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이진 LDPC 부호를 위한 저복잡도 심볼 반전 복호 알고리즘

        박성현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Low-density parity-check (LDPC) codes have been shown to have near Shannon-limit performance when a probabilistic decoding is used and the code length goes to infinity. On the other hand, non-binary low-density parity-check (NB-LDPC) codes outperform binary LDPC codes for short code lengths. However, the coding gain of NB-LDPC codes comes from the expense of computational complexity. In this thesis, we consider the problem of a trade-off between reasonable complexity and good error-rate performance of decoding nonbinary LDPC codes over GF($q$). We first introduce the existing decoding algorithms of nonbinary LDPC codes and compare with decoding algorithms of binary LDPC codes. Second, low-complexity decoding algorithms of nonbinary LDPC codes is considered and two low-complexity symbol-flipping algorithms based on D-SFDP is proposed. These algorithms outperform the existing D-SFDP algorithm by improving the flipping metric. Proposed algorithms provide good trade-off between complexity and error performance.

      • 군 사법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관할관·심판관제도를 중심으로

        박성현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47

        Doctoral Dissertation A Study on Reformation Plan of Military Judicial System - Focused on Convening Authority and Line-Officer Judge System - Park, Sung-hyun Department of Law Graduate School Kyungsung University Advisor : Shim, Jae-Moo Abstract Military law system may find its constitutional ground in Clause 110 of 'the Constitution'. In other words, according to Clause 110 of the Constitution, military court could be established as a special court in order to control military trial (Item 1). Current military court act that defines this military law system generally covers all the contents of 1) organization and composition of military court, 2) relation between organization of military prosecutors' office and military investigation agency (prosecutors' office and judicial police officer), 3) procedure of investigation and trial. However, as military court act based on the Constitution constitutes a basis of military law system being applied to soldiers and government service, it must be pointed out that military law system being revised by matching it with periodic situation is required to be improved in many aspects even under the current times. In particular, organization and composition of military court has a problem that is hard to be matched with independence of judicial power and a right to receive trial of judge stipulated by the Constitution. As its result, under the current military law system, excessive power is concentrated on convening authority. In other words, it was analyzed that as convening authority is vested with appointment right of military judge and line-officer judge and designation right of judge (Clause 38, 39, 40 & 41 of military court act) as well as the right of appointment, command and supervision of military prosecutors' office, such excessive power led to harmful judicial consequences. Furthermore, convening authority and line-officer judge system have exerted its significant influence on military law system in reality for more than half century and it could be realized that as mentioned in this thesis, dysfunction of convening authority system has been more prominently represented than its proper function. Therefore, target to be improved as a major problem in military law system is convening authority and line-officer judge system. In conclusion, convening authority and line-officer judge system in peacetime should be repealed. In other words, convening authority's confirming procedure is a system that does not comply with a separation principle of legal, administrative and judicial powers in terms of the fact that discretionary mitigation right is exercised, result of trial decision could be changed through confirming procedure after decision of a judge, frequency of confirming procedure has no limit and furthermore, there is no standard of such mitigation as well and if convening authority system in which administrative power exercises a legal power is allowed to subsist even in peacetime while confirming procedure of convening authority is sometimes prevailing over Presidential amnesty (pardoning power), historical repetition will persist inevitably. When observing line-officer judge system in detail, first, Clause 24 of military court act infringes on "the right of receiving trial based on relevant law by a judge" as stipulated in Clause 27 of the Constitution. Therefore, line-officer judge system in peacetime should be also repealed as a matter of fact without any need of its modification. Second, convening authority appoints line-officer judge who is an ordinary officer as a judge (Item 1, Clause 24 of the same law) and defines such judge as "a person who is legally cultured and furnished with sufficient personality and academic knowledge as a judge" (Item 1, No. 1 & 2 of Clause 24). In other words, as line-officer judge is nothing but an ordinary officer involved in trial by the selection of convening authority, such practice is in violation of the right to receive trial by a judge based on Clause 27 of the Constitution. Third, as line-officer judge is a judge appointed by convening authority, such judge is compelled to rely on the trial result depending on propensity of the commander and therefore, it is hard to expect democratic justification of trial. Fourth, even though line-officer judge has a same power as that of military judge, a ground of military court act alleging that "such judge is legally cultured officer" is contradictory to democratic spirit of military law system. As an improvement for these problems, it was concluded that introduction of military jury trial system being participated by soldiers or government service is required. The reason of this conclusion is that jury trial system is in a state of democratic justification being secured and furthermore, contrary to disadvantages (demerits) of civil court such as excessive cost and high frequency of revocation, exclusion, this system is organized by diversified classes such as soldiers, noncom officers, officers and government services and as all the soldiers are living together all the time and military legal force for desertion from military service is enforced since domestic military service law is based on conscription system, it is considered that this system would be significantly contributory in complying with an idea of receiving rapid trial as it provides a military advantage having various efficiencies in terms of hassle in appointing jury member and additional operation cost for separate management just like general jury members. Therefore, this thesis intends to present an improvement method for establishing and settling down rule of law for the military law system and strengthening safeguard for human rights of soldiers by analyzing current military law system based on its current reformation movement. In other words, as any one of the parts including human rights aspect and its procedural aspect together with role of military judicial officer, military prosecutors' office, military judicial police, command authority, line-officer judge and jury trial system as well as military investigation right is unable to be overlooked through reformation of military law system in order to establish a military law system that may receive confidence from the people as well as military circles by securing its democratic justification, a justification that convening authority and line-officer judge system are urgently required to be improved and reformed has been discussed in this study. <Keywords: Military law system, military court act, convening authority, line-officer judge, commanding officer, military criminal law, military judicial officer, military judicial police officer, Government service, Soldier> 법학박사 학위논문 군 사법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관할관·심판관제도를 중심으로- 박성현 경성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지도교수 심재무 국문초록요약 군 사법제도에 관한 헌법적 근거로는 「헌법」 제110조를 들 수 있다. 즉 헌법 제110조는 군사재판을 관할하기 위하여 특별법원으로서 군사법원을 둘 수 있기 때문이다(제1항). 이러한 군 사법제도를 정하고 있는 법은 군사법원법고, 현행 군사법원법은 1) 군사법원의 조직과 구성, 2) 군 검찰 조직 및 군수사기관(검찰과 사법경찰관리) 사이의 관계, 3) 수사와 공판의 절차에 관한 내용을 모두 포괄하고 있다. 그러나 헌법에 근거한 군사법원법은 군인⋅군무원에게 적용되는 군사법제도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바, 시대상황에 맞추어 수정되어온 군 사법제도는 오늘날에 도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 적지 않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군사법원의 조직과 구성에 있어서 헌법이 규정하고 있는 사법권의 독립 및 법관의 재판을 받을 권리와 조화되기 어려운 문제를 안고 있다. 그 결과 현행 군 사법제도는 관할관에게 과도한 권한이 집중되어 있다. 즉, 군 검찰의 임명⋅지휘⋅감독권은 물론 군판사 및 심판관의 임명권과 재판관의 지정권(군사법원법 제38조, 제39조, 제40조, 제41조)을 가짐으로서 사법의 폐해를 가져오는 결과로 분석된다. 나아가 관할관·심판관제도에 대해서는 반세기가 넘도록 군 사법제도에 있어서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실정이며 이 논문의 열거와 같이 관할관제도의 순 기능보다 역기능이 많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군 사법제도의 문제의 중심이자 개선의 대상은 관할관·심판관제도이다. 결론적으로 평시 관할관·심판관제도는 폐지되어야한다. 즉, 관할관의 확인조치권은 삼권분립의 기초에 부합하지 않는 제도로서 감경권을 행사한다는 점, 재판관의 판결 이후 확인조치권을 통해 판결결과를 변경을 할 수 있는 점, 확인조치권 횟수에도 제한이 없다는 점, 나아가 감경의 기준 또한 없기 때문이고, 관할관의 확인조치권은 대통령의 사면권보다 더 우월한 측면을 가지고 있으면서 행정권이 사법권을 행사한다는 평시에도 관할관제도를 존속하게 된다면 역사의 반복은 계속 될 것이다. 심판관제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군사법원법 제24조는 헌법 제27조의 “법관에 의하여 법률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침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평시 심판관제도 또한 수정할 필요 없이 당연 폐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관할관은 일반장교인 심판관을 재판관으로 임명하여(같은 법 제24조 제1항), “법에 관한 소양이 있는 사람, 재판관으로서의 인격과 학식이 충분한 사람(제24조 제1항 1호, 2호).”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심판관은 관할관의 선택에 의하여 재판에 참여하는 일반장교에 불과 하기 때문에 헌법 제27조에 의한 법관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에 위배되기 때문이다. 셋째, 관할관의 지명에 따른 재판관인 만큼 지휘관의 성향에 따라 재판의 결과를 좌우 할 수밖에 없으므로 재판의 민주성의 기대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점이다. 넷째, 심판관은 군판사와 같은 권한을 가지고 있지만 “법에 소양이 있는 장교”라는 군사법원법의 근거는 군사법제도의 민주성에 반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한 개선방안으로는 관할관·심판관제도가 폐지되는 대신 군인 또는 군무원이 참여 하는 군 자체 배심제도 도입이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이러한 이유는 배심제도는 민주적 정당성이 확보된 상태이며 나아가 민간법원의 비용 과다의 측면과, 높은 철회·배제 등의 단점과 달리 병⋅부사관⋅장교⋅군무원등 다양한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우리나라의 병역법은 징집제도이므로 병사와 함께 늘 생활하며, 군무이탈의 군사상 강제력이 따르고 있으므로 일반 배심원처럼 배심원 선정을 위한 번거로 움이나 별도의 관리를 위한 추가 운영비용 등 여러 면에서 효율성이 있는 군사상 장점이 있고, 신속한 재판을 받을 이념에 부합할 수 있는데 기여도가 클 것으로 생각 된다. 따라서 이 논문은 최근 군 사법제도 개혁 움직임을 토대로 현행 군 사법제도의 문제점들을 연구·분석하며, 이를 통해 군 사법제도의 법치주의 확립과 정착, 그리고 병(兵)의 인권보장을 강화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군 사법의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함으로써 군은 물론 일반 국민들로부터도 신뢰를 받을 수 있는 군사법제도를 이루기 위해 군 수사권은 물론이고, 군사법제도의 개선을 통해 군 법무관역할, 군 검찰, 군 사법경찰, 지휘권, 관할관, 심판관, 배심제도 등과 함께 인권적 측면과 절차적 측면 등 어는 한 부분도 도외시할 수 없으므로 관할관·심판관제도가 가장 시급히 개선되어야할 당위성을 논거 한다. <키워드: 군 사법제도, 군사법제도, 군사법원법, 관할관, 심판관, 지휘관, 군 형법, 군형법, 군 법무관, 군법무관, 군 사법경찰관리, 군사법경찰관리. 군인, 군무원>

      • 충북 영동군 포도농산업 클러스터의 형성과정과 네트워크 특성

        박성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농업은 대내외적으로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FTA체결로 인해 가격경쟁력이 약화되고 대내적으로는 농촌인구 감소와 급속한 노령화추세로 농업생산성과 혁신성이 저하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시장경쟁력이 있는 농업이 되기 위한 위해서는 ‘농업의 산업화’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지역내 산․ 학․ 연․ 관의 유기적인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1, 2, 3차 산업의 융합이 비교적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지역으로 충북 영동군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동군 포도농산업 클러스터를 대상으로 그 형성과정을 고찰하고 혁신주체와 네트워크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자료 및 통계자료를 분석하고 현지조사와 포도가공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혁신주체들과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도재배의 입지조건과 생산추이를 살펴보면 기온, 강수량, 토지, 지형을 고려하여 포도재배지역을 선정하며 우리나라의 포도재배면적과 생산량은 1970년이후부터 2000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다가 수입의 증가에 따른 생산성이 낮은 과원의 폐원, 한․칠레 FTA에 따른 폐원지원사업, 노동력의 고령화등으로 2000년이후부터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으나 농가수의 감소로 인해서 호당 경지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둘째, 영동군은 2007년 재배면적기준으로 전국 제 1위의 포도 주산지이다. 영동군이 전국적인 주산지로 성장한 것은 우선 포도농업에 유리한 자연적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며 또한 자연적 조건 외에 남한의 중앙에 위치하고 경부선과 경부고속도로가 통과하는 지리적 위치, 농민들의 끊임없는 기술연구와 기술혁신, 영동군청을 위주로 한 관청의 재정이나 시설분야의 적극적인 지원등으로 고품질의 포도를 생산함에 따라 대외적으로 경쟁력을 갖게 되었기 때문이다. 영동군의 포도농사는 1920년대 일본인 가구타니가 약 300평 규모로 포도재배를 하는 것으로 시작되어서 1980년대에는 영동군 포도농업은 면적, 생산량등에서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다가 1990년대에는 절정기를 맞이하게 되었으며 2000년대 들어서는 산․ 학․ 연․ 관이 결합하여 포도생산위주에서 벗어나 가공, 관광과 연계해서 포도농산업이 발달하고 있다. 셋째, 영동군은 전국 최대의 포도주산지이지만 포도생산량의 대부분을 생과로 출하하면서 포도농업의 부가가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러나 영동포도클러스터 사업실시, 농가형 와이너리 육성등을 통해서 포도가공농가와 가공업체가 성장함에 따라 포도가공산업이 성장하고 있으며 포도축제, 와인축제, 와인트레인등 포도와 와인을 테마로 관광상품화하여 포도생산, 가공산업, 관광산업을 연계하여 포도농산업이 발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영동군의 포도농산업의 혁신주체를 생산, 가공, 관광으로 나누어서 역할과 그들 간의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영동군청은 포도생산, 가공, 관광분야에서 생산, 관광, 가공주체들과 강한 연계를 형성하고 있고 영동대학교는 가공부분에서는 강한 연계를 형성하고 있으나 생산, 관광부분에서는 약한 연계를 형성하고 있다. 농협은 생산과 유통부분에서는 강한 연계를 형성하고 있으나 가공, 관광부분에서는 주요 주체들과 약한 연계를 형성하고 있다. 영동군 농업기술센터는 생산, 가공부분에서는 강한 연계를 형성하고 있으나 관광부분에서는 중간 정도의 연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간의 네트워크를 분석해보면 지역내에서는 영동군청을 중심으로 영동대학교, 영동군농업기술센터, 농협등이 협력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영동군의 포도생산, 가공, 관광분야를 지원하고 있으며 지역외에서는 충청북도 원예유통식품과, 문화예술과, 관광항공과와 농림수산식품부 과수화훼과, 문화체육관광부 관광산업국이 영동군청과 정책적으로 연계되어서 영동군 포도생산, 가공, 관광분야를 지원하고 있으며 충북포도특화사업단, 충북농업기술원 포도연구소, 농촌진흥청은 영동군 농업기술센터와 연계되어 포도생산, 가공에 있어서 기술지원을 하고 있다. 농산업클러스터에 대한 기존 연구는 산업클러스터이론과 연관시켜 농업클러스터 개념과 구성요소를 설명하거나 농업클러스터나 지역혁신체계의 이론적 틀에서 사례지역을 분석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경향에서 벗어나 미시적․ 심층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영동군 포도농산업 클러스터의 혁신성과 네트워크 특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농산업발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 우주급 위성항법 수신기를 위한 전기지상지원장비 시스템에 관한 연구

        박성현 배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위성항법을 활용한 위치정보 제공은 현대에는 필수적인 기반기술로서 우주, 항공, 해양, 육상, 개인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핵심기술이다. 여기에 각 국가별로 위성항법시스템을 경쟁적으로 구축함으로서 사용자는 위치결정을 이용하여 다양한 산업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다. 그 동안 국내 개발 위성의 위성항법수신기는 대부분 해외 우주급 상용화 제품을 도입하여 사용되어왔다. 우주개발은 많은 국민의 기대와 자체 핵심기술 개발에 따라 우주산업을 국가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고 시스템의 국산화를 진행하고 있다. 우주산업에 주요 기술인 인공위성 시스템 설계, 발사체개발 및 위성체 조립, 발사장 운영 등 독자적 우주개발 능력을 갖추고 있으나 우주급 핵심 부품 기술들은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새로운 우주사업 구축의 일환으로 국내외 환경변화를 반영하고 기술개발을 통하여 우주강국 진입을 위한 우주핵심기술로 차세대인공위성 탑재를 위한 위성항법수신기 기술이 절실한 실정이다. 위성용 항법 수신기 핵심 기술의 실용화 기술은 지상 수신기 관련 산업 기술파급 효과가 크고 Time-Sync, 고신뢰성 설계/해석 및 우주환경 품질 시험 기술이 확보됨에 따라 선진국과 대등한 국제경쟁력수준으로 평가받고 있어 민간중심의 우주부품 개발로 우주강국 실현을 위한 새로운 시장 창출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차세대 위성탑재를 목표로 개발되는 위성의 요구사항, 검증 절차 및 방법의 기술이 필요하며, 실제 차세대 위성에 탑재될 우주급 수신기의 성능 시험평가를 목표로 연구 하며, 차세대 위성의 기본적인 요구사항인 수신기 개발에 따른 지상시험지원장비(Electrical Ground Support Equipment)를 구축하여 인공위성 발사 전 통합테스트환경을 구축하고 환경시험을 지원할 수 있도록 연구한다. 또한, 수신기의 성능을 평가 할 수 있는 평가 방안을 연구하며, 이에 따른 수신기 성능 평가 기준을 마련한다.

      • 다중이용업소 현장 방염처리물품의 방염 실효성 확보 방안

        박성현 동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건축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실내에서 사용하는 실내장식물도 다양한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많은 변화를 가져 왔고 사용하는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최근의 건축물은 고층화와 지하의 심층화, 실내장식을 위한 무창층화 등으로 인하여 화재 발생시 많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필연적으로 이들 건축물에서 사용하는 실내장식물의 종류 또한 과거와는 달리 다양한 합성수지 제품으로 화재위험성이 대단히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다중이용업소의 화재사례를 통한 실내장식물들의 재료의 특성 및 이들이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하였고, 이를 근거로 화재발생시 연소확대 방지 및 연기의 발생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중이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실내장식물들에 대해 살펴보고 현장 방염처리 물품에 대한 방염처리 방법, 횟수, 재료의 특성 등이 성능검사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합리적인 현장 방염처리 방법을 제시하기로 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실내장식물의 사용에 관한 합리적인 개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다중이용업소가 위치한 층, 영업의 종류, 화재하중 등을 고려하여 실내장식물의 사용을 차별화 할 필요가 있다. 2. 가구류, 쇼파, 의자 등에 대하에 방염성능을 부여할 수 있는 제품생산이 선행되어야 하며, 화재 하중이 높은 영업장 및 지하층에는 이들 제품을 사용하도록 법으로 강화해야할 필요가 있다. 3. 현행법상 방염관련 자격증이 현존하고 있지 않음으로 인하여 타 분야의 자격증 및 관련학과 졸업자를 대상으로 기술인력을 인정하고 있는 실정으로, 조속히 방염관련 기술인을 양성할 수 있는 교육기관 및 방염관련 자격증 신설이 필요하다. 4. 시료절취를 통한 방염성능검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영업개시 전에 소방관의 현장 확인 및 임의적인 시료절취를 통한 샘플링검사가 필요하다. 5. 법의 규제를 받지 아니하는 지하 66㎡ 이하의 영업장에 대한 다중이용업소의 적용이 필요하며 화재 시 인명피해 위험성이 비교적 적은 지상층에 위치한 다중이용업소는 면적기준을 좀 더 완화할 필요가 있다. 6. 국내 방염성능기준은 연소성을 기준으로 하여 탄화면적·길이, 잔염·잔신시간 등을 근거로 방염성능을 부여하던 기준을 외국의 선진국처럼 방출 발열량, 화염의 전파속도, 발열량, 연기의 유해성 등을 종합적으로 적용하여 방염성능을 부여하여야 할 것이다.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architectural techniques, interior establishment designs have changed and are becoming more diverse. Establishments now face a greater risk of fire as their interiors are made of various synthetic resin products. Against such a backdrop, this research analyzed fires caused at businesse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s of their indoor decorative materials. The study thus presents methods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s and restrict the creation of smoke. Also, the study identified indoor decorative materials used at businesses. It thus analyzed on-site flame-proofing-treated items to examine their flame-proofing treatment methods and frequency, and characteristics of such materials, thereby determining how these factors influenced their performance. Thus it presented appropriate on-site flame proofing treatment methods. The results are shown as follows. 1. Rational improvement of the use of interior design materials and differentiated use of interior design materials according to the floor where the public utility establishment is located, the type of its operations, and its fire load,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public utility establishment; 2. Production of flame-resistant furniture and enforcement of the law on the use of fire extinguishers with high loads for establishments and basement floors; 3. Formulation of legal standards for the flame resistance of buildings and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o develop specialists in flame resistance technologies 4. Overcoming of the limitations of the flame resistance performance test related to the piece of the cut test specimen by having a fire officer conduct a sampling test on a random specimen cut at a given site; 5. Application of the regulation for public utility establishments to have basement areas of less than 66 ㎡and easing of the area limitation for the ground floor of public utility establishments, which has less risk of fire; and 6. Changing of the domestic flame resistance performance standards for the carbonization area, length, residual flames, and after-flame time based on combustibility to the general application of the radiated caloric value, the spreading speed of the flames, the amount of fumes, the noxiousness of the smoke, etc., as in other developed countries.

      • 합성 거더 전단연결재의 성능평가 실험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박성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강 거더에 부착되는 전단연결재는 콘크리트 바닥판과 합성되어 수평 전단력에 저항하며 동시에 바닥판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전단연결재의 종류는 스터드커넥터, HD13이형철근 연속형 철근, HD13이형철근 단속형 철근, SM490 9mm Plate가 있다. 도로교에서는 주로 스터드를 사용하며, 다른 전단연결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실험적 검증을 거치도록 제시하고 있다. 전단연결재 성능실험의 종류로는 정적 성능실험과 피로 성능실험이 있다. 정적 성능실험은 강도성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이고 피로 실험은 피로성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이다. 강재와 콘크리트를 일체화시킨 합성 거더의 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전단연결재에 대한 새로운 형태의 전단연결재가 개발됨에 따라 많은 실험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실험은 수행하는 연구자마다 서로 다른 실험 조건으로 실험을 수행을 수행하고 국내 전단연결재의 성능평가에 대한 규정 및 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참고할 만한 객관적인 자료가 부족하다. 기존 전단연결재 전단성능평가 방법에는 정적 성능실험, 피로 성능실험이 있으며, 실대형 합성보실험에서 거동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표준압발실험체로 실험을 수행한다. 표준압발실험체로 실험을 수행할 경우 콘크리트 블록의 하단이 벌어지는 결과가 발생한다. 이러한 하단의 벌어지는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고정지점의 변수로 실험을 수행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18개의 스터드 전단연결재 표준압발실험체를 제작하여 전단연결재의 국내 논문들과 국외 성능평가 절차 및 방법에 대한 규정을 분석하여 정적재하시험의 재하속도 및 상하단 고정과 피로시험의 가력주파수 규정의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정적재하실험 및 피로실험이 수행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스터드 전단연결재의 성능평가 실험방법 개선을 위한 정적재하 실험 및 피로 실험 시 재하속도, 구속조건, 가력주파수 및 반복횟수에 영향을 파악하였다. 개선안을 적용한 스터드 전단연결재 성능평가 실증실험을 수행하여 성능평가 신뢰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shear connector attached to the steel girder is compounded with the concrete floor plate to resist horizontal shear force and is used to prevent the floor plate from being injured at the same time. The types of shear connectors are stud connectors, HD13 deformed rebar continuous rebar, HD13 deformed rebar intermittent rebar, and SM490 9mm plate. In road bridges, studs are mainly used, and when other shear connectors are used, it is suggested to undergo experimental verification. There are push-out performance tests and fatigue performance tests as types of shear connector performance tests. The push-out performance test is a method for experimentally evaluating the strength performance, and the fatigue test is a method for experimentally evaluating the fatigue performance. As a new type of shear connector has been developed for a shear connector that has a great impact on the rigidity of a composite girder that integrates steel and concrete, many experiments are being conducted. These experiments are conducted under different experimental conditions for each researcher who conducts these experiments, and there is no objective data for reference because there are no regulations and methods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shear connectors in Korea. Existing shear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for shear connectors include push-out performance tests and fatigue performance test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difficulty in accurately grasp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the real large-scale composite beam test, the test is performed with a standard compression test specimen. If the experiment is performed with a standard extrusion test specimen, the bottom end of the concrete block is widened.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widening results at the bottom, an experiment should be performed with the variable of the fixed point. In this paper, 18 stud shear connector standard compression test specimens were produced and the domestic papers on shear connectors and regulations on overseas performance evaluation procedures and methods were analyzed. push-out load test and fatigue test were performed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loading speed, restraint condition, loading frequency and repetition frequency during push-out load test and fatigue test to improve the performance evaluation test method of stud shear connector were investigated. We inten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by conducting an empirical test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stud shear connectors to which the improvement plan is applied.

      • 어머니의 신앙 성숙도와 유아의 친사회적행동과의 관계

        박성현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신앙성숙도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를 규명해 봄으로서 유아의 바람직한 사회적 행동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어머니의 신앙성숙이 자녀의 사회성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본다. 둘째, 어머니의 신앙경력 및 교회 직분이 유아의 사회성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셋째, 어머니의 교회출석 년 수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는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다. 넷째, 어머니의 교회직분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는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다. 다섯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신앙성숙의 설명력은 어떠한지를 알아본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의 교회에 소속된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110명 (총 2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연구를 위해 도구로는 국제갤럽 여론조사연구소의 조지갤럽(George Gallup. Jr, 2002)의 신앙성숙도 질문지와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Mcginnis와 A.P. Goldstein (1990)의 친사회적 행동기술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10.0을 이용하여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어머니의 신앙성숙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상관관계(Pearson r)분석을 사용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신앙성숙 정도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교회 출석 년 수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넷째, 어머니의 교회직분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증(independent sample t-test)을 사용하였다. 다섯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신앙성숙의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친 사회행동에 어머니의 신앙성숙, 경력과 교회직분의 관계는 크게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어머니의 신앙성숙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유아 개인의 정서 조절 능력이 낮아지고, 친사회적 행동 하위요인의 차이는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어머니가 교회의 직분자인 유아는 비 직분자인 어머니를 둔 유아보다 친사회적 행동과 유아 개인의 정서를 조절하는 능력이 낮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어머니의 신앙이 성숙할수록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요인 중개인 정서 조절능력이 낮아지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어머니의 신앙 성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어머니가 교회의 직분자인 유아는 비 직분자인 어머니를 둔 유아보다 친사회적 행동과 유아 개인의 정서를 조절하는 능력이 낮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religious maturity of mothers was tied into the prosocial behaviors of their young children in an effort to boost their prosocial behaviors. The problems of study were posed as follows: 1. What is the relationship of the religious maturity of mothers to their children's social maturity? 2. What impact do the religious career and church position of mothers have on their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3. Does their term of attending church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4. Does their position at church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0 people who belonged to churches in Seoul. Half them were preschoolers, and the other half were their mothers.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Gallup International Research Institute George Gallup. Jr(2002)'s Religious Maturity Questionnaire, and Mcginnis and A.P. Goldstein(1990)'s Prosocial Behavior Description Inventory was employed to assess the prosocial behaviors of the preschool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dow 10.0 program. To look for connections between the religious maturity of the mothers and their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Pearson' r was utilized. As for the impact of their religious maturity on their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one-way ANOVA was implemented. Concerning the influence of their term of attending church on their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one-way ANOVA was carried out again. In order to see if their position at church affected their prosocial behaviors,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fulfilled. And in order to see how much the religious maturity of the mothers predicted their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igious maturity, religious career and church position of the mothers made little differences to the prosocial behaviors of their young children. Second, when the mothers were more mature religiously, their young children were less capable of regulating their own emotional state, and that made a difference to their prosocial behavior sub-factors. Third, the preschoolers whose mothers had any positions at church were outperformed by the others whose mothers didn't in prosocial behaviors and emotional regulation. Fourth, the higher religious maturity of the mothers exercised an influence on deteriorating the young children's ability to regulate their own emotional state, one of prosocial behavior sub-factors.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religious maturity of mothers had little impacts on their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Furthermore, the preschoolers whose mothers had any positions at church were excelled by the others whose mothers didn't in prosocial behaviors and emotional regulation.

      • 자기-태도의 분화수준과 정서의 극단화

        박성현 가톨릭대학교 심리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사회적 대상에 대한 태도의 분화수준에 따라 질적으로 다른 평가방식이 존재한다는 사회심리학의 태도구조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자기 자신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자기-태도 분화수준의 차이가 스트레스 및 정서의 변동 그리고 자기-개념의 여러 영역에 대한 평가와 어떻게 관련되는 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자기-태도 분화수준은 자기-측면들에 대해 양극적인 호오차원 상에서 평가하는 평가차원과 이원적인 기술차원 상에서 판단하는 기술차원으로 분류된다. 대학생 참가자 283명을 대상으로 친구와 공부를 선택해야 하는 갈등상황에서 친구를 선택한 자기와 공부를 선택한 자기를 인정준거와 성취준거 상에서 평가하게 하였다. 평가차원집단은 하나의 준거를 기준으로 하여 두 상황에서의 자기를 평가하기 때문에 두 상황의 자기에 대한 자기평가와 그러한 선택들 간의 지각된 스트레스 및 정서 차이가 클 것으로 가정되었다. 또한, 자기-개념 영역간의 중요도, 긍정평가도, 부정평가도에서도 그 차이가 클 것으로 예측하였다. 반면, 기술차원집단은 인정과 성취 두 가지 준거를 동시에 사용하여 두 상황에서의 자기를 판단하기 때문에, 지각된 스트레스, 정서 및 자기-개념 영역간의 이러한 차이가 평가차원집단에 비해 적을 것으로 가정되었다. 연구 결과 평가차원집단이 기술차원집단에 비해 두 상황의 자기에 대한 평가와 지각된 스트레스 및 정서에서 더 큰 변동폭을 나타내었다. 자기-개념 영역에서는 중요도에서만 집단 간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변동의 중재 메카니즘으로 질적으로 다른 태도 분화수준이 기저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정서적 취약성을 중재하는 변인으로 자기-개념 구조와 조직화 방식을 다룬 자기-복잡성이론이나 구획화 이론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The differentiation of self-attitude is based on the attitude structure theory in social psychology. This theory has lightened qualitatively different cognitive evaluative process to a psychological object. The differentiative levels of self-attitude are classified into evaluative dimension which appreciates self-aspects on unidimensional bipolar structure and descriptive dimension which interprets self-aspects on bidimensional unipolar structure.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effects of the differentiation of self-attitude on stress, affective fluctuation and multiphasic areas of self-concept. 283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respectively evaluated the friend-selecting self and the study-selecting self on the friend vs. study conflict situation. The criterion of evaluation was sympathy factor and achievement factor which was analyzed by varimax rotation method in a preliminary study. The researcher hypothesized that evaluative dimension group's stress range and affective fluctuation range between friend-selecting and study-selecting would be larger than descriptive dimension group's, because the former group would evaluate two self-aspects on one criterion, such as sympathy or achievement. Also, the ranges of evaluative dimension group on important degree, positive evaluative degree and negative evaluative degree between social self area and psychic self area were predicted larger than descriptive dimension group's. On the other hand, judging two situational self-aspects on two criterions, sympathy and achievement, simultaneously, descriptive dimension group was anticipated stress, affective fluctuation and the ranges between self-concept areas would be smaller than evaluative dimension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evaluative dimension group was larger than descriptive dimension group in stress and affective fluctuation range. On the self-concept areas, only important degre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qualitatively different cognitive evaluative process by the differentiative levels of self-attitude is operated as a moderating mechanism of stress and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ults and the self-concept structure theories, such as self-complexity theory and compartmentalization theory which have studied self-concept organizations as a moderating variable of affective vulnerability was discussed.

      • 유산소운동과 무산소운동이 갑상샘 기능저하 유발 쥐의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박성현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갑상샘기능저하가 유발된 쥐에게 발생하는 인지저하 및 운동능력저하에 유산소운동과 무산소운동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3주령의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 38마리를 정상군과 PTU-대조군, PTU-유산소운동군, PTU-무산소운동군으로 나누어 PTU대조군에게 8주간 Propylthiouracil(PTU)를 섭취시켜 갑상샘기능저하를 유발시켰다. 그 후 4주간 PTU-유산소운동군과 PTU-무산소운동군에게 각각 트레드밀과 사다리 오르기를 주 5일간 적용시킨 후 매주 모리스수중미로테스트와 오픈필드테스트를 측정한 후 정상군을 제외한 각 군에서 2마리씩을 무작위로 선발하여 혈액분석을 시행하였다. 실험결과는 SPSS for Win ver. 19.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각 변인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비모수적 검정 방식인 Kruskal Wallis test를 시행하고 유의수준은 95%(p<.05)로 처리하였다. 사후검정은 Mann- Whitney U-test를 실시하였으며, 검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Bonferroni correct- ion을 실시하고 유의수준(α)은 0.0083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체중은 PTU대조군에 비해 PTU-유산소운동군과 PTU-무산소운동군이 증가하였고 PTU-무산소운동군이 PTU-유산소운동군보다 더 큰 체중증가를 보였다. 모리스수중미로테스트의 기록은 3주차에서 PTU-무산소운동군이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정상군과 비슷하였으며 4주차에서는 모든 군의 기록이 정상군과 비슷하였다. 오픈필드테스트의 기록은 2주차에서 PTU-무산소운동군이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정상군과 비슷하였으며 3주차에서는 모든 군의 기록이 정상군과 비슷하였다. 호르몬 수치의 변화는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주차별로 T3, T4는 증가하였고 TSH는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PTU-대조군에 비해 PTU-유산소운동군과 PTU-무산소운동군의 수치변화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갑상샘기능저하 유발 쥐의 기능회복에 무산소운동이 더 효과를 보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s on cognitive dysfunction and depression in hypothyroidism-induced rats. Method: Thirty-eight three-week-old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a normal group, a PTU(propylthiouracil) control group, an aerobic exercise group, or an anaerobic exercise group. Hypothyroidism was induced by feeding the rats in the PTU control group, aerobic exercise group, and anaerobic group with propylthiouracil (PTU) for eight weeks. After a period of adaptation, the rats in the aerobic and anaerobic group underwent a Morris water maze test and an open field test after engaging in treadmill and ladder climbing exercises for four weeks. Blood analysis of two rats that were randomly selected from the PTU control group, the aerobic exercise group, and the anaerobic exercise group was carried out after the Morris water maze test and the open field test. SPSS for Windows ver. 19.0 software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o compare the changes in the experimental implementation, a non-parametric Kruskal-Wallis test was used; the significance level was 95% (p <.05). Post hoc analyze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as conducted using the Mann-Whitney U-test, and adjustments were made using a Bonferroni Correction 99.2% (a=.008).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eight changes, the Morris water maze test results, and the open field test results were found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other groups after four weeks of interven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hormones was found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other groups at the first week of the intervention period. However, the levels of tetra-iodothyronine (T4) and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in the aerobic group and the anaerobic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Changes in the T4 and TSH levels were more significant in the anaerobic group than in the aerobic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naerobic exercise can help improve the cognitive dysfunction and depression caused by hypothyroidism.

      •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및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력의 관계

        박성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기표현력,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력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아동의 자기표현력의 관련변인을 규명하고 각각의 변인이 아동의 자기표현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함으로써 아동의 자기표현력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2개 초등학교 5학년 학생 241명(남학생 : 135 , 여학생 : 106)을 대상으로, 측정도구로 사회적지지 지각 검사지, 사회적지지 실행 검사지, 자아존중감 검사지, 자기표현행동척도 검사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조사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Cronbach의 α계수를 산출하였다.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관계,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기표현력의 관계,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력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을 예측변인으로 하고 자기표현력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방법(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결과를 검증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어 아동이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자아존중감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지지원은 가족이었고, 지지유형은 정서적 지지였다. 가족으로부터 사랑과 격려, 수용과 같은 정서적 지지를 많이 받은 아동은 높은 자아존중감을 갖게 됨을 시사한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자기표현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어, 아동이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지각할수록 자기표현력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원중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이는 지지원은 또래였고,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지지유형은 정서적 지지였다. 또래관계에서 정서적 지지를 많이 경험한 아동은 높은 자기표현력을 갖게 됨을 의미한다. 셋째,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자기표현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임으로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자기표현력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영역별 자아존중감중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이 자기표현력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은 아동의 자기표현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의 구성요인 중 하나인 사회적 지지원은 자기표현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각의 지지원 중에서는 가족지지가 자기표현력에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유형은 자기표현력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지지와 자존감적 지지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적 지지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자기표현력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일반적, 사회적,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은 자기표현력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임으로 관련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아동의 자기표현력을 향상시키는데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은 중요한 변인이며 이는 자기표현력에 대한 이해와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s, Self-Esteem perceived by Children and the Self-Expression.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241 fifth grade students (135 boys, 106 girls)sampled from 2 elementary schools in Kyung-gi province. The Social Supports perceived by children was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 developed in Kim. Myung-sook's research. Self-Expression was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 used in Jun. Byeong-sik's research. Self-Esteem perceived by children was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 used in Cha. Gyung-sook. Cronbach's a.was calculated to find out the confidence level of each variabl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and self-express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effects of self-expression on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hildren perceived that they have more social support tent to have more self-esteem than others. In addition, children perceived that they have more emotional support from family have more self-esteem. Children perceived that they have more social support tent to have more self-expression ability than others. In addition, the more children perceive that they have enough emotional support from friend, the more self-expression they have. Children who have more self-esteem tent to have more self-expression than others. In case of this, self-esteem in school was significant core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