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花藝 植物素材의 特性, 象徵性 및 季節別 有用性의 分析과 組合

        박영옥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Analysis and Combination of Characteristics, Symbolism, and Seasonal Availability of Plant Materials for Flower-Art Park Young Oak Flower art is not only a work of artist which present her thought but also product which aim consumer. The price of flower art is affected by name of artist, trademark, and purpose of use (event), rarity of material, design factor and storytelling. Flowers are main factor of the art as well as base of floricultural industry. Protected culture and international trade made plant materials can be circulated beyond their natural season. Each flower art has different materials, color and design, character and place of event. Commercial flower decorative has two kinds that one for anniversary and the other for event. It need to express specific message and need to have a design factor as shape, color, size and have a meaning from symbolism by scent, signification of matter. It means that flower art require harmony of shape and symbolism for storytelling. From this motivation, this research has trying of a quite understanding and combination of flower art factors. One hundred kinds of cut flower and 100 kinds of cut stem and cut leaf and 90 kinds of foliage of plant were selected and identified its scientific name and property by using Yoon's Hortus Koreana and Korean Plant Name Index. Also distribution of month for a year, favorable flower art style, the language and symbolic word of flower are studied and classified. Flower languages were classified as 10 groups of symbol for storytelling. By combining these factors, required property from a work of flower art in annual or particular events is suggested and examples are given. Keyword: flower art, matter of flower art, storytelling, distribution of month, use, symbolization 花藝 植物素材의 特性, 象徵性 및 季節別 有用性의 分析과 組合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환경원예학과 朴英玉 꽃 예술은 작가의 사상을 표현하는 예술 작품임과 동시에 소비자를 겨냥한 상품이다. 꽃 작품의 판매, 즉 가격과 선호도는 작가나 상표의 저명도, 사용처, 소재의 희소성, 디자인, 이야기(스토리)에 영향을 받는다. 화예 소재는 화예 작품의 주재료이자 화훼산업의 토대이다. 자연적 소재이지만 시설재배, 수입 등을 통해 자연적인 계절과 달리 생산, 유통되기도 한다. 화예 상품은 행사의 종류와 성격, 장소에 따라 소재의 종류와 색상, 디자인이 달라진다. 상업적 꽃 장식은 특정 기념일과 이벤트용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은 각각 특정 메시지를 전달해야하며 이때 형태, 색상, 크기 등 디자인 요소에 더하여 향기, 의미, 소재의 상징성에 유래된 의미가 합치되며 이를 위해 꽃 예술 작품의 형태, 스토리텔링을 위한 상징성의 확인과 조합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이들 요인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조합을 시도하였다. 절화류 100종, 절지 및 절엽류 100종, 관엽류 90종을 선정하여 한국원예식물도감과 국가표준식물목록을 통해 학명과 특성 등을 확인한 후, 화훼시장에서의 월별 유통기간, 쓰임새 현황, 꽃말과 꽃예술에 사용 가능한종류별 부위를 조사했다. 조사된 324가지 꽃말을 10가지 상징성으로 구분하고 소재들을 배치하였다. 이들 요인을 조합하여 년중 행사와 특정 행사에 맞는 꽃예술 작품이 갖추어야 할 특성을 구분하고 꽃 예술 작품의 실례를 제시했다.

      • 초등학교 도서관 문화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학교도서관 축제'를 중심으로

        박영옥 한성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독서는 사고력과 창의력을 신장시켜 21세기의 힘인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초석을 다질 뿐만 아니라 학교교육에서 학생들의 학습 향상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 때문에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 이에 독서능력 향상에 대한 관심과 학교도서관의 중요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독서의 중요성이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생들이 책을 가까이하는데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이러한 학생들에게 책이 있는 문화활동 체험을 통해 책을 이해하고 친근하게 여기는 계기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역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교도서관 축제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책이나 도서관과 연관성이 깊은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학교도서관 축제에 활용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바람직한 학교도서관 축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학교도서관 축제에 대한 인식변환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 지역 10개 초등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교도서관 축제를 조사 분석하였다. 우선 각 학교도서관의 축제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학교도서관 축제에 참여하고 있는 도서관 담당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및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10개 학교도서관 축제의 프로그램은 총 435개였으며, 이중 도서를 활용한 프로그램은 238개로 54.7%의 도서활용률을 나타냈다. 프로그램 개발은 도서관 담당자뿐만 아니라 학부모 명예사서, 교사, 어린이사서 등 여러 분야의 사람들이 참여하여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꾀하고 있었다. 또한 프로그램에 난이도를 두어 학생들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을 체험하도록 하였다. 둘째, 학교도서관 축제를 유형별로 진행하는 학교가 많았는데 십진분류기호별로 진행한 학교의 경우 학생들이 십진분류기호의 개념을 잘 알게 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학교도서관 축제를 통한 학교도서관 활성화와 책에 대한 이해증진은 학생들의 도서대출량으로 알 수 있는데 조사 결과 학교도서관 축제 전후 한 달간의 도서대출량이 대부분의 학교도서관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서관 활성화 측면에서도 학생들이 학교도서관 축제가 끝나고 책과 도서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고 응답하여 학교도서관 축제의 효용성을 증명하고 있었다. 넷째, 학교도서관 축제에 대해 도서관 담당자, 학생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학교도서관 축제의 긍정적인 효과를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학교도서관 축제에 대한 문제점으로는 학교와 교사 및 학부모의 비협조, 프로그램 부족, 사서의 업무 과다, 학생들의 시간 부족으로 나타났다. 도서관 담당자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및 학교도서관 축제 보고서 분석을 토대로 학교도서관 축제 활성화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장서를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문화 관련 연수나 교육을 정례화 시켜야한다. 둘째, 학교도서관 축제는 십진분류기호별로 진행하며 타 학교로 확대 실시하여야 한다. 셋째, 학교도서관 축제에 대한 인식전환으로 학교도서관 축제의 활성화를 꾀해야 한다. 넷째, 시ㆍ도 교육청별로 학교도서관 축제에 대한 평가회 및 결과보고서를 발간하여야 한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책이나 도서관과 연관성이 깊은 학교도서관 축제의 방향을 제시하고, 도서관에 대한 인식변환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ading strengthens thinking power and creativity, thereby not only solidifying a cornerstone available for displaying imagination, which is the power in the 21st century, but also becoming the direct cause for enhancing students' learning in the school education, resulting in becoming the focus of interest. Accordingly, the interest in enhancing the reading ability and the importance of the school library are growing day by day. In this way, the importance of reading is emphasized. Nevertheless, many students ever suffer difficulty in being close to a book. An opportunity needs to be arranged that allows these students to understand a book and to be familiar with it through experiencing the cultural activity with a book.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being applied to the school-library festival by suggesting a program of having deep connection with book or library through analyzing the school-library festival program that is being carried out in Seoul region. Also, the aim is to arrange an opportunity of a change in recognition on the school-library festival by proposing a plan for vitalizing the desirable school-library festival. For this study, it surveyed and analyzed school-library festival that is being carried out in 10 elementary schools of Seoul region. First of all, it analyzed the festival program of each school library, and carried out questionnaire and interview survey targeting people in charge of library and stud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school-library festival.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grams of 10 school-library festivals were totally 435 pieces. Among these things, the programs of utilizing books were 238 pieces, thereby having indicated the book-application ratio of 54.7%. Development in program was being devised diversity in program with participation by people in several fields such as parents' honorary librarians, teachers, and children's honorary librarians as well as people in charge of library. Also, it made it available for being experienced a program in line with students' level by putting difficulty level in program. Second, there were many schools that progress school-library festival by type. In case of schools, which progressed it by Decimal Classification, the students were surveyed to have come to well know a concept of Decimal Classification. Third, the activation of school library and the promotion in understanding about a book through school-library festival can be known by students' book lending volume.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book lending volume in one month before and after school-library festival was indicated to have increased in most of school libraries. Also, even in the aspect of vitalizing library, the students responded as saying of having gotten higher interest in book and library after the school-library festival was finished. Thus, effectiveness of school-library festival was being proved. Fourth, as for school-library festival, the satisfaction of people in charge of library and students was indicated to be high. Thus, the positive effect of school-library festival could be known. Fifth, problems about school-library festival were indicated to be non-cooperation among school, teachers, and parents, the lack of program, the librarian's excessive task, and students' lack of time. Based on analyzing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people in charge of library and students and on the reports of school-library festival,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on activation of school-library festival. First, for developing program based on books, there is necessity for making it regular for the culture-related training or education. Second, the school-library festival needs to be progressed by Decimal Classification and to be carried out by being expanded into other schools. Third, there is necessity for devising activation of school-library festival with a change in recognition of school-library festival. Fourth, there is necessity for publishing the appraisal and the result report on school-library festival by siㆍdo Office of Educa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be likely to possibly suggest the direction of school-library festival with deep connection to book or library, and arrange an opportunity of a change in recognition of library.

      • 가족 복원력이 소아암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영옥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약 본 연구는 소아암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복원력 요인을 파악하여 소아암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증진하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 연구로 서울에 위치한 상급종합병원 2곳에서 소아암으로 진단받은 지 최소 6개월 이상 경과된 외래 치료 중이거나 치료 종료 후 추후 관리 중인 만 10~18세 소아암 청소년의 부모 10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측정 도구는 가족 강인성, 사회적 지지, 가족 문제해결 의사소통, 가족 문제해결 대처,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1년 7월 26일부터 10월 12일까지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2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진입 방식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아암 청소년 가족의 가족 강인성은 평균 42.55점(표준편차 5.55), 사회적 지지는 평균 47.11점(표준편차 7.32), 가족 문제해결 의사소통은 평균 19.17점(표준편차 3.20), 가족 문제해결 대처는 평균 57.20점(표준편차 7.88), 소아암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은 평균 15.04점(표준편차 12.05)이었다. 소아암 청소년과 가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 복원력은 부모의 학력이 높은 경우 가족 문제해결 대처가 높았고, 가족의 월평균 수입에 따라 가족 강인성(F=4.953, p=.009), 사회적 지지(F=3.851, p=.024), 가족 문제해결 대처(F=3.885, p=.02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소아암 청소년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가족 복원력은 재발 경험이 있는 경우 사회적 지지가 더 높았고(t=2.175, p=.032), 병행 치료 수가 3가지 이상인 경우 가족 문제해결 의사소통이 높았다(F=3.582, p=.031). 소아암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은 남녀 모든 연령대에서 임상범위에 포함되지 않아 심리사회적 적응이 높고 문제행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아의 성별, 연령대,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소아암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차이는 없었고 어머니의 연령이 만 45세 이상인 경우(t=2.303, p=.023)와 가족의 월평균 수입이 200만원 이상인 경우(F=4.449, p=.014) 높았다. 가족 강인성, 사회적 지지, 가족 문제해결 의사소통, 가족 문제해결 대처가 높을수록, 가족의 월평균 수입, 어머니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소아암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은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아암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 강인성(β=.399, p<.001), 가족 문제해결 의사소통(β=.262, p=.010), 가족의 월평균 수입(β=.251, p=.003), 어머니의 연령(β=.215, p=.008) 순으로 영향력이 있었고, 설명력은 41.1%이었다. 결론적으로 소아암 진단과 치료 과정에서의 스트레스에도 불구하고 가족 특성(월평균 수입, 어머니 연령) 및 가족 복원력(가족 강인성, 가족 문제해결 의사소통)은 소아암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소아암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증진하기 위하여 가족 복원력을 강화하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주요개념어 : 소아암 청소년, 가족 복원력, 심리사회적 적응

      •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대안교실활동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박영옥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으로 대안교실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개인적 요인과 학교요인의 변화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김해 A중학교에 재학 중인 Wee클래스의 대안교실에 참여 중인 부적응 학생 4명을 대상으로 2015년 6월부터 12월까지 개인상담과 함께 집단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연구방법인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은 대안교실 활동을 통해 학습태도, 학습이해, 자신감 향상과 예술적 재능의 발견 등 개인적 요인에 있어 많은 변화가 있었다. 강이슬은 대안교실활동을 통해 자신감 향상으로 적극적인 태도가 되었으며, 주바람은 대안교실활동으로 즐거운 학교생활이 되었다. 이춘천은 미래의 꿈을 찾게 되었고 감정조절도 할 수 있었으며 자신감 향상으로 적극적인 태도로 바뀌게 되었다. 그리고 신경주는 학교생활에 즐거움을 느끼고 성격의 변화와 학습태도, 교우관계가 좋아졌다. 둘째,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은 대안교실 활동을 통해 학교규칙을 지키게 되고, 지각하지 않고 적극적인 태도로 변했으며, 학습이해력이 좋아지면서 성적도 향상되는 등 학교요인에 있어 많은 변화가 있었다. 강이슬은 자신감 향상으로 주어진 일에 적극적인 태도와 또래관계가 원만해지고 진학에 대한 학습요구태도가 향상되었고, 주바람은 교내금연과 적극적인 태도의 변화가 있으며 학습활동도 잘하고 한국어의 실력 향상으로 또래들과 대화가 쉬워졌으며 악기에 대한 재능을 알게 되었다. 이춘천은 미래 꿈이 요리사로서 자격증도 취득하고 교우관계가 원만해지고 교사에 대한 태도가 변하였다. 신경주는 무기력하고 학습이 어렵던 태도가 바뀌어 학교생활도 잘하고 자신감 향상으로 성격이 변화되고 교우관계가 원만해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개인적 요인과 학교요인의 변화를 위해 교사들의 지적 및 징계 학생들에 대한 낙인이 없어야 한다. 둘째, 대안교실 대상자들의 지속적인 사후관리를 위한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personal and school factors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through a case study in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alternative class activity due to school maladjustment. For this purpose, four maladjusted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alternative class of Wee Class at A Middle School in Gimhae were asked to do group program activity as well as to receive personal counseling from June to December 2015 and a case study, which is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participating in alternative class activity,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experienced lots of changes in personal factors, including improvement in learning attitude, learning understanding, and self-confidence and discovery of artistic talent. Through the alternative class activity, Ghang I-seul got positive attitude based on improved self-confidence and Ju Ba-ram came to enjoy school life. Lee Chun-cheon came to find a dream for the future, could make emotional control, and got positive attitude based on improved self-confidence. Shin Gyeong-ju came to enjoy school life, saw personality changed, and got better learning attitude and relationships with classmates. Second, through the alternative class activity,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experienced lots of changes in the school factors: they came to comply with school rules, tried not to be late for school, took positive attitude, and saw their learning understanding and academic performance improved. Ghang I-seul took positive attitude toward given tasks, maintained good peer relations, and saw learning needs and attitude for school entrance improved, thanks to improved self-confidence, and Ju Ba-ram quitted smoking within school, took positive attitude, did learning activity well, had a talk with peers easily, thanks to improved Korean proficiency, and discovered talent in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Lee Chun-cheon, who had a dream of becoming a cook in the future, acquired a relevant certificate, maintained better relationships with classmates, and showed different attitude toward teachers. Shin Gyeong-ju, who had been helpless and had difficulty with learning, came to be better at school life, saw personality changed due to improved self-confidence, and maintained better relationships with classmat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it is necessary to remove teachers' indications and stigmata on reprimanded students in pursuit of changes in the personal and school factors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provides the participants in the alternative class with continuous follow-up management.

      • 고주파(INDIBA)관리와 경락마사지가 비만 여성들의 복부지방 패턴에 미치는 영향

        박영옥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비만은 체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로 최근 연구에 의하면 절대적인 체질량지수보다 지방의 축적부위가 질환유발과 더 상관관계가 있으며, 특히 복부비만은 심혈관계 질환과 대사증후군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비만관리 방법에는 식이요법, 약물요법, 운동요법, 수술요법, 마사지요법, 기기를 사용하는 요법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고주파기기(INDIBA)를 사용하는 비만관리 방법은 국소 부위의 온도를 상승시켜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체내 지방 대사를 활성화하여 지방을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안정적이고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리적인 비만관리 방법인 경락마사지는 체내에 흐르는 기의 통로를 마사지를 통하여 혈액의 흐름을 원활히 하여 신진대사를 효율적으로 하여 체중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꾸준히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복부지방률(Waist-Hip Ratio) 0.80 이상인 자원한 20명을 선정하여 고주파관리(H-group)군과 경락마사지(M-group)군으로 분류하여 2010년 7월 5일부터 8월 28일까지 8주간 주 2회 총 16회 고주파 관리와 경락마사지를 실시하여 복부비만을 관리하는데 어떠한 비만관리 방법이 좀 더 효과적인지에 관해 비교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H-group이 M-group 보다 체중, 체지방량, BMI, 체지방률, 복부지방률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H-group(p<0.01)과 M-group(p<0.05) 모두 실험 전보다 실험 후 허리둘레(배꼽 위 5cm), 허리둘레(배꼽), 허리둘레(배꼽 아래 5cm)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1) 감소하였으나, 두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H-group이 M-group보다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냈으나, 체지방량 변화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H-group이 M-group 보다 체중, BMI, 체지방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1) 감소하였으며, 기초대사량은 증가시켜 고주파기기(INDIBA)관리가 경락마사지보다 복부비만관리에 조금 더 효과적인 관리방법임을 시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