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라성게, Heliocidaris crassispina 로부터 항균성 물질의 정제 및 특성

        박수현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63

        보라성게, Heliocidaris crassispina에서 항균성 물질의 정제 및 특성분석 박수현 부경대학교 대학원 해양수산생명과학부 생물공학전공 해양생물은 서식환경의 특성상 높은 밀도의 미생물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그들은 항균활성을 가진 생리활성물질을 생성함으로써 스스로를 보호한다. 성게에서 분리된 항균 물질로는 Echinochrome A (Ech A)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라성게의 체강액 열수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고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두 물질(A and B)을 정제하여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성게 체강액 추출물은 다양한 균주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이러한 결과는 성게 체강액 추출물은 새로운 항균요법으로의 가능성을 나타낸다고 여겨진다. 이번연구에서 정제된A 물질의 분자량은 266.0428로 나타났다. 이는 Ech A의 분자량과 매우 유사하며 Histochrome 과의 retention time 비교에서 하나의 peak로 나타났음으로 Ech A라 여겨진다. B 물질은 [M-H]-에서 237.0395, 263.0188, 265.0346, 281.0293 및 299.0396 Da를 가지는 혼합물로 나타났다. Ech A는 강한 항산화성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산화과정에서 여러 산화 생성물이 생성된다. 혼합물인 B 물질은 Ech A와 그 산화 생성물과 분자량이 거의 동일하기에 B 물질은 Ech A의 산화 생성물이라 여겨진다. 이번 연구에서의 두 물질은 모두 Ech A라 여겨지지만 초기 정제에서 두 물질로 분리되었다. 이는 Ech A의 isomer라 여겨진다. 이전의 연구에서는 주로 이번 연구의 가시와 껍질로부터 강산용액과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Ech A를 얻었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강한 독성 물질을 사용하지 않았음으로 실험자의 위험도를 낮추고 친환경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보라성게, Heliocidaris crassispina의 내장조직에서 새롭게 정제된 항균성 펩타이드의 특징 및 특성분석 박수현 부경대학교 대학원 해양수산생명과학부 생물공학전공 인류는 항생제 개발을 통해 다양한 병원체를 통제하고자 했다. 하지만 항생제 내성균의 출현은 새로운 위기로 다가왔다. 이에 따라, 내성을 거의 유발하지 않는 항균성 펩타이드 (AMPs)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보라성게와 같은 무척추동물은 적응 면역이 부족하기 때문에, 선천성면역에 매우 의존적이며 AMPs는 선천성 면역의 중요한 요소라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이전에 사용되지 않은 보라성게의 내장 추출물에서 새로운 AMP (HcAMP)를 정제하였다. HcAMP 분자량은 2,132.43 Da이며 17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져 있다. HcAMP의 서열은 DKGRESKTKQFRIGYRY이며 C-말단의 amide형태로 나타났다. HcAMP 서열의 상동성 검사에서 높은 상동성을 가지는 AMP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새로운 유형의 AMP라 여겨진다. HcAMP의 염기서열을 확인하기 위해 cDNA를 clonnig수행하였다. 그 결과, 전체 838 bp의 염기 서열을 확인하였다. RT-qPCR을 이용한 조직별 발현 분석은 성게의 면역에 관련된 coleomocyte에서 가장 높은 발현량을 나타냈다. 또한 HcAMP의 항균활성을 강화하기위해 HcAMP의 Gly잔기를 Ala로 치환한 3종의 유도체인 HcAMP[A3], HcAMP[A14] 및 HcAMP[A3,14]를 합성하였다. 그 결과 HcAMP[A14] > HcAMP[A3,14] > HcAMP > HcAMP[A3]의 순서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이번 연구에서 사용한 4종의 peptide는 세균 외막과의 상호작용을 나타냈으나, 내막과의 상호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HcAMP의 N-말단은 항균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C-말단의 Gly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이 적기 때문에 이를 치환하여 helix구조를 취하는 것이 항균활성에 더 유리할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앞으로 항균제로의 개발을 위해 용혈활성과 같은 부작용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Effect of dietary fatty acids and natural waxes on adipogenesis of 3T3-L1 cells : 지방산과 왁스의 처리가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및 지방축적에 미치는 영향연구

        박수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비만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사 장애에 대한 연구는 최근 수 년 동안 끊임없이 연구되고 있는 주제로, 불균형 한 음식 섭취와 유전적 이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대사 장애의 위험 요소가 증가된다고 여러 연구를 통해 보여지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여러 종류의 지방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올레산, 리놀레산(오메가-6) 및 알파 리놀렌산(오메가-3) 뿐만 아니라, 천연왁스인 비즈 왁스와 카나우바 왁스가 3T3-L1 세포에서의 지방 생성과 지방구 축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세포 독성평가는 MTT 분석으로 측정 하였고, 중성지방의 축적능은 Oil Red O 염색법으로 측정 하였다. 지방구의 크기 및 면적 분포도 또한 ICY프로그램을 통해 염색사진을 가지고 측정하였다. 50 μM의 스테아린산을 처리한 지방 세포에서의 지방구의 축적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 <0.05), 알파 리놀렌산을 처리 한 군에서 50 μM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p <0.05). 비즈 왁스와 카나우바 왁스를 6 가지 농도 (0.5, 1, 1.5, 2, 2.5 및 3ppm)로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독성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 0.05). 유전자 발현량 비교는 qPCR에 의해 수행되었다. 스테아린산은 대조군에 비교하였을 때, 지방산 산화와 관련된 CPT1 유전자에서는 발현이 감소함을 보였고, 지방을 생성하는 유전자 (SREBF1, PPARγ 및 C / EBPα) 및 지방산 합성 효소 유전자 (FASN)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p< 0.05). 반면, 알파 리놀렌산의 처리는 스테아린산과 유전자 발현 경향에서 반대 패턴을 보였고, 카나우바 왁스와 비즈왁스는 FASN, PPARγ 및 C / EBPα 발현에 대해 확연히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p<0.05). 따라서, 알파 리놀렌산, 비즈왁스, 카나우바왁스는 3T3-L1세포의 지방 생성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지방을 저감화 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 흡연 청소년의 담뱃갑 경고메시지 위협인식, 심리적 저항이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

        박수현 인제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흡연 청소년의 담뱃갑 경고메시지 위협인식, 심리적 저항이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수현 (간호학과 전공) (지도교수: 박지영)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흡연 청소년을 대상으로 담뱃갑 경고메시지 목격 후 그에 따른 위협인식, 심리적 저항이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흡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공익광고 메시지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B시, G시에 소재한 2개의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현재 흡연을 지속하고 있고, 최근 30일 동안 담뱃갑 경고메시지를 목격한 경험이 있는 고등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2019년 8월 19일부터 11월 18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무응답 및 불성실한 설문을 제외한 185명을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window 25.0 program을 활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여학생이 51.4%(95명)를 차지하였고, 1학년이 38.9%(72명)로 가장 많았으며, 성적 수준은 중위권이 51.4%(95명)로 가장 많았다. 부모의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이하인 경우가 57.8%(107명)로 가장 많았으며, 주관적 가정의 경제적 수준은 중위층이 46.5%(86명)를 차지하였다. 2. 대상자의 흡연 특성 중 53.5%(99명)의 대상자가 중학교 때 처음 흡연을 시작하였고, 45.5%(84명)의 대상자가 4년 이상 흡연을 지속하고 있었으며, 하루 평균 6-10개피를 흡연하고 있는 대상자가 37.8%(70명)로 가장 많았다. 흡연을 습관적으로 지속하고 있는 대상자가 45.9%(85명)로 가장 많았고, 흡연을 하고 있는 친구는 9명 이상이 47.6%(88명)로 가장 많았으며, 대상자의 75.1%(139명)에서 흡연하는 가족이 있었다. 흡연의 위험성은 높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85.4%(158명)로 가장 많았고, 71.9%(133명)의 대상자는 흡연과 관련된 질병을 목격한 적이 없었다. 3. 담뱃갑 경고메시지를 목격한 후 그에 따른 대상자의 금연의도 정도는 7점 만점에 평균 4.70±1.74점으로 나타났고, 위협인식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62±0.69점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저항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91±1.09점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흡연 특성에 따른 금연의도는 성별(t=-3.27, p=.001), 학년(F=4.03, p=.019), 성적 수준(F=14.84, p<.001), 부모의 학력(t=-2.63, p=.009), 주관적 가정의 경제적 수준(F=7.00, p=.001), 흡연 시작 시기(F=43.51, p<.001), 흡연 기간(F=21.12, p<.001), 하루 흡연량(F=20.24, p<.001), 흡연 지속 이유(F=9.04, p<.001), 흡연 친구(F=15.53, p<.001), 흡연 가족(t=-4.25, p<.001), 흡연에 대한 위험 인지(F=8.06, p<.001)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금연의도는 위협인식(r=-.34,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심리적 저항(r=-.45, p<.001)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위협인식과 심리적 저항(r=-.25, p=.001)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6. Model 1에서 종속변수인 금연의도에 대하여 일반적 특성을 투입하였을 때, 24.4%의 설명력을 보였고(F=7.31, p<.001), 성별 중 여자(β=.21, p=.003), 성적 수준 중 중위권(β=.28, p<001), 주관적 가정의 경제적 수준 중 상위층(β=.22, p=.015)이 금연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del 2에서 흡연 특성을 투입하였을 때, 설명력은 23.9% 증가한 48.3%이었으며(F=8.12, p<.001), 흡연 시작 시기 중 중학교(β=.26, p=.006)와 고등학교(β=.41, p<.001), 하루 흡연량 중 1-5개피(β=.25, p=.041)가 금연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del 3에서 위협인식이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Model 2에 위협인식을 추가 투입하였을 때, 설명력은 2.0% 증가한 50.3%로(F=8.31, p<.001), 위협인식(β=.18, p=.010)이 금연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del 4에서 심리적 저항이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심리적 저항을 추가 투입하였을 때의 설명력은 53.8%로, Model 2에 비하여 3.5% 증가하였으며(F=9.03, p=<.001), 심리적 저항(β=-.23, p=.001)이 금연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담뱃갑 경고메시지 목격 후 대상자의 위협인식이 높을수록 금연의도가 높았고, 심리적 저항이 높을수록 금연의도가 낮았다. 이를 토대로 흡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공익광고 메시지 개발 시 공포감과 혐오감을 주는 메시지 개발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청소년이 메시지를 수용하는 과정에 집중하여 적응적인 반응으로 메시지를 수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해야 한다. 주제어: 흡연 청소년, 담뱃갑 경고메시지, 금연의도, 위협인식, 심리적 저항 Abstract Influence of Threat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Reactance of Cigarette Warning Message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of Smoking Adolescents by Su Hyun Park (Advisor: Prof. Ji Young Park, Ph.D., RN.)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research data to help reducing to explore the influence of threat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reactance of cigarette warning message by smoking adolescents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Methods: From August 19 to November 18, 2019, attended vocational high schools from 2 located in B and G cities, and collected data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200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seen cigarette warning messages over the past 30 days, while 185 students, excluding non-responsive and insincere survey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the collected data wa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 25.0 software program, and the actual numbers and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51.4% of the participants was females, and 38.9% was in the 1st grade and 51.4% in the middle class on the academic performance. parental education level was the highest with 57.8% of high school graduates, the perceived economic status of middle layer with 46.5%. 2. 53.5% of the participants was first smoking age in middle school. 45.5% of the participants was smoking period than 4 years, and 37.8% said they smoking amount per day 6-10 piece. 45.9% of the participants was answered they habitually reasons for smoking. and 47.6% said they number of smoking friends more than 9 person, 75.1% of the victims were smoking of family. also, while 85.4%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have never seen anyone suffering from the disease due to smoking 71.9% said smoking is highly likely to cause the disease. 3. The level of threat perception was 3.62±0.69 out of 5 points. psychological reactance was 2.91±1.09 out of 5 points. and intention to quit smoking was 4.70±1.74 out of 7 points. 4. The gender(t=-3.27, p=.001), grade(F=4.03, p=.019), academic performance(F=14.84, p=<.001), parental education level(t=-2.63, p=.009), perceived economic status(F=7.00, p=.001), first smoking age(F=43.51, p=<.001), smoking period(F=21.12, p=<.001), smoking amount per day(F=20.24, p=<.001), reasons for smoking(F=9.04, p=<.001), number of smoking friend(F=15.53, p=<.001), smokers among family members(t=-4.25, p=<.001), risk perception on smoking(F=8.06, p=<.001)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moking-related characteristics showed differences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5.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r=-.34, p=<.001) between threat perception and intention to quit smoking a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r=-.45, p<.001) between psychological reactance and intention to quit smoking, also between threat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reactance was a negative correlation(r=-.25, p=.001). 6. When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controlled and analyzed in order to check the effect of purely independent variable, on gender, academic performance, perceived economic statu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tention to quit smoking(F=7.31, p=<.001). In Model 2, smoking-related characteristics were introduc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explanatory power increased by 23.9% to 48.3%(F=8.12, p=<.001), first smoking age, smoking period, Smoking amount per da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In Model 3, threat perception was introduc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explanatory power increased by 2.0% to 50.3%(F=8.31, p=<.001), threat percep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In Model 4, psychological reactance was introduc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explanatory power increased by 3.5% to 53.8%(F=9.03, p=<.001), psychological reactanc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Conclussion: In this study, the higher the victim's awareness of threat perception after witnessing of cigarette warning message, the higher the intention to quit smoking rate. and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reactance, the lower the intention to quit smoking rate. therefore when developing public service advertising messages for smoking adolscents, should focus on the process of accepting messages and explore ways to accommodate messages in an adaptive response. Key words: Smoking Adolescents, Cigarette Warning Message, Intention to Quit Smoking, Threat Perception, Psychological Reactance

      • ER stress inducible nuclear protein, TRB3, inhibits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STAT3) transactivation

        박수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초파리 유전자 Trribles의 mammalian homolog 인 TRB3는 소포체 스트레스에 의해서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포체 스트레스가 계속적으로 지속되면 증가된 TRB3에 의하여 세포의 apoptosis가 유도 된다. 전사 활성 조절 단백인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STAT3)은 세포의 proliferation, oncogenesis 와 anti-apoptosis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으로 STAT3 단백은 latent self-signaling 전사활성 factor로서 여러 cytokine이나 티로신 kinase에 의해서 인산화 되어 활성화되면 dimerization 되면서 핵 안으로 들어가 암화, 반 세포사멸 그리고 암 전이에 관련된 많은 유전자를 발현 시키는 oncogene 으로 알려져 있다. 이 논문 에서는 소포체 스트레스가 지속적으로 주어지면 TRB3가 소포체 스트레스에 의해서 TRB3의 발현이 증가하며 증가된 TRB3단백에 의해서 세포의 암화와 반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STAT3 신호전달체계가 억제되어 Cyclin D1과 같은 STAT3에 의한 활성 유전자가 억제되는 것을 규명하였다. 소포체 스트레스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면 TRB3단백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또한 소포체 스트레스는 STAT3에 의하여 발현이 조절되는 Cyclin D1의 발현의 억제를 유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RB3는 티로신 kinase인 RET/PTC3와 TEL/JAK2 oncogene에 의해 활성화된 STAT3의 전사활성을 인위적으로 증가시켰을 때도 STAT3전사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STAT3전사활성 억제로서의 역할을 규명하였다. 또한 티로신 kinase에 의해서 증가된 STAT3의 활성은 소포체 스트레스에 의해서 저해 되는 것을 확인 하였고, 이는 TRB3 siRNA assay를 통해서 TRB3 의존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STAT3의 전사활성 억제는 TRB3와 STAT3가 직접적으로 물리적인 결합을 함으로써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고. TRB3와 STAT3 는 주로 핵 안에 함께 존재하는 것을 confocal microscopy를 통해서 확인 할 수 있었다. TRB3와 STAT3는 Chromatin 면역 침강법을 통해서 Cyclin D1 promoter에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Cyclin D1 단백의 양이 TRB3의 과 발현에 의해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또한 siRNA 실험을 통해 TRB3 의존적으로 일어남을 보여주었다. 이 논문 에서는 암화과정 중에 유도된 소포체 스트레스가 지속적으로 주어지면 TRB3가 소포체 스트레스에 의해서 발현이 증가하며 증가된 TRB3단백에 의해서 세포의 암화와 반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STAT3 신호전달체계를 억제함으로써 암화과정을 저해 할 것 이라는 TRB3의 STAT3 억제제로서의 역할을 규명하였다. TRB3, a mammalian homolog of Drosophila tribbles is an ER stress inducible nuclear protein. When potent and prolonged ER stress occurs, excess TRB3 is produced and lead to apoptosis. The transcription factor,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STAT3) proteins are crucial for the proliferation of cells, oncogenesis and anti-apoptosis. The STAT3 proteins are latent self-signaling transcription factors in cytoplasm used by most cytokine receptors to rapidly turn on gene expression in nuclei. We identified that TRB3 acts as a repressor of STAT3 and it suppresses the STAT3 transactivation. TRB3 has no effect on STAT3 phosphorylation, but TRB3 inhibits transcriptional activity of STAT3. Confocal microscopic study microscopic study and protein mappings reveal that TRB3 binds to STAT3 N-terminal and localized in nucleus. ChIP assay show that TRB3 inhibited STAT3 binding affinity to promoter region of target gene, and target gene such as cyclin D1 induction is decreased. Cyclin D1, one of gene induced by STAT3, transcriptional activity is decrease by TRB3 overexpression. Here, we show functional relation between TRB3 as a repressor of STAT3 and STAT3 as an inducer of cell proliferation during ER stress state.

      • 국어 탐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초등 품사 지도 방안 연구

        박수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is aimed at mapp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enhance their linguistic and inquiring minds. The existing grammar lessons deliver knowledge in fragments to students. In the existing grammar classes, it was difficult for students to internationalize their knowledge as grammar classes were crammed without giving them the opportunity to think. In spite of the limitations of grammar education, we identified the need for research in that the method of exploration and knowledge of grammar are not being provid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on exploration learning, I'm going to summarize the exploration learning process for developing the linguistic and inquiring mind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devise guidance plans. The achievement criteria in the area of elementary grammar address ‘the part of speech' but the value of ‘part of speech' learning is not addressed properly in the actual class. At an elementary school level, it would be possible to help students develop their thinking skills in the process of sorting out words. Based on this information, the exploration study was applied to ‘part of speech' learning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to develop students' linguistic inquiring minds. The research is discussed below. First, in the area of grammar, education for students to develop their thinking skills should be made. A teaching knowledge of grammar that reflects the principle of thinking should be made to increase a student's thinking ability. By studying the phenomenon of Korean language and discovering grammar rules, students should be able to learn grammar principles and internationalize their knowledge. Second, the concept of language and thinking ability unique to differentiate from other subjects should be established. The word ‘thinking' is transitive, so you need to specify what you want to think about. In the Korean language and grammar field, the Korean language phenomenon is the object of thought to discover knowledge and solve problems. As grammar field is narrower than the whole area of Korean language and grammar, one defines the thoughts that can be cultivated in the area of grammar as ‘linguistic inquiring mind' and finds knowledge based on the ‘grammatical principle' Also, the focus of the exploration learning process may differ from those of other subjects, so that only the Korean language and the research should be prepared. Third, there must be a method of exploration learning that is appropriate to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more appropriate to guide them to draw their own principles or rules by exploring specific objects of exploration, such as actual Korean language materials or phenomena, rather than using deductive models. Therefore, inductive models fit together at the elementary level.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offers separate models for which inductive exploration can be conducted equally, thus adding to confusion to teacher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sent models with inductive exploration processes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ccording to the objectives of study.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part of speech education, students will be able to think better. However, knowledge of part of speech is only used as a means to search Korean dictionaries, so it is not helpful for students to think better. Knowledge of parts of speech is not a true part of speech education because it only deals with the contents necessary to find a Korean dictionary. In the process of sorting words according to certain criteria, students will be able to lear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words and increase their thinking skill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mmar area and the method of exploration learning as arranged earlier, the parts of speech were mapped to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ere prepared according to inductive exploration models to develop students' linguistic and inquiring mind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re organized by considering the principles of process, hierarchy, contextualization, and focusing principles. Reconstructed to reflect this, the maps of part of speech were applied to the learning of the first grade of the fourth grade. After the instruction, it was determined how much students understood about parts of speech through the recognition and exploration classes for Korean and explora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ased on the cognitive tests for Korean language and research classes. Most of the students did not have a negative opinion about holding a research class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were interested in exploring Korean language. Therefore, through exploration, students will be able to participate in grammar classes with interest, and will be able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by enhancing their motivat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tudents' exploration activities. First, we should actively apply investigation learning in Korean grammar class so that students can be familiar with the exploration study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lthoug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lso emphasizes exploration, most students have not been exposed to the study in Korean language class. As a result, students were unfamiliar with carrying out an investigation into the Korean grammar phenomen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s with access to exploration learning in the areas of Korean language and grammar. Second, we can enhance students ' understanding through inductive investigation classes. It gives students the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words and helps internationalize their knowledge by classifying words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Third, we should clarify the grammatical phenomena that are to be explored. Even if students already know something, they should reformulate the grammatical phenomena to be explored so that they can be clearly aware of the concepts before they can explore them. Fourth, because exploration is a process in which students think for themselves and find knowledge, it should be allowed to prevent an openness from forming. Students need to be emphasized in organizing their exploration learning by compiling the openness that they have through the exploration process. Fifth, check students ' thinking processes and explore them to prevent the formation of the mind, and then have enough time to organize your learning with the teacher. Learning should be organized not only through the exploration process but also through the exploration process. Sixth,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it with other subjects so that students can learn the exploration functions. Students have learned the functions of exploration in science class, so they can use them in Korean classes. Indeed,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finding knowledge and solving problems as they went on to explore Korean language materials reflecting grammatical phenomena. Thus, in grammar education, the effectiveness of exploration learning could be verified. This paper revealed the concepts of thinking power that can be promoted in the area of grammar and set up a method of studying Korean language that can help develop the thinking power by reflecting the goals of grammar.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guidance method of part of speech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prepared and applied to clarify the effectiveness of exploration learning in the area of grammar.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actively discus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well as specific educational contents of grammar knowledge that can reflect the principle of think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study Korean.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국어 탐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지도 방안을 마련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기존의 문법 수업은 학생들에게 지식을 단편적으로 전달하는 것에 그쳤다. 기존의 문법 수업에서는 학생들에게 사고할 기회를 주지 않고 주입식으로 문법 교육이 이루어져 있어 학생들이 지식을 내면화하기가 어려웠다. 현재 문법 교육의 한계에도 불구하여 초등학생에게 적용할 수 있는 탐구 수업의 방법과 문법 지식의 구체적인 내용이 마련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탐구 학습에 대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국어 탐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탐구 학습 과정에 대해서 정리하고 지도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초등 문법 영역에서의 성취기준에서 ‘품사’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나 실제 수업에서는 ‘품사’ 학습의 가치가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초등학생 수준에서는 낱말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사고력 신장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학생들의 국어 탐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하여 ‘품사’ 학습에 탐구학습을 적용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법 영역에서는 학생의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사고성의 원리를 반영하여 지도할 수 있는 문법 지식은 학생의 사고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학생들이 국어 현상을 탐구하여 문법 규칙을 발견하는 활동을 통하여 학생이 주도적으로 문법 원리를 터득하여 지식을 내면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다른 교과와 차별화할 수 있는 국어과만의 사고력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여야 한다. ‘사고한다’ 라는 낱말은 타동사이므로 사고의 대상을 무엇으로 할지 구체적으로 정해야 한다. 국어과 문법 영역에서는 국어 현상을 사고의 대상으로 하여 지식을 발견하고 문제를 해결해나가도록 하고 있다. 국어과 전체 영역보다 문법 영역은 그 범위가 더 좁으므로 문법 영역에서 기를 수 있는 사고를 ‘국어 탐구적 사고력’으로 정의하고, 이를 ‘문법적 원리’를 대상으로 하여 지식을 발견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정신 과정으로 정리할 수 있다. 또한, 탐구 학습 과정에서도 타 교과와 중점을 두는 부분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국어과만의 탐구 학습을 마련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초등학생 수준에 맞는 탐구 학습 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초등학생에게는 연역적인 방식의 모형보다는 실제 국어 자료나 현상과 같이 구체적인 탐구 대상을 탐구하여 학습자가 원리나 규칙을 스스로 도출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따라서 귀납적인 방식의 모형이 초등 수준에서는 어울린다. 국어과에서는 귀납적인 탐구과정이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모형을 따로 제시하고 있어 교사에게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국어과에서 귀납적인 탐구 과정을 이루고 있는 모형들을 학습 목표에 따라 정리하여 제시할 수 있다. 초등학교에서는 품사 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의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국어사전 찾기를 위한 수단으로서만 품사 지식이 활용되고 있어 학생들의 사고력 신장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품사 지식도 국어사전 찾기에 필요한 내용만 다루고 있어 진정한 의미의 품사 교육이라고 할 수가 없다. 일정한 기준에 따라서 낱말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낱말의 특징에 대해서 알 수 있고,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정리한 문법 영역의 성격과 탐구 학습 방법을 바탕으로 하여 초등학생 수준에 알맞은 품사 지도 방안을 마련하였다. 학생들의 국어 탐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하여 귀납적인 탐구 모형에 따라서 교수·학습 자료를 마련하였다. 교수·학습 자료는 과정성의 원리, 위계화의 원리, 맥락화의 원리, 초점화의 원리를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을 반영하여 재구성한 품사 지도는 4학년 1개 학습에게 적용되었다. 지도 후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국어과 탐구 수업에 대한 인식과 탐구 수업을 통하여 품사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이해했는지를 확인하였다. 국어과 탐구 수업에 대한 인식 검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국어과에서 탐구 수업을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 부정적인 견해를 보이지 않고 있었다. 국어과에서 탐구를 한 것에 대해서 흥미를 느끼는 학생은 과반수를 넘었다. 따라서 학생들이 탐구를 통하여 문법 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고, 수업 동기를 높여 수업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학생들의 탐구 활동의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국어 문법 시간에 탐구 학습을 활발하게 적용하여 학생들이 국어과에서도 탐구 학습을 익숙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탐구를 강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학생들은 국어 시간에 탐구를 접하지 못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국어 문법 현상을 대상으로 하여 탐구를 수행하는 것을 낯설어 하였다. 그러므로 국어과 문법 영역에서 탐구 학습을 접할 수 있게 하여 학생들이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귀납적인 탐구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의 이해를 높일 수 있다.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낱말의 특징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직접 일정한 기준에 따라서 낱말을 분류해보며 지식을 내면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셋째, 탐구 대상이 되는 문법 현상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정리하여야 한다. 학생들이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일지라도 탐구 대상이 되는 문법 현상에 대해서 다시 정리하여 학생들이 그 개념에 대해서 명확히 인지한 후에 탐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넷째, 탐구는 학생들이 스스로 사고하여 지식을 발견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오개념이 형성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학생들이 탐구 과정을 통해 가질 수 있는 오개념을 정리하여 탐구 학습을 정리할 때에 강조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학생들의 사고 과정을 점검하고 오개념 형성을 막기 위해서 탐구를 실시한 다음에 교사와 함께 학습 내용을 정리하는 시간도 충분히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학생들이 탐구하는 것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탐구 과정을 통하여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같이 학습 내용을 정리하도록 하여야 한다. 여섯째, 다른 과목과 통합하여 학생들이 탐구 기능에 대해서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학생들이 과학 수업 시간에 탐구 기능을 배웠으므로 국어 시간에도 이를 활용하여 탐구를 실시할 수 있다. 실제로 학생들이 문법적 현상을 반영한 국어 자료를 탐구해보는 활동을 거듭하면서 지식을 발견하고 문제를 해결해내는 활동에 더 유의미하게 참여할 수 있었고,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도 높았다. 그러므로 문법 교육에서 탐구 학습이 가지는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이 논문은 문법 영역에서 신장시킬 수 있는 사고력의 개념을 밝히고, 문법 영역의 목표를 반영하여 사고력 신장을 도울 수 있는 국어과에서의 탐구 학습 방법을 마련하도록 하였다. 또한, 초등학생의 수준에 알맞은 품사 지도 방안을 마련하고 적용하여 문법 영역에서의 탐구 학습의 효용성을 밝혔다는 것에서 의미가 있다. 이 연구가 초등학생의 국어 탐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하여, 사고성의 원리를 반영할 수 있는 문법 지식의 구체적인 교육 내용과 교수·학습 방안에 대해서 활발하게 논의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ナミヤ雜貨店の奇蹟)』론 : 과거와 현재의 시간 축이 갖는 의미를 중심으로

        박수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作品の現在である2012年は長期不況が続いている時代であり、そのため社会·経済的に低迷の状態である。地方の方では不況で閉店した店が目立つほど、消費は低下していたし、都会の方では大卒者ですら就職に厳しい、社会・経済的な低迷期である。生き残るための競争が深化し、落ちこぼれた者たちは基本的な生活が難しくなりますます混乱な状況に陥ってしまう。このような時代を生きている敦也、翔太、幸平は、「丸光園」という児童保護施設でともに育てられた仲間である。彼らはいまみんな失業しており、貯蓄もないため生計の道が絶望的な状態にある。現在と未来に対する不安と焦りはあるが、現在の状況を改善しようとする意志と意欲も持てず未来に対する夢と希望も欠如している。とくにこの様子は敦也に強く見られる。敦也は最初相談という新しい機会に消極的で否定的な姿勢で最も意欲のない姿を見せていた。 一方、敦也たちと相談の手紙のやり取りをする過去の人物たちが生きている1980年は、第二次オイルショックの影響になり景気沈滞の状況が長引き、大卒者の就職も厳しいほど不況期である。しかし、この時代を生きている‘月のウサギ’、‘魚屋のミュージシャン’、‘迷える子犬’は皆夢を持って生きていて、夢を追う過程で失敗し、戸惑い、悩み続けるが、それにもかかわらず夢を諦めずに、その夢を叶うために努力している。 このように作品の中の過去と現在の人物は、お互い似ている時代の環境の中で暮らしているが各時代を生きていく人物の暮らしの様相は顕著な差異を見せている。過去の人物は未来に対する夢と希望、そして夢を叶えるために最善をつくす姿勢, 現在の状態を改善するための努力などを見せているが敦也たちにはこのような前向きな姿勢が欠如している。作品はこのような敦也たちが過去の人物たちと相談の手紙をやり取りする過程を通じて過去の人物たちの人生と人生の姿勢を絶えず反芻させている。そして過去から現在に至るまで過去の人物たちの足跡を振り返ることを通じて現在を生きて行く敦也たちの変化と再生を図る。時代や環境のような外部的な要因のせいにせず、意志と意欲を持ち、夢を成し遂げるため努力していくならば人生を変化させるのいつでも可能だと二つのよじれた時間軸をつうじて現在の若者たちに語っているのである。 일본을 대표하는 추리 소설 작가인 히가시노 게이고(東野圭吾)의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ナミヤ雑貨店の奇蹟)』은 “히가시노 작품 사상 가장 눈물 나는 감동적인 작품(東野作品史上最も泣ける感動作)”이라는 수식어가 붙는 “하룻밤의 따뜻한 기적 이야기(一夜かぎりの優しい奇蹟の物語)” 이다. 본 작품에 대한 선행연구는 작품에 등장하는 다양한 시간 축의 균열로 발생한 작품의 환상성에 집중한 논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히가시노가 밝히고 있듯이 본 작품이 현재에 집중한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이것에 초점을 둔 연구는 극히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품 속 다양한 시간 축 중 현재와 이 시기와 연결되는 1980년을 중심으로 각 시대에 대한 분석 및 인물들의 삶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시간 축이 갖는 의미를 중심으로 작품의 주제에 대해 규명하였다. 먼저 작품 속 현재인 2012년은 장기 불황이 이어지고 있으며, 사회․경제적으로 침체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방은 대부분 문을 닫은 상점들이 많을 만큼 소비가 위축되어 있고, 대졸자들조차 취업하기 힘든 극심한 취업난에 시달리고 있다. 또한 생존경쟁이 심화되어 여기에서 낙오된 자들은 생계를 위협받을 만큼 곤란한 처지에 놓이기도 한다. 이러한 시대를 살아가는 ‘아쓰야’, ‘쇼타’, ‘고헤’는 어린 시절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 아동보육시설인 환광원에서 자란 친구사이다. 그들은 현재 모두 실직 상태이고, 저축한 돈도 없어서 앞으로 살아갈 길이 막막할 만큼 궁지에 몰려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현재와 미래에 대한 불안함과 초조함을 갖고 있지만, 지금 자신들이 처해 있는 상황을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와 의욕은 보이지 않으며 미래에 대한 꿈과 희망도 결여되어 있는 상태이다. 특히 이러한 모습은 아쓰야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상담이라는 새로운 기회 앞에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자세로 대처하며 가장 의욕이 없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아쓰야 일행과 상담 편지를 주고받는 과거 사람들이 살고 있는 1980년은 2012년만큼이나 불황기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2차 오일쇼크의 여파로 경기가 침체되어 있으며, 대졸자들의 취업도 수월하지 않다. 그러나 아쓰야 일행에게 편지를 보낸 과거의 젊은이들은 모두는 꿈과 목표를 갖고 있고, 이것을 이루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과정에서 방황하고 고민하기도 하지만 결국에는 자신의 꿈에 대한 확신을 갖고 포기하지 않으며 노력하는 모습을 보인다. 작품 속 2012년과 1980년의 인물들은 비슷한 시대적 환경 속에서 살아가고 있지만, 각 시대를 살아가는 인물들의 삶의 양상에서는 현저한 차이가 보인다. 즉 과거 인물들은 미래에 대한 꿈과 희망 그리고 꿈을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자세를 지니고 있고, 현재의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 등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아쓰야 일행에게는 이와 같은 모습이 결여되어 있다. 작품은 하루하루 허투루 살아가고 있는 아쓰야 일행이 과거 인물들과 상담 편지를 주고받으며 과거 사람들의 삶의 자세를 끊임없이 되돌아보게 한다. 그리고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과거 사람들이 살아온 삶의 ‘발자취(足跡)’를 반추하는 과정을 통해 현재를 살아가는 아쓰야 일행의 삶이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재생’의 길로 나아가는 것을 그리고 있다. 작품은 시대나 환경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을 탓하지 말고, 삶에 대한 의지와 의욕을 갖고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며 최선을 다하는 삶을 살아간다면 삶의 변화를 이룰 수 있음을 과거와 현재의 두 시간 축을 통해 현재의 젊은이들에게 말하고 있다.

      • 노인의 약물 오·남용에 관한 연구

        박수현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에는 의학 기술의 발전, 생활수준의 향상,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평균 수명의 연장 등으로 노인들은 노화에 따른 질병 치료와 증상 완화를 위해 약물에 의존하게 된다. 노인은 노화에 따른 다양한 만성질환으로 인해 평생 동안 약물을 복용하게 되는데, 약물에 대한 부정확한 정보와 지식은 잘못된 복용을 유도해 노인에게 악영향을 가져올 수 있으며, 질병과 약물의 중요성에 대해 노인의 인식 결여 및 인내심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올바른 약물 복용을 위해 약물복용 여부, 약물에 대한지식, 약물구매 정보습득 경로가 약물 오·남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노인이 정확한 약물지식을 통해 올바른 약물 복용과 편안한 노후 건강증진을 돕고자 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전광역시 종합복지관과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 40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 1:1 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빈도분석, χ2와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상관관계분석), Multiple Regression(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노인과 배우자가 없는 노인, 혼자 사는 노인,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노인, 정부의 생활보조금으로 용돈을 마련하는 노인일수록 약물 복용 여부가 높았다. 둘째, 노인들은 약물에 대한 지식이 높지 않았으며, 남자 노인과 79세 이하인 노인, 학력이 높은 노인, 배우자가 있는 노인,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은 노인, 월 용돈이 많은 노인, 연금이나 퇴직금으로 용돈을 마련하는 노인일수록 약물에 대한 지식이 높았다. 셋째, 남자 노인과 약물 복용 여부가 높을수록, 약물 구매 정보를 의사로부터 얻지 않을수록, 약물에 대한 지식이 낮을수록 약물 오·남용행위가 높음을 알 수 있고, 성별, 약물복용 여부, 약물 구매정보 습득경로, 약물에 대한 지식이 약물 오·남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약물에 대한 지식과 약물정보가 부족한 노인들에게 정확한 약물정보와 올바른 지식을 제공해 안전하게 약물을 복용할 수 있도록 노인 당사자들은 물론이고 가족구성원들에게도 사전 사후교육이 필요하며, 건강문제를 약물로만 해결하려는 생각을 변화시켜 건강생활 실천을 통하여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나아가 노인들의 올바른 약물복용을 위한 사회복지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The elderly increasingly rely on drug to treat their aging-related diseases and alleviate relevant symptoms in the 21st century due to advanced medicine, improved living standard, growing concern for health and extended life span. Elderly people should continue to take medicine in their lifetime since they suffer from a variety of chronic diseases because of aging, and the spread of incorrect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drug is likely to have an adverse impact on them by having them take the wrong medicine. Furthermore, elderly people are usually unaware of the importance of diseases and dru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s of the state of drug use among elderly people and their relevant knowledge and information acquisition route on their drug abuse in a bid to assist them to get the right knowledge, take the right medicine, promote their health and live a comfortable lif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5 elderly people who used welfare agencies and senior centers in the city of Daejeon. An one-one-one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program. A frequency analysis, x2-test,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procedures were utiliz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edicine taking was more prevalent among the elderly people who were female, who had no spouses, who lived alone, who found themselves not to be in good shape and who depended on government subsidy for allowance. Second, the elderly people weren't knowledgeable about drug. A better knowledge on drug was owned by those who were male, who were at the age of 79 and down, who were better educated, who had spouses, who considered themselves to be in good health, whose monthly allowance was larger and who relied on pension or retirement grant for allowance. Third, drug abuse was more common among those who were male, who took more medicine, who didn't get information on drug purchase from doctors and who had a less knowledge on drug. Drug abuse was under the influence of gender, medicine taking, information acquisition route on drug purchase and drug knowledge.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not only elderly people but their families should receive education to get the right information to ensure drug-related safety, as the elderly are usually devoid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drug. They should be encouraged to promote their health in diverse ways instead of merely depending on drug, and social welfare programs should be prepared to stir up the right medicine taking among elderly people.

      • 동성애자의 소수자 스트레스와 대처 전략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의 차이

        박수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동성애자들은 낙인, 차별, 반동성애 폭력과 같은 부정적인 사회적 태도를 대처하고 극복해야 하기때문에, 이성애자들 보다 더 많은 노력과 적응이 요구 되고 이를 소수자 스트레스로 개념화 할 수 있다(Meyer, 2003). 소수자 스트레스는 내재화된 동성애혐오, 낙인 인식, 반동성애 폭력 경험으로 구성되며, 이는 동성애자의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졌다. 본 연구는 성인 동성애자 남녀 180명을 대상으로 소수자 스트레스와 대처 전략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소수자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심리사회적 적응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동성애 관련 스트레스에 회피 대처보다 적극 대처를 많이 사용하는 집단은 심리사회적 적응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본 연구는 동성애자의 특수한 경험과 그로 인한 심리적인 어려움에 대한 상담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으며, 동성애 관련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적인 대처 전략을 밝혀 상담의 효과적인 개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Minority stress is additive to general stressors that are experienced by all people, resulted from stigmatized sexual identity and social minority position(Meyer, 2003). Homosexual individuals are required more effort and adaptation than heterosexual individuals so that they cope with and overcome negative social attitudes including stigma, discrimination, violence.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psychosocial adjustment according to minority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in a internet community sample of 180 lesbian, gay adults. The result showed that group with high levels of minority stress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psychosocial adjustment compared to low group. Also group used more active coping than avoid coping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psychosocial adjustment. The findings help counselors understand for homosexual individuals's unique experiences, psychological distress and find adaptive coping strategy to offer information about effective therapeutic interv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