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mplant-Supported Overdenture의 Bar설계 및 Abutment System에 따른 응력분산의 광탄성학적 분석

        박수성 단국대학교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Branemark가 Osseointegration개념을 주장한 이후 치과임플랜트는 획기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임상에 널리 응용되기 시작하였다. 골유착성 임플랜트는 자연치아의 치주인대와 같은 충격완압효과가 없기 때문에 충격이 직접 골내로 전달되므로 이의 적절한 분산과 완압에 있어서는 상부구조물의 구조와 설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광탄성학적 분석은 치과분야의 응력분산을 평가하는 한 방법중의 하나로서, 본 연구는 여러 종류의 Bar설계와 Abutment System에 따른 응력분산 양상의 차이점을 광탄성학적으로 비교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UCLA Abutment System이 Branemark Conventional System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은 응력 분포를 나타내었다. 2. Bar의 설계에 따른 응력분산은 Straight, 3㎜ Cantilever, 5㎜ Cantilever, Triangular 형태의 순으로 나타났다. 3. 3㎜ Cantilever까지는 응력의 증가가 크지 않았으나 5㎜ Cantilever부터는 3㎜에 비해 상당히 크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Bar의 설계시 3㎜이상의 Cantilevering은 좋지 않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4. Triangular Pattern은 5㎜ Cantilever와 매우 유사한 응력분포를 나타내었다. Since the concept of osseointegration was developed by Branemark, dental implant prosthesis have been widely accepted by dental clinicians. The osseointegrated implant distributes the stress directly to the bone due to lack of cushioning effect of periodontal ligament. Because the design and material quality of superstructu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stress distribution.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is useful in dentistry for evaluating the stress resolution and diff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patterns of stress induced by variable bar designs and abutm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l. The UCLA abutment system showed larger & broader stress distribution than Branemark conventional system. 2. Straight pattern showed the lowest stress value, and 3㎜ cantilever, 5㎜ cantilever, and 5㎜ triangular pattern showed the higher value in ascending order. 3. The increment of fringe order of the stress was increased 3㎜ whereas significantly larger stress was shown in 5㎜ cantilever, therefore, ore than 3㎜ cantilever should be used carefully. 4. The stress distribution of triangular pattern was similar to that of 5㎜ cantilever.

      • 美容的 乳房再建術을 받은 患者에서 삶의 質에 대한 前向的 硏究

        박수성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에서도 생활양식이 급격히 서구화됨에 따라 유방암의 발생빈도가 꾸준히 증가 하여 유방절제 후 유방재건을 시행하는 빈도 또한 늘어나고 있다. 유방재건술은 유방의 상실로 인한 자아상의 파괴, 심한 우울증, 상처받는 자존심, 여성성의 상실등 유방절제술로 인한 환자의 정신적 충격을 완화해 주고 회복의욕을 고취시켜 환자의 치료 순응도를 높여준다고 알려져 있는데, 저자는 일반적인 유방재건을 받은 환자와 리모델링을 이용한 미용적 유방재건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구분해서 삶의 질을 측정하여 유방재건술 및 리모델링을 이용한 미용적 유방재건술이 환자의 주관적인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2002년 3월부터 2004년 8월까지 동아대학교병원에서 유방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45명 중 유방재건을 받지 않은 10명의 환자(Group I)와 유방재건을 받은 20명의 환자(Group II), 리모델링을 이용한 미용적 유방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15명(Group III)을 대상으로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 자가 보고형 신체상척도와 개인의 자아존중감검사를 시행하였다. 6개 상위 영역 중 신체영역, 심리영역, 독립성 영역, 사회영역 등 4개의 영역에서 Group II 군과 Group III 군이 Group I 군이 보다 유의하게 높은 삶의 질 점수를 나타냈다. Group II 군과 Group III 군의 삶의 질을 비교하였을 때 상위영역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하위 영역 중 자존감의 경우 Group III 군이 유의하게 높았고 신체상 척도 측정에서는 Group II 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유방 절제술 후 유방재건을 받은 환자에서의 삶의 질이 전반적으로 높으며 특히 리모델링 이용한 미용적 유방재건을 시행함으로써 더욱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케인즈貨幣論에 대한 考察 : 投機的 需要理論을 中心으로

        박수성 慶星大學校 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emand theory of Money and its systematic explanation is a recent issue that we come to take into account. It is keynes who began to deal with the issue as the savings means and built the economic theory as follows: The investment motive of money is different from any other financial means because of the uncertain way that we will predicate the change of interest rate in the future. Keynes' way of solving such a problem is that as long as we are concerned with the choice between bonds and money. We might behave act as if we acknowledge how interest rate is determined. But Tobin proposed a question as to speculative motive theory of money as follows: First, In Keynes' theory, it is assumed that people have money in order to invest. But actuarly, besides people keep money, in peneral, to invest but there is a suspicion that people would keep it for a means of securing wealth. Second, in Keynes' theory, people will keep both bonds and money according to interest rate. But in actuarly, there is a question as to whether they will possess some bonds and some money separably. Therefore, Tobin developed the portpolio theory on the basis of the asumption that they possess bonds of some risk and profits and money of no risk but profits. In conclusion, Keynes' analysis is that people as economic subject decide investment currently through psycholopical process the uncertain future. Next, we will examine the limit of Keynes' theory. The change of interest rate does not influence the change of investment. Expecially, Currently, Great business enterprises are full of their own capital, and so the rate of investment is inclined to increase in this styl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theory that investment is made by the maginal efficency of capital and interest rate connot be realistic.

      • 호텔기업에 있어 멘토링의 기능이 주관적 경력성공 및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박수성 경기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멘토링은 기업에서 구성원의 성장과 개발을 위한 전략으로 회사에 대한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선배사원이 직접 후배사원을 지도하고 조언해주는 것으로, 조직에 있어서는 인재경쟁력을 확보하고 유기체 조직을 구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며 동시에 멘토나 멘티 모두의 경력발전에 도움을 주는 제도이다. 하지만 이러한 멘토링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호텔기업의 경우 공식적인 멘토링 관계를 수행하고 있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단지 비공식적인 멘토링 관계만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호텔기업을 대상으로 멘토링의 기능이 경력성공 및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를 수행함으로서 호텔기업이 멘토링 관계가 지닌 장점을 인정하고 공식적인 멘토링 프로그램을 호텔내에 도입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종사원들을 관리하며 이들의 조직내 적응을 도와주고 종사원이 자신의 경력계획을 실현시킬 수 있도록 지원해 줄 수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멘토가 제공하는 기능을 경력개발 기능, 심리사회적 기능, 역할모형 기능의 3가지로 분류하고 이 기능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며 또한 경력관리 결과변수 중에서 개념적으로나 실무적으로 매우 중요한 변수인 경력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더불어 멘토링의 기능을 인지하는 멘티가 멘토에 대해 어떠한 신뢰를 가지느냐에 따라 주관적 경력성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신뢰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에 위치한 특1·2급 호텔에 종사하는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지 총 400부를 배포하여 365부를 회수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11부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가설2-5까지는 멘토링의 기능이 경력태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311부중에서 멘토가 있다고 인지한 총 258부만을 가지고 본 연구의 분석에 이용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t-test, 조절회귀분석 등의 통계분석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멘토의 유무에 따른 주관적 경력성공과 경력몰입의 차이에 대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 멘토가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주관적 경력성공과 경력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멘토링의 기능과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 멘토링의 기능과 경력만족에 있어서는 경력개발 기능과 심리사회적 기능에 대해 높게 지각할수록 경력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역할모형 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멘토링의 기능과 직무만족에 있어서는 경력개발 기능, 심리사회적 기능, 역할모형 기능에 대해 높게 지각할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진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리고 멘토링의 기능과 고용가능성에 있어서는 경력개발 기능에 대해 높게 지각할수록 고용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심리사회적 기능과 역할모형 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관적 경력성공과 경력몰입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 경력만족, 직무만족, 고용가능성에 대해 높게 지각할수록 경력몰입이 높아진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멘토링의 기능과 경력몰입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 경력개발 기능과 심리사회적 기능에 대해 높게 지각할수록 경력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역할모형 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멘토링의 기능과 주관적 경력성공간의 신뢰의 조절효과에 대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 멘토링의 기능 중 경력개발 기능만이 경력만족과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심리사회적 기능과 역할모형 기능의 경우 이러한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신뢰에 따른 멘토링의 기능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이러한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멘토링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와 조직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형성과 능력향상 및 경력성공을 위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호텔기업에서는 공식적이며 체계적인 멘토링의 도입을 통해 종사원들이 자신의 경력 및 조직에 적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야 할 것이다. Mentoring in company is a strategy for member's growth and development in that senior employee with advanced experience and knowledge on company advise to guide junior employee(protege), while mentoring in organization is an effective way in that it is to ensure talent competitiveness, to establish organic system and to improve productivity. Therefore mentoring is an efficient institution helpful to both mentor and mentee. But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this mentoring, there is nearly no one to carry out formal mentoring relationships. So far most of them barely continue to perform just informal mentoring relationships.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what influence mentoring functions had on career success and attitudes in hotel industry. It is thought that these findings enable hotel industry to recognize and admit strengths of mentoring relationships. Furthermore it was to verify an efficient system empirically in that it enables industry to manage employee effectively, while it enable employee to adjust themselves well to their organizations and to realize their career planning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mentoring functions, 3 factors of mentoring functions were extracted and named as career function, psycho-social function and role modeling function respectively. And then it was to find out what influence these functions had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also on career commitment which is very important variables among outcomes variables of career management conceptually and practically.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verify what influence these mentoring functions had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through the moderating effects of trust which defined the degree of mentee recognizing mentoring functions trusting to mentor. For these purposes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a survey, based on questionnaire, on employees worked in the first and second class hotel located in Seoul. It distributed 400 questionnaires, collected 365 questionnaires and used 311 questionnaires to analyze. A statistic software, SPSS Win 12.0 was operated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and to verify research hypotheses.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career commitment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mentor, it showed that the have-groups were higher than the have-not groups in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career commitment. Second, as a result of test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toring functions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it indicated that the higher career development function and psycho-social function were perceived, the higher career satisfaction was in mentoring functions and career satisfaction, while it had in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role modeling function. And it also told that the higher career development function, psycho-social function and role modeling function were perceived, the higher job satisfaction was in mentoring functions and job satisfaction. It also identified that the higher career development was perceived, the higher employability was in mentoring functions and employability, but it had in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psycho-social function and role modeling function.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career commitment, the higher career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were perceived, the higher career commitment wa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toring functions and career commitment, the higher career development function and psycho-social function were perceived, the higher career commitment was, while it had in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role modeling function. Finally, in consequence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in relationships between mentoring functions and subjective career function, only career development function was significant in relationships with career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such interactive effects were insignificant statistically in psycho-social function and role modeling function and also in the case that what influence mentoring functions had on employability moderating trust.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has verified to suggest that mentoring is a effective way which enables to form positive attitudes on member's work and their organizations and then to heighten career enhancement and career succ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hotel industry to introduce formal and systematic mentoring that create the environment which enable employees to adjust to their works and organizations.

      • 독서 교육과정 변천과정 분석 연구

        박수성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Research o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and discussed rapidly in variety of the way. Especially on matched up, reading, writing, speech, grammar and literature. Language education in the academic identity consists of in-depth discussions in each area, organize, and there have been structured. Therefore, systematic language curriculum with the intangibility of the theory in terms of the learners was able to offer high quality education. Previous training in instructional design of courses was to help teachers give training in the field. And today, teachers are more based on training courses to create a lesson plan that is a fact. However, because of the changes on social and cultural are rapidly, especially reading instruction for learners in the environment did not work properly is also true. To solve the problems, first the process of curriculum is change in the reading area of the existing research and discussion about how to succeed in education and in-depth discussion on whether reflection will be done properly. Futur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for learners with reading instruction in order to meet the first course of any changes they had to go through the process whether you come to us through the future direction of the mirror and see that we need a servant boundaries. Study on these issues raised earlier, in order to provide room for the school reading curriculum from 6th curriculum caused by component analysis is to compare the information. Then the philosophical idea, a theoretical perspective, the needs of society are changing how they came to the reading course will look at. Changing patterns of each item when it looked into four main streams can be seen. First, the learner-centered teaching of reading is emphasized. Second and related to the previous trend but the level of individual learners (skills) and attributes such as reading and education is the need to consider. Third, reading books during class, especially the content itself, rather than reading through the book, how well the strategy is important to teach. Fourth, the Executive Producer of reading and language activities became more prone to induce.

      • 롤투롤 그라비어 인쇄의 스미어링 현상과 레지스터 마크 인식에 관한 연구

        박수성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최근 반도체 공정의 대체재로 각광받는 인쇄전자 롤루톹(Roll-to-Roll)공정의 여러 가지 인쇄 방법 중 그라비어(Gravure) 인쇄에 대한 연구이다. 그라비어 인쇄 시 결함이 생길 수 있는데 그 중 스미어링(Smearing))은 인쇄 집적도를 높이거나 중첩정밀도를 위한 마크를 카메라가 인식하는데 있어 문제를 야기한다. 그라비어 인쇄의 결함은 다양한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일어나는데 인쇄 롤의 거칠기, 닥터 블레이드의 마모, 잉크의 입자크기는 지속적으로 공정을 진행하게 되면 생기는 Line defect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스미어링은 인쇄 속도,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의 압력, 잉크의 점도가 지배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 실행한 실험을 토대로 9m/min의 인쇄 속도, 0.6Mpa 닥터압 414.6cp 잉크의 조건에서 스미어링이 가장 짧아질 것이라 예측이 가능했다. 위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레지스터 마크 인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을 때 스미어링이 적게 발생한 실험 조건에서 레지스터 마크 인식의 반복 정밀도가 높아짐을 확인 함으로서 스미어링을 줄여 레지스터 제어의 성능 향상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gravure printing among various printing methods of printing roll-to-roll process, which is recently seen as a substitute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Defects in gravure printing are caused by a combination of various causes. The roughness of the printing roll, doctor blade wearing, and the particle size of the ink affect the line defect that occurs as the printing process proceeds steadily. Smearing is one of the defect in gravure printing. It can cause problems in increasing the print density or in recognizing marks for register control precision. Smearing has a dominant influence on printing velocity, pressure on the doctor blade, and viscosity of the ink. Based on the experiments carried out in this study, it was predicted that smearing would be the shortest under conditions of a printing velocity of 9m / min and a pressure of 0.6 Mpa doctor pressure of 414.6cp ink. Based on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we adjust experiment results to detecting register mark recognition algorithm and simulation. This simulation is confirmed that the repetition accuracy of the register mark recognition is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where the smearing is small. This study proves that the register control performance will enhance by reducing the smearing phenomenon.

      • 난소절제된 가토에 식립한 선반가공 및 티타늄 플라스마 분사 임플랜트 표면에 대한 생역학 및 조직학적 연구

        박수성 檀國大學校 1998 국내박사

        RANK : 247631

        골유착의 성공은 부분적으로 숙주골의 상태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골다공증은 이러한 숙주골의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나이, 성별, 인종, 지역, estrogen, 식이 알콜, 흡연 및 약물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일부 PTV(Periotest Value) 실험에 따르면 통계적으로 노년남성의 PTV가 노년여성의 PTV보다 더 낮은 수치를 가져 상대적인 안정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이유중의 하나인 골다공증 상태에서 임플랜트에 대한 조직 및 생역학적 반응을 연구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정상 가토와 난소절제로 유도된 골다공증 가토간 임플랜트의 경조직 반응을 조직 형태 계측학적 연구와 임플랜트 안정성 실험을 통해 비교하였다. 2. 난소절제된 가토에서 선반가공된 임플랜트와 티타늄 플라스마 분사 임플랜트의 표면 거칠기를 분석하였다. 3. 난소절제 영향하에서 임플랜트 골수용부위를 질적, 양적으로 평가하고, 임플랜트에 하중을 가하였을 때 그 응력분포를 유한요소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반가공된 나사형 임플랜트와 티티늄 플라스마 분사 임플랜트를 뉴질랜드산 가토의 경골에 식립하여 2개월 후 난소절제를 시행하였으며, 3개월과 6개월 후에 토끼를 희생하여 조직 형태 계측학적 분석, 표면거칠기 분석, 임플랜트 안정성 실험 및 유한요소법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조직 형태 계측학적 분석에서는 실험군도 활발한 골개조의 양상을 보였고, 티타늄 플라스마 분사 임플랜트가 선반가공된 임플랜트보다 골과 금속간의 접촉이 넓었다. 표면거칠기 분석에서는 티타늄 플라스마 분사 임플랜트가 선반가공된 임플랜트보다 약 2배 더 거칠었고, 임플랜트 안정성 실험에서는 대조군이 실험군에 비해 비교적 낮은 수치를 가져 안정성을 보였다. 유한요서법적 분석에서 수직 정하중을 가한 경우 두가지 형태의 임플랜트 모두에서 골밀도의 변화에 상관없이 피질골과 임플랜트 경계부위에서 가장 큰 응력값을 나타내었고, 나사형 임플랜트의 경우 골밀도 변화에 따른 응력밧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경사하중을 가한 경우는 원주형 임플랜트에서의 응력값이 나사형 임플랜트에 비해 약 3배정도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측방력에 대한 저항구조를 가지지 못한데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수직 정하중 및 경사하중을 가한 경우 충분한 골밀도를 가진 경우에 있어 나사형 임플랜트가 보다 우수한 응력분포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state of host bone on the success of implants and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pattern of stress distribution in various bone densi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implant. Ovariectomy was conducted on the rabbits after implantation of machined screw type implants and TPS implants. The rabbits were sacrificed after 3 and 6 months for histomorphometric analysis, surface roughness analysis, implant stability test and finite element analysis.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Histomorphometric analysi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inner cortical bone and more poros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active bone remodelling could be seen and the quality of the newly formed bone was no different than normal bone. Thus, it its thought that bone-implant interface created after implantation was not highly affected and TPS implant had slightly higher percent of bone to metal contact than the machined implant. As a result of mirror image analysis of the machined screw type implant, the control group and outer thread showed higher percent than the experimental group and inner thread. 2. Surface roughness analysis The roughness of the TPS implant was about twice that of the machined implant. 3. Implant stability test As a result of Periotest evaluation. after 3 months the stability of the control group was better tha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6 month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also difference between each impact direction(45°). As a result of resonance frequency value of the control group sligh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en comparing the 3 month group and 6 month group. This is thought to be because of the increase in osseintegration after 6 months compared to 3 months. 4. Finite element analysis When applying axial load, the difference in stress value according to bone density was larger only in the screw type implant. When applying axial load, the stress value of the cylinder type implant was 3 times higher than the screw type implant. The most superior stress distribution was shown in cases of sufficient bone density and screw type implants. This is thought be due to the difference in implant type. From the result above, osteoporosis revoked by ovariectomy did not have large effects on the success of implants. in consideration of the biomechanical aspect, the screw type showed higher stability. Thus, it is thought that the design of the implant is more important than the state of osteoporosis in selection of impl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