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謙齋 鄭敾 眞景山水畵의 氣韻生動과 복원모사 연구

        백지희 圓光大學校 2020 국내박사

        RANK : 248655

        조선후기 겸재 정선(謙齋 鄭敾, 1676∼1759)은 조선 산수화에 있어서 진경산수화를 대표하는 인물이다. 그의 작품을 복원모사(復原模寫)함으로써 그 가운데 드러나는 기운생동(氣韻生動)을 연구하고자 한다. 한국 전통회화의 복원모사는 회화 문화재 가치를 보전하며, 문화재에 내재된 문화와 역사, 화가 개개인의 회화적 기법을 온전히 후대에 전승하는 데 그 의의를 둔다. 이에 본 연구는 회화문화재의 진정한 보존을 위한 방법으로 정선의 진경산수화 중 <혈망봉도>, <박연폭포>, <인왕제색도>, <금강전도>를 대상으로 복원모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복원모사를 실시함에 있어 단순한 모방이 아닌 정선의 준법에 보이는 회화적 특성에서 기운생동을 포착하여 이를 복원모사 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정선의 진경산수화는 우리의 정체성과 장소성에 주목한 한국적인 실경산수화를 수립했다는 가치를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선의 진경산수화는 “우리나라에 실재하는 산천을 남종화풍을 토대로 하여 정선이 독자적인 화풍을 가미하여 그린 그림”으로 정의된다. 이는 진경산수화에 있어 정선의 입지를 확고히 하면서 한국적인 화풍으로서의 진경산수의 위상을 굳힌 셈이다. 정선이 추구했던 조선의 진경산수는 실경이 보여 주는 감동을 작가의 주관적 의경을 거쳐 재해석했으며, 그것이 작품에서 기운생동으로 전한다. 원래 기운생동은 남제(南齊)의 사혁(謝赫)이 저술한 󰡔고화품록(古畵品錄)󰡕의 ‘화육법(畵六法)’에서 가장 중요한 창작 방법으로 거론한 것이며, 이후 그림을 품평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미적 기준이 되어 왔다. 이는 회화 작품에서도 가장 중시되는 기준이기도 하지만 원작을 복원하는 과정에서도 원작의 기운생동을 파악하는 과정은 더할 나위 없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정선의 진경산수화 작품을 복원할 때 주목한 것이 작품 속에 깃든 기운생동이라 판단하고 이를 중심으로 복원모사 하고자 하였다. 정선의 진경산수화가 한국 회화사의 흐름 속에서 일대 변혁을 보여준 것은 산수의 경관에 대한 재해석적인 구성과 독창적인 준법의 역할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실경을 그리는 것을 넘어 각각의 대상이 지니는 참된 본성을 들추어내는 방식으로 때로는 부감법을 사용하여 전체를 한 화면에 가득 담아놓기도 하고 때로는 폭포의 높이를 실제보다 더 웅장하게 표현하는 등 자연이 주는 기세를 직관적으로 표출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것들이 정선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기운생동의 요소가 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정선은 조선후기 회화사에서 진경산수화의 세계를 개척함으로써 실경산수를 화폭에 남아내는 대표적인 화가로, 많은 작품을 남겼다. 조선 회화는 고려로부터 이어오는 흐름 위에 중국의 남·북종화를 받아들여 새로운 화풍을 이루어낸 것이다. 그래서 그의 진경산수화를 “우리나라에 실재하는 산천을 남종화풍을 토대로 하여 정선이 독자적인 화풍을 가미하여 그린 그림”으로 정의된다. 중국화풍을 모방하는 분위기가 팽배했던 가운데 문인화풍을 드러내는 그의 새로운 작품세계는 특히 기운생동이 잘 표현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정선의 진경산수화 작품 가운데 기운생동이 잘 드러나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혈망봉도>, <박연폭포>, <인왕제색도>, <금강전도>를 들 수 있다. 그 작품은 실견산수의 구도를 관념이 아니라 경험에 의한 선(線)과 색(色) 등을 통하여 잘 드러내고 있다. 전체 화면을 주제가 되는 대상을 가득 채움으로써 감상자를 압도하는 웅장함이 화폭에 가득하다. 이를 생생 약동하는 기운으로 만나게 된다. 셋째, 정선의 대표작을 복원모사하여 새로운 원본을 작성하는 방법으로 화풍을 살려보면 그 가운데 기운생동이 잘 드러난다. 복원모사는 색의 조견, 물감분석, 필선(筆線) 등을 살려 보면 필의(筆意)가 드러난다. 그 대표적인 것이 기운생동으로, 사혁(謝赫)이 강조한 골법용필(骨法用筆) 등이 잘 드러난다. 넷째, 정선의 대표작으로 <혈망봉도>, <박연폭포>, <인왕제색도>, <금강전도>에 서 기운생동과 관련해 보면 작품 각각의 특징이 드러난다. <혈망봉도>에서는 산세 표현에 있어 전선만의 수직준이 잘 표현되었고, <박연폭포>의 경우 암벽의 적묵법을 통해 기운생동이 잘 드러났다. <인왕제색도>는 비에 젖은 인왕산의 암면의 질감과 중량감을 드러내기 위해 진한 먹을 듬뿍 얹은 농묵의 찰필로 덧칠하는 적묵법의 효과가 살려져 있었다. 마지막으로 <금강전도>는 선의 수직준과 적묵법, 미점 등을 총망라하여 걸작의 기운생동의 위세가 드러났고, 이들은 복원모사를 통해 그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and researched the energy movement shown in <Hyulmangbongdo>,<Bakyeonpokpo>,<Inwangjaesackdo>,and <Geumgangjeondo>, among the representative works of Jeongseon (1676-1759)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reproduction of the restoration of traditional Korean paintings preserves the value of the paintings, and places its significance on the culture, history, and individual painting techniques that are inherent in the cultural assets to future generations. This study performed restoration work on the Jingyeong Mountain Shaters in Jeongseo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s a way to trulypreserve the painting cultural assets. In addition, the focus was to capture the energy movement from the pictorial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method of compliance with Jeongseon, not just imitation, and to simulate it. The focus was to capture the energy movement and simulate the restoration. Traditionally, the value standard of Oriental painting was not only beautiful color, exact proportion and form, but also the quality contained in the work was a key evaluation. The ideal painting in Oriental painting was thought to contain his own meaning, and the artist's character was considered to be. The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pictorial characteristics of Jeongseon (1676-1759) in Jin-gyeong landscap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Giungsaeng-dong" and include them in the restoration project. The reproduction of the restoration of traditional Korean paintings preserves the value of the paintings, and places its significance on the culture, history, and individual painting techniques that are inherent in the cultural assets to future generations. Restoration work recognizes the historical nature of the won and has a significant significance in terms of preservation that gives the won's shape to the next generation. In this paper, restoration work was conducted on Jin-gyeong landscape ,both of the late Joseon Dynasty, as a way to preserve painting cultural assets. In carrying out restoration simulations of Jeongseon's works, the focus was to capture the pictorial characteristics and energy movements expressed by Jeongseon, a composite, rather than just imitating and restoring them. The content of this paper consisted entirely of four steps. The first dealt with the formation background of Jingyeongsansu and Jingyeongsansu Jeongseon as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Jingyeongsansu. The second looked at the concept of energy circulation and the energy activity shown in Jeongseon's Jingyeongsansu, focusing in order to find the energy activity that can be extracted from Jeongseon's JingyeongSansu. Third, the concept and process of restoration simulation were reviewed as a precursor to the full-scale restoration of Jeongseon's Jingyeongsansu. Finally,<Hyulmangbongdo>,<Bakyeonpokpo>,<Inwangjaesackdo>,and <Geumgangjeondo>, the fourth feature of Jeongseon's Jinkyungsu Acid work imitated by restoration More important in the restoration of Jeongseon's Jingyeongsansu is how to realistically implement the restoration in terms of the tradition. In this paper, considering the energy generation shown in Jeongseon's Jingyeongsansu and its own voluptuous properties, we designed a work imitated by restoration, In order to simulate the restoration of these works, focused on reproducing its own energy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and compliance of each work based on the original painting. In <Hyulmangbongdo>, the vertical standard of Kuemgjae in the expression of mountain tax was well expressed, and in the case of <Bakyeonpokpo>, energy was copied so that the red ink on the rock wall could be clearly displayed. In order to show the texture and weight of the wet rock of Inwangsan Mountain, <Inwangjaesackdo> was intended to enhance the effect of red ink painting, which was applied with a thick ink-and-grain chalk. It was painted black and glossy layers, and the brush was vigorously drawn to reveal masculine energy by the handwriting. Finally, <Geumgangjeondo> was also intended to recreate the energy of a masterpiece by covering the vertical standard of the Jeongseon Line, the red ink method, and the fine spot. The process of the above restoration process was to calibrate the original so that the line could be drawn with emphasis on color, and then faithfully reproduce the basic line first by placing on it. Later, he opened the line and painted the whole picture using. He completed the restoration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the texture, and the compliance of each piece, and then compared the original copy with the finished copy. Jin-gyeong landscape painting is one of the trends in traditional Korean paintings that focuses on expressing the identity of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ings. After reviewing the preceding research, I think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most of the research on the Jin-gyeong landscape of the composite Jeongseon was dealt with in terms of the painting style,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pedagogic aspects of the work, and the restoration simulation was also only a study of characterization.

      • 한국 바둑에 나타난 중국식포석의 유형과 관점의 변화

        백지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연구는 중국식포석의 유형과 관점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중국식포석이 현대 바둑에서 어떠한 이유로 각광받고 있는지를 유추해보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식 포석의 사용 빈도, 유형, 그리고 중국식포석을 인식하는 관점의 변화를 기준으로 역사적 전개과정을 다음과 같이 다섯 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도입기는 1971년부터 1975년까지인데, 이 시기에 낮은 중국식포석과 높은 중국식포석이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낮은 중국식포석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사용 빈도는 높지 않았고 개인의 독특한 취향으로 인식되었다. 발전기는 1976년부터 1984년까지인데, 이 시기에 사용률이 4배나 증가하였고, 정형화 된 포석으로 인정받았으며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유형은 높은 중국식포석이 많이 사용되었다. 중국식포석은 귀 굳힘을 생략하고 변을 차지하여 발이 빠르고, 공격에 중점을 두는데 특징이 있다고 여겼다. 그 영향으로 중국식포석을 사용하여 세력을 펼쳐 공격하는 바둑이 많이 등장하였으나, 후기에 가서는 관점에 변화를 보여 실리를 차지하는 바둑도 등장하였다. 침체기는 1985년부터 1997년까지인데, 이 시기에 3연성포석의 유행으로 인하여 4.8%로 사용률이 감소하였으며 명칭이 통일되어 사용되었다. 유형은 1990년을 기점으로 유행이 높은 중국식포석에서 낮은 중국식포석으로 변화하였다. 중국식포석을 3연성화(三連星化)하여 세력을 펼쳐 공격하거나, 집으로 지어 실리를 차지하는 바둑이 전개되면서 중국식포석의 특징 역시 실리와 세력을 모두 아우르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회복기는 1998년부터 2009년까지인데, 이 시기에는 침체기와 비슷한 5.1%의 사용률을 보였으며, 백의 양화점과 흑의 낮은 중국식포석이 압도적인 수치로 사용되었다. 이로 인해 초반 운영이 획일화된 반면, 부분적인 형태에서는 활발히 연구가 이루어져 신수가 다양하게 등장한 것이 침체기와 다른 점이었다. 특히 소목이 아닌 화점에서 날일자로 굳힌 수는 중국식포석을 견제하면서 상대의 착점을 제한하는 의미가 있어 현대 바둑의 포석관점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라고 할 수 있다. 재도약기는 2010년부터 2011년까지인데, 이 시기에 사용률이 18.9%에 이르러 대유행을 한 것을 알 수 있다. 낮은 중국식포석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지만, 백이 중국식포석을 펼친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백의 중국식포석 사용이 증가하였다는 것은 중국식포석이 선착을 이점으로 세력을 펼치거나 실리를 얻는 포석이라는 기존의 관점이 상대의 착점을 제한하는 의미로 변화하였다고 보았다. 따라서 흑백의 구분이나 실리와 세력 같은 기풍에 관계없이 중국식포석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중국식포석 사용률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식포석은 일정한 특징을 가지는 포석이 아니라 시대에 따라, 유행에 따라, 대국자에 따라 변화하는 관점에 의해 그 쓰임이 달라지는 포석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중국식 포석이 현재에도 계속하여 애용되는 주된 이유는 상대방의 착수를 제한하고자 하는 최근의 경향과 맞물렸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셋째, 중국식포석은 재도약기(2010∼2011)를 맞아 사용이 더욱 빈번해졌으며, 중국식포석이 갖는 여러 가지 장점으로 인하여 앞으로도 계속 사용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discuss why the Chinese opening holds so much spotlight in modern Baduk by analyzing changes in patterns and viewpoints of the Chinese opening. For this purpose, its historical unfolding process was divided into five stages as following and analyzed according to usage frequency, types of the Chinese opening and changes in viewpoint of perceiving it. In its introductory stage from 1971 to 1975, the low and the high Chinese opening appeared for the first time. The low Chinese opening was usually used, yet with low frequency, and recognized as an individual's peculiar preference. In its developing stage from 1976 to 1984, usage ratio went up four times, and it was recognized as a standard opening, and studied actively. The high Chinese opening was used a lot as a popular opening pattern. Features of the Chinese opening were considered as an efficient way to occupy sides, omitting corner enclosures to focus on speedy attack. Because of that, by using the Chinese opening in many games, influence was built to attack, but later on, the viewpoint got changed, leading to appearance of profit-oriented games as well. In its regression stage from 1985 to 1997, usage ratio dropped by 4.8% due to popularity of the Three-Star formation, but the terminology for the Chinese opening was unified. With year 1990 as turning point, patterns changed from the low to the high Chinese opening. As the Chinese Opening was used either like a three-star formation to attack by building influence, or to gain profit by making right side into territory, features of Chinese Opening got to be thought to include both profit and influence. In its recovery stage from 1998 to 2009, usage rate was 5.1% similar to that in the regression stage, and White’s Two-star formation & Black’s low Chinese opening were dominantly used. As the consequence, while its opening operation got somehow stereotyped, various new moves appeared thanks to active studies on partial types unlike its regression stage. Especially, using the knight’s enclosure with the star point, not at the 3~4 point, has its meaning in that it holds the Chinese opening in check and limits the opponent's play, through which one can peep at the opening viewpoints of modern Baduk. In its take-off stage from 2010 to 2011, usage ratio reached 18.9%, meaning it was all the vogue. Most of it was the low Chinese opening, and the ratio of the Chinese opening unfolded by white rapidly grew up. The increase in the ratio of the Chinese opening unfolded by white can be considered to be a shift, from the existing viewpoint that the Chinese opening is used either to build influence or to gain profit with the advantage of the first play, to limiting the opponent's play. Accordingly, using the Chinese opening regardless of being White & Black, or playing style such as profit-oriented style, or influence style has brought forth an increase in the usage ratio of the Chinese opening. Based upon these researche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reached. First, the Chinese opening is not an opening with certain characteristics. Rather, its usage changes with the vogue of times and according to players. Second, the main reason the Chinese opening is still favored is thought to be that it interlocks with the recent trend to limit the opponent's playing times. Third, in its take-off stage from 2010 to 2011 it became very frequent, and it can be assumed that the Chinese opening will be continuously used in the future due to its various strengths found by players of the new era.

      • 유통채널 유형별 체험요소가 매장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미국 모바일 폰 유통채널을 중심으로

        백지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39

        With the rapid advance in technology leading to an increased emphasis on active consumer experience for the transmission and proliferation of new product information and technology in the IT area, the establishment of an experiential environment is increasingly being settled as a pivotal marketing strategy. In tune with such changes, IT corporations are carrying out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ies that focus on point of contact with consumers in order to establish an effective and differentiated experiential environment. Because the store, the most central space in the consumer vs brand relationship, is an experiential perception space where stor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re determined through experience, its importance is being underscored in the marketing field as an important strategic issue. Generally, consumers acquire product information within the distribution channel, accumulate brand image, and eventually make purchase decision. The fact that brand loyalty is strengthened through the overall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ithin that space has repeatedly been supported by existing studies. With the absolute dominance of tele-communication being threatened by the popularity of smart-phones and changes in today's global environment, mobile phone manufacturers and tele-communication companies alike are looking to change their distribution strategies. Because the store is a place where consumers actually get to encounter new products directly amidst the rapid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and new products, and due to the resultant overload of information for consumers, study on various forms and scales of distribution channel is an essential research project from both academic and business perspective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IT industry, which is heavily dependant on the global market, the issue of standardization, argued for since the 1980s, is no longer a contentious issue in the area of global marketing. In other words, localization that stresses the cultural factor of the applicable country is increasingly being emphasized as an essential research subject at the academic and business levels. Thus, this study primarily attempt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marketing environment from a theoretical framework in order to discover the relationship among the experiential factor, stor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en, it seeks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this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the USA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Finally, it seeks to analyz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xperiential factor according to distribution channel, stor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e method of data collection used for this study involves conducting surveys on a total of 450 consumers, 225 from Korea and 225 from the USA, who had visited IT stores. Allocated sampling method that took the characteristics of store types and, of the questionnaires into consideration has been used. Furthermore, 13 consumers whose responses were insincere were discarded resulting in a total of 437 responses for the final analysis. Primarily, 22 check-list multi-items measuring deviation, sensation, information, experiential availability, stor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ere extracted into 6 factors using the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factor variables, KMO-Bartlett verification was used. To measure reliability, Cronback Alpha verification method was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experiential factor, stor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for hypothesis verificat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nd, Chow-test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path co-efficiency between nations and distribution chann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firstly, various experiential factors, such as deviation, sensation, information, and experiential availability have a noticeable influence on stor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n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stor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ere in the order of sensation, information, experiential availability, and devia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store attitude was shown to have a strong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Secondly, in terms of the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United States, the deviation factor had a greater influence upon the store attitude in Korea, while experiential availability had a greater influence in the United States. In terms of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tial factors and purchase intention, the deviation factor alone had a greater influence in Korea compared to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Korea displayed a higher relationship compared to the United States. Thirdly, the examination of differences in distribution channel reveal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experiential factor and store attitude showed minimal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experiential factor and purchase intention, only the sensation factor showed a difference. In addition, store attitude affecting purchase intention displayed only a minimal difference among each distribution channel.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proposes a new means of classification using experiential factors for IT store experiential research.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experiential factors classified in this study has been confirmed through a common study of Korean and American consumers, thus these items should be useful in future comparative research on consumer experience in the East as well as in the West, particularly in Korea and America. Secondly, the sensational factor is shown to have the greatest common influence on stor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Generally, the sensational factor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in the case of shop-in-shop, where the space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constrained, than in any other forms of channel. Even when the sensational factor is excluded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space, the fact that the sensational factor is felt strongly by consumers in the case of shop-in-shop, which was faithful to the functional aspect, and in small scale mobile phone stores, holds an important policy implication for future establishment of strategy for practical experiential marketing. Thirdly, the difference in the experiential factor in the area of sensation among Korean and American consumers indicates a need for consideration of national and cultural differences during store construction and when establishing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ies. Fourthly, as much effort is put into enhancing and managing the image of flagship stores with large budgetary investment, there is a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obile phone stores and shop-in-shop that offer easy access to consumers as well. In sum, it is presumed that there is a need for a standardized store management based on the theory of experiential marketing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consistent identity during various expansion of distribution channels and a segmented guideline that can be managed according to channel characteristics, etc. 급격한 기술의 발전으로 신제품의 정보 전달과 확산을 위해 능동적인 소비자 체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IT 분야에서, 체험환경의 구축은 마케팅 전략의 중심적 축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고자 IT 기업은 소비자 접점을 중심으로 차별화된 체험환경 구축을 위한 체험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다. 소비자와 브랜드 관계에서 체험을 통해 매장태도 및 구매 여부가 결정되는 핵심 마케팅 공간인 매장은 소비자의 직접 지각공간이기 때문에 마케팅 현장에서 매우 중요한 전략적 이슈로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유통채널 내에서 정보를 얻고, 브랜드 이미지를 축적하고 궁극적으로는 구매를 결정하게 된다. 그 공간 안에서의 총체적인 체험과 만족을 통해 브랜드 충성도가 강화된다는 사실은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증명되고 있다. 오늘날 스마트 폰이 대중화되고 글로벌 환경으로 바뀌면서 통신사들의 절대적인 지배력이 흔들리기 시작하면서 모바일 폰 제조사도, 통신사도 유통 전략에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신기술과 신제품의 빠른 개발 속도와 그로 말미암아 소비자가 습득하는 정보의 과부하 현상 속에서 매장은 소비자가 새로운 제품을 직접적으로 만나는 공간이므로 다양한 형태와 규모의 유통채널에 대한 연구는 학문적으로나 실무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연구과제이다. 특히 글로벌 시장의 비중이 큰 IT 산업의 경우, 1980년대 이후부터 주장된 표준화(standardization) 문제는 더는 글로벌 마케팅에서 논쟁거리를 벗어나고 있다. 즉 해당 국가의 문화적 요인을 중시하는 현지화(localization)가 학문적인 측면은 물론 실무적인 차원에서도 매우 핵심적인 연구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차적으로 마케팅 환경의 변화를 체험마케팅의 이론적 틀에서 체험요소와 매장태도 그리고 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로 하였다. 또한 이러한 관계에 대하여 비교문화의 관점에서 한국과 미국의 차이를 검증하고, 마지막으로 유통채널별 체험요소와 매장태도, 그리고 구매의도 간에 관계에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자료수집 방법은 IT 매장을 방문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이 225명, 미국이 225명 등 총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표집 방법은 매장타입별 특성을 고려한 할당표집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응답이 불성실한 13부는 분석에서 제외하고 총 437부만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일차적으로 다중항목으로 측정된 일탈, 감각, 정보, 체험용이성, 매장태도 및 구매의도에 대한 22개 측정항목을 주성분 요인분석(PCA)을 통해 6개의 요인으로 추출하였다. 요인변수의 구성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KMO-Bartlett 검증을,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Cronbach Alpha 검증 방법을 사용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체험요소와 매장태도, 구매의도 간의 관계는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으며, 매장태도와 구매의도 간의 관계는 단순회귀분석(simple regression), 국가 간, 유통채널 간 경로계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chow-test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일탈, 감각, 정보, 체험용이성 등 각 체험요소가 매장태도와 구매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각 요소는 감각, 정보, 체험용이성, 일탈의 순으로 매장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매장태도는 구매의도에 영향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미국의 국가 간 차이를 살펴보면, 각 체험요소 중 일탈요소는 한국이, 체험용이성요소는 미국이 매장태도에 더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는 일탈요소만 한국이 미국보다 더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장태도와 구매의도 간의 관계는 한국이 미국보다 더 높은 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유통채널별 차이를 살펴보면, 각 체험요소와 매장태도의 관계는 유통채널별 차이가 없다고 나타났으며, 각 체험요소와 구매의도의 관계는 감각요소만이 차이가 있었다. 또한, 매장태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통채널별로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IT 매장의 체험 연구를 위한 새로운 체험요소의 분류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류한 체험요소는 한국과 미국 소비자들의 공통적인 조사를 통해 구성 타당도를 검증한 항목들이기 때문에 동양과 서양, 특히 한미 소비자들의 체험에 대한 비교연구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둘째, 감각적 요소가 모든 유통채널에 공통적으로 매장태도와 구매의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유통채널 중 공간이 가장 협소하다고 인식되는 샵인샵이 다른 유형의 채널보다 감각요소가 구매의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의 효율성을 위해 감각적인 요소를 배제하더라도 기능적인 부분에 충실해 왔던 샵인샵이나 소규모의 모바일 폰 전문매장들의 감각적인 요소가 소비자에게 중요하게 지각된다는 사실은 실무적 체험마케팅 전략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부여하고 있다. 셋째, 한국, 미국의 소비자가 지각하는 각각의 체험요소에 차이가 있음을 검증함에 따라 체험 마케팅 전략 수립 시 국가별 문화별 차이를 고려한 매장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넷째, 많은 예산을 들인 플래그 쉽 스토어의 이미지 개선과 관리의 노력만큼 소비자 가까이에 쉽게 접할 수 있는 모바일 폰 전문매장과 샵인샵 등의 중요성 인식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다양한 유통채널 확장 시 브랜드의 일관성 있는 아이덴티티의 적용과 채널의 특성에 적합한 세분화된 가이드라인 등 체험마케팅의 이론에 준거한 유통채널 관리기준이 요구되고 있다.

      •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유형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자동차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백지희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온라인 커뮤니티는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서 그동안 수동적이었던 소비자를 시장형성에 영향을 주는 능동자로 전환시키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점차 활성화되는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으로 인해 기업의 마케팅 측면에서도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런데, 마케팅 측면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는 같은 브랜드를 중심으로 구성된 커뮤니티라도 그 유형에 따라 구성원들의 특성과 브랜드와의 관계, 더 나아가 브랜드 태도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티 유형이 커뮤니티 신뢰도와 커뮤니티 동일시, 그리고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커뮤니티 유형 중 고객자발형 커뮤니티가 기업개설형 커뮤니티보다 커뮤니티 활동 정도와 커뮤니티 신뢰도 및 동일시가 높았으며, 브랜드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둘째, 기업개설 커뮤니티와 고객자발형 커뮤니티 모두 커뮤니티 신뢰도와 커뮤티니 동일시는 브랜드 태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브랜드 태도에는 커뮤니티 신뢰도와 커뮤티니 동일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브랜드 태도에는 커뮤니티 동일시가 커뮤티니 신뢰도보다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고객 자발형 커뮤니티가 기업 개설형 커뮤니티보다 브랜드 태도가 더 긍정적이었으며, 커뮤니티 신뢰도와 커뮤티니 동일시가 높을수록 브랜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커뮤니티 컨텐츠와 커뮤니케이션 통합을 통한 구성원들의 정서적 유대, 사회적 상호 작용 등이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부여하는 가치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따라서 기업은 마케팅 활동에 있어서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사회적 상호 작용을 높이기 위한 전략의 수행이 요구되며, 오프라인 모임을 적극 창출, 지원함으로서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커뮤니티 신뢰도와 동일시가 높을수록 브랜드 태도가 긍정적이므로, 커뮤니티 내의 커뮤니티 소속감을 높여줄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On-line community plays a critical role in turning our consumers from passive target of business marketing activities toward positive subjects having impact on the creation of new market. Moreover, our companies also pay more attentions to on-line community owing to its ever-promoted activities in the aspect of business marketing. However, on-line brand community whose role is more valued in the aspect of marketing tends to show differences in association between community members' characteristics and brand - especially in brand behavior - depending on its type, even if it is organized on the basis of same brand. Thus, this study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on possible effects of community type on community reliability, community identification and brand behavior respectively. As a result, this study came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out of all community types, it was found that customer-driven community showed higher community activity, reliability and identification than business-driven community, and the former was also more positive in brand behavior than the latter. Second, both business-driven and customer-driven community showed that community reliability and identification were in significantly positive associations with brand behavior on statistic level. Third, both community reliability and identification had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s on brand behavior, but community identification had more significant effects on brand behavior than community reliability. Summing up, it was found that customer-driven community showed more positive brand behavior than business-driven community, and the higher community reliability and identification led to the more positive brand behavior. This finding implies that emotional band and social interactions among members through integration of community contents with communication may have more significant effects on the values offered by community members. Hence, it is required that our business should take and execute strategies for better social interactions among community members in terms of marketing activities, and should positively create and support offline meetings as well so as to make good opportunities for more active interactions among members. In addition, since the higher community reliability and identification lead to the more positive brand behavior, it will be necessary to prepare practical ways to enhance a sense of membership in community.

      • 팬 메이드 온라인 공연의 만족 및 행동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현대카드 팬 메이드 공연을 중심으로

        백지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관객들의 참여가 증가하고 있는 팬 메이드 온라인 공연의 선택요인을 콘텐츠성, 편의성, 지각된 개인화, 사용성으로 구분하고 각 선택요인이 팬 메이드 온라인 공연의 관객들이 느끼는 만족 및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확장된 상호작용성의 개념으로서 지각된 개인화가 만족 및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팬 메이드 온라인 공연을 관람한 관객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303부를 실증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팬 메이드 온라인 공연의 선택요인으로 구성된 콘텐츠성, 편의성, 지각된 개인화, 사용성 모두 공연 관람 후 관객이 느끼는 만족 및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팬 메이드 온라인 공연에서만 볼 수 있는 차별화된 콘텐츠 구성과 관객의 정보를 기재하여 개개인에게 맞춰진 콘텐츠 제공함으로서 관객들의 만족감과 공연 재관람 및 타인에게 공연 추천과 같은 긍정적인 행동의도를 이끌어냈다. 또한, 모바일 기기를 통해 관람할 수 있는 온라인 공연의 형태이기 때문에 공연을 쉽고 용이하게 관람할 수 있게 되었으며, 모바일 기술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통해 안정된 온라인 환경에서 공연을 관람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역시도 관객들의 만족감을 이끌어내어 공연을 재관람하거나 타인에게 추천하는 등의 긍정적인 행동의도를 이끌어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관객들이 공연 기획자로서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공연 형태인 팬 메이드 온라인 공연의 선택요인들과 만족 및 행동의도의 관계에 대해 최초로 연구를 진행하였음에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앞선 결과들을 토대로 관객과 공연자 그리고 공연 기획사 모두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공연을 기획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classified the selection factors of fan-made online performances, which are increasing audience participation, into content, convenience, perceived personalization, and usability, and investigated how each selection factor affects th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the audience of fan-made online performances. In particular, it was intended to pay attention to whether perceived personalization as a concept of extended interactivity has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audience who watched the fan-made online performance, and the final 303 copi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Content, convenience, perceived personalization, and usability, consisting of optional factors for fan-made online performances,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felt by the audience after watching the performance. In other words, differentiated content composition by providing content tailored to individuals by writing audience’s information that can only be seen in fan-made online performances, it drew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s such as audience satisfaction, performance re-watching, and performance recommendation to others. In addition, since it is an online performance that can be viewed through mobile devices, it is easy to watch the performance, and through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mobile technology, the performance can be seen in a stable online environment. This also elicited the satisfaction of the audience, drawing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s such as re-watching the performance or recommending it to othe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to be meaningful in that the study is the first research that was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of fan-made online performances, a new form of performance that audiences can participate as performance planners. Based on the previous results, it will be helpful in planning meaningful performances that can interact with the audience, performers, and performance agencies all together.

      • 교사와 어머니의 DAP 신념이 유아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백지희 성균관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교사와 어머니의 DAP 신념이 유아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 R. Schumann의 <알레그로 Op. 8> 분석 연구

        백지희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An Analysis on Allegro, Op. 8 by Robert Schumann Ji-hee Baek Department of Music,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Chung-im Chun) Robert Schumann is a representative music composer for piano in the 19th-century. His music for piano has been considered to express characteristic of the music in the Romantic-era. Especially, as a piano music composer in the Romantic-era, his unique composing skills are shown on harmonic features, counterpoint in style, character pieces, extended sonata form. In this study, Allegro, Op. 8 which is a piano piece in the early career of Schumann was analyzed to understand his original composing skills. This music was composed in the relatively free sonata form exhibiting his lyrical and unique composing techniques. The conclusive results by analysis of this master are described as following. First, tempo for playing is not indicative in the score and tonality is not established until the end of music. It reflects the characteristic of Schumann with a purpose to develop the undeterred music by particular style in Romantic-era. For example, he marked ‘senza tempo’ in the score which means ‘without tempo’ to guide the performance undeterred by tempo. Second, It is composed of introduction, exposition, development, recapitulation, coda in the sonata form. However, he broke the sonata form of Classical-era by various musicality with extended free musical expression and rich tone. He tried to express diverse colored emotions through the harmony rather than musical technique. Also, quickly-transited chromatic harmony is shown as a feature. Third, the opening motif of B-C#-F# chain in introduction is significant to suggest subject of this piece. This motif is shown in exposition and development with modificated form. Typically, in the 1st subject of exposition, tonic chord of the B Minor was not used before. However, tonic chord of the B Minor appears at first measure in the beginning of exposition in this piece. It modulates to D Major in the 2nd subject. This modulation indicates that this piece has a different tonic structure as compared to traditional sonata form. It starts with eighth note unit with more lyrical mood while sixteenth note unit is used in previous parts. In the development, sequential modulation of D Major-Ab Major-Eb Major-C# Minor-B Major and enharmonic modulation are special features. This music finishes with imperfect authentic cadence after elements of introduction revisit at the same time. Robert Schumann showed free and developed sonata form of 19th-century by partly following traditional method of Classical-era in his piece, Allegro, Op. 8 He pursued not only free structure and form but also tried his individual expression in regarding to rhythm and chord. It would be helpful to play Allegro, Op. 8 with deep and precise understanding of musical expression and score analysis of Robert Schumann in this studies.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a basis of the research of not only Schumann but also other composers in 19th-century.

      • Franz Danzi의 <<Sonata for clarinet and piano in B-flat Major Op. 47>> 분석 연구

        백지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필자의 졸업 이수를 위한 연주 프로그램 중 프란츠 단치(Franz Danzi, 1763~1826)의 ≪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B장조≫를 연구 분석하는 것과 아울러 단치의 생애 및 그가 속해 있었던 만하임악파에 대해 세부적으로 고찰하고 만하임악파 시대에서부터 현재까지 클라리넷의 형태가 어떻게 발달하였는지에 대한 과정과 클라리넷이 독주악기로 어떻게 자리매김하였는지 일련의 과정에 대해 연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독일 슈베칭엔(Schwetzingen)에서 태어나 만하임 궁전 악단의 첼리스트 단원으로 활동하였던 단치는 첼로 연주자뿐 아니라 지휘자, 작곡가 등 다방면에서 음악적 능력을 나타내며 여러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이 중에는 음악과 대사가 혼합된 징슈필도 있으며 이외에도 합창곡과 칸타타, 오라토리오, 미사곡, 관현악곡, 실내악 곡 등이 포함된다. 필자는 단치의 작품 중 ≪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B장조≫를 각 악장별로 분석하여 클라리넷 선율과 피아노 반주의 관계를 살펴보고, 음악적 분석에 따른 연주 방법을 탐구해 보았다. This paper studies and analyzes Franz Danzi(1763-1826)'s Sonata B- flat Major for Piano and Clarinet in a performance program for the completion of my graduation. as well as details of Danzi's life and how clarinet has become a solo instrument form developed from the Mannheim era to the present. Danzi was born in Schwetzingen, Germany. he worked as a cellist for the Mannheim Palace Band. He expressed his musical abilities in many fields, including not only cellist but also conductors and composers. Some of them include chorus, cantata, oratorio, mass, orchestral and chamber music. I analyzed Danzi's works < Sonata B-flat Major for Clarinet and Piano >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larinet melody and piano accompaniment, and to explore the method of playing according to musical analysis. Sonata B-flat Major for the clarinet and piano, which will be explored in this study, corresponds to a relatively lesser-known works of Danzi's clarinet, and the study hopes that it will help performers understand and interpret music more eas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