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정보보호시스템 평가·인증제도 개선을 위한 실증연구

        서경은 충북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정보의 가치가 증가됨에 따라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제품의 기능과 기술이 다양해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이를 표준화시킬 기준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 기준은 세계 공통평가기준이 된 CC (Common Criteria)인증이 되었다. 1993년, 6개국(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캐나다, 네덜란드)이 참가하여 CC를 개발하였다. 이는 평가기준의 조화를 통해 평가결과를 상호인정할 수 있게 되었고 보안요구사항의 유연성을 부여하였다. 또한 평가결과의 상호인정을 위한 골격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발전방향을 정립하고 기술적 평가의 차이를 해결하도록 하였다. 우리나라는 2006년, CCRA에 인증서 발행국으로 가입한 뒤, 현재까지 다양한 정보보호제품에 대하여 인증서를 발행하고 있다. 그러나 CC 기반의 평가인증 제도가 보안기능을 지는 IT제품 개발업체, 평가기관, 인증기관 등 한정된 기관에서 평가인증업무가 이루어지므로 그 내용이 널리 알려지지 못했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에서 CC 관련 논문과 인증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CC인증을 1회 이상 받은 기업들이 CC인증을 다시 획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인증획득의 동기, 인증의 필요성, 인증시 겪는 애로사항, 인증에 대한 만족도, 재인증 의사와 같이 5개의 변수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을 탐색적 모델을 설계하였으며 모델의 검증을 위해 CC인증을 1회 이상 획득한 업체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CC인증에 대한 만족과 애로사항들을 확인하여 CC인증이 개선되어야 할 점들을 파악하였다. In 1993, six countries(U.S., UK, France, Germany, Canada, the Netherlands) developed CC(Common Criteria). Through a combination of rating of CC evaluation results, it can be mutually acceptable and presented to establish the future direction of the technical evaluation. Korea, in 2006, registered to CCRA certificate authorities and has issued certification on a wide ranges information security products. However, evaluation system work based CC is done at limited agencies such as IT product development security companies, rating agencies. For this reason, relevant papers in the country and the CC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study of the problems and the lack of improvement. So, this study derived influencing factors to again acquiring CC certification from information security companies that have received CC certification at least once since CC certification was introduced in Korea. The five variables were derived such as motivation of certification, the need for certification, discomfort of CC certification, satisfaction of certification, decision on re-certification. Based on them, exploratory model was designed and verified. By checking satisfaction and complaints about CC, find improvements.

      •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 컨텐츠 설계방향에 관한 연구

        서경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55

        최근 급변하는 교육환경에 따라 교육활동을 뒷받침하는 학교도서관은 자료의 활용을 통하여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창조하는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의 실현을 위하여 학교도서관 이용자들이 네트워크 상에서 보다 편리하고 활발하게 학습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서관 웹 페이지를 설계하여 운영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의 효율적인 제작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학교도서관의 기본 목적인 학생 및 교직원 정보요구 만족과, 교수-학습 지원 및 독서지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웹 페이지의 기본적인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내외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국내 학교도서관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웹 페이지 컨텐츠 구성요소를 설정, 컨텐츠의 유형을 파악하고 그 설계방안을 사례와 이론적 근거를 통해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웹 페이지를 직접 탐색 이용하면서 관련사항에 대해 조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국내외 초등학교 26개, 중학교 30개, 고등학교 45개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를 정보내용 측면과 이용자의 편의를 위한 설계 측면으로 나누어 조사·분석하였다. 정보내용 측면에 대한 분석 요소로는, ① 도서관 이용안내, ② 온라인 목록(OPAC), ③ 독서지도, ④ 관련사이트 소개, ⑤ 정보서비스, ⑥ 교수-학습자료, ⑦ 도서부, ⑧ 게시판으로 정하였다. 또한 이용자의 편의를 위한 설계 분석 요소로는, ① 이용자와 시스템간의 대화 기능, ② 외국어 버전, ③ 길잡이 표시기능, ④ 그래픽 기능, ⑤ 최신성, ⑥ 화면 이동 기능, ⑦ 웹 페이지 이용 도움말로 정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제공되고 있는 정보내용은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고등학교 도서관으로 갈수록 메뉴의 항목수가 증가하였으며 충실도가 높아졌다. 그런데 독서지도 요소는 중학교 도서관 웹 페이지에서 가장 낮게 제공되고 있었다. 이용자 편의를 위한 설계 요소는 초등학교 도서관 웹 페이지에서 가장 충실하게 제공되고 있었다. 그러나 웹 페이지를 외국어로 제공하는 초·중·고등학교도서관 웹 페이지는 한 군데도 없었다. 한편 미국, 영국, 뉴질랜드, 일본의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와 조사, 비교한 결과 우리 나라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의 정보내용은 외국의 그것에 비해 정보서비스나 교수학습자료의 제공이 지극히 미비하였다. 이는 단기적인 실적위주와 권위주의적인 웹 페이지가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신뢰성, 책임성 여부보다 기술적, 기능적 측면과 시각적 요소에 강하게 치중한 나머지 실제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서비스를 외면하였기 때문에 생긴 결과로 분석되었다. 조사·분석 결과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가 갖추어야 할 설계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의 본래 목표인, 교수-학습자료 및 정보자료 제공과 독서활동 지원의 역할을 염두에 두고 구축하여야 한다. 둘째, 학교 웹 서버와 도서관 웹 서버의 자료가 제한적 교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도서관 웹 페이지의 세부항목에서 ‘뒤로’(back)와 ‘앞으로’(forward)의 키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도 하위 메뉴 버튼 사용이 용이해야 한다. 셋째, 시스템과 이용자간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담당하는 전자우편 주소가 있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 참여를 적극 유도할 수 있는 게시판 기능을 활용하여 단순히 시스템 사용에 대한 피드백 이외에 전자적인 참고봉사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웹 페이지의 수정, 갱신 날짜를 수록하여 이용자들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용자들이 수정된 날짜를 보고 자료의 최신성에 대해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도서관 웹 페이지에 대한 도움 서비스가 충실해야 한다. 웹 페이지 이용에 대한 도움말을 수록하고, 웹 탐색의 길잡이 표시 기능인 사이트 맵을 독립시켜 싣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사진정보, 그림정보, 음성정보 등의 다매체 정보를 제공하여 단순히 그래픽 기능만이 아닌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니고 그에 대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주문형 비디오나 CD-ROM 검색 기능의 제공도 필요하다. 일곱째, 최소한 도서관 이용 안내나 소개를 외국어로 준비하여 국제적으로도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덟째,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 구성에서 자관의 특성화는 필수적이며 다른 사이트와의 링크는 자관의 이용자 성격에 기초를 두어 결정한다. 또한 이용자들이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추가 예산이 필요하더라도 ‘yahoo’, ‘lycos’ ‘empas' 등과 같은 포털 사이트에 반드시 등록해 놓아야 한다. 아홉째, 도서관 웹 페이지의 활용을 통해 정보이용 교육의 효과까지 함께 거둘 수 있도록 정보이용 안내에 대한 기능이 포함되어야 한다. 끝으로,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에서 감당해야 하는 자료와 사용자 수가 늘어날 것을 감안하여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예산 및 관리업체의 확보가 필요하다. 웹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의 자료가 점차 방대해지면서 웹 시스템 속도가 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향후 대책을 마련해 놓아야 한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를 전문적으로 설계·운영·관리할 수 있도록 인력과 예산의 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전담사서교사 및 학교도서관 담당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현재의 상황으로 인하여 웹 페이지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운영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교육청, 지역사회 단체, 교사, 학부모, 학생 등 관련 기관 및 인적 자원의 지원과 협력을 통하여 효율적인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를 설계·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각 학교도서관에서 확보하고 있는 운영예산만으로는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를 설계·운영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 운영에 소용되는 예산은 학교 운영비에서 비용이 계획, 지출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물론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 구축 초기에는 정해진 예산의 범위를 초과하더라도 기본적인 장치를 마련할 수 있도록 책정해야 한다. 변화된 교육환경에서 학교도서관이 교육의 중심부로서 그 역할을 보다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웹 페이지의 특성을 활용하여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므로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의 운영은 단순히 새로운 기준을 도입하는 차원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학교도서관 전체의 기능과 운영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를 만드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며 기본적으로 전통적인 도서관 기능을 다 할 수 있도록 자료 및 제반 시설을 확충한 후에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cently educational environments have rapidly changed, school libraries supporting educational activities have also changed into a place producing information for learning by utilizing data. To cope with this change, library web pages should be designed and administered so that school library users can use learning materials on network more conveniently and actively.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repare basic data to make school library web pages effectively. The researcher surveyed and analyzed domestic and foreign school library web pages to understand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and suggested web page contents components applicable to the domestic school library environment and plans for application. As methodology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introduced 'heuristic research method', and surveyed and analyzed web pages of 101 domestic and foreign school libraries in view of the contents of information and the designs for users' convenience. As a result of survey, the contents of information provided in library increased in order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the web pages of elementary school library provided design components for users' convenience most sincerely. Compared to the web pages of foreign school library, those of domestic school library provided very inferior information services or teaching and learning data. The reason seemed that as records-focused and authoritative web pages existed a lot and strengthened their technological and functional aspects and visual components rather than their reliability and responsibility, resulting in that the information services actual users request were disregarded. As a result of survey and analysis,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information contents required in school library web pages; 1) introduction of library use, 2) data search (OPAC), 3) reading guidance, 4) introduction of related sites, 5) information services, 6) teaching and learning data, 7) library department and 8) bulletin board. In addition, the researcher proposed the designs for users' convenience required in school library web pages; 1) conversation function between user and system, 2) other language versions, 3) guidance display function, 4) graphic function, 5) multimedia function, 6) up-to-dateness, 7) screen movement function help function to use web pages. Suggestions to build school library web pages are as follows. First, they should focus on providing teaching and learning data as well as information data as the original purpose of school library and supporting reading activities. Second, a standard to create school library web pages should be developed urgently.

      • 현대미술에서 우주공간의 표현에 관한 연구 : 연구자의 도자설치작품을 중심으로

        서경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55

        이 연구(<주제: 현대미술에서 우주공간의 표현에 관한 연구>)는 도자설치작업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현대미술에 자리한 설치미술에 대한 이해의 척도를 마련하고자 한다. 미술과 일상과의 밀접한 연계성이 전통적이자 관념화된 경계와 그 요소들의 해체가 설치미술에 은닉되어 있다. 건축적 개념에서 유래한 설치개념과 우宇와 주宙가 합해진 우주개념이 어떠한 논리로 만나는지, 그 연구가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공간과 장소와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미술작품의 존재방식을 그 유형과 범주에서 고찰한다. 그 설치미술의 사례들이 미술작품의 공간과 오브제가 충돌해 발생한 복잡한 질서 즉 혼돈 속의 질서는 연구자의 우주공간 표현에 관한 해석의 근거를 제공한다. 회화, 조각, 건축, 도자 사이의 경계와 불안전한 영역의 모호성, 투쟁, 조정, 재정립 등 인식의 영역이 확장된다. 회화와 조각과 건축 속에 내재화된 질서들이 해체되거나 조정되고 재정립되는 것은 미술작품의 존재방식이 변한다는 것이다. 설치미술의 존재방식에 대한 분석은 우주와 우주공간 속의 질서 찾기 혹은 혼돈 속의 질서에 가깝게 다가가는 방법이다. 이 연구<(현대미술에서 우주공간의 표현에 관한 연구)>는 도자설치의 규범이나 혹은 범주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우주공간 속에 내재화된 복잡한 질서를 도자의 형태와 회화의 이미지를 혼합해 표현한 것에 초점을 맞춘다. 질서와 경계가 해체되면서 예술 장르 간의 영역들이 재정립되고 있다는 사실, 미술작품의 존재 방식이 역점을 달리하면서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이 설치미술의 특징이기도 하다. 우리의 일상적 삶이 표준화되면서 예술이 일상적 삶에 더 밀착된다. 현세의 인간들이 만든 문화적 산물로서 공간과 상황을 조정하는 설치미술에서 쿠사누스(Nicolas Cusanos)가 말하듯이 유니버즘은 원칙적으로 한계가 없고 개인적으로 무한정한 것이다. 따라서 설치미술은 오브제를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 수용의 주체를 정형화된 상황에서 해체한다. 현대의 설치미술에서 부상한 주관적 전환(subjektivst turn)이 우주공간을 관찰하는 행위자를 도자예술의 영역으로 유도하면서 도자작품의 제작방식과 유기적으로 묶인다.

      • 우주의 이미지를 주제로 한 도자조형연구

        서경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우주는 모든 것을 품고 있는 무한대의 공간이다. 우주 속에서 수많은 행성과 항성이 탄생하고 소멸하는 모습과 은하무리의 찬란한 불꽃과 성단 성운의 빛의 향연은 현대 예술의 표현 대상으로서 다양한 미적인 요소를 품고 있으며, 인문학과 철학에서는 인류의 존재의미를 우주에서 찾기도 한다. 우주 구성체들의 충돌과 변화의 모습들은 곧 인간의 갈등과 성장, 혼란의 정신세계와도 같다. 우주과학의 발전으로 인해 더 많은 것을 상상할 수 있는 우주는 꿈과 동경의 대상으로 무한한 예술적 탐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우주, 과학, 천문학자들의 추론에 다중우주론까지 등장함으로써 우주공간은 예술표현의 대상으로서 더 넓고 무한한 표현영역을 제공하고 있으며, 현대미술에서는 다양한 접근방식으로 우주의 이미지를 응용하고 있다. 예술탐구 대상으로서의 우주는 색채와 빛과 형태의 미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지구 위에서 벌어지는 인간 사회의 공동체 같은 상황들을 내용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요소들을 제공한다. 분열과 흩어짐, 응집과 결속 같이 동적인 변화의 모습들, 빅뱅을 통한 우주의 시작, 수억 개의 별을 품고 유영하는 은하 무리들의 변화 등을 주의 깊게 들여다보면, 이러한 양상들 속에서 인간 공동체 속 상황들과 유사한 일면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성단과 성운이 수명이 다하여 소멸하는 그 잔해로부터 새로운 신생별이 탄생하는 장면은 인간의 생사로 해석되어 도자예술뿐만 아니라 시문학과 다른 장르의 예술에서도 감성적이고 낭만적인 대상으로 이야기되고 있다. 설치미술이 성행하는 현대미술에서 창작대상으로의 우주는 전시 공간을 활용하여 은하무리와 성단의 회전과 운동성을 재현함으로써 관람객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설치작업은 도자예술의 창작에 있어서도 우주의 공간 이미지를 재현하는 새로운 작업이 될 수 있고, 그 안에서 큰 흐름과 회전에 합류하여 유영하듯이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고 우주와의 심리적 거리감을 좁힐 수 있다. 우리는 더 넓고 더 큰 세상으로 나아가기를 교육받는 이유를 잘 알고 있다. 그만큼 주어진 세상의 크기를 인식하는 것이 우리의 사고의 폭을 확장시키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고 본다면, 현실 속에 재현해낸 우주공간의 빛과 색채를 비롯해 팽창과 응집의 동적인 이미지를 설치미술의 형식으로 표현해 봄으로써 현실에 존재하는 나의 모습과 우주공간 안에 나의 모습을 인식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현실에 창작된 우주와의 정신적 교감은 현실과 우주에 걸쳐 있는 우리의 존재 근원을 사색하게 할 것이다. 상상과 마음으로 볼 수 있는 우주는 무한한 가능성을 품은 우리의 정신세계와도 같으며, 또한 거대한 우주로부터 작은 일을 바라보는 태도를 배울 수 있게 된다.

      • 특허 분쟁시스템이 기업의 특허전략에 미치는 영향 : 보상과 비용분석 중심으로

        서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839

        Through two essays,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the resolution of patent dispute between a patent holder and a firm before and after suing the patent infringement litigation. Many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patent holders’ choice in the analysis. In particular, most previous research on patent licenses and litigations set the decision-maker as patent holders. These studies have discussed the optimal process to maximize the profit of a patent holder on licenses and litigations when a firm demands patent license from him. However, in the real business environment, many patent holders, such as NPEs for the purpose of earning royalties, offer a license to a firm, and the firm decides whether or not to accept this offer. Therefore,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firm's choice of the patent license offer by the patentee in the license-litigation game between the patent holder and the firm. In this situation, the uncertainty of patent rights (patent validity) becomes a very important variable. In addition, this dissertation tries to reflex the complex proceedings of the patent infringement litigation. The first essay compares a firm’s selection whether or not accept the license offer of patent holder through the license-litigation game theory, under the introduction of willful infringement in an environment where the uncertainty of patent rights has not been resolved. In particular, the mixture of asymmetric information model and common information model according to the stage of litigation is introduced on information sharing. The patentee is an outsider of the industry.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accept a license, the firm should sequentially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willful infringement based on the likelihood of the patent holder winning the patent infringement litigation and the intention of the actual infringement from the information obtained during the license negotiation process. The results show that if there is a possibility of willful infringement, the risk on the litigation recognized by the firm increases, so that event the weak patent can be licensed. This could lead to worsening of consumer welfare due to a decrease of product quantity. The second essay empirically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both parties' choice to settle during the infringement litigation. With reference to the first essay model, we add variables to compare patent strategies of both parties, focusing on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litigation cost and validity of patents. Furthermore, we investigate the patent strategies on the result of litigation. The empirical analysis is conducted with two models. First, using a probit model, we estimate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litigation cost and expectation of litigation result. Furthermore, through panel FGLS analysis, the hypothesis for the patent strategies is estimated from the defendant’s point of view. The results of the estimates show that, in both models, the choice of settlement and judgment is affected by the cost of litigation and patent valid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robit model, the cost of litigation and patent validity affect the choice of settlement and judgment. In particular, the inclusion of reexamination patents, which can immediately verify the validity of patents after a lawsuit, has a positive effect on settlement, while the Markman Hearing process, which can remove the uncertainty of patent rights after the proceedings have been made to some extent, has a negative impact. In the analysis using panel data, variables related to strategies such as NPE, patents related to IT technologies, and simultaneous complaints were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Although high cost is required, the patent infringement litigation is not only a remedy for the infringement on the patent holder's rights, but also a process of providing legal stability by resolving, to some extent, the uncertainty of patent rights by legal judgment. The results show that if the patent validity is confirmed, licenses may be more advantageous in reducing social costs then litigation, but excessive suppression of patent infringement litigation may be avoided under the conditions of high uncertainty of patent right due to the poor registration proces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we explore the factors that can have a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n the filing and judgment of patent infringement litigation through the game theory and perform the empirical analysis from the viewpoint of legal economics. 본 학위논문은 두 개의 특허 에세이를 통해 특허침해소송 전후 협상과정에서 일어나는 특허권자와 기업 간의 라이선스-소송 선택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관련 연구 대다수는 특허권자를 분석의 중심에 두었다. 특히 특허 라이선스 및 소송 관련 기존 연구는 대체로 의사결정 중심을 특허권자로 설정하였고 라이선스를 원하는 기업이 제시하는 금전적 보상을 기준으로 특허권자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화해 또는 라이선스 선택 여부를 결정하는 논의들이다. 그러나 실제 비즈니스 환경에서는 로열티 수익을 목적으로 특허관리회사와 같은 특허권자가 기업에 로열티 지급을 조건으로 라이선스를 제안하고 라이선스 제안을 받은 기업이 이 제안을 수락할 것인지 아니면 거절하고 소송 대응을 준비할 것인지 결정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특허권자와 기업의 라이선스-소송 게임에서 특허권자가 제시하는 라이선스 제안에 대한 기업의 선택을 분석의 중심으로 두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특허권리의 불확실성 즉 특허의 무효 가능성이 매우 중요한 변수로 부각된다. 또한 법적권리가 유효함을 판단하는 복잡한 판결 절차와 소송 당사자에게만 판결의 효력이 있는 일반적인 민사소송과 달리 특허 무효성에 대한 판결 결과는 제3자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특성을 분석에 추가로 반영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 에세이는 특허 권리의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은 환경 하에서 고의침해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의 도입 시 특허권자의 라이선스 제안에 대한 기업의 선택을 라이선스-소송 게임이론을 통해 비교하였다. 특히 특허 소송에 대한 정보 공유는 소송의 단계에 따라 정보의 비대칭모형(Asymmetric Information Model)과 완전정보모형(Common Information Model)이 혼재된 형태로 도입하였으며 특허권자는 생산활동을 하지 않는 이종업계 종사자로 가정하였다. 기업은 라이선스 수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라이선스 협상 과정에서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특허 침해 소송에서 특허권자의 승소 가능성과 스스로 인지하고 있는 침해의 실질적 고의성을 기준으로 고의침해 판결 가능성을 순차적으로 판단한다. 고의침해 판결을 받을 가능성으로 인해 기업이 인식하는 특허침해소송 리스크가 극대화되어 낮은 유효성을 가진 특허에 대해서도 라이선스를 체결할 수 있으며 결국 이와 같은 라이선스 계약은 생산량의 감소로 이어져 소비자후생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보였다. 두 번째 에세이는 소송이 제기된 후 양 당사자가 소송의 중단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끼지는 요인을 실증 분석하였다. 첫번째 에세이의 모형을 참조하여 이산선택 모형인 프로빗 모형(Probit Model)을 통해 소송비용 및 특허의 유효성 판단에 영향을 주는 설명변수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프로빗 모형 추정을 통해 양 당사자의 소송비용 및 특허의 유효성 관련 변수가 화해 또는 판결의 가능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피고 기업이 가진 특허전략과 기업의 화해 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고자 패널 분석을 병행하였다. 기업이 가진 이질적인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피고 기준으로 패널데이터를 생성하여 실행 가능한 일반화된 최소자승법(Feasible Generalized Least Squares, FGLS) 분석을 각각 진행하여 추정값을 비교하여 전략과 관련된 가설을 검증하였다. 추정 결과 소송비용과 특허 유효성에 대한 예측 가능성은 화해의 선택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특히 소송 직후 특허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재심사 특허의 포함은 화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소송이 어느정도 진행되고 난 이후 특허 권리의 불확실성을 제거할 수 있는 마크만히어링(Markman Hearing) 과정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널분석에서 특허전략과 기업의 화해 정도의 상관관계는 특허관리전문회사(Non-Practicing Entity, NPE)가 제기한 소송, 동시제소, 정보통신 관련 특허 소송, 특허관리전문회사가 아시아기업을 제소한 경우 등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높은 비용이 소요되기는 하나 특허침해소송은 본연의 역할인 특허권자의 권리 침해의 구제 과정일 뿐만 아니라 특허권리의 불확실성을 법률적 판단으로 어느정도 해소하여 법적 안정성을 부여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특허권리의 유효성이 담보된다면 비용이 소요되는 소송보다 라이선스가 사회적 비용의 절감에서 유리할 수 있으나 등록 과정의 부실로 인해 특허 권리의 불확실성이 큰 환경 하에서는 특허침해소송 제기 및 판결의 지나친 억제는 지양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법경제학이 추구하는 효율적인 법률 시스템의 설계를 위해 특허침해 소송의 제기와 판결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인을 기존연구와는 다른 관점으로 게임이론 및 실증분석을 통해 탐색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TV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 연구 : 중국 내 대학교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서경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1839

        Teaching Spoken Korean through TV Drama - For Advanced Learners at Chinese Universities - This thesis focuses on Korean speaking education using TV drama for advanced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in China. These students can reach the advanced level o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but still do not have high speaking skills in Korean. Compared with Chinese students who are studying in Korea, these students are less exposed to a “real-life” Korean language environment. To remedy this type of limited exposure in the language environment, in my thesis, I propose teaching using TV drama as a solution. The dramas satisfy multiple needs, especially focused on aspects of spoken language. This thesis surveyed 57 students at 20 different Chinese universities, testing their ability in speaking. Based on the survey results, my thesis establishes advanced Korean teaching aims, extracts the teaching items, sets up a standard of TV drama which could be used for advanced spoken Korean teaching, and builds a model for a teaching course. Based on this model, I use the TV drama My Princess as an example to make a practical syllabus. Key words: spoken Korean, Korean education in China, Korean TV drama, advanced Korean learners

      • 피검자의 체 두께 변화가 골밀도 재현성에 미치는 영향과 정밀도 구현을 위한 방법에 관한 연구

        서경 高麗大學校 醫用科學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골밀도(BMD: bone mineral density)는 골다공증 진단 뿐 아니라 골절의 위험도를 판단하고 치료의 효과를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한 진단 자료이다. 1987년 국내에 이중에너지 X선 흡수측정법(DXA)이 도입된 이후 우수한 정확도와 정밀도, 짧은 검사시간, 적은 환자 피폭선량 등의 장점 때문에 현재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골밀도 측정법이다. 하지만, 피검자, 검사자 또는 골밀도측정기에 의해서 정확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저자는 피검자의 체두께 변화에 따른 BMD측정치의 변화 요소와 정도를 분석하고 Beam형식이 서로 다른 동일 회사의 제품 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형식이 서로 다른 DXA기종을 이용하여 본 실험을 실시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체 두께 중 배쪽 두께의 변화에 의해 BMD 측정치는 변화하므로 추적 검사 시 재고해야 할 요소이다 2. 체 두께 중 등쪽 두께의 변화에 의한 촬영 부위의 면적 변화는 미미하였으나 phantom에 의한 실험이므로 BMD 측정치의 변화 요인이 아니다라고 단정할 수 없다. 3. 골무기질량(BMC)이 일정하더라도 BMD 측정치는 체질구성비의 변화에 영향을 받으며 기종 간, Beam형식 간에도 차이가 생기므로 주의해야 할 요소이다. 4. 기종마다 특성과 자료선정기준이 달라서 BMD 측정치 차이가 생기므로 주의해야 하며 표준점검제도 도입으로 측정기의 신뢰도를 정기적으로 조사해야 한다. 5. 검사 시 피검자의 체두께 변화의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초기 검사 때 체 두께를 기록하고 관리해서 추적검사 때마다 체두께가 처음 검사 때와 동일하게 되도록 하여 측정하는 것이 좋다. 그러므로, 추적 검사를 위한 재검사 시 처음 첫 검사 때와 체두께를 최대한 같게 하여 측정하는 것이 재현성에 좋으며, 많은 종류의 서로 다른 DXA기종의 정밀도를 점검할 수 있는 표준 팬텀의 개발과 표준화된 정확도 검사기준을 통해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골밀도측정기의 유효성을 전반적으로 점검해 봐야 된다고 생각한다. Bone mineral density (BMD), which is used for determining the diagnosis of osteoporosis, the risk of osteoporotic fracture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is a very important diagnostic data. Since the introduction of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in 1987 in Korea, DEXA is used the most widely because of the advantages of superior accuracy, increased precision, short scanning time and reduced radiation dose. However accuracy errors can be occurred by several factors such as patient, operator and equipment. So to access the extent of accuracy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using the DXA model to analyze the elements and the changes of BMD measurements according to the body thickness variation if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the different beam types of the same company’s product. And the results were following: 1.The BMD value measurement is changed by the body thickness variation of ventral area. So the body thickness is a very important element on follow-up check. 2.The BMD value measurement is hardly changed by the body thickness variation of dorsal area. But I cannot confirm that is not a factor of BMD variation because this experiment carried out by the Lumbar phantom. 3.The value of BMD measurements is affected by the different company’s device and the different beam type. So the different model of DXA is a careful factor. 4.Because the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each model are different, it should note that the value of BMD measurements can be changed. So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should be investigated by standard checks on a regular basis. 5.In order to minimize the effects of the body thickness variation, the manager of equipment should records and manages the body thickness at the first BMD measurements of patient. And on every follow-up check, the same condition is recommended Therefore, if it is measured as same thickness as first, on every follow-up check, the reproducibility becomes good. To check the accuracy of many different types of DXA, it is developed the standard phantom and the standard testing. And then the effectiveness of DXA be used in domestic should be checked.

      • 연예 매니지먼트 산업 CEO의 특성과 경영 전략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경 建國大學校 2009 국내박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연예 매니지먼트 산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연예 매니지먼트 산업 CEO의 특성을 살펴보고 각 특성별로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연예 매니지먼트기업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연구이다. 연예산업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그 성장성이 날로 높아가고 있는 산업으로 문화와 결합하여 문화산업으로 그 위상이 날로 높아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IT의 급속한 발전과 강점을 토대로 국내 연예산업의 규모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관심도가 높아가고 있는 중요 산업이다. 커다란 관심도에 비추어 국내 대기업을 비롯한 거대 외국자본까지 국내의 연예산업에 뛰어들고 있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하지만 이러한 관심 증대와 외형적 발전에 비하여 내적으로 질 높고 체계화된 시스템이 부족하고, 전문적인 경영전략 및 고급인력이 부족한 현실이 국내 연예산업의 발전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저해 요인의 주된 이유 중의 하나는 과학적이고 예측 가능한 경영전략을 수립, 실행하기보다는 단지 CEO 및 소속 연예인 또는 매니저 몇몇의 과거 경험에 비추어 단순히 감에 의존한 경영을 해왔다는 것이다. 이러한 부작용으로 수많은 연예 매니지먼트 기업들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또 없어지고를 반복하고 있는데, 이러한 반복된 현상은 단순히 기업을 창업하고 운영하는 CEO의 개인적인 문제로 그치는 것이 아니고 연예산업 전반으로까지 그 여파가 미쳐 연예산업 전체의 성장을 가로막을 수 있다는데 더 큰 문제가 있다. 다른 산업도 사람이라는 요소가 그 산업의 중요 구성원의 하나이겠지만, 특히 연예 매니지먼트 산업은 그 특성상 가장 중요한 요소가 사람이다. 산업을 이끌어가는 매개체인 연예인과 그들을 처음부터 끝까지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매니저, 그리고 방송 및 공연 등의 프로젝트를 만드는 제작사, 나아가 연예 매니지먼트기업을 이끌어 가는 그 중심에 있는 CEO등 연예산업은 사람으로 시작해서 사람으로 끝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예산업을 떠받치고 있는 연예 매니지먼트 기업의 중요한 요소인 CEO의 특성과 차별화된 경영전략이 기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는 연구이다. CEO에 대한 연구는 타 산업을 대상으로는 그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연예산업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드물었고 기존의 연구도 실증분석을 통한 연구가 아니라 연예산업의 문제점을 이야기하고 개선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단편적인 연구들이 다수이다. 특히 본 연구는 CEO의 특성을 그 출신배경에 맞추어 연예인 출신, 매니저 출신, 전문경영인 출신으로 크게 3가지 배태적 환경으로 구분하였고, 각 배태적 환경이 연예 매니지먼트 기업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는 것이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연예매니지먼트기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실무적인 방안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The Entertainment industry has growing continuously in domestic as well as abroad. And combined with culture, that position is getting higher as in the Culture industry. Especially in case of Korea, that's a very important with the domestic entertainment industry scale is explosive increase and their interest is growing higher based on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But, In reality, the lack of high quality and systematic system and advanced management strategies and professional manpower compare with growing of interesting and physical development that were an obstruction of development of domestic entertainment industry. On this doctoral dissertation, studied about with workers who the entertainment 'Characteristic of CEO in the Entertainment Management Industry and Analysis of Business Strategy Influence on an Enterprise's Outcome'. The method of this research,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and business Strategy of the entertainment management business through theoretical insights and each CEOs' characteristics and business Strategy based on survey results and we investigated influence on an enterprise's outcom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ntertainment management industry and concentrate on make a complex way to get improvement in competitiveness compare to existing research was very simple that had discussed problems and then just studied about their improving way partially. In other words, CEO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from those Characteristic of backgrounds and separate 3 kinds of backgrounds that Artist, Manager, Professional Business Managers and then investigate each part what influence on business Strategy and Business Performance and proposed the way of raise the enterprise's outcome.

      • 이미지 表現을 위한 抽象表現主義 硏究 : 本人의 作品을 中心으로

        서경자 (徐敬子) 弘益大學校 美術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1839

        My recent artworks display an expansion of rendering sphere, which implies a combination of printing with painting in technique. That is, I have mainly produced by a copper plate printing technique, who seems to regard it as unsatisfied to remain in a single rendering technique. Of course, I once had demonstrated an attempt to combine with a rendering technique of painting in the previous works. At that time the artworks were a peculiar attempt by me who had been preoccupied by improvisation of the Abstract Expressionism, and had not intentionally designed in advance of the rendering contents to print, but left to the stream of his emotion. Figures in the pieces clearly explain my free improvisation, but it was to show images of the embossed figures generated by being pressed on the paper. This time I display artworks that dripping technique of the Abstract Expressionism is added to painting method to combine with techniques of two genres creates another mood on the canvas. Oval forms or curved lines like a band are very geometrical ones and produce a lyric atmosphere. As a result if the previous art style is very realistic, the art style of this time would be very abstract. From the outset, painting the ground of the canvas with a single color and embossing the geometrical forms as well as combining the spraying technique like dripping on it, the audience come to get very complicated images. From that context, my recent printings are regarded as being more inclined toward the painting. Now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forms and the ground of the work will be helpful for interpreting and understanding my artworks. The ground of the work comprises the basis of my self-consciousness, which at first begins with the unrestricted. I would like to call it ‘a lyric interpretation of self-consciousness through freedom and temperance.’ I yearn for freedom that does not be restricted to something. Also in the printings with biblical themes that I have shown in my initial stage there was my strong volition toward the absolute freedom. Such as artworks with a theme, 'Judging Others' proves such an aspect. ‘Freedom’ is one of most universal spiritual value that man pursues, but for me it is manifested in a form of combined with ‘the sublime.’ By that fact, in my works there gradually disappear concrete forms. Even though not mentioning a precept of Neo-classicism that ‘the dignified beauty is in its simplicity,’ the aesthetic value of my works seems to be in representation of its simplicity. Well, the eternal pursuit of dignified beauty results in the absence of rendering sphere. But as long as expression remains in man's most instinctive sphere, it becomes an inevitable choice in my works. Oval forms or curved lines like a band appearing in this works resemble the geometrical forms appearing in Wassily Kandinsky(1866-1944)'s abstraction, which is very simple. Woman's face, hands, gloves, etc. The previous works are very concrete and occupy the almost space of the canvas. But the geometrical forms this time simply occupy the very small space of the canvas. If so, there seems not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two. Yet in the works this time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she has sprayed dots over the entire canvas space by dripping technique. These dots never appeared in the artworks until now, which can be said as very peculiar, but is quite opposite with a logic of the pursuit of a simple representation. If so, in my opinion, the attempt of those dots can be a problem that has to be dealt with the general context of making the artwork. Thus the common characteristic appearing in both works is seen as a conflict that is generated between ‘not to represent’ and ‘to be represented.’ On the basis of smooth middle-toned in the canvas, there are embossed the simplified forms with primary colors such as red, blue, white, green, yellow colors, etc. are regarded as groping at the stream of the consciousness that ‘Freedom’ and ‘Temperance’ are harmonized. By the way, I see that dots that appear here rather destroy the frame of rendering consciousness so that I leave it as my next task. In closing, my recent artworks are seen as paying deep concern on dynamics or immediacy that is hard to be stressed in traditional technique of painting. It can be called another modern interpretation of printing technique. In particular, it is very noteworthy that my attempt to combine the attribute of the Abstract Expressionism called as a representative of modern art with my printing. My utilization of techniques such as improvisation or dripping seen at that art style are a key that makes the world of my printing lead to a new horizon. The subjective trend of modern art, that is, my attempt willing to view my own inner world more closely functions as an element that brings about activation in my paintings. 본 논문은 본인 작품의 경향과 표현적 특성을 추상 표현주의의 여러 기법에 나타난 특성과 비교 연구하였다. 추상 표현주의는 현대미술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제 2차 세계대전 이후에 강력하게 대두된 서정적 추상예술의 한 흐름으로서 이전의 추상미술과 초현실주의의 ‘자동기술법’에서 강한 영향을 받아 종전과는 다른 표현적 추상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추상 표현주의는 인간의 내적 정서, 내적 필연성이 배제된 기하학적 추상에서 추구한 색채와 형태의 엄격한 논리적 질서에 의해 화면을 기하학적으로 구축하는 지적, 합리적 형식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그 결과 작가의 내적 필연에 의해 보다 직접적이며, 직감적이고 직관적인 비정형의 예술세계를 추구하였다. 따라서 그것은 뜨거운 서정추상으로 인하여 인간의 내면세계를 주요 대상으로 하여 작가의 제스처에 의한 자동기술적인 표현을 특징으로 하는 표현주의 정신의 일면을 추구하였으며, 화면 위에서 자유분방한 창작태도로써 작가의 직관에 의한 액션의 의미를 부각시켰다. 그것은 자동기술법의 개념을 뛰어넘어 작가의 직관에 의한 존재론적 인식론과 화면에서 우연성의 자율적 현상에 대한 그 표현력에서 보다 직접적인 내적 이야기의 공감대를 형성하게 되었다. 연구자의 판화작품을 분석하기 위해 본론 부분인 제Ⅱ장 1. 본인 작품의 이론적 배경-추상 표현주의의 탄생에서는 추상 표현주의의 탄생과 전개양상을 고찰하였으며, 특히 추상 표현주의는 그 성격상 유럽의 입체주의, 초현실주의와 구성주의의 여러 특성들이 혼재해 있어서 그 성격을 한 마디로 규명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본인은 본 논문에서 본인의 작품의 성격을 규명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동기술법과 관련된 관점만을 골라 언급했다. 그러한 맥락을 상술(詳述)하기 위하여 제Ⅱ장 2. 추상 표현주의의 양상 부분에서는 1) 폴록의 드리핑 기법, 2) 드 쿠닝의 자발적 필법, 3) 고르키의 자동주의 기법 등만을 선택하여 논함으로써 본인 작품의 성격을 규명하는데 예비적 연구가 되도록 하였다. 제Ⅲ장에서는 본인 작품의 분석을 집중적으로 하였는데, 판화 작품의 제작을 통하여 생(生)에 대한 고찰이나 명상(冥想)과 같은 주제를 표현함에 있어서의 대표적인 방법론으로서 자동기술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그 자동기술법의 활용 방안들 중에서 액션 페인팅, 드리핑 기법과 기하학적 형태의 추구를 논의하였다. 제 Ⅳ장 결론에서는 추상 표현주의의 특성과 본인의 판화작품과의 연관된 요소들을 비교, 분석하고 그 미적 특성을 요약, 제시하였다. 또다른 측면으로서 본 논문이 본인 작품 전반의 표현적 특성을 추상 표현주의적인 관점으로 활용한 예들을 제시하는 가운데, 양자 사이의 장르적 차이에서 오는 결론상의 오류가 있을 수 있다는 점도 지적할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