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보드게임 활용 언플러그드 활동에서 나타나는 수학 교과 역량의 특성

        변정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소프트웨어는 우리 생활의 필수적인 요소가 되어 소프트웨어 교육 또한 그 중요성이 높아지게 되었다. 소프트웨어 교육은 컴퓨팅 사고력의 함양을 목적으로 한다. 컴퓨팅 사고력은 문제를 분해하고 해석하여 가장 효율적인 해결방안을 찾도록 하는 절차적 문제 해결력이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지식 중심의 교육이 아닌 역량 중심의 교육이 중시되고, 학문이나 교과의 분절적인 교육이 아닌 융합적인 교육이 중시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과 수학 교육이 역량 중심의 융합의 가능성과 방향성에 목적을 두고, 보드게임을 통한 언플러그드 활동에서 드러나는 수학 교과 역량을 연구하여 이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보드게임을 통한 언플러그드 활동에 반영된 컴퓨팅 사고력을 분석하고 이와 연관 지을 수 있는 수학 교과 역량을 분석하고, 실제로 초등학생에게 이러한 보드게임을 통한 언플러그드 활동을 투입했을 때 드러나는 수학 교과 역량의 특징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초등 수학 학습에서 언플러그드 활동을 역량 중심의 융합 가능성과 방향성에 대해서 논해보고자 한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보드게임을 활용한 언플러그드 활동 두 가지를 선정하여 그 활동에 반영된 컴퓨팅 사고력을 분석하고 이를 수학 교과 역량과 연결시켜 보았다. 그리고 초등학교 6학년 학생 5명에게 활동을 투입하여 동영상 녹화, 활동지 결과물 수집, 인터뷰의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자료를 분석하여 보드게임을 활용한 언플러그드 활동에서 수학 교과 역량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얻어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드게임 활용 언플러그드 활동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드러난 수학 교과 역량은 문제 해결과 추론, 그리고 의사소통이다. 둘째, 보드게임 활용 언플러그드 활동에서 정보 처리 역량은 드러나지 않았다. 셋째, 하나의 활동 장면 또는 하나의 활동 결과물에서 여러 수학 교과 역량이 복합적으로 드러난다. 넷째, 교사의 의도된 발문이나 제공되는 활동지에 따라 같은 활동이라도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수학 교과 역량의 질과 양이 달라질 수 있다. 다섯째, 경쟁형 보드게임보다 협력형 보드게임을 활용한 언플러그드 활동이 수학 교과 역량 중심의 학습에 더 효과적이다. 여섯째, 컴퓨팅 사고력과 수학 교과 역량이 서로 연관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컴퓨팅 사고력과 수학 교과 역량이 서로 연관성이 있어 소프트웨어 교육과 수학 교육이 역량 중심으로 융합한 교육의 가능성과 방향성을 시사하고 있다.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oftware became an essential element of our lives, and software education also increased its importance. Software education aims to cultivate Computational thinking. Computational thinking is a procedural problem-solving ability that decomposes and interprets problems to find the most efficient solution. As the times change, competency-oriented education, not knowledge-oriented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and convergent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not segmented education of studies or subjects. Therefore, in this study, software education and mathematics education aim at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competency-oriented convergence, and study the mathematics subject competencies revealed in unplugged activities through board games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is. The research problem is to analyze the computing thinking power reflected in the unplugged activities through board games, to analyze the mathematical subject competencies that can be associated with them, and to find ou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hematical subject competencies revealed when putting unplugged activities through board games in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is, We would like to discuss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competency-oriented convergence of unplugged activities in elementary mathematics learning.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first, two unplugged activities using board games were selected, and the computing thinking power reflected in the activities was analyzed, and this was linked to the math curriculum competency. In addition, activities were invested in five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collect data by recording videos, collecting results of activity papers, and interviewing them. In addition, by analyzing these data, we tried to find out how mathematical subject competencies are revealed in unplugged activities using board games.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prominent mathematical subject competencies in unplugged activities using board games are problem solving, reasoning, and communication. Seco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y was not revealed in the unplugged activity using board games. Third, several mathematical subject competencies are revealed in a single activity scene or in a single activity result. Fourth, the quality and amount of mathematics subject competency that appears in students may vary even in the same activity depending on the teacher's intended question or activity place provided. Fifth, unplugged activities using cooperative board games are more effective in learning than competitive board games. Sixth, it can be seen that computing thinking ability and mathematics subject competency are related to each other.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education in which software education and mathematics education are fused around competency as computing thinking skills and mathematics curriculum are related to each other.

      • 선생님 놀이가 분수부진아의 분수학습에 미치는 영향

        변정희 경인교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수학과 기초 학력 부진아의 비율이 가장 높다는 것을 감안하여 학력부진아들의 학력향상 및 정의적 태도의 긍정적 변화를 위한 수업방안으로 동료지도학습의 일종인 선생님 놀이를 진행 및 연구하였다. 이에 4학년 분수부진아 4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분수개념학습 영역인 전체-부분 관계, 분수양적개념, 동치분수, 분수의 용어, 분수의 연산 등 총 다섯 영역을 두고 선생님과 학생 역할을 교대로 하여 수업을 진행하도록 하였다. 선생님 놀이가 초등학교 4학년의 분수부진아에게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선생님 놀이가 분수부진아의 분수개념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선생님 놀이가 분수부진아의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선생님 놀이가 분수부진아의 수학에 대한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생님 놀이를 통해 분수부진아들의 분수개념학습능력이 향상되었다. 선생님 놀이 투입 전 100점 환산시 평균 43.3점에서 평균 77.1점으로 33.8점이 향상되었다. 또한 선생님 역할을 맡아서 수업한 총 12회의 수업 중 70%가 선생님 역할을 맡은 학생의 학습능력이 더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둘째, 선생님 놀이를 통한 연구대상자들의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은 선생님 놀이 활동 횟수를 거듭할수록 발문이 질적으로 향상되어 감을 알 수 있었다. 상대방 학생의 생각을 알아보려고 하는 발문을 하거나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발문을 하면서 수학적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선생님 놀이를 통해 연구 대상자들의 수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에 대한 태도를 수업참여, 과제집착력 및 의지, 자신감, 흥미와 관심 등 총 4개의 하위영역을 두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업참여에서는 77.2%가, 과제집착력 및 의지에서는 59%가 잘하였다는 결과가 나왔다. 자신감 및 흥미와 관심영역도 수업이 끝날 때마다 작성한 활동점검표를 보면 선생님 역할을 하면서 문항이 더 잘 이해가 되고 설명을 하고 난 뒤 상대방 학생이 이해를 하게 되었을 때 뿌듯함을 느낀다면서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보였다. 분수부진아를 대상으로 한 선생님 놀이에 대한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짝을 지어서 진행했던 선생님 놀이는 분수부진아들에게 분수개념학습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분수부진아들이 비록 부진아이지만 반드시 동료우수아로부터 설명을 듣지 않아도 스스로 설명해 보는 경험을 통해 학습능력이 향상되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둘째, 분수부진아들은 학습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대방 학생을 이해시키기 위한 발문이 많이 부족할 것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으나 선생님 놀이를 통한 발문의 질적 향상은 물론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되어 스스로의 학습능력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선생님 놀이는 분수부진아들의 수학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수업 참여에 대한 부분이나 자신감에 대한 부분에서 상당한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의 수를 충분히 확보하여 보다 일반적인 결론을 이끌어내길 희망한다. In view of the Korean students marking the highest percentage on underachieving in Mathematics and basic academic level, this research along with some educational games, a type of peer learning, were conducted in an attempt to bring forth positive changes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attitude. Hence, I selected four students who have been struggling with learning fraction as participants, and then proceeded the class on part-whole concepts, the quantitative concept of a fraction, equivalent fractions, fraction terms, and the operation of fractions, which are parts of learning fraction concept by alternating the roles of the teachers and the learners. I established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ducational games on the fourth graders who are underachievers in learning fraction. First, how do educational games affect the fraction underachievers in learning fraction? Second, how do educational games affect the fraction underachievers’ mathematic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ird, how do educational games affect the fraction underachiever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 games enhanced the fraction learning of the fraction underachievers. The average score rose from 43.3 to 77.1 out of 100 after administering the educational games. In addition, those who assumed the role of the teacher experienced more improvement in 70% of the total of 12 lessons than those who played the role of the student. Second, I found that regarding mathematic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participants’ questions improved qualitatively as the educational games were repeated. They seemed to share mathematical ideas by asking questions either to find out their peers’ thoughts or to know ‘why their peers think in certain ways. Third, I came to realize that the participants received positive effects on their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through the educational games. On this research, I analyzed the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under four sections: class participation, the motivation for tasks, confidence, and interests.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show a high performance 77.2% in class participation and 59% in the motivation for tasks. In the sections of confidence and interests, according to the evaluations written at the end of each lesson, the participants also experienced satisfaction as they were able to make their peers understood when teaching them by playing the role of the teacher. The implications of implementing the educational games for the fraction underachievers are organized as follows; First, pair work resulted in positive effects on the fraction underachievers’ learning. It is notable that the participants improved their academic competence by teaching others without the help of non-underachieving peers although they are underachievers in learning fraction. Second, it is natural to say that the fraction underachievers are likely to ask low quality questions since they have hard time catching up with the lessons. However, I noticed that the educational games created beneficial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question quality as well as mathematic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ird, the educational games produced advantageous effects on the underachievers’ attitudes towards Mathematics. This was greatly shown especially in the areas of confidence and participation in clas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not be generalized easily. Therefore, I hope I can obtain enough participants in further studies in order to draw more general results.

      • Syntactic Structure of (Pseudo-)Clefts : 영어의 분열문과 유사분열문의 통사 구조

        변정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명시적 의미’(specificational reading)를 가진 영어의 ‘분열문’(cleft)과 ‘유사분열문’(pseudo-cleft)의 통사 구조를 연구하여, 이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두 구조가 상이한 표면구조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계사 구조’(copula structure)의 특징을 보이므로, 계사의 의미 구조인 ‘소절’(small clause)을 기저 구조로 하고 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분열문과 유사분열문은 모두 ‘초점 요소’(focal element)와 ‘실존적 전제 요소’(existential presupposition element)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소절의 주어와 술어 위치에 기저 생성된다. 즉, 초점 요소는 의미적 주어 역할을 하여 소절 내에서 주어의 위치에, 실존적 전제 요소인 관계절은 동일하게 맥락상 ‘구 정보’(old information)를 나타내고, 이들은 소절 내에서 ‘술어’(predicate) 위치에 나타난다. 그러나, 명시적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서, 의미상 주어가 아닌 술어가 표면상의 주어로 나타나는 ‘술어 도치’(predicate inversion) 가 일어난다 (Mikkelsen 2005,den Dikken 2013, Patten 2012, Shlonsky & Rizzi 2016). 그 증거들로는 첫째, 초점 요소가 ‘명시적’(referential) 의미 구조를 가지는 반면, 관계절은 ‘비명시적’(non-referential) 의미 구조를 가진다는 점을 들 수 있다 (Mikkelsen 2005, Barros 2016). 둘째, 계사를 중심으로 한 두 요소의 어순이 유동적이며, 명시적 유사분열문이 역순을 보일 때 이들이 술어적 의미(predicational reading)를 보여준다는 점은 술어 도치의 중요한 근거가 된다 (Bošković 1997). 셋째, 이들이 종속절 내에서 반드시 ‘외현적 계사’(overt copula)를 수반한다는 점은 표면상 주어(surface subject)가 계사 동사를 가로질러 이동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 할 수 있다. 비명시적 요소가 명시적 요소를 가로질러 표면 주어 위치에 나타나게 되는 이유를 본 연구에서는 전제 요소의 ‘주제화’(topicalization)에 의한 이동으로 분석한다 (Bošković 1997, Mikkelsen 2005, Shlonsky & Rizzi 2016) 그러나 동일한 기저 구조에도 불구하고, 분열문과 유사분열문은 외현적인 차이를 보여준다. 유사 분열문에서는 관계절이 주어 위치에 나타나고 초점 요소가 계사를 뒤따르는 외적 구조를 가지는 것과는 달리, 분열문에서는 주어 위치에 대명사가 나타나고, 관계절은 문미에 ‘외치’(extraposition)된다. 그렇다면, 동일한 기저 구조를 가진 문장이 서로 다른 표면 구조를 가지게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표면 구조의 차이를 서로 다른 관계사절의 내부구조에서 기인한다고 주장한다. 유사 분열문의 관계사절은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이며, 이들은 선행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와 달리, 분열문의 관계절은 ‘한정 관계절’(restrictive relative clause)이며, 이들은 선행하는 명사와의 일치에 의하여 구체화되어 선행하는 초점 요소와의 일치를 보여준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일치가 완전하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 일치(partial agreement)를 보여준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 볼 때, 일치를 중재하는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유추하는 분석이 가능하다 (den Dikken 2013, Dékány 2010, Frascarelli & Ramaglia 2013).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분석을 뒷받침하는 예로 Meiteilon어를 제시하면서, 분열문에서 ‘총칭적 명사’(generic noun)가 선택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주장한다 (Bhattacharya & Devi 2004). 즉, 분열문에서의 관계사절의 선행사는 초점 요소가 아닌 총칭적 명사구임을 주장하면서, 이들이 영어에서는 분열 대명사 it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분석한다. 또한, 이 대명사는 관계절 대신 표면상 주어로 이동하여, 유사분열문과는 다른 표면 구조를 보여주게 된다. 본 논문은 동일한 기저 구조를 가진 영어의 분열문과 유사분열문이 ‘보문소구’(CP)가 아닌, ‘한정사구’(DP)의 관계절을 수반하며, 상이한 표면적 순서는 한정사구 관계절의 내부구조에서 기인한다고 주장한다. 분열문이 유사 분열문에서 관계절을 문장의 오른쪽으로 외치시킴으로써 분열문이 나타난다는 주장은 이전에도 있어왔다 (Akmajian 1970, Percus 1997). 그러나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분열 대명사가 분열 관계절의 의미적 선행사임을 주장하면서도 구체적인 통사적 도출에 충분하지 못했던 점을 고려하면, 본 논문에서는 명백한 통사적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이들의 의미적 관계를 통사적으로 설명하고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국어과 매체 문식성 향상 교육자료 개발 : 중학생을 중심으로

        변정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매체 환경과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매체 문식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교육자료를 개발하였다. 먼저, 매체 문식성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매체 문식성의 개념을 설정하였다. 문식성은 ‘문자 언어를 읽고 쓰는 능력’과 관련되어 이해되어 왔으므로, 매체 문식성을 ‘매체를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었다. 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정보를 만들어 공유하며 소비·협력할 수 있는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2.0이 개발되며, 다양한 맥락을 바탕으로 매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는 역량 또한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매체 문식성을 ‘매체에 접근하고, 맥락을 바탕으로 매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매체를 통해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이라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매체 문식성을 향상하기 위해 필요한 학습 요소를 설정하였다. 학습 요소에는 매체 특성 이해 및 활용, 사회·문화적 맥락 이해, 정보 검색과 선택, 비판적 분석과 평가, 의미 이해, 책임 있는 매체 이용, 자아표현, 정보의 공유와 협업이 있다. 이러한 학습 요소를 바탕으로 매체 문식성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 과정이 잘 구현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국어과 교육과정이 담당하고 있는 역할을 고찰하였다. 국어과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국어과에서는 매체 속 언어를 바탕으로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매체를 활용하여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역할을 맡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통해 매체 문식성을 기르기 위한 학습 요소가 반영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 매체의 표현 방법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평가에 대한 학습 내용이 구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매체를 둘러싼 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이해와 매체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평가와 관련된 학습 내용이 구현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제작한 영상을 공유하고 소통하는 학습활동으로 나아가게 하였으나, 소통하는 활동이 실제 매체 맥락과 괴리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선정한 학습 요소를 반영한 교육 자료를 개발하였다. 실제 매체 맥락를 구현하기 위해 구글 드라이브를 활용하였으며, 모둠별 협력학습으로 계획하였다. 수업의 단계는 탐구 – 태도 – 활용으로 구성하였다. 자신의 매체 생활을 성찰하고 올바른 태도를 갖추기 위해서는 매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매체 특성에 대한 ‘탐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탐구를 바탕으로 자신의 매체 생활을 성찰하고, 매체 활용 과정에서 일어나는 문제점과 원인을 파악할 수 있도록 ‘태도’ 단계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매체에 대한 탐구와 바람직한 태도를 바탕으로 직접 매체를 ‘활용’해보는 단계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매체 환경에서 필요한 매체 문식성을 신장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는 의미를 갖는다. 향후 학습자를 대상으로 매체 문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제 수업을 하는 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일본 애니메이션의 해외진출 전략 연구

        변정희 성균관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Animation has developed from the beginning of the video industry and it always has taken the important position. Especially in the present video industry, animation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than any other times. In the market of Japan, you get to have access to the characters and many other related things of an animation things of an animation before it hits the screen. The secondary profits of an animation has long surpassed those of the production itself. This trend has helped the Japanese animation to acquire more recognition in the international stage and attract more capital. The Japanese animations market targets the whole people of the world and thus is limitless in its potential of growth. In fact, many countries have invested in animations and various experimental works for many years now, realizing how great the marketability and industrial value it has. Therefore this essay shows the strategy for foreign marketing of Japanese animation. "ChapterⅢ" shows the history and the present state of Japanese animation industry. It also explain concept of animation and character of Japanese animation industry. "ChapterⅣ" explains Business Model of main Japanese animation company. In Case, "Chapter Ⅴ" Shows the proecss of export and marketing a certain movie to be known for the public. How <Spirited Away> had applied to marketing know-how for U.S Animation market circumstances in actual marketing cases compared to those in Japan. Also, The Chapter tell us the meaning of <Spirited Away> in overseas animation industry and the consequence of theatrical success and revenue of character product.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achieve summary of process of acquisition and marketing process of Japanese animation, Which has never done before. Also it presents the possibiliby of Japanese style marketing strategy and technique this kinds of successful case.

      • 企業 組織形態의 選擇에 있어서 組稅負擔이 미치는 效果分析 : 소규모 기업을 중심으로

        변정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우리나라 사업자들이 기업 조직형태를 선택함에 있어서 조세부담이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사업자들이 현행세법상 선택할 수 있는 법적 조직형태는 일반적으로 개인기업과 법인기업으로 나눌 수 있다. 대규모 기업은 소유와 경영의 분리, 상장 및 코스닥등록, 자금조달, 유한책임 등 법인기업 형태의 제반이점을 활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대기업들이 개인기업으로 전환하기는 어렵다. 그리고 법인기업은 급여를 손금으로 산입하는 반면 개인기업에게는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본 논문은 법인기업의 실효세율 계산시 근로소득을 감안하여 분석하였다. 조세제도가 공평할 경우에 법인기업이던 개인기업이던 동일한 수입금액으로 동일한 이익을 보았다면 조세부담액은 차이가 없어야 한다. 조직형태 선택에 있어서 조세부담이 영향을 미치게 되면 자원배분의 왜곡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현행세법상 개인기업과 법인기업에 대하여 과세방법이 서로 달라 조세부담에는 차이가 있으며 이것은 조직형태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조직형태의 선택에 있어서 조세부담이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조직형태의 선택도 외부의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지 않고 결국 사업자 자신 스스로의 의사결정에 의하여 선택되므로 자기선택모형에 의거 조세부담이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위와 같은 사항을 규명하기 위하여 전국의 세무대리인 200명에게 직접방문하거나 우편으로 소규모 기업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개인기업의 과세미달자, 간이과세자 그리고 법인기업 중 적자법인기업을 제외시켰다. 이렇게 해서 최종적으로 추출된 업체수는 2007년과 2009년에 각각 250개의 개인기업과 200개의 법인기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증분석 결과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순프로빗모형을 이용한 분석에서 변수로 나이, 성, 독과점여부, 유효세율, 총소득, 총자산, 총매출액, 총부채를 독립변수로 하여 분석한 결과 소득이나 자산이 클수록 법인기업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효세율의 경우 개인기업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나이, 성, 매출액, 부채는 조직형태 선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자기선택모형을 이용한 분석에서는 종속변수를 조직형태로하고 유효세율추정치의 차이를 독립변수로 하여 추정하였다. 세율차이의 추정치는 2007년에 부(-)의 값으로 나타났고 2009년의 세율차이의 추정치는 정(+)의 값으로 나타났다. 2007년의 결과는 일반적인 예측과 상반된다. 세법개정후인 2009년은 개인기업의 유효세율이 법인기업의 유효세율보다 커질수록 조직형태의 선택에서 법인기업을 선택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규모기업의 경우 조세정책의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법인기업과 마찬가지로 개인기업의 경우에도 사업전업자에게는 급여를 필요경비로 공제해 주는 조세정책이 필요하다. 법인기업의 경우 대기업의 최대주주라 할지라도 근로소득의 혜택을 받고 있다. 그러나 개인기업을 영위하는 사업자는 근로소득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조세제도의 공평성에 반한다. 둘째, 첫 번째 제도가 도입되어 개인기업과 법인기업간의 조세부담을 어느정도 공평하게된 후 일정한 소규모 법인기업은 법적 · 사업적으로 주식회사의 장점을 살리면서 과세목적상으로는 법인세가 아닌 개인소득세로 신고할 수 있도록 하는 조세정책이 필요하다. 이러한 두 가지 제도를 도입한다면 조세부담은 조직형태 선택에 있어서 주요한 요인이 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조세는 자원배분을 왜곡시키지 않고 조직형태의 선택에 중립적 위치에 있게 될 것이다.

      • 유아교육기관의 교통안전교육 실태와 요구도에 대한 연구

        변정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교통안전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태도, 횟수, 시간, 교육시기, 수업방법, 내용, 자료의 보유 실태, 외부자원의 형태, 교사연수 경험 등을 조사하여 전반적인 실태와 교통안전교육에 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요구도를 조사하여 보다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교통안전교육을 모색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교통안전에 대한 지식정도는 어떠한가? 1-1.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교통안전에 대한 지식정도는 교육기관, 교사의 경력 및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통안전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3.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이 요구하는 교통안전교육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21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들을 참고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2.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증과 ANOVA 검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통안전에 대한 교사들의 지식 정도는 100점 만점에 평균 74.50, 표준편차는 9.74로 나타났으며, 교통안전에 대한 교사들의 지식은 교육기관, 경력, 학력별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교통안전교육 실태에서 교통안전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태도는 '매우 중요시한다(66.0%), 교통안전교육의 횟수는 '1달에 1~2회 정도'(40.0%), 연간 교통안전교육 시간은 '10시간미만'(43.4%), 교통안전교육의 교육 시기는 '수업 시간에'(58.5%), 교통안전교육의 수업방법은 '유아 참여 활동'(42.5%), 교통안전교육의 내용은 '길을 건널 때의 안전'(69.8%), 교통안전교육 자료의 보유 실태는 '그림 자료'(82.1%), 교통안전교육에 활용하는 외부자원의 형태는 '교통안전교육 실습장 견학'(65.6%), 교통안전교육과 관련된 교사연수 경험은 '없다'(59.4%)가 가장 많이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통안전교육에 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요구도 에서 교사가 본 교통안전교육의 적절한 횟수는 1달에 1~2회 정도(42.9%), 교사가 본 적절한 교통안전교육 시간은 10~19시간 정도(39.2%), 교사가 본 적절한 교통안전교육 시기는 수업 시간에(50.9%), 교사가 본 가장 효과적인 교통안전교육의 수업방법은 유아 참여 활동(55.7%), 교사가 본 가장 중요한 교통안전교육의 내용은 길을 건널 때의 안전(73.6%), 교사가 본 가장 유용한 교통안전교육의 교수 매체는 모의 시설물(74.5%), 교사가 본 가장 유용한 교통안전교육과 관련된 외부자원의 형태는 교통안전교육 실습장 견학(77.8%), 교사가 필요로 하는 교통안전교육에 대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은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교통안전교육프로그램 workshop(86.3%)의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통안전교육의 횟수는 실제 실시되고 있는 횟수가 1달에 1~2회 정도와 1년에 5회 이하가 전체의 74.0%를 차지한 것과는 다르게 유아교사들이 요구하는 적절한 횟수로서 1달에 1~2회 정도와 1주일에 1~2회 정도가 78.8%를 차지해 좀 더 교통안전교육의 실시 횟수를 늘릴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었으며, 교통안전교육 시간은 실태 조사에서는 10시간미만이 43.4%를 차지해 가장 높았으나, 유아교사가 바라본 적절한 연간 교통안전 교육 시간으로 10~19시간 정도에 39.2%로 가장 높게 응답해 더 많은 교육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유아 교사들이 느끼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교통안전교육 시기는 실제 실시하고 있는 시기로 가장 높게 응답했던 '수업 시간에'가 58.5%에서 적절한 교육 실시시기에 대한 응답에서는 50.9%로 낮아진 반면, '등·하원 지도시가 33.5%에서 47.7%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통안전교육의 수업방법은 실태조사에서는 유아 참여 활동이 42.5%를 차지했으나, 유아교사들이 바라본 가장 효과적인 교통안전교육의 수업방법으로 55.7%를 차지해 가장 높은 응답을 얻었다. 다른 한편 모의 시설 활용은 실제 실시하고 있는 교통안전 교육방법에서는 8.5%를 차지했으나, 유아교사들이 바라본 가장 효과적인 교통안전교육의 수업방법에서는 33.5%를 차지해 적극적인 설비 확충과 활용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강의의 경우, 15.5%에서 0%로 응답해 교통안전 교육의 수업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음을 시사해 주었다. 또한 교통안전교육의 내용은 실태조사와 요구도의 결과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주차장 근처나 차도에서의 안전에 대한 결과는 실태조사에서 2.8%의 응답을 얻었던 것에 비해 요구도에서는 7.5%로 높아졌다. 이것은 '주차장 근처나 차도에서의 안전'에 대한 실제 지도가 유아교육기관에서 어려운 반면, 현재 생활에서 중요할 것으로 교사들이 인식한 것으로 생각되며, 교통안전교육의 교수 매체는 가장 낮은 보유 실태를 보였던 모의 시설물이 가장 유용한 교수 매체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것은 교수 매체의 적절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평가된다. 교통안전교육과 관련된 외부자원의 형태는 교통안전교육 실습장 견학이 실제 주로 활용되고 있는 방법 일뿐만 아니라 가장 유용한 자원 형태로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ward a better practical and effective traffic safety education from the analysis of the teachers' demands for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traffic safet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It was done by investigating teachers' attitude on the necessity of traffic safety education, the frequency, hour, time, method, and contents of traffic safety education, and the retaining materials, external resource types, and teachers' study and training experience in traffic safety education. The following subjects were presente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above. 1. What are the levels of traffic safety knowledge of teachers who are engag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1-1. How are they differently depending on variables such as the teacher' center types, employment careers, and education backgrounds? 2. How are the actual conditions of traffic safety education execut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 3. What are traffic safety education for which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demand? In order to study the above subjects, questionnaire data from a sample of 221 teachers engag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were used.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 percentage, means, standard deviation, t-tests, and ANOVA-tes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knowledge of traffic safety was evaluated as follows: the means was 74.50,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9.74. It didn't depend on the teachers' center types, employment careers, and education backgrounds. Second, the actual conditions of traffic safety education were summarized as follows with items which got the most large portion of responses : 'very important'(66.0%) for teachers' attitude on the necessity of traffic safety education, '1 to 2 times a month'(40.0%) for the execution frequency of traffic safety education, 'less than 10 hours'(43.3%) for annual traffic safety education hour, 'at school hour'(58.5%) for traffic safety education time, 'infant participation activity'(42.5%) for traffic safety education method, 'when crossing'(69.8%) for traffic safety education contents, 'pictures'(82.1%) for traffic safety education materials, 'a field trip to the traffic safety education practice centers'(65.6%) for external resource types used in traffic safety education, 'not'(59.4%) for teachers' study and training experience related to traffic safety education. Third, teachers' needs of traffic safety education are as follows: '1 to 2 times a moth'(42.9%) for the execution frequency of traffic safety education, '10 - 19 hour'(39.2%) for the appropriate annual traffic safety education hour , 'at school hour'(50.9%) for the appropriate traffic safety education time, 'infant participation activity'(55.7%) regarding the most effective traffic safety education method, 'when crossing'(73.6%) for the most important traffic safety education contents, 'a mock facility'(74.5%) for the most useful instruction medium in traffic safety education , ' a field trip to traffic safety education practice centers'(77.8%) for the most useful external resource type used in traffic safety education , ' a traffic safety education workshop for children'(86.3%) for the most useful study and training program for which teachers have need. Fourth,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actual conditions and teachers' demands. For the execution frequency of traffic safety education, teachers think that it should be performed 1 to 2 times a month or a week instead of 1 to 2 times a month or 5 times a year. It indicates that it need to increase. Teachers think of the appropriate annual traffic safety education hour as 10~19 hours instead of less than 10 hours in the actual condition. It also indicates that it need to increase. Regarding the appropriate traffic safety education time, 'at school time' is considered as the most appropriate time in both actual condition and teachers' demand, but the second 'when instruction on children's way to school/home' in the teachers' demand become important relatively. Concerning traffic safety education methods, 'mock facilities' become more important in teachers' demand than in the actual condition. It indicates that it need to invest in such equipments more and use them positively. But, Lecture become less important in teachers' demand than in the actual condition. Also, traffic safety education contents in teachers' demand are not different from them in the actual conditions. The importance of ' safety near parking lots or roads' in traffic safety education contents became higher in teachers' demand(7.5%) than in the actual conditions(2.8%). while It is not easy to instruct children on ' safety near parking lots or roads' in kindergartens or daycare centers, teachers recognize it is important in real life. Regarding The traffic safety instruction medium, while mock facilities is the last thing that is possesed by kindergartens or daycare centers, teachers recoginize it to be the most useful medium for the traffic safety education. so, it need to support instruction media. Finally, Concerning external resource types related to traffic safety education, ' a field trip to the traffic safety education practice centers' is the most useful external resource type both in teachers' demand and in the actual condition.

      • 중장년 학습자의 교육 참여 동기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참여 활동의 매개효과

        변정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learner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education and successful ag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does middle-aged learner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education affect successful aging? Second, does middle-aged learner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education affect the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learner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education and successful aging, do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have a mediating effect? To solve such problems,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education, successful aging, and the concepts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that correspon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firm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 significant result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were examine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learners who take courses from middle-aged support organizations in Seoul for the empirical verification of the study. A total of 300 online and offlin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80 copies were collected; a total of 243 copies were used for the actual analysis, excluding 31 questionnaire response data that said they did not have children and six copies that responded insincerely.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iddle-aged learner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education positively affected successful aging. Second, the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of middle-aged learners had a positive impact on successful aging. Third, it confirmed that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education and successful aging.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educational opportunities that reflect the types of middle-aged learner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education. In the education field,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the types of middle-aged learner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education and increase the educational effect after understanding learners’ tendencies and learning goals based on it. Second, it needs a method to expand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educatio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successful aging to middle-aged learners, which focused only on the elders; and to increase life-changing education for middle-aged adults in this aging society. Preparation for successful aging and the necessity for support education should expand to middle-aged people to extend the preparation period for successful aging; it requires policy support for them. Thir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re an essential element to middle-aged people who need to prepare for their successful aging. Middle-aged people are in a period where their quantity and quality of social networks decrease after or near their retirement. Educational programs linked to community activities in the local community should be provided rather than a one-time class. It is crucial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learning in educ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oposes active learning supports - create a life-changing education for middle-aged participants, build a learning environment o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contribute positive and continuous activities for successful aging to design a vibrant and prosperous retirement.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ements in the life-changing preparation of middle-aged learners and enhance the outcome of support organizations. 이 연구의 목적은 중장년 학습자의 교육 참여 동기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와 사회참여 활동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장년 학습자의 교육 참여 동기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중장년 학습자의 교육 참여 동기가 사회참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중장년 학습자의 교육 참여 동기와 성공적 노화 간의 관계에서 사회참여 활동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교육 참여 동기, 성공적 노화, 사회참여 활동에 대한 개념을 확인하고 변인 간 관계에 따른 유의미한 결과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실증적인 검증을 위하여 서울시 중장년지원기관의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0부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지를 배부하여 280부를 회수하여 자녀가 없다고 밝힌 31부의 설문 응답 자료와 불성실하게 응답한 6부 제외하고 총 243부를 실제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중장년 학습자의 교육 참여 동기는 성공적 노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장년 학습자의 사회참여 활동은 성공적 노화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참여 활동은 교육 참여 동기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를 부분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장년의 교육 참여 동기 유형을 반영한 다양한 교육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교육현장에서는 중장년 학습자의 참여 동기 유형을 세부적으로 구분하고 이에 기반하여 학습자의 성향 및 학습목표를 파악 후 교육효과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노인에게만 집중되었던 교육 참여 동기, 사회참여 활동, 성공적 노화를 중장년 학습자에게 확대하고 고령화 사회에서 중장년 생애전환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성공적 노화에 대한 준비와 지원 교육의 필요성을 중장년에게까지 확장하여 성공적 노화의 준비기간을 연장하고,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셋째, 사회참여 활동은 성공적 노화를 대비해야 할 중장년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중장년은 사회적으로 은퇴하였거나 은퇴를 앞두고 사회적 네트워크의 양과 질이 낮아지는 시기이다. 일회적인 교육보다는 지역사회 내 커뮤니티 활동 등과 연계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교육에서의 배움과 사회참여 활동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중장년지원 정책을 지원하는 현장에서 중장년 참여자의 생애전환 교육과 사회참여 활동에 관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며 성공적 노화에 대한 긍정적이고 지속적 활동을 지원하여 활기차고 성공적인 노후를 설계 할 수 있도록 기여하는 적극적인 학습 지원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중장년 학습자의 생애전환 준비도 향상과 지원기관의 성과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