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래방 '국민애창곡'의 선호요인 분석 : - 주제 및 가사 분석을 중심으로-

        서민수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재 대중음악소비시장은 기술의 발전과 함께 많은 변화가 있었다. 카세트에서 CD플레이어, MP3의 형태를 지나 음원스트리밍까지 기술발전과 더불어 음악을 소비하는 형태까지 변화하였다. 현재의 주요 음악소비시장 중 대중에게 가장 접근성이 높은 음원스트리밍사이트의 음원차트의 순위가 모든 연령대를 선호를 대변하며, 실질적으로 대중이 소비하는 음악을 정확하게 나타내는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듦과 동시에 대중의 실생활에 가장 가까이 자리하고 있는 문화이자 음악소비의 확장된 형태인 노래방에서 오랜 시간 소비되고 있는 애창곡은 어떠한 요인으로 인해 대중음악의 속성인 상업성, 유행성, 오락성의 측면에서 현재 생산되고 있는 음악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고 있는지에 대한 원인을 본 연구의 주제인 노래방 ‘국민애창곡’의 선호요인 분석 : 주제 및 가사 분석을 통해 대중의 선호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노래방 ‘국민애창곡’의 주제 및 가사를 분석한 결과, 대중에게 지속적으로 소비되는 음악은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였다는 것이다. 지속적으로 선호되는 음악은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와 대중에게 설명하고 전달하는 매개체인 가사가 명확하게 대중에게 전달되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음악제작자가 음악을 제작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대중의 정서적 공감대를 얻을 주제와 가사가 음악에 담겨있는가가 될 것이라 생각된다. 추후에도 음악에 대한 대중의 선호요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어지길 바람과 동시에 일시적인 성과를 내는 음악제작환경에서 벗어나 지속적으로 대중과 공감대를 형성하며 소비되는 ‘국민애창곡’과 같은 음악이 제작되어 음악제작자와 소비자인 대중 각각의 니즈(Needs)를 만족시키는 환경을 만드는데 기여하는 연구이길 기원한다. The current pop music market has changed a lot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rom cassette to CD player, from MP3 format to streaming music,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and consumption trend has changed accordingly. In the current major music consumption market, it is doubtful whether the rankings of the sound source charts of the most accessible sound streaming sites to the public represent the preference of all ages, and that they accurately represent the music consumed by the public. “The Hot Song List” in karaoke is a culture that is located nearest to real life and consumed for a long time in karaoke, which is an extended form of music consumption. The question is due to what factors, rivalry with music currently being produced in terms of commerciality, pandemic, and amusement, “The Hot Song List” has survi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ference factors of “The Hot Song List” in karaoke. The analysis of the theme and lyrics of the karaoke "Kookmin Song" shows that the music that is continuously consumed by the public has formed an emotional consensus. The music that is consistently preferred is that the lyrics, which are the medium to explain and convey to the public, are clearly communicated to the public. From this point of view, the first thing that music producers should consider when producing music is whether the theme and lyrics to get emotional sympathy from the public are contained in music. In the future, I hope that various researches on the popular factors of music will be continued, and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produces music like "Kookmin Song", which is consumed by forming a consensus with the public

      • 안정형 대인관계성향이 개인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리더의 안전기지 지원의 조절효과와 조직기반 자긍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민수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기업들은 팀기반의 조직구조(team-based organizational structure)와 같은 작업 시스템의 상호의존성과 유연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런 변화로 직무 기술서상으로 나타난 직무수행뿐만 아니라 조직의 효과성을 위해서 조직원간 혹은 부서간의 협업을 통해 조직이 주도한 변화들에 직원들은 능동적으로 적응을 하거나 장기적 관점에서 자기 자신과 주워진 상황들을 건설적으로 변화시킬 것을 요구하는 선제행동이 중요해졌다. 이런 직원의 선제 행동과 직무성과는 상사나 동료와의 대인관계의 내용과 형태에 의존하는 상황 의존적 조직행동으로써 한 직원이 가지고 있는 대인관계성향이나 사회성이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아쉽게도 직원들의 대인관계 성향과 상사와 동료와의 관계 등 조직의 상황 요인에 의해 어떻게 선제 행동과 직무성과를 유발하는지와 이런 관계의 매개체 기능으로써 조직기반 자긍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본 연구는 78개의 기업의 261명의 직원대상으로 한 실증연구이다. 성인애착이론을 기반으로 정서적 유대감기반의 안정형 대인관계성향과 선제 행동 및 직무성과간의 정(+)의 관계가 있고, 조직기반 자긍심은 안정형 대인관계성향과 선제 행동 및 직무성과간의 관계에 매개체 기능을 하고, 안정형 대인관계성향과 리더의 안전기지 지원의 상호작용이 조직기반 자긍심에 영향을 줘서 선제 행동 및 직무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를 밝혀냈다. 본 연구결과는 3가지의 이론적 시사점이 있다. 첫째, 성인애착이론을 기반으로 선제 행동과 직무성과의 선행요인으로 사회적 요소의 하나인 안정형 대인관계성향이 중요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둘째, 안정형 대인관계성향과 개인성과 간의 정(+)의 관계에 조직기반 자긍심이 동기부여요소로써 심리적 메커니즘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셋째, 개인성과에 대한 상황적 요인인 리더의 안전기지 지원의 기능을 살펴봄으로써 성인애착이론을 리더십 이론에 확대 적용하고 개인성과에 대한 개인성격과 상황요인의 상호작용 성격이론에 이론적 기여를 하게 되었다. 또한 실무적 시사점으로 첫째, 선제행동을 하고 높은 직무수행능력을 가진 신입직원과 관리자를 선발할 때, 안정형 대인관계성향과 조직기반 자긍심을 평가요소로 활용하여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관리자 대상으로 진행하는 리더십 교육에 부하의 대인관계성향을 파악하고 그 성향에 따른 맞춤형으로 부하를 지원할 수 있는 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셋째, 직장 내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멘토와 멘티의 안정형 대인관계성향을 진단하고 그 성향을 고려하여 매칭을 하면 효과적인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넷째, 직원들의 선제행동과 직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기반 자긍심을 높일 수 있는 조직문화 활성화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할 필요가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알려준다. Research on the impact of emotion-based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on individual performance lacks even though employee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ignificantly relate to individual performance such as proactive behaviors and task performance. Applying adult attachment theory to organizational behavior theory, this study suggests and tests a model of the interaction impact of secure-based attachment styles and secure-based supports from leaders on individual performance through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In a sample of 261 employees from 77 organizations, the results explain three findings as follows. First, secure-based attachment styles significantly relate to individual performance such as proactive behaviors and task performance. Second,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functions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cure-based attachment styles and individual performance such as proactive behaviors and task performance. Third, secure-based supports from leaders negative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cure-based attachment styles and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Theoretic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ree insights for researchers. First, this study helps to find an emotion-based social characteristics, the secure attachment styles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as an antecedent of proactive behavior and task performance. Second, this study contributes to finding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s a psychologically motivational factor between secure attachment styles and individual performance. Third, this study not only extends adult attachment theory to leadership theory by investigating moderating effects of secure-based supports from leaders on individual performance, but also supports Personality Trait-Based Interactional Model of Job Performance. This study provides four practical insights for us. First, the study suggests that when organizations want to select new employees and managers who tend to work proactively and lead to high task performance, they need to consider their secure attachment styles and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Second, organizations need to run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s which help leaders to identify their followers' secure attachment styles, and deal with their followers depending on secure attachment styles. Third, according to mentor and mentee's secure attachment styles, organizations need to match mentor and mentee in order to run successful mentoring programs. Fourth, organizations need to develop and run organization culture programs to promote employees'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 태권도와 택견 주요 차기동작의

        서민수 울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요약 태권도와 택견 주요 차기동작의 운동학적 변인 비교 서 민 수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본 연구는 태권도와 택견의 앞차기와 제겨차기, 돌려차기와 후려차기, 그리고 옆차기와 옆발질의 주요 운동학적 변인을 비교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태권도와 택견의 발차기의 순간동작을 오른발이 이지하는 순간, 오른 무릎의 슬관절각이 최소가 되는 순간, 그리고 오른발이 타격하는 순간으로 설정하였으며, 전반을 제 1구간으로, 후반을 제 2구간으로 설정하였다. 각각 세 가지 동작 간의 소요시간 및 전체 소요시간, 신체중심 변위, 신체중심 속도, 발 속도, 그리고 하퇴 각속도를 비교하기 위해 태권도와 택견 수련자 7명씩을 무선표집하였다. 두 대의 VFC-300 고속카메라로 주요 차기동작을 90frame/s로 촬영하였고, Kwon3D(3.1) 영상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해 DLT 방식에 의한 3차원 영상분석으로 주요 운동학적 변인을 산출하였다. 유의수준 .05에서 태권도와 택견의 변인들을 독립 t검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태권도 앞차기와 택견 제겨차기 동작을 비교한 결과 태권도의 전체 소요시간은 .25±.02초, 택견은 .28±.03초로 나타났고, 그 차이는 유의하였다. 태권도의 신체중심 수직축 변위는 1.00±.02m, 택견은 1.05±.05m로 나타났고, 그 차이는 유의하였다. 태권도의 신체중심 속도는 .52±.17m/s, 택견은 .55±.15m/s로 나타났고,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태권도의 발 속도는 7.89±.58m/s, 택견은 8.84±.73m/s로 나타났고, 그 차이는 유의하였다. 태권도의 하퇴 좌우축 각속도는 1.34±1.17㎭/s, 택견은 제겨차기는 1.81±1.68㎭/s로 나타났고,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볼 때 두 동작은 역학적 유사성이 다소 있었으나, 택견 제겨차기는 다소 느리고 높게 차며, 타격 순간의 발 속도가 컸다. 둘째, 태권도 돌려차기와 택견 후려차기 동작을 비교한 결과 태권도의 전체 소요시간은 25±.03초, 택견은 .31±.04초로 나타났고, 그 차이는 유의하였다. 태권도의 신체중심 수직축 변위는 1.03±.04m, 택견은 1.03±.02m로 나타났고,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태권도의 신체중심 속도는 .56±.18m/s, 택견은 .56±.11m/s로 나타났고,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태권도의 발 속도는 8.30±1.09m/s, 택견은 8.05±1.67m/s로 나타났고,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태권도의 하퇴 수직축 각속도는 3.09±2.12㎭/s, 택견은 2.39±2.11㎭/s로 나타났고,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볼 때 두 동작은 역학적 유사성이 다소 있었으나, 택견 후려차기는 다소 느린 동작으로 볼 수 있다. 셋째, 태권도 옆차기와 택견 옆발질 동작을 비교한 결과 태권도의 전체 소요시간은 .31±.04초, 택견은 .34±.06초로 나타났고,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태권도의 신체중심 좌우축 변위는 .52±.11m, 택견은 39±.07m로 나타났고, 그 차이는 유의하였다. 태권도의 신체중심 속도는 65±.13m/s, 택견은 .57±.10m/s로 나타났고,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태권도의 발 속도는 5.74±1.21m/s, 택견은 5.40±.56m/s로 나타났고,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태권도의 하퇴 수직축 각속도는 -11.96±3.04㎭/s, 택견은 -11.89±3.04㎭/s로 나타났고,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볼 때 두 동작은 역학적 유사성이 다소 있었으나, 태권도 옆차기는 좌측 방향으로 변화가 크다 할 수 있다.

      • 한국형 Risk Criteria 및 KORA를 이용한 사회적 위험도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서민수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지금까지 삶의 편의를 위해 화학공장의 설립과 화학물질의 사용을 허용해왔고, 이로 인해 위험사회의 단계에 접어들었다. 더욱이 확장되는 도심으로 인해 주거지역과 산업지역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어 많은 지역에서 사람들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 화학공장과 화학물질을 제거할 수 없으므로 위험은 항상 존재한다. 그렇지만 사람들을 이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무제한적으로 이격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이 때문에 허용 가능한 위험(TOR, Tolerance of Risk)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게 되었다. 유럽은 SEVESO-III 제도를 통해 토지이용계획(Land use plan)단계부터 건강영향에 대한 위험수준을 고려하도록 규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각 국에서는 위험도 기준(Risk Criteria)을 마련하고, 이를 준수하기 위해 정량적 위험성평가(QR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를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로 한국에서 화학공장으로부터의 발생되는 위험에 대해 어느 정도가 허용가능한 수준인지를 정의하여, 한국형 위험도 기준(Risk Criteria)을 작성하였다. 개인적 위험도 기준(Individual Risk Criteria)은 영국, 네덜란드, 미국, 호주의 연령별 사망확률과 각 국가의 위험도 기준을 비교하여 선정하였으며, 각 국가의 위험도 기준은 5-9세 또는 10-14세의 사망률의 1%와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한국의 개인적 위험도 기준(Individual Risk Criteria)의 하한 값은 10-14세 사망률의 1%인 1.0E-06, 상한 값은 평균 사망률의 1%인 5.0E-5로 제안하였다. 사회적 위험도 기준(Societal Risk Criteria)은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사고에 대한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F-N Curve로 나타내며 기울기와 중심점을 선정하여야한다. 위험혐오를 나타내는 기울기는 행정안전부에서 실시한 ‘2017년 국민안전 체감도’를 이용하여 위험혐오수준을 설정하였다. 국민들은 사고의 크기보다 발생빈도가 높은 교통사고, 범죄와 같은 분야에 대해 더 위험하다고 체감하고 있었다. 즉, 우리나라의 위험혐오는 중립이므로, F-N Curve의 기울기는 –1로 설정하였다. 중심점은 기울기 –1을 가지는 국외사례(영국, 홍콩, 호주서부, 브라질)를 통해 개인적 위험도 기준과 1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사회적 위험도 기준의 관계를 통해 선정하였다. 홍콩을 제외한 3개국에서는 두 기준이 100배의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개인적 위험도(Individual Risk)는 지역적(지리적)위험도로 어떤 개인이 해당 지역에서 365일 24시간 야외에 위치하였을 경우의 위험도인 반면 사회적 위험도(Societal Risk)는 실제 인구가 거주하는 시간과 실내에 거주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정해지는 값이기 때문이다. 이를 참고하여 국내의 사회적 위험도 기준의 하한선은 F:5.0E-03, N:1, 기울기:-1, 상한선은 F:1.0E-04, N:1, 기울기:-1로 설정하였다. 택지 개발 시(Land used plan)시 해당 위험도 기준을 토대로 위험도 기준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물론 Safeti와 같은 전문적인 정량적 위험성평가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이 최선이지만 현재 국내도입에는 제한적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장외영향평가제도의 피해영향분석 프로그램인 KORA에 일정 보정계수를 통해 사회적 위험도(Societal Risk)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KORA의 안전성확보방안은 LOPA발생빈도 × ERPL-2값 영향범위 내 주민수를 이용한 것이라면 KORA의 사회적 위험도(Societal Risk) 평가방법은 OGP발생빈도 × AGEL-3값 영향범위 내 사망자수를 이용한 것이다. AGEL-3값은 10분, 30분, 60분에 해당하는 농도로 계산이 이루어지며 각 끝점(관심농도)별 영향범위 내 주민수에 25%, 7%, 3%의 보정계수를 이용하여 사망자수를 계산하고, 10명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시나리오에 대해서는 발생빈도를 1/10의 보정계수를 통해 보정하였다. 해당 보정계수는 Safeti와의 결과 비교를 통해 오차를 최소화하는 보정계수를 선정하였으며, 검증 시나리오를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형 위험도 기준 (Risk Criteria)을 제안하였고, KORA를 이용하여 사회적 위험도가 위험도 기준을 초과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는 장외영향평가 및 화학물질관리법의 활용방안 확대를 통해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착공 및 변경시 제출되는 장외영향평가서가 가지고 있는 사업장의 완화장치 설치를 유도하는 기존목적과 더불어 신규 택지 개발 시 택지의 계발여부, 사업장의 확장여부를 사회적 위험도 기준으로 평가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택지 개발 시 장외영향평가의 적용은 기존의 안전성확보방안이 정상적으로 완료가 되었을 경우에만 가능하다. 즉, 두 위험성평가 제도가 병행하여 실행된다면 사업장의 완화장치설치 유도와 더불어 확장되는 도심으로 생겨나는 문제를 해결하여 한국의 안전성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된다. We have so far allowed the establishment of chemical plants and the use of chemicals for the convenience of life, and this has led to a phase of a dangerous society. Moreover, the growing urban boundaries between residential and industrial areas are blurring, increasing people's risk in many areas. However, there is always a risk because chemical factories and chemicals cannot be removed from modern society. However, there is no limitless separation to protect people from this danger. This led to the need for Tolerance of Risk. In Europe, SEVESO-III states that land-use planing should be considered to limit accidents affecting human health, and countries use the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to establish and comply with risk criteria. For the first time in this study, a Korean Risk Criteria was developed, defining the extent to which it is Tolerance of Risk arising from chemical plants in Korea. The Individual Risk Criteria compared the risk criteria for each country with the mortality rates for each age in the United Kingdom, the Netherlands,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The lower limit of the nation's personal risk criterion was 1.0E-06 with 1% of the 10-14age death rate, and the upper limit was 5.0E-5with 1% of the average death rate. Social Risk Criteria are generally represented by F-N Curve and should select the slope and center point. The slope indicating Risk Aversion was established using the Public Safety and Security Ministry's 2017 Public Safety Sensitivity Index. People felt more dangerous in areas such as traffic accidents and crimes, which are more frequent than the size of accidents. In other words, the slope of the F-N Curve was set to –1 because the risk of Korea is neutral. The central point was select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Risk Criteria and social risk Criteria with one death through external cases with slope –1 (UK, Hong Kong, Australia West, Brazil). In three countries other than Hong Kong, the two criteria are 100 times different, as individual risk is regional (geographical) risk, which is the risk of an individual being outdoors 24 hours a day, 365 days in the area, while social risk takes into account the time the actual population resides and the time it resides indoors. For this reference, the lower limit of the domestic social risk criterion is set to F:5.0E-03, N:1, Slope:-1, and the upper limit is set to F:1.0E-04, N:1, Slope:-1. If a risk Criteria has been developed,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risk level exceeds the risk criterion is necessary using 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QRA). Of course, calculations can be made using professional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programs such as Safeti, but this study presented a method for assessing social risk through a certain correction factor to KORA, a program for analysis of off-site impact assessment systems. KORA's safety assurance measure is based on the number of residents within the influence range of the LOPA frequency × ERPL-2 values, whereas the KORA's social risk assessment method uses the number of deaths within the scope of the OGP frequency × AGEL-3 values. AGEL-3 values are calculated at concentrations corresponding to 10 minutes, 30 minutes and 60 minutes. The death toll was calculated using a correction factor of 25%, 7%, and 3% for each end point (concentration concentration) a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was corrected by a correction factor of 10 or more deaths. The correction factor was compared with Safeti to select a correction factor that minimizes errors and verified through a verification scenario. Through this study, the Korean Risk Criteria (Risk Criteria) were proposed, and a method was presented to determine whether social risks exceeded the risk criteria using KORA. It is expected that the existing purpose of inducing the establishment of mitigation devices at sites with over-the-counter impact assessment documents submitted when construction or modification of facilities for hazardous chemicals can be used for assessment based on the social risk level of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housing sites when new housing sites are issue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system, if implemented in parallel with the existing safety assurance measures, will help to ensure Korea's safety.

      • 피비 팔머의 제단신학과 목회적 적용

        서민수 성결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피비 팔머(Phoebe Walter C. Palmer, 1807-1874)는 19세기 미국의 유명한 부흥사, 저술가, 전도자, 그리고 성결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성결운동의 어머니였다. 감리교에서 자란 그녀는 미국의 19세기 말에 이르러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지도자가 되었다. 리차드 포스터(Richard J. Foster)는 그의 책 「생수의 강」(Stream of living Water)에서 “19세기 미국 기독교에서 팔머보다 더 깊은 영향력을 끼친 여자는 없을 것”이라고 평가하기까지 하였다. 대부분의 남성 전도자들로 주를 이루고 있던 시기에 그녀는 미국, 캐나다, 영국, 그리고 유럽 등지를 방문하여 캠프 집회를 통해 수천 명의 사람들을 회심시킬 뿐 아니라, 미국 기독교계에 있어 여성의 역할을 향상시키는 일을 감당하기도 했다. 특별히 그녀는 약 37년간 자신의 집을 개방하여 “화요성결집회”를 열었고, 이를 통해 수많은 신자들에게 성결의 경험을 체험하도록 도왔다. 또한 「성결의 길」(The Way of Holiness)과 같은 저서들을 집필하여 미국 내에 성결운동을 더욱 확산시키기도 하였다. 이러한 그녀의 성결운동의 행보 속에서 수많은 성결교파가 태동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성결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따라서 그녀는 성결운동의 대표 모델이자 “성결운동의 어머니”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고는 크게 대표적인 성결운동가인 팔머의 생애와 그녀의 신학을 조명 및 평가해 보고, 이를 오늘날 목회 현장 속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세부적으로 먼저, 팔머의 생애와 사역을 가급적 시대순으로 살펴볼 것이고 “제단신학”으로 언명되는 그녀의 신학을 집중적으로 연구해 볼 것이다. 그리고 그녀의 성화론과 존 웨슬리의 성화론을 비교해 봄으로써, 전적 성화에 대한 웨슬리의 교리를 팔머가 어떻게 수정 및 변경시켰는지 추적해 볼 것이다. 그 이후 팔머에 대한 제단신학의 공헌점(유용성)과 한계점을 각각 살펴보고, 끝으로 팔머의 제단신학을 오늘 날 목회 현장에 어떻게 접목할 수 있는지 그 대안과 방법을 모색해 보려고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단신학의 신학적 평가와 더불어 신학적 유산을 계승하고, 나아가 오늘 날의 성결운동을 위해 그녀의 제단신학과 성결운동 속에 적용 가능한 부분을 찾아 21세기 교회와 목회 현장 가운데 접목시키려는데 본 논고의 최종적인 목표가 있다. Phoebe Walter C. Palmer(1807-1874) was a famous revivalist, author, evangelist and also a mother of Holiness Movement who exerted a great influence on Holiness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th century. Having grown up as a Methodist, she became a most influential female leader in the United States in the late 19th century. In his book, Stream of Living Water Richard J. Foster went as far as to evaluate her by saying, "Probably no woman exerted deeper influence on American Christianity than Palmer in the 19th century.” In an era when most of the evangelists were male, she traveled throughout the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Canada, England and Europe. she not only helped thousands of people repent through camp meetings but also carried out the work of enhancing the role of women in American Christianity. Particularly, she held “Tuesday Holiness Meeting” for 37 years in her house, thereby helping countless number of believers experience holiness. Beside, she expanded Holiness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all the more by writing such as the Way of Holiness, etc. Lots of Holiness denominations were created through her works, which became an immense influence on Holiness Movement. Accordingly, we can say that she is both a representative model of Holiness Movement and “the mother of Holiness Movement.” This thesis is going to illuminate and evaluate the life and theology of Palmer who was a representative activist of holiness and then apply them to the pastoral field of today. For this purpose, this writer is first going to observe Palmer’s life chronologically in detail as much as possible and intensively study her theology called “Altar Theology.” Then, by comparing her theory of sanctification with that of John Wesley, this writer intends to trace how Palmer corrected or changed the theory of Wesley concerning total sanctification. Then he will observe the contributions(usefulness) and limitations of her altar theology by comparing her with John Wesley and then try to find out the alternatives on how we can graft them to the field of contemporary pastoral ministry. The final goal of this thesis is to evaluate and inherit theological legacies of the altar theology and to find out the applicable areas in her altar theology and holiness movement of today and then apply them to the 21st century churches and pastoral ministry fields for the sake of contemporary holiness movement.

      • 노인 낙상 관련 요인에 대한 운동중재 효과의 메타분석

        서민수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 낙상 예방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에 대해 연구한 문헌들을 수집 후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심리 및 신체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고찰을 실시한 후 국내 학술지 논문 총 35편을 선별하여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랜덤효과모형에 의해 분석된 노인 낙상 예방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의 전체 효과 크기는 .879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변인과 낙상 관련 체력 대한 운동 중재의 효과크기는 심리적 변인(ES=.858), 낙상 관련 체력(ES=.837)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변인의 하위요인에 따른 운동 중재의 효과크기는 낙상 예방 효능감(ES=1.019), 낙상공포(ES=.591)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낙상 관련 체력의 하위요인에 따른 운동 중재의 효과크기는 조정성(ES=1.068), 협응력(ES=.948), 근지구력(ES=.924), 근력(ES=.917), 심폐지구력(ES=.910)순으로 큰 효과크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운동내용(기간, 빈도, 시간)에 따른 운동 중재에 대하여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운동시간(β=.007, P<.05)과 운동기간(β=.044, P<.01)이 증가할수록 큰 운동중재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빈도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빈도의 구분에 따른 운동 중재의 효과크기를 하위그룹분석 결과, 3회(ES=.893), 5회(ES=.873)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s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functions of the elderly through meta-analysis. To this en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35 korea journal articles were selected and meta-analysis was perform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exercise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falls in the elderly analyzed by the random effect model was .879. Second, the size of the effect of exercise intervention on psychological variables and fall-related fitness was in the order of psychological variables (ES=.858) and fall-related fitness (ES=.837). Third, the effect size of exercise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variables was large in the order of the effect of preventing falls (ES=1.019) and the fear of falling (ES=.591). Fourth, the size of the effect of exercise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physical fitness related to falls is self-control of body (ES=1.068), coordination (ES=.948), muscular endurance (ES=.924), muscle strength (ES=.917), cardiovascular endurance (ES=.910). Fifth, as a result of meta-regression analysis on exercise intervention according to exercise content (period, frequency, time), exercise period (β=.044, P<.01) and time (β=.007, P<.05) The effect of exercise intervention increased as it increased, but the frequenc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subgroup analysis, the effect size of exercise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division was found to be the largest in the order of 3 times (ES=.893) and 5 times (ES=.87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