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새로운 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C-Reactive Protein 단클론항체의 생성과 활용에 관한 연구

        박보란 전북대학교 의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C-reactive protein (CRP) is an acute plasma protein in humans, mouse and a number of other mammalian species. It is produced primarily by liver and adipocytes. The CRP level in serum is elevated up to 10,000-fold during the acute-phase reaction or inflammation. Therefore, measuring CRP concentration in serum has been used in diagnosing inflammation, many pathological processes and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s. Interestingly, recent studies suggest that increasing CRP level in serum is related with many human diseases such as diabetes, colon cancer,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s. For successful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eases correlated with CRP level, rapid and accurate diagnosis is essential. Although various analytical methods are available for determining CRP, such as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immunoturbidimerty and rapid immunodiffusion, an automated and high sensitive diagnostic system directly using blood is needed to measure CRP. Herein, we generated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human CRP and developed a capture ELISA to detect CRP using two anti-CRP monoclonal antibodies (mAbs) that recognize different sites on the protein. The capture ELISA efficiently detected as little as 1ng/ml of soluble CRP.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our monoclonal antibodies and quantitative capture ELISA against CRP may significantly contribute to developing an important tool for high-sensitive, accurate, automated diagnosis of CRP level related many lethal diseases CRP는 인간, 쥐, 기타 포유류에 존재하는 acute plasma protein으로 간과 지방세포에서 1차적으로 만들어진다. 혈청내의 CRP level은 acute phase 또는 염증 반응을 일으킬 때 10000배 이상의 급격한 증가를 보인다. 그러므로 혈청내의 CRP농도 측정은 염증반응 및 많은 병리학적 진행과 치료 효과를 진단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흥미롭게도 최근 연구들은 혈청내의 CRP 증가가 당뇨병, 결장암, 고혈압, 심장 혈관 질환과 같은 인간의 질병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CRP level과 관련된 질병의 성공적인 치료와 진단을 위해서 빠르고 정확한 진단도구 개발은 필수적이다. 현재 CRP level을 결정하기 위해서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immunoturbidimerty, rapid immunodiffusion과 같은 분석적 방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더 효율적인 측정을 위해서는 즉시 혈액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동화되고 고민감도의 진단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RP를 인식하는 두 종류의 단클론항체를 사용하여 CRP를 감지 할 수 있는 capture ELISA를 만들었다. 확립된 capture ELISA는 1 ng/ml의 낮은 농도까지 효율적으로 인식했다. 종합적으로 이 결과는 CRP에 대항하는 단클론항체와 capture ELISA가 치명적인 질병들과 관련 있는 CRP level의 정확하고, 자동화된 진단을 위한 도구 개발에 중요하게 기여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노인의 담화에 나타난 주제진술특성

        박보란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As the population is aging faster than ever, the number of elders who have geriatric illness is increasing. As a consequence, many geriatric patients who are suffering illnesses such as cerebral infarction and Alzheimer's disease are shown to acquire linguistic disabilities as their brain damages take place after birth. Thus, they show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lack of cohesiveness and deviating from main topics when making speeches. There is no automated criterion in evaluating elders' linguistic abilities for each damage, which makes the assessment process difficult. Many study on conversation analysis using automated criterion based on conversation tasks for the people over 65 are taking place actively in evaluating effectiveness of spoken language conversations, neuro-linguistics studies have become the popular attentive area recently. However, the number of studies that supports lack of cohesiveness and topic maintenance in conversational characteristics of geriatric patients are not enough; most studies uses CIUs analysis methods in assessing elders' discourse characteristics. Studies regarding topic maintenance are also focused on geriatric patients and thus criteria on average elders are incomplete which makes it hard to evaluate geriatric patients' language level and compare effectiveness of therapeutic interventions. Thus, the following study was based on forty elders who are 65 years old or older and analyzed five types of narratives (story narrative, procedural discourse, expository discourse, conversational discourse, explanatory discourse) along with some standards (overall number of speech and topic statement rate) and compared them to those of younger ones who are in their 20s. Moreover, the effects of inner factors (such as sex, level of education) on groups within elders are also examined. Following is the conclusion that is derived through this study. First, after comparing number of speech for each tasks and average rate of subject statement, those of 20s were higher than those of elders who were 65 years old or older. Except for story narrative and conversational discourse, notable differences existed in three other types of conversations: procedural discourse, expository discourse and explanatory discourse. This reflects that as people age, the number of speech and topic statement rate decrease. Second, for each conversation types,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ir overall number of utterance and topic statement rate among groups within elders. For overall number of utterance, procedural discourse was relatively low while explanatory discourse was the highest. For topic statement rate, procedural discourse was high while explanatory discourse was significantly lower relative to other types. This implies that elders tend to be more effective in unaffected discourse situations than structured, restricted circumstances. Third, among elders, males showed much higher overall number of utterances than females, but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in topic statement rate. After examining overall number of utterance and topic statement rate based on education level among the elderly groups,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topic statement rate and more number of utterance. It is supposed that they could be eloquent and stay on topics as they received higher level of education and their cognitive burdens were less. This implies that when analyzing conversation through using elders' overall number of utterance, the recipients' sex and level of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The research divided discourse tasks into five categories and provided elders' average and standard deviance for number of utterance and topic statement rate which are used in spontaneous language sample analysis. Moreover, by looking on which types of language usage are effectively used in discourse types, the necessity of adequate conversation task in language treatment were also provided. Thu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important in that it could be used as a baseline data in evaluating in geriatric patient's utterance and their comparative studies. 인구의 고령화가 가속화 되면서 노인성질환을 가진 노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인 뇌졸중과 치매를 앓고 있는 대부분 환자들의 경우 뇌손상으로 인해 후천적인 언어능력의 손상을 보이게 된다. 그에 따라 발화 산출 시 응집력 결핍, 주제유지에서 벗어나는 등의 언어적 특징을 나타내게 된다. 그러나 이런 언어능력손상에 따른 노인의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함에 있어 노인의 자발화에 대한 규준이 없어 정확한 평가를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에 따라 65세 이상 노인층을 대상으로 자발화 분석 시 담화과제를 이용하여 담화 분석을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구어 의사소통능력 측정에 대한 효과성으로 신경언어학적 연구와 임상현장에서 최근의 관심분야로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노인성질환자의 발화 특징에 빈번히 나타나는 응집력 부족 및 주제유지의 결핍에 대해 다루는 연구가 부족하고, 대부분의 연구가 CIU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노년층의 발화특징을 분석하고 있다. 게다가 주제유지와 관련된 연구 또한 노인성질환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정상 노인의 규준이 미비한 상태이며, 이로 인해 노인성 질환자의 언어 수준이나 치료적 개입에 따른 향상을 비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65세 이상 노인 40명을 대상으로 이야기 담화, 절차적 담화, 일화적 담화, 대화적 담화, 설명적 담화의 5가지 담화 유형을 통해 수집한 담화를 전체 발화수, 주제진술률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20대 연령층의 집단과 비교하여 담화 유형에 따른 전체 발화수, 주제진술률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노인 집단 내에서의 내적요인인 성별, 교육정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 및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대 연령층과 65세 노인 집단 간에 전체 과제별 발화수 총점과 주제진술률 평균을 비교한 결과 20대 집단이 노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야기 담화와 대화적 담화를 제외한 3가지 담화유형(절차적 담화, 일화적 담화, 설명적 담화)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담화를 통해 정상 노화에 따라 전체 발화수와 주제진술률이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담화 유형에 따른 전체 노인 집단의 전체 발화수와 주제진술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 발화수는 절차적 담화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설명적 담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제진슐률에서는 절차적 담화가 높았고, 설명적 담화가 다른 담화유형에 비해 많이 낮게 나타났다. 노인의 경우 구조화되고 제한된 그림상황이 아닌 자연스런 대화상황에서 더 효율적으로 주제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전체 노인 집단 내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전체 발화수가 더 높게 나타났으나 주제진술률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체 노인 집단 내 교육정도에 따른 전체 발화수와 주제진술률을 분석한 결과 교육 정도가 높아질수록 전체 발화수와 주제진술률이 높게 나타났다.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담화과제 수행에 대한 인지적 부담감이 적어, 담화 과제마다 유창한 발화와 적절한 주제유지가 가능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이를 통해 임상에서 노인의 전체 발화수와 주제진술률을 통해 담화를 분석하고자 할 때 대상자의 성별과 교육수준을 반드시 중요한 변인으로 고려해야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자발화 분석 시 사용되는 담화과제를 5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담화 유형별로 연령, 성별, 교육집단에 따른 노인의 전체 발화수와 주제진술률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제시하였다. 또한 어떠한 담화의 유형에서 더욱 효과적인 언어 사용을 하는가를 알아봄으로써 언어 치료의 측면에서 적절한 담화 유형 선택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노인성 질환자들의 발화 평가 시 사용될 수 있고, 노인성 질환자에 대한 비교 연구 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또래상담자 훈련이 또래상담자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박보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미래사회의 주인공인 학생들이 자기 자신에 대한 바른 이해를 할 수 있도록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실시한 후 또래상담자 훈련이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또래상담 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또래상담 훈련을 받지 않은 비교집단보다 자아존중감이 향상 될 것이라는 가설과 함께 또래상담 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또래상담 훈련을 받지 않은 비교집단보다 사회성이 향상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1학년 12개 학급에서 또래상담을 지원한 학생 24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12명)과 비교집단(12명)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또래상담 훈련 프로그램은 한국청소년상담원에서 개발 연구하여 각 학교에 보급 운영하고 있는 중학생용 또래상담 프로그램(이상희 외, 2003)을 기본으로 하여 단계별 프로그램을 상황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비교법을 적용하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설계를 채택하였으며, 측정도구로 자아존중감 검사는 자신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Rosenberg의 척도(10문항)와 Coopersmith의 척도(50문항)를 1987년 윤용준이 제작한 도구로 Coopersmith의 척도를 번안하여 사용한 「자아존중감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사회성 검사는 1992년 김동환이 제작한 도구로 「건전한 사회성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1.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또래상담자 훈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상담자 훈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자아존중감 전체와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인 학업적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상담자 훈련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사회성 전체와 사회성의 하위영역인 근면성, 안정성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이 갖는 의미는 또래상담 훈련의 목적으로 했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의 향상으로 자신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공동체의식을 함양시켜 각 학급에서 능동적으로 활동하도록 한다는 연구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였다는 것이다. 더 많은 상담기관과 연계하면서 전문상담교사, 학생상담자원봉사자, 또래상담 지도자를 적극 활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학생또래상담활동과 학부모또래상담활동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다양하고 새로운 형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 peer-counseling program geared toward improving the self-esteem and sociability of students and letting them have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s the mainstay of future society. And it's additionally meant to examine the effect of peer-counselor training on self-esteem and sociability. After earlier studies were reviewed, two hypotheses were formulated: 1. An experimental group that gets training in peer counseling might make a better improvement in self-esteem than a comparative group that doesn't. 2. An experimental group that gets training in peer counseling might make a better improvement in sociability than a comparative group that does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4 students who were selected from 12 seventh-grade classes in middle school located in Bundang-gu, Seongnam, Gyeonggi province. They wanted to undergo peer counseling training, and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with 12 each. The peer-counselor train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prepared by reorganizing Korea Youth Counseling Institute(Lee Sang-hee, et. al., 2003)'s Middle School Peer Counseling Program that was currently provided to middle schools.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hat was to compare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s of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was adopted.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ir self-esteem was Yun Yong-jun(1987)'s Self-Esteem Inventory that adopted Coopersmith's 50-item scale based on Rosenberg's 10-item inventory. As for sociability test, Kim Dong-hwan(1992)'s Sound Sociability Inventory was employ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1.5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about the effect of the peer-counselor training were as below: First, concerning the influence of the peer-counselor training on self- esteem,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overall self-esteem of the students and their academic self-esteem, one of self-esteem subareas. Second, regarding the impact of the peer-counselor training on sociability, that exercis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oosting the overall sociability of the students and their diligence and safety, two of sociability subarea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peer-counseling training attained the purpose of the study by boosting the self-esteem and sociability of the students, helping them have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mselves, teaching them to be community-minded, and bolstering their activity level in classroom. In the future, peer counseling by students and parents should be more widespread by taking advantage of specialists, volunteers and peer- counseling instructors in collaboration with counseling centers, and sustain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developing a variety of new programs.

      • PES와 PI 중공사막을 이용한 매립가스 중 H2S 제거 및 CH4 회수에 관한 연구

        朴保?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박사

        RANK : 1839

        In this study, by using the polymeric membrane separation process, the CO2/CH4 separation removal from biogas were performed for CH4 purification and enrichment for the fuel cell energy source application. Fibers were spun by dry/wet phase inversion method. The module was manufactured by fabricating fibers after surface coating with silicone elastomer.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studies showed that the produced fibers typically had an asymmetric structure; a dense top layer supported by a porous, sponge substructure. The permeance of CO2 and CO2/CH4 selectivity increased with pressure and temperature. and Mixture gas with increasing pressure and temperature, removal efficiency of the CO2 and H2S decreased while concentration of CH4 increased up to 100%. When retentate flow rate increased with the decreasing of pressure and temperature the CH4 recovery ratio in retentate side was increased while the CH4 purity in retentate side decreased. The permeance of CH4 and N2 increased with pressure and temperature. However, the selectiv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e permeances of CH4 and N2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air gap and the effect of post-treatment on membrane showed the increasing of permeance up to 3.2 ~ 7.0 times. In conclusion, after the simulation using multi-module the recovery ratio of CH4 is 96.7 % when the pressure is 4 kgf/cm2, and necessary calculated area of membrane is approximately 92.7 m2. 본 연구는 막 분리 공정을 이용한 것으로 수소의 에너지원을 이용가능 한 메탄을 정제하기 위해 바이오가스 중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분리 및 황화수소의 제거 하고자 한다. 또한 매립의 초기 침하단계에서 발생하는 질소를 포함한 매립지 가스를 혼합기체 분리하고자 한다. 막은 건/습식 상전이 법을 이용하여 중공사공 형태로 제조하고 표면 실리콘 코팅 후 모듈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중공사 막의 구조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전자주사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치밀한 표면과 망상구조의 비대칭 구조를 확인하였다. 압력과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투과도는 증가하였고,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선택도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합가스의 경우 압력 및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메탄 농도는 100%에 가까웠으며 이산화탄소와 황화수소의 제거효율도 증가하였다. 잔류부 유량증가와 압력 온도 감소에 따라 메탄 농도 감소 및 회수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CO2/CH4/N2의 혼합가스 분리에서는 압력과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메탄과 질소의 투과도는 증가하였으나 CH4/N2 선택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ir gap이 증가할수록 메탄과 질소의 투과도는 감소하였으며 용매치환을 한 중공사막의 투과도는 3.2~7.0 배 증가하였다. stage cut이 증가함에 따라 공급유량 감소 및 온도의 증가로 인하여 메탄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투과되어 잔류부에서의 이산화탄소의 제거효율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잔류부에서 메탄의 농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stage cut이 증가함에 따라 메탄의 회수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다단 모듈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한 결과 운전압력이 4 kgf/cm2일 때는 메탄 회수율이 96.7 %이고, 이 때 필요한 막 면적은 약 92.7 m2인 것으로 계산되었다.

      • 여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리그대회에 대한 재미거리와 걱정거리 탐색

        박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 리그대회에 참가한 여학생들의 재미수준과 걱정수준을 알아보고, 여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 리그대회에서 느끼는 재미거리와 걱정거리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2013 서울시교육감배 학교스포츠클럽 리그대회’ 참가한 축구, 농구, 넷볼 종목의 여학생 팀을 선정하여 총 578명(중학교 17팀, 고등학교 17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한 문항이라도 무기입하거나 불성실한 응답 없이 100%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개방형 질문의 경우 한 가지라도 기입했을 경우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개방형 질문의 경우 귀납적 내용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고, 양적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검증(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등을 실시하였다. 여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리그대회에 대한 재미거리와 걱정거리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리그대회에 대한 재미수준과 걱정수준은 전반적으로 여자 중·고등학생 모두 재미수준과 걱정수준이 높게 나타나 여학생들은 학교스포츠클럽 리그대회에 대해 재미를 높게 느끼고 있지만 동시에 걱정도 많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교급별에 따른 재미수준과 걱정수준은 여자 중·고등학생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학년별로 살펴보면 여자 중학생의 걱정수준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1학년과 3학년, 2학년과 3학년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리그대회에 대한 재미거리의 원자료 수는 1723개로, 총 12개의 대영역(대인관계의 즐거움, 재미와 흥미, 신체적 이득, 승리와 경쟁, 리그대회의 즐거움, 성취감 경험, 팀 스포츠 재미, 심리적 이득, 부수적 요인, 교사 선호, 시간활용의 이점, 기타)으로 범주화 되었다. 또한 여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리그대회에 대한 걱정거리는 1277개로, 총 13개의 대영역(실패의 두려움, 시합 중의 마찰, 학업에 대한 걱정, 연습시의 아쉬움, 팀 분위기에 대한 걱정, 심리적 요인, 타인과의 관계, 신체적 요인, 리그대회 환경 제약, 교사에 대한 불만, 생리적 요인, 부수적 요인, 기타)으로 범주화 되었다. 이를 통해 여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리그대회에 대한 재미거리와 걱정거리가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학교급별에 따른 학교스포츠클럽 리그대회에 대한 재미거리를 비교한 결과, 여자 중·고등학생 모두 12개의 재미거리 대영역 중에서 대인관계의 즐거움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두 번째 영역도 재미와 흥미로 나타나 일치하였으며, 이 외 영역들은 재미거리 순위가 학교급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학교급별로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난 영역은 여자 중학생의 경우 부수적 요인(물질적/비물질적 보상, 특별한 혜택)이었으며, 여자 고등학생의 경우 시간활용의 이점에서 더 재미를 느끼고 있었다. 다음으로 학교급별에 따른 학교스포츠클럽 리그대회에 대한 걱정거리를 비교한 결과, 여자 중·고등학생 모두 13개의 걱정거리 대영역 중에서 실패의 두려움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시합 중의 마찰, 학업에 대한 걱정 순으로 나타나 일치하였으며, 이 외 영역들은 걱정거리 순위가 학교급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학교급별로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난 영역은 여자 중학생의 경우 생리적 요인이었으며, 여자 고등학생의 경우 팀 분위기에 대한 걱정, 리그대회 환경 제약, 부수적 요인(경제적 부담, 운동으로 인한 결손)에서 더 걱정을 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재미거리의 경우 학교급별로 40~60%범위를 유지함으로써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걱정거리의 경우 학교급별로 40~60%범위를 벗어난 경우가 많아 학교급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학교스포츠클럽 리그대회에 대한 여학생의 재미거리와 걱정거리는 16가지 영역(팀원 요인, 상대팀과의 관계, 승부욕, 점수 차이, 긴장감, 땀, 신체, 꾸준한 연습, 실력, 수업, 공부, 진로, 교사, 아침 운동, 시간 활용, 자신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리그대회가 재미있는 이유인 동시에 걱정이 되는 이유이므로, 교사는 이를 참고하여 지도하여야 할 것이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여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 리그대회에 대해 어떤 부분에서 재미를 느끼고, 어떤 부분에서 걱정을 하는지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여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리그대회에 대한 재미거리와 걱정거리는 여학생들의 리그대회 참여율을 높이고 체육활동을 활성화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이는 여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 리그대회의 긍정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성인이 된 후에도 스포츠 활동에 지속적으로 참가하게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look at the level of enjoyment and the level of worry in femal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school sports club leagues and identify what the source of enjoyment and the source of worry are in femal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school sports club leagues. To achieve this purpose, we used an open questionnaire, and our survey was conducted in a total of 578 individuals: 17 teams from middle schools and 17 teams from high schools. Female teams in three events - football, basketball, and netball - were selected from the entire teams who participated in '2013 Seoul Education Superintendent School Sports Club League.’ The questionnaire was collected 100% without non-responses or unfaithful ones. If even one question was answered in an open-ended question, it was used as analysis material. In data analysis, the open-ended quest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inductive content analysis, and in case of quantitative data,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carry out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e can summarize the source of enjoyment and the source of worry in female school sports club leagues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enjoyment and worry in female school sports club leagues was high in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suggests that female students had higher level of enjoyment in school sports club leagues and at the same time had a lot of worri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njoyment and worry by the level of school in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ut if we look at it by grad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worry only i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Specific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st graders and 3rd graders and between 2nd graders and 3rd graders. Second, the number of original data of the source of enjoyment in female school sports club leagues was 1,723. It was categorized into a total of 12 large areas - pleasure in interpersonal relations, enjoyment and interest, physical benefits, victory and competition, pleasure in leagues, experience of sense of achievement, enjoyment in team sports, psychological benefits, incidental factors, teacher preferences, advantage in time utilization, and others. In addition, the number of original data of the source of worry in female school sports club leagues was 1,277. It was also categorized into a total of 13 large areas -fear of failure, friction during game, worry about schoolwork, inconvenience during practice, worry about team atmosphere, psychological factor, relationship with others, physical factors, environmental restrictions in leagues, dissatisfaction with teachers, physiological factor, incidental factor, and others. This suggests that there are various enjoyments and worries in female school sports club leagues.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njoyment in school sports club leagues by level of school, it was found that the pleasure in interpersonal relations, of the entire 12 large areas of the source of enjoyment,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econd area was the enjoyment and interest, which was a consistent result, and the other areas showed different level of enjoyment by the level of school. The area that showed the highest difference by the level of school was the incidental factor(i.e. material/non-material compensation, special benefits) in female middle schools students,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elt more enjoyment in the advantage of time utilization. Nex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worry in school sports club leagues by the level of school, it was found that the fear of failure, of the entire 13 large areas of the source of worry,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all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ext, it was followed by friction during competition and schooling in the order. The other areas showed different level of worry by the level of school. The area that showed the highest difference by the level of school was the physiological factor i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had a lot of worries in worry about team atmosphere, environmental restriction in leagues, and incidental factor(i.e. economic burden, loss resulted from exercise). In general, their level of enjoyment maintained within the range of 40~60%, which showed no big difference by the level of school. Worries were out of the range of 40~60%, which showed difference by the level of school. Fourth,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16 common areas of enjoyment and worry in female school sports club leagues - team member factor, relationship with opponent teams, desire for winning, difference in score, tension, sweat, body, regular practice, ability, class, study, career path, teacher, morning exercise, time utilization, and confidence. As this is the reason why female school sports club leagues are interested and worrisome at the same time, teachers should guide them about this. From the above findings, we can see that it is important to identify in which parts of school sports club leagues female students feel enjoyment and in which parts they feel worr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increase female students' participation rate in school sports club leagues and provide the basic data for activating their sports activi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femal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ies continuously even after they become adults based on their positive experiences with school sports club leagues.

      • 자살사고를 가진 초기청소년 가족을 대상으로 한 정서중심치료 적용 사례연구

        박보 단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1823

        자살은 자발적 또는 의도적으로 스스로 생명을 끊는 일로 돌이킬 수 없으며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과 주변 사람에게 상처를 준다. 우리나라 10대 청소년의 사망 원인 1위가 자살로 자살 문제가 어른에게 국한된 것이 아닌 저연령화 되고 있으며 국가적인 사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청소년 자살과 관련되어 보호요인으로 가족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또한 급격하고 복합적인 청소년 발달 단계의 특성에 따라 청소년 자살에 관련한 정서적 요인과 애착의 영향이 시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살사고를 가진 초기청소년 가족을 대상으로 Johnson의 9단계 정서중심치료(Emotionally Focused Therapy: EFT) 이론을 적용하여 가족의 정서경험 및 상호작용과 청소년의 자살사고, 우울에 미치는 변화를 규명하는 단일사례연구이다. 1회기 60분에서 90분을 기본으로 하여 총 8회기 상담을 진행하였으며 기관과 가족의 동의 하에 전 치료과정을 녹음, 사진촬영을 하였다. 매 회기 과정기록을 하였고 치료과정에 대해 치료자가 기록한 축어록, 관찰 기록지, 치료메모를 활용하여 전문가의 슈퍼비전이 동시에 이루어졌다. 1회기와 8회기에는 자살사고를 가진 초기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살사고척도(SSI)와 소아우울척도(CDI)를 측정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회기를 종결한 후 참여자의 소감문 작성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자살사고를 가진 초기청소년 가족을 대상으로 정서중심치료를 통한 가족 변화 및 개인적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정서중심치료를 적용한 치료과정을 통해 가족의 정서경험 및 상호작용과 자살사고를 가진 초기청소년의 자살사고 및 우울에 미치는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자살사고와 우울의 변화정도를 사전, 사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료과정에서 가족 변화로 정서경험의 인식과 표현, 부정적 상호작용 고리 파악, 애착욕구의 인식과 표현, 수용, 새로운 상호작용 시도, 깊은 정서적 교류, 새로운 태도, 안정된 결합으로 범주되고 14개의 하위범주와 71개의 의미가 도출되었다. 가족의 정서경험과 상호작용에 측면에서 문제를 부정적 상호작용 고리, 이면의 정서, 애착으로 재구성하여 새로운 상호작용과 정서적 교류를 통해 긍정적 정서 경험과 안정된 결합을 하였다. 둘째, 초기청소년의 개인적 측면에서 자살사고와 우울이 치료 전보다 완화되었다. 그러므로 자살사고를 가진 초기청소년의 가족에게 정서중심치료(EFT)를 적용하여 긍정적인 정서 경험과 안정된 결합을 가능하게 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살사고가 완화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자살사고를 가진 다수의 초기청소년의 가족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청소년의 자살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슈에 대한 치료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를 통해 정서중심치료의 확대 적용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이 필요하다. The suicide, ending the life voluntarily or intentionally, is irretrievable and gives grief to family and friends. The number one reason of the adolescents’ death is suicide in Korea. The suicide is not only the problems of the adults but the national issue, and the age is getting younger. The importance of family is reported as a protection factor repeatedly with reference to suicide. The emotional variables and effect of attachment are being suggested depending on the rapid and complex adolescent developmental stages. This study is a case of study, based on Johnson’s 9 stage of EFT(Emotionally Focused Therapy), to identify the variation of emotional experience and the effect of the change of adolescents suicide ideation, depression, targeting the family of adolescent with beginning suicidal ideation. The counseling was conducted total 8 sessions with based 60mins to 80mins for every session, and all the sessions were recorded and photographed with the permission of the institute and family. Every session’s process were recorded and the experts’ super vision were conducted at the same time with using the verbatim record by counselor, mapping sheet, memo from treatment. At the 1st and 8th session, the SSI and CDI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test to adolescent with suicidal ideation, and the review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to the participants after the session. The qua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variation of family and personal change of adolescent with beginning suicidal ideation through EFT. With the EFT applied therapy, the family’s emotional experience, interaction and the effect of suicidal ideation, depression have been identified. In addition, the degree of suicidal ideation was analyzed by measuring the variation before and af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From the family change, analyzed by the therapy, it is categorized by the awareness of emotional experience and expression, understanding the negative interaction link, awareness and expression of attachment desire, adaptation, attempt for new interaction, deep emotional interchange, new attitude, stabilized combination. 14 subcategory and 71 definition were draw. in the perspective of the family emotional experience and interaction view, it was combined securely with the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 through new interaction and emotional engagement, reconstructing the issue by primary emotion, negative interaction cycle, and attachment. Second, in the perspective of personal view of the adolescent with beginning suicidal ideation, the suicidal ideation and the depression were relieved.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EFT give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 and secure combination to family of adolescent with beginning suicidal ideation, meaning the suicidal ideation could be relieved through this process. In the next study, the more various case study on family of adolescent with suicidal ideation should be conducted. In addition, it is needed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extended application of EFT through advanced studies of the therapy effects on not only the adolescent suicide but also various issues.

      • 만4-5세 일반 아동의 초기 읽기 능력과 시지각 및 음운인식 능력 간 관련성

        박보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23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by age in and the relationships among visual perception ability,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and reading ability of 56 children at the age of early 4 (4;0-4;5), later 4 (4;6-4;11), early 5 (5;0-5;5), and later 5 (5;6-5;11). In terms of assessment measures, parts of the following tests were extracted and used: Test of Visual Perceptual Skills-Revised (TVPS-R), Early Korean Reading Ability Test for Preschool Children (Kim, 2006), and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Test (Hong, 2002).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Packages for Social Science 18.0.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means by age in terms of visual perception ability,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and reading abilit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ose abilitie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abilities in visual perception, phonological awareness, and early reading showed the pattern of gradual development with age, and the abilities in visual perception and phonological awarenes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reading ability of children at the age of 4-5. Visual perception was divided into Visual Discrimination, Visual Memory, Visual Spatial Relations, Visual Form Constancy, Visual Sequential Memory, Figure-Ground Discrimination, and Visual Closure. The areas except visual constancy and visual closure were associated with early reading ability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n particular, visual discrimination and visual spatial relation recognition ability showed a high level association at the stages of syllable reading and letter naming, which suggests that the Korean is the language with a high level of visually perceptual quality. In terms of phonological awareness, syllable awareness rapidly developed between the early part of age 4 and the early part of age 5, and phonemic awareness rapidly developed between the early part and the later part of age 5. Early reading ability showed rapid development between the later part of age 4 and the later part of age 5, which is viewed as an important period in reading development when the full-scale learning take place in reading Korean words. The results showed that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and early reading ability were not only similar in the development time frame but also in the development process in which the abilities developed from the unit of syllable to the unit of phonem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perception ability,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and early reading ability, using the early reading model which allows the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preschool children’s reading development by classifying non-motor visual perception that is strongly related to reading as well as phonological awareness into seven sub-typ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arly screening of children at risk of reading disorder requires age-appropriate tasks and the treatment requires determining whether the reading problem is caused by a deficit in visual perception,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r other problem areas, and selecting an intervention that fits the cause of the problem. 본 연구는 4세 전반(4;0-4;5), 4세 후반(4;6-4;11), 5세 전반(5;0-5;5), 5세 후반 (5;6-5;11) 아동 56명을 대상으로 연령에 따라 시지각 능력, 음운인식 능력, 초기 읽기 능력의 차이를 살펴보고, 초기 읽기 능력과 시지각 및 음운인식 능력 간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검사 도구는 시지각 기능 검사(Test of Visual Perceptual Skills-Revised: TVPS-R)와 학령전 아동의 한국어 초기 읽기 능력 검사(김영태, 2006)및 음운인식 능력 검사(홍성인 외, 2002)의 일부를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s for Social Science) 18.0을 사용하여 연령에 따라 시지각, 음운인식, 초기 읽기 능력의 평균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초기 읽기 능력과 시지각 및 음운인식 능력 간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시지각 능력, 음운인식 능력, 초기 읽기 능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인 발달양상을 보이며, 시지각 능력과 음운인식 능력은 만4-5세 아동의 초기 읽기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시지각 하위영역은 시각 변별(Visual Discrimination), 시각 기억(Visual Memory), 공간 관계(Visual Spatial Relations), 형태 항상성(Visual Form Constancy), 순차 기억(Visual Sequential Memory), 도형 배경(Figure-Ground Discrimintion), 시각 통합(Visual Closure)으로 나뉘고, 형태 항상성과 시각 통합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초기 읽기 능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특히 시각 변별과 공간 관계 인식 능력은 본격적으로 글자는 배우는 음절 읽기와 글자소 이름대기 단계에서 매우 높은 관련성이 있었는데 이는 한글이 시지각적 자질이 많은 문자라는 것을 시사한다. 음운인식에서 음절 인식은 4세 전반에서 5세 전반 사이에 급격히 발달하였고, 음소 인식은 5세 전반에서 5세 후반 사이에 급격히 발달하였다. 초기 읽기 능력은 4세 후반에서 5세 후반에 급격한 발달을 보이고, 이 시기가 읽기 발달에 있어 중요한 시기이며 본격적으로 한글 단어 읽기를 학습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음운인식 능력과 초기 읽기는 발달 시기가 비슷할 뿐 아니라 음절 단위에서 음소 단위로 발달하는 과정도 동일하였다. 이는 음운인식 능력과 초기 읽기 능력이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음운인식뿐만 아니라 읽기와 관련성이 높은 비운동성 시지각을 7가지 하위 유형으로 나누어 학령전 아동의 읽기 발달을 총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초기 읽기 모형을 통해 시지각 및 음운인식 능력과 초기 읽기 능력 간 관련성을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읽기 장애 위험군 아동을 조기에 선별하기 위해서는 연령에 적합한 과제를 사용해야 하고, 읽기 문제의 원인이 시지각적 결함인지, 음운인식 능력의 결함인지 혹은 그 외 다른 영역의 문제인지를 파악하여 각각의 아동에 맞는 중재 방법을 선택해야함을 시사한다.

      • Neo-Naturalism의 특성을 반영한 패션디자인 개발

        박보 동덕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1823

        자연은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며, 동시에 자연을 극복하고 정복하고자 하는 노력의 결과인 기계 문명의 지속적인 발달로, 현재는 5차 산업혁명으로 일컬어지는 시대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이전의 아날로그 시대는 디지털 시대로 전환되었고, 최첨단 기술과 기계문명, 인공지능을 토대로 지속적인 발전을 지향하면서 인간 소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개인의 인간성 회복을 위한 움직임으로 이어져 자연친화적인 삶을 추구하게 되면서 패션 분야에서도 자연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표현되고 있다. 최첨단 기술과 함께 21세기 패션은 자연으로의 회귀를 추구하면서 미래의 지속 가능성을 찾기 위한 노력을 보이고 있으며, 자연친화적인 감성과 디지털 테크놀로지와의 결합, 미래주의적인 요소, 다양한 장식적인 디테일 등으로 자연에 대한 관심을 자유롭게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개인의 인간성 존중과 자연에 대한 관심이 중요하게 여겨지면서, 전통적인 자연 주의와 차별화된 새로운 트렌드를 반영한 개성 있는 패션디자인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Neo-Naturalism의 개념과 발전을 고찰하고, 예술에 표현된 Neo-Naturalism의 사례와 패션 분야 선행연구를 통해 트렌드를 분석한 후, 이를 기반으로 연구자의 개성 있는 관점에서 Neo-Naturalism의 특성을 반영한 의상을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선행연구논문과 전문서적을 중심으로 패션 관련 매거진, 인터넷 자료를 참고로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논문과 전문서적을 참고하여 Neo-Naturalism의 개념을 고찰함으로써 본 연구에 대한 기틀을 마련한 후, 인터넷 자료와 패션 관련 매거진을 통해 예술에 표현된 Neo-Naturalism과 최근 현대 패션에 나타난 Neo-Naturalism의 실증적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토대로 6점의 작품을 디자인하여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Neo-Naturalism이 반영된 패션은 선행연구논문을 분석한 결과, 자연친화적인 감성, 디지털 테크놀로지와의 결합, 미래주의적인 요소, 장식적인 디테일 4가지 특성으로 도출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최근 5년간의 현대 패션에 나타난 Neo-Naturalism의 디자인 사례를 분석 한 결과, 자연친화적인 감성은 천연소재와 내추럴 한 실루엣, 동식물 문양으로 편안하고 자연적인 디자인으로 표현되고 있었다. 디지털 테크놀로지와의 결합은 디지털 프린트, 신소재, 합성소재로 나타났으며. 미래주의적인 요소는 PVC, 플라스틱, 금속, 금속 느낌의 소재와 컬러로 표현되었다. 장식적인 디테일은 수공예의 부활로 오브제 화, 볼륨 화 되어 표현되었다. 분석의 결과, 종합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Neo-Naturalism은 전통적인 자연주의 사고에서 현대에 맞게 변화한 새로운 예술 양식으로 미래 미학 발전의 지속성과 인간의 생명성을 포함하고 있다. 둘째, 패션디자인에서 Neo-Naturalism은 개인의 인간성 회복과 자연을 보호하기 위한 지속 가능한 패션을 지향하고 있다. 셋째, Neo-Naturalism이 반영된 패션은 종래의 자연친화적인 요소들을 기반으로 현대의 기술적 터치를 가미한 신소재들, 동식물 문양을 이용한 다양한 방법의 디지털 프린팅, 비비드하고 강렬한 네온 컬러와 골드, 실버 컬러의 사용으로 표현되고 있다. 넷째, 패션디자인에서 Neo-Naturalism은 현대의 트렌드와 디자이너의 개성 있는 가치체계의 표현, 테크놀로지와의 결합으로 재구성하여 패션디자인의 무한한 창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론을 토대로 Neo-Naturalism의 특성을 반영하여 자연친화적인 요소를 내포한 독창적인 패턴을 디지털 프린트하고, 이들을 활용하여 창의적인 패션디자인 작품 6점을 개발하여 제작하였다. 본 연구가 수행한 Neo-Naturalism의 특성을 반영한 패션디자인 개발은, 과도한 최첨단 과학기술 발달로 인한 인간 소외 현상에 반대하여 자연에 대한 존중과 인간의 존엄성을 표현하는 주제로써 기존의 Naturalism과는 차별화된 현대적이고 개성 있는 디자인 개발로 21세기 패션디자인 발전에 기여하는데 의의가 있다. Nature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human life. At the same time, as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mechanical civilization, the result of the effort to overcome nature, now it has reached the age of being referred to as the Fifth Industrial Revolution. Since the 21st century, the previous analog has turned into a digital era, and the phenomenon of a human's alienation is emerging by striving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based on cutting-edge technology, machine civiliz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phenomenon leads to a movement toward the restoration of individual humanity, with the pursuit of a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life so that the interest in nature in the fashion field is also steadily expressed. While together with cutting-edge technology, fashion in the 21st century seeks its return to nature and tries to find the sustainability of the future, it freely presents its interest in nature such as the natural-friendly sensibility and combination with digital technology, futuristic elements, and various decorative details. Like this, as respect for the individual's humanity and attention to nature are considered important, it is time to develop an individual fashion design that reflects a new trend differentiated from traditional naturalism. This study considers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Neo-Naturalism and analyzes the trend through the case of Neo-Naturalism expressed in art and the preceding study in the fashion field. Based on this, it designs a cloth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Neo-Naturalism from an individual perspective of the researcher.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nalyzed by referring to fashion-related magazines and internet materials based on precedent researches and professional books. By examining the concept of neo-naturalism, after setting the groundwork for this study, the empirical cases of Neo-Naturalism were analyzed in Neo-Naturalism expressed in art through internet materials and fashion-related magazine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six works were designed and produced. After the analysis of precedent researches, the fashio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neo-naturalism in this study was derived from four characteristics: the nature-friendly sensibility, a combination of digital technology, futuristic elements, and decorative detai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esign case of Neo-Naturalism shown in modern fashion for the last five years, nature-friendly sensibility was being expressed in a comfortable and natural design with natural materials and silhouettes and patterns of animal and plant. The combination with digital technology was represented by digital printing, new materials, and synthetic materials. The futuristic elements were expressed in materials and colors of PVC, plastics, metals, and metal. The expression of decorative details are enlarged as the object at the revival of handicrafts. As a result of an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comprehensively: First, Neo-Naturalism is a new art form that has changed from traditional thoughts on naturalism suitably to modern society, and it includes the continuity of future aesthetic development and life characteristics. Second, in fashion design, Neo-Naturalism aims at a sustainable fashion to restore individual humanity and protect nature. Third, fashion that reflects neo-naturalism is represented with the use of new materials adding the modern technical touch based on the traditional nature-friendly elements, digital printing in the various ways of using the patterns of plants and animals, vivid and strong neon colors, gold, silver colors. Fourth, in fashion design, Neo-Naturalism is reconstructed by combining modern trends with the expression of designer's unique value system and technology.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 we digitally printed creative patterns containing nature-friendly element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Neo-Naturalism and developed and produced six creative fashion design works by using them. The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reflecting Neo-Naturalism that this study has undertaken is a theme of presenting the respect for nature and human dignity, opposing the status of human alienation caused by the excessive development of cutting-edge technology. It has the significance of contributing to developing the modern and individual fashion design in the 21st century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Naturalism.

      • 불안한 실존적 자아에 대한 회화적 표현 연구 : 표현주의·추상표현주의 작품 중심으로

        박보 숙명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1823

        This paper is a study on paintings that are aware of existence from anxiety and expressed. Human beings are born and dying that they did not want, and life from birth to death is a series of unpredictable anxieties. Especially, today 's modern society has become convenient and enriched by the industrialization and advanced technological development. However, in the social atmosphere emphasizing the competitive industrial structure centering on the value of the material, the inside of the individual has got the ment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From this, I became aware of the anxiety about the loss of the internal existence of the modern person, which is alienated from oneself. In an unstable period of time such as the outbreak of the First World War and the Second World War, the existentialists recognize the anxiety as a human ontological characteristic and emphasize the subjective existence as well as the internal reflection on human existence. Expressionism, Abstract Expressionist Artists use this time and personal anxiety as their creative motive, to realize their own existence and to express their inner feelings through creative expression of art. The existence anxiety of the person who formed in the life also appears as the expression of the art. Through the field of painting, I tried to think about the existence and emotion of myself and to make it a process of self-exploration. In particular, I become aware of existential anxiety in the time and space of night, and I try to project my inner feelings to the natural object which always existed but was not able to recognize its presence in the daytime. The night appears as a color expression as a spiritual space, and the leaf, which is the mediator of empathy, is arbitrarily enlarged and transformed into an art form. Art expression is manifestation of various emotions coming from the artist 's life experience, and it is self - expression derived from the encounter between the self and the world. In this paper, we will look at how art and life are closely related through philosophical and aesthetic approaches and works of leading artists, and the process of self - expression and self - exploration in them. On the basis of this, my work reveals that an unstable existential self expresses anxiety within oneself through the expression of art, and aims to overcome self and pursue new value from it, through this study, I will try to find a developmental direction in future work. Also, based on empathy with modern people living in the same age, we want to pursue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본 논문은 불안으로부터 실존을 자각하고 표현한 회화에 대한 연구이다. 인간은 원하던 원치 않던 태어나고 죽게 되며 생의 순간부터 죽음까지 삶은 예측할 수 없는 불안의 연속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오늘날 현대사회는 산업화와 고도의 기술 발달로 삶의 방식은 편리하고 윤택해졌지만, 물질 가치를 중심으로 경쟁적 산업구조를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개인의 내면은 정신적, 심리적 문제를 떠안게 되었다. 이로부터 본인은 자기로부터 소외되는 현대인의 내적 존재의 상실에 대한 불안에 주목하게 되었다. 1, 2차 세계 대전의 발발이라는 불안한 시대적 상황에서 실존주의자들은 인간 존재에 대한 내면적 성찰과 함께 불안을 인간의 존재론적 특성으로 파악하고 주체적 존재성을 강조하게 된다. 표현주의, 추상표현주의 예술가들은 이러한 시대적, 개인적 불안을 창조적 동기로 삼아 독창적 예술 표현을 통해 자신의 실존을 자각하고 자기의 내적 감정을 표현하기에 이른다. 삶 속에서 형성된 본인의 존재적 불안 또한 예술 표현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회화라는 영역을 통해서 자신의 존재와 감정에 대한 사유를 시도하고 자기 탐색의 과정으로 삼고자 했다. 본인은 특히 밤이라는 시·공간에서 실존적 불안을 자각하게 되고, 항상 그 자리에 있던 존재지만 낮에는 미처 그 존재를 인지하지 못했던 자연물에 본인의 내적 감정을 투영해 작업으로 시도하게 된다. 밤은 정신적인 공간으로서 색채 표현으로 나타나며, 감정 이입의 매개체인 나뭇잎은 자의적으로 확대되고 변형된 형태로서 예술 표현이 이루어진다. 예술 표현은 예술가의 삶의 체험으로부터 오는 다양한 감정을 드러내는 것으로, 자아와 세계의 만남으로부터 파생된 자아 표현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철학적, 미학적 접근과 선행 작가들의 작품 연구를 통해 예술과 삶이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그 안에서 자기 표현과 자기 탐색의 과정이 이루어짐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토대로 본인의 작업이 불안한 실존적 자아가 예술 표현을 통해 자아 내면의 불안을 토로하고 그로부터 자기 극복과 새로운 가치의 추구를 이루고자 하는 것임을 밝히며,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의 작업에 있어서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또한 동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과의 공감을 바탕으로 예술을 통한 소통의 가능성을 추구해 나가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