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외선(UV-B) 처리에 따른 식용화 팬지의 생장과 항산화물질 변화

        박지원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식용화 팬지(Viola ×wittrockiana ‘Rose’와 ‘Yellow’, Viola cornuta ‘Purple’)를 대상으로 실내 조건에서 자외선 처리에 따른 생장반응과 꽃잎의 항산화물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실내 광량은 LED 광원(백색)을 이용해 100μmol·m-2·s-1(PAR)로 설정하였고 아침 8시부터 저녁 10까지 14시간 보광하였다. UV-B 처리는 보광 중간(7시간 경과 시)에 10분(UVB-10), 20분(UVB-20), 30분(UVB-30)간 실시하였다. 그 결과, ‘Purple’, ‘Rose’ 품종은 자외선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생체중과 꽃 수확량 등 생장이 감소하였고 ‘Yellow’ 품종의 경우 생체중 감소와 달리 수확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때 ‘Rose’ 품종은 UVB-30 처리에서 개화되지 않았다. 엽록소 형광 반응 지수인 Fv/Fm 역시 감소하였고, 부적정한 광조건 스트레스 지수인 NPQ는 증가하여 자외선 처리가 생장 및 광합성 효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외선 처리로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세 품종 모두 증가하였고, ‘Yellow’ 품종의 경우 UVB-10 처리에서 65.18mgㆍg–1FW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화색소는 안토시아닌이 구성된 ‘Purple’, ‘Rose’ 품종에서는 자외선 노출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안토시아닌 함량이 증가하였고, 화색소가 카로티노이드로 구성된 ‘Yellow’ 품종에서는 카로티노이드 함량이 증가하였다. 한편 페놀 함량과 DPPH 라디컬 소거능력은 처리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팬지 생장과 식용꽃 수확량 그리고 항산화 물질 축적과 관련하여 자외선(UV-B) 조사 효과는 10-20분 정도의 수준에서 인정되었다.

      • 깃요소 운동량 이론, 실험유체 및 전산유체해석 기법을 이용한 저 레이놀즈 수 프로펠러 성능 해석

        박지원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order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propellers operating at low Reynolds numbers, wind-tunnel tests, CFD computations, and blade element momentum theory have been carried out for a range of advance ratio. The wind-tunnel test of the propeller designed for high altitude solar UAV application was conducted at fixed rpm, in a suction-type subsonic low-speed wind tunnel of Sejong University. Thrust and torque data of the propeller were acquired using a thrust load cell and a torque sensor. Each test was repeated five times and averaged for a preset time period, to assure reliability and repeatability of the experiments CFD simulations of the flow-fields around propellers have been carried out for the same propeller design, by using Moving Reference Frame (MRF) method. The computations grid system of the flow field was generated using Fluent Meshing V17.2. The boundary layer thickness was calculated by assuming flat plate flow at the Reynolds number of 75% radius section, and grid independency was determined according to boundary first layer thickness using grid resolution study. The Y+ was selected so that the thrust change was below 1e-03.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was performed by using Fluent V17.2 and RANS governing equation set. The rotating zone and stationary zone were separated in the MRF method, and the discontinuous grids of the planes between the two separated zones were set to be continuous by using mesh interface function. The thrust and torque of propeller were also calculated by blade element momentum theory. The aerodynamics of propeller airfoil was calculated by a modeling program, which adjusts aerodynamic data of the airfoil to accommodate the change in induced velocity of the propeller. The propeller efficiency was predicted over a range of advance ratio using calculated thrust and power. Each three analysis results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result of UIUC propeller wind tunnel test. From the results of wind-tunnel test, the thrust and torque were predicted about 0.4N, 0.01Nm less than BEMT results at the operating condition because of the errors of pressure sensor and torque sensor. The efficiency of propeller was measured 5% less than BEMT result. From the results of MRF simulations, induced velocity distribution generated by the propeller has been observed and confirmed the propeller-blade surface pressure and skin friction distributions at design point and off design points. The change of flow field velocity around the propeller and pressure were also analyzed for a preset range of advance ratio. The thrust was predicted about 0.1N bigger than UIUC test result, and the efficiency of the propeller was also measured about 2% bigger than UIUC test result. From the results of BEMT simulations, because the drag of aerodynamics modeling was predicted little less, the torque estimated less than others. As a results, the efficiency of propeller measured bigger than others. The thrust distribution according to propeller radius were observed of the BEMT and MRF. After propeller radius 75%, the thrust of MRF predicted bigger than BEMT, as a results, the total efficiency of MRF measured bigger than BEMT results. 저 레이놀즈 수 프로펠러 성능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풍동시험, 전산유체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전진비에 따른 깃요소 운동량 이론 해석을 수행하였다. 풍동시험을 위해 고고도 태양광 무인기용 프로펠러를 설계 및 제작하였으며, 풍동시험은 세종대학교에서 보유하고 있는 흡입식 아음속 풍동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프로펠러의 추력 및 토크는 로드셀과 토크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풍동시험의 신뢰성을 위해 5회 반복 시험 후 결과를 평균 산출하였다. 풍동시험과 동일한 프로펠러를 사용하여 CFD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프로펠러 주위 유동을 관찰하기 위하여 MRF(Moving Reference Frame)기법을 사용하였다. 전산유체해석을 위해 Fluent Meshing V18.0을 사용하여 격자를 생성하였다. 평판 이론을 적용하여 프로펠러 반경 75% 구간의 경계층을 계산하였으며, 격자 해상도 연구를 통하여 격자의 독립성을 판단하였다. 경계층 첫 번째 격자의 두께를 결정하기 위하여 추력의 오차가 0.1%이하로 수렴하는 Y+를 선정하였다. 전산유체해석은 Fluent V18.0을 사용하였으며, RANS 지배 방정식을 적용하였다. MRF 기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회전 영역과 비회전 영역을 분리하였으며, 두 영역 사이 불연속적인 격자는 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사용하여 격자가 연속되도록 설정하였다. 깃요소 운동량 이론을 이용하여 프로펠러 추력 및 토크 특성을 분석하였다. 유도 속도를 고려한 프로펠러 익형의 공력 데이터를 모델링하기 위하여 Matlab을 이용하여 공력 모델링을 설계하였다. 계산된 추력 및 토크를 이용하여 전진비에 따른 프로펠러 효율을 예측하였다. 3가지 기법에 대한 프로펠러 추력 및 토크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UIUC 풍동시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운용 유속 조건 12.8m/s에서 풍동시험 결과, 유속 측정 및 토크 센서의 오차로 인해 추력 및 토크가 깃요소 운동량 이론 대비 약 0.4N, 0.01Nm 낮게 예측되었으며, 효율 측면에서도 약 5% 낮게 측정되었다. MRF 해석 결과, 프로펠러의 의해 발생하는 유도속도를 관찰하였으며, 운용, 비운용 유속 조건에서 프로펠러 표면 압력 및 표면 마찰 분포를 확인하였다. 또한, 전진비에 따른 프로펠러 주위 유속 및 압력을 분석하였다. MRF 해석 결과, 추력이 UIUC 시험 결과 대비 약 0.1N 정도 높게 예측함에 따라 MRF 효율이 UIUC 시험 결과 보다 약 2% 높게 측정되었다. 깃요소 운동량 이론 해석 결과, 운용 레이놀즈 수에서 공력 모델링의 항력이 다소 낮게 예측되었기 토크가 다른 기법 대비 낮게 측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효율이 다른 기법에 비해 약 1~5% 높게 예측됨을 확인하였다. 프로펠러의 반경에 따른 추력 특성을 관찰하였다. 프로펠러 반경 75%이후부터 MRF 해석 결과가 깃요소 운동량 이론 해석 결과보다 더 높게 예측되었으며, 결론적으로 프로펠러 전체 추력이 더 높게 측정되었다.

      • 히어리의 鎭痛 效能

        박지원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nti-nociceptive activity of Corylopsis gotoana Park, Zi Won Dept. of Oriental Pharmacy College of Pharmacy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 Jeon, Hoon, Ph.D.) Corylopsis gotoana has been widely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lots of disease including cold, edema and vomiting. However pharmacological and phytochemical studies on the C. gotoana are extremely limited. Here in this study, the author investigated the anti-nociceptive effects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Corylopsis gotoana (MCG) using various pain models. In the present study, MCG exhibited strong and dose-dependent anti-nociceptive activities on various experimental pain models including thermal nociception and chemical nociception, compared to positive control such as tramadol and indomethacin. In addition, the result from combination test using naloxone, analgesic activity of MCG was slightly reduced, indicating that MCG acts as a partial opioid receptor agonist.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MCG has potent analgesic potential and thus it may be possibly used as a valuable anti-nociceptive agent.

      • 燕巖 朴趾源의 實學的 敎育思想 硏究

        박태영 全南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7646

        Park Chi-Won (1737 A. D. -1805 A. D.), one of the most erudite scholars of the Silhak school (neo-confucianism), established a practical and positive school tradition in order to build up a better society. He also criticized severely the corruption in the feudal regime during the Yi dynasty in the 18th century. His though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is Silhak thought was based on Confucianism, and he made much of seeking for the realization of true virtue. Second, as a scholar of the Pukhak school which laid great emphasis on the concept that welfare is gained after utilization, Park Chi-Won maintained that the school and economic organization of his time had to be reformed by means of receiving and absorbing the advanced foreign civilization. Third, his interest in astronomy and geography as an essential part of Western natural science led his way of thinking to become rational and scientific. Fourth, even though he was born in the aristocratic class (the Korean nobility), he not only criticized severely the corruption of the nobility society, but also attempted to enlighten the people. Park's educational theory, which he contributed to Silhak though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f we judge his educational theory from the view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systems, his view of evaluating the person is based on the Silhak thought of the truth studied from substance, which gave birth to his educational idea of 'Improving living conditions and increasing the wealth at the people and his educational objective of 'realization of true virtue' . He sought for such types of the educated person as an economical capable person possessing morality as well as the rational and scientific way of thinking, a humanist who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human equality, and a nationalist who holds the consciousness of his national identity. He also stressed that a regional education should be fostered through his 'theory of flourishing local schools' and that the curriculum was important. Second, he emphasized transforming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past into those at Silhak thought, thereupon formulating a theory of reform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through such a transformation. Even Korea was importing the revised civilization at the Ch`ing(淸) dynasty, he paid much attention to Korea's' uniqueness based on its educational system along with the consciousness of its national identity. Nearly 200 years ago he accused the Sungri scholars(性理, who studied Chinese Confucianism) of reading impracticable books such as Yulha-ilgi, Kwanong-socho and claiming to develop hundreds of new technological ideas. In conclusion, a connection of Park's educational thought to modern education is attempted with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Korea must do away with its sense of reliance upon the 'great', but on the other hand restore self-identity and objectivity to educational study so to promote a consciousness of Korea's national identity. Second, Korea must discover again the 'image of the refined soˇnbi' who holds virtue and sincerity, considering that there are not a few moderns who are egoistic, opportunistic, and hasty in their decisions. Third, education for the pursuit of knowledge must be transformed into education for the pursuit of wisdom. In other words, we must eliminate dehumanization from the cramming system of education aiming at entrance examination and develop an ideal system of education which enables us to respect our personalities individually. Here comes the historical lesson that the failure of education causes the destruction of a country while a sound system brings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중등 음악교사들의 실태 및 인식 조사

        박지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현직 중등 음악 교사의 실태 및 인식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중·고등학교 음악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02부의 수집 자료를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음악교육의 실태 조사 결과 영역 공통으로, 교사들은 전통음악 장르와 아시아 문화권의 음악을 가장 많이 활용했으며, 교과서 외의 학습자료로 영상/인터넷 자료를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음악교육의 실태 조사 결과, 전 영역에서 교사들은 한 학기 평균 1~3회의 다문화 주제의 수업을 진행했으며, 주 활동은 다른 나라의 배경이나 문화를 함께 소개하는 것이었다. 활동에 대한 이유로, 가창에서는 가사를 통한 다채로운 음악 경험을, 기악, 창작, 감상에서는 다양성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길러줄 수 있음을 가장 많이 응답했다. 또한, 교사들은 수업 시 겪는 어려움으로 음악적 측면, 행정적 측면, 자료적 측면 등 영역별로 다양하게 응답했다. 셋째, 다문화 음악교육의 인식 조사 결과, 대부분이 다문화 음악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그리고 다문화 음악교육의 현장 적합성과 교과서에 제시된 다문화 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의견이 분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문화 음악 수업의 개선 방안으로, 교사들은 다문화 음악에 관한 다양하고 질 높은 교육자료 확충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다. 넷째, 다문화 음악교육의 실태 조사 결과, 전 영역에서, 교사들이 음악의 관련 문화를 함께 소개하는 활동을 가장 많이 했던 것은 새로운 음악적 경험과 함께 음악이 가진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는 수업을 의도했기 때문이라 보았다. 다만, 다문화 음악교육이 음악과 사회·문화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다루는 교육인 만큼 다원적이고 복합적인 활동을 더 많이 계획하고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다섯째, 다문화 음악교육의 실태 조사 결과, 가창 영역에서 교사들은 수업 시 특징적인 발성이나 창법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교사가 음악의 고유한 느낌을 보여주기 어려울 때 가장 힘들다고 응답했다. 이는 교과서와 관련 연구에서 호흡과 발성이 서양의 클래식 음악을 중심으로 제시되어 있기 때문이라 보았고, 이에 다른 나라의 발성이나 창법에 대한 설명이 교과서에 포함되어야 하며, 관련 자료 및 연수의 확대가 필요함을 제시했다. 여섯째, 다문화 음악교육의 인식 조사 결과, 교사들은 다문화 음악교육이 필요한 이유로 ‘교육부의 문화적 공동체 역량 강조’와 ‘한국의 전통음악 이해와 수용에 도움’을 가장 많이 응답했다. 이는 다문화 음악교육의 정의가 학자마다 달라 의미와 필요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국내 다문화 음악교육의 의미와 목표에 대한 관련 전문가들의 합의가 필요함을 제시했다. 일곱째, 다문화 음악교육의 인식 조사 결과, 다문화 음악교육의 현장 적합성에 대해 절반 이상의 교사가 적합하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결과는 이전 선행연구에 비해 적합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교육부의 다문화교육과 관련한 교육 정책이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정책이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포괄적인 범주로 제시되어 있으므로,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한 음악 교과 특성에 맞춘 교육적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연구의 문제점을 보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다문화 음악교육이 나아가야 할 교육적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다문화 음악교육의 가치를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cognition of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regarding thei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middle and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across the country, and a total of 102 collected data from the survey was used for this study. A frequency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earch ques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statu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used traditional music genres and music from Asian cultures most frequently, other than textbooks, they used materials based on the video/Internet the most as study materials. Second, as a result of a survey on the statu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eachers were found to have conducted an average of one to three multicultural classes per semester, in which the main activity was introducing the background or culture of other countries. As a reason for the activity, most respondents claimed that singing can foster diverse musical experiences through lyrics and the attitude of understanding, respecting, and appreciation for diversity in instrumental music and its creation. Also, it can be observed that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during classes appeared in a variety of areas, such as in terms of musical, administrative, and material aspects. Third,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recognition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most of them responded that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s necessary. Also, the opinions are divided on the suitability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nd the satisfaction of its content in textbooks. Finally, as a way to improve multicultural music classes, teachers answered that it is most necessary to expand various high-quality educational materials on multicultural music. Fourth, in regard to conducting a survey on the statu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reason was found to be that the teachers were most active in introducing music-related cultures in all areas, and that they intended for classes to understand the diversity of music along with having the opportunities for new musical experiences. However,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plan and practice further multi-dimensional and complex activities as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society, and culture in depth. Fifth, as a result of a survey on the statu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eachers answered that regarding the field of teaching singing,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when they were unable to convey the unique feeling of music due to the lack of information on characteristics of vocalization or singing methods in classes. This is because breathing and vocalization are presented mainly only within Western classical music in textbooks and related studies, and explanations of vocalization and singing methods of other countries need to be included in textbooks, and related materials and training should also be expanded. Sixth,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s for reasons for the need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most teachers responded with the answers “to emphasize the cultural community capabiliti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o help in understanding and accepting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It was considered that the definition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each scholar, and that the teachers' perceptions of meaning and necessity also differed.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an agreement of related experts on the meaning and the goal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Korea is necessary. Seventh,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more than half of th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field suitability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as appropriate. These results can be seen to have increased awareness of suitability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which have been influe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s education policy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However, since these policies are presented within a comprehensive category for multicultural students,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support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subjects for all students was suggest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that supplemented the problems of the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esenting educational directions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Additionally, this study aims to help develop various programs to understand and practice the value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 한국 거리극축제의 지형 연구

        박지원 한국예술종합학교 협동과정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0년대 이후 한국의 공연예술축제는 전국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축제의 양적인 성장은 한국 거리극의 발전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문화 민주주의를 실현할 대안예술로 떠오른 거리극은 축제로 인해 더욱 주목받고 있으며, 거리극축제는 향후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거리극축제의 현재에 대한 분석과 경향 파악은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1,400여 개가 넘는 지역축제 중에서 공연예술축제로 그 범위를 좁힌 후, 각 축제의 프로그램에 거리극이 얼마나 수용되고 있는지 파악하였다. 거리극을 수용하고 있는 16개 축제를 거리극축제라 규명하고, 거리극이 축제 프로그램 안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할, 중요도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크게 ‘거리극 중심형 축제’, ‘거리극 혼합형 축제’, ‘콘셉트 보조형 축제’로 나눌 수 있었고, 각 유형마다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해보았다. 세 가지 유형에 속하는 16개 축제의 분석을 통해 도출한 한국 거리극축제의 경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 복지의 실현과 성과주의가 빚어낸 관 주도형 축제가 주를 이루었다는 점, 둘째 거리극이라는 젊은 장르를 내세운 프로그래밍으로 한국 거리극의 발전과 콘텐츠 부족 현상을 동시에 겪고 있다는 점, 셋째 수도권 위주의 대도시 축제로 도시마케팅으로 이용된다는 점, 마지막으로 전문성 있는 축제인력 구성 및 예술단체의 섭외로 축제운영 전반에 전문화를 꾀한다는 점이다. 짧은 시간 안에 빠르게 성장한 한국 거리극축제는 거리극의 성장을 동반하고 문화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데 일조하였다. 하지만, 관 의존적인 성향으로 축제의 지속성 문제에 대한 한계점을 드러내어, 새로운 변화와 도약을 모색해야 할 시기가 도래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거리극축제의 현재를 파악하고, 향후 발전적인 축제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본다.

      • 전통보자기 기법을 응용한 배자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박지원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in developing waist coat design that can be worn in present-day life by designing technique and traditional waist coat form shown on patchwork through simple, natural, and aesthetically fancy cloth, which was commonly used in daily life in our traditional culture, by “selecting patchwork as the primary motive” in particular. Since patchwork, the primary form of Korean gyubang culture, carries the ancestors’ natural and superior color sensation and aesthetic quality of geometric structure, it sufficiently has the value to be reflected in today’s modern apparel design. By sufficiently reflecting unique aesthetic quality and harmony of diverse colors, the superiorities of Korean traditional cloth, design was developed by applying waist coat, among our traditional costumes, that would practically go well with the modern costume. Waist coat is also called deungguhli or baeguhli(背巨里), and it was worn by both male and female, and had diverse forms. Generally, it either had short or no sleeves, no outer collar or ribbon, or either had matgit or no collar. It was a suitable wear to display individuality and practicality with it put on over the already worn clothes, as suit or single unit. This paper was, first, fulfilled through organization․analysis of theories and pictures by using theoretical consideration, preceding research, museum visit and book, academic journal, and interne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on cloth and waist coat. Second, work was produced based on this, with the purpose of developing modern waist coat design by applying production technique shown through cloth and traditional elements of waist coat. The conclusion drawn through this paper is as follows. 1. Cloth types shown through literature artifacts were classified into patchwork, oiled paper cloth, su cloth, palace cloth, min cloth, and coloring cloth, depending on the production method. Among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of cloth, artifact work was selected by selecting patchwork, oiled paper cloth, and su cloth. Pattern method of patchwork was classified into 7 forms: square, triangle, concentric circle, pinwheel, vertical, cintamani, and freestyle. Su cloth, as with patch cloth, is a cloth often left through relics, and as for patterns, Suhwamoon(樹花紋) is the most common, accompanied with crane, phoenix, peacock, butterfly, insect, and all sorts of miscellaneous birds. These patterns are related to wishing for happiness and comfort in this world. 2. Waist coat is also called Deungguhli or Baeguhli, and it was worn by both male and female, and had diverse forms. Generally, it either had short or no sleeves, no outer collar or ribbon, or either had matgit (collars facing each other) or no collar. For lengths, there were long ones and short ones. 3. On the basis of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raditional cloth and waist coat, total of 7 points were designed and produced. In 〈Work Ⅰ〉, patchwork technique was applied on the part of wide strap that fixed the gil of front and back under the armpit, and on the part where it looked as if scarf or shawl was worn. In 〈Work Ⅱ〉, with the motive of long front and short rear waist coat, patchwork motive was inserted at the part where it emphasized the feeling of unbalance. In 〈Work Ⅲ〉, by making use of the characteristic of only consisting of the shoulder connecting strap of the front gil, it was produced as a work with strong decorative element by giving a point by linking like cintamani at the shoulder connecting strap. 〈Work Ⅳ〉 is a simple silhouette, but it was designed to look fancy, with the rhythmic feeling, through go board like square links on most of its front. In 〈Work Ⅴ〉, it was made to look modern by using pinching technique ,like the modern pintuck, on the front, and traditional pattern of oiled paper cloth was made into lace pattern and stamped as pigment. On the back left shoulder, an unexpectedness was granted by applying the method of adjusting using strap ribbon in an unbalanced way. 〈Work Ⅵ〉was designed as if looking at a delicately shining beauty and geometric aesthetic quality of modern art. In 〈Work Ⅶ〉, butterfly pattern was embroidered and placed at the front to be the point, and was made harmonious by forming a right angle with the blue-green vertical color arrangement. It was made to be another design by itself by granting rhythmic sense to the side where diverse colors and formative patterns shown on cloth can be seen as monotonous. Whole side opening of traditional waist coat is, as a clothing for wearing on top of clothes, an applicable composition that allows some margin at the breasts and covers multiple sizes. Also, depending on the movement, it is a form in which the front and back naturally spreads, so if it was well matched with the inner clothes, it had the characteristic of displaying a new form of design. The forms of short front and long rear, and long front and short rear were alterable to suit the purpose, and it was also a polished structure from design aspect. Also, the reason for installing a strap under the armpit was to cover multiple sizes, while being sufficient in using it to give a point through the alteration of material or strap length. Waist coat was a suitable item to change the clothes of the same form into a layer or cotton quilt, depending on the season, which makes possible to coordinate with diverse modern clothes, just through the minimal design alteration due to its straight line and form. Through this paper, I wish that diverse design researches are more actively conducted, in order to not lose our uniqueness amidst globalization, as well as modernization of tradition, increase interest in traditional culture, and for the beauty of our culture to be acknowledged by the world. 본 연구는 우리 전통문화 중에서 일상생활에 널리 사용되어 왔던 소박하고 자연스러우면서도 화려한 미적 감각을 갖고 있는 보자기 특히 “조각보를 중심 모티브로 선택”하여 조각보에 나타난 기법과 전통배자 형태를 디자인하여 현대 생활에서 착용할 수 있는 배자디자인을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한국 규방문화의 주요한 형식인 조각보는 우리 선조들의 자연스럽고 탁월한 색채 감각과 기하학적 구조의 조형미를 담고 있기 때문에 현대 의복 디자인에도 충분히 반영할 만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한국 전통 보자기의 우수성인 특유의 조형미와 다양한 색채의 조화를 충분히 반영하여 우리의 전통복식 중 현대복식과 실용적으로 잘 어울릴 수 있는 배자를 응용하여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배자는 등거리, 배거리(背巨里)라고도 하는데 남녀가 모두 착용하였으며 형태가 다양하였다. 대체로 소매가 짧거나 없으며, 섶이나 고름이 없고, 맞깃이 달리거나 깃없이 만들기도 하였다. 한 벌 또는 단품으로 입고 있는 의복에 덧입혀져 착용자의 개성과 실용성을 나타내기에 적합한 의복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보자기와 배자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한 이론적 고찰, 선행연구, 박물관 견학 및 도록, 학술지, 인터넷을 이용하여 이론 및 사진 등을 정리․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둘째, 이를 바탕으로 보자기에 나타난 제작기법과 배자의 전통적인 요소를 응용한 현대적 배자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하여 작품제작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문헌유물에서 보이는 보자기 종류를 제작방법에 따라 조각보, 식지보, 수보, 궁보, 민보, 채색보로 분류하였고, 보자기는 제작방법에 따른 분류 중 조각보, 식지보, 수보를 선택하여 유물작품을 선정하여 디자인 하였으 며, 조각보의 구성형식은 사각형, 삼각형, 동심원형, 바람개비형, 세로형, 여의주형, 자유형의 7가지 형식으로 분류하였다. 수보는 조각보와 함께 유 품이 많이 전하는 보자기로 문양으로는 수화문(樹花紋)이 가장 많고 학, 봉황, 공작, 나비, 풀벌레, 각종 잡새가 곁들여있다. 이 문양들은 현세의 복락기원과 관련되어 있다. 2. 배자는 등거리, 배거리라고도 하는데 남녀가 모두 착용하였으며 형태 가 다양하였다. 대체로 소매가 짧거나 없으며, 섶이나 고름이 없고, 맞깃 이 달리거나 깃 없이 만들기도 하였다. 길이는 긴 것과 짧은 것이 있었다. 3. 전통보자기와 전통배자의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총 7점을 디자인하고 제작하였다. 〈작품Ⅰ〉은 겨드랑이 아래로 앞과 뒤의 길을 고정하는 넓은 끈 부분과 스카프나 숄을 착용한 것처럼 연상되게 하는 부분에 조각보 기법을 적용 하였다. 〈작품Ⅱ〉는 전장후단형의 배자를 모티브로 언밸런스한 느낌을 강조하는 부분에 조각보 모티브를 넣어주었다. 〈작품Ⅲ〉은 앞길의 어깨 연결끈 만으로 구성되어져 있는 특성을 살려 어깨 연결끈 부분에 여의주 형잇기로 포인트를 주어 장식적인 요소가 강한 작품으로 제작하였다. 〈작품Ⅳ〉는 단순한 실루엣이지만 전면의 대부분을 바둑판형 네모 잇기 로 리듬감이 느껴지면서 화려하게 보이게 디자인하였다. 〈작품Ⅴ〉는 꼬 집기 기법을 현대의 핀턱처럼 전면에 이용하여 모던해 보이게 하였으며, 식지보의 전통문양을 레이스패턴화하여 안료로 찍었다. 뒷면 왼쪽 어깨에 는 언밸런스하게 끈 고름으로 여미는 방식을 적용하여 의외성을 주었다. 〈작품Ⅵ〉은 은은하게 비치는 아름다움과 현대미술의 기하학적 조형미를 보는 듯이 디자인하였다. 〈작품Ⅶ〉은 나비문양을 자수로 놓아 포인트가 되게 앞쪽에 배치하였고, 청록색 세로배색과 직각을 이루면서 조화롭게 만들었다. 보자기에서 보이는 다양한 색과 조형적 패턴은 자칫 단조롭게 보일 수 있는 면의 구성에 리듬감을 부여하여 자체만으로도 또 하나의 디자인이 될 수 있었다. 전통배자의 옆선 전체 트임은 옷 위에 입는 옷으로서 품의 여유와 여러 치수를 커버할 수 있는 실용적인 면에서 응용 가능한 구성이다. 또한 움 직임에 따라 자연스럽게 앞뒤로 벌어지는 형태로 안에 입은 옷과 적절하 게 매치되면 새로운 디자인 구성을 보여줄 수 있는 특성이 있었다. 전단 후장, 전장후단의 형태는 용도에 맞게 변형할 수 있었고 디자인상으로도 세련된 구조이며, 겨드랑이 아래에 끈을 단 것도 여러 치수를 커버하면서 소재나 끈 길이의 변화 등을 통해 포인트로 활용하기에 충분하였다. 또 한, 배자는 같은 형태의 옷을 계절에 따라 겹으로나 솜누비로 변형시키기 에 적절하였으며, 직선적인 선과 형태로 인해 최소한의 디자인 변형작업 만으로도 다양한 현대의복에 코디가 가능한 아이템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전통의 현대화는 물론 세계화 속에서 우리의 고유성을 잃지 않고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우리 문화의 아름다움이 세계에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디자인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자기결정과 타인결정에 따라 조절초점 및 해석수준이 실 회피에 미치는 영향

        박지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실(loss)을 회피하고자 한다. 하지만 자기 자신을 위한 결정이냐 혹은 다른 사람을 위한 결정이냐에 따라 실 회피를 추구하는 정도가 달라진다. 자기 자신을 위한 결정을 내릴 때 사람들은 그 결정 과제에 더 관여하게 되고 부정적인 측면을 주의 깊게 보며 심사숙고한다. 반면에 다른 사람을 위한 조언을 해주거나 그 사람을 대신해서 결정을 내려주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과제의 긍정적인 측면을 보며 부정적인 측면에 대하여 관대해진다. 이렇듯 자기결정과 타인결정에 따라 실 회피에 차이를 보이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조절하는 역할로서 성향적인 조절초점과 해석수준을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에서 예방초점은 부정적 결과를 주의 깊게 보기 때문에 안전지향적이며 실을 회피하려는 동기가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촉진초점은 긍정적 결과에 주의를 기울이기 때문에 실을 추구한다는 것을 보여준 바 있다. 해석수준이론에 따르면 하위해석자들은 어떤 사건이나 사물을 심리적으로 가깝게 느끼기 때문에 추상적이기보다는 구체적으로 접근하는데, 이런 맥락에서 보면 이들은 심사숙고해서 실을 회피하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자기/타인결정, 조절초점 그리고 해석수준이 실 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실험 설계는 2(조절초점: 촉진/예방) X 2(해석수준: 먼/가까운) X 2(결정유형: 자기/타인)의 삼원 완전무선 요인 설계였으며, 종속변수는 실 회피였다. 이화여자대학교 학부생 240명이 질문지를 작성하였으며, 8개의 실험 조건에 30명씩 무선할당 되었다. 질문지에 의해 실험참가자들을 촉진과 예방초점, 그리고 상위와 하위해석수준 집단으로 분리하였고, 구매 가격과 판매 가격을 알아봄으로써 실 회피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타인결정, 조절초점, 해석수준 각각 실 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들 간에 상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보면, 자기결정과 타인결정 모두 실 회피로 나타났으나, 그 정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타인결정보다 자기결정의 조건에서 실 회피가 더 많이 나타났다. 조절초점 또한 촉진초점과 예방초점 모두 실 회피를 보였지만, 촉진초점보다 예방초점이 실 회피가 더 많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해석수준도 상위해석수준과 하위해석수준 모두 실 회피를 보였으며, 상위해석수준보다 하위해석수준이 실 회피를 더 많이 보였다. 비록 세 변수들 간의 삼원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세부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타인결정 조건에서 촉진초점이면서 상위해석 수준일 때 실 추구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예방초점일 경우에도 상위해석 수준일 때 실 추구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자기를 위한 결정을 내리는 소비자는 조절초점에 상관없이 실 회피를 보였고,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그 동안 자기/타인결정에 따른 실 회피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사회 심리학 문헌에서 다루어져 왔는데, 본 연구는 이를 소비자 심리학 분야로 확대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자기/타인결정, 조절초점 그리고 해석수준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실 회피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의 틀을 확장하였다는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둘째, 인터넷 상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중고시장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구매자가 물건을 팔면서 받고자 하는 금액과 판매자가 물건을 사면서 낼 수 있는 금액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실 회피를 측정하기 위하여 WTP(willingness to pay)와 WTA(willingness to accept)를 알아보았는데, 이를 통해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간극을 좁혀 나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regulatory focus and construal level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other-decision and loss aversion.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decision for oneself leads to higher loss aversion that decision for others. Also, according to Higgins’(1997) Regulatory Focus theory, people with a prevention focus tend to pay particular attention to negative aspects and strive to avoid loss. And low construal level, which becomes activated when the psychological distance is low, is about looking at the trees rather than the forest. Altogether, Polman(2012) found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levels of regulatory focus or construal level and self-other decision making on loss aversion. This study aimed at extending Polman’s findings by mixing the two moderators, and expected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self-other decision making, regulatory focus and construal level on loss avers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has shown that, unexpectedly, the three variables did not significantly show an interaction effect. Rather, they each showed main effect on loss aversion, which told us that self-other decision making and levels of regulatory focus and construal level all showed loss aversion. This is contrary to previous studies that proved a clear difference between self and other-decision,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and high and low construal level. Although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hree variables did not turn out to be significant, further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is. Results showed that other-decision makers who are promotion focused and follow a high construal level tend to be risk seeking. Also those who are prevention focused and follow a high construal-level also turned out to be risk seeking. This means that prevention focused other-decision makers in a low construal level show loss aversion. Moreover, results indicated that self-decision makers’ level of loss aversion does not differ according to their regulatory focus. Thus, people who make their own decisions are always loss aversive, since they care about the consequences of their decision. This study provides some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studies of loss aversion according to self and other-decision making so far has been conducted in the social psychology domain, and this study expanded its field to consumer psychology. In particular, previous studies focused on regulatory focus and temporal distance or social distance, whereas this study looked into levels of regulatory focus and construal level together. Second, these findings will provide insight in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sellers and buyers in second hand market. WTP(willingness to pay) and WTA(willingness to accept) was asked in the survey to assess participants’ loss aversion, according to self or other-decision makers. High loss aversion indicated a higher cost in WTA. Sellers are the ones who have bought the product in the past and are now trying to sell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buyers think sellers should sell the products at a lower cost, since other-decision makers showed less loss aversion. On the other hand, sellers will try to sell the product at a higher cost than they had bought, because self-decision makers showed higher loss aversion. Therefore, hopefully, this study will narrow the gap between sellers and buyers.

      •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활용한 남성복 재킷 디자인 개선방안

        박지원 한양대학교 융합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화 시대가 도래하여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원하는 정보를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고, 능동적으로 제품을 평가하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시대 변화에 따라 현대 패션 시장에서 남성 소비자들의 욕구는 점차 복잡하고 다양해져 가고 있다. 이에 기존 디자이너의 직관과 감각에 의존한 남성복 디자인은 남성 소비자들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시대에 도래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소비자 중심의 다차원적인 프로세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국내 남성복 시장은 복장 자율화의 사회적 분위기로 캐주얼 트렌드가 확산함에 따라 남성정장은 퇴출 국면을 맞이하였다. 이에 남성정장의 시장규모를 회복하기 위하여 많은 기업이 노력하고 있지만 남성정장 시장의 침체기는 지속되고 있다. 위기를 맞은 남성정장 시장을 극복하기 위하여 남성 소비자들이 원하는 가치가 반영될 수 있는 남성정장 디자인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중심의 다차원적 프로세스인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남성정장의 구성 중 전체적인 이미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복식인 재킷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보완하여 남성정장 재킷 디자인 개선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앞서 남성복, 남성정장, 남성정장 재킷의 각 개념과 특성을 학문적으로 규명하여 남성정장 재킷 디자인을 이해하였다. 이와 함께 연구에 활용하기 위한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도출하기 위해 디자인 씽킹의 이론적 토대를 정립하고 각 기업과 기관별 프로세스를 정리하여 공통된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의 단계와 방법론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인 남성정장 재킷 디자인 개선을 위하여 남성정장을 착용하고 근무하는 사회 초년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종사하는 분야에 따라 사무직, 영업직, 자영업 그룹으로 분류하고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실시하였다. 연구는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의 각 단계에 적합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진행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남성정장 재킷 디자인 개선안을 개발하였다.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활용한 남성정장 재킷 디자인 개선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무직에 종사하는 연구대상은 구김에 강하고 관리가 용이하며 편안하고 실용적인 남성정장 재킷을 원하고 있었다. 연구대상의 요구 사항을 반영한 남성정장 재킷을 위하여 사이드 라인에 지퍼를 추가하여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으며 어깨 패드 제거 및 소매 패턴 변경을 통해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였다. 또한, 몸판 절개에 여유 분량을 주어 활동성을 높였으며 구김 방지 및 세탁 가능한 원단을 사용하여 실용적인 남성정장 재킷을 개발하였다. 둘째, 영업직에 종사하는 연구대상은 수납이 용이하고 보온성이 좋으며 세련된 남성정장 재킷을 원하고 있었다. 연구대상이 원하는 사항을 반영한 남성정장 재킷을 위하여 탈부착 가능한 밑단을 추가하여 코트로 변형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더불어 다양한 사이즈의 포켓 디자인으로 수납공간을 확보하였고 서스펜더를 부착하여 휴대성과 착용감이 우수한 다기능적 남성정장 재킷을 개발하였다. 셋째, 자영업에 종사하는 연구대상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링이 가능한 남성정장 재킷을 원하고 있었다. 이에 목적에 맞게 정장 또는 캐주얼 스타일로 변형하여 착용할 수 있는 리버시블 재킷으로 디자인하였다. 더불어 정장과 캐주얼 각 스타일에 적합한 디테일을 추가하였고 배색 효과를 주어 기능성과 심미성을 더한 남성정장 재킷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활용한 남성정장 재킷의 디자인 개선안은 남성정장 재킷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남성정장 재킷의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여 침체기를 맞은 남성정장 시장의 위기 극복 및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나아가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소비자 중심의 패션 상품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패션디자인 프로세스의 변화 방향성을 제시하고 영역확장에 도움이 될 수 있길 기대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