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근막이완술이 노인의 경부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박지혜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MyoFascial Release therapy(MFR) on neck pain and range about elderly patients with neck pain.

      • 중학교 취약계층 학생의 학교생활경험 사례 연구

        박지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 초록 중학교 취약계층 학생의 학교생활경험 사례 연구 박지혜 교육행정・교육사회전공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이 연구는 새늘중학교 취약계층 학생들의 학교생활경험을 학습생활,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 측면에서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보고 그러한 학교생활경험의 맥락을 학교 맥락, 가정 및 개인 맥락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취약계층 학생에 대한 기존 인식의 틀을 수정하고 실제 학교생활에서 취약계층 학생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학교 현장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새늘중학교 3학년 학생 3명으로 경제적 수준에 따라 일시적 취약계층, 준 취약계층, 취약계층으로 나누어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생활 측면에서 취약계층 학생들은 공부를 즐거움과 자신감의 표현으로 인식하며, 자신의 욕구 실현을 위해 적극적인 수업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공동체에 기여하는 학습자로서 자신을 인식하고 있었다. 교우관계 측면에서는 자신의 가치관을 근거로 서로에게 얽매이지 않는 교우관계를 맺고 있으며, 깊이 있는 사귐을 하는 친구와는 정서적 지지자로서 서로를 돕는 모습을 보였다. 교사와의 관계에서는 교사를 적극적인 가르침과 깨달음을 주는 존재로 인식하면서도 정서적으로 공감과 소통이 가능한 대등한 존재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학교생활경험의 맥락을 학교 맥락, 가정 및 개인 맥락으로 분석하면 학교의 관계 중심의 안전한 학교 분위기와 관계 형성이 일어나는 활동 중심 수업, 학생들의 성정이 일어나는 학생 자치활동 등이 학교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학교의 사회 자본이 제대로 기능할 때 경제적 여건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긍정적인 학교 생활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정 및 개인 맥락으로는 가정 내 정서적 지지자의 존재, 가정의 경제적 상황에 대한 성숙한 태도, 어려움에 대응하는 자기만의 최선의 방식, 명확한 자기 기준과 학교 안에서의 역할이 학생들의 긍정적인 학교생활경험의 맥락으로 작용하였다. 핵심어: 취약계층, 긍정적 학교생활경험, 학습생활,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 학교 사회자본, 정서적 안정감 ABSTRACT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underprivileged School life experience case study Park Ji-hye Education Administration/Educational Social Studies Kyungin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school life experiences of students from the disadvantaged classes of Saeneul Middle School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terms of their learning development, peer relationships,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lso, it analyzed the context of such school life experiences by dividing them into school context, home, and personal context. Through this study, the existing framework of perception for students from the disadvantaged class was modified,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the education sector figure out what these students actual need from school lif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ree third-year students of Saeneul Middle School and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economic status: temporary, semi-vulnerable, and vulnerable.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were conducted on the three student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In terms of learning, students from the disadvantaged class had an active learning attitude in realizing their dreams and perceived studying with joy and confidence. They also recognized themselves as learners contributing to the community. Among their peers, they have found that even though they are not bound by their peer relationship, they were able to support their friends emotionally with their own valu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s, they were able to recognize a teacher’s job, to teach and enlighten the students. They perceived teachers as an equal that could emotionally empathize with them. When the social capital of the school functions properly, it was found that students can lead a positive school life regardless of their economic condit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xt of school life experience by dividing it into school context, home and personal context, it was revealed that the school context was a safe atmosphere centered on relationships, activity-oriented classes where relationships form, and student self-government activities where students could expression their emotions. In family and personal contexts, the presence of emotional supporters at home, a mature attitude toward the family's economic situation, one's own best way to respond to difficulties, clear self-standards, and roles in the school are all important factors in students' positive school life experiences. Key words: Vulnerable class, positive school life experience, learning life, peer relationship, relationship with teachers, school social capital, emotional stability

      • 한국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학습 동기 변화

        박지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changes happen to English learning motiva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from March to April. This also analyzed the difference in the English learning motiva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the high and low groups of English ability. For this study, 107 students for first year in high school were participated. Intrinsic, extrinsic motivation (external regulation, introjected regulation, identified regulation) and amotivation were measured according to questionnaire about English learning motiva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rist, the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was decreased but amotivation, external regulation and introjected regulation were increased. Identified regulation was no change. It seems that students are studying English in external motivation rather than intrinsic motivation. And more and more the lack of intrinsic and external motivation is increasing. However, the changes in learning motivation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cause learning motivations was measured in a short period of time, it is difficult to assume that students’ motivations were changed. Second, in the high groups of English ability, intrinsic motivation and introjected regulation were declined but external regulation, identified regulation and amotivation were risen. Unlike other learning motivations in higher groups, amotivation was statistically meaningful(t=-2.930, p=.004). It shows that the change in higher groups’ learning motivation has become gradually lacking i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 the low groups, intrinsic motivation, introjected regulation and identified regulation went up but external regulation and amotivation went down.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in low groups’ learning motivations. This study was used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learning motivations. Therefore, if internalized learning motivations of students were measured accurately was not clea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several teaching implications. Teachers should pay attention to students’ English learning condition and make a change the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They can help to improv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s positively.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3월 초와 4월 초의 영어 학습 동기에는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영어 능력 상·하위 집단에 따른 영어 학습 동기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함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전남 Y군 소재의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생 총 107명을 대상으로 3월과 4월에 각각 학습 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문제에 대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3월 초와 4월 초의 영어 학습 동기는 다양한 변화가 있었다. t-검정을 실시한 결과, 내재적 동기는 감소하였으나 외재적 동기의 외적 조절과 부과된 조절, 무동기는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재적 동기의 확인된 조절은 같은 수준을 유지하여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이는 학생들이 내재적 동기보다 외재적 동기에 의해 영어 학습에 임하고 있으며 내재적 및 외재적 동기가 결여된 무동기 상태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짧은 기간에 학습 동기를 측정하였기 때문에 동기간의 변화가 극명하게 나타나지 않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므로 학생들의 학습 동기가 변화하였다고 단언하기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영어 능력 상·하위 집단에 따른 3월 초와 4월 초의 영어 학습 동기의 차이는 집단별로 상이하였다. 상위 집단은 내재적 동기와 부과된 조절이 하락하였고 외적 조절과 확인된 조절, 무동기는 상승하였다. 상위 집단의 다른 학습 동기들과는 달리, 무동기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므로 상위 집단의 학습 동기가 점점 내재적 및 외재적 동기가 결여된 상태로 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하위 집단은 내재적 동기와 부과된 조절, 확인된 조절은 증가하였으나 외적 조절과 무동기는 감소하였다. 하위 집단의 학습 동기에는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무동기 모두 다양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하위 집단의 학습 동기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므로 학생들의 학습 동기가 어떤 작용을 했는지 알 수 없다. 이는 설문지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측정하였기 때문에 학생들의 내면화된 학습 동기를 명확히 측정했다고 보기 어려운 것으로 사료된다.

      • 영화 장르의 진화와 매너리즘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서부극 장르 영화를 중심으로

        박지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erm Mannerism was set by the end of the Renaissance, in the 16th. Later it has been used by the Italian painters who stressed on the idea of form and technical skill. Because of its continuous stressing on form and technique, Mannerism has assumed by time a negative meaning. The term traces origin from the word ‘Maniera’ that means form or method and refers to some writers whose subjective style was based on the idea of imitation. Even though Mannerism refers just as an artistic movement, it influenced the latest generations of artists from the point of view of social and psychological changes. In the 16th century the artists masters of Renaissance -Leonardo da Vinci, Michelangelo, Raffaello- focusing on the concepts of harmony and balance, had reached the point of a complete style which put the artists of the next generations into a crisis of creation. Those new artists tried at that point to find their personal way of expression in the ‘form’ of things. They actually without a real reason, created a new artistic movement, giving through their works the idea of subjectivity, following the pre-existing methodologies. During the 20th century Mannerism influenced the cinema making as well. Even though cinema does not seem to have things in common with Mannerism because of the historical period, social changes, subjectivity of artists, it tried to understand and go through those differences finding in the Mannerism idea a useful instrument for making films. Mannerism has been a film genre connected to the imitation of real things. While Mannerism, like in the pictures, is connected to the expression of conventional forms, the film genre imitating mechanically the reality cannot reach the point of evolution comparing to the past. The historical genre following the idea of ‘form’ assumed by the former generations, transforms itself into a subjective genre creating another kind of ‘form’. It is at this point of the research that Mannerism appears. Mannerism tries to overcome social changes, the audience experiences, film industry in order to bring those important points into a new change. New Film Noire, the French Noir by Jean-Pierre Melville, the Hong Kong Noir of the 80s by John Woo, the American Western, the Spaghetti Western by Sergio Leone, all these new film genres through distortion, exaggeration and reduction, represents the metamorphosis of the past generations. The American Western genre just immediately before the War had reached the point of maturity of the classic genre and started to have contacts with Mannerism. From the second half of the 50s till the end of the 60s the Western genre overthrew the historical values and through a self awareness idea of ‘form’ influenced the 70s too with a new genre called Detective Film. The American Western Film Genre deals with the community problems and the metamorphosis of the characters. The protagonists of the first Western films under the objectives of ‘public security’ were fighting against the rascals of the society, becoming a sort of stereotype characters. The detective film <Dirty Harry> of the 70s is a typical example of an American Western were the protagonist fights against the evil of the society and be far apart from the first American Western films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the genre in the future. At this point Mannerism becomes close with this film genre. The oppressions due to the attachment and emotions about the past brought the directors to use Manneristic theories while creating their movies, because of metamorphosis of main characters and distortion of stereotypes made up by an esthetic and formal structure. 매너리즘(Mannerism, Manierismo)이란 용어는 16세기 르네상스 말기에 접어들어 이탈리아 화가들의 양식과 기교에 치중하는 경향을 일컬어 사용하기 시작한 표현이다. 매너리즘은 보통 기법이나 형식이 습관적으로 되풀이되는 부정적 의미로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이 말은 원래 ‘마니에라Maniera'에서 유래한 것으로 양식, 방식의 개념이며 모방에 근거한 작가의 주관적 스타일을 말한다. 매너리즘 예술 양식은 종말을 고한 후에도 후대의 예술에서 사회적 정신적 변화의 시점에 그 흔적이 되풀이되어 나타났다. 16세기 르네상스의 조화와 균형의 이상화된 예술은 완벽의 경지에 다다르며 예술 역사의 하나의 주기가 완결되었음을 의미했다. 이를테면 앞서 나타난 거장들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이 완벽함에 도달했다면 다음 세대의 창작가들은 이미 ‘성숙’의 단계에 접어든 상황에서, 소재의 위기와 함께 창작의 해답을 찾아야만 하는 것이다. 결국 그들이 찾아낸 해답은 전대의 ‘양식Maniera’으로 창조력을 발휘하는 것이었다. 확실한 창작의 이유 없이 컨벤션을 반복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기성의 방법론을 끌어와 작품 속에 주관성을 부여하고 그것을 변형하는 정신은 새로운 예술의 변화를 이끌어냈다. 20세기의 예술인 영화의 역사에서도 매너리즘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매너리즘은 사회의 변화, 창작가의 주관성, 산업적 발전 차이로 인해 그것이 발현되는 시기적 차이가 있지만 동시대의 다양한 영화들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인식되었다. 영화 창작자들 역시 16세기 매너리즘 화가들이 그랬던 것처럼 과거의 영화를 끌어와 자신의 창작력을 가늠할 수 있는 기회로 삼으며 예술의지를 보여주었던 것이다. 영화에서의 매너리즘이 확실히 적용된다고 할 수 있는 것은 장르 영화이다. 장르 영화는 그 자체가 모방에 근거한 영화라고 할 수 있다. 즉 한편의 장르 영화는 관객이 전에 관람한 동일 장르의 영화에 근거를 두고 있다. 장르는 관습이 형성되고 가치가 확실해진 성숙의 단계가 지나면 컨벤션의 반복으로 관객의 경험에 호소해야 하는 틀이 정해지기 때문이다. 매너리즘이 그랬던 것처럼 장르도 관습적 형식의 반복으로 주관적 창작성이 폄하되기도 했지만 장르적 관습이 기계적으로 모방되고 되풀이되기만 했다면 그것의 진화는 이루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장르의 역사는 전대의 관습적 ‘양식’을 토대로 그것을 주관적으로 수정, 변형하여 또 다른 진화된 ‘양식’으로 나아간다. 이 시기에 매너리즘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사회적 변화, 관객의 경험, 영화 산업 체제의 외적 요인과 그것을 극복하려는 매너리즘의 발현은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 내 왔다. 필름 느와르의 새로운 변형들, 장 삐에르 멜빌의 프렌치 느와르, 80년대 오우삼의 홍콩 느와르, 미국 서부극의 변형들, 세르지오 레오네의 스파게티 서부극 등은 전대의 원형질에서 왜곡, 확대, 축소 등을 통해 또 다른 스타일을 일구어내었다. 미국적 장르인 서부극은 이미 전쟁 직전에 성숙한 형태에 도달하였고 서서히 매너리즘의 단계에 접어들게 된다. 서부극은 전후 50년대 초반에 고전에 대한 회의에서 시작하여 50년대 후반에 이르러 개인주의가 심화된 형태를 보였으며, 60년대에 이르러서는 서부극 장르의 역사와 가치를 전복하거나 자의식적인 양식화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70년대에 이르러 서부극은 타 장르인 SF 영화나 경찰 영화들로 이식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흐름은 사회 공동체의 변화 속에서 주제적 특징, 인물 변형, 형식적 특징을 통해 잘 나타나고 있다. ‘공공의 안전’이라는 목표 아래 선악이 분명했던 초기 서부극은 주인공의 인물 유형이 변형되고 왜곡되는 것을 시작으로 70년대 경찰 영화인 <더티 해리>에 이르면 감정이 축소되고, 선악이 모호한 초기 서부극과 동떨어진 현대적 서부극을 발견하게 된다. 서부극에서 현대 경찰 영화에 이르기까지 그 변화에는 사회적 경제적 요인과 함께 매너리즘의 정신이 존재하며, 70~80년대를 지나는 동안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텍스트로의 접근성이 쉬워져 과거의 영화와 현재의 영화는 동시대에 접근 가능한 저장소가 되었다. 영화 역사에 대한 애정과 거장에 대한 압박감으로 시작됐던 매너리즘은 현대에 들어와 영상의 재활용이라는 성격을 띠기도 하지만 이는 새로운 문화적 기능으로 다시 태어난다는 긍정적인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최초의 매너리즘 위에 매너리즘은 계속 새로이 세워지고 이는 현대 영화 예술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예술 창작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 꽃과 채소 가꾸기 활동이 초등학교 아동들의 자아개념과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박지혜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계문명의 발달과 함께 정화되지 않은 정보들이 난무하고 자의든 타의든 무방비 상태로 미디어와 영상자료, 여러 매체에 노출되어 날로 세상이 삭막해지고 이기주의의 팽배, 물질 만능주의 사상으로 대변되는 현대사회에서 인간의 참된 도리나 아름다운 정서 또한 날로 황폐해져 가고 있다. 특히 요즘의 아동들은 이러한 생활속에 일찍부터 노출되어 아무런 비판능력도, 정보의 옳고 그름을 가릴 판단 능력도 없는 상태에서 세상의 부조리, 폭력, 비인간화, 인간소외 현상에 쉽게 속해 버리게 된다. 이러한 아동들에게 어려서부터 정서적으로 따뜻하고, 다른 사람, 다른 사물, 다른 생명체를 소중하게 생각하는 마음을 길러주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긍정적인 자아개념의 확립과 공동체 속에서 다른 사람과 어울리며 살 수 있는 사회성의 발달을 함양시켜주는 교육이며 이는 현대사회에서 반드시 요구되어지고 이루어져야 할 일이며 가장 시급한 일이 아니라 할 수 없다.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긍정적인 자아개념, 사회에서 성숙하게 생활할 수 있는 심성을 길러주는 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아동의 발달 특성상 직접 체험하고 활동하는 것을 즐겨하고 또 여기서 얻는 것이 많은 실천적 노작교육이 아동들에게 가장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하여 본 연구주제를 수행하게 되었다. 초등학생들의 꽃과 채소 가꾸기 활동에 의한 자아개념 및 사회성숙도 변화를 살펴보면 비교집단과 실험집단 모두 사전검사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후검사의 여러 가지 하위 영역에서 실험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사후 검사에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전체적인 자아개념이 높게 나타났으며(p<.01), 자아개념의 각 하위영역도 사후검사시 비교집단에 비하여 중요인물(p<.01), 또래친구(p<.05) 정서적응성(p<.05), 성격(p<.05), 정서안정성(p<.05), 자아정체성(p<.05), 사회성(p<.05), 및 긍정적 사고(p<.05) 함양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험집단의 남학생(p<.05)과 여학생(p<.05)의 정서적응성 발달, 남학생의 성격(p<.05), 정서 안정성(p<.05), 긍정적사고(p<.05), 여학생의 또래친구(p<.05), 자아정체성(p<.05)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성숙도의 사후검사에서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p<.05), 각 하위영역에서도 사후검사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하여 정서안정성(p<.05), 자아정체성(p<.05), 사회성(p<.05) 및 긍정적 사고(p<.05)에서 모두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특히 정서안정성과 사회성에서 실험집단의 남학생이(p<.05), 긍정적 사고에서(P<.01)을 보이며 사회성숙도 함양에 남학생이 더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꽃과 채소 가꾸기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자아개념과 사회성숙도 향상에 긍정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높게 나타났으므로 학교에 식물 가꾸기 활동에 필요한 식물 교재원과 실습지, 이에 필요한 실습기구의 확보가 필요하며, 식물 가꾸기를 위한 식물 교재원과 실습지 확보가 어려우므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식물 가꾸기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프로그램을 널리 보급하기 위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고, 차후에는 학년과 지역, 성별 특성을 고려한 좀 더 다양한 가꾸기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With the advance of mechanical civilization, we are inadvertently expose to various media including videos, whether voluntarily or regardless of our own will, in the situation where the world are flooded with all kinds of untested information. Accordingly, our society is getting darker and due to surging selfishness and materialism, it is getting hard to find behaviors based on human nature or benevolent sentiments today as time goes by. Children today in particular, are vulnerable to absurdity, violence, dehumanization, and human-alienation as they have been exposed to such media and information at early ages without proper capacity to judge whether certain information is wrong or right. Therefore, it is the education to help students grow as a person that lives with others harmoniously and have a positive self-concept that is most important to help children become an emotionally warm person and respect other people as well as all that have a life, which is the most urgent challenge for us today. The subject matter of this study wa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children enjoy exploratory activities in light of their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refore practical work-based education that they are likely to learn many things would be effective for children, among many other ways to help primary school students have a positive self-concept and grow to be a matured member in our society. As a result of analysis on changes in self-concept and social maturity caused by cultivation activities of flowers and vegetables for primary school students,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comparative and experimental groups alike in a pre-test, while experimental group showed many changes in a number of sub-areas in a post-test. In a post-test,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higher in overall self-concept(p<.01), and the results of a post-test on sub-areas of self-concept showed that such sub-areas had much effect on the cultivation of important person and peers(p<.05), emotional adaptability(p<.05), character(p<.05), emotional stability(p<.05), self-identity(p<.05), sociability(p<.05), and positive thinking(p<.05). Especially, they were found to have a strong effect on emotional adaptability of boys(p<.05) and girls(p<.05), character (p<.05), emotional stability(p<.05), and positive thinking(p<.05) of boys, and peers(p<.05) and self-identity(p<.05) of girls in experimental group. In a post-test of social maturity, experimental group exceeded the comparative group(p<.05), and as a result of a post-test on sub-areas of social maturity,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to have higher emotional stability(p<.05), self-identity(p<.05), sociability(p<.05), and positive thinking(p<.05).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bility, in particular, were much higher among boys of experimental group(p<.05), together with higher positive thinking(P<.01), which implies that boys are more influenced in terms of social maturity. Given that cultivation activities of flowers and vegetables have a positive effect on enhancement of self-concept and social maturity of primary school students to a larger degree, it is important to make materials of plant resources, soils for practice, and practice equipments needed for plant-cultivation activities available at school, and find a wide range of alternative methods to carry out plant-cultivation activities, when it is hard to secure materials of plant resources and soils for practice necessary for plant-cultivation.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how to promote this program more extensively and to conduct further studie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variety of cultivation program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grade, region, and gender.

      • 사회변화에 따른 한국창작무용의 추세와 변화

        박지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사회는 지난 한 세기 동안 실로 혁명적인 사회변동을 경험해 왔다. 사회변동은 일정한 시차를 두고 가치체계의 변동을 수반하여 광범위한 문화변동을 가져왔다. 한국창작무용도 이러한 시대와 사회가 요구하는 새로운 가치를 실현하기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작품화되었고, 관객들과 함께 소통하고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끊임없이 창작실험 작업을 해왔다. 결국 춤은 시대와 사회 속에 부속물이 아닌 교류와 소통의 대상인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변화에 따른 한국창작무용의 추세와 변화를 예측해봄으로써 한국창작무용의 방향성을 진단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이에 따른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1920 ~ 2010년까지 한국창작무용의 시대적 흐름을 정리해보면 신무용기 → 창작무용기 → 모더니즘(modernism) →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으로 변화해 왔다. 현재 한국창작무용은 과학기술의 발달로 IT등의 인접예술과의 교류를 통해 적극적인 변화를 시도해왔다. 이렇듯 지금 현재 한국창작무용의 실태를 파악해보면 요즘의 젊은 세대층에서 경계를 파괴한다는 생각이 다수를 이루고 있고, 그 와중에 현대무용과 한국창작무용의 경계가 급속도로 사라지는 상황을 빚고 있다. 즉 인접예술과의 교류를 통해 창작화하는 과정에서 현대적인(현대무용) 테크닉에만 치우쳐 한국무용 고유의 정신, 춤사위를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태이다. 한국창작무용의 창작적 깊이와 함축성은 그 바탕에 전통춤의 원형을 간직할 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니체에 의하면 영원한 시간은 원형(圓形)을 이루고 그 원형 안에서 일체의 사물이 그대로 무한히 되풀이되며, 그와 같은 인식의 발견도 무한히 되풀이된다고 하였다. 현대화의 진행으로 탈장르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지금, 현재 위치에서 뒤돌아봄으로써 한국창작무용은 리그레셔니즘(regressionism) 시대가 올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한국창작무용 고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본연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의미이다. 또한 독자적인 예술장르를 구축하기위해 한국무용 고유의 정신과 춤사위(호흡, 곡선, 정중동, 여백의 미, 발디딤, 굴신 등)를 바탕으로 재해석하여 현 시대가 요구하는 현대적 감각에 맞게 창작되어져야 할 것이다. 한국창작무용의 리그레셔니즘(regressionism)시대가 도래하면 한국무용 고유의 독창적이고 독자적인 창작예술이 형성 될 것이라고 본다. 더 나아가 세계로 진출하여 독자적인 한국적 무용예술을 구축 하고 상품화 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다. 현대적인 것에만 치우쳐 한국무용 고유의 춤사위가 결여된 한국창작무용 작품은 세계에 나가서도 빛을 보지 못할 것이며, 한국고유의 정신과 춤사위를 바탕으로 재해석하되 보는 이들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작품이어야 말로 경쟁력이 있을 것이다. 한국춤사위의 뿌리를 바탕으로 하지 않고 표현되는 개성보다는 전통춤의 근원에 대하여 철저히 연구한 바탕 위에서 표현된 개성이야 말로 한국창작무용을 세계적 무용으로 끌어올리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국무용의 기본 전통적 춤사위를 바로 알고 한국창작무용 고유의 특성화를 개발해야한다. 또한 우리 고유의 춤사위를 깊이 연구하고 현대적 감각에 맞게 변형하여 현 시대의 흐름을 파악하여 안무자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충분히 고민하고 이해한 뒤 작품에 임해야 할 것이다. 한국창작무용은 한국고유의 참된 멋과 맛 그리고 흥, 세계로 뻗어 나갈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무용예술이다. 한국인들의 정서와 고유의 미(美)가 담겨있는 한국무용이야 말로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예술이 될 것이다.

      • 대북 인도적 지원을 담당하는 NGO 활동가의 실천적 경험에 관한 연구

        박지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cognized North Korean residents' lives below than minimum level of human lives because of extreme economic difficulties under hostile relations of both Koreas. The study investigated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of NGO in South Korea, and examined values of NGO activists who gave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problems and obstacles, relations with various kinds of interest parties in both Koreas, and the activists' reaction. The study suggested approaches for development of humanitarian assistance project to North Korea, and found out social welfare implications that were discovered at project experience, and got information and material that were needed to prepare for practice of social welfare to North Korea in the era of unification. The study had a question of "What are value and essence of practice experience of NGO activists who do humanitarian assistance project to North Korea?": And, the study investigated practice experience of five NGO activists who worked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or social welfare project in local of NGO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to have 4-years or more assistance to North Korea as we; as 20 times or more visits to North Korea. The subject was NGO activists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in their mid thirties to early forties to consist 2 women and 3 men. The NGO activists had job experience of 4-years to 10-year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to be 6.4 years on average, and they visited North Korea more than 20 times to be more than 60 times on average.The NGO activists were majored in social welfare or equivalent to have license of social worker. Preliminary survey was done 2 times in April and May 2009, and main survey was done 13 times from August to December 2010. The author interviewed each one of NGO activist 2 times to 4 times to spend 4 hours to 7 hours and to be 5 hours and 30 minutes on average per NGO activist. The author wrote down NGO activists' statement when listening to recording several times. The phenomenological data analysis was done (Giorgi(1985)) was done. The study investigated practical experience of NGO activists who did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suggested not only situation structure but also common structure, and stated common structure to give relation and structure between experience essence and essence. The situation structure that stated values of NGO activist experience investigated background and motive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North Korea related experience of family and/or school, individu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special experience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NGO activists' practical experience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at common structure included 29 sub factors, 10 factors and 3 subjects. The subject of 'communication at boundary place' described experience that NGO activists in South Korea contacted North Korea and did North Korea project and met North Korean officials, and it consisted of four factors, that is to say, 'experience of post ideology and cognition on human love', 'others' cognition on otherness and conflicts', 'admittance of the other party and having relations', and 'communication between both Koreas and discovery of aphorism'. The first factor of 'experience of post ideology and cognition on human love' consisted of 'strange place, and contact with the ones having no horn like me' and 'production of pity and sympathy'. The second factor of 'others' cognition on otherness and conflicts' described conflicts and tension of 'experience with the North Korean society and North Korean officials' to consist of 'excessive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tension caused by North Korea's demand' and 'relationship conflicts of spirit fighting and control of men'. The third factor of 'admittance of the other party and having relations' described experience of the process having relations with North Korea to consist of 'admittance of North Korea from point of view of North Korea', 'communication with North Korea', and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relations'.The fourth factor of 'communication between both Koreas and discovery of aphorism' described subjects and wisdom at having relations and communication with North Korea to consist of 'genuineness to help', 'will and practice to help from heart', 'mutual respect and consideration', and 'base of communication, reliability'. The second subject of 'overcoming of obstacles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described obstacles at assistance to North Korea to consist of 'controversy over assistance to hostile party','struggle at political, multi-layer and conflicting structure' and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The first factor of 'controversy over assistance to hostile party' consisted of three sub factors that is to say, 'base of justification of the assistance', 'counteraction against criticism of the most generous aid: pressure of transparent distribution', and 'limitation of fund-raising and ethical dilemma'. The second factor of 'struggle at political, multi-layer and conflicting structure' consisted of 'North Korea' military behavior, international relations, North Korea authority / South Korea authority, pressure and limitation from public opinion, conflicts between the Government and organizations, criticism and isolation in the group, and other obstacles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from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The third factor of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described NGO activists' understanding and overcoming of obstacles from point of view of time, space and business entity of assistance to North Korea.In other words, the third factor consisted of 'clarification of time characteristics : communication first, and development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clarification of space characteristics : Helping compatriot in divided nation', and 'clarification of characteristics of NGO : humanism first'. The third subject of 'border, between and beyond' described NGO activists' challenges not only in North Korea but also in the society in South Korea and attitudes, strategies and roles at counteractions. Formation and expansion of NGO activists consisted of 'find out position at criticism and chaos', 'having counteraction strategies of activist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developed roles of activist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Finding out position at criticism and chaos' had three factors, that is to say, 'doubt and prejudice from both systems', 'check of political line, thought of security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mission and vision that are voluntary power'. The second factor of 'set up of counter action strategy of NGO activist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consisted of 'mission and vision of voluntary power', 'professionalism by learning and information', and 'harmony of head and heart'.'Roles of NGO activist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had roles of activists who exploited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it consisted of three sub factors, that is to say, 'window : an interpreter of both Koreas instead of stranger', 'from alone to network constructor with various kinds of cooperators', and 'responsible developer rather than passive administrator'. NGO activists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had essence of practical experience, for instance, common structure of 'boarder, between and beyond' with unstoppable mind. The study suggested discussions from the findings of practical experience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of NGO activists of social welfare at home and abroad. First, the study suggested review and application of aphorism based on 'self-check' factors at various kinds of levels of NGO activists for communication with North Koran officials, and connections with multi-cultural social welfare practice paradigm. Second, assistance to North Korea for political purposes could be done by understanding at national, social, racial and political level to put into practice effectively, and to discuss communication and fusion with science of North Korea, politics, ethics, history, sociology and others. Third, the study argued 'return to the essence' of 'human respect' of practice of social welfare by 'practical attitudes based on human respect' of the NGO activists who took risks and danger to put assistance to North Korea into practice, and discussed interests in assistance to North Korea. The study suggested human resources and organization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policies and practices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First, NGO activists' reasonable planning and execution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were required, and the activists' job should be divided depending upon process, for instance, assessment & planning, implementing, monitoring, evaluation and administration of government agency. Second, the study suggested the NGO activists' education and training, organizational supports, supply of super vision and development project manual. Third, the study put emphasis upon reliability based on understanding of roles of the government and NGO, and suggested professionalism and autonomy for strengthening of capability of NGO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supports and partnership of the activists' training. Fourth, cooperation was needed with organization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various kinds of groups in the society in South Korea and international society. Fifth, assistance to North Korea was likely to be done from various kinds of aspects so that assistance to North Korea should be done from long-term point of view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as well as regional development. 본 연구는 적대적인 남북관계 속에서 극심한 경제난으로 북한 주민들이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삶이 위협받고 있는 것에 대한 문제인식에서 시작하였다. 북한 주민을 돕기 위한 남한 NGO의 대북 인도적 지원에 주목하고, 대북 인도적 지원을 수행하는 활동가가 표방하는 가치, 문제와 장애물, 남한과 북한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관계, 활동가의 대응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대북 인도적 지원사업의 발전에 요구되는 접근을 제안하고, 사업 경험에서 발견되는 사회복지적 함의를 참고, 통일 시대 대북 사회복지실천을 준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와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대북 인도적 지원 사업을 담당하는 NGO 활동가의 실천 경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가지고 남한의 대북지원 민간단체들 중 국제개발이나 국내에서 사회복지사업을 수행하는 NGO에서 대북지원 경력 4년 이상, 방북횟수 20회 이상의 활동가 다섯 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실천 경험을 연구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북 인도적 지원 NGO 활동가의 연령은 30대 중반에서 40대 초반이며, 여성 2명, 남성 3명이다. 대북 사업 경력은 최소 4년에서 최대 10년으로 평균 6.4년이며, 방북 횟수는 20회 이상으로 평균 60여회 이상이다. 참여자의 전공은 사회복지와 관련된 학문이나 인접 학문이며, 모두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다. 면담은 2009년 4-5월 사이에 2회의 예비조사를 거쳐, 2010년 8-12월 5개월간 본조사를 13회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 1인당 최소 2회에서 4회까지 면접을 진행하였으며, 시간은 최소 4시간에서 최대 7시간으로 연구참여자 1인당 5시간 30분 정도의 면접시간을 가졌다. 연구참여자의 진술은 연구자가 여러 번 녹음을 들으면서 직접 필사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Giorgi(1985)의 현상학적 자료 분석 방법에 따라 단계적으로 수행하였다. 대북 인도적 지원을 담당하는 NGO 활동가의 실천 경험을 분석한 결과는 상황적 의미구조와 일반적 의미구조로 나누어 제시하고, 경험의 본질과 본질간의 관계와 구조를 통합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일반적 구조를 진술하였다. 연구참여자의 개별적인 경험의 의미를 진술한 상황적 의미구조는 연구참여자가 대북지원 사업을 시작하게 된 배경과 동기, 가족이나 학교에서의 북한 관련된 이전 경험, 대북지원 사업과 연관된 개인적 배경과 특성, 대북지원에서 본인만의 특별한 경험의 차이를 분석하여 진술하였다. 일반적 의미구조에서 대북 인도적 지원을 담당하는 NGO 활동가 실천 경험의 본질로 29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10개의 구성요소, 3개 주제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주제인 ‘경계적 위치에서의 소통’은 연구참여자가 남한의 활동가로서 북한을 접하고 북한 사업을 대하고 북한 관리를 만나면서 겪는 경험에 관한 것으로 ‘탈이데올로기의 경험과 인간애의 새로운 인식’, ‘타자의 타자성 인식과 갈등’, ‘상대에 대한 인정 그리고 관계맺음’, ‘남북 소통의 아포리즘 발견’의 4개 요소로 구성된다. 첫 번째 구성요소인 ‘탈이데올로기의 경험과 인간애의 새로운 인식’은 ‘낯선 곳, 뿔 안 달린 나와 같은 사람들과의 접합’, ‘동포애와 긍휼의 움틈’으로 구성된다. 두 번째, ‘타자의 타자성 인식과 갈등’은 북한 사회와 북한 관리와의 경험 중 갈등과 긴장을 다루고 있는데, ‘무리한 대북지원 구조와 북한의 요구로 인한 긴장’, ‘관계적 갈등 : 기싸움, 사람조종’로 구성된다. 세 번째 구성요소인 ‘상대에 대한 인정 그리고 관계맺음’은 북한과 관계를 맺는 과정에서의 경험을 드러낸 부분으로 ‘북한의 입장에서 북을 인정’, ‘북한과 통(通)하기’, ‘전문적 관계 정립 노력’으로 이루어진다. 마지막 구성요소로 ‘남북 소통의 아포리즘 발견’은 연구참여자가 북한과 관계를 맺고 소통하는 과정에서 발견하고 터득한 명제와 지혜들로 ‘도우려는 순수함으로’, ‘진심으로 돕겠다는 의지, 실천’, ‘상호존중과 배려함으로’, ‘소통의 기본, 신뢰’의 4개 하위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두 번째 주제인 ‘대북 인도적 지원의 장애물 넘기’는 대북 사업을 하면서 겪게 되는 장애물에 관한 것으로 ‘적대적 대상에 대한 지원을 둘러싼 논란의 중심에 섬’과 ‘정치적·다층적·갈등적 구조에서 몸부림’, ‘대북지원 사업의 의미 부여와 해석’ 3개 의미로 구성된다. 첫 번째 ‘적대적 대상에 대한 지원을 둘러싼 논란의 중심에 섬’ 은 ‘지원 정당성의 근거마련’, ‘퍼주기 비판에 대한 대응 : 분배투명성 확보 압박’, ‘모금의 한계와 윤리적 딜레마’의 3개 하위 의미로 구성된다. 두 번째 구성요소인 ‘정치적·다층적·갈등적 구조에서 몸부림’에서는 ‘북한의 군사적 행동, 국제관계, 남/북 당국, 여론으로부터의 압박과 제한’ , ‘정부 그리고 단체들 간 갈등’, ‘단체 내부에서의 비판과 소외’ 등 단체 내·외부 환경으로부터 제기되는 대북 인도적 지원의 다양한 장애물에 관한 부분을 담고 있다. 세 번째 ‘대북지원 사업의 의미 부여와 해석’은 연구참여자가 대북지원 사업을 하면서 시간적으로 공간적으로 그리고 사업주체의 측면에서 이 사업의 특성을 이해하면서 장애물을 극복해나가는 경험을 담고 있다. 이는 ‘시간적 특성 규명 : 소통이 먼저, 대북지원 개척기’, ‘공간적 특성 규명 : 총 겨눈 분단 조국에서 동포를 도움’, ‘민간단체로서의 특성 규명 : 인도주의 우선’ 으로 구성된다. 세 번째 주제는 ‘경계, 그 넘어를 향해’로 연구참여자들이 사업수행에 있어서 북한 현지와 남한 사회에서 겪게 되는 도전과 그에 대한 대응의 과정에서 활동가로서 취해온 태도, 전략, 역할과 관련된 경험에 해당한다. 연구참여자들이 활동가로서 정체성을 형성하고 확장하는 경험은 ‘비판과 혼란스러움 속에 자기자리 찾기’, ‘대북지원 활동가의 대응전략 구성’, ‘대북지원 활동가의 역할 진화’로 구성된다. ‘비판과 혼란스러움 속에 자기자리 찾기’는 ‘두 체제로부터의 의심과 편견’, ‘정치노선, 안보관 그리고 역사의식의 점검’, ‘자발적 동력으로의 사명과 비전 견지’ 세 하위 의미로 나뉜다. 두 번째 구성요소인 ‘대북지원 활동가의 대응전략 구축’ 은 ‘자발적 동력으로의 사명과 비전 견지’, ‘학습과 정보습득을 통한 전문성 향상’, ‘머리와 가슴의 조화’ 등 세 개 파트로 구성된다. ‘대북지원 활동가의 역할 진화’는 대북 인도적 지원을 개척하는 활동가로서 역할을 구성하고 새로 만들어 가는 경험에 대한 부분으로 ‘낯선 이방인에서 남북 통역자로’, ‘혼자에서 다양한 협력자들과 네트워크 구축자로’, ‘소극적 행정가에서 책임있는 개척자로’의 3개 하위 의미로 이루어진다. 대북 인도적 지원을 담당하는 NGO 활동가의 실천 경험에 관하여 경험의 본질과 본질을 구조적으로 통합한 결과, 일반적 구조는 - 눈감을 줄 모르는 마음으로 ‘경계, 그 넘어(Between & Beyond)’를 향해 ― 를 중심 의미로 하여 진술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국내외 사회복지사업을 주로 하는 개발 NGO 활동가의 대북 인도적 지원 실천 경험에 대한 연구결과로부터 몇 가지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북한 관리와의 소통의 과정과 소통을 위한 연구참여자의 다양한 차원의 ‘자기확인‘ 요소를 토대로 소통의 아포리즘에 대한 검토와 적용, 다문화 사회복지실천 패러다임과의 연결을 제안하였다. 둘째, 정치적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대북지원에 있어서 실천가의 국가적, 사회적, 민족적, 정치적 차원에서의 자기이해와 현실에 기반한 효과적인 실천을 위해 사회복지학문의 북한학, 정치학, 철학, 윤리학, 역사학, 사회학 등 타 학문과의 소통과 융합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셋째, 대북 인도적 지원 실천 현장에서 경계를 넘는 연구참여자의 ‘인간 존중을 기반으로 한 실천적 태도’를 통해 사회복지실천의 ‘인간존중’이라는 ‘본질로의 환원’을 제기하면서 대북지원에 대한 관심 제고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북지원 사업을 수행하는 인력 및 조직적 차원, 대북 인도적 지원 정책에 대한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첫째, 대북 인도적 지원 사업 실행에 있어서 활동가의 합리적인 계획과 집행을 요구하며, 활동가의 직무를 사업과정에 따라 지역조사(assessment) & 기획(planning)―실시(implementing)-모니터링(monitoring)―평가(evaluation)―기관행정 업무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대북 인도적 지원 활동가에 대한 교육과 훈련, 조직의 지지와 수퍼비전의 제공과 사업 매뉴얼 개발을 제안하였다. 셋째, 정부와 NGO의 역할 이해를 바탕으로 한 신뢰구축을 촉구하였고 정부가 대북지원 NGO 역량 강화를 위해 전문성과 자율성을 확대하고, 활동가의 교육훈련을 지원하고 파트너십을 구축할 것을 제안하였다. 넷째, 대북 인도적 지원을 수행하는 단체 간, 그리고 남한 사회 다양한 집단을 비롯해 국제 사회와의 보다 협력적 연대를 요구하였다. 다섯째, 향후 대북지원은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을 대비해 국제개발, 지역개발의 보다 장기적인 차원에서 북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으로 나갈 것을 제안하였다.

      • 한국 외교정책 결정과정에서 국내 행위자들의 역할 : 이라크 추가파병 결정과정을 중심으로

        박지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은 지정학적 취약성으로 인해 주변 강대국의 영향을 받아 외교정책 결정과정에서 국제적 요인이 큰 변수로 작용해왔고, 국내적 요인은 결정과정에서 상당 부분 배제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민주화 이후 국내적 요인이 외교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민주화가 진전되면서 일반 국민들이 정책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도적 폭이 넓어졌고, 그에 따라 정책결정자는 여론에 민감하게 되었다. 더불어 시민사회에서의 외교정책 결정사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다는 점에서 외교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는 과정에 여론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지가 커졌다. 대표적인 사례로 노무현 정부 당시 이라크 파병을 들 수 있는데, 특히 이라크 추가파병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이라크 전쟁을 시작할 당시 미국이 명분으로 내세운 대량살상무기의 존재와 알카에다와의 연계성 등이 거짓이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자 한국 내에서는 반미 · 반전운동과 혼재되어 추가파병에 대한 논란이 심화되었다. 즉 한국 사회 일각에서는 파병유무에서부터 파병부대의 규모와 성격에 이르기까지 재검토를 요구하는 등 심각한 국론분열 현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이 같은 논란 속에서 노무현 대통령은 이라크 추가파병을 결정하였다. 이라크 추가파병은 과거의 사례와는 달리, 갈등적 결정과정과 더불어 예외적인 결과가 나타났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는 추가파병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찬반양론에 따른 국론분열이 한 · 미간의 추가파병에 대한 확정시기의 지체로 이어졌다는 것과 파병의 구성과 내용적인 측면에서의 미국과의 마찰이 양국 간 상호 절충적 합의를 도출하는 과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기존의 미국에 일방적으로 끌려 다녔었던 외교적 사안과는 두드러진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노무현 정부가 이라크 추가파병을 결정하는 과정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국가가 외교정책을 결정하고 추진하게 되는 원인과 과정 그리고 그 과정에서 국내 행위자들이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의 주제와 관련된 기존 연구들은 이라크 추가파병이 결정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발표된 것이기 때문에, 이라크 추가파병이 이루어지던 당시의 국내정치 상황을 충분히 담아내지 못한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는 이라크 추가파병 결정과정에서의 한 · 미 정부의 협상과 국내에서의 비준의 중요성을 동등하게 보고 있다는 점에서 본 논문과 차이가 있다. 왜냐하면 본 논문은 이라크 추가파병 결정 이후의 자료들을 통해 당시 국내정치 상황을 충분히 연구하여, 추가파병을 결정하는 가운데 영향을 미친 국내 행위자들을 포괄적으로 분석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노무현 정부 시기 이라크 추가파병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국내 행위자들의 역할이 증대되었다고 보았다. 그러나 양면게임이론을 바탕으로 살펴보았을 때, 이라크 추가파병 결정과정에서 노무현 대통령은 북핵문제와 한미동맹의 재조정 문제 등 국제적 요인으로 인해 추가파병을 추진할 수밖에 없었고, 미국과의 협상과정에서 유리한 위치는 점하고자 국내 협상과정에서 국내 윈셋(win-set)의 크기를 조작하는 전략들을 취했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라크 추가파병 협상과 한국의 국내정치의 연계를 평가하자면 과거에 비해 국내 행위자들의 관심과 참여가 증대하였고, 일정 부분 큰 반향을 일으키기도 했다. 그러나 상위정치 수준의 군사 · 안보협상에서는 외교정책 결정과정에서 최고 권한을 소유한 노무현 대통령의 정치적 선호와 전략이 추가파병 결정과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며, 과거와는 다른 방식으로 국내협상 대상자들을 대통령 개인의 선호와 전략에 활용하였다.

      • 미용전공대학생의 자존감이 학업성취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지혜 영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number of the people to pursue their health and beautiful life increases, due to the development of economic and social consciousness in the modern society, the beauty industry is also growing rapidly. The number of beauty professionals is also increasing rapidly by being encouraged under this trend. In addition, the number of competent professionals with high educational background who have completed systematic and specialized education courses is also accelerating. Thus, scientific ability and need for systematic adaptive skills of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re being emphasized; however, in reality, students with high education majoring in beauty lack professionalism as beauty professionals. Currently, the beauty industry is facing a chronic labor shortage due to the high turnover rate of highly educated professionals. Accordingly, what is needed urgently is their desirable professional values ​​as beauty specialized professional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data necessary in order to be able to create human images of reasonable beauty professionals with confident self-esteem which a modern society requires and for them to have highly educated, mature and specialized professionalism, by studying and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ir careers and academic achievement affected by their self-esteem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their internal career consciousness for correct professional values ​​formation by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beauty.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after preparing questionnaires, which are based on the questions that have been extract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background, I reviewed and correct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questions through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500 college students of beauty-related departments of the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area. For the data collected, using the SPSS20.0 statistical program, its validity was identified through question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ts reliability was examin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then utilizing these factors,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Th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self-esteem,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attitude, it showed that self-esteem has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s with academic achievement's sub-factors, academic achievement, self-regulation ability and all of the sub-factors of career attitudes: determinacy, readiness, fitness for purpose, and confidence. This indicates that as their self-esteem is higher, their academic achievement has been advanced, by encouraging them with positive academic motive, and it also means that they have mature career attitude for their correct career selection and decision. Second, I perform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parameter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in relation to the career attitudes and self-esteem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beauty. As a result, although there was a parameter effect of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process of affecting readiness―a sub-factor of career attitudes, it can be seen that it didn't have a parameter effect on the self-esteem and the entire career attitudes. This means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which is performed by the credits or grades acquisition does not have any direc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having mature career attitudes. Third, I perform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parameter effect of self-regulation ability in relation to the career attitudes and self-esteem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beauty. As a result, it can been seen that there was a parameter effect of the self-regulation ability in the process of affecting determinacy and readiness―the sub-factors of career attitudes, and it also had parameter effects in the process of affecting the entire career attitudes. This means that the positive academic attitudes, which means that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beauty-related are positive in their school life and can wisely cope with whatever circumstances occur have more influence than the academic achievement ability which are performed by learning, on having mature career attitudes in determining their career selection. In this study, as we find out that among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students with high self-esteem and correct self-regulation ability have mature carer attitudes in deciding their own career, so professors guided projects and specific follow-up studies, which can guide them to self-regulate with positive self-esteem will be needed―other than uniform valuation methods of credits completion only. Through their school life and learning process in such ways, by giving them high self-esteem and mature professionalism as professional workers, we can expect that they will settle and develop as competent talents and at the same time, the endless growth and development in the beauty industry will also be able to be expected in the future. 현대사회의 경제적, 사회적 의식구조의 발달로 인해 개인의 건강과 아름다운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미용 산업도 급격하게 성장 하고있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미용종사자들의 규모도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또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과정을 이수한 유능한 고학력의 전문 인력의 배출도 가속화 되고 있다. 이에 미용전공대학생들의 과학적인 능력보유와 체계화된 적응도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고학력 미용전공자들의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직업의식이 부족한 현실이다. 현재 미용업계는 고학력의 전문 인력의 높은 이직률로 인한 고질적 인력난을 겪고 있다. 이에 미용전문직업인으로서 바람직한 직업관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올바른 직업관 형성을 위하여 내적 진로의식의 중요부분인 자존감에 의한 학업과 진로에 대한 연관성을 연구 분석하여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당당한 자존감을 가진 합리적인 미용전문직의 인간상을 만들고 고학력의 유능하고 성숙한 전문 직업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이론적배경과 선행연구들을 통해 추출된 문항들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한 후 예비조사를 거쳐 문항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토 수정하여 부산 경남에 소재하는 대학교의 미용관련학과 전공대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질문조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문문항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타당성을 파악하고 신뢰성 분석을 통하여 신뢰도를 검사하였으며 이 후 요인들을 이용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사용된 변인 자존감, 학업성취, 진로태도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존감은 학업성취 하위요인 학업성취, 자기조절능력과 진로태도 하위요인 결정성, 준비성, 목적성, 확신성 전체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이는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자존감이 높을수록 적극적인 학습동기를 부여해줌으로써 학업성취가 정진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올바른 진로선택과 결정을 위한 성숙한 진로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미용전공대학생의 자존감과 진로태도와의 관계에서 학업성취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용전공대학생들의 자존감이 진로태도 하위요인 준비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학업성취의 매개효과는 있었으나 자존감과 진로태도 전체에는 매개하지 않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미용전공대학생의 학점으로 이수하는 학업의 성취효과는 직접적으로 성숙한 진로태도를 가지는데 있어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미용전공대학생의 자존감과 진로태도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용전공대학생의 자존감이 진로태도 하위요인 결정성, 준비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진로태도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도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미용관련전공대학생의 학교생활에 있어 긍정적이고 발생하는 어떤 상황에서 현명하게 대처하여 자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적극적인 학습태도가 학습으로 이수하는 학업성취능력보다 직접적으로 본인의 진로선택을 결정함에 있어 성숙된 진로태도의 자세를 가지는데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에서 미용전공대학생들의 긍정적이고 높은 자존감을 가진 학생과 올바른 자기조절능력을 가진 학생이 자신의 진로를 결정함에 있어 성숙된 진로태도 자세를 가진다는 연구결과를 얻었으므로 학점 이수만의 획일적 평가방법 외에 긍정적 자아로 자기조절을 할 수 있는 교수지도의 프로젝트 및 구체적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이를 통한 미용전공대학생들의 학교생활과 학습과정을 통해 향후 전문직업인으로써의 높은 자부심과 성숙한 직업관을 부여해 줌으로써 유능한 인재로서 정착 성장해 나갈 수 있을 것을 기대하며 향후 미용분야의 무궁한 발전과 성장도 함께 기대할 수 있을 것 이다.

      • 빈곤이 부모의 양육태도를 매개로 아동의 학습 및 여가시간에 미치는 영향

        박지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의 경험과 삶의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써 생활시간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아동의 생활시간 중 학습시간과 여가시간을 중점으로 살펴보았다. 빈곤과 부모 양육태도가 아동의 학습 및 여가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빈곤과의 영향에 부모의 양육태도를 매개로 아동의 학습 및 여가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아동의 바람직한 생활방식을 위해 그 대안을 제시했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8의 제 1차년도 자료로 초등학교 4학년 아동 총 2477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Hayes(2013)의 Process Macro 3.0버전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은 아동의 사교육시간, 자습시간, 미디어 사용시간에 차이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아동의 학습시간과 여가시간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양육태도는 아동의 사교육시간과 자습시간, 운동시간과의 관계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미디어 사용시간은 그와 반대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세 번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빈곤과 아동의 학습 및 여가시간 간에 관계를 매개한다. 빈곤은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적인 관계로 나타났다. 그리고 긍정적 양육태도로 대하지 않을수록 아동의 사교육시간, 자습시간, 운동시간은 짧아졌으나 그 반대로 미디어를 사용하는 시간은 길어지는 것으로 확인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생활시간에 초점을 두어 빈곤과 부모 양육태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지만,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만 확인하여 추후 종단적 연구를 통해 초중고 성장에 따른 변화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study and leisure time of Korean children, applying their use of time as an index to understand children's experiences and lifestyle. The effect of poverty and parenting attitudes on children's study and leisure time was examined. Particularly, the effect of poverty was analyzed with parenting attitudes as a mediating variable, to suggest alternative patterns for children's time use. To this end, 2,477 fourth-grade children from elementary schools were set as the target of analysis in the first year of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The mediation effect was examined using Hayes’ Process Macro version 3.0.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verty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children's private education time, self-study time, and screen time. Seco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ffected both the study and leisure time of the children. It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private education time, self-study time, and exercise time, and a negative effect on screen time. By contrast,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did not affect either children's study time or leisure time. Third,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on the one hand, and children's study and leisure times on the other. Poverty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indicating that the less the child was exposed to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the less was his or her private education time, self-study time, and exercise time, and the more was the time spent using digital media. Lastly, this study focused on elementary students’ time use, and its relationship with poverty and parenting attitudes. However, the subjects were only fourth-grade elementary-school students. Thus,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these relationships as a child progresses from elementary to middle, and then, to high school, through a longitudinal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