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슈퍼바이지 발달수준과 역할 어려움에 따른 군집별 슈퍼비전 작업동맹의 차이

        박예림 숙명여자대학교 심리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cluster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upervisees’ development and role difficulties in Supervision, and the difference in the Supervision Working Alliance according to each cluster type was verified. Among counselors working at public institutions, social welfare institutions, university student counseling centers, private counseling institutions, and hospitals, 209 counselors who have received or are currently receiving at least three personal supervision from the same supervisor within the past year.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Supervisees’ Development Level Scale (KCLQ), the supervisees’ Role Difficulty Scale (RCRAI), and the Supervision Working Alliance Scale (WAI-T),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the level of supervisees’ development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role ambiguity among the sub-factors of role difficulty,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upervision Working Allianc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role difficulty and the Supervision Working Alliance. Second, a two-stage cluster analysis proposed by Hair et al. (2010) was conducted to divide the group into beginners and skilled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supervisees’ development and sub-factors of role difficulty. In the first stage, Wards'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and after reviewing the change in the clustering schedule coefficient, it was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Next, in step 2, a K-average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in which the average score of the clusters was input as the initial center point. In the case of initial supervisees’, it was named as ‘growth process type with dependence’, ‘unskilled type with confidence’, ‘growth process type with worries’, and ‘growth type with less conflict’. In the case of skilled supervisees’, it was named as ‘unskilled type with worries’, ‘growth type with confusion’, ‘unskilled type with dependence’, and ‘growth type with less conflict’. Third, the difference in the supervision working alliance between cluster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upervisees’ development and the level of sub-factors of role difficulties were verified. In the case of the initial supervisees’ cluster, the group with the highest total score of the Supervision Working Alliance was ‘growth type with less conflict’and it follows such as ‘unskilled type with confidence’, ‘growth process type with worries’, ‘growth process type with dependence’. In the case of the skilled Supervisees’ cluster, the group with the highest total score of the Supervision Working Alliance was ‘growth type with less conflict’ followed by ‘unskilled type with worries’, ‘growth type with confusion’, ‘unskilled type with dependence’. Fourth, the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of the Supervision Working Alliance between cluster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upervisees’ development and the sub-factors of role difficulties were verified. As a result, the ‘growth type with less conflict’ cluster had the highest agreement on goals, consensus on tasks, and emotional bond scores in initial and skilled supervisees’ cluster. In other words, the supervision working alliance is high, which has a high level of development and experienced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 variables needed to increase the supervision working alliance were examined by combining the supervision variables and variables that can explore the supervision relationship by considering the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which are sub-factors of supervision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career level of the supervis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e the basic data for enhancing the supervision working allian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shown in this study. 본 연구에서는 슈퍼비전에서 슈퍼바이지 발달수준과 역할 어려움에 따라 군집을 분류하고, 각 군집유형에 따른 슈퍼비전 작업동맹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공공기관, 사회복지기관, 대학 학생 상담센터, 사설 상담 기관, 병원 등에서 근무하고 있는 상담자 중에서 심리상담 관련 전문 자격증을 소지하고, 만 19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상담한 경험이 있으며, 최근 1년 이내에 같은 슈퍼바이저에게 최소 3회 이상의 개인 슈퍼비전을 받았거나 현재 받고있는 상담자 209명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슈퍼바이지 발달수준 척도(KCLQ), 슈퍼바이지 역할 어려움 척도(RCRAI), 슈퍼비전 작업동맹 척도(WAI-T)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변인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슈퍼바이지 발달수준은 역할 어려움의 하위요인 중 역할 모호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슈퍼비전 작업동맹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역할 어려움의 하위요인들과 슈퍼비전 작업동맹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슈퍼바이지 경력 수준에 따라 초심자와 숙련자 집단으로 나누고, 슈퍼바이지 발달수준과 역할 어려움의 하위요인들에 따라 군집을 분류하기 위하여 Hair 외(2010)이 제안한 2단계 군집 분석을 하였다. 1단계에서는 Wards의 위계적 군집 분석을 실시하고, 군집화 일정표 계수 변화를 검토 후, 4개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다음으로 2단계에서 군집들의 평균 점수를 초기 중심점으로 투입한 K-평균 군집 분석을 하였다. 초심 슈퍼바이지의 경우, ‘의존하는 성장과정형’, ‘확신 있는 미숙형’, ‘고민하는 성장과정형’, ‘갈등이 적은 성장형’으로 명명하였고, 숙련 슈퍼바이지의 경우 , ‘고민하는 미숙형 ’, ‘혼동하는 성장형’, ‘의존하는 미숙형 ’, ‘갈등이 적은 성장형’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슈퍼바이지 발달수준과 역할 어려움의 하위요인 수준에 따라 분류한 군집 간의 슈퍼비전 작업동맹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초심 슈퍼바이지 군집의 경우 슈퍼비전 작업동맹 총점이 가장 높은 집단은 ‘갈등이 적은 성장형’이었으며, 다음으로는 ‘확신 있는 미숙형’, ‘고민하는 성장과정형’, ‘의존하는 성장과정형’ 순이었다. 숙련 슈퍼바이지 군집의 경우 슈퍼비전 작업동맹 총점이 가장 높은 집단은 ‘갈등이 적은 성장형’였으며, 다음으로 ‘고민하는 미숙형’,‘혼동하는 성장형’, ‘의존하는 미숙형’순이었다. 넷째, 슈퍼바이지 발달수준과 역할 어려움의 하위요인 수준에 따라 분류한 군집 간의 슈퍼비전 작업동맹 하위요인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초심 슈퍼바이지 군집의 경우 ‘갈등이 적은 성장형’ 군집이 목표에 대한 동의, 과제에 대한 합의, 정서적 유대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숙련 슈퍼바이지 군집의 경우 ‘갈등이 적은 성장형’군집이 목표에 대한 동의, 과제에 대한 합의, 정서적 유대 점수가 가장 높았다. 즉, 발달수준이 높고, 역할갈등과 역할 모호를 낮게 경험한 슈퍼바이지가 슈퍼비전 작업동맹이 높다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슈퍼바이지의 경력 수준에 따라 슈퍼바이지 발달수준과 역할 어려움의 하위요인인 역할갈등, 역할 모호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슈퍼바이지 변인과 슈퍼비전 관계를 탐색할 수 있는 변인을 조합하여 다각적으로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슈퍼비전 작업동맹을 높이는 데 필요한 변인들을 탐색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군집별 특성을 기반으로 슈퍼비전 작업동맹을 높이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부모화된 목회자 자녀 음악치료사의 양육 상처 치유과정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박예림 전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부모화된 목회자 자녀 음악치료사의 양육 상처 치유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부모화된 목회자 자녀이자 양육 상처를 지닌 음악치료사의 상처 치유과정을 자문화기술지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그 결과 부모화된 연구자의 모습에서‘제한된 표현’,‘억압된 감정’,‘과도한 책임감’을 찾을 수 있었다. 음악치료사의 정체성에서는‘부모화로 인한 역전이’,‘역할의 충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연구자의 부모화와 양육 상처를 통찰하며 자기 작업을 하였을 때‘상처의 직면과 수용’,‘표현과 인식의 확장’,‘치료사로서의 성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부모화된 목회자 자녀이자 양육 상처를 지닌 음악치료사로서 경험한 치유의 과정을 세밀하게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자와 유사한 경험을 지니고 있는 목회자 자녀들과 음악치료사에게 공감의 발판을 제공하고 치유의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회복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또한 부모화된 목회자 자녀 음악치료사의 양육 상처 치유과정을 진솔하게 나타냄으로써 연구자와 비슷한 상황에 놓인 사람들이 보여주는 상처와 부모화된 모습들에 대한 연구의 한 사례로 제시한다는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s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wound recovery process of a music therapist as a parentified pastor’s kid.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and explored the wound recovery process of a wounded music therapist, who was also a parentified pastor’s kid, using the research technique of auto-ethnography. The findings displayed the characteristics of restricted expression, oppressed emotions, and excessive sense of responsibility in the subject. The subject’s sense of identity revealed signs of counter-transference caused by parentification and conflict of roles. Moreover, when the author dedicated herself to the self-work of penetrating into her own wounds and parentification, she became able to confront and embrace her wounds, expand her expression and perception, and grow further as a therapist. This study is a detailed exploration of the wound recovery process of a wounded music therapist as a parentified pastor’s kid. This study carries specific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lays the foundation for recovery by providing the basis of empathy and sharing the experience of recovery to other pastor’s kids and music therapists who have had similar experiences as the author. This connotes additional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serves as a case study on wounds and states of parentification to individuals in a similar situation to the author by presenting the recovery process of a wounded music therapist as a parentified pastor’s kid.

      • 메이커 교육에 의한 지역연계 참여적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사례 연구

        박예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rough this process, people develop their sociality by understanding and sharing with others, and even more widely, by changing their interests and attitudes toward their society. This will make the people consider the problems presented and explores solutions to create and produce ideas with various tools and materials. Besides, sharing the post-production process and results with those who are interested in these areas, they can get more sophisticated ideas and, if failed, they can achieve a sense of achievement and challenge through repeated challenges. This approach helps to ensure that self-directed learning takes place which moves away from the traditional way of teaching and allows the participant to be active and sustained. As shown in previous studies, the empathy process is related to the participatory education method in that it is centered on subjective and active learners, and that the sequential activities start with the individual and seek solutions for the society. The proposed participatory museum education program expanded its space and range of utilization from school, which represents the local community, to even nearby parks to access wide range of social issues so that, through the activity, the participants may feel a sense of belonging as a member of their local community and take interest in their community. It was applied as a process of tinkering activity, problem discovery, empathy, production, modification and complementation, and sharing. The National Paper Museum was selected as the main subject of interest and a total of 56 students including three teams (1st, 2nd/5th graders) were in the subject pool. Each team had 3 classes in the museum and school environment and visited utilized nearby parks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reality of the issues. The tinkering process, which is the process of using materials and tools, draws immersion and interest from the students and presents the social problem of ‘park sunset festival’ in the form of letters that the park was facing and it was operated around the participants who understand the problems and present solutions. They compared their own experiences and their thoughts were further refined in the process of coordinating with other team members, and they were able to expand their thinking by suggesting another opinion. The instructor helped the program run smoothly by helping the students to think one step further as needed. The analysis of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rom the participated learners. The attitudes and perceptions about the community have changed, leading to a sense of social belonging which has led to interest and responsibility for the community they live in. In terms of the problem-solving process, it was possible to cultivate a spirit of challenge through the repeated failures and challenges, which was confirmed to be a virtuous cycle leading to another participation and interest. Therefore, this study is a participatory museum program, which starts with the immersion that is established by exploring the personal interest by the maker education program that links museums and the local communities and through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ociety and the activity that follows after, continues to the attitude and perception change which eventually expands the social participating experience to confirm the positive effect of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we hope that continuous research on the participatory education programs would be conducted in the museum, and various museum-to-local community programs should be proposed so that the participants can actively be involved not only in the museum but also in their local communities for mutual growth and development.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가 더욱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자신이 당면한 사회적 문제를 고민해 볼 수 있도록 관람객 참여가 중심이 될 수 있는 참여적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나뿐만이 아니라 모두를 생각해 보면서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공감형 메이커 교육모형을 활용해 참여적 박물관으로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공감형 메이커 교육의 특징은 자신이 직면한 문제 혹은 제시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감하기 과정이 포함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대를 이해하고 함께 공유하면서 사회성을 기르고 더 넓게는 자신이 속한 사회에 대한 관심과 태도의 변화로까지 나타난다. 제시된 문제를 고민해 보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면서 다양한 도구와 재료를 가지고 아이디어를 구현해 내고 제작하는 과정을 거친다. 또한, 제작 후 과정 및 결과를 이와 같은 분야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과 함께 공유하면서 보다 정교화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고 실패하였다면 거듭된 도전을 통해 성취감과 도전 정신 또한 발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기존의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참여자가 능동적이고 지속적으로 행동하며 실천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자기 주도적인 학습이 일어나도록 돕는다. 공감하기 과정은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자가 중심이 된다는 것, 순차적 활동을 통해 개인에서 시작해 우리 즉 사회의 모두를 위한 해결 방안을 고민하고 모색한다는 부분에서 참여적 교육방식과 관련이 깊고 맥락을 같이 한다는 것을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제시된 참여적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은 폭넓은 사회적 문제의 접근을 위해 박물관과 지역사회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학교, 인근 공원까지 공간 및 활용 범위를 넓혀 활동을 통해 참여자 스스로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소속감을 느끼고 자신이 속한 사회에 관심을 둘 수 있도록 연계하였다. 팅커링(Tinkering) 활동, 문제 발견하기, 공감하기, 제작하기, 수정 및 보완, 공유하기의 과정으로 적용하였다. 종이나라박물관이 중심이 되어 초등학교 1, 2학년/ 5학년 총 3팀 56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한 팀당 총 3차시로 박물관 및 학교의 공간에서 프로그램이 운영되었으며 인근 공원을 직접 방문하고 활용하여 문제의 현실감을 높였다. 재료와 도구 활용의 과정인 팅커링(Tinkering) 과정을 통해 몰입과 흥미를 끌어내고 지역사회의 중심인 공원이 실제로 직면하고 있는 ‘공원 일몰제’라고 하는 사회적 문제를 편지글 형식으로 제시해 참여자가 직접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참여자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스스로 자신의 경험과 비교해 보고 다른 팀원들과 의견 조율 과정에서 생각이 더욱 정교화되었으며 또 다른 의견 제시를 통해 사고를 확장할 수 있게 되었다. 이때 강사의 경우 필요에 따라 한 단계 더 도약한 사고를 돕는 조력자의 역할이 되어 원활하게 프로그램이 진행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했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 살펴보면 참여한 학습자들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지역사회에 대한 태도와 인식의 변화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사회적 소속감으로 이어져 내가 사는 지역사회에 관한 관심과 책임의식 등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문제 해결의 과정 중 실패와 도전을 거듭하며 도전 정신을 함양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또 다른 참여와 관심으로 이어져 선순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참여적 박물관 프로그램으로서 박물관과 지역을 연계한 메이커 교육프로그램이 개인의 관심에 따라 콘텐츠를 충분히 탐색하면서 이루어지는 몰입에서 시작되어 사회에 대해 깊이 있는 이해와 활동으로 이어지면서 태도와 인식이 변화하고 사회적 참여 경험으로 확대된다는 것을 통해 본 연구의 긍정적인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박물관에서 참여적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지속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다양한 박물관-지역연계 프로그램이 제안되어 참여하는 관람객들이 능동적으로 박물관에서 활동하고 박물관뿐만 아니라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에도 관심 갖고 서로 상생,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단시간 전신 순환 운동과 자전거 운동이 젊은 성인의 혈관과 자율신경기능에 미치는 일시적 영향

        박예림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규칙적인 운동은 심혈관 및 자율신경 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것이 밝혀져 있으나 규칙적으로 운동에 참여하는 비율이 낮으므로 운동 참여를 증진시킬 수 전략과 이에 대한 효과 검증이 필요하다. 최근 동영상을 이용한 운동은 운동의 접근성을 높이고 운동을 지속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동영상에서 제시하는 단시간 전신 순환 운동과 자전거 운동이 혈관 및 자율신경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전신 순환 운동과 자전거 운동의 그 효과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12명의 건강한 20대 성인을 대상으로 전신 순환 운동 처치와 자전거 운동 처치에 모두 참여하는 무작위 교차설계(randomized cross-over design)로 진행되었다. 두 운동 처치 모두 여유 심박수 65%이상의 운동 강도로 14분간 진행되었다. 종속변인으로 혈관기능(혈압, 동맥경직도, 혈관내피세포기능)과 자율신경기능(심박변이도)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지표들의 측정은 운동 전, 운동 30분 후, 운동 90분까지 총 3회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전신 순환 운동과 자전거 운동 모두에서 상완 동맥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이 감소한 결과가 나타났다(p=.008, p=.036). 동맥경직도 지표인 요골동맥 파형증가지수(AIx)는 전신 순환 운동(6.2 ± 6.81% to -1.3 ± 7.05% to -0.2 ± 10.12%)과 하지 운동(6.6 ± 8.47% to -1.0 ± 6.96% to 3.1 ± 8.52%) 모두에서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p<.001), 두 운동 처치 간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p=.438). 혈관내피세포 기능의 경우 두 운동 처치 후 변화가 없었으며, 자율신경계 기능의 경우 지표마다의 차이가 있었지만 전신 순환 운동 처치 후 전반적으로 운동 30분 후에 감소되었다가 90분 후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전신 순환 운동과 자전거 운동이 혈관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혈관 내피세포 기능과 자율신경 기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gular exercise is effective in improving cardiovascular and autonomic nerve functions, but the exercise participation rate is low. Recently, exercise using video has been suggested as sustainable exercise strateg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hort-time whole-body circulation exercise(WCE) using video and cycling exercise(CE) on blood vessel and autonomic nerve functions, an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s of WCE and CE. Twelve healthy adults(male=5) completed two randomized exercise trials. Both exercise trials were performed for 14 minutes at an intensity of 65% of the heart rate reserve. We measured blood pressure, radial augmentation index(AIx), carotid-femoral pulse wave velocity(c-f PWV) and brachial artery flow mediated dilation(FMD) as vascular function, heart rate variability as an autonomic nerve function. These indicators were measured three times: before exercise, 30 minutes after exercise, and 90 minutes after exercise. As a result of the study, brachial arterial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decreased in both WCE and CE (p=.008, p=.036). AIx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both WCE and CE(p<.001), and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wo exercise trials(p=.438).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s in endothelial function. In the case of autonomic function,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indicators, it was found that it decreased after 30 minutes of exercise and recovered after 90 minute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acute WCE and CE had a positive effect on vascular function, but did not affect vascular endothelial function and autonomic nerve function.

      • 유아가 어린이집에서 경험하는 행복에 대한 질적 탐색

        박예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qualitatively examine the happiness experienced by young children at childcare centers. For this, 22 young children (14 boys and 8 girls) aged 5 were sampled from a private childcare center in C City, Gyeonggi-do, and then painting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meaning of happiness experienced by young children at childcare center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Young children experienced happiness at childcare centers when they played with friends, when they established a close relationship with friends, when they ate something delicious, when they felt psychological stability, and when they were immersed in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young children experienced unhappiness at childcare centers when they felt negative emotions with such circumstances as they felt upset by friends, as they were uncomfortable with insects, as they were sick, as they were missing family members, or as their clothes got dirty. In order to be happier at childcare centers, young children wanted the help of teachers and friends, warm emotions, and close relationship exchanges. Young children concretely understood the method of being happy at childcare centers, such as plentiful playthings, abundant experience, and safe and clear environment. In addition, they seemed to have potentials with which they could take the lead in making happiness. Above study findings seem to provide help in understanding the happiness experienced by young children at childcare centers throughout all the day from attending to the childcare center to returning home, and in finding concrete ways to promote young children’s happiness. This study seems to be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the happiness and unhappiness experienced by young children at childcare centers, and listened young children’s voices about promoting happiness that could be overlooked as trivial things in everyday life. Based on study findings, it is necessary to deeply look into/understand/sympathize young children’s life, and then find out what teacher can help.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young children’s response to childcare activities proposed by childcare teachers at childcare centers and to understand the value and meaning of activities or plays proposed by childcare teachers from the perspective of young children, thus contributing to the preparation of an educational course to promote young children’s happiness.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에서 유아가 경험하는 행복에 대한 질적 탐색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C시에 소재한 민간 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22명(남아 14명, 여아 8명)을 대상으로 유아가 어린이집에서 경험하는 행복에 대한 의미를 알아보기 위하여 그림 그리기, 개별 면담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유아들은 어린이집에서 친구와 함께 놀 때, 친구와 유대관계를 쌓을 때, 맛있는 것을 먹을 때, 심리적 안정을 느낄 때, 활동에 몰입할 때 행복을 경험하였다. 또한, 유아들은 어린이집에서 친구가 속상하게 했을 때, 곤충이 불편하게 했을 때, 아플 때, 가족이 보고 싶거나 옷에 더러운 것이 묻었을 때 등의 상황에서 부정 정서를 느낄 때 행복하지 않은 경험을 했으며, 어린이집에서 더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선생님과 친구의 도움, 따뜻한 정서 및 유대감의 교류를 원하였다. 유아들은 풍부한 놀잇감, 풍부한 경험, 안전하고 깨끗한 환경 등 어린이집에서 자신이 행복해지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알고 있었으며, 행복을 주체적으로 만들어나갈 수 있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관점에서 유아가 등원하고, 하원 하기까지의 하루 일과 동안 어린이집에서 경험하는 행복을 이해하고, 어린이집에 유아의 행복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유아가 어린이집에서 경험하는 행복뿐 아니라, 행복하지 않았던 경험과 행복 증진을 위한 방법에 대해 일상 생활 속에서 사소한 것으로 지나칠 수 있는 유아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이를 통하여 유아의 삶을 깊이 있게 들여다보고 이해하며, 공감하고, 교사가 조력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지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어린이집 교직원들이 제시하는 보육 활동이 유아들에게 어떻게 느껴지는지, 유아들의 입장에서 교사가 제안하는 활동이나 놀이의 가치와 의미를 파악하여 유아의 행복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유아의 신체놀이 지원을 위한 창작국악동요 개발 연구

        박예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의 신체놀이 지원을 위한 창작국악동요를 개발하기 위해 유아교사 5인을 대상으로 신체놀이와 국악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살펴봄으로써 음악적 특징과 동작 교육내용이 포함된 신체놀이 국악 동요를 개발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원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의 신체놀이 지원을 위한 창작국악동요 개발 방향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연구문제 2. 유아의 신체놀이 지원을 위한 창작국악동요 개발 내용은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2022년 9월 1일부터 2022년 9월 16일까지 교사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면담 후에는 주요방향과 활용가치의 측면에서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개방코딩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면담 내용을 반영한 악기선정 및 창작국악동요를 1차적으로 개발하고 설문 평가지와 함께 연구 참여자들에게 배포한 후 평가내용을 바탕으로 수정 및 보완 작업을 거치며 최종적으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신체놀이 지원을 위한 창작국악동요 주요방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다양한 동작 요소가 담긴 가사를 반영한 노래’, ‘현장에서 쉽게 활용될 수 있는 노래’, ‘유아의 흥미를 고려한 놀이를 지원하는 노래’, ‘유아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노래’, ‘신체놀이 지원 외에 일상생활 움직임을 지원하는 노래’로 구분하였다. 또한, 유아의 신체놀이 지원을 위한 창작국악동요 활용가치에 대해 살펴본 결과, ‘신체놀이 지원을 위한 창작국악동요 활용의 중요성’, ‘신체놀이에서 악기선정 및 활용의 중요성’, ‘접근성이 용이한 지원 자료 활용의 중요성’, ‘신체놀이 지원을 위한 창작국악동요 활용의 유의점’, ‘신체놀이 지원을 위한 창작국악동요 활용의 기대점’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유아의 신체놀이 지원을 위한 창작국악동요 개발 내용에 대해 살펴본 결과, 정량평가와 정성평가로 해석할 수 있었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가장 높은 평점을 나타내고 있는 곡은 자연물 묘사 노래인 ‘비’로 총 평균 4.84점이며, ‘으쌰으쌰 정리정돈’이 4.8점, ‘몽글몽글 손 씻기’는 4.76점, ‘느림보와 빠른이’는 4.75점이며, ‘안녕? 안녕!’은 4.71점, ‘난 난 모기’는 4.69점, ‘공놀이’는 4.6점, ‘나란히 줄을 서봐요’는 4.58점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의 평가내용은 각 곡마다 공통적인 평가내용과 추가적인 제안 점을 추출한 후 유아의 신체놀이를 지원하는 노래와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노래 총 8곡을 최종적으로 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의 흥미를 바탕으로 신체놀이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으며, 유아가 창작국악동요를 통해 자발적으로 신체놀이에 참여하고, 유아의 일상생활에 국악이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우리나라 전통음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지속적인 관심을 이끌어 줄 수 있는 자료로 보급되기를 기대한다. In order to develop creative children's songs for physical play of young children,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body play and Korean music of 5 early childhood teachers to develop Korean children's songs for physical play, which includ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movement education. Its purpose is to develop and provide support materials tha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actual educational setting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cre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children's songs to support children's physical play?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content of the development of cre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children's songs to support children's physical play? To the researcher conducted interviews with teachers from September 1, 2022 to September 16, 2022, and after the interviews, the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were analyzed in terms of development direction and utilization value in an open coding method. The selection of musical instruments reflecting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and the initial development of cre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children's songs were distributed to the research participants along with the questionnaire evaluation sheet, and the final development was carried out through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based on the evaluation conten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re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songs to support children's physical play, ‘A song that reflects the lyrics containing various movement elements’, ‘A song that can be easily used in the field’, ‘Songs that support play considering children’s interests’, ‘Songs suitable for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It was classified as ‘songs that support daily life movements in addition to physical play support’,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value of using cre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songs to support children's physical play, 'importance of using cre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songs to support physical play', 'importance of selecting and using musical instruments in physical play', 'easy accessibility The importance of using support materials', 'points to note in using creative Korean children's songs to support physical play', and 'expectations of using creative Korean children's songs to support physical pla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development of cre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songs to support children's physical play, it was possible to interpret them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s. 4.84 points, ‘Clean up and tidy up’ scored 4.8 points, ‘Wash your hands softly’ scored 4.76 points, ‘Slow and Fast’ scored 4.75 points, and ‘Hello? Hello!’ scored 4.71 points, ‘I am a mosquito’ scored 4.69 points, ‘playing with a ball’ scored 4.6 points, and ‘line up side by side’ scored 4.58 points. In addition, after extracting common evaluation contents and additional suggestions for each song, a total of 8 songs supporting physical play and daily life of young children were finally developed. These research results are valuable as data to effectively and efficiently support physical play based on the interest of young children. It is hoped that it will permeate and be disseminated as a material that can lead to positive awareness and continuous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 DMPC(1,2-dimyristoyl-sn-glycero-3-phosphocholine)의 합성과 정제 및 인지질 유화제의 조성에 따른 에멀션의 유화 안정성 연구

        박예림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DMPC를 합성 및 정제하여 인지질 유화제로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인지질 유화제 fatty acid side chain의 불포화도 및 조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oy PC와 soy lecithin을 인지질 유화제로 함께 사용하였다. 합성 및 정제를 완료한 DMPC의 순도는 31P-NMR과 HPLC-ELSD로 확인하였다. DMPC와 함께 사용한 인지질 유화제는 31P-NMR과 HPLC-ELSD를 이용한 인지질 조성 분석, GC-FID를 이용한 지방산 조성 및 콜레스테롤 함량을 분석하였다. Soy PC의 인지질 조성 분석 결과, PC 91.1 ~ 99.3%, LPC 0.5%로 확인되었다. Soy lecithin의 인지질 조성 분석 결과, PC 28.3 ~ 52.0, PE 26.3 ~ 32.7% 그리고 PI 19.8 ~ 13.4%로 나타났다. Soy PC와 soy lecithin의 지방산 분석 결과, 불포화 지방산이 각 83.5%, 81.6%로 나타났다. Soy lecithin은 지방산 조성에 따라 분리하여 PC, PE, LPC 그리고 SM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GC-FID를 이용한 콜레스테롤 분석에서는 soy PC와 soy lecithin 모두 콜레스테롤이 검출되지 않았다. 에멀션은 인지질 유화제 fatty acid side chain의 포화도 및 인지질 조성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섯가지 조건을 설정하여 비교하였으며 4℃와 상온으로 보관 조건을 달리하여 비교하였다. In vitro digestion 실험 결과, 인지질 유화제의 fatty acid side chain의 포화도가 높아질수록, 조성에서 PC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φ max % 등 가수분해율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저장 기간동안 전체적으로 가수분해율은 낮아졌으며 25℃ 보관 에멀션이 4℃ 보관 에멀션보다 큰 차이를 보였다. PSA 실험 결과, 인지질 유화제의 fatty acid side chain의 포화도가 높아질수록 droplet size는 커졌으며, 인지질 유화제의 조성에서 PC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droplet size는 작아졌다. PC만을 사용한 emulsion은 저장 기간동안 droplet size 변화가 거의 없었지만 인지질 조성이 다양한 에멀션은 큰 차이를 보였으며 PC의 함량이 높아지면 그 차이는 작아졌다. 또한 25℃ 보관 에멀션이 4℃ 보관 에멀션보다 큰 차이를 보였다. In this study, DMPC was synthesized and purified to analyze its characteristics as a phospholipid emulsifier. Soy PC and soy lecithin were used together as phospholipid emulsifier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unsaturated and composition of the phospholipid emulsifier faㅅtty acid side chain. The purity of the DMPC that completed synthesis and purification was confirmed by 31P-NMR and HPLC-ELSD. Phospholipid emulsifiers used with DMPC were analyzed for phospholipid composition using 31P-NMR and HPLC-ELSD, fatty acid composition using GC-FID, and cholesterol cont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hospholipid composition of Soy PC, it was confirmed that PC 91.1 to 99.3% and LPC 0.5% Result of the analysis of Soilecithin's phospholipid composition, PC 28.3 to 52.0, PE 26.3 to 32.7%, and PI 19.8 to 13.4%. As a result of the fatty acid analysis of Soy PC and Soy lecithin,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83.5% and 81.6%, respectively. Soylicithin was separated according to the fatty acid composition and analyze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PC, PE, LPC, and SM. In the cholesterol analysis using GC-FID, cholesterol was not detected in both soy PC and soy lecithin. The emulsion was compared by setting five conditions to confirm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aturation and phospholipid composition of the phospholipid emulsifier fatty acid side chain, and storage conditions were different at 4℃ and room temperature. As a result of the Invitro digestion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saturation of the fatty acid side chain of the phospholipid emulsifier and the higher the PC content in the composition, the higher the hydrolysis rate, such as φmax%.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overall hydrolysis rate was lowered, and the 25°C storage emulsion showed a greater difference than the 4°C storage emulsion. As a result of the PSA experiment, the higher the saturation of the fatty acid side chain of the phospholipid emulsifier, the larger the droplet size, and the smaller the droplet size as the content of the PC in the composition of the phospholipid emulsifier. Emulsion using only PC showed little change in droplet size during the storage period, but emulsion with various phospholipid compositions differed significantly, and the difference decreased as the content of PC increased. In addition, the 25°C storage emulsion showed a greater difference than the 4°C storage emulsion.

      • 고등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셀프리더십의 관계

        박예림 충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셀프리더십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 제기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와 셀프리더십 간에는 관계가 있는가? 둘째,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감, 관계성)는 셀프리더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에는 214명의 고등학생들이 참가하였고, 참가자들의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셀프리더십을 측정하기위하여 설문 조사가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그리고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고등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만족와 셀프리더십 간에는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66, p<.001)가 나타났다. 둘째, 기본심리욕구의 하위변인 중 자율성보다는 유능감과 관계성이 고등학생의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본심리욕구 만족이 고등학생의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고등학생의 셀프리더십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교육과 상담에서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만족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self-leadership of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pos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satisfaction and self-leadership of high school students? 2. Which is more relatively influential to the self-leadership of high school students among basic psychological needs(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14 high school student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them to measure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self-leadership.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r=.66, p<.001)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self-leadership of high school students.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among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competence and relatedness were somewhat more influential factors than autonomy in the relative influence on self-leadership of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variables influencing self-leadership of high school students. Therefore, for increasing self-leadership of high school student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need to be satisfied in education and couns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