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해석학의 가능성 : 가다머 이론의 재해석

        박윤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가다머(H. G. Gadamer)의 해석학을 교육이론으로 재해석하는 데에 있다. 가다머는 1960년에 「진리와 방법」(Wahrheit und Methode)이라는 저서를 통하여, 해석학은 이해의 방법론이 아니라 이해라는 현상의 성격을 밝히는 이론이라고 주장하였다. 가다머가 강조한 이해의 기반으로서의 ‘전통’, 이해를 통해 해석자에게 형성되는 ‘선입견’, 그리고 전통과 선입견을 매개하는 ‘텍스트’ 등은 가다머 이론과 관련된 논쟁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핵심 개념들이다. 가다머의 이론을 한 쪽에서는 주관적·상대적이라고 비판하는 반면, 다른 쪽에서는 보수적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베티(E. Betti)와 허쉬(E. D. Hirsch)는 가다머가 해석의 객관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의 이론이 주관적이고 상대적이라고 비판한다. 이와는 달리 하버마스(J. Habermas)와 아펠(K. O. Apel)은 가다머가 전통과 권위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보수적이라고 비판한다. 이와 같은 가다머의 이론에 대한 상이한 비판은 결국, 이해의 기준에 관한 논의라고 말할 수 있다. 베티와 허쉬는 텍스트 저자의 의도라는 이해의 객관적인 기준이 텍스트 해석의 시간상 이전에 미리 정해져야 한다고 본다. 반면에 하버마스와 아펠은 이해의 기준이 대화와 합의를 통하여 해석의 시간상 이후에 결정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가다머의 이론에 비추어 볼 때, 진리라는 텍스트 이해의 기준은 이해의 논리적 가정(presupposition)이며, 동시에 이해의 과정을 통하여 점차 확립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가다머가 제시한 전통과 선입견의 개념은 이해의 과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설명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텍스트는 이해의 과정에서 해석의 주체-해석자-와 대상-텍스트, 그리고 텍스트 이면의 진리-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해석자가 텍스트를 통하여 전통을 이해하는 것과 전통을 이해함으로써 해석자 자신에게 생겨나는 이해는, 각각 이해의 객관적 측면과 주관적 측면이라는 이해의 서로 다른 두 측면이라고 말할 수 있다. 결국 이해는 텍스트를 매개로 한 전통과 선입견 사이의 해석학적 순환(hermeneutical circle)인 것이다. 해석자는 이해의 두 측면 사이의 끊임없는 해석학적 순환을 통하여, 자신의 이해를 점차 확장시켜 나간다. 가다머는 이해를 해석자와 텍스트 사이의 대화로 규정한다. 텍스트는 해석자가 이해하려고 할 때에서야 비로소 자신을 개방한다. 이 때의 개방이라는 의미는 텍스트가 드러내고자 하는 진리(존재, Sein)를 개방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단순히 문자를 읽고 쓸 수 있다고 하여, 텍스트 이면의 진리를 파악할 수 있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우리는 오직 텍스트 이해의 전통에 먼저 입문하여 있는 교사에 의하여 교육받음으로써 텍스트를 보다 잘 이해하게 되며, 텍스트 이면에 존재하는 진리가 어떠한 것인가를 점차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교사의 존재를 말하지 않고서는 이해를 정확하게 설명할 수 없다. 가다머는 텍스트 이해를 단순히 해석자와 텍스트 사이의 대화로 규정함에 따라, 이해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교사의 존재를 간과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가다머의 해석학을 교육이론으로 재해석하는 일은 텍스트 이해가 그것을 이해하는 사람의 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그리고 이해하는 일이 어째서 가치 있는 일인가를 정당화하는 데에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해석자가 텍스트 이해를 통해 자신의 이해 지평(horizon)을 확장해 나가는 과정은 바로 이해가 가치 있고, 의미 있는 활동임을 정당화하는 것이다. 해석자는 텍스트를 이해하려고 부단히 노력함으로써, 자신의 마음 속에 이해의 기준을 점차 확립해 나아간다. 보다 확장된 이해를 통해 자신의 마음을 함양한 사람은, 자신의 말과 행동이 마음 속에 확립한 기준과 일치하도록 애쓴다. 올바른 이해를 통하여 심성을 함양한 사람은 스스로 자신의 삶을 통해, 텍스트 이해가 가치 있는 일임을 증명하는 것이다. 교육은 교사가 교과를 가르침으로써 학생의 심성을 함양하도록 하는 일이다. 그리고 교육이론은 교과 공부를 통하여 심성을 함양하는 일이 어떠한 일인가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가다머의 해석학 이론을 교육이론으로 재조명하는 일은 교과를 공부하며 사는 삶이 어째서 가치 있는 일인가, 그리고 교과를 공부함으로써 그것을 공부하는 사람의 심성이 어떻게 함양되는가를 설명하는 일과 다르지 않다. 메타프락시스(Metapraxis)의 아이디어는 이러한 질문과 관련하여 가다머의 해석학 이론을 교육이론으로 재정립하는 데에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메타프락시스는 ‘실천의 실천’, 즉 심성 함양을 위한 실천을 바로 그 실천에 의하여 설명하는 담론 형식이다. 가다머의 해석학 이론을 교육의 관점에서 재해석한 교육해석학이 교과를 공부하는 일이 곧 심성 함양을 위한 실천이 된다는 점에서 가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면, 이러한 교육해석학은 메타프락시스적 성격을 띤 교육이론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Hermeneutics theory of H.G. Gadamer from a viewpoint of education. Gadamer published 'Wahrheit und Methode'(Truth and Method) in 1960, and his new opinion on Hermeneutics raised a radical controversy among scholars. 'Tradition', 'prejudice' and 'text' are the core concepts of Gadamer's argument. It is important to clarify various arguments on Gadamer's theory to understand his ideas correctly. Interestingly, some criticize Gadamer's theory as subjective and relative, while others criticize it for being conservative. E.Betti and E.D.Hirsch criticize Gadamer's theory as subjective and relative in a sense that the theory defies objectivity of hermeneutics. Meanwhile, J.Habermas and K.O.Apel criticize the same theory as conservative because he overly emphasizes the concept of tradition in constructing and developing his theory. For Habermas and Apel, tradition should be challenged and improved through continuous reflection and criticism. The conflicting opinions on Gadamer's theory is due to the varying thoughts about the standard of interpretation. Betti and Hirsch insist that the standard of understanding of text is prior to interpret the text. While Habermas and Apel thought that it is posterior to understand the text. However, Gadamer thought that the standard for understanding the text should exist as presupposition, at the same time gradually building through a process of comprehension at the same time. The concept of tradition and prejudice, as Gadamer claimed, plays a significant role in elucidating the specific procedure of understanding. Understanding has two aspects - objective and subjective- as an interpreter understands tradition through the text and also understands himself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tradition. Eventually, understanding forms a hermeneutical circle between a text and a interpreter. Through continuous circulation between the two aspects of understanding, an interpreter can expand the realm of his understanding. Gadamer defines 'understanding' as a conversation between an interpreter and a text. However, he overlooked the presence of a teacher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 text. Without addressing on the role of a teacher, it is hard to correctly expla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Because it is critical to receive good training from a teacher to have a real understanding of a text. By receiving knowledge from a teacher who is already familiar with the tradition of understanding the text, we can understand the text better. We can approach the world that a text introduces to us by getting familiar with the world as interpreted by a teacher. Re-interpreting Gadamer's Hermeneutics theory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in justifying the valu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is meaningful and valuable as an interpreter extends the horizon of his scope of understanding by interpreting a text. Through ceaseless effort to understand a text, an interpreter establishes the standard of understanding in his mind. With expanded scope of understanding, one endeavors to conform one's speech and behavior to the inner standard. One cultivates one's mind with effort for correct understanding, and manifests the value of understanding the text through one's own life. Education forms students' mind through learning. Educational theory deals with what it means to form one's mind by studying subjects. How does understanding of a text affect an interpreter's mind? What is the ultimate state of a cultivated mind that one achieves through understanding of a text? Answering these questions will facilitate linking hermeneutics with educational theory in a meaningful way, and will also bring a new potentiality to educational hermeneutics.

      • 교수자료의 인지부하와 제시방식 및 작업기억 용량이 유아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박윤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교수자료의 특성(인지부하 수준, 제시방식)이 유아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유아의 작업기억 발달 특성(전체용량, 양식별 용량)에 따른 영향력을 비교하여 확인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유아, 특히 작업기억 용량이 작은 유아를 위한 효과적인 교수 설계와 특정 양식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유아를 위한 효과적인 교수 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교수자료의 인지부하와 유아의 작업기억 용량에 따른 학습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교수자료 제시방식과 유아의 작업기억 양식별 용량에 따른 학습효과는 어떠한가? 이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 대전 지역의 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2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재적 인지부하, 외재적 인지부하 수준이 다른 6종류의 교수자료와 정보전달 방식이 다른 부가적인 2종류의 교수자료를 제작하였고, 이 자료를 각각 이용하는 총 8개의 연구 집단을 구성하였다. 유아들은 8개의 연구 집단 중 하나에 임의로 배정되었고, 각 조건에 맞는 교수자료를 보며 학습 활동에 참여하였다. 참여 후, 유아의 학습효과가 측정되었으며, 유아의 작업기억과 주의가 측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 프로그램에서 평균, 표준편차, 다원변량분석, 일원변량분석, 독립표본 t-검정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료의 내재적 인지부하가 낮을 때 유아의 학습효과가 높았다. 즉, 시각자료를 전체적으로 제시하거나 부분별로 제시하는 방법보다 시각자료를 부분별로 제시하고 마지막에 한 번 더 전체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이 유아의 학습효과가 더 컸다. 둘째, 교수자료에 외재적 인지부하가 부가될 경우, 유아의 학습효과가 더 낮았다. 학습 내용과 무관하고 불필요하게 주의를 끄는 요인들은 유아의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유아의 작업기억 용량이 큰 집단이 작업기억 용량이 작은 집단보다 학습효과가 더 높았다. 넷째, 다양한 교수안 조건에서 유아의 학습효과는 유아의 작업기억 용량에 따라 달라진다. 방해자극이 없는 부분별+전체 제시 조건에서 작업기억 용량이 큰 유아들의 학습효과가 뚜렷하게 높았고, 방해자극이 있는 전체/부분별 제시 조건에서 작업기억 용량이 작은 유아들의 학습효과가 뚜렷하게 낮았다. 다섯째, 교수자료의 제시방식에 따라 유아의 학습효과가 달랐다. 유아에게 청각, 시각정보를 동시에 제시하는 경우가 이것들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제시하는 경우보다 유아의 학습효과가 높았다. 청각, 시각정보의 제시순서는 유아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섯째, 청각 작업기억 용량이 큰 집단이 작은 집단보다 학습효과가 높았고, 시각 작업기억 용량이 큰 집단이 작은 집단보다 학습효과가 높았다. 일곱째, 청각 작업기억 용량이 큰 유아에게는 청각정보를 시각정보보다 먼저 제시하고, 시각 작업기억 용량이 큰 유아에게는 시각정보를 청각정보보다 먼저 제시하는 것이 유아의 학습효과가 높았다. 이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교수-학습 환경에서 교수자료에 부여되는 인지부하 및 정보제시 방식의 중요성을 밝히고, 유아의 작업기억 특성(전체용량, 양식별 용량)에 따라 더 효율적인 교수방법을 밝혀 교육 실제에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eaching materials (cognitive load and presentation method) and young children’s working memory characteristics on their learning effectiveness to ultimately propose practical pedagogical strategies for children with low working memory capacity.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239 five-year-old children enrolled in kindergartens across Seoul, Gyeonggi, Incheon, and Daejeon provinces.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six types of teaching materials with different intrinsic and extraneous cognitive load levels and two additional types of teaching materials with different presentation methods of information were used. A total of eight experimental groups were formed with each group assigned to different teaching materials.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eight groups, where they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activities accordingly. Young children's learning effectiveness was measured after the activities; children’s working memory and attention were also measur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 to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s, multiple analysis of variance, one-way ANOVA, and independent t-test.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children was higher when the internal cognitive load of teaching materials was lower. In other words, it was more effective for children’s learning to first present visual materials in parts and then as a whole once more, rather than showing them as a whole or in parts. 2.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children was lower when external cognitive load was added to teaching materials. Factors not related to the teaching subject or distracting children unnecessarily had a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learning. 3. The group of children with a larger working memory capacity showed higher learning effectiveness than its counterpart group. 4. Under various teaching conditions,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children depended on their working memory capacity. When presented with teaching materials in parts and then as a whole without distracting elements,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children with a larger working memory capacity was significantly higher. Meanwhile,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those with a smaller working memory capacity was remarkably lower, under the condition of presenting teaching materials as a whole or in parts with distracting elements. 5.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children differed according to how the teaching materials were presented. Presenting auditory and visual information to children at the same time resulted in a higher learning effectiveness than providing it to each of them one after the other. The order in which the auditory and visual information was shown did not affect the learning effectiveness. 6. The group with a larger auditory working memory capacity had a higher learning effectiveness than the other group; the group with a larger visual working memory capacity showed a higher learning effectiveness than its counterpart. 7. The learning effectiveness was higher for children with a larger auditory working memory capacity when presented with auditory information before the visual one, and for those with a larger visual working memory capacity when presented with visual information before the auditory on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identifying the importance of the cognitive load of teaching materials and the methods of presenting them in a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for young children, and investigating effective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working memory in young children (total capacity and capacity by type) so as to propose the applicability in the field.

      • 전자파 방사 내성 시험의 방해요인 분석

        박윤현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IT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시험인증 분야 중 전자파 적합성 관련 시험 항목인 규격 KN 61000-4-3 전자파 방사 내성 시험에 관한 것이다. 해당 분야에서는 안테나를 통해 인가한 노이즈가 주변 기자재나 환경에 의해 반사되어 시험기자재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전자파 반사에 의한 가설과 시험기자재와 같이 배치되는 다른 주변기기에서 나오는 노이즈가 측정하고 있는 시험기자재의 노이즈와 결합되어 시험 시 안테나로부터 인가되는 전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전자파 결합의 대한 가설이 있다. 이에 따라 규격에 맞는 시험을 하기 위해 전자파의 반사와 결합 등 실제 시험 시 방해요인이 될 수 있는 환경에 대해서 검증 분석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규격에서 요구하는 전기장 교정을 통해 챔버의 균일장을 확인 하였으며, 탁상형 기기에서 실제 시험 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균일장의 2 Point, 3 Point에서 80 MHz ~ 1 GHz까지 One Point Calibration을 통해 일반적인 환경에서의 변화와 반사체를 배치하였을 경우의 환경 변화, 결합체를 배치하였을 경우 등 Configuration의 변화를 확인 하였다. 측정 분석 결과, 규격에 따라 검증에서 사용된 전계 3 V/m를 각각 Configuration에 따라 인가하였을 시 Minimum Value 3 V/m, Maximum Value 3.15 V/m 의 전계가 측정 되었으며 반복된 측정에 의한 불확도 0.013 dB와 교정서 및 기타 인증서에 주어진 측정장비의 대한 불확도를 분석해 보았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합성표준불확도는 = 5 dB (신뢰수준 약 95 %, = 2)에 해당 되며 Minimum Value와 Maximum Value의 차이는 환경에 의한 변화가 규격에서 요구하는 전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Queuing theory 기반의 스펙트럼 공유분석 모델 연구

        박윤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스펙트럼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피간섭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율 저하를 간섭허용 기준으로 도입한 스펙트럼 공유간섭 분석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900 MHz 대역에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와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시스템 간의 스펙트럼 공유시나리오에 적용하여 MCL(Minimum Coupling Loss) 방법과 비교하여 주파수 사용 효율성 측면에서 그 우수성을 입증하였다.제안한 스펙트럼 공유분석 모델은 서비스 처리율과 간섭과의 관계를 유도하기 위해 대기행렬 이론을 이용한 통계적 간섭분석 모델이다. 이것은 기존의 MCL 방법보다 실제 상황을 보다 구체적으로 모델링 할 수 있고, Monte Carlo 방법으로 얻을 수 없는 간섭과 서비스 처리율과의 관계를 도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우선 간섭원의 통계적 특성을 모델링하기 위해 시간적 랜덤 특성은 Poisson 분포로, 공간적 특성은 보호영역이 있는 Uniform 분포로 가정하였다. 간섭원의 출력전력 및 개수, 피간섭원과의 이격거리 등의 파라미터에 따라, 피간섭원에 수신된 간섭전력의 평균, 표준편차, 상관계수 등의 통계적 특성을 추정하였다. 피간섭원에서 허용가능한 간섭전력량을 구하기 위해, 기존의 공유분석에서 사용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과 같은 신호의 전력이나 에너지 측면에서의 기준량과 달리 피간섭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율과 같은 실질적인 성능 기준량을 고려하기 위해 대기행렬이론을 공유분석 모델에 적용하였다.이를 실제 UHF(Ultra High Frequency)대역에서 RFID 및 USN 공유 시나리오에 적용하기 위해, RFID 시스템은 EPCglobal Class 1 Generation 2 규격을 적용하고, 최대전력 4W EIRP(Effective Isotopic Radiated Power)의 고출력 시스템과 0.2W EIRP까지의 저출력 시스템으로 나누었다. USN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IEEE 802.15.4 규격을 표준으로 가정하고 공유분석을 수행하였다. USN이 간섭원인 경우 최대허용간섭량 이상의 간섭전력이 발생할 확률은 보호영역의 크기, 간섭원의 수에 따라 5~50%까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고출력 RFID가 간섭원인 경우는 허용간섭기준 이상이 될 간섭확률이 25% 이상, 저출력 RFID가 간섭원인 경우는 5% 이상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SINR에 의해 결정되었던 공유 기준은 간섭확률 5%미만이며, 이를 기준으로 보면 두 시스템은 공유가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제안한 처리율 기준의 공유기준에서 보면 공유가 가능한 간섭발생 확률이 5~20% 정도로 두 시스템은 공유가 가능하다. 즉 기존의 간섭확률 허용 기준값 5%가, 시스템의 처리율을 기준으로 하면, 기존의 5%에서 최대 20.8%까지 증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주파수 사용 효율 측면에서 분석하기 위해 MCL 방법으로 공유조건을 설정했을 경우를 본 논문에서 제안한 공유조건을 적용한 경우와 비교하였다. 동일한 공간에서 동일한 주파수를 RFID와 USN이 사용할 경우, MCL 방법으로 계산한 스펙트럼 사용 효율은 2.74bps/Hz/km2이고,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에 처리율 5% 저하를 기준을 적용하여 계산하면 11.05bps/Hz/km2으로 4.03배 향상된다.이는 단순히 간섭전력의 분포를 가지고 공유가능성을 판단하던 이전의 방법에 비해 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한 유연한 공유 기준을 제시하며, 이를 공유 주파수 관리 방안으로 활용할 경우 스펙트럼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안한 공유분석 모델이 RFID와 USN의 주파수 공유뿐만 아니라 다른 시스템의 주파수 공유 검토에 적용될 수 있도록 일반화된 모델로 주파수 관리 방안 및 기술기준 연구에서 활용이 가능하다.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공유분석 방법과 새로운 주파수 공유 기술이 결합되면, 한정된 자원인 주파수의 사용률을 높여 스펙트럼 사용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새로운 전파통신 서비스들이 요구하는 전파자원을 적절하게 배분할 수 있는 스펙트럼 정책 및 관련 기술기준 수립에 응용될 수 있다. In this dissertation, a frequency sharing model to enhance the spectrum utilization efficiency is proposed and applied to analyze the coexistence between passive RFID and USN systems in the UHF band.Generally MCL, E-MCL, and Monte Carlo methods are used in investigating interference effects. The MCL method calculates the isolation required between interferer and victim to ensure that there is minimal interference. MCL is simple to use and does not require a computer for implementation, but it is a worst case analysis and produces a spectrally inefficient result. As for MCL, the E-MCL method calculates the required isolation. This method is simpler than Monte Carlo but more complex than MCL. It is semi-analytical and can be implemented using a calculator, a computer or both. A Monte Carlo simulation is a statistical technique based upon the consideration of many independent instants in time and locations in space.These methods have been used not to share some frequency bands but to control transmit power which may interfere to other systems. The conventional fixed spectrum allocation, where the spectrum regulator gives exclusive rights of resources to customers, has anxiously led to spectrum scarcity. Meanwhile, the phenomenon of spectrum underutilization has been significantly observed and investigated using smart radio concepts such as cognitive radio (CR) and dynamic spectrum access (DSA). Therefore, a frequency sharing model for spectrum underlay and overlay technologies is required to resolve the spectrum scarcity bottleneck.In this thesis, interference power distribution results are presented when RFID and USN systems share the UHF band. Average interference powers are obtained by simula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respectively. Simulation results are then verified by statist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terferers and the diameter of the protection area, CDFs of interference power are simulated under the various conditions. From the simulation results, the probability that both USN and RFID systems meet the required maximal interference power levels is 95% on condition that there are 1 low power RFID reader and several USN nodes and that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a RFID reader and an USN node is greater than 1m. In spite of SNR, a service departure rate decrement in queuing theory is used to determine a sharing possibility. At a 5% service departure decrement rate, interfering probability can be increased upto 20.8%. Then spectrum utilization efficiency using the sharing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is compared to that by the MCL method. The spectrum utilization efficiency is 11.05bps/Hz/km2, which is 4.03 times of 2.74bps/Hz/km2 by MCL method.From the above results, the proposed model can improve spectrum utilization efficiency and can be applied to the spectrum management policy.

      • 과제 종류에 따른 3, 4, 5세 유아의 주의집중과 수인지 과제 수행

        박윤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유아의 연령과 성별, 과제의 종류에 따라 수인지 과제 수행 시 주의집중에 차이가 있는지와 수인지 과제 수행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주의집중과 수인지 과제 수행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의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유아의 수인지 과제 수행 시 주의집중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과제의 종류에 따라 유아의 수인지 과제 수행 시 주의집중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유아의 수인지 과제(변별, 서열, 유목, 패턴) 수행은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4】 유아의 수인지 과제의 정답률은 어떠하며 과제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5】 유아의 수인지 과제 수행별 주의집중과 수인지 과제 수행의 관계는 유의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의 유치원에 다니는 3세 유아 20명, 4세 유아 20명, 5세 유아 20명, 총 60명을 대상으로 변별, 서열, 유목, 패턴의 수인지 과제 수행을 실시하였다. ㈜Laxtha의 QEEG-8 뇌파측정기를 이용하여 유아가 수인지 과제를 수행할 때 나타나는 뇌파를 측정되었다. 뇌파 지표들은 동일 회사의 TeleSca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추출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수집된 뇌파 자료들과 수인지 과제 수행 자료들은 SPSS 20 프로그램을 통해 평균, 표준편차, 이원분산분석, 대응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이 실시되었다. 분석을 토대로 한 이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인지 과제 수행 시 유아의 주의집중은 연령과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유아의 주의집중은 과제의 종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목 과제 수행 시 주의집중 지표는 변별, 서열, 패턴 과제 수행 시 주의집중 지표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패턴 과제 수행 시 주의집중은 변별, 서열 과제 수행 시 주의집중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유아의 수인지 과제 수행은 유아의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먼저 수인지 과제 정답률에서는 변별 과제에서 5세 유아의 정답률이 3세 유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서열, 유목, 패턴 과제에서 5세 유아의 정답률이 3, 4세 유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과제 수행 시 응답시간에서는 변별, 서열 과제에서 4, 5세의 과제 응답시간이 3세보다 유의하게 짧았고, 유목 과제에서 5세의 과제 응답시간이 3세보다 유의하게 짧았다. 한편 패턴 과제에서는 5세의 응답시간이 3, 4세 보다 유의하게 길게 나타났다. 유아의 수인지 과제 수행은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유아의 수인지 과제 수행의 정답률을 바탕으로 과제 수행 차이를 살펴본 결과, 3세 유아의 경우 변별 과제가 가장 높은 수행을 보였고, 다음으로 유목 과제, 서열과 패턴 과제 순으로 수행의 차이가 나타났다. 4세 유아의 경우에는 변별 과제, 유목과 서열 과제, 패턴 과제 순으로 수행의 차이가 나타났다. 5세 유아의 경우에는 변별, 서열, 유목 과제가 높은 수행을, 패턴 과제가 가장 낮은 수행을 나타내었다. 다섯째, 과제 수행 시 주의집중과 유아의 수인지 과제 수행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유아의 수인지 과제 주의집중이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밝히고, 과제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아의 수인지 과제 수행이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고, 과제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주의집중과 수인지 과제 수행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존재하지 않음을 규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