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John Woods Duke의 연가곡 “From the Sea”에 관한 연구

        박정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John wood Duke (1899~1984)'s lied, 'From the Sea' in order to find out how to reflect the contents and feelings of a poem into the song and how to express the rhythm effectively to make a beautiful and lovely music. From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the United States made a remarkable growth in lied. The growth of lied became concrete in 1910s with the American poems revival. Many composers began to make lots of lieder and John Duke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sers in the America lied history. On the based of the brilliant literary knowledge, the front-runner in the lied, John Duke made 265 works during his life time, most of his works were vocal music using American poems. Lied, 'From the Sea' was originally a poem written by a woman poet, Sara Teasdale(1884~1933) and was composed into 5 songs by John Wood Duke. It became a beautiful and lovely music through the combination of Sara Teasdale's poet, giving a naive, lovely and delicate expression and deep sorrow, and John Duke's art world seeking after the charming and lyrical style. John Duke makes us feel 'From the Sea', as a poem which expresses the beauty of love with the background of the sea, more romantic and lyrical by using simple and comfortable melody. In particular, John Duke gives an empha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em and music. So it is easy to find his intention of reflecting the contents and feelings of poem into the 5 songs of 'From the Sea'. For example, to make a clear division, he uses comma, pause and interlude, or to stress the lyrics, he gives various changes in the process of melody, formation, theme(musical motif), musical interval, and range. In addition, he gives a stress on the syllabic relationship of lyrics, and expresses the rhythm of poem using the short phonetic value to the words such as suffix and preposition. Lied can be said as an ideal combination of poem and music. Through that combination, it can not only express the contents of poem fully but also gives a deep impression of more than simple melody. John Duke's effort of expressing the various and wide-ranging composing world gives an great impact on those who research and play his lieder. If, in connection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poem and music, the study on the effect of John Duke's works on the other composers were continued, constructive implication for the music development would be given to our music.

      • 루버 휜 형 열교환기의 성능향상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박정아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고밀도 열교환기는 높은 열교환기 유용도를 가지며, 에어컨과 라디에이터 등에 사용된다. 고밀도 열교환기 중 하나인 루버 휜 형 열교환기는 휜의 형상에 의해 유동이 교란되어 열교환기 성능이 향상된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루버 휜 형 열교환기의 기준 모델은 지역 냉·난방 공사에서 주로 사용되는 모델로 선정하였다. 루버 휜 형 열교환기의 형상 변수로 루버 피치, 루버 각, 휜 두께, 휜 피치 등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루버 피치를 2~4 mm, 루버 각을 5~15°, 휜 두께를 0.08~0.12 mm, 휜 피치를 1.0~2.0 mm로 변화시켜가며 열교환기 성능을 수치해석적으로 파악하였다. 본 논문을 위해서 열교환기의 열 교환 형태를 대향류로 선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휜의 고온 채널의 입구와 저온 채널의 입구의 온도차이로 열전도가 발생하였다. 각 채널 입구의 온도차로 발생한 열전도가 열교환기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휜의 유동방향 열전도가 존재할 때와 휜의 유동방향 열전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휜의 유동방향 열전도가 존재할 경우, 열교환기 유용도가 8 %p 감소하였다. 대향류 열교환기의 휜의 유동방향 열전도가 열교환기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유동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휜의 중앙에서 열전도를 차단하였다. 그 결과 열교환기 유용도가 2.22 %p 향상되었다. 본 논문의 결과로 휜의 유동방향 열전도가 열교환기 유용도에 미치는 영향과 휜의 열전도 차단으로 열교환기 성능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Compact heat exchanger, which is used for air conditioner or radiator has high heat exchanger effectiveness. One of the Compact heat exchanger is louvered fin. Louvered fin heat exchanger can improve heat exchanger effectiveness by geometry variables. louvered fin what is introduced in this paper is usually used for district heating and cooling service. Numerical simulations were performed for different geometries with varying louver pitch, louver angle, fin pitch and fin thickness. For this study, counter flow heat exchanger is selected. As a result of counter flow, fin conduction is occurred by difference of temperature between high temperature channel inlet and low temperature channel inlet. To find out effect of the fin conduction, a case, which has fin's main flow direction conduction is compared. with another case, which has not fin's main flow direction conduction. As a result, heat exchanger effectiveness was dropped by 8 [%p] in the case, which has not fin's main flow direction conduction. To reduce fin's main flow direction conduction, fin's conduction was cut off in the middle of the heat exchanger. As a result heat exhanger effectiveness was improved by 2.22 [%p].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감탄사 연구

        박정아 경희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Interjection serves as a function of various discourse while the speaker and the speaker interact. In this study, I have observed that the interjection expresses the feelings of the speaker and performs various linguistic functions. Previously, the pre-interjection study addressed the function of interjection as either a quantitative study or a discourse mainly based on a corpus. However, most studies have limitations because they consider frequency more important than interest in the semantic function of an interjection, or because interjection are treated as a one of the discourse marker. In other word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into the pure function of the interjection itself for Korean education. Thus, this study took the view that the interjection performs various semantic functions within the context of the dialogue with the aim of the interjection only. It also focused on a classification of interjection centered on semantic functions for Korean education. In addition, two method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Korean textbooks and for the analysis of the learner corpu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interjection education and how to present semantic functions. The results discussed herei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classification of interjection does not cover the various uses of interjection used in the spoken context. In particular, interjection, which are used in conversation situations, perform many semantic functions within a context, have different meanings and functions. Therefore, detailed semantic functions of interjection for Korean education should be studied. Second, various interjection were presented in the Korean textbook analysis result, but the presentation of each semantic function was very insufficient. even if a new kind of interjection is presented in the dialogue, there are very few items to be heard in the new vocabulary list, and there is not enough explanation for their meaning or function. In addition, in the same textbook, the types and frequency of interjections that appear in each series are presented in a very unbalanced manner. Third, the Korean-language corpus analysis showed that learners use more diverse interjections than are presented in textbooks. However, most of the cases of misuse were used, and the use of semantic functions was not diverse compared to the number of times the interjections were presented. In addition, it showed a wide gap from the list of interjections used by actual learners when comparing the interjection points and their meaning function with the student corpus example. Interjection can be used as a communication strategy.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discuss detailed semantic functions in terms of the grammar of the discourse. Furthermore, if the goal of language education in terms of Korean education is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and improve fluency, a detailed classification of functions and education of interjections is necessary. 구어적인 특성이 강한 감탄사는 청자와 화자가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다양한 담화 기능을 수행한다. 본고는 대화 맥락에서 사용되는 감탄사가 화자의 감정이나 기분을 표현하기도 하고 여러 언어적인 기능을 수행한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감탄사의 특성에 맞춰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에 선행된 감탄사 연구에서는 주로 말뭉치를 기반으로 한 계량적 연구나 담화표지로서의 감탄사의 기능을 다루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감탄사가 가지는 의미 기능에 대한 관심보다는 빈도수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거나 감탄사를 담화표지로 취급하였기에 한계가 있었다. 즉,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감탄사 자체의 담화표지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감탄사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화 맥락 안에서 감탄사가 여러 가지 담화표지적 기능을 수행한다고 보는 관점을 취하여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미 기능 중심의 감탄사 분류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한국어 교재 분석과 학습자 말뭉치 분석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교재와 한국어 학습자의 감탄사 사용 실태의 비교를 통해 감탄사 교육의 실제성을 검증하고, 의미 기능을 중심으로 한 감탄사의 분류 및 의미 기능 제시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고에서 논의한 결과를 요약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탄사의 전통적인 분류로는 구어 맥락 안에서 사용되는 감탄사의 다양한 쓰임을 포괄하지 못한다. 특히 대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감탄사는 형태는 동일해도 화맥(context) 안에서 여러 가지 의미 기능을 수행하며 대화 맥락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기도 하고,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며 의미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기도 한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감탄사의 세밀한 의미 기능들이 연구되어져야 한다. 둘째, 한국어 교재 분석 결과 대화문에서는 다양한 감탄사가 제시되고 있었지만 각 의미 기능에 대한 제시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대화문에서 새로운 종류의 감탄사가 제시되어도 새 어휘 목록에서 다루는 감탄사 항목이 매우 적었으며 그 의미나 기능에 대한 설명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같은 교재에서도 급별로 출현하는 감탄사의 종류와 횟수가 매우 불균형하게 제시되고 있다는 것이 공통된 특징이다. 셋째, 한국어 학습자 구어 말뭉치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교재에 제시되는 감탄사보다 좀 더 다양한 감탄사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오용하는 용례가 대부분이었으며 감탄사를 발화하는 횟수에 비해 의미 기능의 사용 양상이 다양하지 못하였다. 또, 교재에서 출현한 감탄사 항목과 그 의미 기능을 학습자 말뭉치 용례를 대조하였을 때 실제 각 급 학습자가 사용하는 감탄사 목록과는 큰 괴리를 보였다. 감탄사는 하나의 의사소통 전략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담화 문법의 차원에서 상세한 의미 기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더 나아가 한국어 교육 차원에서 언어 교육의 목표를 의사소통능력 향상 및 유창성 증진에 두고 있다면 감탄사의 상세한 의미 기능 분류와 교육이 필요하다.

      • 혼합치열기 전치부 반대교합 아동에서 Frankel functional regulator Ⅲ의 치료효과

        박정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혼합치열기 전치부 반대교합 어린이의 FR Ⅲ를 이용한 성장에 미치는 골격과 치아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FR Ⅲ로 치료를 시행한 전치부 반대교합을 지닌 30명의 아동(평균나이 7.9±1.1세 : 평균 치료기간 1.5±0.8년)을 대상으로 치료 전후의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FR Ⅲ의 상악에 대한 골격적인 효과는 상악의 하방이동이 있었으며, 전방이동 또한 있었으나 통계학적으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FR Ⅲ의 하악에 미치는 골격적인 효과는 하악의 후하방이동과 SNB가 감소되었다. 3. FR Ⅲ의 치아에 대한 효과는 하악 전치 첨부의 후방이동와 더불어 수평피개가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FR Ⅲ는 상악골의 전방이동 촉진효과는 미약한 반면 상악골의 하방이동과 함께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과 함께 수평피개 증가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식품공유 모델 도입을 위한 커뮤니티 식당 확대와 잠재적 소비자의 이용의도에 대한 연구 : 혁신확산이론과 혁신저항이론을 중심으로

        박정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47

        Amid ongoing global turmoil such as the 2007 economic crisis, the 2019 COVID-19 pandemic, and the 2022 Russia-Ukraine war, food prices have soared and the FAO's Food Price Index have reached record highs. Despite over 2.5 billion people experiencing severe food insecurity, more than one-third of food produced elsewhere is lost or wasted. As a result, it accelerates the global environment. Many scholars argue that food sharing could be a viable solution to this paradoxical reality of food scarcity and waste. However, awareness, legislative support and actual instances of food sharing in Korea remain notably scarc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regional expansion of community restaurants as a proactive measure to introduce a food-sharing model. A consumer perception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e Innovation Diffusion Theory(IDT) and the Innovation Resistance Theory(IRT) Relative advantage, suitability, simplicity, trialability, and observability were set as diffusion factors, and use barriers, value barriers, risk barriers, and traditional barriers were set as resistance factors. Consequently, the influences on affective and cognitive attitudes that these factors have ar verified. The survey, conducted in October 2023, targeted 626 participants aged 20 and over who were aware of community restaurants. The verification results of this surve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diffusion factors, compatibility, trialability, and observabilit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affective attitudes, and relative advantage, compatibility, simplicity, trialability, and observabilit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ognitive attitudes. Second, relative advantage, compatibility, and trialabilit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usage intention, while simplicity and observability don’t have influence relationship. Third, among the resistance factors, value barrier is the only fator that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affective attitude, cognitive attitude, and usage intention, and tradition barrier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ognitive attitude. Fourth, attitude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usage intention. Fifth, affective attitude and cognitive attitude both exhibited mediating effects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diffusion factors and resistance factors on usage inten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o the influence of diffusion factors are as follows: First, it can positively influence to increase usage intention to establish personalized detailed manuals the analyzing extensize data abailable from community restaurants. Second, ensuring the safe preparation and providing nutritionally balanced meals cooked with fresh ingredients align with the fundamental function of a restaurant. Therefore, the verification of food quality is essential. Third, emphasis on using community restaurants help save physical energy and time, allowing for more leisure, is an effective strategy for consumers who experience significant fatigue in life. Fourth, it is essential to ensure the convenience of ordering and search methods for all users to prevent encountering digital barrie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o the influence of risistance factors are as follows: First, Attempt to share surplus food between individuals in community restaurants to make it a base for the food sharing model can provide new value to potential consumers, and it ca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increasing the usage intention. In addition, there's a need to contemplate methods that can elevate the general public's consciousness regarding food choices. Second, community restaurants can help strengthen family bonds for consumers who value home-cooked meal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o the influence of attitudes are as follow: Collaboration with the various fields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of food shating in community restaurants can increase the usage intention by strengthen positive attitudes. In this regard, it is preferable to explore ways of sharing existing facilities rather than creating new faciliti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o the influence of comprehensive recommendation are as follow: It is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the food quality factor that have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usage intention. No innovation can be succeeded until the fundamental function of community restaurants, conveniently providing good quality of food, is properly established. This study introduces a rarely addressed research topic in Korea, contributes academically to the extension of innovation theory. Also, it proposes the regional expansion of community restaurants to introduce a food sharing model and provides empir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examining consumer perceptions. However, this study does not include comparative studies on actual users of servies which is prototypes of community restaurants, and could not surpass the limitations of self-reported surveys. Accordingly, follow-up research related to this study will ne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presented. 2007년 경제위기, 2019년 코로나19 팬데믹,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 나 전쟁 등 세계적 혼란이 지속되면서 식량가격이 급등하고 FAO의 식량 가격지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매년 25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극 심한 식량불안을 겪지만 다른 곳에서는 생산되는 식품의 1/3 이상이 손실 되거나 버려지고, 이러한 손실은 지구환경에도 악영향을 끼친다. 많은 학 자들은 식량부족과 식량낭비라는 모순된 현실에 대해 식품공유가 좋은 해 결방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식품공유에 대한 인식, 법제적 기반, 실제 사례 등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예방적 차원의 개혁으로 식품공유 모델 도입을 위해 커뮤니티 식당의 지역별 확대를 제안하고, 혁신확산이론과 혁신저항이론 을 기반으로 소비자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확산요인으로 상대적 이점⋅ 적합성⋅단순성⋅시도가능성⋅관찰가능성을, 저항요인으로 사용장벽⋅가 치장벽⋅위험장벽⋅전통장벽을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요인이 감정적⋅인지 적태도와 이용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커뮤니티 식당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20대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2023년 10월에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고, 총 626명의 응답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확산요인 중 적합성⋅시도가능성⋅관찰가능성은 감정적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상대적이점⋅적합성⋅단순성⋅시도가능성 ⋅관찰가능성은 모두 인지적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확산요인 중 상대적 이점⋅적합성⋅시도가능성은 이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단순성⋅관찰가능성은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저항요인은 가치장벽만이 감 정적태도⋅인지적태도⋅이용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전통장 벽은 인지적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태도는 이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째, 확산요인⋅저항요인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감정적태도⋅ 인지적태도는 모두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확산요인의 영향에 대한 제언으로 첫째, 커뮤니티 식당에서 확보할 수 있는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세부매뉴얼을 확립한다면 차별화된 정보 제공으로 이용의도를 높 이는 데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신선한 식재료로 영양균 형이 맞는 식단을 안전하게 조리하여 제공하는 것은 식당의 본질적 기능 이므로, 음식품질의 적절성에 대한 검증은 필수 불가결한 일이라 하겠다. 셋째, 삶의 피로를 많이 느끼는 소비자에게는 커뮤니티 식당을 이용함으 로써 육체적 에너지나 시간을 절약해 조금 더 여유로워질 수 있음을 강조 하는 전략이 효과적일 수 있다. 넷째, 어떠한 사용자도 디지털장벽에 부 딪히지 않도록 주문·검색 방법의 편리함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저항요인에 대한 제언으로 첫째, 커뮤니티 식당이 식품공유 모델의 거점이 될 수 있도록 개인 간 잉여식품 공유 등을 시도한다면 잠재적 소 비자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수 있고 이는 궁극적으로 이용의도를 높 이는 데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더불어 일반소비자의 먹거리 의식수준 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직접 만든 음식으로 집에서 식사하는 식습관을 중요시하는 소비자에게는 커뮤니티 식당을 이용하는 것이 가족 간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 다는 부분을 강조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태도에 대한 제언으로, 커뮤니티 식당에서 식품공유를 목적으로 하는 공동체 활동을 통해 다양한 분야와 협업한다면 긍정적 태도를 강화시켜 이용의도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새로운 시설을 마련하기보다 기존 시설을 공유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합적 제언으로, 이용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던 음식품질 요인 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양질의 음식을 편리하게 제공한다는 커뮤니티 식당의 본질적 기능이 제대로 선행되지 못한다면 어떠한 혁신도 성공할 수 없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은 새로운 연구 주제의 화두 를 제시하였으며, 학문적으로는 혁신이론의 확장에 기여하였고, 식품공유 모델 도입을 위해 커뮤니티 식당의 지역별 확대를 제안하고 이에 대한 소 비자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실증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커뮤니티 식당의 모태가 되는 서비스의 실제 이용자를 대상으로 비교군 연구를 진행하지 못한 점,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의 한계를 뛰어넘지 못한 점 등의 큰 한계로 추가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바이다.

      • 독서과정코칭수업 모형의 효과에 관한 연구

        박정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Reading Process Coaching Model Park, Jung-A Department of Education 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A purpose of reading education is to cultivate a lifetime reader who reads books voluntarily. Factors affecting reading behavior include reading attitude, reading strategy, text selection and reading fun. Whereas there are a lot of studies on selecting books suitable for reading strategy and fun, studies on affective domain for improving reading attitude are inadequate. In many cases, even a learner who is well aware of reading strategy does not make reading behavior in actual life, so studies for solving this problem are necessary. This study develops and applies a reading course coaching model which integrates a coaching technique for inducing leaner's initiative practice into a course-centered reading guidance model for teaching reading strategy in each reading course for leaner's voluntary reading life, and examined how much reading attitude, which is affective domain, was improved. Reading attitude tests composed of four domains of reading motive, reading fun, reading habit and reading value were conducted beforehand and after to analyze the results of handling the researcher's teaching model. The reading course model consists of two. One is a desirable reading life model for checking one's own reading life, and the other is a model as a teaching procedure applied to teaching. Teaching proceeded for six weeks. At first the goal and activity of teaching were provid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teacher, who then guided learners to select the goal and activity gradually for themselves. Reading attitude was tested before the first class started and prior test was conducted with the same tool after the last class. At every class checklists on desirable reading life were made in the introductory part of class and these were collected to analyze students' change of thought and whether they are practicing in actual life. Also, I explained to learners the reading course coaching model provided as a teaching procedure to have them understand what they are doing in the course of learning and what they have to do next. The reading attitude test was composed of 40 questions, of which 1-10 questions are for asking reading motive, 11-10 questions for asking reading fun, 21-30 questions for asking reading habit, and 31-40 questions for asking reading value. A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what kind of difference is shown before and after in each low-order domain of reading attitude.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four domains, of which the reading value domain showed a big differenc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should play a role of coach. The researcher received coach training to develop the reading course coaching model. For this model to be significant, the teacher should be at class as a coach instead of a teacher. The teacher should not act like a leader but play a role of helper to learning who creates a free discussion atmosphere so as to stimulate motive and fun inside the learners and for the learner to actively participate in reading activity by himself. Second, the school years suitable for carrying out this model are an upp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or higher. To draw out what is inside the learner, the suitable school grades are an upper grade of elementary or higher grades which are steps for learning reading and are above middle school grades. This study set middle school students as learners.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obtain the results that the learner can check, adjust and improve his own reading life by setting his own reading life goal and confirm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goal and his present reading life to understand the factor for overcoming the difference through the process of selecting, practicing and evaluating the most suitable scheme of practice, and that the goal and activity selected by learner himself also during class can improve learner's reading attitude. 독서과정코칭수업 모형의 효과에 관한 연구 敎育工學科 박정아 指 導 敎 授 최성우 독서 교육의 목적은 자발적으로 책을 읽는 평생 독자를 기르는데 있다. 독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독서태도와 독서 전략, 텍스트 선정, 독서 흥미 등이 있다. 독서 전략과 흥미에 맞는 도서 선정에 대한 많은 연구에 비해 독서태도 향상을 위한 정의적 영역의 독서 지도 연구는 미비하다. 독해 전략을 잘 인지하고 있는 학습자라 할지라도 실생활에서 독서 행동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 부분도 독서 교육에서 관심을 가져야 한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자발적인 독서 생활을 위해 독서 과정별 독해 전략을 가르치는 과정중심 독서 지도 모형에 학습자의 주도적인 실천을 이끌어내는 코칭 기법인 (주) 인코칭의 GRROW모델을 통합한 독서과정코칭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후 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이다. 독서 동기, 흥미, 습관, 가치 4영역으로 구성된 독서태도 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모형의 처치 결과를 분석하였다. 독서과정코칭모형은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하나는 자신의 독서 생활을 점검하는 바람직한 독서생활 모형과 다른 하나는 수업에 적용되는 수업 절차로서의 모형이다. 수업은 6주간 진행되었고 처음에는 교사 주도하에 수업의 목표와 활동이 제공되고 차츰 학습자들 스스로 목표와 활동을 선택하도록 안내하였다. 첫 수업이 시작되기 전에 독서태도 검사를 하였고, 마지막 수업 후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매 수업마다 수업 도입부분에서 바람직한 독서생활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고, 이것을 취합하여 학생들의 생각의 변화와 생활속에서 얼마나 실천에 옮겼는지 분석해보았다. 또한 수업 절차로서 제공되는 독서과정코칭모형을 학습자들에게 설명하여 자신들이 수업 과정에서 지금 하고 있는 것이 무엇이며 다음에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 수업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계속해서 인지하도록 하였다. 독서태도검사는 총 40문항으로 구성되어있는데 독서 동기, 독서 흥미, 독서 습관, 독서 가치를 묻는 각각의 10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t-검정한 결과 독서과정코칭수업으로 독서태도의 모든 항목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독서 가치, 독서 동기, 독서 흥미, 독서 습관의 순서대로 사전사후의 결과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각 항목간의 상관을 알아본 결과 독서 흥미와 독서 습관이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고, 사전검사 때는 독서 흥미와 독서 가치, 독서 습관과 독서 가치가 낮은 상관을 보였는데, 사후검사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코치의 역할을 수행해야한다. 본 연구자는 독서과정코칭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코치 연수를 받았다. 이 모형이 의미 있으려면 무엇보다 교사가 teacher가 아니라 coach로서 수업에 임해야 하기 때문이다. 교사는 수업의 주도자가 아니라 학습자들 내부의 동기와 흥미를 자극하고 수업 중 독서 활동을 학습자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임할 수 있도록 자유로운 토론 분위기를 만드는 학습의 조력자 역할을 해야 한다. 둘째, 이 모형을 실시하는 학년은 독서 능력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 이상이 적당하다. 학습자 내부의 것을 끌어내려면 독서를 학습하는 단계인 초등 중학년 단계를 벗어난 독서로 학습하는 단계에 있는 초등 고학년 이상이 적당하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독서생활 목표를 정하고 그 목표와 자신의 현재 독서 생활의 차이를 확인하고 그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해서 그 중 가장 적절한 실천 방안을 선택하고 실천,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독서 생활을 점검 조절 개선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수업 중에도 학습자 스스로 선택한 목표와 활동이 학습자의 독서태도를 향상시킨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의 활성화 방안 연구

        박정아 경기대학교 공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에서 집은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거주의 공간에서 사회적 신분이나 재화의 상징적 수단으로 개인의 생활방식을 구현하는 공간으로, 휴식과 여가를 위한 장소로 그 의미가 확대되고 있다. 단순한 거주의 개념에서 생활의 개념으로 주거의 패러다임이 변함에 따라 공동주택 단지 내 공유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2013년 12월 <주민공동시설 총량제> 방식으로 공급기준이 개정됨에 따라 커뮤니티시설은 입주민의 선호도를 중심으로 공급되기 시작했고 최근에는 공동주택 선택의 중요한 기준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공동주택의 커뮤니티시설은 입주민의 소통과 교류를 통한 공동체 생활의 갈등을 해결하고 다양한 여가활동과 커뮤니티활동을 통해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유지하게 한다. 또한 지역 공동체 활동을 위한 시설의 제공, 주민 간 인적 커뮤니티 형성을 통한 거버넌스 구축의 중심점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커뮤니티 활성화를 통해 동일한 공동체에서 나타나는 계층 간 분리현상에 대한 긍정적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다양화, 차별화, 고급화된 커뮤니티시설은 입주민의 주거의 질을 높이는 긍정적 기능도 있지만 관리·운영적인 면에서 갈등과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입주민간의 소통을 통해 공동체 문화형성의 장소를 제공하려는 본연의 목적에서 벗어나 이용료 부과, 관리방식, 이용자와 비이용자간의 갈등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제대로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이 공급되어 이용되고 있는 실제 사례를 조사하여 세대수, 사업승인연도, 주거형태별 시설의 특성을 분석하고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방법은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과 관련된 선행 자료에 대한 연구분석을 바탕으로 세대수· 사업승인연도· 주거형태 등 특성이 다른 총 22개 공동주택을 3그룹으로 나누고 실증조사를 통해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의 현황을 분석하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하였다. 연구조사를 통해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주택이라는 단일화된 주거환경에서 거주자들은 공동체 활성화 공간과 시설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는 점이다. 주거형태나 세대수와 상관없이 개인의 여가나 이웃과의 공동체 생활에 대한 거주민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는 것은 커뮤니티시설의 양적 증가와 함께 질적인 서비스 증가가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사결과를 토대로 커뮤니티시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계법령의 용도변경 기준의 간소화 등을 통해 입주민에게 필요한 시설을 제공하여야 한다는 점과 공동주택의 커뮤니티시설의 위치 등 설치 특성, 입주민 구성 비율 등을 고려한 맞춤형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두 번째 커뮤니티시설의 이용료 부과방식과 관련하여 입주민 간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통일되고 일관성 있는 기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커뮤니티시설이 대형화, 다양화, 고급화됨에 따라 입주민의 의사와 관리운영에 따르는 비용의 적정선을 찾아내는 것이 시설 활성화를 위해 중요해지고 있다. 이용료 부과와 관련된 법령의 모호한 규정을 정비하여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여야 하고 이용료 결정에 대한 입주민의 의견수렴 절차 규정되어야 한다. 세대수나 커뮤니티시설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해당 공동주택의 특성에 맞는 이용료 부과방식을 결정하는 것은 커뮤니티시설 활성화의 중요한 과제이다. 세 번째 커뮤니티시설의 양의 증가와 함께 시설물의 유지관리나 교체를 위한 비용 지출 방안과 노후 시설물을 위한 시설 재투자 방안 등에 대해 고려하여야 한다. 양호한 시설관리와 커뮤니티시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계법령의 장기수선계획 수립기준에 커뮤니티시설을 포함시키는 방법 등이 필요하다. 특히 최근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의 다양화 고급화에 따라 시설물의 수리, 교체비용에 대한 문제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조사결과를 보면 세대수나 사용연수에 상관없이 공동체 활동이 활발했던 단지의 경우 커뮤니티시설의 이용도와 시설 요구도가 높았다는 점에서 공동체 활동이 커뮤니티시설 활성화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이 있다. 더불어 다양한 공동체 활성화 사업을 실시함으로써 소셜 믹스 단지에 나타나는 계층 간 차별이나 관리 배제를 완화하고 주민통합에 기여할 수 있다. 네 번째 커뮤니티시설을 집단화 시설과 개인화 시설로 구분하면 경로당, 작은 도서관 등의 집단화 시설은 주민의 정서적 교류나 갈등 해소와 같은 공동체 활동의 주체가 되기 쉽다. 그리고 헬스장, 골프장과 같은 개인화시설에 대한 수요 증가는 주거 공간 내에 여가 공간을 확보하려는 입주민의 주거의식 변화를 엿볼 수 있는 결과이다. 이것은 커뮤니티시설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고려하여 해당 공동주택이 가진 시설의 종류, 규모, 입주민 특성을 고려하여 단지에 적합한 실질적인 활성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섯 번째 커뮤니티시설의 외부개방과 관련하여 시설을 지역에 개방하기 위해서는 관련규정의 명확화, 현실적인 이용료 산정 등이 전제 되어야 한다. 또한 커뮤니티시설의 안정적인 이용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리 운영의 명확한 기준, 관계법령의 현실화,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 활성화 사업과 관련된 지자체의 지원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입주민과 관리자가 함께 시설의 관리, 이용료 부과, 비용 지출 등의 갈등을 해결하고 활성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In the contemporary society, houses have diverse implications. Their implications have been expanding from residential space to the symbolic means of social status or fortune, spaces implementing their owners' modus videndi and recesses for rest and recreation. As the paradigm of the housing shifts from the concept of a simple residence to the concept of life, people are more concerned with the community space within the apartment housing complex. As the criteria for their supplies were amended to accommodate "the maximum public facilities system" in December, 2013, the community facilities would begin to be supplied reflecting residents' preferences, and lately, they have been established as the important criteria for selection of the apartment houses. The community facilities within the apartment housing complex serve to help solve the diverse conflicts among the residents through their communications and exchanges, while helping them to maintain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rough diverse recreation and community activities. Furthermore, they may well function as the center of the governance by providing for the facilities useful to residents' community activities and helping them to form an inter-resident human community. If the community is activated, the problem of an inter-class separation phenomenon may well be solved. Hence, it is deemed necessary to conduct a research into the community facilities within the apartment housing complex. The community facilities diversified, differentiated and gentrified have the positive functions of enhancing residents' housing life, but they may well be the sources of conflicts and disputes in terms of their management and operation. Departing from their original purposes of providing an arena for a community culture through residents' communications, they are yet to be activated due to the conflicts surrounding the charge for their uses, methods of management and conflict between their users and non-users. In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aimed at surveying the actual cases of providing for and using the apartment housing community facilities, and thereby,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the households, year of their approval, and their characteristics by form of housing and thereupon, examining the ways to activate them. To this end, preceding studies were reviewed, and thereupon, a total of 22 apartment housing complexes different in terms of number of households, year of the project approval and housing forms were sampled to be divided into 3 groups, and then, an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nditions of the community facilities within the apartment complexes and explore the ways to activate them. This study may well be concluded as follows; Firstly, the residents living in a unitarized housing environment are yearning to have a space and facility activating their community. Regardless of forms of housing or number of the family members, their need for recreation and community life is increasing, which means that the community facilities should be increased quantitatively and improved qualitatively. In order to activate the community fac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it is deemed necessary to simplify the criteria for the community facilities by amending the relevant code and thereby, facilitate their supplies, while arranging some customized activation methods in consideration of their locations, characteristics and residents' distribution ratios. Secondly, it is also deemed necessary to arrange some unified and consistent criteria for the solution of the conflicts among residents surrounding the charge of using the community facilities. As the community facilities are enlarged, diversified and gentrified, it become important to set a proper level of charge on their uses for their activation. Hence, it is essential to improve the vague regulations about the charge on the uses of the community facilities through collection of residents' opinions and thereby, present clear criteria for the charge on their uses. It is an important challenge to activate the community facilities by deciding on the appropriate charges for using them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the households and kinds of the community facilities. Thirdly,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about the financial sources for maintenance and replacement of the community facilities or reinvestment in them as they are increasing quantitatively. In order to manage and activate the community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included them in the criteria for longer-term maintenance plan specified by the relevant code. In particular, as the community facilities have been diversified and gentrified lately, the issues involving their repair and replacement emerge importantly. Regarding this issue, the results of this survey suggest that regardless of number of households or years of use, the apartment housing complexes where the community was activated featured high degree of community facilities uses and that the community activities could be an alternative for activation of the community facilities. In addition, diverse projects for activating the community would contribute to relaxing of inter-class discrimination and residents' solidarity in the social mix apartment housing complexes. Fourthly, when the community facilities should be divided into collectivizing ones and individualized ones, such collectivizing facilities as senior residents' center and small-scale library may well be a center for the community activities facilitating the emotional exchanges and resolving the conflicts among residents. On the other hand, the increase of the demands for such individualized facilities as health club and golf field would well reflect residents' changed consciousness of housing to secure the recreational space within the housing space. Such findings may well imply that it is essential to activate the community facilities substantially in consideration of their characteristics, their kinds and scales and residents' characteristics. Fifthly, the opening of the community facilities should require clear legal specifications and estimation of the realistic charge on their uses. In addition, in order to help the residents use the community facilities stably and activate them, it is deemed important to set clear criteria for their management and operation, amendment of the relevant codes, etc, while garnering the support from the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 but what are deemed more important are joint management of the facilities by residents and managers, resolution of the conflicts surrounding the charge on their uses, expenses for their operation, etc., and activation of the community life.

      • 농수산식품인증제도에 대한 소비자 신념 및 구매의도의 편향성에 관한 연구

        박정아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Imagine a debate between two scientists you see on television. They have opposing views. Perhaps A is promoting the benefits of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foods while B warning of negative environmental impacts and potential risks. In this case, you will probably expect to witness something like this: A presents evidence supporting his position and B provides alternative evidence for his case. Then A attempts to discredit or diminish B’s evidence, while B does the same to A. At the end of the debate neither has changed their views in the slightest, despite both being intelligent, well educated, and very knowledgeable about the topic. There are several possible cognitive biases that could operate in such argument, but the one of interest here is belief bias. A number of authors(Evans et al., 1983; Evans and Curtis-Holmes, 2005; Thompson and Evans, 2012; Kim and Han, 2012) assume that there is a general bias for people to accept uncritically the conclusions of evidence when the conclusion accords with their prior beliefs; by contrast, they tend to dismiss or discredit evidence that supports a conclusion that they do not agree with. This belief bias effect is pervasive and robust, and has been noted on a large variety of reasoning tasks, both formal and informal(Thompson and Evans, 2012). Many people who have a high level of prior beliefs on a subject frequently make biased choices and decisions instead of conducting an accurate and objective information proces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test of consumers' biased information process leading to purchase food due to their prior beliefs on food certifications. In other word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nsumer beliefs for food certifications on the behavioral intentions and the behavioral intention biases to buy the certified foods. The food certifications used on this study are ‘Organic foods', ‘Traceability system of food products' and ‘HACCP(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They are applied all kind of foods(agricultural, fishery, livestock products and processed foods) in Korea. Also, the level of consumer awareness of them is fairly higher than other food certifications. This study investigates consumers' prior beliefs for the three certifications by conducting analysis of laws and consumer interviews and then examines the effects of each of the prior beliefs on the purchasing behavior intentions(PBI) and PBI biases for the certified foods. This study also focuses on the differences of the level of the biases between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The representative foods of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on this study are tofu and seasoned laver. Each food has a long history being treated as a popular side dish in Korea, which means they are vastly preferable and familiar to Koreans. Also, both are ones of the most consumed and frequently eaten foods by Koreans. According to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2015), they were highly placed on the commonly consumed food list by Korean in 2014.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I used non-qualitative analysis but a subjective probability model which is on the basis of mathematical probability model. This study produced subjective probability of consumers PBI through the model. Then the covariance model was used to compare the level of the PBI biases between the comsumer groups with high and low PBI. The current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consumers have more than two different prior beliefs each for all food certifications which 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prior beliefs of the certifications have an impact on the consumers when they consider to buy the certified food products. The level of the prior beliefs were different by the certifications and the food species(agricultural versus fishery products). Second, consumers try to persuade by themselves to ensure that their particular belief about the certification could lead to a purchase the products. In other words, they make a positive PBI bias for the certified food products in order to maintain their prior belief of the certification. Consumer prior beliefs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ion" on the organic foods certification is an important factor as much as the “guarantee of food safety" belief making a positive PBI bias for the organic food products. Consumers also have a positive PBI bias for certified products in all certifications regardless of food species as long as a certification is considered to “guarantee the transparency of the food distribution process" as its prior belief. ‘Traceability system of food products' was the only one which didn't generate a positive PBI bias from the prior belief of “guarantee of food safety" out of three certifications. Third, the result of this study confirmed the differences of the PBI biases between agricultural and fishery certified products(i.e. tofu and seasoned laver). Consumers have underestimated the safety of the certified fishery products in comparison with agricultural products even if both of the products obtained the same certifications(HACCP, traceability systems). However, consumers have much more positive consideration to purchase the certified fishery products compare with the agricultural products as long as they already believe the certification can “guarantee the transparency of the food distribution process" as its prior belief. Our study provides clear, quantitative and meaningful evidence of the effects of consumer beliefs for food certifications on the behavioral intentions and the behavioral intention biases. That is because our findings are based on a subjective probability model and covariation-based model both are on the basis of mathematical probability model. The strength of this study is that findings are expressed as a probability which can present the impact of consumer beliefs on the behavioral intention biases more visible and obviously.

      • 노인 당뇨병 환자에서 당뇨망막병증 위험요인

        박정아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당뇨망막병증은 당뇨병의 만성합병증으로 실명을 유발하는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된다. 더욱이 당뇨망막병증이 한번 발생하면 진행을 막을 수 없으며, 그 치료법이 단순하지 않아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당뇨망막병증의 발생과 관련이 높은 인자들에 대한 연구들은 의학계에서는 활발하지만, 간호학 측면의 인자를 확인하기 위한 특히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매우 미흡하다. 따라서 노인당뇨병 환자들의 당뇨망막병증의 위험요인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당뇨병을 가진 65세 이상 노인의 당뇨망막병증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예방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자는 대전시 일개대학병원의 내분비내과와 안과외래를 방문하는 65세 이상의 당뇨병을 가진 노인으로 하였고 연구에 참여를 허락한 자로 구성되었다. 당뇨망막병증군 66명, 대조군 66명으로 총 연구대상 132명인 환자-대조군 연구이다. 연구 자료의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건강행태, 질병관련 특성, 당뇨지식, 자가간호행위, 당뇨망막병증 진단여부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건강행태, 질병관련 특성, 당뇨지식, 자가간호행위에 따른 당뇨망막병증은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였고, 당뇨망막병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65세 이상 노인 당뇨병 환자에서 당뇨망막병증의 발생 위험도는 남성일 경우 여성보다 5.29(CI:1.48-18.91)배, 고졸이상의 학력 대상자보다 초졸의 저학력 대상자가 7.23(CI:1.57-33.37)배, 당뇨유병기간이 10년 미만인 대상자보다 20년 이상인 대상자가 12.29(CI:2.66-56.74)배, 독거생활을 하는 대상자보다 자녀와 동거하는 대상자가 9.20(CI:1.37-61.91)배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당뇨지식과 자가간호행위는 당뇨망막병증 발생 여부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65세 이상의 당뇨병 환자에서 당뇨망막병증 발생 위험요인은 성별, 당뇨유병기간, 학력, 동거형태로 나타났다. 이에 당뇨망막병증 발생 예방을 위해서는 당뇨병진단 초기부터 주기적으로 당뇨 관리를 하고 안과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노인 당뇨망막병증 발생에 있어 취약계층으로 밝혀진 남성노인과 저학력 노인을 대상으로하는 맞춤형 당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된다. 또한, 당뇨망막병증이 발생한 노인에게는 그 동거형태를 파악하여 당뇨망막병증 관리에 자녀를 참여시는 방법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공공도서관의 고령자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박정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공도서관은 고령자의 다양하고 전문화된 정보의 습득과 문화·여가·교육활동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양질의 정보를 지닌 공공기관이자 평생교육의 장이다. 이로 인해 고령자를 위한 공공도서관의 고령자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은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고령자 서비스의 계획·운영·개발에 있어 향후 지속적으로 반영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공공도서관의 고령자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고령자서비스에 대한 문헌연구, 국외 사례 및 국내 현황 조사를 실시하였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고령자의 개념과 특성, 공공도서관의 고령자 서비스 정의 및 요소와 필요성 그리고 고령자 서비스 관련 지침에 대해 살펴보았다. 국외 사례 조사는 ALA의 OLOS에서 2010년 발행한『Keys to Engaging Older Adults @ your library』에 공공도서관 고령자 서비스 우수 사례로 제시된 총 11개의 공공도서관 중 현재 고령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이메일을 통해 응답해준 최종 7개관의 공공도서관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7개관의 고령자 서비스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고령자 서비스 5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국내 현황 조사는 문화체육관광부 국가도서관 통계 시스템에서 제공하는『2010 전국 공공도서관 명단』을 이용하였다. 사서 대상 온라인 설문은 총 122개관을 대상으로 2012년 4월 30일부터 2012년 5월 11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최종 응답은 총 77건(63.1%)을 받았다. 고령자 서비스의 이용자 요구조사는 2012년 5월 2일부터 2012년 5월 10일까지 4개의 공공도서관에서 방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05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공공도서관의 고령자 서비스 현황조사와 고령자 요구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공공도서관에서는 고령자를 위한 찾아가는 도서관 서비스를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고령자를 위한 찾아가는 도서관 서비스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고령자와 사서 모두가 매우 긍정적인 의견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고령자를 위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곳 또한 매우 낮은 비율로 나타났으나 고령자 요구조사 결과 고령자 전용 홈페이지와 참고정보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셋째, 고령자를 위한 평생교육 및 문화프로그램은 설문에 참여한 많은 도서관이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그 내용과 운영에 있어 교육프로그램을 제외한 독서, 건강 및 심리, 문화 및 예술프로그램 등이 미흡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사서와 고령자 모두가 고령자를 위한 다양한 주제의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넷째, 고령자를 위한 편의시설에 있어서는 현재 대부분의 도서관이 단순한 독서보조기구는 구비하고 있으나 고령자를 위한 맞춤편의시설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령자의 시설자원 중요도에 대한 문항에서 장시간 독서 및 학습활동을 위한 편안한 의자 구비와 다양한 매체의 자료 및 시설 구비, 고령자를 위한 전용 열람실 및 자료실의 필요성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인 의견을 나타내었다. 다섯째, 고령자 서비스 전문인력을 갖추고 있는 공공도서관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자에게 도서관에서의 봉사활동 기회를 제공하는 곳 또한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고령자의 요구조사에서 고령자 서비스를 담당하는 전문 직원과 자원봉사활동 기회 제공의 필요성에 대하여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냈다. 여섯째, 고령자 서비스에 대한 홍보 방법으로 국내 공공도서관은 수동적인 방법으로만 홍보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사서와 고령자 모두가 적극적인 홍보 방안 모색 필요성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또한 고령자 서비스의 장애 요인으로 예산 부족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것과 동시에 고령자와 사서 응답자 모두 고령자 서비스를 위한 예산 확보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을 나타냈다. 이상의 국외 사례 및 국내 현황 조사, 고령자 서비스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고령자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정보제공 서비스 향상, 평생교육 및 문화프로그램 서비스 다양화, 고령자 서비스 운영 자원 개발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정보제공 서비스 확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찾아가는 도서관 서비스는 고령자의 신청자료 우편배달과 함께 순회문고 및 이동문고처럼 주기적으로 정해진 시간에 맞춰 고령자 시설 및 요양원 등으로 방문하여 직접 자료를 제공하도록 운영되어야 한다. 둘째, 찾아가는 도서관 서비스는 단행본 및 시청각 자료뿐만 아니라 대형활자도서, 오디오북 등의 자료와 함께 도서관에서 진행되는 교육 및 건강프로그램과 같은 고령자 관심 주제 분야의 프로그램 또한 서비스되어야 한다. 셋째, 고령자의 관심 분야 정보를 한 곳에 모아 제공해주는 고령자 전용 홈페이지 운영이 필요하다. 또한 컴퓨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 또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고학력 고령자들의 폭넓은 양질의 정보요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하여 고령자 전용 참고봉사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정보활동을 지원해주어야 한다. 넷째, 고령자를 위한 인터넷 정보자원 개발 및 홈페이지 이용 확대를 위해 여가 및 취미, 건강 및 의료, 문화 및 예술, 재취업 및 봉사활동 분야의 인터넷 정보자원 확보와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고령자 서비스에 대한 소개, 고령자 전용 홈페이지 사용법에 대한 튜토리얼, 고령자의 독서활동 활성화를 도울 수 있도록 온라인 추천도서목록을 개발해 제공해야 한다. 다음으로 평생교육 및 문화프로그램 서비스 다양화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프로그램의 경우 컴퓨터 활용에 익숙하지 못한 고령자를 위한 컴퓨터 교육과 어학프로그램을, 건강 및 심리치료프로그램에서는 다양한 질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법 강좌와 독서 및 웃음치료 등의 심리치료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문화 및 예술프로그램은 음악·미술·영화 등 다양한 분야의 문화체험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해야하며, 독서 관련 프로그램은 독서회, 독서도우미, 독서치료와 같은 프로그램을 통한 동년배와의 친목활동과 함께 독서를 통한 사회소통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고령자를 위한 평생교육 및 문화프로그램의 진행은 주 1~2회, 오전 시간대에 평균 2시간으로 운영하는 것이 좋으며, 강의를 통한 교육과 견학 및 실습을 통한 방법으로 수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고령자 교육프로그램의 경우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수준별·단계별로 진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운영 자원 개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의 시설자원 개선을 위해 장시간 고령자의 독서활동을 지원해 줄 수 있는 편안한 의자와 독서보조시설을 구비해야하며, 고령자의 이동 편의성을 위해 작은 손수레 및 휠체어 대여를 운영해야 한다. 이러한 물리적 시설과 더불어 그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구비한 고령자 전용 열람실 및 자료실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고령자 서비스 전문인력을 확충하여 서비스를 발전시켜야하며, 봉사활동을 희망하는 고령자에게 도서관의 업무 보조 및 프로그램 진행 활동 등 자원봉사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공공도서관은 타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한정된 예산 안에서 고령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넷째, 고령자 서비스 지침을 마련하여 기본적인 운영 방안에 대해 제공해야하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특성에 맞춰 고령자 서비스를 계획·운영할 수 있도록 전담부서를 운영해야 한다. 다섯째, 도서관은 지역사회의 모든 고령자가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알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 방안에 대해 모색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고령자 서비스에 대한 국외 사례와 국내 현황 및 고령자의 요구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과를 반영하여 공공도서관의 고령자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Public libraries are public institutes as well as lifelong education centers that have the most suitable high quality information which allows obtaining of various and specialized information and they also satisfy the needs for the cultural, entertainment, educational activities for the older adults, and due to this, the necessity about the services for older adults of the public libraries is steadily increasing.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older adults service activation method of public libraries with the purpose of providing help as the sources of basic data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study about older adults service from now on, by suggesting the direction that needs to be consistently reflected in terms of planning, operation, and development of public libraries older adults service. For this matter, literature research and survey on current status were conducted. First,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the concepts and features of the older adults, definition and elements and necessities of older adults service, and the older adults service-related guidelines were examined. As for the case study, 7 of the public libraries that responded through e-mail claiming that they currently provide older adults services among 11 of public libraries that were suggested as the outstanding cases for their public libraries older adults services in 『Keys to Engaging Older Adults @ your library』issued by OLOS of ALA in 2010, were selected. As for 7 of the older adults service that were selected, it was examined in 5 types of older adults service that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As for the research of current status, the statistical data of 2010 in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as used.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librarians was made through online questionnaire from April 30th of 2012 until May 11th of 2012, and for the research of the demand by older adults, we have conducted visiting research in 4 of the public libraries from May 2nd of 2012 until May 10th of 2012.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y and current status investigation, the activation method of older adults service of public libraries was suggested by dividing it into information resource provision service, lifelong education and cultural program service, and fundamental elements. First in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we suggested the methods about expansion of operational methods and content development of outreach service considering the physical features of the older adults, and the internet resource and homepage usage expansional method for main subjects of interest of older adults. Second, in lifelong education and cultural program service, we suggested the operational methods such as program content development and program time and methods by dividing them into educational program, health and psychological treatment program culture and art program, reading-related programs. Third, in operation resource development, the improvement method of facilities resource which is the element related to older adults servic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 budget and cooperation expansion method preparation, older adults service advice and specialized division development, and active promotional methods were suggested. As above, this study examined the overseas cases, current domestic status, and needs of older adults in public libraries, and by reflecting the results generated based on this, we suggested the promotion method of older adults service of public libraries. Until the present, the service of older adults of the domestic public libraries needs a lot of improvements in terms of the contents and the operation.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e research of current status of public libraries, problems can be found, and this will play the roles for improvement and operation of service through the suggestion about promotion method of service that reflects the needs about the service of older ad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