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판매종업원의 고객감동 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요인과 최고경영자의 장기지향성

        박정웅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of influence that top management's long-term orientation, sales people's intrinsic motivation affected by customers as well as corporations' extrinsic reward system have on sales people's customer delight-oriented behaviors. Such mediating variables as how deeply sales people understand the top management's accentuation of customer delight, how clearly they perceive their own role to move customers and how much they have experienced the customer delight-oriented behaviors were adopted as hypotheses in this study to make further development of theoretic research mainly of existing studies. For this purpose,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experimental objects of field sales force, tele-marketing sales force, couriers, and order takers in the office working at the Korea branch of 'F' express corporation. From the analysis of Cronbach’s internal consistency, it was possible to gain reliability of items for measuring each construct used in this article. Amos 17.0 was employ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VE values were calculated for each construct, which resulted in winning more than 0.5 for each item, confirming its convergent validity. The verification of the above hypotheses by means of Amos 17.0 led to following results: First, the hypothesis that top management's accentuation of customer delight would exercise positive impact on employees' customer delight-orientation was supported positively. Sales people's awareness of top management's accentuation of customer orientation turned out to have direct influence upon sales people's customer delight-orientation. Second, the hypothesis that employees' experience of customer delight would exert positive influence on their customer delight-orientation was also supported positively. In other word, it might be said that the more employees could experience in moving customers, the more they would be inclined to engage in customer delight-oriented activities. Third, the analysis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employees' perception of role clarity to delight customers would have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 delight-orientation, a result showing that the more clearly employees could become aware of needs to play their roles in moving customers, the more they would be oriented to act to move customers. Fourth, the hypothesis that top management's emphasis of customer delight would have positive impact upon their clear awareness of the role to delight customers was also backed up by the analysis. This means that the more sales people could perceive top management's emphasis to delight customers, the better they would understand their role to play to please customers. Fifth, it was supported as hypothesized in the analysis that employees' perception of role clarity to delight customers would affect their experience of activities to delight customers. Such results might reveal that sales people's clear awareness of their role to move customers could refer to more intensive engagement in moving customers. Sixth, while the hypothesis that corporations' extrinsic reward system would positively affect employees' experience of customer-delight activities was rejected, the hypothesis that it would positively affect employees' perception of role clarity to move customers was upheld. The finding like this might signify that corporations' reward system including financial benefit, promotion, etc. would have nothing to do with activities to delight customers but would exert positive influence on employees' clear awareness of the role to please customers to a certain extent. Seventh, the study backed up the hypothesis that employees' intrinsic sense of reward from customers would positively affect their experience of customer-delight activities, signifying that customers' expression of thanks including recommendation of new customers in reward for sales people's customer delight-oriented activities would promote them to be more active in their role to move customers. Eighth, the hypothesis that employees' intrinsic sense of reward motivated by customers would exercise positive influence upon their role clarity to move customers was supported, an outcome certifying that it would be more intensively needed for customers to express and convey their heart-evoking thanks and sense of delight to sales people for their service delivered, by thus making them feel forced to keep doing their best to move customers. Ninth, it was hypothesized and supported that top management's long-term orientation would mean their accentuation of customer delight-oriented activities on the part of sales people. This might contribute to the conclusion that top management's long-term orientation could make sales people become well aware of top management's accentuation to moves customers.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top management)의 장기지향성(long-term orientation)과 고객에 의한 판매종업원의 내재적 모티베이션(intrinsic motivation) 그리고 기업의 외재적 보상체계(extrinsic reward system)가 판매종업원(sales people)의 고객감동 지향(customer delight oriented)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초점을 두고 있다. 판매종업원이 최고경영자가 고객감동을 강조(customer delight emphasis)함을 지각하는 정도, 고객을 감동시키는 역할을 명료(role clarity)하게 지각하는 정도, 그리고 고객감동활동의 경험(experience of customer delight-oriented behaviors)정도를 매개 변수(mediating variable)로 도입하여 기존 연구를 중심으로 이론적 탐색을 하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F사 특송(express corporation) 한국지점(Korea branch) 기업의 현장 영업직(field sales force), 텔레마케팅 영업직(tele-marketing sales force), 배송직(courier), 고객서비스(order taker in the office) 직원들을 실증연구의 대상(experimental object)으로 설정하고 실증분석(empirical analysis) 하였다. 구성개념별 측정 항목들(items for measuring each construct used in this article)의 신뢰도(reliability)를 Cronbach’s 의 내적 일관성(internal consistency)분석으로 확보했다. Amos17.0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고, 구성개념별로 AVE값을 계산하였는데, 모두 0.5이상으로 나타나 집중타당도(convergent validity)가 있음을 확인했다. Amos17.0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고경영자의 고객감동강조는 종업원의 고객감동 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판매종업원이 최고경영자가 고객지향성을 강조한다고 지각하는 것은 판매종업원의 고객감동 지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업원의 고객감동활동경험은 고객감동 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즉, 종업원이 고객을 감동시키는 활동을 한 경험이 많을수록 고객감동 지향행동을 더욱 많이 함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종업원이 고객을 감동시켜야 하는 역할명료성의 지각은 고객감동 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종업원이 고객을 감동시키는 역할을 왜 해야 되는가를 명확하게 지각할수록 고객감동 지향행동을 더욱 많이 함을 보여준다. 넷째, 최고경영자의 고객감동강조는 종업원의 고객감동 역할명료성의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판매종업원이 최고경영자가 고객을 감동시켜야 한다고 강조함을 지각할수록 판매종업원은 고객을 감동시키는 역할을 해야 함을 더욱 알게 됨을 의미한다. 다섯째, 종업원의 고객감동 역할명료성 지각은 고객감동활동경험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판매종업원이 고객감동 역할명료성을 지각할수록 고객감동활동을 더욱 많이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섯째, 기업의 외재적 보상은 종업원의 고객감동활동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지만, 기업의 외재적 보상이 고객감동 역할명료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가설은 지지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고객감동활동에 대한 보상체계, 즉 금전적 보상, 승진, 등은 고객감동활동과 관계가 없지만, 고객을 감동시키는 역할을 명료하게 지각하는 정도에 정의 영향을 줌을 의미한다. 일곱째, 종업원이 고객에게서 느끼는 내재적 보상은 고객감동활동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객이 판매종업원에게 받은 고객감동활동에 대한 보상행동으로 감사의 표현, 신규고객의 추천 등을 하면 판매종업원이 고객감동 활동을 더욱 많이 함을 의미한다. 여덟째, 종업원이 고객에게 느끼는 내재적 보상은 고객감동 역할명료성의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객이 판매종업원에게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고마움을 표현하고 기쁨 감정을 전달하는 것이 판매종업원으로 하여금 고객을 감동시키는 역할이 필요함을 더욱 지각하게 함을 의미한다. 아홉째, 최고경영자의 장기지향성은 판매종업원에게 최고경영자가 고객감동활동을 강조함을 의미한다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고경영자의 장기지향성이 최고경영자가 판매종업원에게 고객을 감동시켜야함을 강조하는 것을 판매종업원이 지각하게 함을 의미한다.

      • 고대 그리이스 수학과 비 유크릿트 기하학의 발견

        박정웅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8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first mathematical thinking for the postulational, logical and 3eductive method comes from the greeks. To this day, greek mathematics was deveted to the several branches of the modern mathematics. The primary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o study the development of greek mathematics before Euclid. 2. To study the discovery of Euclid 's elements and the contents. 3. To study the development of Greek mathematics after Euclid's time. 4. To study the attempts to prove Euclid's fifth postulate for over two thousand years. 5. To study the discovery of Non-Euclidean geometry different from Euclid geometry in the nineteenth century. 6. To introduce some exercises of Non-Euclidean geometry (in hyperbolic geometry and elliptic geometry).

      • 브랜드 자산 기여이익의 평가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박정웅 호남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Nowaday, with advent of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based society, the intangible assets is given much weight in the factors of a firm value and then the necessity on the evaluation and valuation of intangible assets is increased. Because of that, that study on the evaluation and valuation of intangible assets have actively been made progress. The researches by Gu and Lev, Smith and Parr, Smith and Sullivan are representative of the evaluation of the intangible assets by the unit of currency. This study evaluates brand asset-driven earnings, one of the intangible-driven earings, using the basis of Gu and Lev's model which modifies and supplements a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decisive factors of a firm value into the operating assets and non operating assets and the intangible assets, and to evaluate intangible assets. This study suggested relevance between the intangible-driven earnings and the decisive factors of the intangible assets. And then the decisive factors of the intangible assets were classified into the brand assets, the human assets and the process assets. The proxy of the process assets was the expense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hat of the human assets was the expenses of education and training; That of the brand assets was the expenses of advertisement. The Simon and Sullivan Model uses advertising cost, the age of the firm, order of market entry, and the advertising costs spent by competitor as variables for brand assets. However, this study uses advertising cost as proxy for the brand assets. The intangible asset-driven earnings by the evaluation model of this study is calculated by abstracting the contribution earnings of the operating assets and non operating assets from total firm's profit and the brand asset-driven earnings is calculated by proportional allotment intangibles-driven earnings among the brand assets, the human assets and the process asset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paper established the study model and its hypotheses,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collected the sample on the listing Pharmaceutical firms from 2005 to 2007. To select the sample firms for evidence, this paper set a criterion of the selection. As a result of that, the final selected firms are 31 firms. This study sample used actual data(financial statements) of the pharmaceutical firms through on and offline from DART(Data Analysis Retrieval and Transfer) system of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brand asset-driven earnings by this study's model have a good usefulness to a valuation basis of the profits in legal advice against trespass of trademark or intellectual assets. 오늘날 지식 기반 경제체제로의 전환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시대에 국가나 기업의 경쟁력은 과거와 같이 유형자산의 크기가 아닌 인적·지적재산 등의 무형의 가치가 국가나 기업의 진정 가치와 경쟁우위를 나타낸다. 이제는 무형자산 특히 브랜드자산은 국가나 기업 경쟁력의 원천일 뿐 아니라 농산품에 이르기까지 일상의 우리 모두에게 생활의 일부로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무형자산은 다소 추상적이고 눈에 보이지 않는 특성 등으로 유형자산과는 확연히 다른 특성이 있는바, 무형자산 및 브랜드자산의 가치는 유형자산의 평가원칙 및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다면 가치측정 결과는 크게 왜곡 될 수밖에 없다. 브랜드자산의 가치판단의 중요성은 상표권을 비롯한 산업재산권에 대한 침해소송, 브랜드 매각, 금융권에 담보 설정, 기업 이해관계자에 대한 투자 정보제공 등 여러 분야에서 필요하다. 그 중에서 최근 날로 그 중요성이 커져가는 산업재산권 보호와 관련하여 상표권 등에 대한 침해사례 문제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산업재산권 보호와 관련된 소송의 경우, 피해자, 침해자등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형평과 공정성의 신뢰 차원에서 침해 손해배상액에 대한 적정한 평가는 중요하며 이를 위한 합리적인 측정의 판단기준 및 평가방법 등의 수립이 필요하다. 브랜드자산등과 관련하여 상표권, 특허권 분쟁 소송의 경우 그 손해배상액 산정은 현행법상 상표법 제67조, 특허법 제128조 및 민법 제750조에서 규정하고 있다. 상표권 제 67조 및 특허법 제128조 에서는 손해액을 결정함에 있어 입증책임을 경감하는 특칙을 두어 침해에 대한 손해액의 산정에 있어서 침해자가 판매한 수량에 권리자의 원가계산에 의한 이익액을 곱한 것을 권리자의 손해액으로 할 수 있도록 하게 되어 있다. 이와 관련 판례는 상표권자가 상표법 제67조 제1항에 의하여 상표권을 침해한 자에 대하여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경우에, 침해자가 받은 이익의 액은 침해 제품의 총 판매액에 그 순이익률을 곱하거나 또는 그 제조판매수량에 그 제품 1개당 순이익액을 곱하는 등의 방법으로 손해액을 판시하였다. 상표권, 특허권 등은 분명 보호 받아야 하지만 침해시 그에 따른 적정한 손해액의 산정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손해배상액이 낮아 충분한 보호를 받지 못하면 굳이 비용을 들여 상표권, 특허권 등의 자산에 투자하지 않을 것이며, 반대로 과도한 배상 또는 부적당한 배상액 산정은 의도적인 방기, 우월한 지위 남용 등으로 이에 대한 부작용이 발생 할 것이다. 이렇듯 피해 무형자산의 적정한 침해 손해배상액 산정은 매우 중요함으로, 이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위해서는 침해액 평가를 함에 있어 평가목적에 맞는 적정한 이익률에 대한 기준을 비롯하여 평가 측정기준의 수립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침해에 대한 손해배상액 평가 시 이익률 기준으로 판례의 순이익 또는 영업이익률기준에 대해 침해받은 권리의 종류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각각의 무형자산 기여이익률을 제시하여 그 타당성과 합리성을 연구 하였으며 이를 위한 측정 모형을 개발 하였다. 또한 산업분야에서 산업의 발전을 위한 투자의 안정성 확보 및 개별기업의 무형가치에 대한 공정한 공시 및 기업이나 개인의 활발한 산업재산권 관련 담보, 매각 등의 경제 활동의 보호 및 활성화를 위하여 브랜드자산을 포함한 무형자산에 대한 적정하고 공정한 자산 가치 측정 및 이를 위한 자산의 기여이익 측정의 필요성은 날로 커져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측정의 신뢰성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 또한 크게 변해 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서 무형자산 또는 산업재산권 등에 대한 적정가치 및 기여이익 측정을 위한 합리적이고 일반적인 측정 모형 개발을 만들고, 이를 통하여 브랜드자산에 대한 기여이익 및 가치측정의 유용성을 높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융감독원에서 온라인을 통해서 제공한 제약회사의 개별기업 재무제표 실제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연구범위를 제약업종을 대표적으로 선정·분석하였으나 이는 시간적·공간적 자료상 제약으로 인한 것이고, 본 연구의 가설과 검정을 통하여 분석 및 증명된 논리적인 이론 전개는 다른 모든 산업이나 업종으로 확대하여 적용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본다.

      • 부동산의 투자수익률 분석 : REITs와 상업용부동산을 중심으로

        박정웅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부동산 투자는 주식이나 채권과는 다른 특징을 보인다. 부동산 투자는 보다 장기적이며, 많은 자본을 필요로 하며, 그에 따른 자본이익 또는 개발이익 등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위험 또한 상당히 커 IMF이후 지가 급락, 임대 공실에 따른 수익률하락 등은 원금 손실 및 투자의 위험성을 보여준다. 부동산을 투자 대상으로 볼 때, 상품으로서 부동산을 개발하거나, 기존의 부동산 또는 개발된 부동산을 운용하는 부동산 실물자산에 투자하는 직접투자 방식과 부동산 개발, 운용에 필요한 자본을 제공하는 부동산 금융에 투자하는 간접투자 방식이 있다. 첫째, 부동산 간접투자란 투자자들이 부동산을 직접 구입하지 않고, 부동산에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부동산 회사나 부동산 투자를 위한 금전신탁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증권시장에이어 국내 부동산 투자시장도 새로운 경향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부동산 간접투자에대한 이해를 위해 이미 자리잡은 미국의 대표적인 간접 투자 상품인 부동산 투자신탁(REITs)의 투자 수익을 보면 미국의 REITs는 간접 투자 형태인 펀드가 부동산을 구입·관리하고 연간 6∼9%의 수익을 수년간 창출, 분배하였고 소유REITs 주식에 대하여는 연간 5%이상 가치상승을 달성하여 건전한 투자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부동산 투자회사법」이 2001년 4월 제정되어REITs제도가 도입되었으며 최근 CR-REITs(기업구조조정 부동산 투자회사)의 경우8∼9%의 높은 배당률을 보였으며 시장규모도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둘째, 부동산 직접투자 형식으로서 부동산 실물 자산 투자로서 부동산 개발과 부동산 운용형태가 있다. 부동산 개발은 최근에는 부동산 신탁 방식과 결합하여 부동산 투자 신탁회사와 공동개발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부동산 간접투자형태와 유사하나 위험과 수익률은 투자대상 개별 부동산에따라 큰 차이를 보이며 안정된 보장수익률은 낮으나, 개발에따른 개발이익은 높다. 전형적인 부동산운용으로서 상업용 부동산의 투자 수익구조는 임대운용에서 발생하는 소득수익과 자산 가격변동에따른 자본수익으로 이루어진다. 상업용 부동산의 소득수익률은 부동산이 창출하는 순 영업소득을 환원하여 대상 부동산의 경제적 가치를 구하는데 사용하는 이율을 말하며, 자본 수익률은 부동산 가치의 증감을 보유기간 초의 자산가치로 나눈 것으로 이는 투자자 몫의 증감을 나타낸다. 소득 수익률과 자본수익률의 합이 자본투자자의 종합투자수익률이 된다. 상업용 부동산의 서울 및 6대 광역시의 2002년 기준으로 1년간의 임대투자수익률을 본 연구자가 소속되어 참여한 감정평가협회가 조사한 바에 의하면 서울의 투자수익률이 6대 광역시보다 높으며, 서울의 경우 강남지역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투자 수익률이 높게 나타난 지역은 자본수익률이 높은데 기인한다. 종합투자 수익률 중 소득수익률은 서울 및 광역시가 일부지역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난 반면, 자본 수익률은 서울이 광역시보다 특히 강남지역의 자본수익률이 높으며 상업용 부동산의 자본 수익률 지역적 편차는 다소 심한게 보인다. 또한, 토지가격의 변동과 상업용 부동산 투자 수익률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우선 자본 수익률과는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냈으며, 이는 자본수익률 구조가 자산가치변동을 기초자산으로 나눈 것인 바 토지가 자산가치의 큰 비중을 차지함에 따른 결과이며 소득수익률과의 상관관계는 그 정도가 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축적된 자료의 부족등 어느정도 한계성을 가진 분석인 바 향후 시계열적 분석을 통해 연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의 투자 수익은 REITs의 경우 미국 및 최근 우리나라의 배당률등을 살펴볼 때 안정적인 관점에서 6%수준은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상업용 부동산의 투자 수익률의 경우 부동산 시장 특히 토지가격의 안정화에 따른 투하자본에대한 소득률이 개별 부동산의 Risk에대한 적정 대가분(기회비용)만큼의 보상적 수익률로서 형성된다면 대상 부동산의 소득 수익률과 REITs배당률 또는 간접 투자 상품 수익률과의 비교분석은 부동산 투자에 있어 요구 수익률의 한 기준으로서 의미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vestment in real estate is different form that in stocks or bonds. The former is more like long-term basis, expecting profits of capital or developments for it as well as requiring much capital. However, it is highly risky. Sharp decreases in land price after IMF and that of yield rate caused by vacant office for rent shows the loss in the principle or risk of investment. For the investment of real estate, there are the direct way to invest and the indirect way to invest. The first one is to invest developing real estate as product or operating the existing real estate or developed one. The other is to invest providing funds for developers and operators to real estate finance. First, the indirect way to invest in real estate is that investors do not purchase real estate, directly, but invest in real estate firm professionally investing in real estate or money trust for investment in real estate. Following securities market, domestic market of investment in real estate has been settled. Please lets make an example of investment profit of REITs, already settled U.S representative indirect investment products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indirect investment in real estate. Indirect investment form, fund purchased and managed real estate, to make annul 6∼9% of profit for years and distribute. It achieved annul over 5% of rise in value for it owning REITs stocks, to offer the sound opportunity for investment. The law on REITs was established in Apr. 2001, to introduce it and recently, CR REITs showed 8∼9% of high dividend rate, with market sharply increasing. Second, there are the development of real estate & the application of real estate as the investment in spot asset of real estate in direct investment in real estate. Recently, the development of real estate is done by joint-development with real estate investment trust firms, combined with the way of real estate trust, which is similar to the indirect way to invest real estate, but the risk & yield rate show big differences according to real estate to invest. It has not stable guaranteed yield rates, but profits of developments. The investment profit structure of commercial real estate as the typical operation of real estate, is composed of income profit from rent operation and capital profit from the fluctuation of asset price. Income yield rate of commercial real estate means interest rate used to seek the economic values of real estate after converting net operating profit created by real estate. Capital yield rate is increase & decrease of the value of real estate divided by the value of assets early period of owning, showing the increase & decrease of investors profits. The sum of Income yield rate & Capital yield rate is the total investment yield rate of capital investors. According to the research on 1 year-rent investment yield rate of commercial real estate as of 2002, in Seoul & 6 metropolitan cities by Korea Association of Property Appraisers with the participation of our researchers, Seouls investment yield rate is higher than the other, with Gangnam area higher than the rest of Seoul. Area with higher investment yield rate is attributed to higher capital yield rate. Among total investment yield rates, income yield rates are overall similar in Seoul & 6 metropolitan areas excluding a part of areas, while for capital yield rate, Seoul is higher than metropolitan areas, especially with Seoul higher than other areas, showing a bit big regional deviations of commercial real estate. Also, for correlations with fluctuation in land price and investment yield rate of commercial real estate, first of all, they showed high coefficient with capital yield rate, because the structure of capital yield rate is asset value fluctuation divided by basic asset, so land occupies a large portion of asset value, while that with income yield rate is low. Since it is the analysis with the limit such as lacks in data gathered, so it is needed to make time-series research in the future. For REITs, investment profit of real estate is expected to stably maintain 6% level, considering the recent dividend rate of U.S and Korea. In the case of investment yield rate of commercial real estat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income yield rate of real estate & REITs dividend rate or yield rate of indirect investment products, seems to be meaningful, as a standard of requirement yield rate in investment in real estate if income rate to employed capital is at the level of compensative yield rate as much as opportunity cost on risks of individual real estate, followed by the stabilization of real estate, especially land price.

      • 물리 탐사를 이용한 지하 매설물 탐지 연구

        박정웅 大田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부산에 위치한 연구지역은 40년 이상 군사상의 역으로 이용되어져 왔다. 경부고속철도 사업으로 인해 차량기지가 건설될 지역이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토목적 구조물을 시공하기 전 폭발물과 금속체 파이프를 포함한 지하 금속성 매설물 탐지에 있어서 지구물리탐사 기법을 적용 정밀성과 신속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주된 지구물리탐사기법은 자력탐사, 전자탐사와 지표 레이다 탐사로써 이를 병행하여 수행하였다. 그리고 실외 모의 실험을 통하여 연구지역에 산재해있는 인공적인 잡음인 전자기적인 잡음을 제거하여 양질의 자료를 획득하였으며 효과적인 지하 매설물을 탐지의 효율성을 높였다. 특히 자력 탐사의 경우, 수직구배 자력탐사 방법을 적용 노이즈가 심한 환경에서도 금속성 자기 근원체의 자기적 해결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자력탐사 모의실험을 통해 지하매설물의 크기와 매설심도에 따른 배경치를 실험하였다. 전자 탐사의 경우는 금속성 파이프와 같은 긴 금속성 매설물을 탐지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각 연구대상지역인 A, B ,C ,D 지역에서 얻어진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연구의 주된 기법인 지구물리탐사 기법의 병행적용을 통하여 추정된 금속성 매설물 구간과 탐사구간에 대한 실제현장 확인결과가 대체적으로 잘 일치함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지구물리탐사 기법의 병행적용을 통한 금속성 매설물 탐지법은 그 유용성이 확실함을 밝힘과 동시에 시공간적 효율면에서도 그 효율성이 인정된다. 레이다 탐사는 자력과 전자탐사를 통하여 탐지된 지하 매설물의 심도를 계산하기위해서 수행하였다. The survey area located at Pusan Korea had been stationed by the military for over 40 years.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MOCT) of Korea has a plan to construct a high-speed railway base station in the area.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nknown subsurface metallic objects including a metallic pipe and unexploded ordnance(UXO) before constructing civil engineering structure. In the prospecting methods, electromagnetic(EM), and ground penetrating radar(GPR) surveys were carried out over the survey area. Moreover, this study has another main object to get informative and effective data which survey subsurface materials. However, this method has to be careful to erase electronic sound which makes from near the survey area. Specially, in the case of the magnetic survey, the vertical gradient method was applied to improve the magnetic resolution to an underground magnetic body under noisy environments. In additions, through the test of the electromagnetic(EM), the background data which depend on subsurface materials' size and depth become clear easily. Also, the EM survey was focused on detecting elongated objects such as the metallic pipe. The GPR survey was performed to calculate the depth to the anomalous body interpreted with the magnetic and EM surveys. It is concluded with the geophysical surveys and excavation that any metallic objects such as elongated pipes, iron beams, and reclaimed metallic wastes are successfully detected by the geophysical surveys.

      • 밴드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My Bloody Valentine)의 음악 분석을 통한 슈게이징(Shoegazing) 장르 특징 연구 : - 《loveless》 앨범 수록곡을 중심으로 -

        박정웅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1980년대 중반부터 영국에서 시작되어 1990년대 중반까지 전성기를 맞이하였던 슈게이징 장르는 현재 비주류 음악이나 낯설고 생소한 음악 등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슈게이징 음악은 현재 음악가들이 음악적 재료로 사용하기 좋은 소재이자 신복고 스타일을 표현할 수 있는 트렌디한 장르임과 동시에 다양한 장르와의 결합으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장르이지만 대중음악 역사에서 록의 진화를 이끌었던 장르 중 하나인 슈게이징 음악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슈게이징 음악을 정립시키고 후대의 새로운 장르 탄생에 영향을 미쳐왔다고 평가받는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의 1991년 발매된 앨범 《loveless》의 수록곡을 중심으로 슈게이징 장르 특징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공하는 분석 자료로는 첫째, 슈게이징 음악에 영향을 주었던 프로토-슈게이징의 정의와 역사. 둘째, 대표적인 프로토-슈게이징 음악의 분석. 셋째, 슈게이징의 정의와 역사. 넷째, 대표적인 슈게이징 음악의 분석. 다섯째,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의 역사와 음악 세계. 여섯째, 1991년 발매된 앨범 《loveless》 수록곡 중 네 곡의 곡 형식과 악기 구성, 리듬, 화성, 가사의 특징으로 나누어져 있다. 본 연구는 프로토-슈게이징, 슈게이징 음악과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의 음악 분석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슈게이징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이해도를 높이며 향후 슈게이징 음악을 연구하는 연구자와 연주자에게 기여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대중음악 관련 자료로 활용되어 독창적 장르 중 하나인 슈게이징 음악과 밴드 음악계 전반에 걸쳐 도움이 되고자 한다. Beginning in the mid-1980s in England and reaching its heyday until the mid-1990s, shoegazing is often considered non-mainstream and unfamiliar music. However, shoegazing is a trendy genre that can be used by musicians as a musical material and can be easily found in combination with various genres. Nevertheless, there is no study on shoegazing music, despite it being one of the genres that led to the evolution of rock in the history of popular music. Accordingly,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egazing genre, focusing on the track from My Bloody Valentine's 1991 album 《loveless》, which is considered to have established shoegazing music and influenced the creation of new genres. In this paper, a lot of analysis data was provided. First, the definition and history of proto-shoegazing that influenced shoegazing music. Second, the analysis of representative proto-shoegazing music. Third, the definition and history of shoegazing. Fourth, the analysis of representative shoegazing music. Fifth, My Bloody Valentine's History. Sixth, the element analysis of four tracks from the album 《loveless》: song format, instrumental composition, rhythm harmony, and lyrics of the album. This study provides analyses of representative proto-shoegazing music, shoegazing music, and the music of My Bloody Valentine. Eventually, the general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shoegazing music, which can contribute to the further study of shoegazing, was expected. Furthermore, this study forecasts itself to be used as a popular music-related material in terms of contribution to the shoegazing music and band-music scene.

      • 官僚의 職務疎外가 職務行態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박정웅 경상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dysfunctional effects job alienation, through close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alienation of public officials and their work behavior. For this, it is aimed to organize theoretical system of job alienation through the existing study, and to examine the problems of work behavior effecting meaningfully to public officials in the organization due to the job alienation diagnostic dimension through empirical study, first of all. Accordingly, this study employs individual element,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rganizational climate as important influential features.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the dysfunctional work behavior which is externally shown as deviation behavior, resistive behavior and denial of organization as the subordinate variables, which appear as the result of work behavior by the axes of five important factors by Mevin Seeman as the independent variable. For this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was sent to 1,391 public officials, an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job alienation behavior showed very strong meaningful level according to the influential important factor. Also, it can be understood that reactive levels of the job alienation show some deviation according to the job in charge. Second, from the distinctive feature of frequency analysis of the influential important factors, responsive level of the job alienation phenomenon to the job executing process showed remarkable difference. Third, from the work behavior according to the important influential factors, it could be found that the resultant behavior caused the job alienation by accumulated sense of weariness and tiredness to the duty of public officials of lower grade appeared concretely in each lower grade variables of the job alienation. The noticeable points from such results of study are that the important mental factors of the job alienation are strongly included in the process of job execution of public officials. That is, the negative reactive level to the duty reached about l5∼39% in the variables of the job alienation. Accordingly, it can be pointed that the job alienation reacts greatly to public officials of the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 unexpectedly. Fourth, from the dysfunctional response of the work behavior due to the job alienation, the negative response was shown by 38.2% of the respondents. Such phenomenon can be understood as the counterevidence of the mental behavior which is grave situation in the organization of the public officials in Korea. In conclusion, it is shown as the results of the general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the negative influential force of the work behavior, which may be caused by the job alienation of public officials is very great.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obtain the conclusion that the new alternative measures should be provided from the dimension of public officials the orga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