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설 창작 교육 방안 연구

        박병욱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Literary activities can only be performed properly when acceptance and creation are balanced each other. Until recently, literary education has focused on the acceptance of literary work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however, 'creation' was included in the curriculum owing to the significance of creating literary works. The content factors related to creation in the curriculum is considered insufficient to be applied to practical education. Acceptance and creation of literary works are still out of balance, and schools tend to be confused in guiding literary activities of students as the concept of creation education has not been completely established to be introduced. Preliminary studies have agreed in that the mysteries of literary creation should be found out. On the basis of the common point of view,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ncourage students to enhance their literary talent through creating short stories and to have more positive sense and attitude toward enjoying literary culture, and to help the students to examine themselves to build up their values by performing creation of short stories. The education on creating short stories has usually emphasized copying, adaptation, or creative rewriting. In the 'Literature' curriculum for second-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o the three activities as the basis of learning, students should perform pure creation activity to write their own works to have an active attitude toward enjoying literary culture. The author presented a critical analysis of the factors of creation education shown in the curriculum in the second chapter, while examining the methods and models of short story creating activity and designing an appropriate model for conte creating activity in the third chapter. In the fourth chapter, the designed model was applied to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The students read contes and abstract learning factors necessary for writing short stories, forming self-confidence on writing activity. When writing short stories, the students select a theme and then materials, and make an outline. Then they choose a viewpoint and develop characters and events. After that, the students specify backgrounds and plot, and elaborate their story by using of various methods in narration to be a refined creative work. In doing these activities, the students continue to refine and supplement their contes by discussing their works with the members of their groups. When a conte is finished, the writer uploads his or her cote to an assigned website, perform self-assessment and peer-assessment, and finish the unit activity. The students can deepen their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n literary works through the activity, and place themselves in the actual center of literary education independently. However, this study fail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of writing short stori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model in practice. When applied in the curriculum, the model may be necessary to be adjusted and supplemented to develop into a better one. In particula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systematize the quantity of assignments for the students in the writing short stories, the abstraction of learning factors, and the assessment standards.

      • <靑山別曲>의 新硏究

        박병욱 京畿大學校 大學院 198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essay seeks to esamine chongsan pyolgok (靑山別曲), one of koryo kayo (高麗歌謠) or songs of the koryo Dynasty. As you know, the author and the exact date of composition of the song are unknown. But I have taken new points of view and arraged the above-mentioned contents in this study. Thus I have reached the conclusions as follows. 1. Pyolgok can be said to be the song as distinguished from the original text, or the extraordinary strains which are a contrast to Akbu (樂府) or Akjang (樂章). 2. Chongsan Pyolgok is attributed to a certain period between the reign of king kojong of Koryo Dynasty and about 1342. A.D. when Ikjae Soakbu (益齊小樂府) was translated into Chinese. 3. It will be reasonable to be used Woo (寓) or Wooun (寓言) of the rhetoric in stanza III and stanza VII. Therefore, in stanza III and stanza VII, the writer must have satirized the confused social conditions of those days when the contry was harassed with troubles from within and without and I think that the "stone" in stanza V is also Wooun (寓言), too. 4. Chongsan Pyolgok has a sea-scene, which is not common to our classical poems and songs. Judging from the fact, it prove that the narrator had roved the sea or seasides. However, in the view-point of the tense of Chongsan Pyolgok, we find the narrator expresses the future-will that he will live a life in the green mountain, on the seashore or on a isolated island. Therefore, we had better correct the fictitious fallacies of our fomer scholars. 5. And I can find that the speaker's regression happened in stanza VIII. 6. Considering the outstanding poetical inspiration over flowing throughout the song, the use of Wooun (寓言) which is a high technique of expression, the symbolical characteristic of poetic words, and the concluding method of stanza VIII, it is obvious that Chongsan Pyolgok is not a folk song but a lyric poem by an intellectual. 7. Chongsan Pyolgok, Together with Ssanghwajom (變花店), ought to be placed under the category of satirical literature. And the narrators of two songs, I believe, are a female impersonators. Finally, if Ssangnwajom is the passionate rose, Chonsan pyolgok will be the fantastic Oriental orchid. Moreover, We cannot emphasize that the author of Chongsan Pyolgok expressed our typical Korean Utopia too much.

      • Identification of Novel Regulators for Cell Cycle Progression with High Throughput RNAi Screen in Human Cells

        박병욱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생체는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세포는 다양한 외부의 환경에 적절한 반응을 통해 세포의 분화, 증식, 사멸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한 세포내의 신호전달 체계는 매우 복잡한 형태로 그 세포의 운명이 결정되는데 그 신호전달 체계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암과 같은 중대한 질병을 유발하게 된다. 그 중 세포주기(cell cycle)는 하나의 세포가 성장하여 그 유전 정보인 DNA를 딸세포에게 정확히 전달하는 일련의 과정을 그치게 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분자생물학적 현상에 의해 크게 G1, S, G2, M이라는 4단계로 분류된다. 이러한 각 단계에는 restriction(R) point가 존재하는데 각 단계에서 정상적인 세포 분열 현상과 적절한 외부 성장 신호가 존재할 때에 정상적인 분열과 성장을 허락하게 된다. 그러나 세포 주기에서 신호 전달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정상적인 세포로의 분화가 되지 않는다고 판단 될 때 세포는 세포사멸과정(apoptosis)을 거치거나 암세포(cancer cell)로 분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RNA interference라는 분자생물학적 현상을 이용하여 각 신호 전달 단백질들의 저해를 통한 세포 증식과 분열에 대해 연구하였다. 생체 내에 double strand RNA(dsRNA)가 존재하게 되면 그들의 target mRNA에 sequence specific하게 결합하여 세포내에 존재하는 RNA endonuclease complex, Dicer 라고 하는 protein의 기작을 통해 target mRNA가 분해된다. 이에 25,000여 개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는 인간 유전자들 중, 그들의 기능과 신호전달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는 domain을 근거로 하여 2,304개의 signaling protein들을 bioinformatics를 통해 선별하였고 이러한 유전자들은 human dicer를 이용하여 small interference RNA(siRNA)를 제작 하였다. 현재 siRNA를 제작하는 방법은 vector에 유전자를 넣어 short hairpin RNA(shRNA)를 만드는 방법과 화학적 합성을 통해 제작하는 synthetic siRNA, 그리고 dicer를 이용하는 방법들이 존재한다. 각 방법들은 서로 장단점이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dicer를 이용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High throughput screen을 위해 96well 상태의 diced-siRNA library를 제작하여 생체 내 신호전달 기작 중 세포분열과 성장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을 동정하고 그 신호전달 체계를 분석하였다. 세포분열의 각 단계는 G0, G1, S, G2/M을 특이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여 cell proliferation assay를 수행하였다. 2,304개의 독립된 d-siRNA는 세포내로 transfection 되고 성장인자들을 제거시킴으로서 세포를 G0상태로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주입된 성장인자들은 세포의 cell cycle을 촉진시켜 세포의 분열과 성장을 유도한다. 24시간 후 세포는 DNA 양과 핵의 크기, p-Rb와 BrdU staining을 통해 각 세포주기를 분류함으로써 그 단백질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중 primary screen을 통해 310여 개의 단백질이 세포주기에 관여할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러한 단백질들은 다시 secondary screen을 통해 분석되었다. 여기에서 다수의 tumor suppressor gene과 oncogene이 될 수 있는 후보 단백질들을 분류할 수 있었다. 특히 tumor suppressor gene들 중 많은 암세포에서 발견되는 p53 단백질의 신호전달에 관여될 것이라고 생각되는 단백질들을 분류할 수 있었고 inositol-1,4,5-triphosphate receptor 3(ITPR3)라는 단백질이 세포성장 억제에 있어서 중요한 단백질이 될 수 있음을 본 실험을 통해 발견하게 되었다. 이렇게 분류된 310여 개의 단백질과 성장인자(growth factor)의 신호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을 동시에 다시 분석하였다. 현재 서로 다른 성장인자가 같은 반응 즉, 세포 분열과 성장을 유도하게 되는데, 그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특이적 단백질들이 보고되어 있지 않다. 이에 RNAi 방법을 이용하여 성장인자의 일종인 PDGF, EGF, bFGF를 처리하여 그 단백질들의 특성을 연구해 본 결과, 그 성장 인자를 인지하는 receptor protein만이 특이적 현상을 보이고 나머지 단백질들은 서로 다른 성장인자에 대해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현재 두 가지의 가설이 존재하는데, 본 실험을 통해 서로 다른 성장 인자는 그들의 receptor를 통해서 인지되지만 세포내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단백들은 거의 동일하게 사용됨으로써 그 신호를 전달한다는 가설을 입증하였다. 그러한 단백질들은 그들의 활성 정도, 신호의 강도, 그리고 localization의 변화에 의해서 다른 신호들을 전달 할 것이라 예상된다. 또한 세포주기에서 특이적으로 G0, G1, S, G2/M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을 동정하고자 clustering analysis를 수행해 본 결과, 세포주기 특이적 단백질들을 분류하지 못하였다. 많은 논문에서 CDK4와 CDK6가 G1/S transition에 관여한다고 보고되어 있는데, RNAi 방법을 이용한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단백질들의 특성을 관찰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G0/G1 transition이 다른 세포주기의 R point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만약 세포가 그들의 분열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판단된다면 더 이상의 분열을 유도하지 않는데, 이러한 mechanism 이 G0 phase 에서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분류된 다수의 oncogene과 tumor suppressor gene들의 기능적 분석을 통해 세포분열과 증식에 있어서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고, cancer의 발병원인과 신호전달 체계를 이해함으로써 암의 치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이론들 보다 진보된 실험 방법과 더 발전된 해석을 부여함으로써 세포내 신호전달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保險會社의 營業施策 展開가 設計士의 成果改善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박병욱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기업에 있어서 경영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으로 판매원의 의욕적인 성과촉진을 위해 성과와 연계된 보상시스템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보상시스템은 주로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많이 도입되어 적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중간관리층을 포함한 각 수준의 종업원에게 적용되고 설계되고 있다. 성과와 연계된 보상계획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이론적 이었으며, 실증적 연구는 미진하였으며, 또한 연구대상도 직접적 보상계획에 한정 되었다. 본 연구목적은 대리인이론의 가정하에 상급관리자에 대한 간접적인 보상계획도입이 능력있는 판매원으로의 대체 및 판매원의 노력배분에 영향을 미쳐 매출액 증대가 이루어지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 생명보험회사에서 보험설계사를 관리하고 있는 상급관리자에 대한 간접적인 보상시스템 도입에 따른 선택효과와 노력효과에 대한 검증을 통해 대리인문제 해결을 위한 간접 보상제도의 효율성과 시사점을 추출코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보험설계사 3,308명을 대상으로 1999년 6월부터 2000년5월까지의 성과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목적의 가설을 검증키위해 실증적 조사에 의한 통계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간접적인 보상계획이 도입되었을 때 선택효과를 실증분석한 결과 회사에 잔존하는 기존 설계사의 성과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잔존하는 신입설계사의 성과였으며, 회사를 퇴사한 설계사의 성과가 가장 낮았다. 이는 직접적인 보상계획하에서의 선택효과를 입증한 이전의 연구와 일치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둘째, 간접적인 보상계획이 도입되었을 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성과가 낮은 설계사가 성과가 높은 설계사로 대체되는지를 검증한 결과 성과가 높은 기존-잔존 및 신입-잔존 설계사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성과가 낮은 기존-퇴사 설계사의 비중은 감소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성과가 낮은 설계사에서 성과가 높은설계사로 대체되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이는 간접적인 성과보상계획하에서 선택효과가 나타나 기업의 성과가 개선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간접적 보상계획하에서 잔존 하는 설계사의 성과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고 퇴사한 설계사의 성과는 감소하고 있음이 증명되었다. 넷째, 간접적인 보상계획하에서 잔존하는 설계사의 성과증가율과 퇴사한 설계사의 성과증가율을 비교 검증한 결과 잔존설계사의 성과 증가율이 퇴사한 설계사의 성과 증가율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직접보상계획하의 노력효과 검증결과와 일치되고 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간접적인 보상계획하에서도 선택효과와 노력효과에 의해 기업의 성과를 개선시키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보험회사의 판매전략수립 즉, 간접적인 보상계획을 대리인 연구에 도입하여 영업시책의 효율적 활용성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이전 연구들과는 달리 회사의 경영자가 아닌 고객접점에서 활동하는 설계사를 대상으로 대리인 연구의 범위를 확대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결과를 보다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연구대상기업의 다양화, 1년간의 단기적 연구 대상기간의 극복, 간접적보상 정책의 변동에 따른 영향을 다기간동안 지속적으로 비교분석 되어야 할것이다.

      • 폭발하중을 고려한 함정의 구조설계에 관한 연구

        박병욱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대의 전투환경에서 함정이 충분한 전투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위협무기의 폭발하중을 고려한 선체구조설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에 관련된 연구는 일부 선진국을 중심으로 수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신형함정의 설계에 연구결과의 일부를 직접 적용하고 있는 단계에 있다. 본 연구는 폭발하중을 고려한 함정의 구조설계방법과 이에 관련된 설계 요소기술을 개발하는데 목표를 두었으며 3,000톤급 구축함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은 서론, 함정 선체구조의 설계특성에 관한 고찰, 폭발하중을 받는 선체구조의 손상추정, 폭발하중을 고려한 선체거더의 종강도 분석 및 결론의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서론에서는 전투경험 및 손상에 의한 구조설계의 변천과정을 고찰해 보고 이에 관련된 선진국의 최근 연구동향을 분석하였으며 폭발하중을 고려한 구조설계방법에 대한 연구방안을 제시하였다. 선체구조 설계특성에 관한 연구에서는 세계 각국 함정의 구조설계 특성을 고찰해 보고 종강도 기준 및 구조중량 등을 분석하였으며 현재 국내에서 적용하고 있는 미해군의 설계기준 및 방법에 대한 배경과 특성에 대해 논하였다. 폭발하중을 받는 선체구조의 손상추정 연구에서는 수상폭발 및 수중폭발 하중의 추정방법과 평판 및 보강판 구조의 손상을 신속하게 예측할 수 있는 간이 추정식을 제시하였다. 구조손상의 추정은 폭발하중을 고려한 설계기준의 도출과 설계를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핵심분야이지만 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연구결과는 현재까지 거의 발표되지 않은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구조손상의 간이 추정식은 폭발하중을 임펄스하중으로 이상화하고 손상을 영구처짐의 형태로 가정한 일련의 수치해석 결과들에 의해 유도되었다. 제안된 간이 추정식은 기존의 실험결과 및 제안식 등과의 비교를 통해 신뢰성을 검증하고 설계적용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선체거더의 종강도 분석 연구에서는 폭발하중에 의한 선체전체의 붕괴손상를 방지하는 구조설계과정의 일환으로 폭발하중의 유형에 따른 강도평가의 방법과 해석 예를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고 추후 연구되어야 할 기술분야에 대해 논하였다. 현대의 전투환경을 고려한 합리적인 구조설계를 위해서는 앞으로도 많은 분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지만 본 논문에서 제시한 연구결과들은 폭발하중을 고려한 설계기준의 정립과 설계에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modern sea combat environments, where the striking power is becoming stronger, the structures of naval ships must be designed considering explosion loads resulting from threat weapo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tructural design methodology and related technology how to consider the explosion loads in the structural design of naval surface ships in more rational manners. In the forepart of this study, the review has been performed on the structural design concepts and methods of naval ships employed in some forefront countries. In order to rationally consider the explosion loads in the structural design of naval ships, firstly the extents of damage due to the specified explosion conditions are necessary to be estimated. Secondly the predictions are required of the ultimate strength of the naval ships in both of intact and damaged conditions. In this study simple and practical formulae have been derived to estimate the extent of damage of orthogonally stiffened plates due to explosion loads. Numerical computations were performed for various stiffened plates and the results were utilized to obtained the proposed formulae. Prior to the derivation of the formulae the accuracy of the numerical predictions was substantiated with corresponding test data. The formulae were also been compared with existing ones proposed by other researchers. Ultimate longitudinal strength assessments have been performed for a 3,000 ton class destroyer considering explosion loads. The predicted ultimate longitudinal strength of the intact ship was compared with the whipping moment due to bubble loadings in underwater explosion. The residual longitudinal strength of the ship in damaged conditions was also estimated varying the locations and extents of damage. In the ultimate longitudinal strength calculation the Smith's method was adopted and the average stress and average strain relationship were approximated by empirically derived equations. However, the damaged parts of the structure are assumed to be ineffective in the calculations and the damage is also assumed to be symmetric. Using the formulae to predict the extents of damage of stiffened plate due to explosion loads and the method to estimate the residual longitudinal strength of damaged ship the survivability of naval ships can be quantified. However, future works are necessary to be able to deal with practical damages of asymmetric and to consider the effectiveness of the damaged parts.

      • 球形曲面을 가지는 UBET 要素를 利用한 球鍛造의 解析

        박병욱 建國大學校 大學院 198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is concerned with the analysis of ball forging by the upper bound elemental technique(UBET). UBET is one of the powerful methods to solve diversified metalforming problems including closed die forging, combined forging etc. In order to describe the deformation pattern during forging, a kinematically admissible velocity field(KAVF) is derived for an element with spherical boundary. Materials with cylindrical shapes are forged into balls. During the deformation processes, variations of forging load and changes of shape are predicted. The analytical results show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data obtained by others. It can be said that KAVFs for UBET elements with arbitrary boundary shapes can also be derived similarity and applied effectively to analyze forging problems with resembling shapes.

      • 高等學校 法敎育이 學生의 民主市民性 形成에 미치는 效果에 관한 硏究

        박병욱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과의 교육목표는 국가적?사회적?학문적 요구와 변화 및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지식의 전달이 아닌 지식과 기능, 그리고 가치?태도의 종합적인 학습을 통하여 학교의 교육이 궁극적인 목표인 학생의 민주시민성 함양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도록 하는 것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학교현실은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도외시한 채 근시안적이고 수단적인 목표에 의해 교육의 질을 평가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제7차 교육과정은 사회과 교육의 목표를 ‘사회현상에 관한 기초적 지식과 능력은 물론, 지리?역사 및 제 사회 과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발견하고 탐구하는 능력을 익혀, 우리 사회의 특징과 세계의 여러 모습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며,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현대 사회의 문제를 창의적이며 합리적으로 해결하고, 공동생활에 스스로 참여하는 능력을 기른다. 이를 바탕으로 개인의 발전은 물론, 국가?사회?인류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민주시민의 자질을 기른다.’라고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법교육의 일차적 목표인 지식영역, 기능영역, 가치 및 태도 영역의 목표 중 단기간에 교육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지식과 기능영역 목표의 달성도가 궁극적 목표인 민주시민성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사회과 법교육이 학교의 공식적 교육과정과 학교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잠재적 교육과정의 요소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학생의 민주시민성 함양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법과사회」과목을 선택과목으로 하고 있는 학교를 대상으로 「법과사회」과목을 선택한 학생과 선택하지 않은 학생에 대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조사와 해당학교 「법과사회」담당교사에 대한 면접조사를 통하여 법교육이 학생의 민주시민성 형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일반적으로 우리 교육의 현 실태와 개선책을 논하는 연구에서는 대부분 지식 중심의 교육이 현재의 모순된 교육현실에 한 몫을 했다는 내용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법적 지식수준이 민주시민성에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민주시민성 함양에 있어서 법적 지식 교육은 중요한 요인이며, 토대라고 생각된다. 단지 법적 지식이 기능수행과 수업방식 등 다양한 요인과 적절히 결합되었을 때 목표달성 효과는 더욱 크게 나타나게 될 것이므로, 법적 지식 교육의 토대 위에서 가치교육과 사회적 실천 등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분석 결과를 보면 민주시민성에 학생들의 사회단체활동, 부모와의 대화, 친구들과의 대화가 여러 요인에 대해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과 교육의 본질적 목표인 민주시민성의 효과적 형성을 위해서는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공식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의 유기적인 연계를 통한 교육과정 구성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제7차 교육과정은 수요자 중심의 교육을 천명하고 있는 교육과정이니 만큼 실제 운영에 있어서도 학생과 학부모를 교육의 대상에서 교육에 필요나 요구를 반영하는 주체로 변화시키는 데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서 학생과 학부모, 교사 그리고, 지역사회와 국가가 모두 우리 교육을 함께 만들어가는 동반자라는 인식이 절실하다고 하겠다.

      • 3차원 오디오 재생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박병욱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the 3D Audio Reproduction algorithm is the technology that restores the lost spatial cue, which was lost given recording and playback, it obtains information same as the form in sound location, environment, and a sound source, which occurred by gran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information to auditory sense. This conventional 3D Audio Reproduction algorithm is placed too emphasis on the specific frequency band due to the gain value for stressing the stereo image, thereby having a problem that sharp noise components take place. Accordingly, in this paper suggested the new 3D Audio Reproduction algorithm by using Gammatone auditory filte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bout the existing algorithm. In other words, the proposed algorithm is the technique that can control the loudness in reverberation and can automatically restrict the size of stereo image, by using the gain value that was obtained with output ratio in auditory filter. In order to prov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the comparison and evaluation were carried out with the existing method through experimen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ime wave-forms, SRS was produced the sphere that a signal is excessively amplified more than the original sound, and TLA was reduced the size of signal while having the character similar to the original sound. The proposed algorithm was swelled the size of the signal while having the character similar to the original sound, but there was the excessive amplification phenomenon, which was produced in SR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frequency, all in SRS and TLA, which are the conventional algorithms, and in the proposed method, could be known that the signal is being transformed and amplified in the specific frequency band unlike the characteristics of frequency in the original sound. Such transformation and amplification in the characteristics of frequency are judged that the 3D audio effect was generated due to emphasizing the reverberation sense and stereo image. Given trying to compare the proposed algorithm with the existing algorithm SRS, the proposed algorithm had no phenomenon, in which the specific frequency band is excessively emphasized, as what occurred in the existing algorithm. Also, as a result of auditory experiment between the existing algorithm and the proposed algorithm targeting 3 men and 1 woman in 24~28 years old whose auditory capacity is normal, the existing algorithm has strong base component. On the other hand, the proposed algorithm is effectively restricted the audible frequency band. The spatial sense and the reverberation were evaluated to be available for being felt even while the sound source is heard clearly. 3차원 오디오 재생 알고리즘은 녹음 및 재생 시에 잃어버린 공간 정보를 복원시키는 기술로서, 청각에 공간적인 배치 정보를 부여하여 발생된 음원의 위치․환경․음원의 형태와 같은 정보를 얻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기존의 3차원 오디오 재생 알고리즘은 스테레오 이미지를 강조하는 이득 값으로 인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이 너무 강조되어 날카로운 잡음 성분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알고리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Gammatone 청각 필터를 이용한 새로운 3차원 오디오 재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청각 필터의 출력 비들을 이용하여 구한 이득 값으로 잔향의 세기를 제어하고, 또한 스테레오 이미지의 크기를 자동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방법이다. 제안한 방법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실험을 통해 기존 방법과 비교․평가를 하였다. 시간 파형을 비교․분석한 결과, 기존의 방법인 SRS는 원음보다 신호가 과도하게 증폭되는 영역이 발생하였으나, 제안한 알고리즘은 원음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면서 신호의 크기가 증가하였지만 SRS에서 발생한 과도한 증폭 현상은 없었다. 주파수 특성 비교 결과, 기존 알고리즘인 SRS, 그리고 제안한 방법 모두 원음의 주파수 특성과 달리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가 변형 및 증폭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주파수 특성의 변형 및 증폭은 잔향감 및 스테레오 이미지 강조로 인하여 3차원 오디오 효과가 발생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청력이 정상인 24~28세의 남성 3명과 여성 1명을 대상으로 기존 알고리즘과 제안한 알고리즘을 간이 청취 실험한 결과, 기존 알고리즘은 베이스 성분이 강한 반면, 제안한 알고리즘은 가청 주파수 대역이 효과적으로 제한됨으로써 음원이 명료하게 들리면서도 공간감 및 잔향감을 느낄 수 있다고 평하였다. 또한, MaxxBass 효과와 제안한 3차원 오디오 재생 알고리즘을 청취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GUI 환경으로 구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