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비이진 LDPC 부호를 위한 저복잡도 심볼 반전 복호 알고리즘

        박성현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Low-density parity-check (LDPC) codes have been shown to have near Shannon-limit performance when a probabilistic decoding is used and the code length goes to infinity. On the other hand, non-binary low-density parity-check (NB-LDPC) codes outperform binary LDPC codes for short code lengths. However, the coding gain of NB-LDPC codes comes from the expense of computational complexity. In this thesis, we consider the problem of a trade-off between reasonable complexity and good error-rate performance of decoding nonbinary LDPC codes over GF($q$). We first introduce the existing decoding algorithms of nonbinary LDPC codes and compare with decoding algorithms of binary LDPC codes. Second, low-complexity decoding algorithms of nonbinary LDPC codes is considered and two low-complexity symbol-flipping algorithms based on D-SFDP is proposed. These algorithms outperform the existing D-SFDP algorithm by improving the flipping metric. Proposed algorithms provide good trade-off between complexity and error performance.

      • 군 사법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관할관·심판관제도를 중심으로

        박성현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47

        Doctoral Dissertation A Study on Reformation Plan of Military Judicial System - Focused on Convening Authority and Line-Officer Judge System - Park, Sung-hyun Department of Law Graduate School Kyungsung University Advisor : Shim, Jae-Moo Abstract Military law system may find its constitutional ground in Clause 110 of 'the Constitution'. In other words, according to Clause 110 of the Constitution, military court could be established as a special court in order to control military trial (Item 1). Current military court act that defines this military law system generally covers all the contents of 1) organization and composition of military court, 2) relation between organization of military prosecutors' office and military investigation agency (prosecutors' office and judicial police officer), 3) procedure of investigation and trial. However, as military court act based on the Constitution constitutes a basis of military law system being applied to soldiers and government service, it must be pointed out that military law system being revised by matching it with periodic situation is required to be improved in many aspects even under the current times. In particular, organization and composition of military court has a problem that is hard to be matched with independence of judicial power and a right to receive trial of judge stipulated by the Constitution. As its result, under the current military law system, excessive power is concentrated on convening authority. In other words, it was analyzed that as convening authority is vested with appointment right of military judge and line-officer judge and designation right of judge (Clause 38, 39, 40 & 41 of military court act) as well as the right of appointment, command and supervision of military prosecutors' office, such excessive power led to harmful judicial consequences. Furthermore, convening authority and line-officer judge system have exerted its significant influence on military law system in reality for more than half century and it could be realized that as mentioned in this thesis, dysfunction of convening authority system has been more prominently represented than its proper function. Therefore, target to be improved as a major problem in military law system is convening authority and line-officer judge system. In conclusion, convening authority and line-officer judge system in peacetime should be repealed. In other words, convening authority's confirming procedure is a system that does not comply with a separation principle of legal, administrative and judicial powers in terms of the fact that discretionary mitigation right is exercised, result of trial decision could be changed through confirming procedure after decision of a judge, frequency of confirming procedure has no limit and furthermore, there is no standard of such mitigation as well and if convening authority system in which administrative power exercises a legal power is allowed to subsist even in peacetime while confirming procedure of convening authority is sometimes prevailing over Presidential amnesty (pardoning power), historical repetition will persist inevitably. When observing line-officer judge system in detail, first, Clause 24 of military court act infringes on "the right of receiving trial based on relevant law by a judge" as stipulated in Clause 27 of the Constitution. Therefore, line-officer judge system in peacetime should be also repealed as a matter of fact without any need of its modification. Second, convening authority appoints line-officer judge who is an ordinary officer as a judge (Item 1, Clause 24 of the same law) and defines such judge as "a person who is legally cultured and furnished with sufficient personality and academic knowledge as a judge" (Item 1, No. 1 & 2 of Clause 24). In other words, as line-officer judge is nothing but an ordinary officer involved in trial by the selection of convening authority, such practice is in violation of the right to receive trial by a judge based on Clause 27 of the Constitution. Third, as line-officer judge is a judge appointed by convening authority, such judge is compelled to rely on the trial result depending on propensity of the commander and therefore, it is hard to expect democratic justification of trial. Fourth, even though line-officer judge has a same power as that of military judge, a ground of military court act alleging that "such judge is legally cultured officer" is contradictory to democratic spirit of military law system. As an improvement for these problems, it was concluded that introduction of military jury trial system being participated by soldiers or government service is required. The reason of this conclusion is that jury trial system is in a state of democratic justification being secured and furthermore, contrary to disadvantages (demerits) of civil court such as excessive cost and high frequency of revocation, exclusion, this system is organized by diversified classes such as soldiers, noncom officers, officers and government services and as all the soldiers are living together all the time and military legal force for desertion from military service is enforced since domestic military service law is based on conscription system, it is considered that this system would be significantly contributory in complying with an idea of receiving rapid trial as it provides a military advantage having various efficiencies in terms of hassle in appointing jury member and additional operation cost for separate management just like general jury members. Therefore, this thesis intends to present an improvement method for establishing and settling down rule of law for the military law system and strengthening safeguard for human rights of soldiers by analyzing current military law system based on its current reformation movement. In other words, as any one of the parts including human rights aspect and its procedural aspect together with role of military judicial officer, military prosecutors' office, military judicial police, command authority, line-officer judge and jury trial system as well as military investigation right is unable to be overlooked through reformation of military law system in order to establish a military law system that may receive confidence from the people as well as military circles by securing its democratic justification, a justification that convening authority and line-officer judge system are urgently required to be improved and reformed has been discussed in this study. <Keywords: Military law system, military court act, convening authority, line-officer judge, commanding officer, military criminal law, military judicial officer, military judicial police officer, Government service, Soldier> 법학박사 학위논문 군 사법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관할관·심판관제도를 중심으로- 박성현 경성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지도교수 심재무 국문초록요약 군 사법제도에 관한 헌법적 근거로는 「헌법」 제110조를 들 수 있다. 즉 헌법 제110조는 군사재판을 관할하기 위하여 특별법원으로서 군사법원을 둘 수 있기 때문이다(제1항). 이러한 군 사법제도를 정하고 있는 법은 군사법원법고, 현행 군사법원법은 1) 군사법원의 조직과 구성, 2) 군 검찰 조직 및 군수사기관(검찰과 사법경찰관리) 사이의 관계, 3) 수사와 공판의 절차에 관한 내용을 모두 포괄하고 있다. 그러나 헌법에 근거한 군사법원법은 군인⋅군무원에게 적용되는 군사법제도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바, 시대상황에 맞추어 수정되어온 군 사법제도는 오늘날에 도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 적지 않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군사법원의 조직과 구성에 있어서 헌법이 규정하고 있는 사법권의 독립 및 법관의 재판을 받을 권리와 조화되기 어려운 문제를 안고 있다. 그 결과 현행 군 사법제도는 관할관에게 과도한 권한이 집중되어 있다. 즉, 군 검찰의 임명⋅지휘⋅감독권은 물론 군판사 및 심판관의 임명권과 재판관의 지정권(군사법원법 제38조, 제39조, 제40조, 제41조)을 가짐으로서 사법의 폐해를 가져오는 결과로 분석된다. 나아가 관할관·심판관제도에 대해서는 반세기가 넘도록 군 사법제도에 있어서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실정이며 이 논문의 열거와 같이 관할관제도의 순 기능보다 역기능이 많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군 사법제도의 문제의 중심이자 개선의 대상은 관할관·심판관제도이다. 결론적으로 평시 관할관·심판관제도는 폐지되어야한다. 즉, 관할관의 확인조치권은 삼권분립의 기초에 부합하지 않는 제도로서 감경권을 행사한다는 점, 재판관의 판결 이후 확인조치권을 통해 판결결과를 변경을 할 수 있는 점, 확인조치권 횟수에도 제한이 없다는 점, 나아가 감경의 기준 또한 없기 때문이고, 관할관의 확인조치권은 대통령의 사면권보다 더 우월한 측면을 가지고 있으면서 행정권이 사법권을 행사한다는 평시에도 관할관제도를 존속하게 된다면 역사의 반복은 계속 될 것이다. 심판관제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군사법원법 제24조는 헌법 제27조의 “법관에 의하여 법률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침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평시 심판관제도 또한 수정할 필요 없이 당연 폐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관할관은 일반장교인 심판관을 재판관으로 임명하여(같은 법 제24조 제1항), “법에 관한 소양이 있는 사람, 재판관으로서의 인격과 학식이 충분한 사람(제24조 제1항 1호, 2호).”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심판관은 관할관의 선택에 의하여 재판에 참여하는 일반장교에 불과 하기 때문에 헌법 제27조에 의한 법관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에 위배되기 때문이다. 셋째, 관할관의 지명에 따른 재판관인 만큼 지휘관의 성향에 따라 재판의 결과를 좌우 할 수밖에 없으므로 재판의 민주성의 기대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점이다. 넷째, 심판관은 군판사와 같은 권한을 가지고 있지만 “법에 소양이 있는 장교”라는 군사법원법의 근거는 군사법제도의 민주성에 반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한 개선방안으로는 관할관·심판관제도가 폐지되는 대신 군인 또는 군무원이 참여 하는 군 자체 배심제도 도입이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이러한 이유는 배심제도는 민주적 정당성이 확보된 상태이며 나아가 민간법원의 비용 과다의 측면과, 높은 철회·배제 등의 단점과 달리 병⋅부사관⋅장교⋅군무원등 다양한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우리나라의 병역법은 징집제도이므로 병사와 함께 늘 생활하며, 군무이탈의 군사상 강제력이 따르고 있으므로 일반 배심원처럼 배심원 선정을 위한 번거로 움이나 별도의 관리를 위한 추가 운영비용 등 여러 면에서 효율성이 있는 군사상 장점이 있고, 신속한 재판을 받을 이념에 부합할 수 있는데 기여도가 클 것으로 생각 된다. 따라서 이 논문은 최근 군 사법제도 개혁 움직임을 토대로 현행 군 사법제도의 문제점들을 연구·분석하며, 이를 통해 군 사법제도의 법치주의 확립과 정착, 그리고 병(兵)의 인권보장을 강화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군 사법의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함으로써 군은 물론 일반 국민들로부터도 신뢰를 받을 수 있는 군사법제도를 이루기 위해 군 수사권은 물론이고, 군사법제도의 개선을 통해 군 법무관역할, 군 검찰, 군 사법경찰, 지휘권, 관할관, 심판관, 배심제도 등과 함께 인권적 측면과 절차적 측면 등 어는 한 부분도 도외시할 수 없으므로 관할관·심판관제도가 가장 시급히 개선되어야할 당위성을 논거 한다. <키워드: 군 사법제도, 군사법제도, 군사법원법, 관할관, 심판관, 지휘관, 군 형법, 군형법, 군 법무관, 군법무관, 군 사법경찰관리, 군사법경찰관리. 군인, 군무원>

      • 중·고·대학교 무용전공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자기결정성동기와 무용정서표현성에 미치는 영향

        박성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 ·고 ·대학교 무용전공학생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동기 및 무용정서표현성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실제 무용교육현장에 실증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무용전공학생들의 수행력에 필수적인 동기를 강화하여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효과적인 방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 ·고 ·대학교 무용전공학생 120명으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고 467명을 대상으로 신체적 자기효능감 검사지, 자기결정성동기 검사지, 무용정서표현성 검사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전공학생들의 성별, 학급, 전공 경력에 따라 신체적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동기, 무용정서표현성은 부분적으로 각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학생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은 자기결정성동기의 하위요인인 확인조절과 내적조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적조절, 부과된 조절, 무동기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학생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유능감과 매력감은 무용정서표현성의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전공학생들의 자기결정성동기 하위요인인 확인조절과 내적조절은 무용정서표현성의 하위요인의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결정성동기의 하위요인인 외적조절은 무용정서표현성의 하위요인인 개성과 연기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ddle, high school, and college dancers’ physical self-efficacy on their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dance emotional expressiveness. This study would positively affect empirical information to dance education fields and to suggest efficient methods to increase power of expression by reinforcing motivation that is essential part for performance of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is study selected 120 students majoring in dance in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so as to secur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tool. It selected 467 people and collected data from them by utilizing self-efficacy questionnair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questionnaire, and dance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This study conducte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the frequency analysis, the Independent t-test, the one-way Anova,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21.0. The results as are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partial difference occurred in physical self-efficacy,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dance emotional expressiveness, depending on gender, class, and career experience of students. Second, subcategories of physical self-efficacy of students majoring in dance had positive effects on identified regulation and intrinsic regulation, which are subcategories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External regulation, introjected regulation, and motivation had negative effects. Third, competence and attractiveness, which are subcategories of physical self-efficacy of students majoring in dance, had positive effects on every subcategory of dance emotional expressiveness. Fourth, identified regulation and intrinsic regulation, which are subcategories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subcategories of dance emotional expressiveness. External regulation, which is subcategory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had negative effects on individuality and dance performance, which are subcategories of dance emotional expressiveness. In conclusion, the higher the physical self-efficacy, the more internalized the motive of the action, and the internalized motive ultimatel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ance emotional expression. Belief in one's physical ability and success is expected to form positive minds for students to continue their dance and expressiveness.

      •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한 융합형 앱솔루트 엔코더 알고리즘

        박성현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광학식 엔코더와 마그네틱 엔코더를 융합하여 정밀도가 매우 높은 소형의 앱솔루트 엔코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광학식 엔코더는 슬리트에 위치정보가 기록되어 있어 매우 높은 정밀도를 실현 할 수 있지만 소형화를 실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반면 마그네틱 엔코더는 자기장을 마그네틱 센서에서 읽어와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때문에 소형화는 가능하지만 높은 정밀도를 실현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마그네틱 엔코더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선형 테이블 보상기법을 적용하여 광학식 엔코더와 같은 정밀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결국, 초기 절대위치 정보는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하고 이때 발생하는 오차는 선형테이블 보상기법을 이용하여 오차를 보상 한다. 이 후 광학식 엔코더에서 고속회전, 고분해능, 고정도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절대 위치를 구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In this paper, the fusion of optical encoders and magnetic encoders offer very high precision absolute encoder algorithms with small size. Optical encoder can realize a very high accuracy using location information recorded in the slit. But it is hard to make it small. On the other hand, magnetic encoder can be miniaturized because it uses magnetic sensor which reading location information but it doesn’t realize high accuracy This magnetic Encoder can take high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on compensating errors generated by magnetic Encoder with applying linear table Compensation Scheme as optical encoders can do. As a result, the initial absolute position information is obtained by using magnetic sensor and then error generated by magnetic sensor can be compensated by applying a Linear table Compensation Scheme Consequently, this paper proposes the algorithm which obtains location information calculated on high-speed rotation, high resolution and accuracy obtained by the optical encoder

      • 노인의 일상생활 패턴에 따른 인지변화 체크 어플리케이션 디자인 설계

        박성현 대구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활동의 변화를 통하여 재가 노인들의 인지변화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인지기능의 저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인지 수준의 변화를 조기에 발견하고, 인지 기능의 저하 예방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혼자서도 손쉽게 자신의 일상생활 패턴을 통하여 인지변화를 체크하고 이를 주기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인지 기능의 저하를 조기에 발견하여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어플리케이션 디자인 설계에 앞서 치매 고위험군인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의 정의와 특징, 인지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의 연관성, 정보제공자 기반 인지평가, 노인의 시지각적 특성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을 제공하였다. 또한, 관련 선행 연구들을 통하여 사례조사에 관한 조사 기준을 설정하였다. 일상생활 활동 평가 관련 어플리케이션 사례조사는 평가기능,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의 3가지 측면으로 분류하여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검사 방법에 대한 설명과 검사 결과에 대한 해설 및 피드백 부족, 노인이 사용하기에 부적절한 크기의 텍스트와 이해하기 어려운 화면 인터페이스 구조, 설명을 돕기 위해 사용되는 아이콘과 이미지의 부재 등과 같은 단점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인을 포함하여 누구나 검사를 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플로우차트(Flowchart)를 구성하였으며 화면마다 적절한 설명과 이미지를 추가하고, 직관성 있는 아이콘과 화면 간의 이동이 용이한 메뉴바 삽입 등과 같은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여 이를 토대로 노인들이 혼자 스스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설계 및 제안하였다. 프로토타입 제작에 앞서 어플리케이션의 컨셉과 기능을 평가기능, UI, GUI 측면에 따라 ‘매일매일 체크’, ‘누구나 손쉽게’, ‘누가 보기에도 편한’으로 분류하여 정보구조와 와이어프레임을 설계하였으며 앞서 도출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하여 UI, GUI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프로토타이핑 툴인 ‘Adobe XD’를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을 제작한 뒤 제이콥 닐슨의 10가지 휴리스틱(Jakob Nielsen‘s Heuristics)를 바탕으로 작성한 휴리스틱 평가 체크리스트를 통하여 관련 전문가 3명과 어플리케이션 사용 대상자 4명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사용성 평가를 통하여 전반적으로 노인이 스스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없고 노인의 시지각적인 특성을 고려한 노인 맞춤형으로 아이콘과 이미지를 심미적으로 아름답게 제작하여 완성도 높은 어플리케이션 디자인이라는 긍정적인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혼자서도 손쉽게 자신의 일상생활 패턴을 통하여 인지변화를 체크하고 이를 주기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인지 저하를 조기에 발견하여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aims to detect changes in cognitive level early on, and design interface designs for mobile applications to prevent decline of cognitive skills, using checklists that can continuously assess cognitive changes in elders through changes in daily activities. It is expected that the cognitive changes can be easily checked and regularly used through their daily patterns without restriction of time and space, so that early detection of deterioration in cognitive functions can help prevent mild cognitive impairment(MCI) and dementia. Prior to designing the application design,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a high-risk group of dementia,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daily living activities, informant based cognitive assessment, and theoretical background on the visual perception of the elderly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 criteria for case study were established. In addition, related researches have established the criteria for case investigation. Application case study related to daily life activity evaluat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aspects: evaluation function, user interface (UI),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We also found drawbacks such as text that is inappropriate for the elderly to use, interface screen that i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the absence of icons and images used to help understanding. Based on these results, a flow chart has been constructed to make it easy for anyone, including the elderly, to add appropriate descriptions and images to each screen, and to design guides such as intuitive menus and easy-to-move menu bars. Based on this design guideline, we designed and proposed an application interface design that the elderly could use by themselves without being constrained by time and space. Prior to prototyping, we designed the information structure and wireframe by classifying application concepts and functions into 'check every day', 'easy for anyone', and 'easy to see' according to evaluation function, UI, and GUI. Based on the design guidelines, UI and GUI design was conducted. After prototyping tool 'Adobe XD', the application was prototyped. Heuristic evaluation checklist based on Jacob Nielsen's 10 heuristics was used to target 3 experts and 4 users. The usabi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usability evaluation, the elderly could use easily it by themselves. In addition, the icons and images designed aesthetically beautiful the elderly considering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cognitive changes can be easily checked by using their own daily life patterns and used periodically to help prevent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 운동유형별 뇌졸중 환자의 활동체력, 보행변수 및 하지근육 활성도 비교 분석

        박성현 창원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운동유형별 운동 전·후 뇌졸중 환자의 활동체력, 보행변수 및 하지근육 활성도를 비교하여 근력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뇌졸중 환자 총 21명을 대상으로 운동치료군 7명, 탄성밴드군 7명, 신장반사군 7명의 세 집단을 구성하여 8주 동안 주 5회의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자료 검증을 위해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첫째, 활동체력의 변화는 244cm 왕복 걷기에서 신장반사군이 운동 전보다 운동 후에 향상되었다. 둘째, 보행변수의 변화는 보행속도와 활보장에서 운동 후에 신장반사군이 운동치료군과 탄성밴드군보다 향상되었다. 셋째, 하지근육 활성도의 변화는 1차 단하지 지지기에서 장요근과 대퇴이두근의 %MVIC는 운동 후에 신장반사군이 운동치료군과 탄성밴드군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고, 반면 전경골근의 %MVIC는 탄성밴드군과 신장반사군이 운동치료군보다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2차 양하지 지지기에서 장요근과 대퇴직근의 %MVIC는 운동 후에 신장반사군이 운동치료군과 탄성밴드군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고, 반면 내측 비복근의 %MVIC는 운동 후에 탄성밴드군과 신장반사군이 운동치료군보다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2차 단하지 지지기에서 대퇴이두근의 %MVIC는 신장반사군이 운동치료군과 탄성밴드군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신장반사 운동은 운동치료와 탄성밴드를 이용한 근력강화 운동보다 활동체력에서 동적 평형성과 민첩성, 보행변수에서 보행속도와 활보장, 하지근육 활성도에서 장요근, 대퇴직근 및 대퇴이두근의 %MVIC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s of exercise types on physical fitness, gait parameter, and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in stroke patients. For the purpo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e first group was 7 therapeutic exercise group, the second group was 7 elastic band group, and the last group was 7 stretch reflex group. The three exercise programs were 5 times a week for 8 week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t first, the stretch reflex group improved 244cm up and go after the exercise program in physical fitness. At second, the stretch reflex group revealed higher in gait velocity and stride length than the therapeutic exercise group and elastic band group after the exercise program in gait parameter. At third, on the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the stretch reflex group revealed higher in iliopsoas and biceps femoris %MVIC than the therapeutic exercise group and elastic band group, whereas elastic band group and stretch reflex group revealed lower in tibialis anterior %MVIC than the therapeutic exercise group after the exercise program in the primary single-limb support. The stretch reflex group reveaked higher in iliopsoas and rectus femoris %MVIC than the therapeutic exercise group and elastic band group, whereas elastic band group and stretch reflex group revealed lower in medial gastrocnemius %MVIC than the therapeutic exercise group after the exercise program in the secondary double support phase. The stretch reflex group revealed higher results in biceps femoris %MVIC than the therapeutic exercise group and elastic band group in the secondary single support phase. In conclusion, stretch reflex exercise revealed 244cm up and go in physical fitness, to gait velocity and stride length in gait parameter, and to activation of iliopsoas, rectus femoris, and bicpes femoris in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than therapeutic exercise group and elastic band group were positive effects.

      • 지속적 학습 환경의 신경망 모델에서 발생하는 치명적 망각 현상의 완화

        박성현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속적 학습 환경을 위한 학습 방법 중 Learning without Forgetting은 치명적 망각 현상을 막기 위한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진 데이터들이 들어오는 환경에서는 과거 학습 데이터의 정확도 하락 현상이 크게 발생한다. 이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새로운 데이터들을 위한 매개변수 공간을 축소시키는 가중치 고정 방법 대신 네트워크의 마지막 출력층의 분포를 유지하여 가중치를 우회적으로 조절하는 Learning without Forgetting을 기반으로 추가적인 중간 계층의 출력을 유지하는 지식 전이(Knowledge Transfer) 기반 방법을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과거 지식을 보존 능력을 강화하였다. 추가적으로 학습하려는 데이터의 특징을 파악하여 과거 지식의 망각 위험이 큰 데이터인 경우 과거 지식 보존 가중치를 높게 설정하여 과거 지식을 보존하고 망각 위험이 적은 데이터인 경우 가중치를 낮게 설정하여 현재 학습할 데이터의 지식 습득에 가중을 두는 방법인 가변 람다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학습 성능을 향상시키고 망각 현상을 최소화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의 제안 방법을 적용한 결과 과거 학습 데이터의 정확도가 기존 방법 대비 최대 29% 상승하였고 기존의 지식 전이 적용 방법대비 새로운 데이터의 정확도가 4% 향상하여 본 논문의 방법이 효율적으로 과거 지식을 유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치명적 망각 현상이 발생하기 쉬운 다양한 특징을 가진 데이터들이 들어올 수 있는 지속적 학습 환경에서 과거 지식 유지 성능을 강화하는 지식 전이 기반의 방법과 학습 환경을 고려한 가변 람다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본 논문의 제안 방법은 지속적 학습 환경에서 신경망의 효율적인 학습 방법이 될 수 있다. Among the learning methods for a continuous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without forgetting is a good way to prevent Catastrophic forgetting. However, in an environment where data with different features come in, the accuracy of past learning data decreases significantly. To alleviate this phenomenon, we effectively strengthened our ability to preserve past knowledge by applying a Knowledge Transfer-based method that maintains additional intermediate layer outputs based on Learning Without Forgetting, which indirectly adjusts weights. In the case of data with a high risk of forgetting past knowledge, it preserves past knowledge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to be learned and applies variable lambda, a method of weighting knowledge acquisition.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of this paper, the accuracy of the past learning data is increased by up to 29%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and the accuracy of new data is improved by 4%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of applying knowledge transfer. By applying a knowledge transfer-based method that enhances past knowledge retention performance and a variable lambda method that considers the learning environment in a continuous learning environment, the proposed method of this paper can be an efficient learning method of neural networks.

      • 충북 영동군 포도농산업 클러스터의 형성과정과 네트워크 특성

        박성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농업은 대내외적으로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FTA체결로 인해 가격경쟁력이 약화되고 대내적으로는 농촌인구 감소와 급속한 노령화추세로 농업생산성과 혁신성이 저하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시장경쟁력이 있는 농업이 되기 위한 위해서는 ‘농업의 산업화’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지역내 산․ 학․ 연․ 관의 유기적인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1, 2, 3차 산업의 융합이 비교적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지역으로 충북 영동군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동군 포도농산업 클러스터를 대상으로 그 형성과정을 고찰하고 혁신주체와 네트워크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자료 및 통계자료를 분석하고 현지조사와 포도가공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혁신주체들과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도재배의 입지조건과 생산추이를 살펴보면 기온, 강수량, 토지, 지형을 고려하여 포도재배지역을 선정하며 우리나라의 포도재배면적과 생산량은 1970년이후부터 2000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다가 수입의 증가에 따른 생산성이 낮은 과원의 폐원, 한․칠레 FTA에 따른 폐원지원사업, 노동력의 고령화등으로 2000년이후부터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으나 농가수의 감소로 인해서 호당 경지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둘째, 영동군은 2007년 재배면적기준으로 전국 제 1위의 포도 주산지이다. 영동군이 전국적인 주산지로 성장한 것은 우선 포도농업에 유리한 자연적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며 또한 자연적 조건 외에 남한의 중앙에 위치하고 경부선과 경부고속도로가 통과하는 지리적 위치, 농민들의 끊임없는 기술연구와 기술혁신, 영동군청을 위주로 한 관청의 재정이나 시설분야의 적극적인 지원등으로 고품질의 포도를 생산함에 따라 대외적으로 경쟁력을 갖게 되었기 때문이다. 영동군의 포도농사는 1920년대 일본인 가구타니가 약 300평 규모로 포도재배를 하는 것으로 시작되어서 1980년대에는 영동군 포도농업은 면적, 생산량등에서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다가 1990년대에는 절정기를 맞이하게 되었으며 2000년대 들어서는 산․ 학․ 연․ 관이 결합하여 포도생산위주에서 벗어나 가공, 관광과 연계해서 포도농산업이 발달하고 있다. 셋째, 영동군은 전국 최대의 포도주산지이지만 포도생산량의 대부분을 생과로 출하하면서 포도농업의 부가가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러나 영동포도클러스터 사업실시, 농가형 와이너리 육성등을 통해서 포도가공농가와 가공업체가 성장함에 따라 포도가공산업이 성장하고 있으며 포도축제, 와인축제, 와인트레인등 포도와 와인을 테마로 관광상품화하여 포도생산, 가공산업, 관광산업을 연계하여 포도농산업이 발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영동군의 포도농산업의 혁신주체를 생산, 가공, 관광으로 나누어서 역할과 그들 간의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영동군청은 포도생산, 가공, 관광분야에서 생산, 관광, 가공주체들과 강한 연계를 형성하고 있고 영동대학교는 가공부분에서는 강한 연계를 형성하고 있으나 생산, 관광부분에서는 약한 연계를 형성하고 있다. 농협은 생산과 유통부분에서는 강한 연계를 형성하고 있으나 가공, 관광부분에서는 주요 주체들과 약한 연계를 형성하고 있다. 영동군 농업기술센터는 생산, 가공부분에서는 강한 연계를 형성하고 있으나 관광부분에서는 중간 정도의 연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간의 네트워크를 분석해보면 지역내에서는 영동군청을 중심으로 영동대학교, 영동군농업기술센터, 농협등이 협력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영동군의 포도생산, 가공, 관광분야를 지원하고 있으며 지역외에서는 충청북도 원예유통식품과, 문화예술과, 관광항공과와 농림수산식품부 과수화훼과, 문화체육관광부 관광산업국이 영동군청과 정책적으로 연계되어서 영동군 포도생산, 가공, 관광분야를 지원하고 있으며 충북포도특화사업단, 충북농업기술원 포도연구소, 농촌진흥청은 영동군 농업기술센터와 연계되어 포도생산, 가공에 있어서 기술지원을 하고 있다. 농산업클러스터에 대한 기존 연구는 산업클러스터이론과 연관시켜 농업클러스터 개념과 구성요소를 설명하거나 농업클러스터나 지역혁신체계의 이론적 틀에서 사례지역을 분석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경향에서 벗어나 미시적․ 심층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영동군 포도농산업 클러스터의 혁신성과 네트워크 특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농산업발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 우주급 위성항법 수신기를 위한 전기지상지원장비 시스템에 관한 연구

        박성현 배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위성항법을 활용한 위치정보 제공은 현대에는 필수적인 기반기술로서 우주, 항공, 해양, 육상, 개인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핵심기술이다. 여기에 각 국가별로 위성항법시스템을 경쟁적으로 구축함으로서 사용자는 위치결정을 이용하여 다양한 산업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다. 그 동안 국내 개발 위성의 위성항법수신기는 대부분 해외 우주급 상용화 제품을 도입하여 사용되어왔다. 우주개발은 많은 국민의 기대와 자체 핵심기술 개발에 따라 우주산업을 국가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고 시스템의 국산화를 진행하고 있다. 우주산업에 주요 기술인 인공위성 시스템 설계, 발사체개발 및 위성체 조립, 발사장 운영 등 독자적 우주개발 능력을 갖추고 있으나 우주급 핵심 부품 기술들은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새로운 우주사업 구축의 일환으로 국내외 환경변화를 반영하고 기술개발을 통하여 우주강국 진입을 위한 우주핵심기술로 차세대인공위성 탑재를 위한 위성항법수신기 기술이 절실한 실정이다. 위성용 항법 수신기 핵심 기술의 실용화 기술은 지상 수신기 관련 산업 기술파급 효과가 크고 Time-Sync, 고신뢰성 설계/해석 및 우주환경 품질 시험 기술이 확보됨에 따라 선진국과 대등한 국제경쟁력수준으로 평가받고 있어 민간중심의 우주부품 개발로 우주강국 실현을 위한 새로운 시장 창출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차세대 위성탑재를 목표로 개발되는 위성의 요구사항, 검증 절차 및 방법의 기술이 필요하며, 실제 차세대 위성에 탑재될 우주급 수신기의 성능 시험평가를 목표로 연구 하며, 차세대 위성의 기본적인 요구사항인 수신기 개발에 따른 지상시험지원장비(Electrical Ground Support Equipment)를 구축하여 인공위성 발사 전 통합테스트환경을 구축하고 환경시험을 지원할 수 있도록 연구한다. 또한, 수신기의 성능을 평가 할 수 있는 평가 방안을 연구하며, 이에 따른 수신기 성능 평가 기준을 마련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