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치원 교사들의 통합교육과정 실행

        박해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diversely implemented integration in scenes of kindergartens by analyzing th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administered by kindergarten teachers.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I set up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How about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anding and administrative difficulty of integrated curriculum? 2. What kind of integrated curriculum implemented by kindergarten teachers ? This study take, as its participants, the teachers who were famous for leading class very well, and who have worked for public kindergartens with good reputation. I selected the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the research teachers for improvement of instruction or worked on class through educational office's projects (e.g., operation of model kindergartens etc.), while having careers in instruction in kindergarten that be taken under the supervision of a detached vice-principal. All of them had experience in the administr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for more than 5 years. Among the above, I selected the teachers who had willingness to share their practice with other teachers. Due to financial and geographical matters, it's limited only in Seoul area. Data were collected from focus group interviews in two times, and from gathering documents, and observing the process of class preparation and class through visiting each kindergarten in two times. These collecting data were analyzed in order of transcription and combination of data, coding by the subject and categorizing, case retrieving, and taxonomic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Even though the participating teachers were clearly aware of the necessity of the administr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they had been in confusion for the understanding of integrated curriculum. Also, despite of such confusion, they implemented integrated curriculum in various forms which can be appropriated for specific classroom settings, and showed expert-level perception regarding the problems with administration. However, lack of in-depth understanding of integration made them to follow up the former teachers' modes to integrate the curricula, without any creation of strategies for efficient solution to the problems with administration. While their recognition of the problems and open-attitudes toward the diverse organizing modes enabled them to utilize organizing patterns in various forms selectively. First, the teachers showed a dualistic attitude to integrated curriculum that while they showed supportive attitudes toward integrated curriculum and expressed their ‘natural’ preference of integrated curriculum, they also revealed their confusion o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integration, and expressed problems and burdens by occurring in the administr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The teachers who were lacking in theoretical knowledge of integrated curriculum had difficulty creating improvement strategies on problems occurring in the administr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even though finding solutions to the problems, they were passive in exchanging information with each other since they did not have confidence.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some of the teachers induced young children to interest in themes had selected primarily in consideration of situational conditions such as available material were limited and the ratio of teacher : children were high. And also there were cases in which some of the teachers selected themes deviated from young children’s interest and not closely related to children’s life due to over-competition among teachers. It has been also found that the teachers were not interested in objectives due to only focusing on activities relevant to themes, and also evaluative plans were unclear due to vagueness of objectives. Second, the result of implementation for integrated curriculum showed in several types according to the degree and levels of integration, and it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omnibus-typed organization and network-typed organization in accordance with relevance among activities. The omnibus-typed was implemented by mutual-independent activities, only related on the theme. That is further classified into the single-area activity form, one activity includes only one subject, and the integrated-areas activity form, one activity includes several subjects. The network-typed was entangled in the shape of web due to the relations between activities in which are not only connected by or through the medium of themes and also have relevance to the other activities. The network-typed is further classified into the inquiry-activity for solving problems, the deepening-activity for the application of skills, and the cooperative project-activity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egrees of relevance. Teachers’ awareness and practical situations in kindergartens influenced on teachers' implementation of single-area activity, area-integration activity, inquiry-activity, deepening-activity, and project-activity.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들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통합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유치원 현장의 교육과정 통합의 모습을 살펴보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 교사들의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는 어떠하며, 그 실행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2. 유치원 교사들은 어떠한 유형의 통합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있는가? 본 연구는 통합교육과정 운영 경력이 5년 이상이면서 수업을 잘한다는 명성을 가진 교사나 그런 명성이 있는 공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를 연구참여자로 하기 위해, 수업연구교사 혹은 교육청 사업(시범유치원 등)에서 수업연구를 해 왔고 3학급 이상 유치원에서 단독 원감의 지도를 받은 경력이 있는 교사들 중에서 선정하였다. 이들 중 다른 사람들과 실제를 공유하고자 하는 교사들로 선정하고 재정적․지리적 문제로 서울 지역 교사로 한정하였다. 2회의 핵심집단면담과 각각 이틀 동안의 유치원 방문을 통한 기록물 수집, 수업준비과정 관찰, 수업 관찰에서 자료를 수집한 뒤 자료의 전사 및 수집 자료의 통합, 주제별 약호화와 분류, 사례추출, 분류체계분석을 거쳐 자료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통합교육과정 운영의 필요성에 대해 분명히 인식하면서도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에서는 혼란을 겪고 있었다. 또한 통합에 대한 혼란에도 불구하고 구체적 학급 상황에 맞춰 다양한 형태로 통합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있었으며 운영상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전문가적 인식을 보였다. 그러나 교사의 통합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부족은 운영 상의 문제점에 대한 효율적인 해결전략 창출 없이 통합 방식의 답습에 머무르게 하는 반면, 문제점에 대한 인식과 여러 가지 구성 방식에 대한 개방적인 태도는 다양한 형태의 구성 방식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해 주고 있었다. 첫째, 교사들은 통합교육과정에 지지적인 태도를 보이고 ‘당연히’ 통합교육과정을 선호한다고 표명하면서, 통합의 개념에 대한 이해에서의 혼란을 나타내었고 통합교육과정 운영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부담감을 피력하는 이중적인 태도를 보였다.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지식이 부족한 교사들은 통합교육과정 운영에서 생겨나는 문제점에 대한 개선전략을 창출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문제해결책을 찾는다 하더라도 확신을 갖지 못해 교사들 간의 정보교환에 소극적이었다.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한정되어 있고, 교사 대 유아의 비율이 높아서 상황적 조건을 우선 고려하여 선정한 주제에 유아의 관심을 유도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수업 능력에 대한 교사간의 경쟁 과열로 유아의 관심을 벗어나거나 유아의 생활과 밀접하지 못한 주제를 선정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통합교육과정 운영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나 ‘의미있는’ 수업의 실천을 위해, 구체적 수업상황에서는 다양한 통합 방식을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의 통합교육과정 운영은 통합의 정도와 수준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었는데, 활동들의 관련성 유무에 따라 옴니버스형 구성과 네트워크형 구성으로 나눌 수 있었다. 주제를 중심으로 상호 독립된 활동들이 펼쳐지는 옴니버스형 구성은 다시 단일영역의 활동들로 구성된 경우와 여러 영역이 통합된 활동으로 구성된 경우로 나누어진다. 전자는 하나의 활동이 하나의 교과 요소만 포함하고 있는 형태이며 후자는 하나의 활동이 여러 교과 요소를 포함하는 형태이다. 주제를 매개로 연결되는 것은 물론, 활동들 간에도 관련성이 있어 거미줄 모양으로 얽혀있는 네트워크형 구성은 관련성의 성격과 정도에 따라 문제를 해결을 위한 탐구 활동, 기술의 적용을 위한 심화 활동, 상호 협력적인 프로젝트 활동으로 나누어진다. 교사들이 단일영역의 활동, 영역이 통합된 활동, 탐구 활동, 심화 활동, 프로젝트 활동의 통합적 구성방식을 실행하는 데에는 교사의 인식과 유치원이 처한 실제적 상황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 數理的 槪念으로 본 宮闕 正殿의 御座 硏究 : 三大 正殿(勤政殿·仁政殿·中和殿)의 御座를 중심으로

        박해정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조선시대에 조성된 궁궐건축 중 3대 정전 내부의 용상을 통하여 조선 건국사상의 상징적 의미를 수리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정전 내부의 용상과 이를 구성하고 있는 곡병·육우평상의 상징성을 고찰했다. 그 결과로써 용상의 구조는 기능적 형식에서 벗어나 당시의 세계관과 건국사상 등 수의 개념이 표현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정전은 군왕이 문무백관에게 조회를 받고 외국사신을 접견하며 즉위, 책봉, 혼례 등 나라의 공식 행사를 치르는 공간이다. 정전 내부의 용상은 절대 권력자인 왕의 공간이다. 특히 어좌에는 통치자의 철학과 조선의 건국이념과 유교정신이 투영되어 있다. 이번 연구에서 3대 정전 내부 어좌의 용상은 64개의 조각으로 제작된 사실을 처음으로 확인했다. 곡병(曲屛)은 어좌의 배면을 장식하는 것으로 중앙과 좌우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역해신리대전(譯解神理大全)』에서 ‘三’을 용(用)으로 삼은 이유는 ‘二’는 둘로 갈라지는데 비해 ‘三’은 무궁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체(體)인 ‘一’은 변하지 않은 근본 원리, 용(用)인 ‘三’은 무궁무진하고 다양한 변화를 가져온다는 뜻이다. 칼융(1875~1961)은 ‘三’에 대해 “地母(Mother-Earth)’와 결합하여 인간이 자식을 낳을 수 있는 남성의 상징’’으로 보았다. 『천부경(天符經)』에서는 ‘삼극(三極)’은 만물의 가장 중심이 되고 ‘天·地·人’을 뜻한다. 곡병은 장식적인 기능보다는 왕의 변화무쌍한 기운이 백성을 위한 천지인의 공간이다. 육우평상(六隅平床)은 용상과 곡병 하부에 있다. 육각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앞쪽의 삼면은 넓고 뒤쪽의 삼면은 좁다. 삼면 위에 곡병이 있다. 육우평상은 평상의 기능으로써 접근 방식이 아닌 용상과 곡병의 기능을 보조하며 지상에서의 모든 변화를 내포하고 있다. 육우평상의 육(六) 은 ‘상징적 의미의 수’ 다. 진나라 시황제는 왕조가 주(周)의 ‘화덕(火德)’에서 ‘수덕(水德)’으로 이행하였으므로 오행의 순서에 따라 ‘물(水)’에 대응하는 6에 의미를 부여했다. 진시황제는 왕관의 길이를 6치, 길이 단위인 1보(步)를 6자, 왕의 말(御馬)의 수를 6마리 등으로 법규화 했다. 세종 때 편찬된『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에서는 육대조(六代祖)를 용으로 조상의 천명을 수리적으로 표현했다. 3대 정전의 용상은 ‘심리적 탁월감’의 대상이 아니다. 그 원리는 궁궐의 배치, 어좌의 방향, 용상의 조각 수와 형태를 문양으로 상징화 했다. 조선왕조의 통치 원리를 왕에게 무언으로 요구하는 것이다. 이것은 정전 내부의 어좌에도 국정 통치 철학을 수리적 개념으로 투영한 증좌이다. 관광학 분야에서 궁궐문화 및 역사관광자원의 문헌적 연구의 한 단초를 열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foundation of Joseon that is reflected in the royal thrones(king's chair) in three major halls in palaces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investigate the symbolism of the Gokbyeong, the folding screen and Youkoopyeongsang, the wooden bench that comprise the throne.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in the royal throne, away from the structure of the functional form, the world views of the times and the sprit of the national foundation were expressed in the form of mathematical concepts. Jeongjeon, the royal hall, is the place where the king had the morning assembly with the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and received foreign envoys and is the place where the country's official event was taking place such as coronation, installation and marriage. Yongsang, the royal throne inside the Jeongjeon building, is the sitting chair of the kings, which includes the philosophy of the rulers, the founding sprit of Joseon and Confucianism. This study first confirmed that the Yongsang in the 3 major Jeongjeon, is made of 64 pieces of engravings. Gokbyeong, with its three parts, was used in the purpose of decorating the back of Yongsang. The number 3, in Yeokhaisinlidaejeon, symbolizes everlasting change where as the number 1 symbolizes an immutable fundamental principle. Carl Jung(1875~1961) told us that the number 3 symbolizes a male symbol that can meet the Mother-Earth to give birth and CheonbuGyeong told us that the three pole or extreme, which are the sky, the earth and the human, are the center of all. So the Gokbyeong is the space for the sky, earth and human to be the center of all universe. The Yookoopyeongsang is under the Yongsang and the Gokbyeong. It is composed of six faces, three of which are wider in the front. Above the three faces there is a Gokbyeong. The Yookoopeongsang is not just a wooden bench but a meaningful entity that supports the functionality of the Yongsang and Gokbyeong and implies all changes of the universe. The number 6 is full of symbolic meaning. Jinshihwang put the virtue of water to the number 6. He made his crown 6 chi, 1 step 6 Ja, number of horse of his royal cart 6. The number 6 in the Yookoopyeongsang symbolizes the 6 founders of the Joseon dynasty. The Yongsangs in the three major royal halls are not the symbol of the psychological excellence but the symbol of saying that requires the later kings to conform to the ruling principle of Joseon dynasty. In conclusion, I hope this study, in the field of tourism, to become the clues for later studies on the cultural heritage of palaces and other cultural tourism resources.

      • 학교회계제도의 운영효과 분석 연구

        박해정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school accounting system which has been introduced and operated since 2001 on public elementary, secondary and special schools, in order to enhance autonomy and efficiency of the financial management for each school. It is considered as and essential system for the successful execution of the 'Responsible Management System for Each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review the examined operational status of the school acounting system, and to propose improvement plans thereof. In order to analyze operational effects of the school accounting system, this stydy examined theoretical aspects of the school accounting system and analyzed the revenue and expenditure of 2000 and 2003 for total 18 schools, 6 elementary, 6 middle and 6 high schools, in Jeonllabukdo through an annual analysis. Anticipated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the school accounting system were estimated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responsible personnel of the school accounting. Consequently, improvement plans were proposed for future school budget to be appropriately planned and managed based on the purposes of the school accounting system. SPSS WIN(10.0) was used to analyze the study materials,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distribution of the general response, and cross analysis and x2 were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e responses among groups.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p<.05 in this study.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as follows. 1. current volume of the revenue and expenditure settlement of 2000 and 2003 The revenue and expenditure settlement of the sampl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s as follows. First, as revenue resources, the sampl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dependant mostly onf the 'Special Accounting Revenue of the Education Expense' and parents donations.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school accounting system, the larger the school was, the smaller the 'Special Accountign Revenue of the Education Expense' was and the greater parents donations were. On the other hand, the smaller the school was, the greater the 'special Accounting Revenue of the Education Expense' and parents donations were. Second, regarding the distribution of the education expense for school, the education expense for elementayry middle and high schools increased in 2003 compared to that of 2000. the smaller the classroom was, the higher the increase rate was, and the larger the classroom was, the lower the increase rate was. Third, internal revenues of the school and financial subsides slightly increased in 2003 compared to those of 2000, however, the increase rate was still low. Fourth, the education expense per student increased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ince the application of the school accounting system. The larger the classroom was, the smaller the education expense per student was. The education expense per student was the highest for high schools, then for middle schools, and it was the lowest for elementary schools. Fifth, considering the expenditure settlement of the sampled schools, the school administration cost was the highest as the expenditure in general. the larger the school was and the bigger the city for the chool location was, the higher the beneficiary cost was. Meanwhile, the smaller the school was, the higher the school administration cost was. Sixth, the teaching-learning activity expense which is directly invested on students' educational activites increased in 2003 compared to that of 2000 for elementary and high schools. Somehow, it was decreased for middle schools. 2. Analysis of Recognition of Effects of the school Accounting System It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utonomous budget management for each school,' 'transparency of the school financial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school financial management,' 'simplification of the accounting procedures,' 'increase of the participation of the school budget personnel,' and 'realization of the school as a life-long education cneter(Ministry of Educaion, 2000)', in regards to the effects of the school accounting system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at the time of introduction of the system. In order to examine the above-mentioned effects, degree of recognition by the current school principals, deputy principals, teachers, and administrative personnel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Jeonllabukdo was examined,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y positively recognized the 'autonomous budget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school financial management,' 'transparency of the school financial management,' and 'increase of the participation of the school budget personnel,'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chool accounting system. Meanwhile, they negatively recognized the 'simplification of the accounting procedures' and 'realization of the school as a life-long educaion center.' The school accounting system is a revolutionary reform policy to overcome the control-based financial management by the central authority and enable each school to subjectively perform the financial management allowing autonomous operation for each school. It is expected to solve problems of the existing school budget management, improve autonomy and efficiency of the budget management, and ultimately elevat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responsibility of the schoo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venue and expenditure settlement of the school accounting, and recognition of the budget personnel,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school accounting sysytem.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educaion expense per stud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mall schools and large ones especially for the elemnetary school. Accordingly, a method of distribution for the school management expense should be improved in order for all the schools to manage finances whith a balanced budget. Second, efforts should be made to secure internal revenues of the school. Incentivepolicy to increase internal revenues should be applied in order to secure the internal revenue for each school. Third, procedures of the budget request and suppliers provision request should be simplified, and various regulations and rules should be amended to fit for the school accounting system, in order to grant autonomy of the school buget management and simplify accounting procedures. Fourth, in order to realize the school into a life-long edcucation center in which parents and residents participat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devised and corresponding budget for the parents and residents should be aggressively reflected upon during the buget planning process.

      • 자전적 기억의 과일반화와 반추가 중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박해정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자전적 기억의 과일반화와 반추가 중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확인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59명의 중년기 성인들을 대상으로 자전적 기억검사, 우울척도, 반추척도를 실시하였다. 자전적 기억의 검사의 경우 자전적 기억의 과일반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자전적 기억에서 긍정정서 기억과 부정정서 기억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역시 살펴보았고, 반추척도의 경우 선행연구를 참조한 결과 반추척도의 하위요인인 반추와 숙고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각기 다를 수 있다는 지적에 따라 반추척도를 요인분석하여 반추의 하위요인인 반추와 숙고가 우울에 미치는 각각의 영향을 확인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요변수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과 요인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전적 기억의 과일반화와 반추의 하위요인인 반추는 중년기 성인의 우울 가능성을 증가시키지만, 긍정정서 기억과 부정정서 기억, 반추의 하위요인인 숙고가 중년기 성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할 수 없었다. 즉 중년기 성인이 자전적 기억의 과일반화 경향을 보이고, 반추적 사고를 빈번히 사용하는 것은 우울에 취약한 개인특성으로서 현재 우울을 악화시키거나 향후 우울할 가능성을 증가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우울에 대한 인지적 개입의 측면에서 논의되었으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Effect of autobiographical memory’s overgeneralization and rumination on the depression for people in middle age A thesis submitted to the Council of the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June 2019 Hae-jung Park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EunYoung Kim )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empirically find out how much autobiographical memory’s overgeneralization and rumination make an effect on the depression of people in their middle age. To this end, the autobiographical memory test, depression scale and rumination scale tests were administered to 259 people in their middle age. As for the autobiographical memory test, the research has been made not only on the effect of autobiographical memory’s overgeneralization on depression but also on the effect positive emotional memory and negative emotional memory in the autobiographical memory make on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rumination scale, previous researches showed that rumination and deliberation which are the sub-elements of the rumination scale may make different effects on depression. So,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lements of the rumination scale, the research also has been made on how rumination and deliberation which are the sub-elements of the rumination scale may make different effects on depress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for the main parameters. The results showed that autobiographical memory’s overgeneralization and rumination which is the sub element of rumination increase the possibility of depression of people in their middle age. But they did not find that positive emotional memory & negative emotional memory and deliberation which is the sub element of rumination make an effect on depression for people in their middle ag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trend of autobiographical memory’s overgeneralization and the frequent use of ruminative thoughts by people in their middle age depend on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sceptible to depression and that they can worsen the current depression or increase the possibility of causing depression in the future. These study results we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involvement on depression. Final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for the study were described.

      • 청소년활동가의 전문성 특성과 학습의 의미에 관한 생애사 연구

        박해정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학교 교육 바깥에 위치하면서 사회적 관심과 정책적 접근, 그리고 학술적 연구 대상에서 벗어나 있었던 청소년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청소년활동가들의 전문성 발달과 그들의 학습의 방식과 의미 등에 관심을 가지고 그들의 생애사 분석을 통해서 그 삶 속에 나타난 전문성 발달의 특성과 학습의 방식과 의미들을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장기간 민간 비영리 분야에서 활동해온 4명의 청소년활동가를 연구참여자로 하여, 생애사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그들의 생애 경험을 심층면담하고 그 내용들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연구참여자로 참여한 청소년활동가들은 청소년 분야의 활동가로 입문하는 초기부터 전문가로서 자리매김해 온 시기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견지하고 있는 태도 가운데에는 자신들이 경험하고 있는 생애적 상황과 사건들에 의미를 부여하고 이를 내면화하기 위해서 노력해온 학습의 과정이 존재하고 있었다. 그들이 자신들의 생애 경험을 통해서 겪어온 상황과 사건들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이를 내면화하기 위해서 노력해 온 학습의 방식은 사회적 가치 실천 학습, 현장 기반 문제해결 학습, 그리고 지식의 교환과 확장을 위한 관계망 학습 등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학습 방식들 속에서 청소년활동가들의 개별적 경험들이 공유하고 있었던 학습 방식의 특성은 현장성과 관계성, 그리고 통합성 등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학습 방식을 통해서 획득해 온 청소년활동가들의 전문성 발달의 특징은 사회적 책임 가치의 지향, 경험과 성찰의 선순환, 관계망 기반의 문제해결 능력 등의 발달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전문성을 발달시켜온 청소년활동가들의 개별적 생애 경험들이 공유하고 있었던 특성들을 범주화해 본 결과,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가들에게 공유된 전문성의 특성을 가치 실현성과 성찰적 문제해결성, 지식 확장성 등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민간 영역의 청소년활동가를 대상으로 한 전문성 발달과 학습의 의미를 밝힌 한 첫 학술적 성과로서, 향후 민간 영역의 다양한 활동가들의 전문성 발달과 학습 연구의 탐색적 토대를 제공하는데 학술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가 궁극적으로 의도하는 것은 청소년활동가의 존재와 역량, 그리고 역할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그들이 수행해 왔던 활동들을 현상적으로 드러내는 한편, 향후에 그들이 지원해 왔던 학교 안팎의 위기 청소년들의 존재 그 자체를 사회구성원들에게 인식시키고 그 청소년들을 지원할 수 있는 민간과 공공의 균형된 역할을 고민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단기적으로는 청소년활동가들의 활동을 독려하면서 그들이 돌보며 교육하고 있는 위기 청소년을 지원하는 성과로 나타날 수 있을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위기 청소년과 청소년활동가의 역할을 지원할 수 있는 교육정책과 사회정책의 수립으로 귀결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무용전공자의 한국전통문화인식도와 한국무용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박해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무용전공자들이 한국전통문화를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으며 그러한 인식의 차이가 한국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및 한국무용전공자의 한국전통문화인식도와 한국무용수행능력 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무용전공자들에게 한국전통문화인식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교육적 깊이에 도움이 될 것이며, 전통문화교육에 있어서는 체계적인 교과운영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권 대학 가운데 무용(학)과가 있는 6개 대학을 선정하여 한국무용 전공자 1학년∼4학년 300명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기평가기입법(Self administrated method)으로 설문내용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회수 검색을 마친 유효표본 293부의 자료는 Windows for SPSS V. 2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기술통계분석(frequencies Analysis),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및 사후분석(post-hoc) SNK, 적률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이러한 분석방법으로 검증한 결과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무용전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한국전통문화인식도의 차이검증 결과 성별, 학년, 무용경력, 한국전통춤 경험 유·무, 한국무용전공 지속여부에 따른 한국전통문화인식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한국무용전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한국무용수행능력의 차이검증 결과 성별, 학년, 무용경력, 한국무용전공 지속여부에 따른 한국무용수행능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한국전통춤 경험 유·무에 따른 한국무용수행능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한국무용전공자의 한국전통문화인식도와 한국무용수행능력 간의 관계 규명을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전통문화인식의 하위요인인 전통문화교육, 전통문화관심, 전통문화활용능력과 한국무용수행능력의 하위요인인 수행자신감, 수행집중, 수행성취, 이해능력성취, 실기능력성취, 창작능력성취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한국무용전공자의 한국전통문화인식과 한국무용수행능력은 대부분 성별, 학년, 무용경력, 한국무용전공 지속여부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한국무용전공자에게 한국전통춤 경험 유·무는 중요하게 영향을 미칠 항목임에도 불구하고 한국무용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무용전공자들에게 한국전통문화인식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교육적 깊이에 도움이 되며, 전통문화교육에 있어서는 체계적인 교과운영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 학교중단 위기 청소년을 위한 포스트모던 교육복지정책으로서의 위탁형 대안교육에 관한 연구

        박해정 대신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an institutional effectiveness and limit of commissioned alternative education against the dropout phenomenon, by analysing secondary data as unobtrusive research and by fieldwork of participant observation in natural educational settings. In recent days, the dropout phenomenon that adolescents leave formal school education or give up their studies has come to the fore as a serious social problem in South Korea. The dropout phenomenon appears to be caused by a discord between incoming postmodern reality and outgoing modern institution of formal school education. As a response to this social problem, new and diverse alternative schools and educational organizations that try to carry out alternative education have been formed and established, while having undergone trial and error. Nevertheless, the public educational system in South Korea has not realistically lost citizens' common consent about its practical usefulness and institutional stability as ever. From this point, commissioned alternative education is proposed as a kind of institutional supplementary policy that is trying to compensate the defect of public educational system and remedy the limitation of alternative educational system. This research explores how commissioned educational institution to be designated, how this institution to be managed, and how to teach students who are confronting serious crises of dropouts by what kinds of curricular. And then, this research examines whether this commissioned alternative educational system can prevent adolescents who are facing serious crises from dropping out of schools or lessen their dropout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commissioned educational institutions run diverse and open curricula, and use autonomous and individualistic student-oriented teaching methods, while being under administrative control of the Office of Education of Metropolitan Council. The system of commissioned alternative education is functioning as a mutual beneficial policy of public education and alternative education, because it connects between institutional stability of public education and curricular diversity and managerial autonomy of alternative education, This research provides good evidence that the system of commissioned alternative education is institutionally achieving significant effects as a postmodern educational welfare policy, by which it is preventing adolescents from dropping out of schools.

      • 치자 추출액과 은나노 파티클의 합성으로 인한 항균활성 연구

        박해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은 나노 입자는 억제 및 살균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병원 미생물에 의한 항균제 내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동양의학에서 전통적으로 질병의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던 한약재 중 치자Gardenia jasminoides 와 길경Platycodon grandiflorum 을 사용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약재를 통해 은 나노 입자를 만들어 병원성 미생물인 gram 양성균 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VRE), Enterococcus faecalis 에 대해 항균효과를 극대화 시켜줄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찾는 실험을 하였다. 치자와 길경의 추출은 건조 된 상태의 한약재로 열수 추출방법을 사용하였다. AgNO3가 AgNPs로 환원 되었을 때, 반응색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진한 갈색을 띄었으며, 24시간 이후에는 반응하지 않았다. 생물학적으로 환원 된 반응액의 혼합물의 UV-vis spectrophotometer는 은 나노 입자의 특징적인 피크인 24시간 이었을 때 430nm로 최대 흡광도를 보여주었다. AgNO3와 추출액의 농도, 반응 온도 및 시간의 조건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은 나노 입자를 생성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은 나노 입자가 병원성 미생물인 gram 양성 4균주에 대해 항균성을 갖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험균액(0.5 McFarland)로 맞춘 뒤 disk well diffusion과 cell viability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치자와 길경의 추출물을 환원제와 캡핑제로 사용하여 은 나노 입자를 합성 하였다.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은 나노 합성은 경제적이며 에너지 효율적이고 비용이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또한 친환경적으로 합성된 은 나노 입자는 항생제의 한계를 보완 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