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레이스로 표현된 내적갈등과 치유과정의 시각화

        백혜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Life is a form of endurance. Life challenges us “to live on” through all the adversities it puts forth. My artistic research is based on self-reflection with the following questions in mind: “How am I handling life?” “Am I happy in it?” “What are the challenges I face?” Each person faces unique life challenges, however, no one is free from the struggle of overcoming them. My view of life is that endurance of the pain in life is not only part of living, but also gives strength “to live on.” Therefore, the central motive of the imageries in my work are “difficult moments” of life. For a long time, my mind has been an entanglement of painful past memories, present anxiety, and future uncertainty. At the core of my artistic research is an attempt to find a fundamental solution to such internal struggle of the mind.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ets of art is its commitment to truth. In search of my true self, I strived to visualize all the abstract thoughts and feelings that are entrapped in my mind. I approached this process of visual documentation as if I was writing a diary, because facing and expressing one’s internal agony is the first step of mental recovery. Though such self-testimonial process, I entered my path of healing. However, in the process I had to face another aspect of art, which is that art is not only a visual documentation, but also a form of communication. Art that exists only for self-reflection and denies public presence is not art. In order to reconcile this conflict, I encrypted the extremely personal visual narrative inside an intricately patterned lace design. The viewer’s attention is diverted even further through the illusion created by photorealistic depiction of the lace. From afar, it looks like a beautiful lace hanging on a canvas. However, as one gets closer, one first realizes that it is a painting of a lace and not an actual lace. Then, one begins to see how the visual narrative inside the lace contradicts the initial beauty one experienced initially. This effect is an accurate reflection of the nature of lace, which has a potential to display different aesthetics as a whole and in parts. Consequently, lace is also a metaphor for myself as someone who is willing to share my truth, and an essential tool to protect my mental wellbeing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through my art. The paradoxical nature of lace can be mirrored onto life at large. Every life appears to be beautiful on the surface. However, with a closer attention, one begins to discover different forms of suffering that permeates all life. As I stated in the beginning, I believe that the pains we endure make us stronger, which is accordingly reflected in my art. The lace is painted through an accumulation of endless repetition of short brush strokes. My current artistic research is based on what I initially experienced in the process, which is a particular shift in the state of my body, spirit, and mind. Visualizing one’s internal problems through the repeated gestures of the unconscious, at first brings oneself closer to the suppressed memories and feelings. But at last, it ultimately transports oneself into a state of “no thought,” an absolute state of nothingness. The unconscious repetition of brush strokes involved in my work not only generates a healing process, but also exists as a form of physical labor. This bodily activity allows the mind to forget about the painful internal struggles of the past and the present. In exchange, the weight of the life’s suffering is transferred from the mind onto the body without resistance. Based on my motto of “No pain, no gain,” I embrace and endure the physical pain as a way to reach the freedom of the mind. My artistic research begins by opening up the personal scars of my life. And through a long and dedicated process of physical endurance, I am able to reach a true peace of mind. Furthermore, by approaching my artistic practice as a form of mediation through self-reflection and self-awareness, I am able to heal, regenerate, and most importantly, prove how it can become an invaluable basis for creating a work of art. ‘삶’, ‘인생’이란 사는 일,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 일을 말한다. 본인은 자신에게 ‘나의 삶은 어떠한가?’, ‘나는 지금 행복한가?’, ‘나를 힘들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꾸준히 질문을 해오면서 자신의 삶에 대한 고찰에서부터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삶을 살아가면서 우리는 다사다난한 많은 일들을 경험하게 되는데 아마 누구도 인생의 시련을 피할 수 있는 이는 없을 것이다. 본인은 삶의 시련을 겪고 고비를 넘길 때마다 그 과정은 자신을 한층 성숙하게 하고, 살아가는데 강한 힘을 길러준다는 인생관을 가지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살면서 맞닥뜨리게 되는 ‘힘든 순간’을 작업의 모티브로 삼았다. 평소 머릿속에는 상처가 된 과거의 기억, 현재의 상황, 불안정함, 미래의 걱정은 엉켜있는 실처럼 다가온다. 그 힘든 순간들은 심리적 불안상태를 형성하게 되고, 본인은 이러한 내적문제를 근본적으로 찾아야겠다는 문제의식을 갖는다. 그리고 본인은‘작업 앞에서 얼마나 진실한가.’, ‘나를 온전히 다 드러내고 있는가.’를 바탕으로 예술의‘진정성’에 큰 가치를 두기 때문에 내적문제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솔직하게 드러내려 하였다. 진정한 자아를 찾기 위한 과정으로 머릿속 복잡한 추상의 것을 끄집어내어 형상화한다. 이것은 누구도 보지 않는 자신에게 털어 놓는 이야기이기에 더 솔직하게 일기를 쓰듯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을 기록할 수 있다는 것은 고통에 도망 다니지 않고 문제에 당당히 직면하는 것으로써 치유의 시작이 된다. 이렇게 머릿속‘엉킨 실’들은 본인의 손으로 ‘기록’되면서 실타래가 하나씩 하나씩 ‘풀어져 정리’되는 과정을 보였다. 이 과정을 거쳐 본인은 작업을 표현하는 또 다른 과정에서 문제에 부딪힌다. 기록한 이미지를 가지고 예술작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소통을 생각 안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오로지 나만 보기위한 소통 없는 자기고백은 예술로서의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솔직하게 드러낸 자신의 이야기를 다시 한 번 아름다움으로 포장하여 감추려는 의도로 레이스에 이야기를 담아 그린다. 그리고 실제 수예직물인 것처럼 사실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실제 직물인지 그림인지 헷갈리게 하여 시선을 레이스 자체에만 집중시킨다. 멀리서는 아름다운 실제 레이스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다가가 들여다볼수록 아름다움과 반대되는 이미지로 그려진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보는 이들에게 레이스의 반전을 보여준다. 여기서 레이스는 방어기제의 역할로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본인의 모습을 잘 표현해주는 소재이다. 이러한 반전의 레이스에서 본인만이 아닌, 나아가 우리 삶의 모습 역시 발견할 수 있다. 겉으로 보이는 삶은 모두 아름다워 보이겠지만 그 속을 잘 들여다보면 우리는 각각 다른 형태의 고통을 안고 살고 있지 않을까. 반대의 시각으로 우리는 그러한 고통과 시련의 고비를 넘기며 살고 있기에 그만큼 삶이 성숙되고 아름다운 것은 아닐까란 생각을 하며 앞서 말한 본인의 인생관을 레이스 작업으로 다시 한 번 느낄 수가 있다. 레이스를 그리는 표현과정은 세필로 한 땀 한 땀 수를 놓고 실을 엮듯, 붓의 터치를 반복하여 쌓아 올려 그린다. 본인은 그 과정에서 육체와 정신 그리고 심리상태가 변화하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인의 내적문제를 시각화하면서 쌓는 터치의 무의식적 반복행위과정에서 기억을 더듬고 감정이 개입되기도 하지만 몰두하다보면 어느새 무념무상의 경지에 이르러 비움의 상태가 된다. 무의식의 반복행위는 본인에게 치유만을 의미 하지는 않는다. 오랜 시간 동안 짧은 터치의 반복은 때론 노동으로 다가온다. 이때의 육체적 고통은 본인을 괴롭혔던 내적 문제 즉, 정신적 고통을 망각하게 한다. 이 과정에서 본인은 정신적 고통을 잊고 육체적 고통을 겪음으로써 ‘삶의 무게’를 몸소 느끼는 재현의 행위로 고통의 순간을 부정하지 않고 온전히 받아들인다. ‘고통 없는 성숙한 삶은 없다’는 본인의 가치관을 바탕에 두고 -정신적 비움으로 가기위한 육체적 고통을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행위로- 묵묵히 수행 오로지 한 생각에만 집중하여, 한결같이 그것을 잊지 않고 그것 외에 다른 생각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하는 노력. [네이버 지식백과] (시공 불교사전, 2003. 7. 30., 시공사) 적 태도로 반복하는 것이다. 연구의 시작은 근본적 문제를 드러내어 본인에게 상처를 끄집어내는 과정처럼 보일 수 있겠지만 결국에는 긴 시간의 수행적(修行的) 행위로 몰입과 함께 육체적 고통을 거쳐 마음의 안정을 찾는다. 나아가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그 과정에서 깨달음을 되뇌며 수양 몸과 마음을 갈고닦아 품성이나 지식, 도덕 따위를 높은 경지로 끌어올림. 을 하는 자신을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신을 괴롭혔던 문제들이 치유의 과정을 거치면서 예술로 승화되고, 더 이상 상처가 아닌 삶의 근본이자 본인 예술행위의 근원임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 장애인 태도와 메시지 소구 방식의 상호작용이 장애인 돕기 캠페인 효과에 미치는 영향

        백혜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장애인 돕기 캠페인에서 장애인에 대한 사전태도와 이성·감성 메시지 소구 방식의 상호 작용이 캠페인 태도, 장애인태도, 장애인 돕기 행위 의도에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183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장애인에 대한 사전태도는 사전 설문을 통해 시간적 격차를 두고 설문조사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 하도록 노력했다. 실험은 2(장애인 사전 태도: 우호적/비우호적)×2(소구방식: 이성적/감성적)로 설계하였다. 그 결과, 캠페인 태도와 장애인 돕기 태도에서 사전태도와 소구방식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하지만 사전태도가 우호적인 수용자는 이성적 소구 메시지에, 비우호적 수용자는 감성적 소구 메시지에 더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나 예측한 것과 반대되는 결과가 도출 되었다. 장애인 돕기 행위 의도의 결과에서는 예측한 방향으로 결과가 도출되어 태도와 행위 의도간의 불일치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앞으로 더 세밀한 캠페인 전략을 위해 추후 더 많은 연구들이 진행 될 필요가 있으며, 장애인 돕기 캠페인이 실질적으로 제작될 경우 수용자의 특성과 그 목적에 맞게 조절하여 메시지를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impact of prior attitude and the interaction with rational/emotional appeal massages influence responses towards attitude of campaign, attitudes of helping the disabled and behavioral intentions in the disabled help campaigns. Experiments with 183 subjects were conducted and prior attitude of the disabled was measured with time differential to reduce the effect of subsequence experiment. The present research was conducted with 2(prior attitude of the disabled: friendly/unfriendly)×2(message appeal: rational/emotional) experimental design. The result were that the interaction prior attitude with appeal message on responses was found towards attitude of campaign, attitudes of helping the disabled however, it is opposed to the result as predicted. The interaction of prior attitude of the disabled and message appeal, though, included inconsistency between the results of attitude and behavior intention. This study suggest that how to make detailed campaign strategy in the disabled help campaign.

      • 컨벤션센터의 내부마케팅이 직무태도, 고객지향성,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

        백혜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컨벤션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내부마케팅 전략이 종사자의 직무태도, 고 객지향성,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연구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고객에게 보다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내부마케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통해 내부마케팅, 직무태도, 고객지향성 그리고 서비스 품질의 각 개념 및 요인을 도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경로분석 및 간접효과 분석을 시행하여 변수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설문조사는 국내전시컨 벤션센터에 재직 중인 정규직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온라인으로 진행한 222개의 설문응답 을 바탕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내부마케팅은 직무태도와 고객지향성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서비스품질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직무태도와 고객지향성 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태도는 고객지향성과 서비스품 질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고객지향성 또한 서비스 품질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컨벤션센터의 내부마케팅 구성요인을 도출하여 직무태도,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내부마케팅 요인을 밝히고, 서비스품질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내부마케팅 요인을 규명하 였다. 컨벤션센터 내부마케팅을 목적에 맞게 활용하여 궁극적으로 서비스품질을 향상시키고 경 쟁력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research and analyze the effects of internal marketing strategies implemented in convention centers on workers’ job attitudes, customer-orientation, and service quality.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effective internal marketing plan that can provide better service to customers and improve service quality of convention center. Based on previous research, each definition and factor of internal marketing, job attitude, customer orientation and service quality was derived. Using EFA(Exploratory Factor Analysis), CFA(Com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s analysis, path analysis, and bootstraping method this study verified the influence of variables. The survery was conducted by full-time employees at the domestic convention center, and analyzed based on the responses of 222 online survey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nternal marketing had partially positive effect on job attitude and customer-orientation. On the other hand, it did not affect service quality directly, but has indirect effect through job attitude and customer orientation as a medium. The analysis also showed that job attitude partially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and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orientation also had positive effect on service quality. This study draws the factors of internal marketing of the convention center, and identified the influencing factors of internal marketing that affected job attitude and customer orientation, and indirectly affected service qual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contributes for convention center to use the internal marketing strategies on purpose, therefore it can ultimately improve the service quality and enhance its competitiveness.

      • 종교 유무에 따른 신체적 건강의 차이

        백혜림 가천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연구배경 : 최근 영성(Spirituality)이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에 실제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밝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종교성을 영성의 지표로 삼아 종교가 있는 군과 종교가 없는 군 사이에 신체적 건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적 건강 지표, 혈액 검사 수치, 섬유근육통의 유병률, 상부 위장 질환의 종류 및 빈도를 비교하였다. 방법 : 2007 년 1 월부터 2 월까지 가천의과학대학교 부속 길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하여 섬유근육통에 대한 병력 및 이학적 검사를 시행하고 상부 위장관 내시경 또는 상부 위장관 조영술을 시행한 신체 건강한 성인 139 명 가운데 종교가 있다고 표기한 72 명을 종교군으로 하고, 동일 조건의 종교가 없다고 표기한 67 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에서 혈압, 체질량지수, 음주력, 흡연력, 운동 상태, 불안 성향, 우울 성향을 조사하였고 공복혈당, 혈중 지질 수치와 같은 혈액 검사 수치도 조사하여 두 군 간의 건강 상태를 비교하였다. 결과 : 종교군과 대조군에서 혈압, 체질량지수, 흡연력, 운동 상태, 불안 성향, 우울 성향은 차이가 없었으며 문제 음주(순 알코올 섭취량 ≥140g/week)는 종교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P=0.006). 공복 혈당, 총 콜레스테롤, 총 빌리루빈, helicobacter IgG, 류마티스 인자, 갑상선 기능 검사, 간 기능 검사, 바이러스성 간염 검사, hs-CRP 수치에서 두 군간 차이가 없었다. 혈색소 수치는 종교군의 여성에서 대조군의 여성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고 (P=0.035) 남성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ESR 수치는 종교군의 남성에서 대조군의 남성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04) 여성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섬유근육통의 유병률은 종교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P=0.049). 상부 위장 질환의 종류 및 빈도는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종교 유무에 따라 신체적 건강 상태는 대개 차이가 없었지만 섬유근육통과 같이 정신신체 증상으로 여겨지는 일부 기능성 질환의 경우는 차이가 있었다. OBJECTIVE : Recent studies show that spirituality effects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religion, as a tool of spiritual health, with physical health between people with religion and without religion. The general health profiles, various lab data, prevalence of fibromyalgia, and type and prevalence of upper gastrointestinal lesion were studied. METHODS : A sample of 139 healthy adults, who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at the Gachon University Gil Medical Center were enrolled in the study. 72 had a religion and 69 had no religion. The medical history was reviewed for a diagnosis of fibromyalgia and a gastroscopy or an upper gastrointestinal series were preformed to find upper gastrointestinal lesion. In addition, the alcohol and smoking history, exercise status,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fasting blood sugar level, serum cholesterol level, and other lab data were compared. RESULTS : Age, gender, smoking history, exercise status, the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mparisons between the religious group and the non-religious group. Problem drinking (alcohol intake ≥140g/week) was reported significantly less in the religious group (P=0.006). The fasting blood sugar, serum cholesterol, serum total bilirubin, helicobacter IgG, rheumatoid factor, thyroid function test, liver function test, markers of viral hepatitis, and hs-CRP levels showed no differences in comparisons between the groups. However, the hemoglobin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women of the religious group than in the women of the non-religious group (P=0.35); there was no similar difference in the hemoglobin levels of the men. The ESR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en of the religious group than in the men of the non-religious group (P=0.004); there was no similar difference in the women. In addition, the prevalence of fibromyalgia was lower in the religious group (P=0.049). However, the kind and prevalence of upper gastrointestinal lesion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Overall,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observed between the religious and the non-religious groups with regard to the general physical health. However, the hemoglobin level of the women was lower and the ESR level of the men was higher in the religious group than in the non-religious group. Fibromyalgia was less common in the religious group

      • 어린이집의 물·모래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경험 탐색

        백혜림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어린이집 바깥놀이의 물·모래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고, 참여관찰을 시작하였다. 연구문제 1. 만 3세반 유아들의 물‧모래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놀이경험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관찰은 H지역에 위치한 F어린이집 바깥놀이터의 물‧모래놀이영역에서 이루어졌으며, 부모의 동의를 얻어 만 3세 유아 4명을 관찰하였다. 관찰은 2023년 4월 17일부터 2023년 9월 4일까지 약 17주 동안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참여관찰, 연구일지, 사진 및 영상 촬영을 통해 유아들의 놀이에 대한 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으로 읽으며 유사하게 나타나는 경험으로 범주화하였고, 동영상 자료는 정확한 이해를 위해 기억이 사라지기 전 당일 및 그 주하고, 놀이를 관찰하며 떠오른 생각 및 고민은 연구일지에 저널형식으로 기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물‧모래놀이를 통해 세상을 배우고 있었다. 같은 환경과 비슷한 놀잇감으로 놀이하는 것처럼 보이겠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유아들은 물‧모래놀이를 하며 호기심을 자극하고 스스로 지식을 발견하고 기존의 놀잇감을 다른 방식으로 변신시키는 등 세상을 배우고 있었다. 더불어 이전의 경험과 새로운 지식을 연관 지어 지식을 재조직하기도 하고, 탐색 속에서 발견되는 궁금증은 반복되는 질문과 해결방법을 찾아내며 마침내 놀이하며 생긴 궁금증에 대한 해답을 유아 스스로 찾을 수 있었다. 둘째, 물‧모래놀이를 하며 유아만의 놀이방법을 만들었다. 연구의 초반에는 놀이가 각자 이루어지기도 하였고, 물‧모래를 섞어서 놀이하기보다 물‧모래 각각의 재료를 탐색하는데 시간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비슷한 놀이경험이 반복적으로 발현되었다. 하지만 연구가 진행되고, 유아들의 물‧모래놀이 경험이 쌓일수록 유아들의 놀이가 다양화 되어갔다. 셋째, 유아들은 물‧모래놀이를 통해 함께하는 즐거움을 배울 수 있었다. 물‧모래를 만나 본인의 욕구 및 의견을 자유롭게 표출하고 한 가지 목표를 위해 친구들과 상호작용하며 함께 놀이하는 모습이 발현되었다. 혼자 진흙을 만들어 탐색하다가도 친구와 함께 서로의 발을 숨겨주는 놀이로 확장되었다. 마지막으로, 유아들의 놀이가 점점 적극적으로 변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모래나 진흙을 손과 발 등으로 탐색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던 유아도 어느새 물‧모래놀이에 몰입하여 진흙을 뒤덮고 놀이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바깥놀이터에서 유아가 물‧모래를 충분히 탐색하며 놀이하는 것은 유아들에게 소중하고, 물‧모래놀이를 하며 얻게 되는 교육적 가치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교사는 유아의 물‧모래놀이를 확장되기 위해 개방적인 놀이가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놀잇감을 제공하고, 유아가 시행착오를 두려워하지 않고 놀이를 지속할 수 있도록 놀이에서의 유아 주도성을 존중해야 한다. 또한 교사는 유아의 물·모래놀이 과정에서 마음껏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정서적·인지적인 측면에서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시도해야 한다. 이처럼 물‧모래는 유아들에게 충분히 가치 있는 놀이이므로 물‧모래놀이가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사는 다양한 놀이지원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사서직의 독서전문가로서의 전문성 신장과 독서자격증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교육청 소속 사서를 중심으로

        백혜림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특정 독서 분야의 교육과정을 수료하고 자격증까지 취득하는 독서관련 자격증 교육과 사서직의 독서전문가로서의 전문성 신장과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위해 독서관련 자격증 교육과 관련된 자료를 조사하고,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5개 시·도교육지원청과 11개 공공도서관, 3개 교육연수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경기도교육청 소속 사서 15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105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은 문항의 기술 통계 분석 및 빈도분석, 내적일관성을 분석하기 위한 신뢰성분석과 변수들간 상관관계를 볼 수 있는 상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PASW 20버전을 이용하여 전산 처리하였다.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관련 자격증을 소지한 사서가 적었고, 소지자의 경우 소지 자격증 종류가 독서지도사와 독서치료사에 편중되어 있었다. 독서관련 자격증 미소지 이유는 자격증을 취득할 시간이 없었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 소지 이유는 자기계발의 필요성을 느꼈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둘째, 독서관련 자격증은 사서직에 근무하면서 연수 기회를 통해 무료로 취득한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현재 독서관련 자격증 교육은 대부분이 민간단체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자격증 취득을 위해서는 개인부담으로 기관을 찾아야하는 사서 개인의 적극성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었다. 셋째, 독서관련 자격증 교육은 아니지만 유사한 독서관련 교육을 받은 경험자가 많았으며, 독서관련 강의(수업) 또는 관련 프로그램을 직접 진행한 경험자도 많았으나 독서회나 독서교실 운영으로 편중되어 있었다. 넷째, 독서관련 자격증 교육은 도서관업무(수서/정리, 정보서비스, 열람/참고봉사, 독서교육, 문화프로그램, 도서관 경영)와 연관성이 높고, 도움이 많이 된다는 의견이 높았는데, 그 중 독서교육과 문화프로그램 업무가 가장 높았다. 다섯째, 독서관련 자격증 교육은 독서진흥 업무(독서관련 프로그램, 독서자료 제공, 독서지도, 독서운동, 독서치료, 독서관련 상담)와 연관성이 높고, 도움이 많이 된다는 의견이 높았는데, 그 중 독서관련 프로그램과 독서지도가 가장 높았다. 여섯째, 사서는 독서전문가라는 전문성 인식도가 높은 편이었고, 독서관련 자격증 교육이 독서전문가로서의 역할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높았다. 또한 독서전문가가 되기 위해 직무연수 참여, 독서관련 전문서적 읽기, 정기간행물 구독 등의 노력을 어느 정도 이상 하고 있었는데, 그 중 직무연수 참여가 가장 많았다. 일곱째, 사서의 전문적 역할 중에서 독서관련 업무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사서업무의 전문성 신장에 독서관련 자격증 교육이 필요하며,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높았다. 여덟째, 독서관련 자격증을 취득하고자 하는 의지는 높게 나타났지만, 취득 후 강사 섭외를 하지 않고 자격증을 활용한 직접 강의 의지는 전문지식의 부족, 업무과중, 강의의지 부재, 자신감 부족 순의 이유로 소극적이었다. 자격증 취득 의지 이유는 독서교육전문가로서의 역할 수행과 자기계발 차원의 재교육 때문이다라는 응답이 높았고, 불취득 의지 이유로는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업무과중 때문이라는 응답이 높았다. 아홉째, 취득하고 싶은 독서관련 자격증은 독서지도관련과 독서치료관련이 많았으며, 교육 희망 개설기관으로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사서직 직무연수,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의 사서직 직무연수 과정, 문헌정보학 전공 교육과정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독서관련 자격증 교육을 활용한 독서전문가로서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사서직 직무연수 기관의 확대와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증대가 필요하다. 둘째, 문헌정보학 학부 과정에서의 교과과정의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업무분장의 변화가 필요하다. 넷째, 국가공인 독서관련 자격증 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사서들의 독서전문가로서의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certification education on a particular area of reading, which aimed to obtaining a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by completing a course of study, and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librarians as reading experts. To obtain this result, reading education training and certification related material were investigated and survey was conducted. The survey was conducted 25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11 of public libraries, and 159 librarians who work at 3 different training centers, 105 collected were analyzed. Question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that can be viewed using PASW 20 version.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not only many librarians had reading education qualifications, but also if they have certifications reading instructor and bibliotherapist were concentrated. Second, Reading education qualifications acquired free through training opportunities while working in librarianship was the most case or reading education certification training is done by private organizations, and in order to get certifications they have find institutions at the expense of personal. Third, there are many people had not reading education certification but similar related experience. Forth, Reading education certification training that related library service helped a lot. Next, Reading education certification training related reading promotion work as well. Last, librarian considers as a reading specialist, and reading education certification training helps librarian to improve their specialty. The based on these results, to suggest the following for the professional growth plan as a reading specialist. First, librarianship in the expansion of job training agencies and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are needed to increase. Second, undergraduate degree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needs to be changed. Third, need to change the division of duties. Forth, National Certification training is required. Last, Positive attitude of librarians as a reading specialist is required.

      • 승온속도에 따른 태양전지 전극용 프릿의 결정화 및 유동성 평가

        백혜림 인하대학교 공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전 세계적으로 과도한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인하여 화석에너지가 점점 고갈되어 가고 있는 있다. 또한 화석연료의 사용은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환경오염과 지구 온난화를 가속시켜 지구의 기후 변화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실에 화석에너지를 대체할만한 에너지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 중 무공해이며 고갈 위험이 없는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태양전지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태양전지는 소재와 제조 기술이 다양하나 그 중 실리콘 태양전지의 개발에 끊임없는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실리콘 태양전지 연구에 있어서 가장 중점을 두고 연구해야 할 부분은 고효율이다. 태양전지에 입사된 태양광이 전부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 되지 않기 때문에 이용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태양전지의 고효율화를 위해 전 세계적으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전극용 페이스트 이다. 전극용 페이스트에 소량 첨가 되는 프릿은 Ag 페이스트 내에 입자를 단단히 묶어주는 역할을 하고 전극의 디자인 설계에도 관여하고 있다. 즉, 페이스트에 첨가되는 소량의 프릿은 태양전지 셀의 전기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양전지 제조시 급소성하에서의 프릿의 전기적 특성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프릿의 조건과 소성조건을 달리하여 각각의 프릿에 대한 결정성 및 유동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Ag-Si 간의 계면형상 및 결정화 경향을 분석하고, 소성온도에 따른 프릿의 형상변화를 관찰하여 펠렛의 면적변화를 통해 흐름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X선 회절분석을 통해 승온속도에 따른 프릿의 결정화도와 결정질의 성분분석을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 승온속도를 달리함에 따라 프릿의 결정화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급소성 하에서의 프릿의 결정화는 핵생성 및 결정성장이 발생하기 위한 시간이 짧아짐에 의해서 결정화의 발생은 미약해지고 이에 따라 비정질이 형성함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급소성하에서의 프릿의 결정화에 대한 기초적인 실험이며, 흐름성 및 결정성을 분석하여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조해야할 프릿의 물성과 제조 조건과의 관계를 토대로 친환경 고효율의 재료 설계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되며 다결정 실리콘 태양전지의 발전에 응용이 될 것이라 보인다.

      • 대화식 저널쓰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영어 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백혜림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experimental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alogue journal writing on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y as well as on their motivation and interest toward English writing.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examined. 1) How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alogue journal writing on the quantitative improvement of students' writing ability 2) How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alogue journal writing on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students' writing ability 3) How to determine the motivation and interest of students through dialogue journal writing Twenty-seven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dialogue journal writing had been applied to a 6th grade elementary school class over a 11 week period. For this study, dialogue journals, teacher's field note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re used as tools for analysis of data. And the study also examined the changes in the participants' writing ability by comparing the scores of the writing test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tical evaluation of students' writings proved that dialogue journal writing affected the quantitative improvement of English writing. Secondly, the holistic evaluation of students' writings proved that dialogue journal writing affected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English writing. Next, the dialogue journal wri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motivation and interest in English writing.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has improved through dialogue journal writ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should be a subsequent long term study with various level students to enhance students' writing ability. Second, before journal writing activities, teachers need to prepare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to develop students' outcomes. Third, teachers should receive some training to understand early literacy and be able to provide appropriate feedback for journal writing.

      • Characterization of Korean sweet potato starches: physicochemical, pasting, and digestion properties

        백혜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Physicochemical, pasting, and digestion properties of Korean sweet potato starches were investigated. Sweet potato starch granules were oval, round, polygonal, spherical, and bell-shaped and of 10.2-15.3µm in mean particle diameter.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Jeongmi was the highest, while Daeyumi was the lowest. Amylose content of the sweet potato starches varied from 12.3 to 17.4%. Jeongmi showed the highest values for Mw (14.6ⅹ107g/mol), whereas Daeyumi had the lowest (7.2ⅹ107g/mol). A similar chain length distribution of amylopectin was found in 11 sweet potato starches. The portion of B3 (DP≥37) correlated (r=0.66, p<0.01) with the amount of leached amylose. Thermal properties of DSC showed the high values of To, Tp, and Tc in Shinyulmi and Jeongmi, but a relatively low value in Daeyumi. All sweet potato starches exhibited a characteristic Ca-type diffraction pattern. Different patterns were revealed among the swelling factors of sweet potato starches depending on temperature. The contents of rapidly digestible starch (RDS), slowly digestible starch (SDS) and resistant starch (RS) in sweet potato starches ranged from 9.6 to 17.4%, 31.4 to 45.6%, 35.7 to 62.8%, respectively. Shinyulmi and Happymi had the highest SDS, and Jeongmi had the highest RS. According to the Rapid visco analyzer (RVA) viscosity profiles,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asting parameters such as pasting temperature, peak viscosity, final viscosity and breakdown. Happymi showed the highest breakdown, and lowest final viscosity, setback, pasting time, and pasting temperature.

      • Acoustic echo cancellation using an attention-based bidirectional LSTM

        백혜림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248623

        In this thesis, we propose an acoustic echo cancellation (AEC) algorithm based on a stacked bidirectional long short-term memory (BLSTM). Echo is caused by the sound produced by a loudspeaker being picked up by a microphone in the same room. AEC is a device for removing echo and transmitting clear near-end speech through the channel to the far-end. Linear echo canceller implemented using an adaptive filter often produces speech distortion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noise and communication environment. Sound quality is also degraded in a double-talk situation where both far-end and near-end speakers talk simultaneously. To solve this problem, the deep neural network (DNN) technology, which has been successfully used in various fields, is applied to AEC. In this thesis, BLSTM, a kind of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is stacked to separate and remove echo and background noise from the microphone signal. To this end, we propose a new BLSTM stacking technique, and an attention mechanism is introduced to BLSTM cells to improve the speech separation performanc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BLSTM stacking method has better speech separation performance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he proposed DNN based AEC algorithm is superior in many ways to the conventional AEC based on the adaptive fil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