 제작자와 관객들은 의사소통(communication)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최상의 적합성(optimal relevance)을 추구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외국 관객들이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정보와 영화 대사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적합성 이론은 영화 자막번역의 과정에서, 전략선택에도 역시 적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자막번역에서 사용하는 전략을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직역(literal translation), 감촉(condensation), 삭제(deletion), 그리고 간략한 의역(reductive paraphrasing)이다. 직역(literal translation)은, 원문의 형식, 내용과 문화적인 요소를 모두 그대로 번역하는 것이다. 문화고유어(Culture specific items)중 고유명사(proper nouns)를 번역할 때 직역(literal translation)을 주로 전략으로 쓴다. 감촉(condensation)은, 원문의 중요한 정보를 보류하고 관객들에게 별로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삭제하는 전략이다. 삭제(deletion)는, 모두 생략하고 번역하지 않는 것이다. 간략한 의역(reductive paraphrasing)은 번역자들이 자신의 말로 간략하게 의역하는 것이다. 감촉(condensation), 삭제(deletion), 간략한 의역(reductive paraphrasing), 이 세가지의 전략을 사용할 때, 번역자들은 마음대로 영화 대사의 일부분 내용을 생략할 수 없으며, 목표독자들(target audience)의 인지환경(cognitive environment)을 고려해서 최상의 적합성(optimal relevance)을 달성할 수 있도록 번역해야 한다. 데이터를 분석하면서 발견한 것이 몇 가지 있다. 첫째, 한국어 자막과 영어 자막에서, 문화고유어중 고유명사(proper nouns)는 둘 다, 주로 직역(literal translation)을 사용했다. 둘째, 고유명사(proper nouns)를 제외하고, 문화고유어 중 일반 표현(common expressions)에 대해 한국어 자막에서는, 간략한 의역(reductive paraphrasing)과 감촉(condensation)을 주로 사용하였고, 영어 자막에서는 직역(literal translation)을 여전히 많이 사용했다. 셋째, 어떤 경우에는 같은 부분에 대해 한국 관객들과 서양 관객들의 인지환경(cognitive environment)이 다르기 때문에 선택하는 번역 전략도 달랐다. 넷째, 어떤 때는 한국어 자막에서 최상한 적합성(optimal relevance)을 달성하기 위해 충실성을 희생했다. 분석 결과는, 번역자들은 영화 자막번역을 할 때 목표독자들(target audience)의 인지환경(cognitive environment)을 고려해서 번역 전략을 선택하였고, 목표독자들(target audience)의 인지환경(cognitive environment)이 다르기 때문에 번역자들은 선택하는 전략도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시간과 공간의 제한이 있는 자막번역에서, 어떤 상황에서는 관객들이 최소의 노력으로 빠른 시간 안에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하며, 최대의 의미 전달을 하기 위해서는 충실성을 희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